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396B1 -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396B1
KR102213396B1 KR1020190048991A KR20190048991A KR102213396B1 KR 102213396 B1 KR102213396 B1 KR 102213396B1 KR 1020190048991 A KR1020190048991 A KR 1020190048991A KR 20190048991 A KR20190048991 A KR 20190048991A KR 102213396 B1 KR102213396 B1 KR 10221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particles
weight
active ingredient
polysorbat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8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5152A (ko
Inventor
조선행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048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396B1/ko
Publication of KR20200125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5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45Specific shapes or structure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of A61K8/024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8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sulfur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93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는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함으로써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물에 대한 낮은 용해성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안정성이 우수하며,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산화가 억제되므로 안정성이 우수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Nanoparticles that encapsulated with anti-wrinkles active ingredient,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nti-wrinkles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노화는 크게 두 가지 과정을 통해 발생하는데, 특별한 환경적 요인 없이 누구에게나 세월과 함께 일어나는 변화를 내인성 노화라 하고, 자외선 조사와 같은 환경요인에 장기간 노출되어 얼굴, 목, 손 등에 나타나는 변화를 광 노화(Photo aging) 혹은 외인성 노화라고 한다.
내인성 노화의 주원인은 우리 몸의 신진대사과정에서 만들어진 반응성 활성 산소 라디칼에 의하여 우리 몸의 구성 성분에 생기는 손상이 누적되기 때문이다. 반면에, 외인성 노화는 유해한 활성산소가 자외선에 의하여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일단 활성산소가 만들어진 후 몸속에 있는 여러 가지 보호 장치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못하게 되면 일련의 염증반응이 일어나 피부 손상이 초래되며, 상기 피부 손상 중 대표적인 손상으로는 피부 주름형성이 있다.
피부 주름형성과 관련된 주요 기작은 피부가 대기오염, 자외선 노출, 스트레스 또는 질병 등의 유해환경으로부터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에 계속적으로 노출되어 체내의 라디칼이 증가되고, 진피의 결합조직인 콜라겐(collagen), 엘라스틴(elastin), 히아루론산(hyaluronic aicd) 등을 파괴하여 피부의 일정 부위 침하현상(주름)을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또한 이러한 기작들은 세포막의 지질 부분을 산화시켜 세포의 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 여드름 또는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외에도 라디칼은 멜라닌 형성과정에 관여하여 기미, 주근깨 및 주름생성의 원인이 된다.
상기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해서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레티놀 및 그 유도체,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 Oxide Dismutase, SOD) 등이 자유 라디칼 소거 기능 또는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물질로 화장료 또는 의약품에 배합되어 주름 및 기타 피부 질환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어 왔으나, 이들은 장기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보다 안전하면서 피부 주름 개선에 효과가 높은 물질을 개발하는 것이 의약품이나 식품 분야뿐만 아니라 화장료 산업 분야에서도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레티놀은 지용성 비타민 A의 대표적인 화합물로서 피부의 표피세포가 원래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레티놀은 피부에 빠르게 침투되어 피부세포의 세포핵 DNA로부터 세포의 성장과 분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활성화시킨다. 또한, 단백질(콜라겐 등) 합성에 관여하는 mRNA를 활성화함으로써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시켜 피부의 결합조직을 증가시킨다. 이에 피부 탄력이 향상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레티놀은 효과가 뛰어난 반면 빛, 온도, 산소 등에 매우 불안정하여 쉽게 산화되어 변색이 발생하므로 피부에 도포한다 하더라도 피부의 내부에 도달할 때까지 레티놀의 안정성과 효과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 환경요인에 대해 장기안정성을 가지고 효과적인 레티놀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특허문헌 1(공개특허 10-2017-0003400)에서 글리콜류 용해제를 사용해 레티놀 나노입자를 제조하였으나, 재현성이 낮아 시간이 오래 지날수록 나노입자가 불안정해져 침전이 생기는 등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개선된 안정성의 나노입자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던 중,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는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함으로써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물에 대한 낮은 용해성 문제를 해결하여 장기안정성이 우수하며,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산화가 억제되므로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03400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환경에 취약한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나노입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 1 내지 30 중량부; 및
피부투과촉진제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름개선 유효성분에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단계 1); 및
피부투과촉진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 1 내지 30 중량부; 및
피부투과촉진제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는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함으로써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물에 대한 낮은 용해성 문제를 해결하고 장기안정성이 우수하며,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산화가 억제되므로 안정성이 우수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나노입자가 6개월이 경과한 후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나노입자가 6개월이 경과한 후의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나노입자가 6개월이 경과한 후의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나노입자가 6개월이 경과한 후의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나노입자가 6개월이 경과한 후의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나노입자를 물에 희석한 후, 입자사이즈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나노입자를 물에 희석한 후 입자사이즈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나노입자를 물에 희석한 후 입자사이즈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과 외부온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과 외부온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과 외부온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과 외부온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과 외부온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각각 제조한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온(25℃)에서 시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레티놀 함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각각 제조한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과 외부 온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레티놀 함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 1 내지 30 중량부; 및
피부투과촉진제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를 제공하며, 상기 나노입자의 입자크기는 5-150nm일 수 있고, 5-100nm일 수 있고, 5-50nm일 수 있고, 10-40nm일 수 있고, 10-30nm 일 수 있고, 10-20n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은 레티노이드(Retinoids), 레티놀(Retinol), 비타민 C, 베튤린산(Betulin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코엔자임 Q10(coenzyme Q10),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오노닌(Ononin),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센티그라스 추출물, 연교추출물, 클로렐라 추출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일실시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을 마이셀화시키기 위하여 용해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40, 폴리소르베이트 65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라면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는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용해제가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분산이 불완전해 추후 사용시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방출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고,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안정성 개선이 미비하여 시약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상기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에 의한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용해도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글리코푸롤, 폴리에틸렌글리콜, 크레모포어, 솔루톨 HS(Solutol HS 15) 등을 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는, 난용성인 약물이 고분자 계면활성제 입자 내부에 안정하게 봉입되어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사용함에 따라, 종래 글리콜류 용해제를 사용하는 나노입자보다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실험예 1 및 실험예 2 참조).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는 마이셀 형성의 역할을 수행하며 폴록사머 184, 폴록사머 185, 폴록사머 188, 폴록사머 124, 폴록사머 237, 폴록사머 338, 폴록사머 407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라면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는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트리블록 공중합체류가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침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입자크기가 증가하여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상기 피부투과촉진제는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Isostearyl glyceryl ether),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카프릴로카프로일 마크로골글리세라이드(Caprylocaproyl macrogolglycerides), 올레오일 마크로골글리세라이드(Oleoyl macrogolglycerides),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Hex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세트리미드(Cetrimide), 벤제토늄클로라이드(Benzethonium chloride),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폴리옥실-10-스테아릴에테르(Brij 56), 폴리옥실-20-세틸에테르(Brij 58), 폴리옥실-2-스테아릴에테르(Brij 72), 폴리옥실-10-스테아릴에테르(Brij 76), 폴리옥실-2-올레일에테르(Brij 93), 폴리옥실-10-올레일에테르(Brij 97), 폴리옥실-35-캐스터오일(Cremophor EL), 폴리옥실-40-하이드로제네이트(Cremophor RH40), 폴리옥실-60-하이드로제네이트(Cremophor RH60)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피부투과촉진제라면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피부투과촉진제는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피부투과촉진제가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에는 피부투과가 우수한 효과를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투과를 위해 요구되는 피부투과촉진제의 양보다 과량이 함유되어 시약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항산화제를 0.1 내지 5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산화제는 α-리포산(α-lipoic acid), α-토코페롤(α-Tocopherol), 레티놀(Retinol), 글루타치온(Glutathione), 부틸화 히드록시 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 (Butylated Hydroxy Anisol), 제니스테인(Genistein), 쿼세틴(Quercetin),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실리빈(Silybin), 디오스메틴(Diosmetin), 캠퍼롤(Kaempferol), 에피카테킨(Epicatechin), 갈란긴(Galangin)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항산화 효과가 있음으로 알려진 물질이라면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항산화제가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산화를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고,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산화방지제의 양보다 과량이 함유되어 시약이 낭비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상기 항산화제는 다른 종류의 항산화제를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항산화제는 제1항산화제 및 제2항산화제로 구성되며, 제1항산화제는 α-리포산(α-lipoic acid), α-토코페롤(α-Tocopherol), 레티놀(Retinol), 글루타치온(Glutathione), 부틸화 히드록시 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 (Butylated Hydroxy Anisol), 제니스테인(Genistein), 쿼세틴(Quercetin),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실리빈(Silybin), 디오스메틴(Diosmetin), 캠퍼롤(Kaempferol), 에피카테킨(Epicatechin), 갈란긴(Galangin)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고, 제2항산화제는 α-리포산(α-lipoic acid), α-토코페롤(α-Tocopherol), 레티놀(Retinol), 글루타치온(Glutathione), 부틸화 히드록시 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 (Butylated Hydroxy Anisol), 제니스테인(Genistein), 쿼세틴(Quercetin),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실리빈(Silybin), 디오스메틴(Diosmetin), 캠퍼롤(Kaempferol), 에피카테킨(Epicatechin), 갈란긴(Galangin)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일 수 있되, 제1항산화제와 제2항산화제는 서로 다른 종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입자는, 서로 다른 2종의 항산화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경우, 1종의 항산화제를 첨가할 때보다,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실험예 3 참조).
또한, 본 발명은 주름개선 유효성분에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단계 1); 및
피부투과촉진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주름개선 유효성분에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교반온도는 20℃ 내지 100℃일 수 있고, 40℃ 내지 80℃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교반은 초음파 처리를 통해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피부투과촉진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단계 2를 수행하기 이전에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 1 내지 30 중량부; 및
피부투과촉진제 0.5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의 시간 경과에 따른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항산화제를 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나노입자의 구체적인 설명은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함유되는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본 발명의 나노입자가 3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또는 20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나노입자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연고, 크림, 폼, 영양화장수, 유연화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크림, 선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하다. 본 발명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일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주름개선 유효성분,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트리블록 공중합체류 및 피부투과촉진제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제조
주름개선 유효성분으로써 레티놀,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로써 폴리소르베이트 20,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로써 F127(폴록사머 407), 피부투과촉진제로 폴리옥실-35-캐스터오일(Cremophor EL)을 사용하여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레티놀(Basf Retinol 50C) 10mg에 폴리소르베이트 20 (Tween 20) 180m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트리블록공중합체류인 F127(폴록사머 407) 180mg과 피부투과촉진제인 폴리옥실-35-캐스터오일 (Cremophor EL) 180mg을 첨가하고 60℃의 온도에서 용융한 후 물에 녹였다.
< 실시예 2> 주름개선 유효성분,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트리블록 공중합체류, 피부투과촉진제 및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제조
주름개선 유효성분으로써 레티놀,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로써 폴리소르베이트 20,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로써 F127(폴록사머 407), 피부투과촉진제로 폴리옥실-35-캐스터오일(Cremophor EL), 항산화제로 α-토코페롤을 사용하여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레티놀(Basf Retinol 50C) 10mg 및 산화방지제 α-토코페롤 29mg에 폴리소르베이트 20 (Tween 20) 180m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트리블록공중합체류인 F127(폴록사머 407) 180mg과 피부투과촉진제인 폴리옥실-35-캐스터오일 (Cremophor EL) 180mg을 첨가하고 60℃의 온도에서 용융한 후 물에 녹였다.
< 실시예 3> 주름개선 유효성분,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트리블록 공중합체류, 피부투과촉진제 및 항산화제 2가지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제조
주름개선 유효성분으로써 레티놀,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로써 폴리소르베이트 20,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로써 F127(폴록사머 407), 피부투과촉진제로 폴리옥실-35-캐스터오일(Cremophor EL), 항산화제로 α-토코페롤 및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을 사용하여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레티놀(Basf Retinol 50C) 10mg 및 산화방지제로 α-토코페롤 29mg과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 10mg에 폴리소르베이트 20 (Tween 20) 180m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트리블록공중합체류인 F127(폴록사머 407) 180mg과 피부투과촉진제인 폴리옥실-35-캐스터오일 (Cremophor EL) 180mg을 첨가하고 60℃의 온도에서 용융한 후 물에 녹였다.
< 비교예 1> 주름개선 유효성분, 글리콜류 용해제, 트리블록 공중합체류 및 피부투과촉진제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제조
주름개선 유효성분으로써 레티놀, 글리콜류 용해제로써 폴리에틸렌글리콜(PEG400),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로써 F127(폴록사머 407), 피부투과촉진제로 폴리옥실-35-캐스터오일(Cremophor EL)을 사용하여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레티놀 10mg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400) 30m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트리블록공중합체류인 F127(폴록사머 407) 60mg과 피부투과촉진제인 폴리옥실-35-캐스터오일 (Cremophor EL) 30mg을 첨가하고 60℃의 온도에서 용융한 후 물에 녹였다.
< 비교예 2> 주름개선 유효성분, 글리콜류 용해제, 트리블록 공중합체류, 피부투과촉진제 및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나노입자의 제조
주름개선 유효성분으로써 레티놀, 글리콜류 용해제로써 폴리에틸렌글리콜(PEG400),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로써 F127(폴록사머 407), 피부투과촉진제로 폴리옥실-35-캐스터오일(Cremophor EL), 항산화제로 α-토코페롤을 사용하여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레티놀 10mg 및 산화방지제 α-토코페롤 2mg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400) 30m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트리블록공중합체류인 F127(폴록사머 407) 60mg과 피부투과촉진제인 폴리옥실-35-캐스터오일 (Cremophor EL) 30mg을 첨가하고 60℃의 온도에서 용융한 후 물에 녹였다.
< 실험예 1> 나노입자의 입자사이즈 평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나노입자의 입자사이즈를 평가하기 위하여 ELS(ELS-Z, Otsuka, Japan) 기기를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과 도 12,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입자사이즈(nm) 17 16.1 16.7 24.8 28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나노입자를 물에 희석한 후, 입자사이즈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나노입자를 물에 희석한 후 입자사이즈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나노입자를 물에 희석한 후 입자사이즈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나노입자는 입자 사이즈가 각각 17nm, 16.1nm 및 16.7nm로 작은 입자크기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글리콜류 용해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나노입자도 또한 24.8nm, 28nm로 작은 입자크기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하는 경우는 입자 사이즈가 작으므로, 글리콜류 용해제를 포함하는 경우보다 나노입자의 피부투과율이 높아져 주름개선 효능 발현에 대한 효율이 개선된다.
또한,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나노입자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 내지 도 11에 나타내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나노입자가 6개월이 경과한 후의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나노입자가 6개월이 경과한 후의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나노입자가 6개월이 경과한 후의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나노입자가 6개월이 경과한 후의 사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나노입자가 6개월이 경과한 후의 사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용액은 제조된 직후에는 투명한 용액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산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과 항산화제를 1가지만 포함하는 실시예 2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용액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상이 불투명해지거나 짙은 색상으로 변화하였다. 또한,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산화제 2가지를 포함하는 실시예 3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용액의 경우, 시간이 지나도 투명한 용액으로 남아있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용액은 제조된 직후에는 투명한 용액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용액은 항산화제를 포함하지 않아 시간이 경과하면서 용액의 색이 변하였고 그 이후 침전까지 발생하였으며, 비교예 2의 나노입자를 제조하여 물에 희석한 용액은 비교적 색상이 유지되었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침전이 발생하였다.
이 때, 용액이 투명하고 침전물이 없으며 색의 변화가 없으면 나노입자가 안정하게 제조된 것이고, 침전물이 있으면 나노입자 자체가 안정하지 못한 것이며, 색의 변화가 있으면 레티놀의 산화 안정성이 떨어진 것이다. 따라서,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하는 경우가 글리콜류 용해제를 포함하는 경우보다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이 우수하고, 항산화제 2가지를 포함하는 경우가 항산화제를 포함 않거나 1가지를 포함하는 경우보다 레티놀의 산화방지성이 우수하다.
< 실험예 2> 장기안정성 평가를 위한 나노입자의 입자사이즈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조한 나노입자를 각각 실온(25℃) 및 50℃에 두고 시간에 따른 입자사이즈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5 내지 도 19에 나타내었다.
단위(nm) 실온(25℃) 40℃
실시예 1 0개월 17 17
6개월 120.8 188.1
실시예 2 0개월 16.1 16.1
6개월 17 15.5
실시예 3 0개월 16.7 16.7
6개월 14.18 13.9
비교예 1 0개월 24.8 24.8
6개월 1781.538 1358
비교예 2 0개월 28 28
6개월 1648 1023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과 외부온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과 외부온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과 외부온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비교예 1의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과 외부온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비교예 2의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과 외부온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입자 사이즈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산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의 나노입자의 경우 외부 조건에 의해 입자사이즈가 변화하며 나노입자가 변색되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안정성이 우수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나노입자의 경우 외부 조건에 의한 입자사이즈 변화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나노입자의 경우 6개월이 지난 후 침전물이 생기면서 입자 크기가 매우 크게 측정되었다.
또한,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나노입자가 글리콜류 용해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나노입자보다 외부 조건에 의한 입자사이즈 변화가 적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는, 항산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보다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것이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글리콜류 용해제보다는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하는 것이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이 우수하다.
< 실험예 3> 장기안정성 평가를 위한 주름개선 유효성분인 레티놀 함량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실시예 2 및 실시예 3와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입자사이즈 측정을 위하여, 각각 실온(25℃)에서 6개월 및 40℃에서 3개월 동안 두고 HPLC(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통한 레티놀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20 내지 도 21에 나타내었다.
단위(%) 0개월 3개월 6개월
실시예 1 실온(25℃) 100 - 50.7
40℃ 100 42 -
실시예 2 실온(25℃) 100 - 76
40℃ 100 70 -
실시예 3 실온(25℃) 100 - 96
40℃ 100 85 -
비교예 1 실온(25℃) 100 - 33
40℃ 100 39 -
비교예 2 실온(25℃) 100 - 72
40℃ 100 67.1 -
도 20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각각 제조한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온(25℃)에서 시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레티놀 함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비교예 2 및 실시예 1 내지 3에서 각각 제조한 나노입자의 장기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간과 외부 온도 조건을 변화시킴에 따른 레티놀 함량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를 포함하고 항산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실시예 1의 나노입자의 경우, 육안으로도 색상 변화가 있었으며 외부 조건에 의해 레티놀 함량 변화가 나타났다.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와 항산화제 1가지를 포함하는 실시예 2의 나노입자의 경우, 육안으로는 큰 변화를 확인하지 못했으나 레티놀 함량 변화가 일어났으며,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와 항산화제 2가지를 포함하는 실시예 3의 나노입자의 경우, 비교예 1 및 비교예 2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나노입자에 비하여 높은 레티놀 함량을 유지하였다. 글리콜류 용해제를 포함하고 항산화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의 나노입자의 경우, 외부 조건에 의한 레티놀 함량 변화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글리콜류 용해제와 항산화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2의 나노입자의 경우, 실시예 2의 나노입자와 비슷한 함량 변화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나노입자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나노입자가 불안정하여 침전물이 생겼다.
따라서, 장기안정성 향상 측면에서,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및 항산화제 2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제제예 1>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8-1> 크림의 제조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4.6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8 중량부
밀납 2.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중량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1 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1.4 중량부
호호바오일 4 중량부
스쿠알란 3.8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 60 1.1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2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4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Euxyl K-400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7 중량부
메칠파라벤 0.05 중량부
글리세린 6 중량부
d-판데놀 0.2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2 중량부
pt 41891 0.2 중량부
p-H2O 46.05 중량부
<8-2> 로션의 제조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3.5 중량부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6 중량부
스테아린산 1.4 중량부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1.8 중량부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 2.6 중량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 0.6 중량부
스쿠알렌 4.8 중량부
마카다이아오일 2 중량부
호호바오일 2 중량부
초산토코페롤 0.4 중량부
메칠폴리실록산 0.2 중량부
에칠파라벤 0.1 중량부
프로필파라벤 0.1 중량부
1,3-부칠렌글리콜 4 중량부
메칠파라벤 0.1 중량부
산탄검 0.1 중량부
글리세린 4 중량부
d-판데놀 0.15 중량부
알란토인 0.1 중량부
카르보내(2% aq. Sol) 4 중량부
트리에탄올아민 0.15 중량부
에탄올 3 중량부
pt 41891 0.1 중량부
p-H20 48.3 중량부
<8-3> 유연 화장수의 제조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0.2 중량%
에탄올 10.0 중량%
폴리라우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1.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1,3-부틸글리콜 6.0 중량%
향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적량
총 100
<8-4> 영양 화장수의 제조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0.1 중량%
와셀린 2.0 중량%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0.8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2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적량
프로필렌글리콜 5.0 중량%
에탄올 3.2 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18.0 중량%
색소 적량
향 적량
정제수 적량
총 100
<8-5> 에센스의 제조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10.0 중량%
글리세린 10.0 중량%
히알루론산나트륨수용액(1%) 5.0 중량%
에탄올 3.2 중량%
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 1.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1 중량%
향 적량
정제수 적량
총 100
<8-6> 팩의 제조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0.5 중량%
글리세린 5.0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4.0 중량%
폴리비닐알코올 15.0 중량%
에탄올 8.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틸 1.0 중량%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0.2 중량%
향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적량
총 100
상기 조성비는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제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성분 또는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12)

  1.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 1 내지 30 중량부; 및
    피부투과촉진제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은 레티노이드(Retinoids), 레티놀(Retinol), 비타민 C, 베튤린산(Betulin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코엔자임 Q10(coenzyme Q10),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오노닌(Ononin), 동물 태반 유래의 단백질, 센티그라스 추출물, 연교추출물 및 클로렐라 추출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는 폴리소르베이트 20, 폴리소르베이트 80, 폴리소르베이트 60, 폴리소르베이트 40 및 폴리소르베이트 65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는 폴록사머 184, 폴록사머 185, 폴록사머 188, 폴록사머 124, 폴록사머 237, 폴록사머 338 및 폴록사머 407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투과촉진제는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이소스테아릴글리세릴에테르(Isostearyl glyceryl ether), 폴리소르베이트 80(polysorbate 80),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Sorbitan sesquioleate), 카프릴로카프로일 마크로골글리세라이드(Caprylocaproyl macrogolglycerides), 올레오일 마크로골글리세라이드(Oleoyl macrogolglycerides),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헥사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Hexa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 세트리미드(Cetrimide), 벤제토늄클로라이드(Benzethonium chloride), 세틸피리디늄클로라이드(Cetylpyridinium chloride), 폴리옥실-10-스테아릴에테르(Brij 56), 폴리옥실-20-세틸에테르(Brij 58), 폴리옥실-2-스테아릴에테르(Brij 72), 폴리옥실-10-스테아릴에테르(Brij 76), 폴리옥실-2-올레일에테르(Brij 93), 폴리옥실-10-올레일에테르(Brij 97), 폴리옥실-35-캐스터오일(Cremophor EL), 폴리옥실-40-하이드로제네이트(Cremophor RH40) 및 폴리옥실-60-하이드로제네이트(Cremophor RH60)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는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를 기준으로 항산화제를 0.1 내지 5 중량부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α-리포산(α-lipoic acid), α-토코페롤(α-Tocopherol), 글루타치온(Glutathione), 부틸화 히드록시 톨루엔(Butylated hydroxy toluene), 부틸레이티드하이드록시아니솔 (Butylated Hydroxy Anisol), 제니스테인(Genistein), 쿼세틴(Quercetin), 프로필 갈레이트(Propyl gallate),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갈로카테킨 갈레이트(Gallocatechin gallate), 실리빈(Silybin), 디오스메틴(Diosmetin), 캠퍼롤(Kaempferol), 에피카테킨(Epicatechin) 및 갈란긴(Galangin)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다른 종류의 항산화제를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입자.
  9. 주름개선 유효성분에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및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를 첨가하여 교반하는 단계(단계 1); 및
    피부투과촉진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제1항의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를 수행하기 이전에, 항산화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주름개선 유효성분 1 중량부;
    폴리소르베이트계 용해제 1 내지 30 중량부;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형태의 트리블록 공중합체류 1 내지 30 중량부; 및
    피부투과촉진제 1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입자는 항산화제를 0.1 내지 5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48991A 2019-04-26 2019-04-26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991A KR102213396B1 (ko) 2019-04-26 2019-04-26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8991A KR102213396B1 (ko) 2019-04-26 2019-04-26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152A KR20200125152A (ko) 2020-11-04
KR102213396B1 true KR102213396B1 (ko) 2021-02-05

Family

ID=735715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8991A KR102213396B1 (ko) 2019-04-26 2019-04-26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39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433B1 (ko) * 2003-09-19 2010-12-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및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5225B1 (ko) 2015-06-29 2018-01-08 한국화학연구원 주름개선 유효물질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33588A (ko) * 2017-06-07 2018-12-17 (주)바이오제닉스 카테킨을 이용한 안정화된 클로로필a 에멀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433B1 (ko) * 2003-09-19 2010-12-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및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5152A (ko)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225B1 (ko) 주름개선 유효물질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0764B1 (ko) 나노구조 지질 전달체로 안정화된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v et al. Improvement of the solubility, photostability, antioxidant activity and UVB photoprotection of trans-resveratrol by essential oil based microemulsions for topical application
AU2010290666B2 (en) Sunscreen cosmetic
AU2011318580B2 (en) Methods of increasing solubility of poorly soluble compoun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formulations of such compounds
KR101800859B1 (ko) 미백개선 유효물질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4617780A (zh) 一种视黄醇衍生物油性凝胶珠、包含油性凝胶珠的皮肤护理组合物及制备方法
CN107496181B (zh) 含有白藜芦醇的增溶体系
CN108401417A (zh) 包含含有美白改善有效物质的纳米粒子的化妆品及其制备方法
CA2607718A1 (en) Sunless tanning composition and methods for using
KR101598623B1 (ko) 에칠헥실트리아존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 혼합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13396B1 (ko)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063295A (ja) 白金/銀コロイド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7374755B2 (ja) 皮膚外用組成物
KR102585227B1 (ko) 폴리페놀계 유효 성분 안정화용 조성물
JPH07101844A (ja) 多層エマルジョン
KR102080034B1 (ko)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336095A (ja) 外用組成物
KR102561353B1 (ko)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012439A (ja) L−アスコルビン酸−2−リン酸塩の着色及び臭い発生の防止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た皮膚外用剤
KR101970949B1 (ko) 징크 옥사이드 무기분체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57248A (ko) 난용성 성분을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2396548B1 (ko) 항산화 및 주름개선 유효성분이 봉입된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주름개선용 액상 소재 조성물
KR101845517B1 (ko) 폴리감마글루탐산과 감마올리고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리포좀 복합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3154359A1 (ko) 나노에멀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