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223B1 -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 - Google Patents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223B1
KR102217223B1 KR1020190068063A KR20190068063A KR102217223B1 KR 102217223 B1 KR102217223 B1 KR 102217223B1 KR 1020190068063 A KR1020190068063 A KR 1020190068063A KR 20190068063 A KR20190068063 A KR 20190068063A KR 102217223 B1 KR102217223 B1 KR 10221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shaft
connection
opening device
power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0672A (ko
Inventor
최민영
Original Assignee
최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영 filed Critical 최민영
Priority to KR1020190068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223B1/ko
Publication of KR20200140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0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9/00Healds; Heald frames
    • D03C9/06Heald frames
    • D03C9/0683Arrangements or means for the linking to the drive syste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5/00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 D03C5/02Cam or other direct-acting shedding mechanisms, i.e. operating heald frames without intervening power-supplying devices operated by rotating c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핏직기에 관한 것으로써, 구동축에 구성되는 회전체의 크기비율을 이용하여 개구장치의 구동력을 개선한 태핏직기에 관한 것으로써, 개구장치의 구동력을 개선하기 위해 다수개의 구동축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에 구성된 다수개의 회전체에 대한 외주크기의 비율을 조절하여 상기 비율에 따라 승강간을 안정적이며 원활하게 상, 하 방향으로 승, 하강시켜 개구장치에 대한 구동력을 개선한 태핏직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 Tappet loom improved driving force of opening device }
본 발명은 태핏직기에 관한 것으로써, 구동축에 구성되는 회전체의 크기비율을 이용하여 개구장치의 구동력을 개선한 태핏직기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종래의 종광개구 장치는 다수의 캠들로 구성하여 이들의 연관작동에 의해 종광틀이 교호로 개구되게 하였으므로, 종광틀의 유동이 심하고 캠 및 그 주변부품의 마모, 고장이 빈발하며, 개구조절이 어려움은물론 작업속도가 제한되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유발된다.
또한, 개구장치의 구동 시, 떨림현상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할수 있는 것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1991-0004870호와, 20-1992-0006433호에서는 승강간의 작동에 연동하는 연결간의 축봉상하부에 작동레버를 설치하여, 이들의 축봉을 중심으로하여 소정구간 왕복회동하며 각각의 종광틀을 교호로 개구비시키게 함으로써 기구적 구성을 최소화하고 개구조절이 용이하게 된 종광개구장치가 제시되어 있으며, 실제사용결과 매우 우수한 기능을 나타냄이 입증되었다.
또한, 종래에는 공개번호 10-2012-0026470호의 '벨벳직기의 종광 구동장치'가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해낸 것으로써, 개구장치의 구동력을 개선하기 위해 다수개의 구동축을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축에 구성된 다수개의 회전체에 대한 외주크기의 비율을 조절하여 상기 비율에 따라 승강간을 안정적이며 원활하게 상, 하 방향으로 승, 하강시켜 개구장치에 대한 구동력을 개선한 태핏직기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태핏직기의 프레임 상단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싱의 내부에 기어로 치합되는 한쌍의 구동축이 구성되고 상기 구동축에 각각의 작동레버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작동축이 되며 상기 구동축의 일 측에 연결간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간과 연결되는 승강간의 작동으로 종광틀에 고정된 연결로우프의 결속구를 당기거나 복귀시켜 종광을 개구시키는 태핏직기에 있어서, 태핏직기의 메인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되 제 1회전체가 구비된 제 1구동축이 구성되고, 상기 제 1구동축의 상부에 구성되되 제 1회전체와 동일선상에 구성되는 제 2회전체와 상기 제 2회전체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을 이루는 위치에 구성되는 동력전달회전체가 구비된 제 2구동축이 구성되며, 상기 제 2구동축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기 동력전달회전체와 동일선상에 구성되는 제 3회전체가 구비된 제 3구동축이 구성되고, 상기 제 3구동축의 측면에 연결 구성되어 회전하되 제 1연결홈이 형성된 회전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케이싱에 구성된 일측구동축은 상기 케이싱보다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일측구동축의 연장된 부분에 직교로 연결되어 회전하되 일 측에는 제 2연결홈이 형성된 연결간이 구성되며, 상기 제 1연결홈에 연결되는 제 1연결축과 상기 제 2연결홈에 연결되는 제 2연결축이 구비된 승강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를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에 따르면, 태핏직기를 구동하는 메인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다수개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각각 연결 구성되는 회전체의 외주크기에 대한 비율을 조절하여 개구장치의 구동을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승강간과 연결간의 구동력이 개선되어 결과적으로 개구장치에 대한 구동력이 개선되는 등 효과가 큰 발명이다.
도 1은 종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도 1의 종광 개구장치의 커버를 분리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승강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성 중 회전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승강간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승강간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0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본 출원이니 고안한 종광 개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종광개구장치(1)는 제1도 이하에서와 같이, 외면에 다수의 고정구(2a)를 구비하여 태핏직기(3)의 프레임(4) 상단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싱(2)의 내부에, 기어(5)(5')로 치합되어 서로 대향 회동하는 한쌍의 구동축(6)(6')을 설치하여 그 어느 일측구동축의 돌출단에 승강간(13)에 의해 피동하는 연결간(14)의 일단이 고정되도록 하고, 구동축(6)(6')에는 각각 등간격으로 다수의 작동레버(7)(7')가 서로 어긋나게 대칭적으로 형성된 작동축(8)(8')을 끼워 일정각도로 고정시킨후 작동레버(7)(7')의 걸림홈(9)(9')에 종광틀(10)과 연결된 연결로우프(11)(11')의 결속구(12)(12')가 걸리도록한 구조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26은 카바이고, 15는 안내풀리이며, 16은 스프링이다.
이와같은 구성 종광 개구장치(1)는 제3도에서와 같이 상승간(13)에 의해 연결간(14)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작동축(8)(8')에 구비된 작동레버(7)(7')들이 엇갈린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 우측작동축(8')의 작동레버(7')는 결속구(12')를 당기지 않은 상태(종광틀의 하강)가 되고, 좌측 작동축(8)의 작동레버(7)는 결속구(12)를 최대로 당긴상태(종광틀의 개구)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승강간(13)에 의해 연결간(14)이 하강하여 구동축(6')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기어(5)(5')로 치합된 타측의 구동축(6)은 반시계 방향으로 대향구동하게 되며, 이때에는, 우측 작동축(8')의 작동레버(7')가 하강된 종광틀(10)측으로 연결된 연결로우프(11')의 결속구(12')를 최대로 당기게되고, 좌측 작동축(8)의 작동레버(7)는 개구된 연결로우프(11)의 결속구(12)를 원위치(종광틀의 하강)로 복귀시키게 된다.
결국, 연결간(14)의 승강회동은 기어(5)(5')로 치합된 양구동축(6)(6')의 비교방향 구동을 유발하고, 이 구동축(6)(6')에 고정된 작동축(8)(8')의 각 작동레버(7)(7')도 비교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며 결속구(12)(12')를 당기게 되므로 연결로우프(11)(11')가 연결된 각종광틀(10)은 교호로 승강하며 개구시키게 된다.
이는 작동레버(7)(7')들이 프레임(4)의 상부에서 교호로 설치되어 설치공간이 최소화 되므로 프레임(4)하부에 설치되는 다른 기구적 장치의 작동을 간섭하지 않고도 종광틀(10)을 승강작동시키게 되어 태핏 직기(3)의 형태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할수 있는 호환성이 대폭 확대되고, 작동레버(7)(7')의 작동이 기어(5)(5')에 의해 동일 구간 대향적으로 되므로 작동이 원활함은 물론 고장발생 우려가 낮아 작동신뢰도를 향상시킬수 있으며 구조가 간편하여 제작하기가 좋은 등의 이점을 얻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개구장치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구동력을 위해 간단한 구조와 연결되는 회전체의 크기 비율만으로 개구장치 구동에 대한 미세한 구동력 저하를 개선하였다.
본 발명인 태핏직기는 태핏직기의 프레임 상단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케이싱(2)의 내부에 기어로 치합되는 한쌍의 구동축이 구성되고 상기 구동축에 각각의 작동레버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작동축이 되며 상기 구동축의 일 측에 연결간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간과 연결되는 승강간의 작동으로 종광틀에 고정된 연결로우프의 결속구를 당기거나 복귀시켜 종광을 개구시킨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이 비교적 간단한 구성만으로 개구장치의 구동력을 개선시켰다.
태핏직기(3)의 메인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되 제 1회전체(110)가 구비된 제 1구동축(100)이 구성된다.
상기 제 1구동축(100)은 태핏직기(3)의 메인 구동모터와 직통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메인 구동모터와 별도의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되어 구동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구동축(1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제 1회전체(110)와 동일선상에 구성되는 제 2회전체(210)와 상기 제 2회전체(210)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을 이루는 위치에 구성되는 동력전달회전체(220)가 구비된 제 2구동축(200)이 구성된다.
상기 제 2구동축(200)은 태핏직기(3)에 구성된 별도의 구동축에서 연장된 부분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태핏직기(3)의 일 측에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회전체(210)는 제 1회전체(110)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되 상호 기어의 톱니바퀴로 맞물려 회전하거나 또는 별도의 체인 또는 별도의 수지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구동하게 된다.
이때, 제 1회전체(110)가 1바퀴 회전하게 되면, 제 2회전체(210)는 2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제 1회전체(110)와 제 2회전체(210)의 외주크기를 상이하게 하였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회전체(220)는 제 2구동축(200)에 구성되되 상기 제 2회전체(210)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구성되며, 상기 제 2회전체(210)와 동력전달회전체(220)의 외주크기는 동일하게 형성하였다.
그로 인해, 제 1회전체(110)가 1바퀴 회전하게 되면, 제 2회전체(210)와 동력전달회전체(220)는 2바퀴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2구동축(200)의 상부에 구성되되 상기 동력전달회전체(220)와 동일선상에 구성되는 제 3회전체(310)가 구비된 제 3구동축(300)이 구성된다.
상기 제 3구동축(300)은 태핏직기(3)에 구성된 별도의 구동축에서 연장된 부분을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태핏직기(3)의 일 측에 별도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 3회전체(310)는 제 2회전체(210)와 동일선상에 위치되되 상호 기어의 톱니바퀴로 맞물려 회전하거나 또는 별도의 체인 또는 별도의 수지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구동하게 된다.
이때, 제 2회전체(210)가 2바퀴 회전하게 되면, 제 3회전체(310)는 1바퀴가 회전될 수 있도록 제 2회전체(210)와 제 3회전체(310)의 외주크기를 상이하게 하였다.
상기 제 1회전체(110), 제 2회전체(210), 동력전달회전체(220) 및 제 3회전체(310)의 외주크기에 대한 비율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회전체(110)와 제 2회전체(210)의 외주크기 비율은 2 : 1이고, 상기 제 2회전체(210)와 동력전달회전체(220)의 외주크기 비율은 1 : 1이며, 상기 동력전달회전체(220)와 제 3회전체(310)의 외주크기 비율은 1 : 2로 구성된다.
이로 인해, 제 1회전체(110)가 1바퀴 회전하면, 제 2회전체(210)와 동력전달회전체(220)는 2바퀴가 회전하고, 상기 동력전달회전체(220)와 연결된 제 3회전체(310)는 1바퀴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 1회전체(310)가 회전하는 1바퀴의 구동력을 제 3회전체(310)를 통해 개구장치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 3회전체(310)의 측면에 연결 구성되어 회전하되 제 1연결홈(410)이 형성된 회전부재(400)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400)는 상기 제 3회전체(310)의 회전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제 1연결홈(410)은 상기 회전부재(400)의 일 측에 형성되되 상기 제 3회전체(310)의 중심부분에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을 이루는 위치에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1연결홈(410)의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연결간(500)과 승강간(600)의 상, 하부 승, 하강하는 높낮이가 상이하게 된다.
상기 케이싱(2)에 구성된 일측구동축(6)은 상기 케이싱(2)보다 외부로 연장되고, 상기 일측구동축(6)의 연장된 부분에 직교로 연결되어 회전하되 일 측에는 제 2연결홈(510)이 형성된 연결간(500)이 구성된다.
상기 연결간(500)은 일측구동축(6)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상기 제 2연결홈(510)이 타원의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해 하기 승강간(600)의 제 2연결축(620)이 상기 제 2연결홈(510)에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연결홈(410)에 연결되는 제 1연결축(610)과 상기 제 2연결홈(510)에 연결되는 제 2연결축(620)이 구비된 승강간(60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간(600)에 구성된 제 1연결축(610)과 제 2연결축(620)은 상호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2연결축(610, 620)의 끝부는 원활한 회전력을 위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불어, 제 1연결홈(410)과 제 2연결홈(510)의 끝부도 상기 제 1, 2연결축(610, 620)과 같이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에 따르면, 태핏직기를 구동하는 메인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축과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다수개의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각각 연결 구성되는 회전체의 외주크기에 대한 비율을 조절하여 개구장치의 구동을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승강간과 연결간의 구동력이 개선되어 결과적으로 개구장치에 대한 구동력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1 : 종광개구장치 2 : 케이싱 3 : 태핏직기
4 : 프레임 5, 5' : 기어
6, 6' : 구동축 7, 7' : 작동레버 8, 8' : 작동축
10 : 종광틀 11. 11' : 연결로우프 12, 12' : 결속구
100 : 제 1구동축 110 : 제 1회전체
200 : 제 2구동축 210 : 제 2회전체 220 : 동력전달회전체
310 : 제 3구동축 310 : 제 3회전체
400 : 회전부재 410 : 제 1연결홈
500 : 연결간 520 : 제 2연결홈
600 : 승강간 610 : 제 1연결축 620 : 제 2연결축

Claims (4)

  1. 태핏직기(3)의 프레임(4) 상단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케이싱(2)의 내부에 기어(5, 5')로 치합되는 한쌍의 구동축(6, 6')과, 상기 구동축(6, 6')에 각각의 작동레버(7, 7')가 대칭적으로 형성된 작동축(8, 8')과, 상기 케이싱(2)보다 외부로 연장된 일측구동축(6)에 연결 구성되는 연결간(500)과, 상기 연결간(500)과 연결되는 승강간(600)과, 메인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제 1회전체(110)가 구비된 제 1구동축(100)과, 상기 제 1회전체(110)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2회전체(210)와 상기 제 2회전체(210)에서 이격된 부분에 동력전달회전체(220)가 구비된 제 2구동축(200) 및 상기 동력전달회전체(220)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 3회전체(310)가 구비된 제 3구동축(300)의 구성으로 종광틀(10)에 고정된 연결로우프(11, 11')의 결속구(12, 12')를 당기거나 복귀시켜 종광을 개구시키는 태핏직기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체(110)와 제 2회전체(210), 상기 동력전달회전체(220)와 제 3회전체(310)는 각각 동일선상에서 톱니바퀴로 맞물려 회전하고,
    상기 제 3회전체(310)의 측면에 연결 구성되며 제 3회전체(3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되 상기 제 3회전체(310)의 중심부분에서 일측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을 이루는 위치에 제 1연결홈(410)이 형성된 회전부재(400)가 구성되며,
    상기 연결간(500)은 일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연결간(500)이 형성된 길이방향과 동일하게 타원 형상의 제 2연결홈(510)이 형성되고,
    상기 제 1연결홈(410)에 연결되는 제 1연결축(610)과 상기 제 2연결홈(510)에 연결되는 제 2연결축(620)이 구비된 승강간(600)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간(600)에 구성된 제 1연결축(610)과 제 2연결축(620)은 상호 직교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회전체(110)와 제 2회전체(210)의 외주크기 비율은 2 : 1이고,
    상기 제 2회전체(210)와 동력전달회전체(220)의 외주크기 비율은 1 : 1이며,
    상기 동력전달회전체(220)와 제 3회전체(310)의 외주크기 비율은 1 : 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
  3. 삭제
  4. 삭제
KR1020190068063A 2019-06-07 2019-06-07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 KR102217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63A KR102217223B1 (ko) 2019-06-07 2019-06-07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063A KR102217223B1 (ko) 2019-06-07 2019-06-07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672A KR20200140672A (ko) 2020-12-16
KR102217223B1 true KR102217223B1 (ko) 2021-02-17

Family

ID=7404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063A KR102217223B1 (ko) 2019-06-07 2019-06-07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2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085B1 (ko) 2021-03-26 2022-01-19 주식회사 창성섬유 종광유닛의 개구방식 개선에 의한 직기 효율이 향상되는 다기능 태핏 직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923Y1 (ko) * 1990-10-30 1993-04-17 박창호 여과 필터의 체결구조
KR940005263U (ko) * 1993-04-02 1994-03-16 진수원 스크류 드라이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085B1 (ko) 2021-03-26 2022-01-19 주식회사 창성섬유 종광유닛의 개구방식 개선에 의한 직기 효율이 향상되는 다기능 태핏 직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0672A (ko) 2020-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223B1 (ko) 개구장치의 구동력이 개선된 태핏직기
CN103820958B (zh) 绣花机高速机头组件
TWI567258B (zh) Ribbon drive
TWI697609B (zh) 分割門構造
CN107000555A (zh) 滑动门组件
CN210902534U (zh) 一种电动窗帘驱动机构
TW201402931A (zh) 橫式百葉窗、橫式百葉窗的方向控制繩以及橫式百葉窗的製造方法
KR200439622Y1 (ko) 와이어 권취장치
CN202530996U (zh) 一种带百叶窗帘的铝合金门窗的叶片翻转装置
CN206052298U (zh) 针织横机的主罗拉装置
KR101036937B1 (ko) 블라인드의 승강 및 개폐조절이 가능한 멀티-블라인드 장치
CN211171102U (zh) 针织机械的起底板锁定装置
DE202005006404U1 (de) Flachmotor-Türantriebsmodul
CN211284786U (zh) 针织机械中牵拉机构的控制装置
CN207249344U (zh) 一种升降投影幕装置
CN208379079U (zh) 数控细纱机车头传动装置
CN208575862U (zh) 安装有悬臂的机械手
CN105751942B (zh) 自动卷帘杯托
JP2000118968A (ja) 昇降装置
CN2923762Y (zh) 横编织机卷取装置开合机构
KR20080005854U (ko) 차단봉 떨림 방지 기능을 개선한 차량 차단 게이트
CN108488339A (zh) 直线传动装置
CN215796537U (zh) 吊装滑轨滑移机构
CN102286822A (zh) 多位置任意开口的电子开口装置
KR200174200Y1 (ko) 낚시줄 인양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