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726B1 - 넥밴드 선풍기 - Google Patents

넥밴드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726B1
KR102215726B1 KR1020200059171A KR20200059171A KR102215726B1 KR 102215726 B1 KR102215726 B1 KR 102215726B1 KR 1020200059171 A KR1020200059171 A KR 1020200059171A KR 20200059171 A KR20200059171 A KR 20200059171A KR 102215726 B1 KR102215726 B1 KR 102215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using
plate
coupled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구
Original Assignee
프린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린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린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9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726B1/ko
Priority to US17/314,490 priority patent/US2021035596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 F04D25/0613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the electric motor being of the inside-out type, i.e. the rotor is arranged radially outside a central st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73Battery power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04D25/084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hand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 F04D25/166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 Producing two or more separate gas flows using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26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 F04D29/28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281Rotors specially for elastic fluids for centrifug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radial-flow or helico-centrifugal pumps for fans or bl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02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 A41D13/002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controlled internal environment by means of forced air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넥밴드 선풍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넥밴드 선풍기는, 제1 단에서 제2 단으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하고, 굽어지거나 펴지는, 밴드; 그리고 상기 밴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밴드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되며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상기 브라켓에 수용되며 바람을 생성하는 바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바람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취송 개구부를 통과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 취송부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Description

넥밴드 선풍기{NECK BAND FAN}
본 발명은 넥밴드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바람의 방향을용이하게 조절하고 발열로 인한 불쾌함을 최소화하는 넥밴드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선풍기는 소형으로 제작되어 휴대가 용이하나 계속 손에 파지되어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깅을 하거나 자전거를 타는 경우 휴대용 선풍기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목에 착용 가능한 휴대용 선풍기(넥밴드 선풍기)가 개발되었다. 기존의 넥밴드 선풍기의 경우,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부분에 배터리가 위치하여 사용자의 목에 열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오히려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부분이 고정된 형상을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지 않을 경우의 사용의 불편함 및 보관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다.
등록특허 10-183413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목에 착용되는 부분이 자유롭게 굽어지거나 펴지는 넥밴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열(heat)을 제공하지 않는 넥밴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바람의 방향이 용이하게 조절되는 넥밴드 선풍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another)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단에서 제2 단으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하고, 굽어지거나 펴지는, 밴드; 그리고 상기 밴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밴드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되며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상기 브라켓에 수용되며 바람을 생성하는 바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바람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취송 개구부를 통과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 취송부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의 외부로 배출되는 넥밴드 선풍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넥밴드 선풍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목에 착용되는 부분이 자유롭게 굽어지거나 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열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바람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 선풍기(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밴드(200)에서 외피(210)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 선풍기(1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헤드(10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1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닛(15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바람 유닛(15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닛과 제1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1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2 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제1 브라켓과 도 12에 도시된 제2 브라켓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1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제1 하우징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 플레이트(139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흡입부 플레이트가 도 17의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제1 하우징에 도 14의 브라켓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제1 헤드의 제2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제2 헤드의 제2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하우징 커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 선풍기(1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넥밴드 선풍기(10)는 헤드(100)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0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100)는 2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헤드(100)는 제1 헤드(101)와 제2 헤드(102)를 포함할 수 있다. 헤드(100)는, 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
넥밴드 선풍기(10)는, 밴드(200)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2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밴드(200)는, 헤드(100)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200)의 양단(兩端)은 각각 서로 다른 헤드(100)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200)의 제1 단은 제1 헤드(101)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200)의 제2 단은 제2 헤드(102)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밴드(200)는, 제1 단에서 제2 단으로 연장된(elongated)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밴드(200)는, 일자(一字)로 곧게 뻗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밴드(200)는 굽어지거나 펴질 수 있다. 도 1의 밴드(200)가 굽어지면 도 2의 밴드(200)와 같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의 밴드(200)가 더 굽어지면 도 3의 밴드(200)와 같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도 3의 밴드(200)가 펴지면 도 2의 밴드(200)와 같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의 밴드(200)가 더 펴지면 도 1의 밴드(200)와 같은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밴드(20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이며, 밴드(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변환되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밴드(200)의 형상이 다양하게 조절되면, 넥밴드 선풍기(10)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넥밴드 선풍기(10)는 사용자(user)의 목에 안착되어 사용자에게 바람을 제공할 수 있다. 밴드(2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조절되어, 책상에 올려두고 사용되거나 벽에 걸어두고 사용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밴드(200)에서 외피(210)의 일부가 제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밴드(200)는, 외피(210)와 코어(220)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210)의 양단(兩端)은, 각각 제1 헤드(101)와 제2 헤드(102)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외피(210)의 적어도 일부는 부드러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피(210)의 적어도 일부는 실리콘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피(21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외피(210)에 형성된 공간에, 코어(220)가 위치할 수 있다. 외피(210)는 코어(220)를 감싸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외피(210)의 일면(一面)에 오목한 형상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피(210)의 면 중에서 사용자의 목에 착용되는 면(面)에 오목한 형상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피(210)는 착용 대상에 대하여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
코어(220)는, 외피(2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코어(220)의 양단(兩端)은, 각각 제1 헤드(101)와 제2 헤드(102)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코어(220)의 구조는 벨로우즈 호스(bellows hose) 또는 벨로우즈 파이프(bellows pipe)일 수 있다. 코어(220)는 굽어지거나 펴질 수 있다. 코어(220)의 형상은, 외력에 의해 변형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된 이후에 변화되지 않을 수 있다.
코어(220)는,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코어(220)의 내부에, 전선(electric wire)이 수용될 수 있다. 코어(220)에 수용된 전선은, 제1 헤드(101)와 제2 헤드(10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헤드(102)에서 발생된 신호(signal)는, 전선을 따라 제1 헤드(101)에 전달될 수 있다. 즉 제2 헤드(102)는 제1 헤드(101)를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 선풍기(10)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서 하나의 헤드(100)와 헤드(100)에 연결된 밴드(200)의 일부가 관찰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헤드(100)는 하우징(1300, 140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00, 1400)은, 제1 하우징(1300)과 제2 하우징(1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바람을 발생시키는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밴드(200)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넥밴드 선풍기(10)의 착용시, 제2 하우징(1400)에 비하여 목(neck)에 더 인접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400)은, 제1 하우징(13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400)은 제1 하우징(1300)을 마주하며 제1 하우징(13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1400)의 일면(一面)은 제1 하우징(1300)의 일면(一面)을 마주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400)은 배터리(battery)를 수용할 수 있다. 넥밴드 선풍기(10)의 사용시, 배터리에서 열(heat)이 발생될 수 있다. 배터리에서 발생되는 열(heat)은, 사용자에게 부정적인 요소일 수 있다. 배터리를 제1 하우징(1300)과 이격시키고 별도의 제2 하우징(1400)에 수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열(heat)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헤드(100)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300)은, 제1 링 플레이트(13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 플레이트(1345)는, 전체적으로 링(ring)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제1 하우징 월(1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월(1350)은, 제1 링 플레이트(1345)에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 월(1350)은, 제1 링 플레이트(1345)의 외주(perimeter)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하우징 취송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취송부(1360)는, 제1 하우징(1300)의 내부에 수용된 부품에서 발생된 바람이 제1 하우징(1300)의 외부로 토출되는 개구부일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흡입부 플레이트(1390)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1390)는, 제1 링 플레이트(1345)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1390)는, 제1 링 플레이트(1345)와 이격될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1390)와 제1 링 플레이트(1345)의 사이에 형성된 공극(air gap)을 통해, 공기(air)가 제1 하우징(13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하우징 취송부(1360)를 통해 제1 하우징(130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여러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300)은, 도 7 내지 도 15에 도시된 부품을 수용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에 수용된 부품은, 제1 하우징(1300)의 외부에서 공기를 빨아들여서 하우징 취송부(1360)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브라켓(1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제1 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1 브라켓(1100)은, 제1 하우징(1300, 도 6 참조)에 수용될 수 있다.
도 7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브라켓(1100)은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는, 모터가 안착되는 면(面)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는,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 개구부(111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에는 전선(electric wire)이 연결될 수 있다. 모터에 연결된 전선은,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 개구부(1115)를 통과하여 제1 브라켓(1100)의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100)은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는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는,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와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는,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를 감싸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는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100)은 제1 브라켓 브릿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브릿지(1130)는,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와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브릿지(113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의 제1 브라켓 브릿지(1130)가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와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를 연결할 수 있다. 복수의 제1 브라켓 브릿지(1130)는, 이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 그리고 제1 브라켓 브릿지(1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100)은, 제1 브라켓 개구부(1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개구부(1140)는,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와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개구부(1140)의 형상은,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 그리고 제1 브라켓 브릿지(113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개구부(114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 개구부(1140)의 개수는, 제1 브라켓 브릿지(1130)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개구부(1140)는,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일 수 있다.
제1 브라켓(1100)은 제1 브라켓 월(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월(1150)은,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의 외주(perimeter)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 월(1150)은,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의 외주(外周)의 일부에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에 모터가 장착되면, 제1 브라켓 월(1150)은 모터를 감싸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월(1150)은,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에 접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월(1150)의 제1 변은, 제1 브라켓 월(1150)의 변(edge) 중에서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에 접하는 변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월(1150)의 제2 변은, 제1 브라켓 월(1150)의 변(edge) 중에서 제1 브라켓 월(1150)의 제1 변의 맞은편에 위치한 변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브라켓(1100)은, 제1 취송 개구부(11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취송 개구부(1160)는,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와 제1 브라켓 월(11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취송 개구부(1160)는, 제1 브라켓 월(1150)에서 개방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취송 개구부(1160)는, 바람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일 수 있다.
제1 브라켓(1100)은, 제1 브라켓 결합부(1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결합부(1170)는 제1 브라켓 월(115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결합부(1170)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닛(15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바람 유닛(1500)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바람 유닛(1500)은, 모터(151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510)는 전력을 소비하며 구동할 수 있다. 모터(1510)는,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 도 7 참조)에 장착될 수 있다.
바람 유닛(1500)은, 팬 모듈(1520)을 포함할 수 있다. 팬 모듈(1520)은, 모터(1510)에 연결되어 구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팬 모듈(1520)은 모터(151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팬 모듈(1520)의 구조는, 예를 들어, 원심팬(centrifugal fan) 구조일 수 있다.
팬 모듈(1520)은, 팬 프레임(1521)을 포함할 수 있다. 팬 프레임(1521)은, 전체적으로 링(ring)의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팬 프레임(1521)은, 모터(1510)를 감싸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팬 프레임(1521)은, 모터(1510)와 이격될 수 있다.
팬 모듈(1520)은, 팬 연결부(1522)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연결부(1522)는, 팬 프레임(1521)과 모터(15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팬 연결부(1522)는, 팬 프레임(1521)과 모터(1510)를 연결할 수 있다. 팬 연결부(1522)는, 모터(1510)의 회전력을 팬 프레임(1521)에 전달할 수 있다. 팬 연결부(1522)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팬 연결부(1522)는, 팬 프레임(152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팬 모듈(1520)은, 팬 공극(1523)을 포함할 수 있다. 팬 공극(1523)은, 팬 프레임(1521)과 모터(151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팬 공극(1523)의 형상은, 팬 프레임(1521), 모터(1510), 그리고 팬 연결부(152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바람 유닛(1500)이 제1 브라켓(1100, 도 7 참조)에 장착된 상태에서, 팬 공극(1523)은, 제1 브라켓 개구부(1140, 도 7 또는 도 8 참조)을 마주하거나 연통될 수 있다.
팬 모듈(1520)은, 블레이드(1525)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1525)는, 팬 프레임(1521)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블레이드(1525)는 복수로 제공될 수 있다. 블레이드(1525)는, 팬 프레임(1521)의 일면(一面)에 형성될 수 있다. 타면(他面)은, 팬 프레임(1521)의 일면(一面)의 맞은편에 위치한 면(面)일 수 있다. "팬 프레임(1521)의 제1 면"은 팬 프레임(1521)의 일면(一面)을 의미할 수 있다. "팬 프레임(1521)의 제2 면"은 팬 프레임(1521)의 타면(他面)을 의미할 수 있다.
바람 유닛(1500)이 제1 브라켓(1100, 도 7 참조)에 장착된 상태에서, 팬 프레임(1521)의 제1 면은,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 도 7 참조),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 도 7 참조), 그리고 제1 브라켓 개구부(1140, 도 7 참조) 중 적어도 하나를 마주할 수 있다. 팬 프레임(1521)의 블레이드(1525)는, 팬 프레임(1521)의 제2 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모터(1510)가 회전하면, 팬 연결부(1522)를 통해 팬 프레임(1522)에 회전력이 전달되며, 복수의 블레이드(1525)는 회전할 수 있다. 블레이드(1525)가 회전하면, 팬 공극(1523)을 통해 공기가 블레이드(1525)로 유입될 수 있다. 블레이드(1525)로 유입된 공기는, 블레이드(1525)에 의해 가속되어 팬 모듈(15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람 유닛과 제1 브라켓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바람 유닛(1500)은 제1 브라켓(11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람 유닛(1500)의 모터(1510)는, 제1 브라켓(1100)의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 도 7 또는 도 8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 유닛(1500)은 제1 브라켓(1100)에 수용될 수 있다. 바람 유닛(1500)은 제1 브라켓 월(1150, 도 7 또는 도 8 참조)에 의해 감싸지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브라켓(12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2 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브라켓"은 제1 브라켓(1100, 도 11 참조)과 제2 브라켓(1200)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브라켓(1200)은 제1 브라켓(1100, 도 7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200)이 제1 브라켓(1100, 도 7 참조)에 결합되면, 바람 유닛(1500, 도 11 참조)은 제1 브라켓(1100, 도 7 참조)과 제2 브라켓(1200)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200)은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는, 모터(1510, 도 11 참조)를 마주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는,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 도 7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200)은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는,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는,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를 감싸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는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는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 도 7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제1 면(1221)은, 제1 브라켓(1100, 도 7 참조)과 제2 브라켓(1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브라켓(1100, 도 7 참조)을 마주하는 면(面)일 수 있다.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는, 브라켓 배선 홀(1223)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배선 홀(1223)은,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배선 홀(1223)은, 제2 브라켓 월(125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 배선 홀(1223)과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의 사이에, 제2 브라켓 월(125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 배선 홀(1223)은, 제2 하우징(1400, 도 5 참조)에 위치하는 배터리에 연결된 전선이 통과하는 통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에 연결된 전선은 브라켓 배선 홀(1223)을 통과하여 모터(1510, 도 11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1510, 도 11 참조)의 제어가 어려울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배터리는 제어기(1710, 도 23 참조)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1510, 도 11 참조)는 제어기(1710, 도 23 참조)를 통해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으므로, 모터(1510, 도 11 참조)의 제어가 용이할 수 있다.
제2 브라켓(1200)은 제2 브라켓 브릿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브릿지(1230)는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와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 그리고 제2 브라켓 브릿지(1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200)은 제2 브라켓 개구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개구부(1240)는,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 그리고 제2 브라켓 브릿지(1230)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개구부(1240)는,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와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개구부(1240)는, 바람 유닛(1500, 도 11 참조)에 유입되는 공기의 통로일 수 있다.
제2 브라켓(1200)이 제1 브라켓(1100, 도 11 참조)에 결합되면, 제1 브라켓(1100, 도 11 참조)과 제2 브라켓(1200)은 바람 유닛(1500, 도 10 참조)을 수용할 수 있다. 팬 프레임(1521, 도 9 또는 도 10 참조)의 제2 면은,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 그리고 제2 브라켓 개구부(1240) 중 적어도 하나를 마주할 수 있다.
제2 브라켓(1200)은 제2 브라켓 월(1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월(1250)은, 제1 브라켓 월(1150, 도 7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월(1250)은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제1 면(1221)에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 월(1250)은,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제1 면(1221)에서 제1 브라켓(1100, 도 7 참조)를 향하여 연장된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월(1250)은,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에 접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월(1250)의 제2 변은, 제2 브라켓 월(1250)의 변(edge) 중에서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에 접하는 변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월(1250)의 제1 변은, 제2 브라켓 월(1250)의 변(edge) 중에서 제2 브라켓 월(1250)의 제2 변의 맞은편에 위치한 변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월(1250)의 제1 변은, 제1 브라켓(1100, 도 7 참조)과 제2 브라켓(1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브라켓 월(1150, 도 7 참조)의 제2 변에 마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브라켓 월(1250)의 제1 변은, 제1 브라켓(1100, 도 7 참조)과 제2 브라켓(1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제1 브라켓 월(1150, 도 7 참조)의 제2 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200)은 제2 취송 개구부(1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취송 개구부(1260)는, 제1 취송 개구부(1160, 도 7 참조)에 대응될 수 있다. 제2 취송 개구부(1260)는,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와 제2 브라켓 월(125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취송 개구부(1260)는, 제2 브라켓 월(1250)에서 개방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취송 개구부(1260)는, 바람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일 수 있다.
도 7과 도 12를 참조하면, 취송 개구부(1160, 1260)는, 제1 취송 개구부(1160)와 제2 취송 개구부(1260)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취송 개구부(1160)와 제2 취송 개구부(1260)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2 브라켓(1200)은 제2 브라켓 결합부(12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결합부(1270)는 제1 브라켓 결합부(117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결합부(1270)의 형상은, 제1 브라켓 결합부(117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 결합부(1170)는 제2 브라켓(1200)을 향하여 돌출된 형상이고, 제2 브라켓 결합부(1270)는 제1 브라켓(1100)을 향하여 오목한 형상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브라켓(1200)은 브라켓 리브 커플러(128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리브 커플러(1280)는,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 리브 커플러(1280)는, 제2 브라켓 월(125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 리브 커플러(1280)와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의 사이에, 제2 브라켓 월(1250)의 일부가 위치할 수 있다.
브라켓 리브 커플러(1280)는, 브라켓 리브 커플러 홀(1281)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리브 커플러 홀(1280)은,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220)를 관통하는 홀(hole)일 수 있다.
브라켓 리브 커플러(1280)는, 제1 리브 커플러(128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브 커플러(1283)는,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제1 면(1221)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리브 커플러(1283)는, 브라켓 리브 커플러 홀(1281)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리브 커플러(1283)는 제1 하우징(1300, 도 5 참조)의 일부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브 커플러(1283)는 제1 하우징(1300, 도 5 참조)의 일부 구성요소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에 표기된 구성요소 중 도 12에 표기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에 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브라켓 배선 관(1224)은,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제2 면(1222)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제2 면(1222)은,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제1 면(1221)의 맞은편의 면(面)일 수 있다. 브라켓 배선 관(1224)은, 브라켓 배선 홀(1223, 도 12 참조)에 연통될 수 있다. 브라켓 배선 관(1224)은, 제2 하우징(1400, 도 5 참조)에 위치하는 배터리에 연결된 전선이 통과하는 통로일 수 있다.
브라켓 리브 커플러(1280)는, 제2 리브 커플러(128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리브 커플러(1284)는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제2 면(1222)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리브 커플러(1284)는, 브라켓 리브 커플러 홀(1281)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리브 커플러(1284)는 제2 하우징(1400, 도 5 참조)의 일부 구성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리브 커플러(1284)는 제2 하우징(1400, 도 5 참조)의 일부 구성요소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제1 브라켓과 도 12에 도시된 제2 브라켓이 서로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4의 브라켓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도 13, 도 14, 도 15를 참조하면, 취송 개구부(1160, 1260)가 브라켓(1100, 1200)에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1100, 1200)은, 제1 브라켓(1100)과 제2 브라켓(1200)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브라켓(1100)과 제2 브라켓(1200)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1100)의 제1 브라켓 결합부(1170)는, 제2 브라켓(1200)의 제2 브라켓 결합부(127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 월(1150)은 제2 브라켓 월(125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브라켓 월(1150)의 제2 변은, 제2 브라켓 월(1250)의 제1 변에 마주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 월(1150, 1250)은, 제1 브라켓 월(1150)과 제2 브라켓 월(1250)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브라켓(1100)과 제2 브라켓(1200)이 결합된 상태에서 방향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방향"은, 제2 브라켓(1200)에서 제1 브라켓(1100)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방향"은, 제1 브라켓(1100)에서 제2 브라켓(1200)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공기가 브라켓(1100, 1200)에 유입되고 배출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팬 모듈(1520)이 회전하면, 공기는 팬 모듈(1520)에 의하여 가속되어 취송 개구부(1160)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라켓(1100, 1200)의 내부에 압력이 낮아질 수 있다. 브라켓 개구부(1140, 1240)를 통해 공기가 브라켓(1100, 120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브라켓 개구부(1140, 1240)는, 제1 브라켓 개구부(1140)와 제2 브라켓 개구부(1240)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브라켓 개구부(1140, 1240)를 통해 브라켓(1100, 120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블레이드(1525, 도 10 참조)에 의해 가속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월 그루브(1155)가 제1 브라켓 월(115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월 그루브(1155)는, 제1 브라켓 월(1150)의 외면(外面)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브라켓 월(1150)의 외면(外面)은, 제1 브라켓 월(1150)의 면(面) 중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월 그루브(1255)가 제1 브라켓 월(125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월 그루브(1255)는, 제2 브라켓 월(1250)의 외면(外面)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브라켓 월(1250)의 외면(外面)은, 제2 브라켓 월(1250)의 면(面) 중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브라켓 월 그루브(1155, 1255)는, 제1 브라켓 월 그루브(115)와 제2 브라켓 월 그루브(1255)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월 그루브(1155)는, 제2 브라켓 월 그루브(1255)에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 월 그루브(1155, 1255)는, 브라켓 리브 커플러(1280)에 인접하거나 연결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하우징(13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하우징(1300)은,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는,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는, 브라켓(1100, 1200, 도 14 또는 도 15 참조)이 제1 하우징(1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 도 14 참조)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210)는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 바텀(13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 바텀(1311)은,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21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 바텀(1211)은, 브라켓(1100, 1200, 도 14 또는 도 15 참조)이 제1 하우징(1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110, 도 14 참조)를 마주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210)는,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 홀(13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 홀(1315)은, 흡입부 플레이트(1390, 도 6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제1 하우징 아우터 플레이트(1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아우터 플레이트(1320)는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와 이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아우터 플레이트(1320)는,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를 감싸는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아우터 플레이트(1320)는,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에 대응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아우터 플레이트(1320)는, 브라켓(1100, 1200, 도 14 또는 도 15 참조)이 제1 하우징(1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1120, 도 14 참조)를 마주할 수 있다.
"반지름 방향(radial direction)"은,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에서 제1 하우징 아우터 플레이트(1320)를 향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제1 하우징 브릿지(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브릿지(1330)는,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와 제1 하우징 아우터 플레이트(132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브릿지(1330)는,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와 제1 하우징 아우터 플레이트(132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제1 하우징 개구부(1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개구부(1340)의 형상은,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 제1 하우징 아우터 플레이트(1320), 그리고 제1 하우징 브릿지(1330)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개구부(1340)는, 브라켓(1100, 1200, 도 14 또는 도 15 참조)이 제1 하우징(1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브라켓 개구부(1140, 도 7 참조)를 마주하거나 제1 브라켓 개구부(1140, 도 7 참조)에 연통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제1 링 플레이트(13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 플레이트(1345)는, 제1 하우징 아우터 플레이트(134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링 플레이트(1345)는, 제1 하우징 아우터 플레이트(1340)의 외주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방향으로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제1 하우징 월(1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월(1350)은, 제1 링 플레이트(1345)의 외주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월(1350)은, 제1 링 플레이트(1345)의 외주에서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월(1350)은, 브라켓(1100, 1200, 도 14 또는 도 15 참조)이 제1 하우징(1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브라켓 월(1150, 1250)을 마주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하우징 취송부(136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취송부(1360)는, 제1 하우징 월(1350)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취송부(1360)는, 제1 하우징 월(1350)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일 수 있다. 하우징 취송부(1360)는, 브라켓(1100, 1200, 도 14 또는 도 15 참조)이 제1 하우징(1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취송 개구부(1160, 1260)와 마주하거나 취송 개구부(1160, 1260)에 연통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제1 하우징 리브(13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리브(1370)는, 제1 하우징 월(1350)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리브(1370)는, 제1 링 플레이트(1345)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리브(1370)의 단부는, 브라켓(1100, 1200, 도 14 또는 도 15 참조)이 제1 하우징(1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1 리브 커플러(1283, 도 14 참조)에 수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리브(1370)는, 브라켓(1100, 1200, 도 14 또는 도 15 참조)이 제1 하우징(1300)에 수용된 상태에서, 브라켓 월 그루브(1155, 1255)에 접하거나 결합되거나 인접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하우징 밴드 결합부(138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밴드 결합부(1380)는, 제1 하우징 월(1350)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밴드 결합부(1380)는, 밴드(200, 도 4 참조)의 단부(端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17은, 도 16의 제1 하우징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7에 표기된 구성요소 중 도 16에 표기된 구성요소와 동일한 것에 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는,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 사이드월(1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 사이드월(1313)은,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 바텀(1311)에서 제1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입부 플레이트(139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흡입부 플레이트(1390)는,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 도 17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1390)는, 흡입부 플레이트 바텀(1391)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 바텀(1391)은, 흡입부 플레이트(139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 바텀(1391)은, 흡입부 플레이트(1390)가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 도 17 참조)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하우징 개구부(1340, 도 17 참조)를 가릴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 바텀(1391)은, 흡입부 플레이트(1390)가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 도 17 참조)에 결합된 상태에서, 재1 하우징 아우터 플레이트(1320)와 제1 링 플레이트(1345)에 각각 이격될 수 있다. 즉 흡입부 플레이트(1390)가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1310, 도 17 참조)에 결합된 상태에서, 흡입부 플레이트 바텀(1391)과 제1 링 플레이트(1345)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air gap)은, 제1 하우징 개구부(1340)에 연통될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1390)는, 흡입부 플레이트 사이드월(1393)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 사이드월(1393)은, 흡입부 플레이트 바텀(1391)에서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 사이드월(1393)은,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 사이드월(1313, 도 17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1390)는, 흡입부 플레이트 돌기(1395)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 돌기(1395)는, 흡입부 플레이트 바텀(1391)에서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 플레이트 돌기(1395)는,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 홀(1315, 도 17 참조)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의 흡입부 플레이트가 도 17의 제1 하우징 이너 플레이트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하우징 밴드 결합부(1380)는 외피 결합부(1381)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 결합부(1381)는, "외피 수용홈"이라 칭할 수 있다. 외피 결합부(1381)는, 제1 하우징 월(1350)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피 결합부(1381)는, 제1 하우징 월(1350)에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외피 결합부(1381)는, 외피(210, 도 4 참조)의 단부(端部)를 수용하며 외피(210, 도 4 참조)의 단부(端部)에 결합될 수 있다.
외피 결합부(1381)는, 링 플레이트(1345)의 원주 방향(circumferential direction)과 나란한 방향으로 길쭉한(elongated)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은, 외피 결합부(1381)의 길쭉한 형상에 기인하여, 밴드(200, 도 4 참조)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 밴드 결합부(1380)는, 코어 결합부(1382)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결합부(1382)는, 외피 결합부(1381)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코어 결합부(1382)는, "코어 수용홈"이라 칭할 수 있다. 코어 결합부(1382)는, 코어(220, 도 4 참조)의 단부(端部)를 수용하거나 코어(220, 도 4 참조)의 단부(端部)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0은, 도 19의 제1 하우징에 도 14의 브라켓이 수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코어 결합부(1382)를 통해 제1 하우징(1300)의 내부로 인입되는 전선(electric wire)은, 브라켓 배선 홀(1223)을 거쳐 브라켓 배선 관(1224)을 통과할 수 있다. 브라켓 배선 관(1224)을 통과한 전선은, 제2 하우징(1400)에 수용된 배터리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제2 하우징(1400)은 제2 하우징 플레이트(1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플레이트(1410)는, 제2 하우징 플레이트 제1 면(14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플레이트 제1 면(1411)은, 제2 하우징 플레이트(1410)의 면(面) 중에서 제1 하우징(1300, 도 20 참조) 또는 브라켓(1100, 1200, 도 20 참조)을 마주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400)은 제2 하우징 플레이트 홀(14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플레이트 홀(1413)은, 제2 하우징 플레이트(14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플레이트 홀(1410)은, 전선(electric wire)이 통과하는 통로일 수 있다. 제2 하우징 플레이트 홀(1410)은, 브라켓 배선 관(1224, 도 20 참조)의 단부(端部)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400)은, 제2 하우징 리브(1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리브(1420)는, 제2 하우징 플레이트 제1 면(1411)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리브(1420)의 단부(端部)는, 제2 리브 커플러(1284, 도 20 참조)에 수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리브(1420)가 제2 하우징 플레이트(1410)에서 돌출된 길이는, 제2 리브 커플러(1284, 도 20 참조)가 함몰된 깊이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2 하우징 리브(1420)가 제2 브라켓(1200, 도 20 참조)에 결합되면, 제2 하우징 플레이트(1410)는 제2 브라켓(1200)과 이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리브(1420)는 내부에 홀(hole)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제1 헤드의 제2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21의 제2 하우징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일 수 있다.
제2 하우징 플레이트 제2 면(1412)이 제2 하우징 플레이트(14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플레이트 제2 면(1412)은, 제2 하우징 플레이트(1410)의 면(面) 중에서 제2 하우징 플레이트 제1 면(1411, 도 21 참조)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400)은 제2 하우징 월(14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월(1430)은, 제2 하우징 플레이트 제2 면(1412)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월(1430)은, 예를 들어 제2 하우징 플레이트 제2 면(1412)의 외주에서 제2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플레이트(1410)와 제2 하우징 월(1430)은,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600)는, 제2 하우징 플레이트(1410)와 제2 하우징 월(1430)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400)은, 제2 하우징 스페이서(1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스페이서(1440)는, 제2 하우징 플레이트 제1 면(1411)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스페이서(1440)는,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 도 20 참조)를 마주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스페이서(1440)의 외곽선(contour)은, 제2 하우징(1400)이 제2 브라켓(14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1210)의 외주에 대응될 수 있다.
도 23은, 제2 헤드의 제2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2 헤드의 제2 하우징(1400)은, 제1 헤드의 제2 하우징(1400, 도 22 참조)과 유사할 수 있다. 제2 헤드의 제2 하우징(1400)은, 제1 헤드의 제2 하우징(1400, 도 22 참조)과 포트(1730)에 관련하여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헤드의 제2 하우징(1400)은, 포트(1730)가 제2 하우징(1400)의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홈(notch)을 포함할 수 있다. 포트(1730)가 제2 하우징(1400)의 외부로 노출되기 위한 홈(notch)은, 제2 하우징 월(1430, 도 22 참조)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헤드(102, 도 1 내지 도 4 참조)는 제어기(17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710)는, 예를 들어, PCB(printed circuit board)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기(1710)는,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기(1710)는, 입력을 획득하여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기(1710)는, 제2 하우징(1400)에 수용될 수 있다. 제어기(1710)는 배터리(16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10)는, 제1 헤드(101, 도 3 참조)에 수용된 배터리(1600)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헤드(102, 도 3 참조)에 수용된 배터리(16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헤드(101, 도 3 참조)에 수용된 배터리(1600)는, "제1 배터리"라 칭할 수 있다. 제2 헤드(102, 도 3 참조)에 수용된 배터리(1600)는, "제2 배터리"라 칭할 수 있다. 제1 배터리(1600)에 연결된 전선은, 밴드(200, 도 4 참조)를 따라 제2 헤드(102, 도 3 참조)로 이어져서 제어기(1710)에 연결될 수 있다. 배터리(1600)가 헤드(100)에 위치하고 밴드(200, 도 4 참조)에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배터리(1600)는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열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기(1710)는, 모터(1510, 도 11 참조)에 연결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어기(1710)는 모터(1510)에 전력(electric power) 또는/및 신호(signal)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기(1710)는 모터(1510)를 구동시키거나 제어할 수 있다.
제2 헤드(102, 도 1 내지 도 4 참조)는 입력부(17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720)는, 예를 들어 푸시 입력(push 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입력부(1720)는 터치 입력(touch 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입력부(1720)는, 제어기(17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10)는, 입력부(1720)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헤드(102, 도 1 내지 도 4 참조)는 포트(1730)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1730)는, 제어기(1710)에 연결될 수 있다. 포트(1730)는, 외부 기기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1730)는, 외부 단자에 연결되어 신호 또는/및 전력(electric power)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커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하우징 커버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넥밴드 선풍기(10, 도 1 내지 도 4 참조)는, 하우징 커버(1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450)는, 제2 하우징(1400, 도 22 또는 도 23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450)는 하우징 커버 플레이트(145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 플레이트(1451)는, 하우징 커버(1450)가 제2 하우징(1400, 도 22 또는 도 23 참조)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 하우징(1400, 도 22 또는 도 23 참조)을 마주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450)는, 하우징 커버 아우터 월(145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 아우터 월(1453)은, 하우징 커버 플레이트(1451)의 외주에서 반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 방향으로 굽어져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450)는, 하우징 커버 이너 월(145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 이너 월(1454)은, 하우징 커버 플레이트(1451)에서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 이너 월(1454)은 하우징 커버 아우터 월(1453)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하우징 커버 이너 월(1454)과 하우징 커버 아우터 월(1453)의 사이에 홈(groove) 또는 오목한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 월(1453, 1454)은, 하우징 커버 아우터 월(1453)과 하우징 커버 이너 월(1454) 중 적어도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 월(1453, 1454)은, 제2 하우징 월(1430, 도 22 또는 도 23 참조)에 결합되거나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하우징 월(1430, 도 22 또는 도 23 참조)은 하우징 커버 아우터 월(1453)과 하우징 커버 이너 월(1454)의 사이에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450)는, 하우징 커버 홀(1457)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커버 홀(1457)은, 하우징 커버 아우터 월(1453)에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 홀(1457)은 포트(1730, 도 23 참조)를 수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1730, 도 23 참조)는 하우징 커버 홀(1457)에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 커버(1450)는, 입력 레버(1458)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레버(1458)는 하우징 커버 플레이트(1451)에 결합될 수 있다. 입력 레버(1458)의 위치는, 입력부(1720, 도 23 참조)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레버(1458)에 압력이 가해지면, 입력부(1720, 도 23 참조)에 압력이 전달될 수 있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하우징 커버(1450)는, 도 23에 도시된 제2 하우징(14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제2 하우징(1400)에 결합되는 하우징 커버(1450)는, 입력 레버(1458)와 하우징 커버 홀(1457)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제2 헤드(102)에 수용된 포트(173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트(173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어 전력이 제공될 수 있다. 포트(1730)를 통해 제공되는 전력은, 제어기(1710)를 통해 제2 헤드(102)에 수용된 배터리(1600)로 전달될 수 있다.
제1 헤드(101)에 수용된 배터리(1600)는, 전선(electric wire)을 통해 전력을 제공받아 충전될 수 있다. 제1 헤드(101)에 수용된 배터리(1600)에 연결된 전선은, 제1 헤드(101)의 브라켓 배선 관(1224)을 통과하여 제1 헤드(101)의 코어 결합부(1382)로 이어질 수 있다. 제1 헤드(101)의 코어 결합부(1382)로 이어진 전선은, 코어(2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2 헤드(102)로 이어질 수 있다. 제2 헤드(102)로 이어진 전선은 제2 헤드(102)의 코어 결합부(1382)와 브라켓 배선 관(1224)을 통과하여 제어기(1710)에 연결될 수 있다.
입력 레버(1458)를 통해 제공된 푸시 입력은, 입력부(1720)에 전달될 수 있다. 입력부(1720)는 전달된 입력을 제어기(17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기(1710)는 획득된 입력에 따라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기(1710)에 의해 생성된 신호는, 모터(1510)의 출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1510)의 출력은, "정지"와 "운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모터(1510)의 운전은, 예를 들어, "빠르게"와 "느리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어기(1710)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따라, 모터(1510)가 작동되거나 멈출 수 있으며, 모터(1510)가 상대적으로 빠르게 회전하거나 느리게 회전할 수 있다.
제2 헤드(102)에 수용된 제어기(1710)에서 제1 헤드(101)에 수용된 모터(1510)로 신호(및 전력)가 전달되는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헤드(102)에 수용된 제어기(1710)에 연결된 전선(electric wire)은, 제2 헤드(102)의 브라켓 배선 관(1224)과 코어 결합부(1382)를 차례로 통과하여 코어(220)의 내부에 진입할 수 있다. 코어(220)의 내부에 진입한 전선은 코어(220)의 내부를 통과하여 제1 헤드(101)의 코어 결합부(1382)에 진입할 수 잇다. 제1 헤드(101)의 코어 결합부(1382)에 진입한 전선은 제1 헤드(101)의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 개구부(1115)를 통과하여 제1 헤드(101)의 모터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제2 헤드(102)에 수용된 제어기(1710)가 제2 헤드(102)에 수용된 모터(1510)뿐만 아니라 제1 헤드(101)에 수용된 모터(1510)까지 제어하는 구조가 소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헤드(102)에 수용된 제어기(17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어기(1710)가 제1 헤드(101)에도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헤드(101)에 수용된 제어기(1710)는 제1 헤드(101)에 수용된 모터(1510)를 제어하고, 제2 헤드(102)에 수용된 제어기(1710)는 제2 헤드(102)에 수용된 모터(1510)를 제어할 수 있다.
헤드(100)의 내부에서 모터(1510)가 회전하여 바람이 발생되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모터(1510)가 회전하면, 팬 프레임(1522)이 회전할 수 있다. 팬 프레임(1522)이 회전하면, 블레이드(1525)가 회전할 수 있다. 블레이드(1525)가 회전하면, 블레이드(1525)에 의하여 공기가 반지름 방향으로 가속될 수 있다. 반지름 방향으로 가속된 공기는 브라켓(1100, 1200)의 취송 개구부(1160, 1260)을 통해 브라켓(1100, 1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브라켓(1100, 120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하우징 취송부(1340)를 통과하여 헤드(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헤드(100)의 외부로 배출된 공기는,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공기가 블레이드(1525)로 유입되는 제1 경로를 살펴볼 수 있다. 헤드(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공기는, 흡입부 플레이트(1390)와 제1 링 플레이트(1345)의 사이에 형성된 공극을 통과하고 제1 하우징 개구부(1340)를 통과하여 제1 브라켓 개구부(1140)에 도달할 수 있다. 제1 브라켓 개구부(1140)에 도달한 공기는, 제1 브라켓 개구부(1140)를 통과하여 블레이드(1525)에 제공될 수 있다.
공기가 블레이드(1525)로 유입되는 제2 경로를 살펴볼 수 있다. 헤드(1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공기는, 제2 브라켓(1200)과 제2 하우징(140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과하여 제2 브라켓 개구부(1240)에 도달할 수 있다. 제2 브라켓 개구부(1240)에 도달한 공기는, 제2 브라켓 개구부(1240)를 통과하여 블레이드(1525)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300), 제2 하우징(1400), 그리고 브라켓(1100, 1200)이 결합되는 과정이 설명될 수 있다. 브라켓(1100, 1200)은 제1 하우징(1300)에 수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100, 1200)이 제1 하우징(13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1 하우징(1300)의 제1 하우징 리브(1370)의 적어도 일부가 브라켓(1100, 1200)의 제1 리브 커플러(1283)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400)이 제1 하우징(13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제2 하우징(1400)의 제2 하우징 리브(1420)의 적어도 일부가 브라켓(1100, 1200)의 제2 리브 커플러(1284)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리브(1420)에서 나사를 삽입하면, 상기 나사는, 제2 리브 커플러(1284)와 제1 리브 커플러(1283)를 통과하여 제1 하우징 리브(137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리브(1370)는 내부에 나사선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리브(1370)에 형성된 나사선은, 상기 나사에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1100, 1200)은, 제1 하우징(1300)과 제2 하우징(14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넥밴드 선풍기 100: 헤드
200: 밴드 210: 외피
220: 코어 1100: 제1 브라켓
1200: 제2 브라켓 1300: 제1 하우징
1400: 제2 하우징 1500: 바람 유닛
1600: 배터리 1710: 제어기
1720: 입력부 1730: 포트

Claims (16)

  1. 제1 단에서 제2 단으로 연장된 형상을 형성하고, 굽어지거나 펴지는, 밴드; 그리고
    상기 밴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는,
    상기 밴드에 결합되고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에 수용되며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그리고
    상기 브라켓에 수용되며 바람을 생성하는 바람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바람 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바람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취송 개구부를 통과하고,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하우징 취송부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의 외부로 배출되고,
    상기 브라켓은,
    상기 바람 유닛이 장착되는 제1 브라켓; 그리고
    상기 제1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을 마주하는 제2 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바람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브라켓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1 리브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리브 커플러에 결합되는 제1 하우징 리브를 포함하는,
    넥밴드 선풍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람 유닛은,
    상기 제1 브라켓에 장착되고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 그리고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팬 모듈을 포함하는,
    넥밴드 선풍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모터가 장착되는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의 외부에서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와 이격된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브라켓 브릿지; 그리고
    상기 제1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 상기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 브라켓 브릿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로서, 제1 브라켓 개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회전하면,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 위치하는 공기가 상기 제1 브라켓 개구부를 통해 상기 팬 모듈에 도달하는,
    넥밴드 선풍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브라켓은,
    상기 제1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에서 상기 제2 브라켓을 향하여 연장된 형상의 제1 브라켓 월; 그리고
    상기 제1 브라켓 월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브라켓에 결합되는, 제1 브라켓 결합부를 포함하는,
    넥밴드 선풍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모터를 마주하는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의 외부에서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를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와 이격된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와 상기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브라켓 브릿지; 그리고
    상기 제2 브라켓 이너 플레이트, 상기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2 브라켓 브릿지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로서, 제2 브라켓 개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가 회전하면,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 위치하는 공기가 상기 제1 브라켓 개구부와 상기 제2 브라켓 개구부를 통해 상기 팬 모듈에 도달하는,
    넥밴드 선풍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제2 브라켓 아우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제2 리브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리브 커플러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 리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하우징 리브와 상기 제1 하우징 리브는 나사 결합되는,
    넥밴드 선풍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밴드의 단부가 수용되며 결합되는, 하우징 밴드 결합부를 포함하는,
    넥밴드 선풍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는,
    상기 제1 단에서 상기 제2 단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외피; 그리고
    상기 제1 단에서 상기 제2 단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지며 상기 외피에 의해 감싸지고, 굽어지거나 펴지는, 코어를 포함하는,
    넥밴드 선풍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밴드 결합부는,
    상기 외피의 단부(端部)가 수용되며 결합되는 외피 결합부; 그리고
    상기 코어의 단부(端部)가 수용되며 결합되는 코어 결합부를 포함하는,
    넥밴드 선풍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 결합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 방향으로 연장된(elongated) 형상을 가지는,
    넥밴드 선풍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결합부는,
    상기 외피 결합부에 수용되는,
    넥밴드 선풍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되는 배터리; 그리고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배터리와 상기 바람 유닛에 연결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아 상기 바람 유닛에 전달하는,
    넥밴드 선풍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는,
    상기 제1 단에 연결되고, 제1 배터리를 구비하는 제1 헤드; 그리고
    상기 제2 단에 연결되며, 제2 배터리와 제어기를 구비하는 제2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배터리에 연결된 전선은, 상기 밴드를 따라 상기 제2 헤드로 이어져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는,
    넥밴드 선풍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바람 유닛이 작동하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공극(air gap)을 형성하고,
    상기 공극은 상기 바람 유닛에 구비된 모터에 인접하는,
    넥밴드 선풍기.
KR1020200059171A 2020-05-18 2020-05-18 넥밴드 선풍기 KR102215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71A KR102215726B1 (ko) 2020-05-18 2020-05-18 넥밴드 선풍기
US17/314,490 US20210355963A1 (en) 2020-05-18 2021-05-07 Neckband fa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171A KR102215726B1 (ko) 2020-05-18 2020-05-18 넥밴드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726B1 true KR102215726B1 (ko) 2021-02-18

Family

ID=74688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171A KR102215726B1 (ko) 2020-05-18 2020-05-18 넥밴드 선풍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10355963A1 (ko)
KR (1) KR1022157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242A (ko) 2022-02-16 2023-08-23 주식회사 유니어 해충퇴치기능을 구비한 목걸이형 선풍기
KR20230002119U (ko) * 2022-04-28 2023-11-06 신일전자 주식회사 송풍 거리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넥밴드형 선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61947B2 (en) 2019-10-25 2023-05-30 Shenzhen JISU Technology Co., Ltd Neck fan
JP7339228B2 (ja) * 2020-11-10 2023-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空調衣服
WO2023217299A1 (zh) * 2022-05-11 2023-11-16 深圳市几素科技有限公司 便携风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4138B1 (ko) 2017-11-10 2018-03-02 조성아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풍시스템
KR101857047B1 (ko) * 2017-10-17 2018-05-11 박정규 넥밴드형 선풍기
KR102072755B1 (ko) * 2018-05-15 2020-02-03 주식회사 휴로 공기정화 휴대용 선풍기

Family Cites Families (7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8232A (en) * 1908-10-19 1910-08-23 Bentz System Company Respiratory helmet.
US1646103A (en) * 1927-02-16 1927-10-18 Byron O Patrick Compressed-air protective shield
US2032101A (en) * 1935-02-20 1936-02-25 William D Sullivan Fume and dust eliminator
US2402820A (en) * 1942-09-26 1946-06-25 William H Kitchen Welder's mask
US2469273A (en) * 1944-08-22 1949-05-03 Charles M Parker Welding mask attachment
US2560215A (en) * 1945-11-01 1951-07-10 Christensen Marinus Protection mask against poisonous gases and dust
US2507705A (en) * 1947-10-27 1950-05-16 Norman E Gaddini Face mask
US3096702A (en) * 1961-02-23 1963-07-09 Sr Joe W Malone Body supproted air circulator
US3168748A (en) * 1961-06-08 1965-02-09 Limberg Wayne Hat with power cooling
US3566409A (en) * 1966-11-08 1971-03-02 United Aircraft Corp Ventilated bump hat
US3683907A (en) * 1970-07-20 1972-08-15 Mine Safety Appliances Co Fresh air respirator
US3881198A (en) * 1973-08-13 1975-05-06 William A Waters Detachable air conditioning unit for headwear
GB1495020A (en) * 1974-01-16 1977-12-14 Nat Res Dev Respirators
US3921223A (en) * 1974-06-12 1975-11-25 David V Hoyecki Air shield for welders and other craftsmen exposed to noxious fumes
US3881478A (en) * 1974-06-13 1975-05-06 Donaldson Co Inc Hard hat air curtain
US4546496A (en) * 1984-06-11 1985-10-15 Willie Lewis Hat mounted ventilation apparatus
US4680815A (en) * 1986-02-04 1987-07-21 Solarcraft, Inc. Solar powered headwear fan
US4893356A (en) * 1987-09-22 1990-01-16 Waters William A Air conditioned headwear having convertible power module
US5146765A (en) * 1990-10-09 1992-09-15 Waters William A Device for evaporatie cooling of the neck
US5304035A (en) * 1992-10-22 1994-04-19 Great Idea Products Company Portable necklace fan
US5484472C1 (en) * 1995-02-06 2001-02-20 Wein Products Inc Miniature air purifier
US5561862A (en) * 1995-07-14 1996-10-08 Flores, Sr.; Reynaldo Rigid helmet having air blowing system
US5802865A (en) * 1997-09-05 1998-09-08 The Sharper Image Evaporative personal cooler
KR200202640Y1 (ko) * 1998-04-09 2001-01-15 박배식 휴대용선풍기
US6032291A (en) * 1998-12-29 2000-03-07 Asenguah; Augustus Solar powered head cooling device
US6125636A (en) * 1999-01-14 2000-10-03 Sharper Image Corporation Thermo-voltaic personal cooling/heating device
US6155782A (en) * 1999-02-01 2000-12-05 Hsu; Chin-Tien Portable fan
US6135714A (en) * 1999-03-01 2000-10-24 Hsu; Chin-Tien Necklace hanger for portable fan
US6223744B1 (en) * 1999-03-16 2001-05-01 Multi-Vet Ltd. Wearable aerosol delivery apparatus
US6192702B1 (en) * 1999-04-05 2001-02-27 Kotaro Shimogori Personal cooling device
US6464468B2 (en) * 2000-12-29 2002-10-15 Kris Colburn Personal smoke repeller
US20020094271A1 (en) * 2001-01-16 2002-07-18 Yeuan Jian J. Axial flow fan structure
ITMI20010097A1 (it) * 2001-01-19 2002-07-19 Luca Florindo De Depuratore d'aria portatile individuale
US6666647B1 (en) * 2001-07-20 2003-12-23 Russell B. Trask Neck fan for personal cooling
US20050061316A1 (en) * 2002-04-08 2005-03-24 Joseph Manne Air curtain device with flexible shield
WO2003086125A1 (en) * 2002-04-08 2003-10-23 Joseph Manne Air curtain
US7204463B2 (en) * 2003-04-07 2007-04-17 Ying Chi Cheng Balancer device for hanging article
US6955524B2 (en) * 2003-11-17 2005-10-18 Vectacor (A Division Of Bonis & Co.) Necklace fan
US20070190923A1 (en) * 2006-02-13 2007-08-16 Gilley Michael R Personal cooling device
US7828524B2 (en) * 2006-10-30 2010-11-09 Yung Chen Necklace style portable cooling device
US20080307970A1 (en) * 2007-02-23 2008-12-18 Augustine Biomedical And Design, Llc Neck-worn air filtration device
US8480365B2 (en) * 2007-08-03 2013-07-09 Robert Ochoa Cap having pivotably movable fan
US20100198322A1 (en) * 2009-02-05 2010-08-05 Disney Enterprises, Inc. Personal temperature regulator
JP4625877B1 (ja) * 2010-04-19 2011-02-02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送風装置
JP4750210B1 (ja) * 2010-04-19 2011-08-1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型送風装置
US20110259028A1 (en) * 2010-04-27 2011-10-27 Lee Shih-Hsien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
US20110318197A1 (en) * 2010-06-23 2011-12-29 Huber Thomas J Helmet mounted fan
US20120294710A1 (en) * 2011-05-20 2012-11-22 Pao-Feng Lee Style of Fan Device
US20130108481A1 (en) * 2011-10-27 2013-05-02 Lawrence G. Hoye Wearable Fan Assembly And A Method Including The Same
US9360016B2 (en) * 2011-12-01 2016-06-07 Rodney L. Hamilton Body cooling system
US20140093404A1 (en) * 2012-09-20 2014-04-03 Hua Long Miniature body fan
DE102013008901A1 (de) * 2013-05-27 2014-11-27 Dräger Safety AG & Co. KGaA Gebläsefiltersystem
US9486026B1 (en) * 2013-10-25 2016-11-08 Don Whitney Cook, Sr. Personal air cooling visor clip-on
US9877532B2 (en) * 2014-10-10 2018-01-30 Charles J. Raiffeisen Body fan assembly
CN114061008A (zh) * 2014-12-04 2022-02-18 瑞思迈私人有限公司 用于输送空气的可穿戴设备
US10578119B2 (en) * 2015-01-12 2020-03-03 Novel Innovations Inc. Necklace-type fan
US20170266038A1 (en) * 2015-03-26 2017-09-21 Clyoni Peavy Upper body mounted cooling device
WO2017154961A1 (ja) * 2016-03-09 2017-09-14 株式会社セフト研究所 空調衣服用電気部品装着ユニット及び空調衣服
WO2017155133A1 (ko) * 2016-03-09 2017-09-14 주식회사 노벨이노베이션스 클립 타입 선풍기
US11413479B2 (en) * 2016-04-12 2022-08-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of controlling a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US20200337404A1 (en) * 2016-05-20 2020-10-29 William E Otey Headwear with an Integrated Cooling System
JP6482044B2 (ja) * 2016-07-12 2019-03-13 株式会社サンエス 空冷用送風機と、この空冷用送風機を装着した空冷用衣料
US10436206B2 (en) * 2017-06-09 2019-10-08 Shawshank Ledz Inc. Wearable desk fan having a base to facilitate selective positioning of a fan housing to provide varied air flow paths
US11000077B2 (en) * 2017-07-10 2021-05-11 ThermoBionics LL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oling
US9861142B1 (en) * 2017-07-13 2018-01-09 Saverio Rebecchi Visor with fans to deflect vapors for eye protection while cooking
KR102279829B1 (ko) * 2017-12-26 2021-07-21 테츠로 토요다 기류를 송풍하는 장치
US11946479B2 (en) * 2018-01-29 2024-04-02 Rachel Schwimmer Wearable cooling device
US20200187574A1 (en) * 2018-12-13 2020-06-18 Fang Te Hsiang Refrigeration neck fan system
US20200332809A1 (en) * 2019-04-16 2020-10-22 Kenn Stephen BUXTON Portable cooling apparatus
US11624370B2 (en) * 2019-10-09 2023-04-11 Shenzhen Lanhe Technologies Co., Ltd. Portable blowing device
US20220290687A9 (en) * 2019-10-09 2022-09-15 Shenzhen Lanhe Technologies Co., Ltd. Portable blowing device
US11661947B2 (en) * 2019-10-25 2023-05-30 Shenzhen JISU Technology Co., Ltd Neck fan
US20210310718A1 (en) * 2020-04-03 2021-10-07 O2Cool, Llc Portable Misting Fan
US11187241B1 (en) * 2020-05-13 2021-11-30 Shenzhen Lanhe Technologies Co., Ltd. Portable blowing device
US20210368872A1 (en) * 2020-05-29 2021-12-02 Make Great Sales Limited Wearable temperature control device
US11412800B2 (en) * 2020-08-27 2022-08-16 Richard Ng Attachable personal cooling fans
US11319960B2 (en) * 2020-09-03 2022-05-03 Shenzhen Lanhe Technologies Co., Ltd. Portable temperature regula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047B1 (ko) * 2017-10-17 2018-05-11 박정규 넥밴드형 선풍기
KR101834138B1 (ko) 2017-11-10 2018-03-02 조성아 넥밴드형 휴대용 송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송풍시스템
KR102072755B1 (ko) * 2018-05-15 2020-02-03 주식회사 휴로 공기정화 휴대용 선풍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3242A (ko) 2022-02-16 2023-08-23 주식회사 유니어 해충퇴치기능을 구비한 목걸이형 선풍기
KR20230002119U (ko) * 2022-04-28 2023-11-06 신일전자 주식회사 송풍 거리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넥밴드형 선풍기
KR200497790Y1 (ko) * 2022-04-28 2024-02-29 신일전자 주식회사 송풍 거리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한 넥밴드형 선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355963A1 (en)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726B1 (ko) 넥밴드 선풍기
US11213174B2 (en) Dryer
CN219614733U (zh) 便携式皮肤保养设备
EP1213949B1 (en) Emitter assembly
JPH11289134A (ja) 高密度可撓性回路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器
CN112716044A (zh) 主机及气溶胶发生装置
CN112569493B (zh) 呼吸系统
CN109846424A (zh) 动力组件以及具有该动力组件的清洁工具
CN218542648U (zh) 便携式吹风装置
EP4134787A1 (en) Computer device and host module thereof
CN108783844A (zh) 丰唇仪
CN208078076U (zh) 一种供电装置及电子产品
CN210484144U (zh) 一种轻便型无叶风扇
CN111419274A (zh) 一种蓝牙超声设备
CN216134587U (zh) 一种外置音频处理装置
CN110743067A (zh) 雾化美容仪器
CN214908529U (zh) 一种便于组装的牙科光固化机
WO2021000125A1 (zh) 移动终端
CN220248387U (zh) 便携式风扇
CN217660352U (zh) 带风扇的颈托装置
CN214854328U (zh) 主机及气溶胶发生装置
CN220756106U (zh) 理毛梳以及梳理清洁设备
JP7360423B2 (ja) オゾン発生器
CN210381063U (zh) 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CN220365749U (zh) 手持式吹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