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586Y1 -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586Y1
KR200457586Y1 KR2020110003633U KR20110003633U KR200457586Y1 KR 200457586 Y1 KR200457586 Y1 KR 200457586Y1 KR 2020110003633 U KR2020110003633 U KR 2020110003633U KR 20110003633 U KR20110003633 U KR 20110003633U KR 200457586 Y1 KR200457586 Y1 KR 200457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machine
rice cake
lever
disc cam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3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범식
Original Assignee
주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범식 filed Critical 주범식
Priority to KR2020110003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5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Abstract

본 고안은 떡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떡 반죽을 공급하도록 설치하는 떡반죽공급기와, 상기 떡반죽공급기의 선측 상방에는 고명을 공급하도록 설치하는 고명공급기와, 상기 고명공급기의 하방에 떡 반죽의 내부에 고명이 공급된 떡가래를 추출하는 추출기와, 상기 추출기의 하방에 설치되어 추출되는 떡가래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면서 소정형상으로 만드는 성형기와,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설치되어 성형기를 추출기 방향으로 상,하 왕복운동시키고 성형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성형기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떡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 구동장치는, 프레임에 설치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편심되게 고정하는 원판캠과, 상기 원판캠의 일측에 하단이 연결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로드의 상단은 성형기의 하판 후미와 연결하여 원판캠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전달받아 성형기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원판캠과 연결되는 커넥팅로드의 외측에는 작동레버를 각 운동시키기 위한 레버링크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레버링크의 타단은 작동레버의 후미에 고정되어 소정의 폭을 유지하여 하향 돌출되는 작동바 사이에 개재되는 연접롤을 고정하여 레버링크의 회전력을 작동바가 직선운동(수평운동)으로 전달받아 작동레버를 하판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MOLDER DRIVING DEVICE FOR RICE CAKE MANUFACTURING APPOINTMENT}
본 고안은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떡 제조기에 적용되어 고명(소)을 수용한 떡을 소정의 모양으로 만들면서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성형기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성형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개선된 구동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떡제조기는 종래에도 다수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떡 제조기로부터 공급되는 내부에 고명을 공급하여 추출되는 가래형상을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면서 동시에 소정의 모양으로 만드는 것이 성형기이며, 이러한 성형기는 일명 조리개라고도 불리워진다.
종래에도 이러한 조리개를 작동시키기 위한 장치가 실용신안제 287625 호로 떡성형기용 조리개판의 개폐장치라는 명칭으로 선행하여 등록된 바 있으며 이의 기술내용을 도 6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떡성형기를 구성하는 본체 내면에 고정판을 구성하되, 고정판 일측에는 구동모터(M)를 고정 설치하고, 고정판을 관통한 구동모터(M)의 축봉에는 구동기어(23)을 굴대 설치한다.
상기 고정판에 설치된 구동모터(M)의 전면 양측에는 고정축관(31)(41)을 각각 고정 설치하고, 상기 고정축관(31)(41)에는 축봉(32)(42)를 굴대 설치하고, 축봉(32) 상단부에는 작동홈(33)이 형성된 승강드럼(30)을 굴대 설치하고, 고정판(21)을 관통한 축봉(32)에는 피동기어(34)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축관(31)에 굴대 설치된 축봉(42) 상단에는 회전원판(40)을 설치하고, 상기 회전원판(40)의 편심된 위치에는 편심돌봉(43)을 고정설치하고, 고정판(21)을 관통한 축봉(42)에는 피동기어(44)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모터(M)의 구동기어(23)와 승강드럼(30) 및 회전원판(40)의 축봉(31)(41)에 구성된 피동기어(34)(44)는 타이밍벨트(24)로 연결되게 하므로서 구동모터(M)를 구동시키면 피동기어(34)(44)가 회전하고, 따라서 승강드럼(30) 및 회전원판(40)이 회전되게 한다. 고정축관(31)(41) 일측에는 지지축관(50)을 고정 설치하되, 상기 고정축관(50)에는 승강 안내봉(51)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승강안내봉(51) 상단에는 승강판(52) 체결 고정하고, 상기 승강판(52) 전면에는 조리개판(53)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승강판(52) 일측에는 브라켓(54)을 고정 설치하고, 브라켓(54)에는 베어링(55)이 굴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베어링(55)은 승강드럼(30)의 작동홈(33)에 끼워져 결합되게 하므로서 승강드럼(30)이 회전하면 승강판(52)이 승강되게 한다.
고정축관(41)에 굴대 설치된 회전원판(40)의 편심돌봉(32)에는 작동간(60)의 후단부에 구성된 장공(61)이 끼워져 구성되게 하고, 상기 작동간(60)의 선단부에 조리개판(53)에 구성된 조리개날개의 작동봉(도시안됨)과 연결되게 하므로서 회전원판(40)이 회전하면 편심돌봉(43)의 작동에 의해 작동간(60)이 좌우 요동하게 되므로 조리개판(53)에 구성된 조리개날개의 개폐가 이루어지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조리날개를 장착한 조리개판을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수단과, 조리개판에 장착되는 조리날개를 개폐시키기 위한 작동간을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2개의 수단으로 분리 구성되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성형기 내부의 부족한 공간에 많은 부품들을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떡제조기의 조립과 생산기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것은 물론, 설치와 조립을 수작업에 의존하는 관계로 작업자가 몸을 구부리고 고개를 숙이는 것은 물론 팔과 손목이 비틀리고 꺽이는 상태에서 조립되기 때문에 작업 피로도가 높아지고, 작업 과정에서 신체적인 손상을 야기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정확한 토크(힘)로 체결하지 못하여 실제 사용과정에서 관련부품들의 손상과 이탈로 인한 유지보수 시간과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것은 물론, 주변 부품과의 간섭현상이 발생하여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많은 부품들을 가공하여야 하고 이를 조립 전에 체계적으로 관리하면서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공과 물류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조립과정에서 많은 부품 중 어느 하나의 부품이 누락될 경우에는 전체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게 되는 원인이 되고, 과다한 생산비용의 상승으로 대외적인 경쟁력이 취약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떡 반죽을 공급하도록 설치하는 떡반죽공급기와, 상기 떡반죽공급기의 선측 상방에는 고명을 공급하도록 설치하는 고명공급기와, 상기 고명공급기의 하방에 떡 반죽의 내부에 고명이 공급된 떡가래를 추출하는 추출기와, 상기 추출기의 하방에 설치되어 추출되는 떡가래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면서 소정형상으로 만드는 성형기와,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설치되어 성형기를 추출기 방향으로 상,하 왕복운동시키고 성형블레이드를 개폐시키는 성형기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떡 제조기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 구동장치는, 프레임에 설치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편심되게 고정하는 원판캠과, 상기 원판캠의 일측에 하단이 연결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팅로드의 상단은 성형기의 하판 후미와 연결하여 원판캠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전달받아 성형기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원판캠과 연결되는 커넥팅로드의 외측에는 작동레버를 각 운동시키기 위한 레버링크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레버링크의 타단은 작동레버의 후미에 고정되어 소정의 폭을 유지하여 하향 돌출되는 작동바 사이에 개재되는 연접롤을 고정하여 레버링크의 회전력을 작동바가 직선운동(수평운동)으로 전달받아 작동레버를 하판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하여, 간단한 구성으로 원활한 작동성을 확보하면서 조립 및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 생산원가를 대폭 절감하여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협소한 공간에서 설치와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하여 떡 제조기의 품질을 높이면서 이용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떡 제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떡 제조기의 성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를 발췌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를 발췌한 종단면도.
도 6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떡성형기용 조리개판의 개폐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떡 제조기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떡 제조기의 성형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를 발췌한 평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를 발췌한 종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떡 제조기(100)는 프레임(101)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떡 반죽을 공급하기 위한 떡반죽공급기(102)가 설치되고, 상기 떡반죽공급기(102)의 선측 상방에는 고명을 공급하기 위한 고명공급기(103)가 수직선상으로 설치된다.
상기 고명공급기(103)의 하방으로는 떡 반죽의 내부에 고명이 공급되어 가래형태로 추출되는 추출기(104)가 설치되고, 상기 추출기(104)의 하방에는 추출되는 떡가래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면서 소정형상으로 만들기 위한 성형기(105)가 설치된다.
상기 성형기(105)는 하판(106)과 상판(107) 사이에 다수개의 성형블레이드(108)의 후단을 힌지(H) 연결하고, 상기 성형블레이드(108)의 중앙에 형성된 장공(LH)은 하판(106)에 수용되는 회전판(RP)에 구비되는 가이드핀(GP)으로 유지한다.
상기 하판(106)에 수용되는 회전판(RP)은 하판(106)의 저면에 배치되는 작동레버(109)의 선단부 양측에 돌출되는 작동핀(110)과 결합하여 작동레버(109)에 의하여 성형블레이드(108)가 개폐되면서 떡을 소정의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절단하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프레임(101) 내부에서 설치되어 성형기(105)를 추출기(104) 방향으로 상,하 왕복운동시키고 성형블레이드(108)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한 성형기 구동장치(115)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성형기 구동장치(115)는, 프레임(101) 상에 구동수단으로 모터(116)를 설치하고, 상기 모터(116)의 축(117)에는 원판캠(118)을 편심되게 고정한다.
상기 원판캠(118)의 일측에는 커넥팅로드(119)의 하단과 연결하고, 상기 커넥팅로드(119)의 상단은 성형기(105)의 하판(106)의 후미와 움직임 자유롭게 연결하여 원판캠(118)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전달하여 성형기(105)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물론, 상기 성형기(105)의 하판(106) 후미 양측에는 가이드바(GB)를 고정하여 프레임(101)에 설치되는 가이블록(120)과 결합하여 성형기(105)가 유동 없이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판캠(118)과 연결되는 커넥팅로드(119)의 하단 외측에는 작동레버(109)를 각 운동시키기 위한 레버링크(121)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레버링크(121)의 타단은 작동레버(109)의 후미에 고정되어 소정의 폭을 유지하여 하향 돌출되는 작동바(122) 사이에 개재되는 연접롤(123)을 고정하여 레버링크(121)의 회전력을 작동바(122)가 직선운동(수평운동)으로 전달받아 작동레버(109)를 하판(106)의 좌,우 방향(평면에서 보았을 때)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형기(105)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거리의 조절은 원판캠(118)의 편심정도와 커넥팅로드(119)의 길이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며, 상기 작동레버(109)가 하판(106)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는 폭의 조절은 원판캠(118)의 편심정도와 링크레버(121)의 길이를 이용하여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링크레버(121)와 연접되는 작동바(122)의 길이는 링크레버(121)의 회전으로 상사점(P)과 하사점(P1)에 위치할 때 연접롤(123)이 작동레버(109)의 저면과 연접되지 않으면서 작동바(122)의 하단을 벗어나지 않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떡 제조기(100)용 성형기 구동장치(115)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떡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떡반죽공급기(102)를 통하여 떡 반죽이 추출기(104)로 공급됨과 동시에 고명공급기(103)를 통하여 떡 반죽의 중앙에 고명이 공급되어 추출기(104)를 통하여 가래형태로 하방의 성형기(105) 방향으로 추출된다.
이와 같이 추출되는 떡가래를 성형기(105)가 추출기(104)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고, 상승시에는 회전판(RP)에 의하여 성형블레이드(108)가 개방되고 상승한 후에는 성형블레이드(108)가 닫혀 지면서 떡가래를 절단하면서 소정의 모양으로 성형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떡을 만들게 된다.
상기 성형기(105)는 프레임(101)에 설치되는 구동장치(115)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과 성형블레이드(108)의 개,폐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프레임(101)에 설치되는 모터(116)의 축(117)에 편심 고정되는 원판캠(118)에 커넥팅로드(119)의 하단을 연결하고, 상기 커넥팅로드(119)의 상단은 성형기(105)를 구성하는 하판(106)의 후미 중앙부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원판캠(118)과 커닉텡로드(119)의 연결점(P2)이 하사위치(LP)에 있을 때에는 성형기(105)가 하강 상태에 있고, 연결점(P2)이 상사위치(UP)에 있을 때에는 성형기(105)가 상승 상태에 있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기(105)가 상승 또는 하강작동할 때에는 하판(106)의 양측 저면에 고정되는 가이드바(GB)가 프레임(101)에 설치되는 가이드블록(120)으로 유지되어 좌,우 방향으로 흔들리는 현상 없이 안정되게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한다.
상기 성형기(105)가 상승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하판(106)과 상판(107) 사이에 개재되는 성형블레이드(108)는 닫혀 지면서 떡가래를 절단하면서 성형하게 되고, 하강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성형블레이드(108)는 개방되어 떡가래가 성형기(105)로 유입되는 데 지장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성형블레이드(108)가 개,폐 되는 동작은, 하판(106)의 저면에 배치되는 작동레버(109)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레버(109)의 선단 양측에 고정되는 작동핀(110)은 하판(106)에 수용되는 회전판(RP)과 결합 되고, 상기 작동레버(109)의 후미는 구동장치(11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과 우측으로 각운동 하면서 회전판(RP)이 좌,우로 움직이면서 가이드핀(GP)에 의하여 성형블레이드(108)를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109)의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모터(116)의 동력을 원판캠(118)이 전달받고, 원판캠(118)에 연결되는 커넥팅로드(119)의 하단 전방에 레버링크(121)의 일단을 고정하여 원판캠(118)을 따라 레버링크(121)가 회전운동하도록 한다.
상기 레버링크(121)의 타단에는 연접롤(123)를 고정하여 작동레버(109)의 후미에서 하방으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내려지는 작동바(122) 사이에 위치하여 연접롤(123)이 회전하면서 롤중심(P3)이 최좌위치(LP)에 위치하면 작동바(122)를 좌측으로 밀어주고, 최우위치(RP)에 위치하면 작동바(122)를 우측으로 밀어주는 형태가 되므로 작동레버(109)는 좌,우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여 성형기의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은 물론, 작동레버를 좌,우 방향으로 움직여 성형블레이드를 개,폐하도록 하는 작동을 수행할 수 있어 생산과 조립의 용이성을 제공하면서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하여 떡 제조기의 내구성과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0; 떡 제조기 101; 프레임
105; 절단기 109; 작동레버
115; 구동장치 118; 원판캠
119; 커넥팅로드 121; 링크레버
122; 작동바 123; 연접롤

Claims (1)

  1. 프레임(101)의 상부에서 전방으로 떡 반죽을 공급하도록 설치되는 떡반죽공급기(102)와;
    상기 떡반죽공급기(102)의 선측 상방에 고명을 공급하도록 설치하는 고명공급기(103)와;
    상기 고명공급기(103)의 하방에 설치되어 떡 반죽의 내부에 고명이 공급되어 가래형태로 추출하는 추출기(104)와;
    상기 추출기(104)의 하방에 설치되어 추출되는 떡가래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면서 소정형상으로 만드는 성형기(105)와;
    상기 성형기(105)는 하판(106)과 상판(107) 사이에 다수개의 성형블레이드(108)의 후단을 힌지(H) 연결하고, 상기 성형블레이드(108)의 중앙에 형성된 장공(LH)은 하판(106)에 수용되는 회전판(RP)에 구비되는 가이드핀(GP)으로 유지하고;
    상기 하판(106)에 수용되는 회전판(RP)은 하판(106)의 저면에 배치되는 작동레버(109)의 선단부 양측에 돌출되는 작동핀(110)과 결합하여 작동레버(109)에 의하여 성형블레이드(108)가 개폐되면서 떡을 소정의 크기와 형상으로 성형하면서 절단하도록 떡 제조기(100)를 구성하고;
    상기 프레임(101) 내부에서 설치되어 성형기(105)를 추출기(104) 방향으로 상,하 왕복운동시키고 성형블레이드(108)를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성형기 구동장치(115)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성형기 구동장치(115)는, 프레임(101)에 설치하는 모터(116)와;
    상기 모터(116)의 축(117)에 편심되게 고정하는 원판캠(118)과;
    상기 원판캠(118)의 일측에 하단이 연결되는 커넥팅로드(119)와;
    상기 커넥팅로드(119)의 상단은 성형기(105)의 하판(106)의 후미와 움직임 자유롭게 연결하여 원판캠(118)의 회전을 직선운동으로 전달하여 성형기(105)를 상,하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원판캠(118)과 연결되는 커넥팅로드(119)의 하단 외측에는 작동레버(109)를 각 운동시키기 위한 레버링크(121)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레버링크(121)의 타단은 작동레버(109)의 후미에 고정되어 소정의 폭을 유지하여 하향 돌출되는 작동바(122) 사이에 개재되는 연접롤(123)을 고정하여 레버링크(121)의 회전력을 작동바(122)가 직선운동으로 전달받아 작동레버(109)를 하판(106)의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
KR2020110003633U 2011-04-27 2011-04-27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 KR200457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33U KR200457586Y1 (ko) 2011-04-27 2011-04-27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3633U KR200457586Y1 (ko) 2011-04-27 2011-04-27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586Y1 true KR200457586Y1 (ko) 2011-12-26

Family

ID=5367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3633U KR200457586Y1 (ko) 2011-04-27 2011-04-27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5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2032A1 (zh) * 2017-09-30 2019-04-04 上海松川远亿机械设备有限公司 包馅食品成型机
KR20210028953A (ko) * 2019-09-05 2021-03-15 이명화 팥죽 새알심 성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570Y1 (ko) 2000-02-03 2000-07-15 장인락 송편 절단기의 절단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8570Y1 (ko) 2000-02-03 2000-07-15 장인락 송편 절단기의 절단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2032A1 (zh) * 2017-09-30 2019-04-04 上海松川远亿机械设备有限公司 包馅食品成型机
KR20210028953A (ko) * 2019-09-05 2021-03-15 이명화 팥죽 새알심 성형장치
KR102386356B1 (ko) * 2019-09-05 2022-04-13 이명화 팥죽 새알심 성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17184A (zh) 一种自动化钣金部件上料加工成型装置
KR200457586Y1 (ko) 떡 제조기용 성형기 구동장치
CN215618773U (zh) 一种定位摇浆的摇浆机
CN205732736U (zh) 一种固定性能优良的电子元件切割装置
CN200974332Y (zh) 一种塑料瓶盖自动组装机
CN203816965U (zh) 溢流式过滤器滤网自动清洗装置
CN204860102U (zh) 收割机的下割刀装置
WO2020048085A1 (zh) 修枝机
CN202059926U (zh) 圆形食品成型机收切刀升降组件
CN111820256A (zh) 一种馄饨成型装置
KR101075331B1 (ko) 떡 성형장치
CN102172725B (zh) 冲床上料传动机构
CN107866513B (zh) 一种冷镦机的夹料装置
CN208483919U (zh) 一种可拆卸式童装裁剪装置
CN216177162U (zh) 一种生产汽车转向轴用原料切割装置
CN211379424U (zh) 一种月饼料胚的剪切装置
KR200296076Y1 (ko) 철제도어용 다종 롤벤딩 장치
CN202895459U (zh) 一种金属网铺设装置
CN204294812U (zh) 铰链冲压机床
CN209095749U (zh) 一种精密机械加工用水切削装置
CN209346071U (zh) 一种山楂刮片机推盘机构
CN205030492U (zh) 一种半球形锅巴成型机的压料装置
CN109702269A (zh) 用于不锈钢波纹管的钳式加工装置
CN210747578U (zh) 一种用于熔接机振荡桶的调节结构
CN103350918A (zh) 一种改良的切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