KR102218205B1 - 기재의 밀링 장치,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및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기재의 밀링 장치,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및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205B1
KR102218205B1 KR1020157033569A KR20157033569A KR102218205B1 KR 102218205 B1 KR102218205 B1 KR 102218205B1 KR 1020157033569 A KR1020157033569 A KR 1020157033569A KR 20157033569 A KR20157033569 A KR 20157033569A KR 102218205 B1 KR102218205 B1 KR 102218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material
substrate
base material
decorativ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3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094A (ko
Inventor
히사야 가토
Original Assignee
가또오모꾸자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97104A external-priority patent/JP58898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097105A external-priority patent/JP58898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84433A external-priority patent/JP590622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또오모꾸자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또오모꾸자이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03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8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multi-step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3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securing a veneer strip to a panel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1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the work being fed round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CPLANING, DRILLING, MILLING, TURNING OR UNIVERSAL MACHINE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 B27C1/00Machines for producing flat surfaces, e.g. by rotary cutters; Equipment therefor
    • B27C1/02Smoothing, i.e. working one side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5/00Other working of veneer or plywood specially adapted to veneer or plywood
    • B27D5/006Trimming, chamfering or bevelling edgings, e.g. l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GACCESSORY MACHINES OR APPARATU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TOOLS FOR WORKING WOOD OR SIMILAR MATERIALS; SAFETY DEVICES FOR WOOD WORKING MACHINES OR TOOLS
    • B27G11/00Applying adhesives or glue to surfaces of wood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1/00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 B27M1/02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e.g. by stretching by compr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기재를 엄밀하게 온도 관리할 필요가 없어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기재 및 화장재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는 화장재의 접착 장치를 제공한다. 본 장치는, 기재(8)의 단부면(8a)에 화장재(9)를 접착하는 화장재의 접착 장치(3)이며,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의 단부면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는 도포부(17)와, 도포부에 의해 접착재가 도포된 화장재의 이면을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하는 가압부(1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기재의 밀링 장치,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및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BASE MATERIAL MILLING DEVICE, PRODUCTION DEVICE FOR COATED ARTICLE AND PRODUCTION METHOD FOR COATED ARTICLE}
본 발명은 화장재의 접착 장치 및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및 화장재의 접착 방법 및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재를 엄밀하게 온도 관리할 필요가 없어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기재 및 화장재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는 화장재의 접착 장치 및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및 화장재의 접착 방법 및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화장재의 접착 장치로서, 목제의 기재(패널)의 단부면에 화장재(테두리재)를 접착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특허문헌 1에는, 예를 들어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208)의 단부면(208a)에 접착재(210)를 도포하는 도포 롤러(220)와, 핫 멜트계 접착재(210)가 도포된 기재(208)의 단부면(208a)에 대하여 화장재(209)의 이면(209a)을 가압하는 프레스 롤러(226)를 구비하는 화장재의 접착 장치(203)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8-90504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의 화장재의 접착 장치(203)에서는, 기재(208)의 단부면(208a)에 접착재(210)를 도포해서 기재(208) 및 화장재(209)를 접착하고 있으므로,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기재(208) 및 화장재(209)를 소정 온도(예를 들어, 약 20 내지 30℃)가 되도록 엄밀하게 온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재(208)는 화장재의 접착 장치(203)에의 투입 전에 다수가 적층되고, 그 상태에서 제트 히터 등의 가열 수단으로 가열된다. 또한, 기재(208) 및 화장재(209)의 각각은, 화장재의 접착 장치(203)에의 투입 후에 기계측에 설치된 면 히터 등의 가열 수단으로 가열된다. 따라서, 기재(208) 및 화장재(209)의 온도 관리가 번잡하여, 가열 수단의 연료비가 높고 가공 비용이 높아진다.
또한, 상기 종래의 화장재의 접착 장치(203)에서는, 도포 롤러(220)와 프레스 롤러(226)의 간격이 비교적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접착재(210)의 도포로부터 기재(208) 및 화장재(209)의 접착까지의 시간이 비교적 길어진다. 그 결과, 기재(208) 및 화장재(209)의 접착성이 낮아진다.
또한, 종래부터 기재의 단부면에 화장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에지 바인더」라고도 칭해짐)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에서는, 화장재가 접착되기 전의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밀링 장치를 채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에 의해, 기재의 단부면과 화장재의 접착성이 높아진다.
최근 들어, 표면 보호를 위해서 보호 필름을 표면에 점착하여 이루어지는 기재가 채용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밀링 장치에서는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할 때에 풍압 등의 영향으로 기재의 표면으로부터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가 부상하고, 그들 기재의 표면과 보호 필름의 간극에 절삭 칩 등의 이물이 인입되어 버린다. 또한, 후속 공정인 기재 및 화장재의 접착 공정에 있어서, 기재의 표면과 보호 필름의 간극에 접착재가 인입되어, 기재의 표면측에의 접착재의 천이가 발생하기 쉽다. 그 결과, 피복 제품의 미관이 저하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현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기재를 엄밀하게 온도 관리할 필요가 없어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기재 및 화장재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는 화장재의 접착 장치 및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및 화장재의 접착 방법 및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목적에 추가하여, 기재의 단부면에 화장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의 미관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재의 단부면에 화장재를 접착하는 화장재의 접착 장치이며,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기재의 단부면을 향해서 송출되는 상기 화장재의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도포부와, 상기 도포부에 의해 접착재가 도포된 상기 화장재의 이면을 상기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기재의 단부면의 높이보다 큰 도포 폭으로 상기 화장재의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접착재를 도포하는 슬릿 형상의 도포구를 갖는 도포 노즐과, 상기 화장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도포 노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도포 노즐을 향해서 상기 화장재를 가압하는 회전 가능한 가압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기재의 단부면에 화장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이며,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재의 접착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화장재가 접착되기 전의 상기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기재의 밀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의 밀링 장치는,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기재의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회전 가능한 밀링 커터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기재의 단부면에 화장재를 접착하는 화장재의 접착 방법이며,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기재의 단부면을 향해서 송출되는 상기 화장재의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접착재가 도포된 상기 화장재의 이면을 상기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하는 가압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기재의 단부면에 화장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이며,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기재의 단부면을 향해서 송출되는 상기 화장재의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접착재가 도포된 상기 화장재의 이면을 상기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하는 가압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재의 접착 장치 및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에 의하면,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기재의 단부면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의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도포부와, 도포부에 의해 접착재가 도포된 화장재의 이면을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하는 가압부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화장재의 이면에 접착재가 도포되어서 기재 및 화장재가 접착된다. 그 결과, 기재를 엄밀하게 온도 관리할 필요가 없어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와 가압부의 간격이 비교적 작아져, 접착재의 도포로부터 기재 및 화장재의 접착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그 결과, 기재 및 화장재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가, 상기 기재의 단부면의 높이보다 큰 도포 폭으로 상기 화장재의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할 경우에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화장재를 채용해도 기재 및 화장재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표면측에의 접착재의 천이가 억제되어, 후속 공정에 있어서 접착재의 잉여 부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가, 접착재를 도포하는 슬릿 형상의 도포구를 갖는 도포 노즐과, 상기 화장재를 사이에 두고 상기 도포 노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또한 상기 도포 노즐을 향해서 상기 화장재를 가압하는 회전 가능한 가압 롤러를 구비할 경우에는, 도포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와 가압부의 간격이 보다 짧아져, 기재 및 화장재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재가 접착되기 전의 상기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기재의 밀링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재의 밀링 장치는,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기재의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회전 가능한 밀링 커터를 구비할 경우에는, 가압 부재에 의해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밀링 커터에 의해 기재의 단부면이 절삭된다. 이에 의해, 보호 필름의 부상을 억제해서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할 수 있다. 그 결과, 보호 필름과 기재의 표면과의 간극에의 절삭 칩 등의 이물의 인입이 억제됨과 함께, 후속 공정인 기재 및 화장재의 접착 공정에서의 기재의 표면측에의 접착재의 천이가 억제된다. 따라서, 피복 제품의 미관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가, 지지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지지체에 설치된 압박 수단에 의해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경우에는, 간이한 구조에 의해 가압 부재로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를 보다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가압면과, 해당 가압면으로부터 상기 기재의 소정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서 경사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할 경우에는,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기재가 경사면에 접촉함으로써, 가압 부재가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저항해서 변위되어 가압면이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로 안내된다.
본 발명의 화장재의 접착 방법 및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기재의 단부면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의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접착재가 도포된 화장재의 이면을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하는 가압 공정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화장재의 이면에 접착재가 도포되어서 기재 및 화장재가 접착된다. 그 결과, 기재를 엄밀하게 온도 관리할 필요가 없어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와 가압부의 간격이 비교적 작아져, 접착재의 도포로부터 기재 및 화장재의 접착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그 결과, 기재 및 화장재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 공정이, 상기 기재의 단부면의 높이보다 큰 도포 폭으로 상기 화장재의 이면에 접착재를 도포할 경우에는, 비교적 얇은 두께의 화장재를 채용해도 기재 및 화장재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표면측에의 접착재의 천이가 억제되어, 후속 공정에 있어서 접착재의 잉여 부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 본 발명에 의한 전형적인 실시 형태의 비한정적인 예를 들어, 언급된 복수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상세한 기술에서 다시 설명하지만, 같은 참조 부호는 도면의 몇 가지의 그림을 통해서 같은 부품을 나타낸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관한 화장재의 접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화장재의 접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4의 VI 화살표도이다.
도 7은 제1 실시예에 관한 엔드 커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 관한 트리밍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트리밍부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10은 그 밖의 형태의 화장재의 접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예에 관한 기재의 밀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기재의 밀링 장치의 정면도이며, (a)는 기재의 단부면의 절삭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기재가 가압 부재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3의 XIV-XIV선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XV-XV선 단면도이며, (a)는 기재의 단부면의 절삭 상태를 나타내고, (b)는 기재의 단부면의 비절삭 상태(대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6은 제2 실시예에 관한 화장재의 접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화장재의 접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XIX-XIX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XX 화살표도이다.
도 21은 제2 실시예에 관한 화장재의 엔드 커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2 실시예에 관한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XXIV 화살표부의 확대도이다.
도 25는 상기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26은 제2 실시예에 관한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8은 상기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XXIX 화살표도이다.
도 30은 상기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32는 제2 실시예에 관한 트리밍 커터의 선단부 날(역 리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3은 그 밖의 형태의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4는 그 밖의 형태의 트리밍 커터의 선단부 날(정 리드)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5는 그 밖의 형태의 화장재의 접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6은 종래의 화장재의 접착 장치의 평면도이다.
여기에서 나타내는 사항은 예시적인 것 및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적인 특징을 가장 유효하게 또한 무리없이 이해할 수 있는 설명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제공할 목적으로 설명한 것이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근본적인 이해를 위해서 필요한 정도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조적인 상세를 나타내는 것을 의도하고는 있지 않으며, 도면과 맞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의 몇 가지의 형태가 실제로 어떻게 구현화되는지를 당업자에게 밝히는 것이다.
<화장재의 접착 장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재의 접착 장치는, 기재(8)의 단부면(8a)에 화장재(9)를 접착하는 화장재의 접착 장치(3, 3')이며,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의 단부면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는 도포부(17)와, 도포부에 의해 접착재가 도포된 화장재의 이면을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하는 가압부(18)를 구비한다(예를 들어, 도 2 및 도 10 등 참조). 또한, 상기 「화장재의 이면」이란, 화장재의 의장면과는 반대측의 접착면을 의도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재의 접착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도포부(17)는 기재(8)의 단부면(8a)의 높이(h1)보다 큰 도포 폭(h3)으로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는 형태(예를 들어, 도 4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상술한 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상기 가압부(18)는 접착재(10)가 기재(8)의 단부면(8a)의 상부 테두리측 및 하부 테두리측으로부터 상하로 비어져나오도록 화장재(9)의 이면(9a)을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5 등 참조). 이에 의해, 기재 및 화장재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접착재의 잉여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재의 비어져나옴량(h4)으로서는, 예를 들어 0.1 내지 0.5㎜(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를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재의 접착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도포부(17)는 접착재(10)를 도포하는 슬릿 형상의 도포구(20a)를 갖는 도포 노즐(20)과, 화장재(9)를 사이에 두고 도포 노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또한 도포 노즐을 향해서 화장재(9)를 가압하는 회전 가능한 가압 롤러(21)를 구비하는 형태(예를 들어, 도 3 및 도 4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이에 의해, 도포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와 가압부의 간격이 보다 짧아져, 기재 및 화장재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파티클 보드, 중질 섬유판(MDF), 목질 단판, 목질 합판 등의 목제의 기재로 해도 된다. 또한, 수지제나 금속제의 기재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화장재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댑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상기 화장재는, 예를 들어 단층 구조라도 되고, 복층 구조라도 된다. 또한, 상기 화장재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어 0.3 내지 2.0㎜(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2㎜, 특히 0.3 내지 0.5㎜)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재로서는, 예를 들어 핫 멜트계 접착재 등을 들 수 있다.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는, 기재(8)의 단부면(8a)에 화장재(9)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W)의 제조 장치(1)이며,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의 단부면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는 도포부(17)와, 도포부에 의해 접착재가 도포된 화장재의 이면을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하는 가압부(18)를 구비한다(예를 들어, 도 2 및 도 10 등 참조). 또한, 상기 도포부 및 가압부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화장재의 접착 장치에서 설명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화장재의 접착 방법>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재의 접착 방법은, 기재(8)의 단부면(8a)에 화장재(9)를 접착하는 화장재의 접착 방법이며,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의 단부면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접착재가 도포된 화장재의 이면을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하는 가압 공정을 구비한다(예를 들어, 도 2 및 도 10 등 참조). 또한, 상기「화장재의 이면」이란, 화장재의 의장면과는 반대측의 접착면을 의도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재의 접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도포 공정은, 기재(8)의 단부면(8a)의 높이(h1)보다 큰 도포 폭(h3)으로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는 형태(예를 들어, 도 4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상술한 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상기 가압 공정은, 접착재(10)가 기재(8)의 단부면(8a)의 상부 테두리측 및 하부 테두리측으로부터 상하로 비어져나오도록 화장재(9)의 이면(9a)을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5 등 참조). 이에 의해, 기재 및 화장재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음과 함께, 접착재의 잉여 부분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재의 비어져나옴량(h4)으로서는, 예를 들어 0.1 내지 0.5㎜(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를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화장재의 접착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도포 공정은, 접착재(10)를 도포하는 슬릿 형상의 도포구(20a)를 갖는 도포 노즐(20)과, 화장재(9)를 사이에 두고 도포 노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또한 도포 노즐을 향해서 화장재(9)를 가압하는 회전 가능한 가압 롤러(21)를 구비하는 도포부(17)를 사용해서 접착재를 도포하는 형태(예를 들어, 도 3 및 도 4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이에 의해, 도포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와 가압부의 간격이 보다 짧아져, 기재 및 화장재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재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파티클 보드, 중질 섬유판(MDF), 목질 단판, 목질 합판 등의 목제의 기재로 해도 된다. 또한, 수지제나 금속제의 기재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화장재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댑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상기 화장재는, 예를 들어 단층 구조라도 되고, 복층 구조라도 된다. 또한, 상기 화장재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어 0.3 내지 2.0㎜(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2㎜, 특히 0.3 내지 0.5㎜)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재로서는, 예를 들어 핫 멜트계 접착재 등을 들 수 있다.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은, 기재(8)의 단부면(8a)에 화장재(9)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W)의 제조 방법이며,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의 단부면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접착재가 도포된 화장재의 이면을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하는 가압 공정을 구비한다(예를 들어, 도 2 및 도 10 등 참조). 또한, 상기 도포 공정 및 가압 공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화장재의 접착 방법에서 설명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기재의 밀링 장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재의 밀링 장치는, 화장재(109)가 접착되는 기재(108)의 단부면(108a)을 절삭하는 기재의 밀링 장치(170)이며,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의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171)와, 가압 부재에 의해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회전 가능한 밀링 커터(172)를 구비한다(예를 들어, 도 12 등 참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재의 밀링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가압 부재(171)는 지지체(173)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지지체에 설치된 압박 수단(175)에 의해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형태(예를 들어, 도 13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기재의 밀링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가압 부재(171)는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가압면(178)과, 가압면으로부터 기재의 소정의 반송 방향(P)의 상류측을 향해서 경사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79)을 구비하는 형태(예를 들어, 도 13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는,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화장재(109)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101)이며, 상술한 기재의 밀링 장치(170)와, 기재의 밀링 장치에 의해 절삭된 기재의 단부면에 화장재를 접착하는 화장재의 접착 장치(103, 103')를 구비한다(예를 들어, 도 11, 도 12 및 도 16 등 참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화장재의 접착 장치(103, 103')는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의 단부면(108a)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를 도포하는 도포부(117)와, 도포부에 의해 접착재가 도포된 화장재의 이면을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하는 가압부(118)를 구비하는 형태(예를 들어, 도 16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이에 의해, 도포부와 가압부의 간격이 비교적 작아져, 접착재의 도포로부터 기재 및 화장재의 접착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그 결과, 기재를 엄밀하게 온도 관리하지 않고 가공 비용을 억제해서 기재 및 화장재를 접착할 수 있다.
상술한 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도포부(117)는 기재(108)의 단부면(108a)의 높이(h1)보다 큰 도포 폭(h3)으로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를 도포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8 등 참조). 이에 의해, 비교적 얇은 두께의 화장재를 채용해도 기재 및 화장재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기재의 표면측에의 접착재의 천이가 억제되어, 후속 공정에 있어서 접착재의 잉여 단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상기 도포부(117)는 접착재(110)를 도포하는 슬릿 형상의 도포구(120a)를 갖는 도포 노즐(120)과, 화장재(109)를 사이에 두고 도포 노즐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또한 도포 노즐을 향해서 화장재(109)를 가압하는 회전 가능한 가압 롤러(121)를 구비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8 등 참조). 이에 의해, 도포부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와 가압부의 간격이 보다 짧아져, 기재 및 화장재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접착된 화장재(109)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잉여 단부(S1)를 제거하는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105)를 구비하는 형태(예를 들어, 도 22 및 도 23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105)는,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의 표면 테두리부를 안내하는 안내 롤러(131)와, 안내 롤러에 의해 기재(108)의 표면 테두리부가 안내된 상태에서 기재의 단부면에 접착된 화장재(109)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잉여 단부(S1)를 제거하는 회전 가능한 트리밍 커터(129)를 구비한다. 또한, 안내 롤러(131)는 원판부(131a)와, 원판부의 외주측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기재의 표면 테두리부를 안내하는 플랜지부(131b)를 갖고, 트리밍 커터(129)는 그 일부가 플랜지부(131b)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화장재(109)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잉여 단부(S1)를 제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안내 롤러에 의해 기재의 표면 테두리부(즉, 기재의 표면 테두리의 가장자리부)가 안내된 상태에서 트리밍 커터에 의해 화장재의 잉여 단부가 제거된다. 그로 인해, 트리밍 커터의 장기 사용에 의해 기재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져도 기재가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화장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잉여 단부를 고정밀도로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상기 기재(108)의 표면(108b)에는, 보호 필름(111)이 점착되어 있을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4 등 참조). 이에 의해, 보호 필름의 부상이 억제되어서 화장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잉여 단부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복 제품의 미관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접착된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제거해서 모따기하는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106)를 구비하는 형태(예를 들어, 도 26 내지 도 29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그리고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106)는 화장재의 잉여 단부(S2)를 따라 이동하는 트리밍 헤드(141)를 구비하고, 트리밍 헤드는 구동 모터(147)와, 구동 모터의 구동축(147a)에 연결되어서 화장재의 잉여 단부를 제거하는 회전 커터(148)와, 회전 커터의 축심측에 설치되는 설치 부재(149)와, 설치 부재에 회전 커터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기재 위를 구름 이동하는 안내부(152)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트리밍 헤드가 화장재의 잉여 단부를 따라 이동할 때에, 안내부가 기재 위를 구름 이동하면서 회전 커터가 화장재의 잉여 단부를 제거해서 화장재가 모따기된다. 그리고 안내부는, 회전 커터에 설치된 설치 부재에 회전 커터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므로, 안내부와 회전 커터의 축심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그 결과, 기재에 대한 안내부의 모방 편차를 억제해서 화장재의 잉여 단부를 정확하게 제거해서 모따기할 수 있다.
상술한 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트리밍 헤드(141)는 안내부(152)의 외주면에 압접하는 압접편(157)을 구비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9 등 참조). 이에 의해, 압접편이 안내부의 외주면에 압접함으로써, 안내부의 회전 커터와 함께 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안내부의 외주면에의 절삭 칩 등의 이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형태의 경우, 예를 들어 상기 회전 커터(148)는 화장재(109)의 화장면(109b)의 외측을 향해서 절삭 칩을 송출하는 역 리드의 선단부 날(162)을 구비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2 등 참조). 이에 의해, 회전 커터가 화장재의 잉여 단부를 제거할 때에, 화장재의 이면측으로 비어져나온 접착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과 함께, 버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참고예로서, 예를 들어 기재의 단부면에 화장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이며, 화장재의 잉여 단부를 제거하는 회전 커터(29, 129, 148)를 구비하는 트리밍 장치를 구비하고, 회전 커터는 화장재의 화장면의 외측을 향해서 절삭 칩을 송출하는 역 리드의 선단부 날(162)을 구비하는 형태(예를 들어, 도 32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이에 의해, 회전 커터가 화장재의 잉여 단부를 제거할 때에, 화장재의 이면측으로 비어져나온 접착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과 함께, 버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은,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화장재(109)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이며, 상술한 기재의 밀링 장치(170)를 사용해서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기재의 밀링 공정과, 그 절삭된 기재의 단부면에 화장재를 접착하는 화장재의 접착 공정을 구비한다(예를 들어, 도 11, 도 12 및 도 16 등 참조).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기 화장재의 접착 공정은, 상술한 화장재의 접착 장치(103, 103')를 사용하여,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의 단부면(108a)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를 도포하고 나서, 접착재가 도포된 화장재의 이면을 기재의 단부면에 가압하는 공정인 형태(예를 들어, 도 16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이에 의해, 도포부와 가압부의 간격이 비교적 작아져, 접착재의 도포로부터 기재 및 화장재의 접착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그 결과, 기재를 엄밀하게 온도 관리하지 않고 가공 비용을 억제해서 기재 및 화장재를 접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105)를 사용하여,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접착된 화장재(109)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잉여 단부(S1)를 제거하는 화장재의 트리밍 공정을 구비하는 형태(예를 들어, 도 22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이에 의해, 안내 롤러에 의해 기재의 표면 테두리부(즉, 기재의 표면 테두리의 가장자리부)가 안내된 상태에서 트리밍 커터에 의해 화장재의 잉여 단부가 제거된다. 그로 인해, 트리밍 커터의 장기 사용에 의해 기재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져도 기재가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화장재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잉여 단부를 고정밀도로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106)를 사용하여,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접착된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제거해서 모따기하는 화장재의 트리밍 공정을 구비하는 형태(예를 들어, 도 26 등 참조)를 들 수 있다. 이에 의해, 트리밍 헤드가 화장재의 잉여 단부를 따라 이동할 때에, 안내부가 기재 위를 구름 이동하면서 회전 커터가 화장재의 잉여 단부를 제거해서 화장재가 모따기된다. 그리고 안내부는, 회전 커터에 설치된 설치 부재에 회전 커터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므로, 안내부와 회전 커터의 축심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그 결과, 기재에 대한 안내부의 모방 편차를 억제해서 화장재의 잉여 단부를 정확하게 제거해서 모따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108)는 통상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화장재(109)가 접착되는 단부면(108a)과, 단부면의 상하 테두리로부터 교차해서 연장되는 표리면(108b)을 갖고 있다(예를 들어, 도 22 참조). 또한, 상기 기재로서는, 예를 들어 파티클 보드, 중질 섬유판(MDF), 목질 단판, 목질 합판 등의 목제의 기재를 들 수 있다. 또한, 수지제나 금속제의 기재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화장재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멜라민 수지, 댑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유연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도 된다. 또한, 상기 화장재는, 예를 들어 단층 구조라도 되고, 복층 구조라도 된다. 또한, 상기 화장재의 두께로서는, 예를 들어 0.3 내지 2.0㎜(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2㎜, 특히 0.3 내지 0.5㎜)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재로서는, 예를 들어 핫 멜트계 접착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 기재한 각 구성의 괄호 안의 부호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구체적 구성과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사용해서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
(1)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의 구성
본 실시예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1)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에 설명하는 반송부(2), 화장재의 접착 장치(3), 엔드 커트부(4) 및 트리밍부(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복 제품으로서 파티클 보드제의 기재(8)의 단부면(8a)에 멜라민 수지제의 화장재(9)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W)(도 9 참조)을 예시한다.
상기 반송부(2)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8)를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이 반송부(2)는, 반송 방향(P)을 따라 주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 컨베이어(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벨트 컨베이어(12)의 상방에는, 회전 가능한 복수의 롤러(13)가 반송 방향(P)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12)의 주회 구동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2)와 롤러(13) 사이에 끼움 지지되는 기재(8)가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된다.
또한, 상기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1)에는 기재(8)의 투입구측에, 기재(8)의 단부면(8a)이 접촉해서 반송 방향(P)과 직교하는 방향을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부(14)(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화장재의 접착 장치(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8)의 단부면(8a)에 화장재(9)를 접착하는 것이다. 이 접착 장치(3)는,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8)의 단부면(8a)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9)의 이면(9a)에 핫 멜트계 접착재(10)를 도포하는 도포부(17)와, 이 도포부(17)에 의해 접착재(10)가 도포된 화장재(9)의 이면(9a)을 기재(8)의 단부면(8a)에 가압하는 가압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포부(17)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8)의 단부면(8a)의 높이 h1(예를 들어, 약 20㎜ 등)보다 큰 도포 폭 h3(예를 들어, 약 20.6㎜ 등)으로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는 슬릿 형상의 도포구(20a)를 갖는 도포 노즐(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도포 노즐(20)은, 접착재(10)를 수용한 탱크(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포 노즐(20)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화장재(9)를 도포 노즐(20)을 향해서 가압하는 회전 가능한 가압 롤러(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압 롤러(21)의 회전 구동에 의해, 도포 노즐(20) 및 가압 롤러(21) 사이에 끼움 지지된 화장재(9)가 반송 방향(P)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이송 방향(Q)(도 3 참조)으로 송출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장재(9)의 높이 h2(예를 들어, 약 22㎜ 등)는, 후술하는 트리밍부에 의한 트리밍 전의 상태에 있어서 기재(8)의 높이 h1 및 접착재(10)의 도포 폭 h3보다 큰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장재(9)의 두께는 약 0.3㎜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포 노즐(20)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구(20a)의 슬릿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부재(40)가 슬릿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17)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재(9)를 종 배치로 적재하는 테이블(22)과, 이 테이블(22) 위에 적재된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촉해서 화장재(9)의 이송 방향(Q)과 직교하는 방향을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부(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23)에는, 화장재(9)를 가열하는 면 히터 등의 가열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18)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재(10)가 도포되어 이송 방향(Q)으로 송출되는 화장재(9)의 이면(9a)을,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8)의 단부면(8a)에 가압해서 접착하는 회전 가능한 프레스 롤러(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스 롤러(26)는, 접착재(10)가 기재(8)의 단부면(8a)의 상부 테두리측 및 하부 테두리측으로부터 상하로 비어져나오도록 화장재(9)의 이면(9a)을 기재(8)의 단부면(8a)에 가압한다. 또한, 상기 접착재(10)의 비어져나옴량 h4는 약 0.3㎜로 되어 있다.
상기 엔드 커트부(4)는, 가압부(18)의 반송 방향(P)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엔드 커트부(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8)에 접착된 화장재(9)의 반송 방향(P)의 선단부측 및 후단부측의 잉여 부분을 삭제하는 회전 가능한 커터(2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트리밍부(5)는, 엔드 커트부(4)의 반송 방향(P)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1 참조). 이 트리밍부(5)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8)에 접착된 화장재(9)의 높이 방향의 상부 테두리측 및 하부 테두리측의 잉여 부분을 제거하는 회전 가능한 커터(29)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커터(29)는, 화장재(9)의 상부 테두리측 및 하부 테두리측과 함께, 접착재(10)의 기재(8)의 단부면(8a)의 상부 테두리측 및 하부 테두리측으로부터 상하로 비어져나온 부분을 제거한다(도 9 참조).
(2)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이어서, 상기 구성의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1)를 사용하는 피복 제품(W)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재(9)는 테이블(22) 위에서 가열부(24)(도 3 참조)에 의해 소정 온도(예를 들어, 20℃ 등)로 가열되는 한편, 기재(8)는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1)에의 투입 전 및 투입 후에 전혀 가열되지 않고, 비가열 상태의 기재(8)에 대하여 가열 상태의 화장재(9)를 접착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벨트 컨베이어(12)의 주회 구동에 의해 기재(8)가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됨과 함께, 가압 롤러(21)의 회전 구동에 의해 화장재(9)가 이송 방향(Q)으로 송출된다(도 3 참조). 그리고 도포 노즐(20)에 의해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가 도포된다(도 4 참조). 이어서, 프레스 롤러(26)에 의해 접착재(10)가 도포된 화장재(9)의 이면(9a)이 기재(8)의 단부면(8a)에 가압되어서 양자(8, 9)가 접착된다(도 5 참조).
그리고 접착된 기재(8) 및 화장재(9)가 엔드 커트부(4)로 반송되면, 커터(28)에 의해 화장재(9)의 반송 방향(P)의 선단부측 및 후단부측의 잉여 부분이 제거된다(도 7 참조). 이어서, 엔드 커트된 기재(8) 및 화장재(9)가 트리밍부(5)로 반송되면, 커터(29)에 의해 화장재(9)의 상부 테두리측 및 하부 테두리측의 잉여 부분이 제거된다(도 8 참조). 이때, 화장재(9)의 상부 테두리측 및 하부 테두리측과 함께, 접착재(10)의 기재(8)의 단부면(8a)의 상부 테두리측 및 하부 테두리측으로부터 상하로 비어져나온 부분이 제거된다(도 9 참조). 그 결과, 피복 제품(W)을 얻을 수 있게 된다.
(3) 실시예의 효과
이상에서, 본 실시예의 화장재의 접착 장치(3) 및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1)에 의하면,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8)의 단부면(8a)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는 도포부(17)와, 도포부(17)에 의해 접착재(10)가 도포된 화장재(9)의 이면(9a)을 기재(8)의 단부면(8a)에 가압하는 가압부(18)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가 도포되어서 기재(8) 및 화장재(9)가 접착된다. 그 결과, 기재(8)를 엄밀하게 온도 관리할 필요가 없어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17)와 가압부(18)의 간격이 비교적 작아져, 접착재(10)의 도포로부터 기재(8) 및 화장재(9)의 접착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그 결과, 기재(8) 및 화장재(9)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4)(도 3 참조)에서 기재(8)를 가열할 필요가 없어, 가이드부(14)로서 효과적인 가이드 기능을 발휘하는 비교적 긴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종래와 같이 가이드부에서 기재를 가열하는 것에서는, 가열에 의해 가이드부가 변형되기 쉬워 긴 가이드부를 채용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포부(17)는 기재(8)의 단부면(8a)의 높이 h1보다 큰 도포 폭 h3으로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므로, 비교적 얇은 두께(예를 들어, 두께 0.5㎜ 이하)의 화장재(9)를 채용해도 기재(8) 및 화장재(9)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기재(8)의 표면측에의 접착재(10)의 천이가 억제되어, 후속 공정에 있어서 접착재(10)의 잉여 부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종래와 같이 기재의 단부면에 접착재를 도포해서 기재 및 화장재를 접착하는 것에서는, 기재의 표면측에 접착재가 옮겨지기 쉬워, 후속 공정에 있어서의 접착재의 잉여 부분의 제거 작업이 번잡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포부(17)는 접착재(10)를 도포하는 슬릿 형상의 도포구(20a)를 갖는 도포 노즐(20)과, 화장재(9)를 사이에 두고 도포 노즐(20)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또한 도포 노즐(20)을 향해서 화장재(9)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21)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도포부(17)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17)와 가압부(18)의 간격이 보다 짧아져, 기재(8) 및 화장재(9)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재의 접착 방법 및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8)의 단부면(8a)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는 도포 공정과, 접착재(10)가 도포된 화장재(9)의 이면(9a)을 기재(8)의 단부면(8a)에 가압하는 가압 공정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가 도포되어서 기재(8) 및 화장재(9)가 접착된다. 그 결과, 기재(8)를 엄밀하게 온도 관리할 필요가 없어 가공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포부(17)와 가압부(18)의 간격이 비교적 작아져, 접착재(10)의 도포로부터 기재(8) 및 화장재(9)의 접착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그 결과, 기재(8) 및 화장재(9)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4)(도 3 참조)에서 기재(8)를 가열할 필요가 없어, 가이드부(14)로서 효과적인 가이드 기능을 발휘하는 비교적 긴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종래와 같이 가이드부에서 기재를 가열하는 것에서는, 가열에 의해 가이드부가 변형되기 쉬워 긴 가이드부를 채용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포 공정은 기재(8)의 단부면(8a)의 높이 h1보다 큰 도포 폭 h3으로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므로, 비교적 얇은 두께(예를 들어, 두께 0.5㎜ 이하)의 화장재(9)를 채용해도 기재(8) 및 화장재(9)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기재(8)의 표면측으로의 접착재(10)의 천이가 억제되어, 후속 공정에 있어서 접착재(10)의 잉여 부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종래와 같이 기재의 단부면에 접착재를 도포해서 기재 및 화장재를 접착하는 것에서는, 기재의 표면측으로 접착재가 옮겨지기 쉬워, 후속 공정에 있어서의 접착재의 잉여 부분의 제거 작업이 번잡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포 공정은 접착재(10)를 도포하는 슬릿 형상의 도포구(20a)를 갖는 도포 노즐(20)과, 화장재(9)를 사이에 두고 도포 노즐(20)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또한 도포 노즐(20)을 향해서 화장재(9)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21)를 구비하는 도포부(17)를 사용해서 접착재(10)를 도포한다. 이에 의해, 도포부(17)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17)와 가압부(18)의 간격이 보다 짧아져, 기재(8) 및 화장재(9)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목적, 용도에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한 실시예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는 도포 노즐(20)을 구비하는 도포부(17)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는 도포 롤러(33)를 구비하는 도포부(17')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통상 도포 롤러(33)는 접착재(10)를 수용한 수용실(34) 내를 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장재(9)를 기재(8)의 단부면(8a)에 가압하는 회전 가능한 프레스 롤러(26)를 구비하는 가압부(18)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레스 롤러(26)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화장재(9)를 기재(8)의 단부면(8a)에 가압하는 고정 가이드를 구비하는 가압부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재(8)를 반송 방향(P)으로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12)를 구비하는 반송부(2)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롤러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등의 다른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반송부로 하거나, 기재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로봇 핸드를 구비하는 반송부로 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포 노즐(20)[또는 도포 롤러(33)] 및 가압 롤러(21)에 의해 화장재(9)를 이송 방향(Q)으로 송출하는 송출부를 구성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부(17)와는 별도로 화장재(9)를 끼움 지지해서 이송 방향(Q)으로 송출하는 회전 가능한 송출 롤러(36)를 구비하는 송출부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재(8)의 단부면(8a)의 높이 h1보다 큰 도포 폭 h3(도포 높이 h3)으로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기재(8)의 단부면(8a)의 높이 h1보다 작은 도포 폭으로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열 상태의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여름철 등에서 비가열 상태의 화장재(9)가 비교적 고온(예를 들어, 약 20℃ 등)일 경우에는, 화장재(9)를 강제적으로 가열하지 않고 화장재(9)의 이면(9a)에 접착재(10)를 도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가열 상태의 기재(8)의 단부면(8a)에 화장재(9)를 접착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열 상태의 기재(8)의 단부면(8a)에 화장재(9)를 접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장재(9)를 엔드 커트부(4)에 의해 엔드 커트한 후에 트리밍부(5)에서 트리밍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장재(9)를 트리밍부(5)에서 트리밍한 후에 엔드 커트부(4)에 의해 엔드 커트하도록 해도 된다.
<제2 실시예>
(1)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의 구성
본 실시예에 관한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101)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하에 설명하는 반송부(102), 기재의 밀링 장치(170), 화장재의 접착 장치(103), 화장재의 엔드 커트 장치(104),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105) 및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106)(「라운드 트리밍 장치」라고도 칭해짐)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복 제품으로서, 파티클 보드제의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멜라민 수지제의 화장재(109)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W)(도 20 참조)을 예시한다. 이 기재(108)의 표리면(108b)에는, 투명 수지로 이루어지는 보호 필름(111)이 점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도 22 참조).
상기 반송부(102)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108)를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하는 것이다. 이 반송부(102)는, 반송 방향(P)을 따라 주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벨트 컨베이어(11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벨트 컨베이어(112)의 상방에는, 회전 가능한 복수의 롤러(113)가 반송 방향(P)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벨트 컨베이어(112)의 주회 구동에 의해, 벨트 컨베이어(112)와 롤러(113) 사이에 끼움 지지되는 기재(108)가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된다.
또한, 상기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101)의 기재(108)의 투입구측에는, 기재(108)의 단부면(108a)이 접촉해서 반송 방향(P)과 직교하는 방향을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부(114)가 설치되어 있다(도 17 참조).
상기 기재의 밀링 장치(17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재(109)가 접착되기 전의 기재(108)의 단부면(108a)을 절삭하는 것이다. 이 기재의 밀링 장치(170)는,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의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171)와, 가압 부재(171)에 의해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기재(108)의 단부면(108a)을 절삭하는 밀링 커터(17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밀링 커터(172)는, 구동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수직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가압 부재(171)는,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170)의 베이스측(도시 생략)에 설치된 L자 형상의 지지체(173)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압 부재(171)에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176)에 지지체(173)에 설치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핀(177)이 유극을 가지고 삽입 관통함으로써, 가압 부재(17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또한, 가압 부재(171)는 지지체(173)와 가압 부재(171) 사이가 설치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압박 수단(135)에 의해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그리고 가압 부재(171)는, 기재(108)의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할 때에는 상승 위치 A에 위치함[도 15의 (a) 참조]과 함께, 기재(108)의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지 않을 때에는 하강 위치 B에 위치한다[도 15의 (b) 참조].
상기 가압 부재(171)는, 그 단부(171a)가 기재(108)의 표면 테두리부터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한다(도 14 참조). 또한, 가압 부재(171)는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가압면(178)과, 가압면(178)으로부터 기재(108)의 소정의 반송 방향(P)의 상류측을 향해서 경사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79)을 구비하고 있다(도 13 참조). 그리고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가 경사면(179)에 접촉함으로써, 가압 부재(171)가 압박 수단(175)의 압박력에 저항해서 변위해서 가압면(178)이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로 안내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밀링 커터(172)로 절삭 가능한 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171)를 채용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밀링 커터(172)와 가압 부재(171)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경우에도, 밀링 커터(172)가 가압 부재(171)를 절삭하는 것으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화장재의 접착 장치(103)는, 기재의 밀링 장치(170)의 반송 방향(P)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 화장재의 접착 장치(103)는,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화장재(109)를 접착하는 것이다. 이 접착 장치(103)는,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의 단부면(108a)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핫 멜트계 접착재(110)를 도포하는 도포부(117)와, 이 도포부(117)에 의해 접착재(110)가 도포된 화장재(109)의 이면(109a)을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가압하는 가압부(11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도포부(117)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108)의 단부면(108a)의 높이 h1(예를 들어, 약 20㎜ 등)보다 큰 도포 폭 h3(예를 들어, 약 20.6㎜ 등)으로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를 도포하는 슬릿 형상의 도포구(120a)를 갖는 도포 노즐(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도포 노즐(120)은, 접착재(110)를 수용한 탱크(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포 노즐(120)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화장재(109)를 도포 노즐(120)을 향해서 가압하는 회전 가능한 가압 롤러(121)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압 롤러(121)의 회전 구동에 의해, 도포 노즐(120) 및 가압 롤러(121) 사이에 끼움 지지된 화장재(109)가 반송 방향(P)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이송 방향(Q)(도 17 참조)으로 송출된다.
또한,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화장재(109)의 높이 h2(예를 들어, 약 22㎜ 등)는 후술하는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에 의한 트리밍 전의 상태에 있어서 기재(108)의 높이 h1 및 접착재(110)의 도포 폭 h3보다 큰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화장재(109)의 두께는 약 0.3㎜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포 노즐(120)에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구(120a)의 슬릿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조정 부재(140)가 슬릿의 길이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117)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재(109)를 종 배치로 적재하는 테이블(122)과, 이 테이블(122) 위에 적재된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촉해서 화장재(109)의 이송 방향(Q)과 직교하는 방향을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부(1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123)에는, 화장재(109)를 가열하는 면 히터 등의 가열부(1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118)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재(110)가 도포되어 이송 방향(Q)으로 송출되는 화장재(109)의 이면(109a)을,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가압해서 접착하는 회전 가능한 프레스 롤러(126)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스 롤러(126)는, 접착재(110)가 기재(108)의 단부면(108a)의 상부 테두리측 및 하부 테두리측으로부터 상하로 비어져나오도록 화장재(109)의 이면(109a)을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가압한다. 또한, 상기 접착재(110)의 비어져나옴량 h4는 약 0.3㎜로 되어 있다.
상기 화장재의 엔드 커트 장치(104)는, 화장재의 접착 장치(103)의 반송 방향(P)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 화장재의 엔드 커트 장치(104)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108)에 접착된 화장재(109)의 반송 방향(P)의 선단부측 및 후단부측의 잉여 단부를 제거하는 횡축 주위로 회전 가능한 회전 커터(12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화장재의 엔드 커트 장치(104)에서는,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 모두가 제거되지 않고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106)로 제거되는 잉여 단부(S2)(도 30 참조)가 남아 있다.
상기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105)는, 화장재의 엔드 커트 장치(104)의 반송 방향(P)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105)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108)에 접착된 화장재(109)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부 테두리측 및 하부 테두리측의 잉여 단부(S1)를 제거하는 것이다.
상기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105)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의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안내하는 상하측의 금속제의 안내 롤러(131)와, 안내 롤러(131)에 의해 기재(108)의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가 안내된 상태에서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접착된 화장재(109)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잉여 단부(S1)를 제거하는 상하측의 트리밍 커터(129)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각 트리밍 커터(129)는, 구동 모터(138)에 의해 수평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안내 롤러(131)는, 트리밍 커터(129)를 지지하는 지지체(132)에 대하여 수평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이 안내 롤러(131)는, 원판부(131a)와, 이 원판부(131a)의 외주연으로부터 회전축 방향으로 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기재(108)의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안내하는 플랜지부(131b)를 갖고, 전체적으로 바닥이 있는 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트리밍 커터(129)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플랜지부(131b)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1)를 제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트리밍 커터(129)는, 그 일부가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의 안내 롤러(131)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1)를 제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리밍 커터(129)는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1)와 함께, 접착재(110)의 기재(108)의 단부면(108a)의 상부 테두리측 및 하부 테두리측으로부터 상하로 비어져나온 부분을 제거한다(도 25 참조). 또한, 트리밍 커터(129)의 선단부 날은, 후술하는 회전 커터(148)와 대략 마찬가지로 하여, 화장재(109)의 화장면(109b)의 외측[즉, 화장재(109)의 기재(108)와 반대측]을 향해서 절삭 칩(S')을 송출하는 역 리드로 되어 있다(도 32 참조).
상기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106)는,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105)의 반송 방향(P)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11 참조). 이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106)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접착된 화장재(109)의 반송 방향(P)의 선단부측 및 후단부측의 잉여 단부(S2)(도 30 참조)를 제거해서 모따기하는 것이다.
상기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106)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따라 이동하는 트리밍 헤드(14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트리밍 헤드(141)는, 슬라이더(143)에 대하여 수평축(143a)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143)는, 베이스(144)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트리밍 헤드(141)는, 도 28 및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147), 회전 커터(148), 설치 부재(149) 및 베어링(1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구동 모터(147)는, 트리밍 헤드(141)의 본체(141a)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커터(148)의 중심 구멍에는, 키 홈을 통해서 구동 모터(147)의 구동축(147a)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 커터(148)는, 트리밍 헤드(141)가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따라 이동할 때에 구동 모터(147)의 구동에 의해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제거한다. 또한, 설치 부재(149)는 그 일단부 외주측이 회전 커터(148)의 중심 구멍에 삽입 장착되고, 그 타단부측이 회전 커터(148)의 축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150)은, 설치 부재(149)의 축방향의 일단부 외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베어링(150)은 내륜(151)과, 외륜(152)(「안내부」로서 예시함)과, 내륜(151) 및 외륜(152) 사이에 구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다수의 볼(153)을 구비하고 있다. 이 내륜(151)은, 설치 부재(149)의 선단부 플랜지(149a)와 회전 커터(148)의 선단부측에 배치된 환형 스페이서(154)와의 사이에 끼움 지지되고 있다. 또한, 외륜(152)은 설치 부재(149)에 대하여 회전 커터(148)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그리고 외륜(152)은, 트리밍 헤드(141)가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따라 이동할 때에 기재(108)의 외주면 위를 구름 이동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베어링으로서 볼 베어링(150)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롤러 베어링을 채용해도 된다.
상기 트리밍 헤드(141)의 본체(141a)에는, 평판 형상의 브래킷(156)이 설치되어 있다. 이 브래킷(156)의 선단부 양측에는, 그 하단부가 베어링(150)의 외륜(152)의 외주면에 압접하는 복수(도면 중 2개)의 평판 형상의 압접편(157)의 상단부측이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압접편(157)은 긴 구멍(158)을 통해서 브래킷(156)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압접편(157)은, 볼트 고정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베어링(150)의 외륜(152)의 외주면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회전 커터(148)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복수(도면 중 4개)의 돌기부(161a)를 갖는 본체(61)와, 이들 각 돌기부(161a)의 선단부측에 설치되는 초강제 또는 다이아몬드제의 선단부 날(162)(「팁」이라고도 칭해짐)을 구비하고 있다. 이 선단부 날(162)은,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재(109)의 화장면(109b)의 외측[즉, 화장재(109)의 기재(108)와 반대측]을 향해서 절삭 칩(S')을 송출하는 역 리드로 되어 있다. 즉, 선단부 날(162)은, 그 선단부면의 화장재(109)의 화장면(109b)측이 절삭 방향 R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도록 화장재(109)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예각 θ1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2)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이어서, 상기 구성의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101)를 사용하는 피복 제품(W)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재(109)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122) 위에서 가열부(124)에 의해 소정 온도(예를 들어, 20℃ 등)로 가열되는 한편, 기재(108)는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101)에의 투입 전 및 투입 후에 전혀 가열되지 않고, 비가열 상태의 기재(108)에 대하여 가열 상태의 화장재(109)를 접착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벨트 컨베이어(112)의 주회 구동에 의해 기재(108)가 기재의 밀링 장치(170)까지 반송되면, 도 1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재(108)의 선단부측이 하강 위치 B에 위치하는 가압 부재(171)의 경사면(179)에 접촉한다. 이때, 가압 부재(171)는 압박 수단(175)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상승 위치 A를 향해서 변위된다. 그 후, 도 13의 (a) 및 도 1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부재(171)가 상승 위치 A에 위치하면, 가압면(178)에 의해 기재(108)의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가 가압되고, 그 상태에 있어서 밀링 커터(172)에 의해 기재(108)의 단부면(108a)이 절삭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재(108)는 벨트 컨베이어(112)와 롤러(113) 사이에 끼움 지지됨과 함께, 가압 부재(171)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그 단부면(108a)이 밀링 커터(172)로 절삭된다.
이어서,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 및 이송 방향(Q)으로 송출되는 화장재(109)가 화장재의 접착 장치(103)까지 반송되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 노즐(120)에 의해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가 도포된다. 계속해서, 프레스 롤러(126)에 의해 접착재(110)가 도포된 화장재(109)의 이면(109a)이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가압되어서 양자(108, 109)가 접착된다.
그 후, 기재(108) 및 화장재(109)가 화장재의 엔드 커트 장치(104)까지 반송되면, 회전 커터(128)에 의해 화장재(109)의 반송 방향(P)의 선단부측 및 후단부측의 잉여 단부가 제거된다(도 21 참조).
이어서, 기재(108) 및 화장재(109)가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105)까지 반송되면,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 롤러(131)에 의해 기재(108)의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가 안내된 상태에서, 트리밍 커터(129)에 의해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1)가 제거된다. 이때,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1)와 함께, 화장재(109)의 이면(109a) 측으로 비어져나온 접착재(110)가 제거된다(도 25 참조).
계속해서, 기재(108) 및 화장재(109)가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106)로 반송되면, 트리밍 헤드(141)가 화장재(109)의 반송 방향(P)의 선단부측의 잉여 단부(S2)를 따라 이동하고 나서 화장재(109)의 반송 방향(P)의 후단부측의 잉여 단부(S2)를 따라 이동한다(도 30 참조). 이 트리밍 헤드(141)의 이동 중에는, 베어링(150)의 외륜(152)이 기재(108)의 외주면 위를 구름 이동하면서 회전 커터(148)가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제거한다. 이때,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와 함께 화장재(109)의 이면(109a) 측으로 비어져나온 접착재(110)가 제거된다. 그 결과, 기판(108)의 외경 형상에 따라서 화장재(109)가 모따기되어서 피복 제품(W)(도 26 참조)을 얻을 수 있게 된다.
(3) 실시예의 효과
이상에서, 본 실시예의 기재의 밀링 장치(170)에 의하면,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의 표면(108b)에 접착된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171)와, 가압 부재(171)에 의해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기재(108)의 단부면(108a)을 절삭하는 회전 가능한 밀링 커터(172)를 구비한다. 그리고 가압 부재(171)에 의해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밀링 커터(172)에 의해 기재(108)의 단부면(108a)이 절삭된다. 이에 의해, 보호 필름(111)의 부상을 억제해서 기재(108)의 단부면(108a)을 절삭할 수 있다. 그 결과, 보호 필름(111)과 기재(108)의 표면(108b)과의 간극으로의 절삭 칩 등의 이물의 인입이 억제됨과 함께, 후속 공정인 기재(108) 및 화장재(109)의 접착 공정에 있어서 기재(108)의 표면측으로의 접착재(110)의 천이가 억제된다. 따라서, 피복 제품(W)의 미관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부재(171)는 지지체(173)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지지체(173)에 설치된 압박 수단(175)에 의해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에 의해, 간이한 구조에 의해 가압 부재(171)로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보다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가압 부재(171)는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가압면(178)과, 가압면(178)으로부터 기재(108)의 소정의 반송 방향(P)의 상류측을 향해서 경사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179)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가 경사면(179)에 접촉함으로써, 가압 부재(171)가 압박 수단(175)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변위해서 가압면(178)이 보호 필름(111)의 표면 테두리부로 안내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재의 접착 장치(103)에 의하면,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의 단부면(108a)을 향해서 송출되는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를 도포하는 도포부(117)와, 도포부(117)에 의해 접착재가 도포된 화장재(109)의 이면(109a)을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가압하는 가압부(118)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도포부(117)와 가압부(118)의 간격이 비교적 작아져, 접착재의 도포로부터 기재(108) 및 화장재(109)의 접착까지의 시간이 짧아진다. 그 결과, 기재(108)를 엄밀하게 온도 관리하는 일 없이 가공 비용을 억제해서 기재(108) 및 화장재(109)를 접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114)(도 17 참조)에서 기재(108)를 가열할 필요가 없어, 가이드부(114)로서 효과적인 가이드 기능을 발휘하는 비교적 긴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종래와 같이 가이드부에서 기재를 가열하는 것에서는, 가열에 의해 가이드부가 변형되기 쉬워 긴 가이드부를 채용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포부(117)는 기재(108)의 단부면(108a)의 높이 h1보다 큰 도포 폭 h3으로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를 도포하므로, 비교적 얇은 두께(예를 들어, 두께 0.5㎜ 이하)의 화장재(109)를 채용해도 기재(108) 및 화장재(109)를 확실하게 접착할 수 있다. 또한, 기재(108)의 표면측에의 접착재(110)의 천이가 억제되어, 후속 공정에 있어서 접착재(110)의 잉여 부위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에 반해, 종래와 같이 기재의 단부면에 접착재를 도포해서 기재 및 화장재를 접착하는 것에서는, 기재의 표면측에 접착재가 옮겨가기 쉬워, 후속 공정에 있어서의 접착재의 잉여 단부의 제거 작업이 번잡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포부(117)는 접착재(110)를 도포하는 슬릿 형상의 도포구(120a)를 갖는 도포 노즐(120)과, 화장재(109)를 사이에 두고 도포 노즐(120)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또한 도포 노즐(120)을 향해서 화장재(109)를 가압하는 가압 롤러(121)를 구비한다. 이에 의해, 도포부(117)를 소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도포부(117)와 가압부(118)의 간격이 보다 짧아져, 기재(108) 및 화장재(109)의 접착성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105)에 의하면, 소정의 반송 방향(P)으로 반송되는 기재(108)의 표면 테두리부를 안내하는 안내 롤러(131)와, 안내 롤러(131)에 의해 기재(108)의 표면 테두리부가 안내된 상태에서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접착된 화장재(109)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잉여 단부(S1)를 제거하는 회전 가능한 트리밍 커터(129)를 구비한다. 또한, 안내 롤러(131)는 원판부(131a)와, 원판부(131a)의 외주측으로부터 통 형상으로 연장되어 기재(108)의 표면 테두리부를 안내하는 플랜지부(131b)를 갖고, 트리밍 커터(129)는, 그 일부가 플랜지부(131b)의 내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화장재(109)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잉여 단부(S1)를 제거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안내 롤러(131)에 의해 기재(108)의 표면 테두리부[즉, 기재(108)의 표면 테두리의 가장자리부]가 안내된 상태에서 트리밍 커터(129)에 의해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1)가 제거된다. 그로 인해, 트리밍 커터(129)의 장기 사용에 의해 기재(108)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져도 기재(108)가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화장재(109)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잉여 단부(S1)를 고정밀도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재(108)의 표면에는 보호 필름(111)이 점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호 필름(111)의 부상이 억제되어서 화장재(109)의 길이 방향을 따른 잉여 단부(S1)를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복 제품(W)의 미관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106)에 의하면,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따라 이동하는 트리밍 헤드(141)를 구비하고, 트리밍 헤드(141)는 구동 모터(147)와, 구동 모터(147)의 구동축(147a)에 연결되어서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제거하는 회전 커터(148)와, 회전 커터(148)의 축심측에 설치되는 설치 부재(149)와, 설치 부재(149)에 회전 커터(148)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서 기재(108) 위를 구름 이동하는 베어링(150)의 외륜(152)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트리밍 헤드(141)가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따라 이동할 때에, 베어링(150)의 외륜(152)이 기재(108) 위를 구름 이동하면서 회전 커터(148)가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제거해서 화장재(109)가 모따기된다. 그리고 베어링(150)의 외륜(152)은, 회전 커터(148)에 설치된 설치 부재(149)에 회전 커터(148)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으므로, 베어링(150)의 외륜(152)과 회전 커터(148)의 축심이 정확하게 위치 결정된다. 그 결과, 기재(108)에 대한 베어링(150)의 외륜(152)의 모방 편차를 억제해서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정확하게 제거해서 모따기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의하면,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가 역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라도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정확하게 제거해서 모따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트리밍 헤드(141)는 베어링(150)의 외륜(152)의 외주면에 압접하는 압접편(157)을 구비한다. 이 압접편(157)이 베어링(150)의 외륜(152)의 외주면에 압접함으로써, 베어링(150)의 외륜(152)의 회전 커터(148)와 함께 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베어링(150)의 외륜(152)의 외주면에의 절삭 칩 등의 이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재의 제2 트리밍 장치(106)의 회전 커터(148)는, 화장재(109)의 화장면(109b)의 외측을 향해서 절삭 칩을 송출하는 역 리드의 선단부 날(162)을 구비한다. 이에 의해, 회전 커터(148)가 화장재(109)의 잉여 단부(S2)를 제거할 때에, 화장재(109)의 이면(109a) 측으로 비어져나온 접착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과 함께, 버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화장재의 제1 트리밍 장치(105)의 트리밍 커터(129)의 선단부 날도 역 리드로 되어 있으므로, 회전 커터(148)와 대략 마찬가지의 작용·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목적, 용도에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한 실시예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압 부재(171)를 압박하는 압박 수단(175)으로서 스프링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고무, 스펀지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압박 수단을 채용하거나, 실린더 등의 유체 기구로 이루어지는 압박 수단을 채용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밀링 커터(172)로 절삭 가능한 수지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가압 부재(171)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밀링 커터(172)로 절삭 불가능한 금속제나 세라믹스제의 가압 부재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평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안내 롤러(131)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수평축으로 경사지는 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안내 롤러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상기 플랜지부(131b)는, 통상 원판부(131a)의 외주측으로부터 테이퍼 통 형상으로 연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안내 롤러(131)의 원판부(131a)에 구멍을 형성해서 스포크 형상 등의 원판부로 해도 된다. 또한, 안내 롤러(131)로서, 수지 등의 금속 이외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채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판(108) 위를 구름 이동하는 안내부로서 베어링(150)의 외륜(152)을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 부재(149)에 회전 커터(148)의 축심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 롤러를 안내부로서 채용해도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150)의 외륜(152)에 장착되는 환형 어댑터(164a, 164b, 164c)를 안내부로서 채용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외경 d1, d2, d3의 상이한 복수의 환형 어댑터(164a, 164b, 164c)를 준비해 두면, 회전 커터(148)의 선단부 날(162)의 열화 상황 등에 따라서 적당한 환형 어댑터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장재(109)의 화장면(109b)의 외측을 향해서 절삭 칩을 송출하는 역 리드의 선단부 날(162)을 구비하는 회전 커터(148)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재(109)의 화장면(109b)의 내측[즉, 기재(108)측]을 향해서 절삭 칩(S')을 송출하는 정 리드의 선단부 날(162')을 구비하는 회전 커터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선단부 날(162')은, 통상 그 선단부면의 화장재(109)의 이면(109a) 측이 절삭 방향 R과 반대 방향으로 기울도록 화장재(109)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예각 θ2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를 도포하는 도포 노즐(120)을 구비하는 도포부(117)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를 도포하는 도포 롤러(133)를 구비하는 도포부(117')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통상 도포 롤러(133)는, 접착재(110)를 수용한 수용실(134) 내를 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장재(109)를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가압하는 회전 가능한 프레스 롤러(126)를 구비하는 가압부(118)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프레스 롤러(126)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해서, 화장재(109)를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가압하는 고정 가이드를 구비하는 가압부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재(108)를 반송 방향(P)으로 반송하는 벨트 컨베이어(112)를 구비하는 반송부(102)를 예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롤러 컨베이어, 체인 컨베이어 등의 다른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반송부로 하거나, 기재를 반송 방향으로 반송하는 로봇 핸드를 구비하는 반송부로 하거나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포 노즐(120)[또는 도포 롤러(133)] 및 가압 롤러(121)에 의해 화장재(109)를 이송 방향(Q)으로 송출하는 송출부를 구성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부(117)와는 별도로 화장재(109)를 끼움 지지해서 이송 방향(Q)으로 송출하는 회전 가능한 송출 롤러(136)를 구비하는 송출부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기재(108)의 단부면(108a)의 높이 h1보다 큰 도포 폭 h3(도포 높이 h3)으로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를 도포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기재(108)의 단부면(108a)의 높이 h1보다 작은 도포 폭으로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를 도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가열 상태의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를 도포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여름철 등에서 비가열 상태의 화장재(109)가 비교적 고온(예를 들어, 약 20℃ 등)일 경우에는, 화장재(109)를 강제적으로 가열하지 않고 화장재(109)의 이면(109a)에 접착재(110)를 도포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가열 상태의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화장재(109)를 접착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열 상태의 기재(108)의 단부면(108a)에 화장재(109)를 접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화장재(109)를 엔드 커트 장치(104)에 의해 엔드 커트한 후에 제1 트리밍 장치(105)로 트리밍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화장재(109)를 제1 트리밍 장치(105)로 트리밍한 후에 엔드 커트 장치(104)에 의해 엔드 커트하도록 해도 된다.
전술한 예는 간단히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밖에 없고,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전형적인 실시 형태의 예를 들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기술 및 도시에 있어서 사용된 문언은, 한정적인 문언이 아닌 설명적 및 예시적인 것이라고 이해된다. 여기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그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서 변경이 가능하다. 여기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특정한 구조, 재료 및 실시예를 참조했지만, 본 발명을 여기에 있어서의 개시 사항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이 아닌, 오히려, 본 발명은 첨부의 특허 청구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기능적으로 동등한 구조, 방법, 사용 전반에 미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기재의 단부면에 화장재를 접착하는 기술로서 널리 이용된다. 특히, 가구의 표면재, 바닥재, 벽재, 도어재, 칸막이재, 카운터재 등의 건축재용의 피복 제품을 제조하는 기술로서 적절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은 화장재가 접착되기 전의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기술로서 널리 이용된다. 특히, 가구의 표면재, 바닥재, 벽재, 도어재, 칸막이재, 카운터재 등의 건축재용의 피복 제품을 제조하는 기술로서 적절하게 이용된다.
1;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2; 반송부, 3, 3'; 화장재의 접착 장치, 8; 기재, 9; 화장재, 10; 접착재, 17, 17'; 도포부, 18; 가압부, W; 피복 제품, P; 반송 방향, h1; 기재의 높이, h3; 도포 폭, 101;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103, 103'; 화장재의 접착 장치, 108; 기재, 108a; 단부면, 108b; 표면, 109; 화장재, 111; 보호 필름, 170; 기재의 밀링 장치, 171; 가압 부재, 172; 밀링 커터, 173; 지지체, 175; 압박 수단, 178; 가압면, 179; 경사면, P; 소정의 반송 방향, S1; 잉여 단부, W; 피복 제품

Claims (7)

  1. 화장재가 접착되는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기재의 밀링 장치이며,
    소정의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상기 기재의 표면에 점착된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가압 부재와,
    상기 가압 부재에 의해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회전 가능한 밀링 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밀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지지체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지지체에 설치된 압박 수단에 의해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기재의 밀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부재는, 상기 보호 필름의 표면 테두리부를 가압하는 가압면과, 상기 가압면으로부터 상기 기재의 소정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을 향해 경사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기재의 밀링 장치.
  4. 기재의 단부면에 화장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이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재의 밀링 장치와,
    상기 기재의 밀링 장치에 의해 절삭된 상기 기재의 단부면에 상기 화장재를 접착하는 화장재의 접착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5. 기재의 단부면에 화장재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이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기재의 밀링 장치를 사용해서 상기 기재의 단부면을 절삭하는 기재의 밀링 공정과,
    그 절삭된 상기 기재의 단부면에 상기 화장재를 접착하는 화장재의 접착 공정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57033569A 2013-05-02 2014-04-30 기재의 밀링 장치,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및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KR1022182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97104A JP5889829B2 (ja) 2013-05-02 2013-05-02 化粧材の接着装置、被覆製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JP-P-2013-097104 2013-05-02
JPJP-P-2013-097105 2013-05-02
JP2013097105A JP5889830B2 (ja) 2013-05-02 2013-05-02 化粧材の接着方法及び被覆製品の製造方法
JPJP-P-2013-184433 2013-09-05
JP2013184433A JP5906223B2 (ja) 2013-09-05 2013-09-05 基材のミーリング装置、被覆製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PCT/JP2014/062022 WO2014178414A1 (ja) 2013-05-02 2014-04-30 化粧材の接着装置及び被覆製品の製造装置、並びに化粧材の接着方法及び被覆製品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94A KR20160003094A (ko) 2016-01-08
KR102218205B1 true KR102218205B1 (ko) 2021-02-22

Family

ID=51843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3569A KR102218205B1 (ko) 2013-05-02 2014-04-30 기재의 밀링 장치,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및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14618A1 (ko)
EP (1) EP2993005A4 (ko)
KR (1) KR102218205B1 (ko)
PH (1) PH12015502472A1 (ko)
TW (1) TWI644772B (ko)
WO (1) WO20141784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40119B (zh) * 2020-11-27 2022-01-28 太原理工大学 一种用于镁铝金属复合板快速封边的手动装置及封边方法
CN112895026A (zh) * 2021-01-19 2021-06-04 陈东美 一种装配式家具制造成型工艺
CN117984376A (zh) 2022-11-01 2024-05-07 仕兴机械工业股份有限公司 封边机的边条裁切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2640A (ja) * 2010-01-26 2011-08-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木質化粧ボードの端面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00574A (ja) * 1985-10-24 1987-05-11 Shunichi Seiki 接着方法
JPH0890504A (ja) 1994-09-21 1996-04-09 Marunaka Kakoki Kk 縁材自動貼着装置
JPH08155914A (ja) * 1994-11-28 1996-06-18 Chiyaaji Giken:Kk 木口面に化粧紙が貼着された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TW259743B (en) * 1995-03-18 1995-10-11 Der-Fang Yu Process of producing composite fire-resistant clay plates
JP4156048B2 (ja) * 1996-09-13 2008-09-24 大建工業株式会社 化粧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2683343Y (zh) * 2004-01-12 2005-03-09 廖攀文 一种平面涂胶机
KR20050077448A (ko) * 2004-01-28 2005-08-02 장봉관 목재패널의 에지가공장치
JP2009235826A (ja) * 2008-03-28 2009-10-15 Toppan Cosmo Inc 床用化粧材
IT1396969B1 (it) * 2009-12-18 2012-12-20 Scm Group Spa Metodo di incollaggio
CN201619173U (zh) * 2010-01-26 2010-11-03 郑弦波 一种再生复合实木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2640A (ja) * 2010-01-26 2011-08-11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木質化粧ボードの端面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8054A (zh) 2015-05-16
PH12015502472A1 (en) 2016-02-22
EP2993005A4 (en) 2016-06-22
KR20160003094A (ko) 2016-01-08
EP2993005A1 (en) 2016-03-09
WO2014178414A1 (ja) 2014-11-06
TWI644772B (zh) 2018-12-21
US20160114618A1 (en)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205B1 (ko) 기재의 밀링 장치,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및 피복 제품의 제조 방법
KR102232020B1 (ko) 화장재의 트리밍 장치, 피복 제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CN104552549A (zh) 用于将边缘片材粘结到木质板材的设备
US20090145415A1 (en) Inlaid stone composite
CN101111378B (zh) 层压体、其制造装置和制造方法及其制造用的切削工具
JP5906223B2 (ja) 基材のミーリング装置、被覆製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CA2985878C (en) Veneer peeling apparatus
US3753832A (en) Edge banding machine
EP073345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schichtung einer Schmalseite eines Werkstückes mit Holz oder Holzwerkstoff aus dessen an die Schmalseite angrenzender Oberflächenschicht
JP5889850B2 (ja) 化粧材のトリミング装置、被覆製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13146868A (ja) 化粧材の製造方法
AT506045A1 (de) Schalplatte
JP5560057B2 (ja) 木質化粧ボードの端面加工方法
JP5889831B2 (ja) 化粧材のトリミング装置、被覆製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5889830B2 (ja) 化粧材の接着方法及び被覆製品の製造方法
JP5889829B2 (ja) 化粧材の接着装置、被覆製品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BE1013109A3 (fr) Faconnage de vitrages.
JP5162798B2 (ja) 化粧板の防水処理方法
CN215547683U (zh) 封边机
KR102109766B1 (ko) 패널의 엣지 접착 장치
JPH08281614A (ja) ポストフォーミング法
GB2455698A (en) Manufacturing panels
JP2004025577A (ja) 金属薄板貼り化粧板とその製造方法
IES20070929A2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panels
GB2294197A (en) Work surfaces with a drip gro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