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606B1 - 짧은 사슬 지방산 생성 장내 세균 군집의 변화를 이용한 알코올성 간 질환의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짧은 사슬 지방산 생성 장내 세균 군집의 변화를 이용한 알코올성 간 질환의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2606B1 KR102212606B1 KR1020180115823A KR20180115823A KR102212606B1 KR 102212606 B1 KR102212606 B1 KR 102212606B1 KR 1020180115823 A KR1020180115823 A KR 1020180115823A KR 20180115823 A KR20180115823 A KR 20180115823A KR 102212606 B1 KR102212606 B1 KR 1022126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rain
- fatty liver
- alcoholic fatty
- group
- roseburia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44000005709 gut microbiome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9
- 150000004666 short chain fatty acids Chemical group 0.000 title description 11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7
- 208000022309 Alcoholic Liver disease Disease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08000026594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7
- 208000010706 fatty liver disease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08000007082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06010016262 Fatty liver alcoholic Diseas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9000006041 probiot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8291 probiotic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6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41000398180 Roseburia intestina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10000003495 flagella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9000002158 endotox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29920006008 lipopolysaccha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108090000304 Occludin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102000000591 Tight Junction Protein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108010002321 Tight Junction Protein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10000001578 tight junction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101000889128 Homo sapiens C-X-C motif chemokine 2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01001133081 Homo sapiens Mucin-2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605861 Prevotell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702460 Akkermans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01150112561 CD36 gene Proteins 0.000 claims 1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0529 probio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0090 biomark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8
- 241000605947 Rosebu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04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3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40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31
- 210000004379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29
- 210000002490 intestinal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5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5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8
- 102000003940 Occlud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7
- 210000000936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7
- 241000872832 Roseburia hominis Species 0.000 description 16
- MHMNJMPURVTYEJ-UHFFFAOYSA-N fluorescein-5-isothiocyanate Chemical compound O1C(=O)C2=CC(N=C=S)=CC=C2C21C1=CC=C(O)C=C1OC1=CC(O)=CC=C21 MHMNJMPURVTY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3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3
- 108020004465 16S ribosomal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2207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12
- 102100036475 Alanine aminotransferase 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1
- 108010082126 Alanine transami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1
- FERIUCNNQQJTOY-UHFFFAOYSA-N Butyr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FERIUCNNQQJT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102100039398 C-X-C motif chemokine 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108010045374 CD36 Antig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101000947186 Homo sapiens C-X-C motif chemokine 5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4060 me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108010003415 Aspartate Aminotransfer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8
- 102000004625 Aspartate Aminotransfer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102000053028 CD36 Antige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WZUVPPKBWHMQCE-UHFFFAOYSA-N Haematoxylin Chemical compound C12=CC(O)=C(O)C=C2CC2(O)C1C1=CC=C(O)C(O)=C1OC2 WZUVPPKBWHMQ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06010067125 Liver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8
- 102100034263 Mucin-2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102100040247 Tumor necrosis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580 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XBDQKXXYIPTUBI-UHFFFAOYSA-N dimethylselenoniopropionate Natural products CCC(O)=O XBDQKXXYIPTU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8
- UFTFJSFQGQCHQW-UHFFFAOYSA-N triformin Chemical compound O=COCC(OC=O)COC=O UFTFJSFQGQCHQ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102100036150 C-X-C motif chemokine 5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2307 Dextra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08000004930 Fatty Li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6010019708 Hepatic stea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NPGIHFRTRXVWOY-UHFFFAOYSA-N Oil red O Chemical compound Cc1ccc(C)c(c1)N=Nc1cc(C)c(cc1C)N=Nc1c(O)ccc2ccccc12 NPGIHFRTRXVWO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108060008682 Tumor Necrosis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955 epithelia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99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1100000234 hepatic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18 liver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1100000240 steatosis hepatitis Toxicity 0.000 description 7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8000012550 audi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5228 liver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MZOFCQQQCNRIBI-VMXHOPILSA-N (3s)-4-[[(2s)-1-[[(2s)-1-[[(1s)-1-carboxy-2-hydroxyethyl]amino]-4-methyl-1-oxopentan-2-yl]amino]-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3-[[2-[[(2s)-2,6-diaminohexanoyl]amino]acetyl]amino]-4-oxo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CC(C)C)NC(=O)[C@H](CCCN=C(N)N)NC(=O)[C@H](CC(O)=O)NC(=O)CNC(=O)[C@@H](N)CCCCN MZOFCQQQCNRIBI-VMXHOPILSA-N 0.000 description 5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108010091358 Hypoxanth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102100029098 Hypoxanthine-guanine phosphoribosyltransfer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476 alcoh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1202853 Bla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108091003079 Bovine Serum Albumin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8010074051 C-Reactive Protein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108010012236 Chem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41000193403 Clostridium Species 0.000 description 4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41000917009 Lactobacillus rhamnosus GG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UIIMBOGNXHQVGW-UHFFFAOYSA-M Sodium bicarbonate Chemical compound [Na+].OC([O-])=O UIIMBOGNXHQVGW-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242 anti bacteri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40088710 antibio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534 cecum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19 correlation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YQGOJNYOYNNSMM-UHFFFAOYSA-N eosin Chemical compound [Na+].OC(=O)C1=CC=CC=C1C1=C2C=C(Br)C(=O)C(Br)=C2OC2=C(Br)C(O)=C(Br)C=C21 YQGOJNYOYNNSM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550 fe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894 fetal calf ser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865 immun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29940059406 lactobacillus rhamnosus gg Drug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012 network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260 propio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IUVKMZGDUIUOCP-BTNSXGMBSA-N quinbolone Chemical compound O([C@H]1CC[C@H]2[C@H]3[C@@H]([C@]4(C=CC(=O)C=C4CC3)C)CC[C@@]21C)C1=CCCC1 IUVKMZGDUIUOCP-BTNSXGMB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NQPDZGIKBAWPEJ-UHFFFAOYSA-N valer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O)=O NQPDZGIKBAWP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QTBSBXVTEAMEQO-UHFFFAOYSA-N 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O QTBSBXVTEAMEQ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41000702462 Akkermansia muciniphil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19034 Chem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0476 Fatty Acid Transport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55870 Fatty Acid Transport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99 complementary D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68 control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71 cre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354 dail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20510 functional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1 glucose and fructose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440 neutrophil Anatomy 0.000 description 3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73 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3729 nucleot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361 pathwa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15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952 spleen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473 univariat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262 western blo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08091032973 (ribonucleotides)n+m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JKMHFZQWWAIEOD-UHFFFAOYSA-N 2-[4-(2-hydroxyethyl)piperazin-1-yl]ethanesulf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C[NH+]1CCN(CCS([O-])(=O)=O)CC1 JKMHFZQWWAIEO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RPAUEVGEGEPFQ-UHFFFAOYSA-N 2-[4-[2-(2,3-dihydro-1H-inden-2-ylamino)pyrimidin-5-yl]pyrazol-1-yl]-1-(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ethano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C=C12)NC1=NC=C(C=N1)C=1C=NN(C=1)CC(=O)N1CC2=C(CC1)NN=N2 ZRPAUEVGEGEPF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VBFMEVBMNZIBR-UHFFFAOYSA-N 2-methylvaler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C)C(O)=O OVBFMEVBMNZIB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IKHGUXGNUITLKF-UHFFFAOYSA-N Acetaldehyde Chemical compound CC=O IKHGUXGNUITLK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010085238 Act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7469 Act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7698 Alcohol dehydrogen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21809 Alcohol dehydroge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108091023037 Aptamer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020 BCA Protein Assay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100032752 C-reactive prote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746 C57BL/6J (JAX™ mouse strai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2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8700039887 Essential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95 HEPES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9728 Hepatitis alcoholic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91028043 Nucleic acid sequenc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004 PCR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353 alcoholic hepat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02 anim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74 antisense oligo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30 antisense oligonucleotide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25 aqueous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4 chro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835 compar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850 comple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140 cultur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016 di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52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68 gen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40 hep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44 intestinal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KQNPFQTWMSNSAP-UHFFFAOYSA-N isobutyric acid Chemical compound CC(C)C(O)=O KQNPFQTWMSNSA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734 kidne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60 loading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49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72 mon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097 mucus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91 multivariat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81 next generation sequenc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25 pharmaceutical prepar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127557 pharmaceutical product Drugs 0.000 description 2
- IYDGMDWEHDFVQI-UHFFFAOYSA-N phosphoric acid;trioxotungsten Chemical compound O=[W](=O)=O.O=[W](=O)=O.O=[W](=O)=O.O=[W](=O)=O.O=[W](=O)=O.O=[W](=O)=O.O=[W](=O)=O.O=[W](=O)=O.O=[W](=O)=O.O=[W](=O)=O.O=[W](=O)=O.O=[W](=O)=O.OP(O)(O)=O IYDGMDWEHDFVQ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13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27 radioimmuno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53 real-time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ELXLJCILKEWJH-NCGAPWICSA-N rebaudioside A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H]([C@@H]1O[C@H]1[C@@H]([C@@H](O)[C@H](O)[C@@H](CO)O1)O)O[C@]12C(=C)C[C@@]3(C1)CC[C@@H]1[C@@](C)(CCC[C@]1([C@@H]3CC2)C)C(=O)O[C@H]1[C@@H]([C@@H](O)[C@H](O)[C@@H](CO)O1)O)[C@@H]1O[C@H](CO)[C@@H](O)[C@H](O)[C@H]1O HELXLJCILKEWJH-NCGAPWIC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115 recruit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391 short chain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30 sodium bi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557 sodium bicarbon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29960005322 strept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005605 valer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2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618 yogur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DGVVWUTYPXICAM-UHFFFAOYSA-N β‐Mercaptoethanol Chemical compound OCCS DGVVWUTYPXIC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215068 Acacia senegal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491 Acacia seneg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778935 Akkermansia muciniphila ATCC BAA-835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108020000948 Antisense Oligonucleo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1485 Aspartam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000 Bifido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ERIUCNNQQJTOY-UHFFFAOYSA-M Butyrate Chemical compound CCCC([O-])=O FERIUCNNQQJTOY-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PTHCMJGKKRQCBF-UHFFFAOYSA-N Cellulose, microcrystallin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C(CO)O1 PTHCMJGKKRQC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333 Colorectal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858 Cycl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1202 Cytochrome P-450 CYP2E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4889 Cytochrome P450 2E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616 DNA repai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6911 Deoxyribonucle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3770 Deoxyribonucle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007 Diagnostic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UHFFFAOYSA-N Elaidinsaeure-aethylester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588921 Enterobacter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12 FEMA 460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6217 Glycolip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886 Glyc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88 Glyc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8 Glycyrrhiz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84 Gum arab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4343 Integras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043362 Megamon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18697 Membrane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2285 Membrane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8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8091034117 Oligonucleotid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385060 Prevotella copr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158 Protease/peptidase inhibitor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83 RIPA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02 RNA extraction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2799 RNA-directed DNA polym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SEAGSNCFSA-N Rebaudioside A Natural products O=C(O[C@H]1[C@@H](O)[C@@H](O)[C@H](O)[C@@H](CO)O1)[C@@]1(C)[C@@H]2[C@](C)([C@H]3[C@@]4(CC(=C)[C@@](O[C@H]5[C@H](O[C@H]6[C@H](O)[C@@H](O)[C@H](O)[C@@H](CO)O6)[C@@H](O[C@H]6[C@H](O)[C@@H](O)[C@H](O)[C@@H](CO)O6)[C@H](O)[C@@H](CO)O5)(C4)CC3)CC2)CCC1 HELXLJCILKEWJH-SEAGSNCF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192031 Rumin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00 Sequenc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228451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150057615 Syn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0 TBST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6785 Taq Polym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42 Tryps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31 Tryps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9956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71 adjuv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3 aeros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81 amniotic flu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0 aqueous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5 asparta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7 aspartam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IAOZJIPTCAWIRG-QWRGUYRKSA-N aspartame Chemical compound OC(=O)C[C@H](N)C(=O)N[C@H](C(=O)OC)CC1=CC=CC=C1 IAOZJIPTCAWIRG-QWRGUYRK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38 aspartam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UYVBRFLSA-N beta-mal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2[C@H](O)[C@@H](O)[C@H](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UYVBRFL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30 bind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72 biological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69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4 caus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779 cell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887 cell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34 cel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43 chem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5 chemical reaction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72 col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940 control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35 defic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13 dietary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76 disease causative age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84 disinteg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5 emulsify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11 endothel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HELXLJCILKEWJH-UHFFFAOYSA-N entered according to Sigma 01432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C)(C(=O)OC4C(C(O)C(O)C(CO)O4)O)C3CCC2(C2)CC(=C)C21OC(C1OC2C(C(O)C(O)C(CO)O2)O)OC(CO)C(O)C1OC1OC(CO)C(O)C(O)C1O HELXLJCILKEWJ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1 epi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LVGKNOAMLMIIKO-QXMHVHEDSA-N ethyl oleat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CC(=O)OCC LVGKNOAMLMIIKO-QXMHVHED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93471 ethyl ole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9 fatty ac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94 fatty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65 fatty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50 fee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631 food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0 frozen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830 gala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69 gas chromatography-flame ionisation det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UHFFFAOYSA-N glycyrrhetinic acid glycoside Natural products C1CC(C2C(C3(CCC4(C)CCC(C)(CC4C3=CC2=O)C(O)=O)C)(C)CC2)(C)C2C(C)(C)C1OC1OC(C(O)=O)C(O)C(O)C1OC1OC(C(O)=O)C(O)C(O)C1O LPLVUJXQOOQHM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UYRUBYNTXSDKQT-UHFFFAOYSA-N glycyrrhizic acid Natural products CC1(C)C(CCC2(C)C1CCC3(C)C2C(=O)C=C4C5CC(C)(CCC5(C)CCC34C)C(=O)O)OC6OC(C(O)C(O)C6OC7OC(O)C(O)C(O)C7C(=O)O)C(=O)O UYRUBYNTXSDKQ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949 glycyrrhiz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0 glycyrrhiz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PLVUJXQOOQHMX-QWBHMCJMSA-N glycyrrhizin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O[C@@H]1O[C@@H]1C([C@H]2[C@]([C@@H]3[C@@]([C@@]4(CC[C@@]5(C)CC[C@@](C)(C[C@H]5C4=CC3=O)C(O)=O)C)(C)CC2)(C)CC1)(C)C)C(O)=O)[C@@H]1O[C@H](C(O)=O)[C@@H](O)[C@H](O)[C@H]1O LPLVUJXQOOQHMX-QWBHMCJM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07 health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21 health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53 hepatic injury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4 hepat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03 high-speed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00 immun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7 immune syste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114 immuno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44 immuno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7 impedance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13 intestinal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52 inverse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0 jell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4 jell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865 kupffe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9 large intest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34 ligase chai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88 liquid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56 liqui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669 liquid formul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72 lun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66 lys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03 mPC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26 management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04 medi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999 messenger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02 metabolic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3 microcrystalline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8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286 microcrystalline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64 monolayer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57 nested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338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01 novel bio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39446 nucleic acid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90 olive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06 oliv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6 oral dosage for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79 pH adjus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03 pastil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75 path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37 peptide hydrolas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381 plasm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264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2 polymerase chai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82 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17 polysaccha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40 portal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2 pos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5 pri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87 primer (paint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02 quant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45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6 re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35 reaction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3 rebaudioside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076 repl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7 reverse transcription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61 ribonuclease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04 saccha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CVHZOJJKTDOEJC-UHFFFAOYSA-N saccharin Chemical compound C1=CC=C2C(=O)NS(=O)(=O)C2=C1 CVHZOJJKTDOE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1974 saccha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01 saccharin and its Na,K and Ca s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HFHDHCJBZVLPGP-UHFFFAOYSA-N schardinger α-dextrin Chemical compound O1C(C(C2O)O)C(CO)OC2OC(C(C2O)O)C(CO)OC2OC(C(C2O)O)C(CO)OC2OC(C(O)C2O)C(CO)OC2OC(C(C2O)O)C(CO)OC2OC2C(O)C(O)C1OC2CO HFHDHCJBZVLP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66 serum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55 soli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228 spectru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94 surface-ac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1 tissue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27 tissue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00 topic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62 touchdown PC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518 transcri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7 transcrip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269 treatment regime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88 tryp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12 vegetable and seed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8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60 vorte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208—Specific bacteria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02—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viable microorganisms
- C12Q1/04—Determining presence or kind of microorganism; Use of selective media for testing antibiotics or bacteriocides; Compositions containing a chemical indicator therefor
- C12Q1/06—Quantitative determina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6—Bacterial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2035/11—Medicinal preparations comprising living procariotic cells
- A61K2035/115—Probiotic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2039/54—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characterised by the route of administration
- A61K2039/541—Mucosal route
- A61K2039/542—Mucosal route oral/gastrointestinal
-
- C12R1/01—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Immu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코올성 지방간의 바이오 마커로 작용할 수 있는 균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을 개선하는 효능을 가진 로제부리아 속 균주, 상기 균주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진단용 조성물, 및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장 내 미생물을 이용한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위험도 예측 또는 진단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알코올성 간질환 (ALD; Alcoholic liver disease)의 원인은 알코올로서, 알코올은 위장관내에서 쉽게 흡수되며 그중 2~10%는 신장과 폐로 제거되고 나머지는 주로 간에서 산화된다. 만성적인 음주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간세포의 지방대사 불균형을 초래하여 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도함이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알코올성 간 손상 발생 기전은 섭취된 알코올의 약 70%가 알코올 탈수소 효소 (ADH, alcohol dehydrogenases)에 의해, 나머지 30%가 시토크롬 (cytochrome) P450 2E1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 (acetaldehyde)로 변환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들은 알코올성 간염환자에서 현저하게 증가된 장내 세균과 내독소 (endotoxin)중 하나인 리포다당류 (LPS, lipopolysaccharide)가 알코올성 간 손상의 중요한 원인임을 제시하고 있다.
장내 미생물총의 구성비율은 인체의 면역 상태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데, 만성 음주로 인하여 장 상피세포간의 결합 (tight junction)이 저해되고 장 누수 (leaky gut) 현상이 발생하면, 장내 그람음성균들의 LPS가 문맥을 통해 많이 이동하게 되고 간 내 쿠퍼 세포 (kupffer cell)의 활성 유도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cytokine) 생성으로 인해 심한 간 손상이 유도된다.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방법을 이용하는 세균 군집 분석을 통해 비배양성을 포함한 미생물총의 분석이 가능해졌으며, 미생물 유전체의 다양성과 질환과의 연관성을 규명하는 연구가 시행되고 있다.
장내 미생물총이 장관계 면역 외에도 간, 뇌, 신장과 같은 2차 장기의 질환 증상에 관여될 수 있으며, 장내 미생물총의 구성 비율뿐만 아니라 특정 균주의 획득이 면역 체계에 있어 매우 중요함이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는 장내 미생물을 확인하여, 이를 이용한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을 진단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활성을 가진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 내 로제부리아 (Roseburia) 속 균주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대상 (subject)의 장내에 존재하는 제1항에 따른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 완화 활성을 가지는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양을 측정하는 제1단계;
알코올을 섭취시킨 대조군의 장내에 존재하는 제1항에 따른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 완화 활성을 가지는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양을 측정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1단계 및 제2단계에서 측정한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양을 비교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방법을 이용한 장내 세균 군집 분석과 이를 이용한 알코올 섭취량에 변화하는 마이크로비옴 바이오 마커 발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알코올 섭취량에 변화하는 마이크로비옴 바이오 마커에 해당하는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균주를 분리하고 마우스 실험을 통해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 증상 개선 효능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건강한 한국인에서 분리된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SNUG30017 균주를 발굴하고 이를 대상으로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 개선 효능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 활성을 가지는 로제부리아(Roseburia) 속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예는, 본 발명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 상기 균주의 편모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예는, 본 발명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 상기 균주의 편모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예는, 본 발명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 상기 균주의 편모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또는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제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장내 미생물 균총의 다양성 증가, 또는 대사와 관련된 장내 미생물 균총 기능성 증가를 유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예는, 대상 (subject)의 장 내에 존재하는, 본 발명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정량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지방산 대사체인 부티르산 및 프로피오닉산의 농도를 정량하는 제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일예는, 대상 (subject)의 장내에 존재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 완화 활성을 가지는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양을 측정하는 제1단계; 알코올을 섭취시킨 대조군의 장내에 존재하는 제1항에 따른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 완화 활성을 가지는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양을 측정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1단계 및 제2단계에서 측정한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양을 비교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진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활성을 가지는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예를 들면 알코올 섭취량에 따른 장 내 균총 분석 결과 알코올 섭취량이 적은 정상 그룹에서 로제부리아 속 균주가 연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상기 연관성을 보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선택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활성을 가지는 로제부리아 속 균주로 채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장내균총에서 유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장 상피세포간 밀착연접(tight junction) 강화를 통해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로제부리아 속 균주가 첨가될 경우, 상피세포막의 상피 저항이 증가되어 장의 상피세포 간 결합이 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실시예 7).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Roseburia intestinalis), 및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Roseburia hominis)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Roseburia intestinalis)일 수 있다.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Roseburia intestinalis) SNUG30017일 수 있다.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Roseburia hominis) DSM 16839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하기와 같은 특성을 1종 이상 가진 균주일 수 있다.
(1) 상피세포간 밀착연접(tight junction)을 강화, 상피세포 막의 상피 전기저항을 증가, Zo-1 및 Occludin 유전자의 발현량 증가, 또는 MUC2 유전자의 발현량 증가,
(2) 알코올성 지방간의 발생 원인 물질, 예를 들면 혈중 리포다당류(LPS)의 농도 감소,
(3) 간 손상의 개선, 혈중 ALT 농도 감소, 혈중 AST 농도 감소, 간의 중성지방 감소, 생체 내 장벽 투과도 실험으로 FITC 투여 시 혈중 FITC 형광 발현 감소, 또는 Oil Red O 염색 결과 간의 지방량 감소,
(4) 지방간 유발 유전자의 발현 감소, 또는 PPAR-r 및 CD36 유전자의 발현량 감소,
(5) 간 손상 증상의 개선 또는 치료, CXCL2 및 CXCL5 유전자의 발현량 감소,
(6) 간에서의 염증 반응 감소, 또는 TNF-α 및 IL-1β 유전자의 발현량 감소.
(7) 장내 미생물 균총 회복 및 다양성 증가,
(8) DNA 회복 및 대사와 관련된 장내 미생물 균총 기능성 증가.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상피세포간 밀착연접 강화 특성은, 세포간 밀착연접(tight junction)의 기능 유지 또는 증가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밀착 연접 활성 증가, 밀착 연접 단백질, 예를 들면 막단백질인 occludin의 mRNA 발현 증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인간유래 대장세포주인 Caco-2 세포주에서 밀착연접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켜 장세포간 밀착연접 특성을 향상시킨다.
예를 들어, Caco-2 세포에 상기 균주를 투여 후 24시간 후 상피세포 막의 상피 전기저항 (TEER,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의 증가율(%)이 대조구 대비 1배 이상, 1.2배 이상, 1.4배 이상, 1.6배 이상, 1.8배 이상, 또는 2배 이상으로 나타나(도 8a), 상피세포간 결합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TEER는 내피 및 상피 단일 층의 세포 배양 모델에서 단단 접합 역학의 완전성을 측정하기 위해 널리 받아들여지는 정량적 기술이다. TEER 값은 약물이나 화학 물질의 운반을 평가하기 전에 세포 장벽의 완전성을 나타내는 강력한 지표이다. TEER 측정은 세포 손상 없이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오믹 저항 측정 또는 임피던스 측정을 기반으로 한다. TEER를 활용하여 널리 특성화된 장벽 모델에는 위장관 (GI) 관 모델이 있으며, 위장관 세포층이 가지는 전기적 저항치/장상피세포 간극의 건전성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Zo-1 발현량이 대조군 대비 100% 이상, 105% 이상, 110% 이상, 또는 120% 이상일 수 있다(도 15a).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Occludin 발현량이 대조군 대비 100% 이상, 105%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20% 이상, 125% 이상, 130% 이상, 135% 이상, 또는 140% 이상일 수 있다(도 15a).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MUC2 발현량이 대조군 대비 100% 이상, 105% 이상, 110% 이상, 115% 이상, 120% 이상, 125% 이상, 130% 이상, 135% 이상, 또는 140% 이상일 수 있다(도 15a).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알코올성 지방간의 발생 원인 물질 감소 효과는,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 간염의 원인 물질인 리포다당류(LPS, lipopolysaccharide)의 혈중 농도를 감소시켜, 알코올성 지방간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57BL/6J 마우스에 알코올과 함께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에탄올만을 투여한 대조군 대비 혈중 LPS 농도가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또는 62% 이하일 수 있다(도 11).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간 손상의 개선 또는 치료 효과는, 알코올성 지방간을 개선하여, 알코올성 지방간 유도 동물 모델에서,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무처리한 대조구 대비,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 처리 군에서, 간 손상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혈중 ALT 농도, 혈중 AST 농도, 간의 중성지방, 생체 내 장벽 투과도 실험으로 FITC 투여 시 혈중 FITC 형광 발현, 및/또는 Oil Red O 염색 결과 간의 지방량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혈중 ALT 농도가 대조군 대비 100% 이하, 95% 이하,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또는 5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혈중 AST 농도가 대조군 대비 100% 이하, 95% 이하,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또는 5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간의중성지방 농도 (Liver TG)가 대조군 대비 100% 이하, 95% 이하,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또는 50%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혈중 FITC 형광 발현이 대조군 대비 100% 이하, 95% 이하,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4% 이하, 또는 73%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Oil Red O 염색 결과 지방량이 대조군 대비 100% 이하, 95% 이하,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55% 이하, 또는 5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알코올성 지방간을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알코올과 함께 투여시 지방간 유발 유전자의 발현량이,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무처리한 대조구 대비,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 처리 군에서 감소하여, 알코올에 의해 발생한 지방간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간에서의 중성지방 합성 및 지방산 수송과 같은 지방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인 PPAR-r의 발현량이 대조군 대비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또는 75% 이하일 수 있다(도 14).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간에서의 중성지방 합성 및 지방산 수송과 같은 지방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인 CD36의 발현량이 대조군 대비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50% 이하, 45% 이하, 40% 이하, 35% 이하, 30% 이하, 또는 25%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알코올에 의해 발생하는 간에서의 염증 반응의 증가를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알코올과 함께 투여시 염증성 사이토카인 또는 케모카인 유전자의 발현량이,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무처리한 대조구 대비,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 처리 군에서 감소하여, 알코올에 의해 발생한 지방간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 중 하나로서 호중구 모집(neutrophil recruitment)을 활성화 시키는 케모카인(chemokines)인 CXCL2 및/또는 CXCL5 유전자 발현량이, 대조군 대비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50% 이하, 45% 이하, 40% 이하, 35% 이하, 30% 이하, 또는 25%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투여할 경우,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TNF-α 및/또는IL-1β 유전자의 발현량이, 대조군 대비 90% 이하, 85% 이하, 80% 이하, 75% 이하, 70% 이하, 65% 이하, 60% 이하, 50% 이하, 45% 이하, 40% 이하, 35% 이하, 30% 이하, 또는 25%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상피세포간 밀착연접 강화 특성은,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편모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8에서 로제부리아 속 균주,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배양액, 및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편모를 각각 처리 후, 장 상피세포 막의 상피 전기저항(TEER) 및 FITC 투과도를 측정해 본 결과,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편모가 첨가된 경우 상피세포막의 상피 전기 저항이 유의하게 증가하여, 로제부리아 속 균주 유래 편모에 장 상피세포간 결합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알코올성 지방간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고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또는 경피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의 비경구 제형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을 비경구용으로 제공하는 경우, 일 예로 액제, 겔(gel)제, 세정 조성물, 정제, 좌제 형태, 크림, 연고, 드레싱 용액, 분무제, 기타 도포제 등의 국소 투여제, 용액형, 현탁형, 유제형 등의 액상 제형일 수 있으며,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크림, 연고, 젤리, 거품, 또는 세척제, 바람직하게는 액제, 겔(gel)제, 세정 조성물 등의 피부 외용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형은 일 예로 멸균수에 용해보조제, 유화제, pH 조절을 위한 완충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에게 적용하는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standard phar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로제부리아 속 균주 함유 조성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즈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단독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띄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 내 또는 혀 밑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효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1일 투여량이 0.1 내지 500 ㎎/k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0 ㎎/kg일 수 있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투여 용량 미만이면 유의성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그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알코올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식품이란 함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의 식품, 식품 첨가제, 건강 기능성 식품, 음료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에서 음료란 갈증을 해소하거나 맛을 즐기기 위하여 마시는 것의 총칭을 의미하며 기능성 음료를 포함하는 의도이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유제품, 요구르트, 커드 (curd), 치즈 (예, 쿼크, 크림, 가공, 연질 및 경질), 발효유, 분유, 우유 기재의 발효 제품, 아이스크림, 발효 곡물 제품 (fermented cereal based product), 조제 분유 (milk based powder), 음료, 드레싱 및 애완동물 사료와 같은 다양한 식용 제품에 함유될 수 있다. 용어 "식품"은 본원에서 약제학적 제품 및 수의학적 제품을 제외한, 동물이 섭취할 수 있는, 모든 제공 형태의, 모든 타입의 제품을 비롯한, 가장 광의적인 의미이다.
상기 음료는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식이 보조제로 사용되는 경우, 그대로 투여하거나, 물, 요구르트, 우유 또는 과일 쥬스 등의 적정 음용가능한 액체와 혼합하거나, 또는 고형 또는 액형 식품과 혼합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식이 보조제는 정제, 환제, 캡슐제, 과립제, 산제, 현탁제, 샤셋제 (sachet), 패스틸 (pastille), 스위트 (sweet), 바 (bar), 시럽제 및 대응되는 투여 형태들, 일반적으로 단위 투약(unit dose) 형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제품의 일반적인 제조 공정으로 제조된 정제, 캡슐제 또는 산제 형태로 투여된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서의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함량은 식품의 형태, 소망하는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전체 식품 중량의 유효성분인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균체, 상기 균주 배양물, 상기 균주의 파쇄물 및 상기 균주의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은 0.00001 중량% 내지 100 중량%, 0.001 중량% 내지 99.9 중량 %, 0.1 중량% 내지 99 중량 %,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0 중량%,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품 조성물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특히 프로바이오틱으로서 이용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으며,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포함하는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제부리아 속 균주는 알코올성 지방간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특성을 가져, 유용한 프로바이오틱스 제제로 사용될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독성 결핍, 생존성, 부착성 및 유용 효과들과 관련된 몇가지 요건들을 충족하여야 한다. 이러한 프로바이오틱 특징들은 동일 종의 박테리아들에서도 균주-의존적이다. 따라서, 모든 프로바이오틱 요건들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는 균주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며, 상기 균주가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특징들을 가지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한,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에 사용될 균주의 바람직한 조건은, 위장에서 활성 손실이 적고, 장내 다양한 항생제 등에 내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프로바이오틱스는 "특정 개수로 섭취시, 본질적인 기본 영양을 넘어 건강상 이점을 제공하는, 살아있는 미생물들"로 정의된다 (Araya M. et al., 2002; Guarner F. et al.,, 1998). 수종의 유산균과 비피도박테리움 종들이 프로바이오틱스에 해당되는데, 이는 이들 균주가 특이적인 건강 효과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입증되었음을 의미한다. 프로바이오틱 박테리아는 독성 결여, 장내 생존성, 부착성 및 유익한 효과와 관련된 몇 가지 요건들을 충족시켜야 한다. 또한, 장관면역 개선 효과는 장세포간 밀착연접의 기능 유지 및 염증성 사이토카인 감소, 항염증 사이토카인의 증가, 장내 균총의 균형 유지 등이 병행되어야 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따라서, 모든 프로바이오틱 요건들에 대해 우수한 성능을 가진 그러한 균주들을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에 사용될 균주의 바람직한 조건은, 위장에서 활성 손실 적고, 장내 다양한 항생제 등에 내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진단용 마커 또는 진단 마커"란 알코올성 지방간인 상태와 그렇지 않은 않은 상태를 구분하는 기준이 되는 물질로, 정상 시료에 비하여 알코올성 지방간을 가진 환자의 시료에서 증가 또는 감소를 보이는 각종 유기 생체 분자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진단용 조성물은, 알코올성 지방간 환자에서 특이적으로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말하며, 해당 균주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루미노코코스(Ruminococcus) 속 균주, 블라우티아(Blautia) 속 균주, 및/또는 클로스트리디움(Clostridium) 속 균주 미생물 또는 군집을 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검출할 수 있는 제제는 시료 내에서 알코올성 지방간의 진단 마커인 로제부리아 속 균주, 루미노코코스 속 균주, 블라우티아 속 균주, 및/또는 클로스트리디움 속 균주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로제부리아 속 균주, 루미노코코스 속 균주, 블라우티아 속 균주, 및/또는 클로스트리디움 속 균주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단백질, 핵산, 지질, 당지질, 당단백질 또는 당(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등) 등과 같은 유기 생체 분자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프라이머, 프로브,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압타머 및 항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미생물 검출 제제는, 항체일 수 있으며, 항원-항체 반응을 기반으로 한 면역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해당 미생물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웨스턴 블랏,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면역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 테로니(Ouchterlony) 면역 확산법, 로케이트(rocket)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 (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고정분석법 (Complement Fixation Assay), FACS(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단백질 칩(protein chip)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위험도 예측"이란 피시험자가 알코올성 지방간의 발생 또는 관련 질환의 발병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별하는 것을 말하고, 알코올성 지방간의 발생 또는 관련 질환의 발병 위험성이 높은 피시험자를 특별하고 적절한 관리를 통하여 발병 시기를 늦추거나 발병하지 않도록 하거나, 가장 적절한 치료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치료 결정을 하기 위해 임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진단"이란, 병리 상태의 존재 또는 특징을 확인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목적상, 진단은 알코올성 지방간의 발생 또는 관련 질환의 발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검출할 수 있는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검출 특이도가 높인 균주를 모두 포함하여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 관련 질환을 현저한 민감도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로서, 본 발명의 상기 미생물 검출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 관련 질환의 위험도 예측 또는 진단용 키트 형태로 구현되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는 해당 미생물들을 검출하기 위한 프라이머, 프로브,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압타머 및/또는 항체의 검출 제제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분석 방법에 적합한 1종 이상의 다른 구성성분 조성물, 용액, 또는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본 발명에서 해당 미생물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키트는, PCR 및 등의 증폭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필수 요소들을 포함하는 키트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CR 용 키트는 테스트 튜브 또는 다른 적절한 컨테이너, 반응 완충액, 데옥시뉴클레오타이드(dNTPs), Taq-폴리머라아제 역전사효소와 같은 효소, DNase, RNAse 억제제, DEPC-수(DEPC-water), 멸균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시료의 채취를 위한 혈액 또는 장액 시료 채취용 포집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포집 기구는 브러쉬, 흡수성 패드, 면봉, 스포이드, 스왑, 주사기 및 양수 포집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시료 채취용 포집 기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생물학적 시료를 포집할 수 있는 것이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키트는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 관련 질환의 위험도 예측 또는 진단을 위하여 피시험자의 시료를 채취할 것을 요구하는 설명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은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이용하여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 관련 질환의 위험도 예측 또는 진단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로제부리아 속 균주, 루미노코코스 속 균주, 블라우티아 속 균주, 및 클로스트리디움 속 균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미생물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 지방간 관련 질환의 위험도 예측 또는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사항은 상기 미생물을 검출하는 방법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a) 피시험자의 시료를 채취하는 단계; (b) 상기 시료로부터 게놈 DNA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게놈 DNA에 로제부리아 속 균주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를 반응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반응물을 증폭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계 (a) 에서, "피시험자의 시료"란,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지방간 질환 환자로 예상되는 사람의 몸에서 채취된 것으로, 혈액, 장액, 조직, 세포, 전혈, 혈청, 혈장 타액, 대변 또는 뇨와 같은 시료 등을 포함하나, 예를 들어 피시험자의 혈액, 장액, 장에서 채취된 조직, 바람직하게는 대변 시료일 수 있다.
상기 단계 (b) 에서 피시험자의 시료로부터 게놈 DNA의 추출은 당업계에 알려진 일반적인 기술을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단계 (c)에서 로제부리아 속 균주에 특이적인 프라이머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단계 (c)에서 반응물을 증폭시키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일반적인 증폭 기술들, 예를 들어 중합효소 연쇄반응, SYBR 실시간 PCR, 역전사-중합효소 연쇄반응, 멀티플렉스 PCR, 터치다운 PCR, 핫 스타트 PCR, 네스티드 PCR, 부스터 PCR, 실시간 PCR, 분별 디스플레이 PCR, cDNA 말단의 신속 증폭, 인버스 PCR, 벡토레트 PCR, TAIL-PCR, 리가아제 연쇄 반응, 복구 연쇄 반응, 전사-중재 증폭, 자가 유지 염기서열 복제, 타깃 염기서열의 선택적 증폭 반응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단계 (c) 증폭 산물의 양을 정상 대조군 시료의 증폭산물과 비교하는 단계 (d)를 추가로 수행할 수 있으며, 피시험자 시료의 증폭 산물이 정상 대조군 시료의 증폭산물과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되었다고 판단될 경우, 해당 피시험자는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지방간 질환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피시험자 시료의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미생물에 대한 증폭산물이 정상 대조군 시료보다 낮은 경우,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지방간 질환의 위험성이 있는 것으로 예측하거나, 알코올성 지방간 또는 알코올성지방간 질환 이 있는 것으로 진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한국인 쌍둥이 코호트를 기반으로 알코올 섭취량에 변화하는 장내 균총을 상관관계 분석하여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신규 바이오 마커로 활용할 수 있는 로제부리아 속 균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로제부리아 속 균주를 이용하여 알코올성 지방간 질환의 진단용 키트 또는 치료용 조성물 개발활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호트의 알코올 섭취량 (g/day) 및 AUDIT score의 상관 관계 결과 및 그룹에 따른 나이, 성별, C 반응성 단백 (hsCRP) 임상 지표 정보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을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AUDIT stage I, II, III로 구분 지어 장 내 균총의 다양성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요인과 장내 균총의 연관성을 OTU (Operational Taxonomic Units, 16S 기반 생물정보학적 세균 분류 단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요인과 장내 균총의 연관성을 분류군 (taxon)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ytoscape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짧은 사슬 지방산 대사체를 나이, 성별, 쌍둥이와 가족관계를 랜덤변수로, 알코올 섭취 그룹을 보정변수로 지정 후 연관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짧은 사슬 지방산 대사체 정보가 확보된 307개의 시료 내에서 대사체와 장 내 균총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8a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SNUG30017 균주의 장 상피세포간 막 (tight junction) 강화 효과를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도 8b는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및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균주로부터 유래한 단백질 추출물을 SDS-PAGE gel에 로딩한 결과이다.
도 8c는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및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균주로부터 유래한 단백질 추출물을 LTQ-Orbitrap 질량분석한 결과이다.
도 8d는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및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균주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8e는 로제부리아 속 균주,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배양액, 및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편모를 Caco-2 세포주에 첨가한 뒤 24시간 후 막의 상피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8f는 로제부리아 속 균주,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배양액, 및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편모가 처리된 Caco-2 세포에, 에탄올을 500mM/well로 처리 후 3시간 배양 한 뒤의 막의 상피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8g는 FITC-dextran (Fluorescein-dextran)을 1g/l로 처리하고 1시간 배양 후 FITC permeability를 형광을 통해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균주의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동물실험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b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균주 SNUG30017 균주의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과 맹장을 적출 후 무게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중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ALT) 및 박테리아의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리포다당류 (LPS, lipopolysaccharide)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마톡시린&에오신 (H&E, Hematoxylin&Eosin) 염색을 통한 조직병리학적 관찰 결과이다.
도 13a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 조직의 손상 척도인 Oil Red O 염색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13b는 무작위적으로 선택된 부위의 Oil Red O 염색 결과 사진 6장을 토대로, Image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지방을 나타내는 붉은 색을 정량한 결과이다.
도 1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 조직의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로, 각 그래프의 막대는 좌측부터 음성 대조군(Pair), 양성 대조군(EtOH),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투여군(EtOH+Ri),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투여군(EtOH+Rh),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투여군(EtOH+Akk),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투여군(EtOH+LGG) 이다.
도 15a는 장 조직의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로, 각 그래프의 막대는 좌측부터 음성 대조군(Pair), 양성 대조군(EtOH),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투여군(EtOH+Ri),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투여군(EtOH+Rh),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투여군(EtOH+Akk),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투여군(EtOH+LGG) 이다.
도 15b는 장 조직의 Occludin 및 b-actin 단백질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사진이다.
도 15c는 장 조직에서 웨스턴 블럿(western blot)으로 확인한 단백질 발현량을 정량하여, Occludin 발현량을 b-actin 으로 보정한 값으로, 각 그래프의 막대는 좌측부터 음성 대조군(Pair), 양성 대조군(EtOH),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투여군(EtOH+Ri),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투여군(EtOH+Rh),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투여군(EtOH+Akk),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투여군(EtOH+LGG) 이다.
도 16a는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을 그룹에 따라 장 내 균총의 다양성 변화를 Faith's Phylogenetic diversity 지표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6b는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을 그룹에 따라 장 내 균총의 다양성 변화를 Chao1 지표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6c는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의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16d는 장 내 균총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단변량 분석 (LefSE)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17은 PICRUSt를 통한 장 내 균총 KEGG pathways 기능 추정 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을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AUDIT stage I, II, III로 구분 지어 장 내 균총의 다양성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요인과 장내 균총의 연관성을 OTU (Operational Taxonomic Units, 16S 기반 생물정보학적 세균 분류 단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이다.
도 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요인과 장내 균총의 연관성을 분류군 (taxon)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이다.
도 5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ytoscape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6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짧은 사슬 지방산 대사체를 나이, 성별, 쌍둥이와 가족관계를 랜덤변수로, 알코올 섭취 그룹을 보정변수로 지정 후 연관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7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짧은 사슬 지방산 대사체 정보가 확보된 307개의 시료 내에서 대사체와 장 내 균총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8a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SNUG30017 균주의 장 상피세포간 막 (tight junction) 강화 효과를 확인한 실험결과이다.
도 8b는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및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균주로부터 유래한 단백질 추출물을 SDS-PAGE gel에 로딩한 결과이다.
도 8c는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및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균주로부터 유래한 단백질 추출물을 LTQ-Orbitrap 질량분석한 결과이다.
도 8d는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및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균주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이다.
도 8e는 로제부리아 속 균주,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배양액, 및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편모를 Caco-2 세포주에 첨가한 뒤 24시간 후 막의 상피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8f는 로제부리아 속 균주,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배양액, 및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편모가 처리된 Caco-2 세포에, 에탄올을 500mM/well로 처리 후 3시간 배양 한 뒤의 막의 상피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8g는 FITC-dextran (Fluorescein-dextran)을 1g/l로 처리하고 1시간 배양 후 FITC permeability를 형광을 통해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9a는 본 발명에 따른 균주의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동물실험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b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제부리아 균주 SNUG30017 균주의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과 맹장을 적출 후 무게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혈중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ALT) 및 박테리아의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리포다당류 (LPS, lipopolysaccharide)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12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마톡시린&에오신 (H&E, Hematoxylin&Eosin) 염색을 통한 조직병리학적 관찰 결과이다.
도 13a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 조직의 손상 척도인 Oil Red O 염색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13b는 무작위적으로 선택된 부위의 Oil Red O 염색 결과 사진 6장을 토대로, Image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지방을 나타내는 붉은 색을 정량한 결과이다.
도 14는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 조직의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로, 각 그래프의 막대는 좌측부터 음성 대조군(Pair), 양성 대조군(EtOH),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투여군(EtOH+Ri),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투여군(EtOH+Rh),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투여군(EtOH+Akk),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투여군(EtOH+LGG) 이다.
도 15a는 장 조직의 유전자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결과로, 각 그래프의 막대는 좌측부터 음성 대조군(Pair), 양성 대조군(EtOH),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투여군(EtOH+Ri),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투여군(EtOH+Rh),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투여군(EtOH+Akk),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투여군(EtOH+LGG) 이다.
도 15b는 장 조직의 Occludin 및 b-actin 단백질 발현량 변화를 확인한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사진이다.
도 15c는 장 조직에서 웨스턴 블럿(western blot)으로 확인한 단백질 발현량을 정량하여, Occludin 발현량을 b-actin 으로 보정한 값으로, 각 그래프의 막대는 좌측부터 음성 대조군(Pair), 양성 대조군(EtOH),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투여군(EtOH+Ri),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투여군(EtOH+Rh),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투여군(EtOH+Akk),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GG 투여군(EtOH+LGG) 이다.
도 16a는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을 그룹에 따라 장 내 균총의 다양성 변화를 Faith's Phylogenetic diversity 지표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6b는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을 그룹에 따라 장 내 균총의 다양성 변화를 Chao1 지표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6c는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의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16d는 장 내 균총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단변량 분석 (LefSE)을 실시한 결과이다.
도 17은 PICRUSt를 통한 장 내 균총 KEGG pathways 기능 추정 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연구대상 및 시료 수집
한국인 쌍둥이 코호트에서 410명의 일란성, 이란성 쌍둥이와 그의 가족들을 대상으로 대변 시료를 채취하여 -80℃에 냉동보관하였다. 냉동보관된 시료를 실험실로 옮겨 QIAamp FAST DNA stool mini kit (Qiagen)를 이용하여 박테리아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본 코호트에서는 알코올 섭취량 (g/day) 및 알코올 섭취 습관 설문 조사 결과인 AUDIT score 임상 지표를 활용하여, AUDIT score에 따른 Zone I (0-7점, 정상 그룹), Zone II (8-15점), Zone III (16-40점, 알코올 섭취량이 많은 그룹)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코호트의 알코올 섭취량 (g/day) 및 AUDIT score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 및 그룹에 따른 나이, 성별, C 반응성 단백 (hsCRP) 임상 지표 정보를 도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16S rRNA를 이용한 장 내 균총 분석
실시예 1에서 추출된 DNA를, 박테리아의 16S rRNA 유전자의 V4 영역을 타겟으로 하는 아래 표 1의 515F/806R 프라이머 (서열번호 1 및 2)를 이용하여 증폭하고, Illumina사의 MiSeq 기기를 이용하여 염기서열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대용량 염기서열을 QIIME pipeline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장 내 세균의 전체 유전정보를 확인하여 장 내 균총의 구조를 파악 후, 알코올 섭취량 지표와의 연관성을 관찰하였다.
구분 | 서열번호 | 핵산서열 (5'->3') |
정방향 | 1 | ATGATACGGCGACCACCGAGATCTACACTATGGTAATTGTGTGCCAGCMGCCGCGGTAA |
역방향 | 2 | CAAGCAGAAGACGGCATACGAGATAGTCAGTCAGCCGGACTACHVGGGTWTCTAAT |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을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AUDIT zone I, II, III로 구분 지어 장 내 균총의 다양성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알코올 섭취량이 많은 그룹의 경우 장 내 균총의 다양성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알코올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익균의 다양성의 감소 및 잠재적인 유해균의 우점으로 인해, 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실시예 3. 장 내 균총과 알코올 섭취량의 상관관계 분석
나이, 성별, 가족력을 보정하여 혼란변수를 제어할 수 있는 MaAsLin (Multivariate analysis by linear model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통해 알코올 섭취량에 따른 장 내 균총의 변화 및 이에 따른 장의 건강을 특정할 수 있는 장 내 박테리아를 규명하였다. MaAsLi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나이, 성별, 쌍둥이와 가족관계를 랜덤변수로, 알코올 섭취 그룹을 보정변수로 지정 후, 건강요인과 장 내 균총의 연관성을 OTU (Operational Taxonomic Units, 16S 기반 생물정보학적 세균 분류 단위) 및 분류군 (taxon)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도 3 및 도 4에 나타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코올 섭취량이 많은 그룹은 프리보텔라 코프리 (Prevotella copri) OTU가 가장 큰 연관성이 있었고, 알코올 섭취량이 적은 정상 그룹은 로제부리아 (Roseburia) OTU가 가장 큰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도 3의 결과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류군으로 분석을 하였을 때도 같은 경향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4. 알코올 섭취량 그룹에 따른 장 내 균총의 네트워크 분석
알코올 섭취량이 많은 그룹과 정상 그룹에서 장 내 균총의 발생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cytoscape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으며,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장 내 균총의 상호관계를 관찰한 결과, 알코올 섭취량에 따라 장 내 균총이 두 그룹으로 나뉘는 것으로 밝혀졌다. 같은 그룹에 속하는 분류군은 서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다른 그룹과는 서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실시예 5. 알코올 섭취량에 따른 장 내 균총과 짧은 사슬 지방산 대사체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인 쌍둥이 코호트의 일부인 307개의 분변 시료에서 장 내 균총 유래 대사산물인 짧은 사슬 지방산 (short chain fatty acid)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량의 분변 시료를 멸균된 3차 증류수에 녹이고 95%(v/v) 황산을 사용하여 산성화 시킨 뒤 원심분리 하여 상층액을 회수하였다.
시료 상층액에 내부 표준 (internal standard)을 위하여 1% 2-메틸 펜타노산 (2-methyl pentanoic acid)를 첨가 후 에테르 (ethyl ether)를 첨가하였다. 이를 vortex 후 원심분리 하여 에테르 층을 회수하였고, Agilent사의 6890 GC-FID 기기를 이용하여 짧은 사슬 지방산 대사체를 분석하였다. 확보한 짧은 사슬 지방산 대사체 프로파일은 총 6종으로, 아세트산 (acetic acid), 프로피오닉산 (propionic acid), 부티르산 (butyric acid), 아이소부티르산 (isobutyric acid), 발레르산 (valeric acid), 및 아이소발레르산 (isovaleric acid)였다.
이 프로파일을 MaAsLin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나이, 성별, 쌍둥이와 가족관계를 랜덤변수로, 알코올 섭취 그룹을 보정변수로 지정 후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으며, 알코올 섭취량이 많을수록 부티르산의 상대존재비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알코올 섭취량이 많을수록 프로피오닉산 대 부티르산의 비율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짧은 사슬 지방산 대사체 정보가 확보된 307개의 시료 내에서 대사체와 장 내 균총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7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로제부리아와 부티르산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프리보텔라 및 메가모나스 (Megamonas)는 프로피오닉산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서, 알코올 섭취에 따른 장 내 균총의 변화가 대사산물인 짧은 사슬 지방산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고, 장 내 균총과 짧은 사슬 지방산 대사체가 알코올 섭취에 따른 질환의 바이오마커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한국인 유래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분리 및 동정
건강한 한국인의 장 내 균총에서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Roseburia intestinalis) 균주를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장 내 균총 분리용 시료를 건강한 일반인 성인들로부터 제공받아, 분변 시료로부터 균주를 분리, 동정하였다 (IRB 승인번호: 1602/001-001).
분변 시료는 수득 직후 본 연구실에 운송되어 즉시 균주 분리에 사용하였다. 시료는 직접 도말 형식으로 1.5% 한천 (agar)이 포함된 YCFAG 배지에 스트리킹 후, 37℃, 혐기 조건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순수분리된 집락 (colony)을 무작위적으로 선발하여 YBHI 배지에서 배양하였고,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균주의 genomic DNA를 추출한 뒤 16S rRNA 유전자를 타겟으로 아래 표 2의 27F/1492R 프라이머 (서열번호 3 및 4)를 이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구분 | 서열번호 | 서열 (5'->3') |
정방향 | 3 | AGAGTTTGATYMTGGCTCAG |
역방향 | 4 | TACGGYTACCTTGTTACGACT |
상기 PCR 반응물을 QIAquick PCR purification kit (Qiagen)를 사용하여 정제한 후, ABI3711 automatic sequencer (마크로젠)를 이용해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 3의 서열과 같으며, 이 서열정보를 이용하여 천랩의 EzBioCloud 프로그램 (http://www.ezbiocloud.net/identify)으로 다중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균주의 동정을 완료하였다.
균주명 | 명명 | 서열 | 서열번호 |
Roseburia intestinalis | SNUG30017 | TTATGGCTCAGGATGAACGCTGGCGGCGTGCTTAACACATGCAAGTCGAACGAAGCACTT TATTTGATTTCTTCGGAATGAAGATTTTGTGACTGAGTGGCGGACGGGTGAGTAACGCGT GGGTAACCTGCCTCATACAGGGGGATAACAGTTGGAAACGACTGCTAATACCGCATAAGC GCACAGGGTCGCATGACCTGGTGTGAAAAACTCCGGTGGTATGAGATGGACCCGCGTCTG ATTAGCCAGTTGGTGGGGTAACGGCCTACCAAAGCGACGATCAGTAGCCGACCTGAGAGG GTGACCGGCCACATTGGGACTGAGACACGGCCCAAACTCCTACGGGAGGCAGCAGTGGGG AATATTGCACAATGGGGGAAACCCTGATGCAGCGACGCCGCGTGAGCGAAGAAGTATTTC GGTATGTAAAGCTCTATCAGCAGGGAAGAAGAAATGACGGTACCTGACTAAGAAGCACCG GCTAAATACGTGCCAGCAGCCGCGGTAATACGTATGGTGCAAGCGTTATCCGGATTTACT GGGTGTAAAGGGAGCGCAGGCGGTACGGCAAGTCTGATGTGAAAGCCCGGGGCTCAACCC CGGTACTGCATTGGAAACTGTCGGACTAGAGTGTCGGAGGGGTAAGTGGAATTCCTAGTG TAGCGGTGAAATGCGTAGATATTAGGAGGAACACCAGTGGCGAAGGCGGCTTACTGGACG ATTACTGACGCTGAGGCTCGAAAGCGTGGGGAGCAAACAGGATTAGATACCCTGGTAGTC CACGCCGTAAACGATGAATACTAGGTGTCGGGGAGCATTGCTCTTCGGTGCCGCAGCAAA CGCAATAAGTATTCCACCTGGGGAGTACGTTCGCAAGAATGAAACTCAAAGGAATTGACG GGGACCCGCACAAGCGGTGGAGCATGTGGTTTAATTCGAAGCAACGCGAAGAACCTTACC AAGTCTTGACATCCCGATGACAGAACATGTAATGTGTTTTCTCTTCGGAGCATCGGTGAC AGGTGGTGCATGGTTGTCGTCAGCTCGTGTCGTGAGATGTTGGGTTAAGTCCCGCAACGA GCGCAACCCCTATTCTTAGTAGCCAGCGGGTAAGCCGGGCACTCTAGGGAGACTGCCAGG GATAACCTGGAGGAAGGTGGGGATGACGTCAAATCATCATGCCCCTTATGACTTGGGCTA CACACGTGCTACAATGGCGTAAACAAAGGGAAGCGAGCCTGCGAGGGGGAGCAAATCTCA AAAATAACGTCTCAGTTCGGACTGCAGTCTGCAACTCGACTGCACGAAGCTGGAATCGCT AGTAATCGCGAATCAGAATGTCGCGGTGAATACGTTCCCGGGTCTTGTACACACCGCCCG TCACACCATGGGAGTTGGTAATGCCCGAAGTCAGTGACCCAACCGCAAGGAGGG |
5 |
상기 분리된 균주를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Roseburia intestinalis) SNUG30017로 명명하였고,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에 기탁하여 수탁번호 KCTC13327BP (Roseburia intestinalis SNUG30017, 2017년 9월 1일 기탁)를 부여받았다.
순수 분리 및 동정된 균주의 장기 보관을 위해서, 지수기에 도달한 배양액에 글리세롤(60% v/v)을 첨가하여 스탁을 만들어 -80℃에 보관하였다.
실시예 7.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장 상피세포간 막 강화 특성
장 상피세포간 막 강화 특성(tight junction 강화 특성) 시험을 위한 동물세포로서 Caco-2 세포주를 미국 세포주은행 (ATCC)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Caco-2 세포주는 인간 대장 유래 결장직장암 adenocarcinoma 세포로서, 형태는 상피세포이다.
Caco-2 세포는 20% 우태아혈청 (FBS), 1% non-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 1% HEPES, 1.5% 중탄산나트륨 용액,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U/ml) 이 첨가된 MEM (Thermo Fisher Scientific, USA)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존재 하에서 37℃에서 배양시켰다. 장 상피세포간 벽 강화 실험을 위해 Caco-2 세포는 웰당 3x105 cell/ml의 수가 되도록 24 트렌스 웰-플레이트 (pore size 0.4㎛, Corning, USA)에 분주하였고, 격일로 배지를 교환하여 완전하게 단일층 (monolayer)을 형성하도록 7일간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으로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SNUG30017 균주 (Ri)를 사용하였고, 대조군을 위하여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Roseburia hominis) DSM 16839 균주 (Rh)를 독일 균주은행 (DSMZ)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각 균은 YBHI 액체 배지에서 지수기에 도달하도록 37℃, 혐기 조건에서 배양 후 원심 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PBS에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균주는 박테리아 카운트 키트를 사용하여 BD사의 Accuri C6 Flow cytometer 기기를 사용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단일층을 형성한 Caco-2 세포는 균주를 처리하기 전 우태아혈청 및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를 첨가하였으며, 감염다중도 (MOI)가 100이 되도록 균주를 첨가하였다. 이 후 0시간, 12시간, 24시간이 지난 뒤의 장 상피세포 막의 상피 전기저항 (TEER,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8a에 나타내었으며, Ri 균주가 대조구에 비해 상피세포막의 상피 전기 저항을 증가시킴을 보였고 12시간 보다 24시간에 대조구에 비해 상피세포막의 상피 전기 저항을 현저히 증가시켰다. Rh는 대조구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서 실시예 6에서 분리하여 확보한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Roseburia intestinalis) SNUG30017 균주가 장 상피세포간 결합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있고, 이러한 효과를 통해서 알코올성 지방간 증상을 완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8. 로제부리아 속 균주 편모의 장 상피세포간 막 강화 특성
8-1: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편모 추출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편모를 추출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Roseburia intestinalis) SNUG30017 균주 (Ri) 및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Roseburia hominis) DSM 16839 균주 (Rh)는 YBHI 액체 배지 500ml에서 37℃, 혐기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4℃, 4,000 x g,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은 제거하였다. 이후 4℃ PBS에 균주를 현탁 후 믹서기로 30초간 3번 균질화하였다. 이를 4℃, 10,000 x g, 20 분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만을 확보하였으며, 이를 4℃, 100,000 x g, 1시간동안 초고속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농축한 pellet을 500 μl의 3차 멸균 증류수에 현탁하였으며, 이렇게 추출된 단백질을 편모로 추정하였다.
8-2: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편모 확인
실시예 8-1에서 얻어진 단백질 추출물을 PAGE gel, 및 LTQ-Orbitrap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Ri 및 Rh 균주에서 유래한 단백질 추출물은 BCA protein assay kit (Thermo Fisher Scientific)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동량을 10% β-mercaptoethanol이 포함된 Laemmli sample loading buffer (Bio-Rad)를 첨가하여 10분간 85°C 에서 끓인 후 10% SDS-PAGE gel에 로딩하여 편모에 해당하는 약 35kDa 사이즈의 밴드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8b에 나타내었다.
해당하는 사이즈의 밴드를 trypsin digestion하여 LTQ-Orbitrap 질량분석기 분석을 실시하였다. 확보된 아미노산 서열을 NCBI에서 확보한 단백질 데이터베이스와 매칭한 결과, 추출된 단백질은 로제부리아 속 균주의 편모임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8c에 나타내었다.
또한 Ri 및 Rh 균주의 편모의 확인을 위하여 YBHI 고체 배지 37℃, 혐기 조건에서 24시간 배양 후 grid 위에 균주를 올려 PTA (phosphotungstic acid)를 사용한 negative staining을 실시하였다. 이를 투과전자현미경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을 통해 편모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8d에 나타내었다.
8-3: 로제부리아 속 균주 편모의 장 상피세포간 밀착연접 강화 특성 확인
로제부리아 속 균주 유래 편모에 장 상피세포간 막 밀착연접 강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에탄올로 인해 파괴된 장 상피세포간 막 보호 특성(tight junction 보호 특성) 시험을 위한 동물세포로서 Caco-2 세포를 미국 세포주은행 (ATCC)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Caco-2 세포는 20% 우태아혈청 (FBS), 1% non-essential amino acids solution, 1% HEPES, 1.5% 중탄산나트륨 용액,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U/ml) 이 첨가된 MEM (Thermo Fisher Scientific, USA) 배지를 이용하여 5% CO2 존재 하에서 37℃에서 배양시켰다. 장 상피세포간 벽 보호 실험을 위해 Caco-2 세포는 웰당 3x105 cell/ml의 수가 되도록 24 트렌스 웰-플레이트 (pore size 0.4㎛, Corning, USA)에 분주하였고, 격일로 배지를 교환하여 완전하게 단일층 (monolayer)을 형성하도록 7일간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군으로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SNUG30017 균주 (Ri)를 사용하였고, 대조군을 위하여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Roseburia hominis) DSM 16839 균주 (Rh)를 독일 균주은행 (DSMZ)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각 균은 YBHI 액체 배지에서 지수기에 도달하도록 배양 후 원심 분리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PBS에 희석하여 준비하였다. 균주는 박테리아 카운트 키트를 사용하여 BD사의 Accuri C6 Flow cytometer 기기를 사용하여 균수를 측정하였다. 배양액의 경우 상층액을 0.22um 필터 처리 하였다. 실시예 8-1에서 추출된 편모의 경우 Thermo사의 BCA 키트를 사용하여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단일층을 형성한 Caco-2 세포는 균주를 처리하기 전 우태아혈청 및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배지를 첨가하였다. 각 균주의 경우 1*108 cells/well, 1*109 cells/well이 되도록 첨가하였으며, 각 균주의 배양액의 경우 1%, 각 균주의 편모의 경우 250 μM, 및 500 μM로 첨가하였다.
이 후 0시간, 24시간이 지난 뒤의 장 상피세포 막의 상피 전기저항 (TEER, TransEpithelial Electrical Resistance)을 측정하였다. 이후 에탄올을 500mM/well로 처리하고 3시간 배양 후 장 상피세포 막의 상피 전기저항을 측정하며, FITC-dextran (Fluorescein-dextran)을 1g/l로 처리하고 1시간 배양 후 FITC permeability를 형광을 통해 투과도 (permeability)를 측정하였다.
균, 배양액, 편모를 첨가 후 24시간이 지난 뒤 막의 상피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는 도 8e에 나타내었다. 균의 경우, Rh 균주가 대조구에 비해 상피세포막의 상피 전기 저항을 1*109 cells/well로 처리시 유의하게 증가시킴을 보였다. 편모의 경우, Ri와 Rh 유래 편모 모두 250 μM 또는 500 μM로 첨가시 대조구에 비해 상피세포막의 상피 전기 저항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배양액의 경우, Ri 유래 배양액을 1%로 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상피세포막의 상피 전기 저항을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보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서 균주나 배양액에 비해 로제부리아 균 유래 편모가 장 상피세포간 결합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현저하게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후, 에탄올을 500mM/well로 처리하고 3시간 배양 후 장 상피세포 막의 상피 전기저항을 측정한 결과는 도 8f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에탄올 처리를 한 양성 대조군 (E)은 PBS를 처리한 음성 대조군에 비해 상피세포막의 상피 전기 저항이 매우 유의하게 감소시킴을 보였다. 또한 Ri 균주의 경우 1*109 cells/well로 처리시 양성 대조군에 비해 상피세포막의 상피 전기 저항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배양액의 경우, Ri 유래 배양액을 1%로 처리시 양성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시킴을 보였고, butyrate (but)를 처리한 컨트롤군도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상기 결과를 통해 에탄올로 인해 장 상피세포간 막이 파괴되었으며, Ri 유래 균주와 배양액이 장 상피세포간 결합 보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FITC-dextran (Fluorescein-dextran)을 1g/l로 처리하고 1시간 배양 후 FITC permeability를 형광을 통해 투과도를 측정한 결과는 도 8g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에탄올 처리를 한 양성 대조군은 PBS를 처리한 음성 대조군에 비해 상피세포막의 투과도가 매우 유의하게 증가시킴을 보였다. 또한 Ri 균주의 경우 1*109 cells/well로 처리시 양성 대조군에 비해 상피세포막의 투과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편모의 경우 Ri는 250 μM 또는 500 μM로 첨가시 양성 대조구에 비해 상피세포막의 투과도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Rh는 500 μM로 첨가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배양액의 경우 모두 투과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없었다. 상기 결과를 통해 에탄올로 인해 장 상피세포간 막이 파괴되어 투과도가 높아졌으며, Ri 유래 균주와 편모의 경우 장 상피세포간 결합 보호 효과가 있어 투과도를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 동물실험 모델의 확립
단일 균주 투여에 의한 장 내 균총의 변화와 알코올성 지방간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동물실험을 실시하였다.
수컷 8~10주령의 C57BL/6J 마우스에게 리버 디카를리 (Lieber DeCarli) 사료를 매일 투여하여 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시켰다. 도 9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액체 식이의 적응을 위해 2일간 알코올이 첨가되지 않은 사료를 급여 후, 3일차부터 알코올의 농도를 2일마다 1%, 및 3% 증가시켜, 6일차에 5%(v/v)가 되도록 투여하였으며, 그 후 10일간 5%(v/v)로 급여 후 16일차 아침에 31.5%(v/v)의 에탄올을 경구투여하여 9시간 뒤 실험을 종료하였다. 이 때 음성 대조군의 경우 동일 열량의 45%(v/v)의 말토덱스트린을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군 식이에는 알코올 첨가와 더불어 말토덱스트린 (maltodextrin)의 양을 조절하여, 알코올이 첨가되지 않은 음성대조군 식이의 열량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군으로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SNUG30017 (Ri), 및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DSM 16839 균주 (Rh), 대조군으로 기존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 효능이 알려진 Akkermansia muciniphila ATCC BAA-835, 및 Lactobacillus rhamnosus GG KCTC 5033 균주를 사용하였다. 각 균주를 2x109 CFU/0.2ml 의 양으로 매일 15일간 경구 투여하는 방식으로 장착 (colonization) 시켰고, 음성 및 양성 대조군에는 PBS를 경구 투여하였다. 마우스의 무게를 일주일 간격으로 측정하고, 사료 섭취량을 2일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9b에 나타냈다.
그 결과, 도 9b에서 알 수 있듯이, 실험 기간 동안 평균 사료 섭취량(Food intake)은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음성 대조군(Pair)에 비해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EtOH)의 무게(Weight change)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동일한 열량을 섭취하여도 에탄올로 인해 무게가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에탄올 그룹(EtOH)과 로제부리아 균주 투여 그룹(EtOH+Ri, EtOH+Rh)의 무게 차이에 유의성이 없었으며, 대조군인 Akkermansia muciniphila 그룹(EtOH+Akk)의 경우 에탄올 그룹에 비해 유의한 무게 감소가 발생하였다.
실험이 끝난 후, 쥐를 희생시켜 간(liver), 맹장(cecum), 및 비장(spleen)을 적출 후 무게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냈다.
그 결과,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간, 맹장, 및 비장의 몸무게 대비 상대 비율의 변화는 오직 음성 대조군(Pair)과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EtOH) 사이에서만 유의성이 나타났고, 이는 각 균의 투여가 간, 맹장 및 비장의 무게 변화에는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10. 로제부리아 균주의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 확인
10-1: 정량 분석
실시예 9의 실험 종료 시 마우스의 혈액을 수득하여 혈중 알라닌아미노전달효소 (ALT), 박테리아의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리포다당류 (LPS, lipopolysaccharide), 및 아스파르테이트아미노전달효소 (AST)를 측정하였다. 또한, 간에서의 중성 지방 (Triglycerides, TG)을 측정하였으며, 실험 종료 직전 fluorescein isothiocyanate (FITC) 형광이 달린 덱스트란 (4kDa)을 경구 투여 (60mg/100g body weight)하여 4시간 뒤 혈액을 수득하여 혈중 내 형광을 측정하는 in vivo permeability(FITC)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냈다.
그 결과, 도 11에서 알 수 있듯이, ALT의 경우, 음성 대조군에 비해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은 혈중 ALT 농도가 유의하게 높아져 알코올성 지방간이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군인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SNUG30017 (Ri),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DSM 16839 (Rh), 그리고 대조군인 Akkermansia muciniphila (Akk)의 경우 에탄올 그룹에 비해 유의한 혈중 ALT 농도의 감소가 발생하였다. ALT는 간 손상의 지표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바이오 마커로, 이러한 결과는 균주 투여로 인해 알코올성 지방간이 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AST의 경우, 음성 대조군에 비해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은 혈중 AST 농도가 유의하게 높아져 알코올성 지방간이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군인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SNUG30017 (Ri) 의 경우 에탄올 그룹에 비해 유의한 혈중 AST 농도의 감소가 발생하였다. AST 역시 간 손상의 지표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바이오 마커로, 이러한 결과는 균주 투여로 인해 알코올성 지방간이 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간 중성지방(TG)의 경우, 음성 대조군에 비해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은 간에서의 중성지방 농도가 유의하게 높아져 알코올성 지방간이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군인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SNUG30017 (Ri) 의 경우 에탄올 그룹에 비해 유의한 간에서의 중성지방의 감소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균주 투여로 인해 알코올성 지방간이 완화되었음을 의미한다.
FITC의 경우, 음성 대조군에 비해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은 혈중 FITC형광 발현이 유의하게 높아져, 알코올성 지방간의 발생 원인 중 하나인 장벽 투과성이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군인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SNUG30017 (Ri),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DSM 16839 (Rh), 그리고 대조군인 Akkermansia muciniphila (Akk) 의 경우 에탄올 그룹에 비해 유의한 혈중 FITC형광 발현의 감소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균주 투여로 인해, 장벽 투과성이 낮아졌으며,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에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알코올성 지방간의 발생 원인 중 하나인 LPS의 경우, 음성 대조군에 비해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은 혈중 리포다당류 (LPS)의 농도가 유의하게 높아져, 장벽 투과성이 높아진 것으로 인해 장에서 유래한 LPS도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군인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SNUG30017 (Ri),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DSM 16839 (Rh) 의 경우 에탄올 그룹에 비해 유의한 혈중 LPS 농도의 감소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균주 투여로 인해 장벽이 강화된 것이 LPS의 유출을 감소시켜,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에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10-2: 조직학적 분석
조직병리학적 관찰을 위하여 간 조직을 10% 포르말린으로 고정시킨 후 헤마톡시린&에오신 (H&E, Hematoxylin&Eosin) 염색을 실시한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고, 간 조직의 손상 척도인 Oil Red O 염색을 실시한 결과 및 ImageJ software를 사용하여 이를 정량한 결과를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었다.
도 12의 결과에 의하면, 음성 대조군(I. Pair)에 비해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II. EtOH)은 비대해진 지방 축적과 더불어 중심 정맥 (central vein, CV)를 중심으로 neutrophil과 같은 면역 세포의 침윤(infiltration)이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험군인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SNUG30017 (III. EtOH+Ri), 로제부리아 호미니스 DSM 16839 (IV. EtOH+Rh) 의 경우 에탄올 그룹에 비해 면역 세포의 침윤(infiltration) 감소가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로제부리아 균주 투여로 인해 알코올성 지방간을 유발하는 염증 반응이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도 13a, 및 도 13b의 결과에 의하면, 양성대조군인 에탄올 그룹(II. EtOH)의 경우 간에서의 비대해진 지방 축적을 확인하였으나, Ri(III. EtOH+Ri) 및 Rh(IV. EtOH+Rh) 균주를 투여한 실험군의 경우 간에서의 지방 축적 증상이 완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무작위적으로 선택한 6 부위의 붉은 색을 정량한 결과,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13b). 도 13b는 무작위적으로 선택된 부위의 Oil Red O 염색 결과 사진을 6장 확보하여, ImageJ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지방을 나타내는 붉은 색을 정량한 결과이다.
10-3: 유전자 발현량 분석
조직의 유전자 발현량 분석을 위해 간 조직의 RNA를 RNeasy Lipid tissue mini kit (Qiagen)를 사용하여 추출하였고, 장 조직의 RNA를 easy-spin total RNA extraction kit (Intron)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를 high capacity RNA-to-cDNA kit (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하여 cDNA로 합성시킨 후 roter-gene SYBR green PCR kit (Qiagen)를 사용하여 유전자 발현량을 분석한 결과를 도 14(간 조직), 및 도 15a(장 조직)에 나타냈다.
도 14는, 간에서의 중성지방 합성 및 지방산 수송과 같은 지방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인 PPAR-r와 CD36의 발현량과 neutrophil recruitment를 활성화 시키는 chemokines인 CXCL2와 CXCL5의 유전자 발현량,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진 TNF-α와 IL-1β의 발현량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도 15a는 장에서의 장 상피세포간 막 (tight junction)과 관련된 Zo-1, Occludin의 유전자의 발현량, 및 점액 층 (mucus layer)와 관련된 MUC2 유전자의 발현량을 비교 분석한 것이다.
이 때 아래 표 4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6 내지 27)를 이용하였으며, 간의 경우 18S, 장의 경우 HPRT 항존유전자 (house keeping gene)로 발현량을 보정하였다.
구분 | 서열번호 | 타겟유전자 | 서열(5'->3') |
정방향 | 6 | 18S | GTAACCCGTTGAACCCCATT |
역방향 | 7 | 18S | CCATCCAATCGGTAGTAGCG |
정방향 | 8 | Ppar-γ | ATGTCTCACAATGCCATCAGGTT |
역방향 | 9 | Ppar-γ | GCTCGCAGATCAGCAGACTCT |
정방향 | 10 | CD36 | TTGTACCTATACTGTGGCTAAATGAGA |
역방향 | 11 | CD36 | CTTGTGTTTGAACATTTCTGCTT |
정방향 | 12 | CXCL2 | AAAGTTTGCCTTGACCCTGAA |
역방향 | 13 | CXCL2 | CTCAGACAGCGAGGCACATC |
정방향 | 14 | CXCL5 | TGATCCCTGCAGGTCCACA |
역방향 | 15 | CXCL5 | CTGCGAGTGCATTCCGCTTA |
정방향 | 16 | TNF-α | CATCTTCTCAAAATTCGAGTGACAA |
역방향 | 17 | TNF-α | TGGGAGTAGACAAGGTACAACCC |
정방향 | 18 | IL-1β | GAAATGCCACCTTTTGACAGTG |
역방향 | 19 | IL-1β | CTGGATGCTCTCATCAGGACA |
정방향 | 20 | Zo-1 | ACCCGAAACTGATGCTGTGGATAG |
역방향 | 21 | Zo-1 | AAATGGCCGGGCAGAACTTGTGTA |
정방향 | 22 | Occludin | GGAGGACTGGGTCAGGGAATA |
역방향 | 23 | Occludin | CGTCGTCTAGTTCTGCCTGT |
정방향 | 24 | MUC2 | ACTGCACATTCTTCAGCTGC |
역방향 | 25 | MUC2 | ATTCATGAGGACGGTCTTGG |
정방향 | 26 | HPRT | TTATGGACAGGACTGAAAGAC |
역방향 | 27 | HPRT | GCTTTAATGTAATCCAGCAGGT |
도 14의 결과에 의하면, PPAR-r와 CD36은 음성대조군(Pair)에 비하여 양성대조군(EtOH)에서 유의하게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이는 에탄올로 인한 간에서의 지방 대사의 증가를 의미한다. 한편 Ri 균주를 투여한 실험군(EtOH+Ri)에서는 양성대조군에 비교하여 두 유전자 모두 유의한 발현량 감소를 보였으며, Rh를 투여한 실험군(EtOH+Rh)의 경우 CD36 발현량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는 로제부리아 균주 투여가 지방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 발현량을 감소시켜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에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CXCL2와 CXCL5은 음성대조군(Pair)에 비하여 양성대조군(EtOH)에서 유의하게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이는 에탄올로 인한 간에서의 염증 반응의 증가 및 면역 세포 활성 증가를 의미한다. 특히 CXCL2와 CXCL5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일종인 케모카인으로서 염증을 유발한다. 한편 Ri를 투여한 실험군(EtOH+Ri)에서는 양성대조군에 비교하여 두 유전자 모두 유의한 발현량 감소를 보였고, Rh를 투여한 실험군(EtOH+Rh)의 경우 CXCL2 발현량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이는 로제부리아 균주 투여가 면역 세포 조절과 관련된 유전자 발현량을 감소시켜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에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TNF-α와 IL-1β은 음성대조군(Pair)에 비하여 양성대조군(EtOH)에서 유의하게 발현량이 증가하였고, 이는 에탄올로 인한 간에서의 염증 반응 증가를 의미한다. 한편, Ri 및 Rh를 투여한 실험군(EtOH+Ri, EtOH+Rh)에서 모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균주 투여로 인한 간에서의 염증 반응의 감소를 의미한다.
도 15a의 결과에 의하면, Zo-1의 경우 음성대조군(Pair)과 양성대조군(EtOH) 사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Occludin의 경우, 음성대조군(Pair)에 비하여 양성대조군(EtOH)에서 유의하게 발현량이 감소하였고, 이는 에탄올로 인한 장에서의 장 상피세포간 밀착연접 감소에 Occludin 발현량이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Ri 및 Rh를 투여한 실험군(EtOH+Ri, EtOH+Rh) 및 Akk를 투여한 대조군(EtOH+Akk)에서 모두 유의하게 Occludin 발현량의 증가를 보였다. 이는 로제부리아 균주의 투여가 Occludin 발현량을 증가시켜 장 상피세포간 막을 강화하여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에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MUC2의 경우 음성대조군(Pair)에 비하여 양성대조군(EtOH)에서 유의하게 발현량이 감소하였고, 이는 에탄올로 인한 점액 층 구성이 더 투과성이 높게 변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Ri 및 Rh를 투여한 실험군(EtOH+Ri, EtOH+Rh)에서 모두 유의하게 MUC2 발현량의 증가를 보였다. 이는 로제부리아 균주 투여가 MUC2 발현량을 증가시켜 점액 층을 강화하여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에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10-4: 단백질 발현량 분석
장 조직의 단백질 발현량 분석을 위해 장 조직의 단백질을 protease inhibitor cocktail이 첨가된 RIPA 버퍼에 균질화하여 추출 후 BCA protein assay kit (Thermo Fisher Scientific)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10% β-mercaptoethanol이 포함된 Laemmli sample loading buffer (Bio-Rad)를 첨가하여 10분간 85°C 에서 끓인 후 10% SDS-PAGE gel을 실시하였다. 이 후 membrane은 5% BSA가 첨가된 TBST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 후 1차, 2차 항체를 붙여 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 세기는 GeneTools (Syngene)를 통해 정량하였다.
도 15b는 장에서의 장 상피세포간 막 (tight junction)과 관련된 Occludin 및 항존유전자 (house keeping gene)인 β-actin의 단백질 발현량을 나타낸 것이며, 도 15c는 그룹 당 총 4-5개의 샘플에서 얻은 결과를 정량하여 β-actin값으로 보정하여 상대적인 단백질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5b 및 15c의 결과에 의하면, Occludin의 경우 음성대조군(Pair)에 비하여 양성대조군(EtOH)에서 유의하게 발현량이 감소하였고, 이는 에탄올로 인한 장에서의 Occludin 발현량의 감소로 인해 장 상피세포간 막이 약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Ri 및 Rh를 투여한 실험군(EtOH+Ri, EtOH+Rh) 및 Akk를 투여한 대조군(EtOH+Akk)에서 모두 유의하게 Occludin 발현량의 증가를 보였고, Ri의 경우 가장 현저히 높게 발현량을 증가시켰다. 이는 특히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균주 투여가 Occludin 발현량을 증가시켜 장 상피세포간 막을 강화하여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에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10-5: 16S rRNA를 이용한 장 내 균총 분석
실시예 9의 실험 종료 시 마우스의 맹장을 수득하여 -81℃에 냉동보관 하였으며, 시료를 실험실로 옮겨 QIAamp FAST DNA stool mini kit (Qiagen)를 이용하여 박테리아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DNA를, 박테리아의 16S rRNA 유전자의 V3-4 영역을 타겟으로 하는 아래 표 5의 프라이머 (서열번호 28 및 29)를 이용하여 증폭하고, index PCR을 수행 후 Illumina사의 MiSeq 기기를 이용하여 염기서열 데이터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대용량 염기서열을 QIIME pipeline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장 내 세균의 전체 유전정보를 확인하여 장 내 균총의 구조를 파악 후, 그룹에 따른 단변량 분석 (LefSE)을 실시하였다.
구분 | 서열번호 | 핵산서열 (5'->3') |
정방향 | 28 | TCGTCGGCAGCGTCAGATGTGTATAAGAGACAGCCTACGGGNGGCWGCAG |
역방향 | 29 | GTCTCGTGGGCTCGGAGATGTGTATAAGAGACAGGACTACHVGGGTATCTAATCC |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을 그룹에 따라 장 내 균총의 다양성 변화를 Faith's Phylogenetic diversity 및 Chao1 지표로 확인한 결과를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내었으며, Faith's Phylogenetic diversity 지표의 경우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의 경우 음성 대조군보다 장 내 균총의 다양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알코올 섭취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익균의 다양성의 감소 및 잠재적인 유해균의 우점으로 인해, 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편 Ri 및 LGG를 투여한 실험군에서 두 지표 유의하게 장 내 균총의 다양성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보였다. 이는 균주 투여가 장 내 균총의 다양성을 증가시켜 장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6S rRNA에 기반하여 분석된 장 내 균총의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도 16c에 나타내었으며, PCA plot을 통해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이 음성 대조군과 매우 다른 장 내 균총 구조를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Ri를 투여한 실험군에서만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과 다른 장 내 균총 구조를 지닌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균주 투여가 장 내 균총을 구성하고 있는 종을 변화시켜 그 구조를 조절 (modulation)하였음을 시사한다.
어떤 장 내 균총이 달라졌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단변량 분석 (LefSE)을 실시한 결과를 도 16d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에서는 대표적인 유해균인 세포벽이 리포다당류 (LPS, lipopolysaccharide)로 구성되어 있는 Enterobacteriaceae의 우점을 확인하였다. 한편 Ri를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Akkermansia 및 Prevotella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는 균주 투여가 이러한 장 내 균총을 변화시켜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에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PICRUSt를 통한 장 내 균총 KEGG pathways 기능 추정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도 17에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인 에탄올 그룹에서는 glycan 분해와 galactose 대사 기능의 우점을 확인하였다. 한편 Ri를 투여한 실험군에서는 DNA 수리 및 대사 기능의 증가를 확인하였다. 이는 균주 투여가 장 내 균총의 기능을 조절하여 알코올성 지방간 완화에 도움을 주었음을 의미한다.
<110> Seoul National University R&DB Foundation
<120> The compositions of short chain fatty acid producing gut
microbiota in diagnosis and therapy of alcoholic liver disease
<130> DPP20183141KR
<150> KR 10-2017-0126557
<151> 2017-09-28
<160> 29
<170> KoPatentIn 3.0
<210> 1
<211> 5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515F
<400> 1
atgatacggc gaccaccgag atctacacta tggtaattgt gtgccagcmg ccgcggtaa 59
<210> 2
<211> 56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806R
<400> 2
caagcagaag acggcatacg agatagtcag tcagccggac tachvgggtw tctaat 56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27F
<400> 3
agagtttgat ymtggctcag 20
<210> 4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imer 1492R
<400> 4
tacggytacc ttgttacgac t 21
<210> 5
<211> 143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osebuia intestinalis
<400> 5
ttatggctca ggatgaacgc tggcggcgtg cttaacacat gcaagtcgaa cgaagcactt 60
tatttgattt cttcggaatg aagattttgt gactgagtgg cggacgggtg agtaacgcgt 120
gggtaacctg cctcatacag ggggataaca gttggaaacg actgctaata ccgcataagc 180
gcacagggtc gcatgacctg gtgtgaaaaa ctccggtggt atgagatgga cccgcgtctg 240
attagccagt tggtggggta acggcctacc aaagcgacga tcagtagccg acctgagagg 300
gtgaccggcc acattgggac tgagacacgg cccaaactcc tacgggaggc agcagtgggg 360
aatattgcac aatgggggaa accctgatgc agcgacgccg cgtgagcgaa gaagtatttc 420
ggtatgtaaa gctctatcag cagggaagaa gaaatgacgg tacctgacta agaagcaccg 480
gctaaatacg tgccagcagc cgcggtaata cgtatggtgc aagcgttatc cggatttact 540
gggtgtaaag ggagcgcagg cggtacggca agtctgatgt gaaagcccgg ggctcaaccc 600
cggtactgca ttggaaactg tcggactaga gtgtcggagg ggtaagtgga attcctagtg 660
tagcggtgaa atgcgtagat attaggagga acaccagtgg cgaaggcggc ttactggacg 720
attactgacg ctgaggctcg aaagcgtggg gagcaaacag gattagatac cctggtagtc 780
cacgccgtaa acgatgaata ctaggtgtcg gggagcattg ctcttcggtg ccgcagcaaa 840
cgcaataagt attccacctg gggagtacgt tcgcaagaat gaaactcaaa ggaattgacg 900
gggacccgca caagcggtgg agcatgtggt ttaattcgaa gcaacgcgaa gaaccttacc 960
aagtcttgac atcccgatga cagaacatgt aatgtgtttt ctcttcggag catcggtgac 1020
aggtggtgca tggttgtcgt cagctcgtgt cgtgagatgt tgggttaagt cccgcaacga 1080
gcgcaacccc tattcttagt agccagcggg taagccgggc actctaggga gactgccagg 1140
gataacctgg aggaaggtgg ggatgacgtc aaatcatcat gccccttatg acttgggcta 1200
cacacgtgct acaatggcgt aaacaaaggg aagcgagcct gcgaggggga gcaaatctca 1260
aaaataacgt ctcagttcgg actgcagtct gcaactcgac tgcacgaagc tggaatcgct 1320
agtaatcgcg aatcagaatg tcgcggtgaa tacgttcccg ggtcttgtac acaccgcccg 1380
tcacaccatg ggagttggta atgcccgaag tcagtgaccc aaccgcaagg aggg 1434
<210> 6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S-FWD primer
<400> 6
gtaacccgtt gaaccccatt 20
<210> 7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8S-REV primer
<400> 7
ccatccaatc ggtagtagcg 20
<210> 8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par-r FWD primer
<400> 8
atgtctcaca atgccatcag gtt 23
<210> 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par-r REV primer
<400> 9
gctcgcagat cagcagactc t 21
<210> 10
<211> 27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36 FWD primer
<400> 10
ttgtacctat actgtggcta aatgaga 27
<210> 11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D36 REV primer
<400> 11
cttgtgtttg aacatttctg ctt 23
<210> 1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XCL2 FWD primer
<400> 12
aaagtttgcc ttgaccctga a 21
<210> 1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XCL2 REV primer
<400> 13
ctcagacagc gaggcacatc 20
<210> 14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XCL5 FWD primer
<400> 14
tgatccctgc aggtccaca 19
<210> 1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CXCL5 REV primer
<400> 15
ctgcgagtgc attccgctta 20
<210> 16
<211> 2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 FWD primer
<400> 16
catcttctca aaattcgagt gacaa 25
<210> 17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TNF-a REV primer
<400> 17
tgggagtaga caaggtacaa ccc 23
<210> 18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b FWD primer
<400> 18
gaaatgccac cttttgacag tg 22
<210> 19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IL-1b REV primer
<400> 19
ctggatgctc tcatcaggac a 21
<210> 20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o-1 FWD primer
<400> 20
acccgaaact gatgctgtgg atag 24
<210> 21
<211> 24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Zo-1 REV primer
<400> 21
aaatggccgg gcagaacttg tgta 24
<210> 2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ccludin FWD primer
<400> 22
ggaggactgg gtcagggaat a 21
<210> 2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Occludin REV primer
<400> 23
cgtcgtctag ttctgcctgt 20
<210> 2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C2 FWD primer
<400> 24
actgcacatt cttcagctgc 20
<210> 25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UC2 REV primer
<400> 25
attcatgagg acggtcttgg 20
<210> 2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RT FWD primer
<400> 26
ttatggacag gactgaaaga c 21
<210> 27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PRT REV primer
<400> 27
gctttaatgt aatccagcag gt 22
<210> 28
<211> 5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WD primer
<400> 28
tcgtcggcag cgtcagatgt gtataagaga cagcctacgg gnggcwgcag 50
<210> 29
<211> 55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 primer
<400> 29
gtctcgtggg ctcggagatg tgtataagag acaggactac hvgggtatct aatcc 55
Claims (15)
- 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 활성을 가지는, 기탁번호 KCTC13327BP를 갖는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Roseburia intestinalis) 균주로서,
상기 알코올성 지방간의 개선 활성은 리포다당류의 감소에 의한 것인, 균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알코올성 지방간 유도 동물 모델에서, 상기 균주를 무처리한 대조구 대비,
상피세포간 밀착연접(tight junction)의 증가,
혈중 리포다당류 (LPS)의 감소, 및
장벽 투과성의 감소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 이상의 특성을 갖는 것인, 균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피세포간 밀착연접의 증가 특성은, 상기 균주의 편모에 의한 것인, 균주.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피세포간 밀착연접의 증가는, 알코올성 지방간 유도 동물 모델에서, 상기 균주를 무처리한 대조구 대비, 상기 균주 처리 군에서 상피세포 막의 상피 전기저항 증가, Occludin 유전자의 발현량 증가, 또는 MUC2 유전자의 발현량 증가에 의한 것인, 균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알코올성 지방간 유도 동물 모델에서, 상기 균주를 무처리한 대조구 대비, CXCL2 유전자, CXCL5 유전자, TNF-α 유전자, 및 IL-1β 유전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간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량 감소 특성을 가지는, 균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은, 알코올성 지방간 유도 동물 모델에서, 상기 균주를 무처리한 대조구 대비,
상기 균주의 섭취에 의한 혈중 ALT 농도의 감소, 혈중 AST 농도의 감소, 간의 중성지방의 감소, 간의 지방량 감소, PPAR-r 유전자의 발현 감소, 및 CD36 유전자의 발현 감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간기능 지표가 개선되는 것인, 균주.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Roseburia intestinalis) 균주, 상기 균주의 편모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Roseburia intestinalis) 균주, 상기 균주의 편모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용 식품 조성물.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로제부리아 인테스티날리스 (Roseburia intestinalis) 균주, 상기 균주의 편모 추출물, 상기 균주의 배양물, 상기 배양물의 농축액 및 건조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용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알코올성 지방간 유도 동물 모델에서, 상기 균주를 무처리한 대조구 대비,
장내 미생물 균총의 다양성 증가,
아커만시아 (Akkermansia) 속 균주의 증가, 및
프레보텔라 (Prevotella) 속 균주의 증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발하는 것인, 프로바이오틱스 조성물.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A3076884A CA3076884A1 (en) | 2017-09-28 | 2018-09-28 | Composition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coholic liver disease, using change in short-chain fatty acid producing gut bacterial community |
AU2018341734A AU2018341734B2 (en) | 2017-09-28 | 2018-09-28 | Composition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coholic liver disease, using change in short-chain fatty acid producing gut bacterial community |
PCT/KR2018/011564 WO2019066577A2 (ko) | 2017-09-28 | 2018-09-28 | 짧은 사슬 지방산 생성 장내 세균 군집의 변화를 이용한 알코올성 간 질환의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
US16/648,358 US11510948B2 (en) | 2017-09-28 | 2018-09-28 | Composition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coholic liver disease, using change in short-chain fatty acid producing gut bacterial community |
JP2020518722A JP7033655B2 (ja) | 2017-09-28 | 2018-09-28 | 短鎖脂肪酸生成腸内細菌群集の変化を用いたアルコール性肝疾患の診断および治療用組成物 |
US18/050,091 US11903980B2 (en) | 2017-09-28 | 2022-10-27 | Composition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coholic liver disease, using change in short-chain fatty acid producing gut bacterial commun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26557 | 2017-09-28 | ||
KR20170126557 | 2017-09-2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37170A KR20190037170A (ko) | 2019-04-05 |
KR102212606B1 true KR102212606B1 (ko) | 2021-02-05 |
Family
ID=66104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5823A KR102212606B1 (ko) | 2017-09-28 | 2018-09-28 | 짧은 사슬 지방산 생성 장내 세균 군집의 변화를 이용한 알코올성 간 질환의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2) | US11510948B2 (ko) |
EP (1) | EP3690026A4 (ko) |
JP (1) | JP7033655B2 (ko) |
KR (1) | KR102212606B1 (ko) |
CN (1) | CN111527195B (ko) |
AU (1) | AU2018341734B2 (ko) |
CA (1) | CA3076884A1 (ko) |
WO (1) | WO2019066577A2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6746A (ko) | 2021-02-15 | 2022-08-23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엘라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259146B (zh) * | 2018-08-27 | 2022-05-20 | 南昌大学 | 鼠李糖乳杆菌在制备具有抑制脂肪肝病变功效的组合物中的应用 |
CN113993529A (zh) * | 2019-05-21 | 2022-01-28 | 潘德勒姆治疗公司 | 用于治疗肝脏病症的方法和组合物 |
KR102363094B1 (ko) | 2020-06-19 | 2022-02-16 | 한국식품연구원 |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간질환 위험도 예측 또는 진단용 조성물, 그를 이용한 진단키트, 정보제공방법 및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
CN111733137A (zh) * | 2020-07-13 | 2020-10-02 | 江南大学 | 一种筛选可预防和/或治疗酒精性肝损伤的药物的方法 |
KR20220041406A (ko) | 2020-09-25 | 2022-04-01 | 한국식품연구원 |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간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간질환의 치료방법 |
CN113181151A (zh) * | 2020-12-29 | 2021-07-30 | 山东善维免疫科技有限公司 | 短链脂肪酸在预防或/和治疗肝损伤中的应用 |
KR20240130121A (ko) * | 2021-12-27 | 2024-08-28 | 엠알엠 헬스 엔.브이. | 미생물 군집 |
AU2023210125A1 (en) * | 2022-01-20 | 2024-08-08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Composition for prevention, amelioration or treatment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comprising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roseburia spp. or bifidobacterium spp. |
CN114621936B (zh) * | 2022-03-02 | 2023-10-24 | 中南大学湘雅二医院 | 蛋白组合物及其用途 |
CN114796285B (zh) * | 2022-04-29 | 2023-06-23 | 大连工业大学 | 嗜黏蛋白阿克曼氏菌在缓解高尿酸血症中的应用 |
CN114854884A (zh) * | 2022-05-27 | 2022-08-05 | 山东农业大学 | 用属水平的粪便微生物预警或无创诊断脂肪肝奶牛的方法 |
CN115804793A (zh) * | 2022-06-08 | 2023-03-17 | 广州知易生物科技有限公司 | 嗜粘蛋白阿克曼菌在制备改善酒精性肝功能异常的组合物中的应用、组合物及应用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8472B1 (ko) * | 2009-11-05 | 2012-06-20 | 주식회사 베네비오 | 알코올에 유발된 간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KR101303541B1 (ko) * | 2011-06-15 | 2013-09-03 |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 알코올성 간손상 내지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및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조성물 |
WO2013037068A1 (en) * | 2011-09-14 | 2013-03-21 |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 Method for treatment of disorders of the gastrointestinal system |
GB201117313D0 (en) * | 2011-10-07 | 2011-11-16 | Gt Biolog Ltd | Bacterium for use in medicine |
WO2014159510A1 (en) | 2013-03-12 | 2014-10-02 | Yale University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secretory antibody-bound microbes |
GB201306536D0 (en) | 2013-04-10 | 2013-05-22 | Gt Biolog Ltd | Polypeptide and immune modulation |
CN104413334A (zh) * | 2013-08-30 | 2015-03-18 | 深圳华大基因科技有限公司 | 可食用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
WO2016172658A2 (en) | 2015-04-23 | 2016-10-27 | Kaleido Biosciences, Inc. | Microbiome regulators and related uses thereof |
MX2018002990A (es) | 2015-09-10 | 2018-06-08 | Univ Catholique Louvain | Uso de la akkermansia pasteurizada para tratar trastornos metabolicos. |
KR20170032815A (ko) | 2015-09-15 | 2017-03-23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신규 유산균 및 퇴행성 뇌질환 또는 인지기능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TWI589297B (zh) * | 2016-04-25 | 2017-07-01 | Use of melon leaf extract for the treatment and / or prevention of alcoholic fatty liver or its complications | |
AU2018318132A1 (en) * | 2017-08-14 | 2020-02-27 | Seres Therapeutics, Inc.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holestatic disease |
-
2018
- 2018-09-28 US US16/648,358 patent/US11510948B2/en active Active
- 2018-09-28 CA CA3076884A patent/CA3076884A1/en active Pending
- 2018-09-28 CN CN201880076591.7A patent/CN111527195B/zh active Active
- 2018-09-28 JP JP2020518722A patent/JP7033655B2/ja active Active
- 2018-09-28 KR KR1020180115823A patent/KR10221260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9-28 EP EP18860264.3A patent/EP3690026A4/en active Pending
- 2018-09-28 WO PCT/KR2018/011564 patent/WO2019066577A2/ko unknown
- 2018-09-28 AU AU2018341734A patent/AU2018341734B2/en active Active
-
2022
- 2022-10-27 US US18/050,091 patent/US11903980B2/en active Active
Non-Patent Citations (4)
Title |
---|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2007, Vol. 73, No. 3, pp. 730-739. |
Frontiers in Physiology. (2017.05.19.) vol. 8, article 319. |
Future Microbiol. (2017.01.31.) 12(2), 157-170.* |
World J. Gastroenterol., 2015, 21(41): pp. 11597-11608.*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116746A (ko) | 2021-02-15 | 2022-08-23 |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 엘라그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내 미생물 개선용 조성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1510948B2 (en) | 2022-11-29 |
KR20190037170A (ko) | 2019-04-05 |
CN111527195B (zh) | 2023-11-03 |
AU2018341734A1 (en) | 2020-04-16 |
EP3690026A2 (en) | 2020-08-05 |
CA3076884A1 (en) | 2019-04-04 |
EP3690026A4 (en) | 2021-06-23 |
US20210052674A1 (en) | 2021-02-25 |
AU2018341734B2 (en) | 2022-02-03 |
US11903980B2 (en) | 2024-02-20 |
JP2020534858A (ja) | 2020-12-03 |
JP7033655B2 (ja) | 2022-03-10 |
US20230190829A1 (en) | 2023-06-22 |
WO2019066577A3 (ko) | 2019-07-04 |
WO2019066577A2 (ko) | 2019-04-04 |
CN111527195A (zh) | 2020-08-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2606B1 (ko) | 짧은 사슬 지방산 생성 장내 세균 군집의 변화를 이용한 알코올성 간 질환의 진단 및 치료용 조성물 | |
US20150328266A1 (en) | Use of Bifidobacterium Animalis for Treating or Preventing Body Weight Gain and Insulin Resistance | |
WO2019156251A1 (ja) | リポ多糖制御性腸内細菌及びその用途 | |
KR102033031B1 (ko)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tci378 및 지방 감소 및 위장 기능 향상에 있어서 그의 용도 | |
CN113197250B (zh) | 一种含嗜热链球菌mn002的产品的用途及乳制品 | |
Mu et al. | Probiotic yeast BR14 ameliorates DSS-induced colitis by restoring the gut barrier and adjusting the intestinal microbiota | |
JP7360420B2 (ja) | ディスバイオシスの治療のために用いられるブドウ果皮 | |
CN113897302A (zh) | 一种可缓解结肠炎的双歧杆菌及其应用 | |
Nishihira et al. | Lactobacillus gasseri SBT2055 stimulates immunoglobulin production and innate immunity after influenza vaccination in healthy adult volunteer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parallel-group study | |
Ran et al. | Preventive effect of Chinese dwarf cherry [Cerasus humilis (Bge.) Sok.] fermentation juice on dextran sulfate sodium-induced ulcerative colitis rats through the regulation of IgA and the intestinal immune barrier | |
CN116396909A (zh) | 一株用于抗金黄色葡萄球菌性乳腺炎的植物乳杆菌x86 | |
KR102641644B1 (ko)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의 치료적 용도 | |
KR20090114279A (ko) | 암 세포 증식 억제 효과 및 면역 증강 효과를 가진비피도박테리움 아돌레센티스 spm0212의 부탄올 추출물,이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
KR102244007B1 (ko) |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glu70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리아딘으로 야기된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2700146B1 (ko) | 미생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진단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7570506B2 (ja) | 微生物を含む炎症性疾患の診断または治療用組成物 | |
KR102244008B1 (ko) | 글루텐 분해능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glu70 균주의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글리아딘으로 야기된 염증성 장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Bourrie | Culture and Characterization of Kefir Organisms to Reproduce the Health Benefits of Traditional Kefir | |
CN117801974A (zh) | 一种罗伊氏乳杆菌c501菌株及其应用 | |
KR20220041410A (ko) |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신질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신질환의 치료방법 | |
KR20220041403A (ko) |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비만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비만의 치료방법 | |
IT201800006431A1 (it) | Composizione di lactobacillus per la prevenzione e il trattamento della vaginosi batterica | |
Class et al. | Patent application title: Use of Bifidobacterium Animalis for Treating or Preventing Body Weight Gain and Insulin Resistance Inventors: Jian Shen (Shanghai, CN) Jingjing Wang (Shanghai, CN) Liping Zhao (Shanghai, CN) Martin Saul Obin (West Newton, MA, US) Muriel Derrien (Bures Sur Yvette, FR) Emilie Rocher (Massy, FR) Johan Van Hylckama Vlieg (Marly Le Roi, FR) Assignees: TUFTS UNIVERSITY COMPAGNIE GERVAIS DANO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