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0017B1 -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0017B1
KR102210017B1 KR1020180080881A KR20180080881A KR102210017B1 KR 102210017 B1 KR102210017 B1 KR 102210017B1 KR 1020180080881 A KR1020180080881 A KR 1020180080881A KR 20180080881 A KR20180080881 A KR 20180080881A KR 102210017 B1 KR102210017 B1 KR 102210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member
bridge
expansion joint
strength sheet
fiber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8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7137A (ko
Inventor
이승재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이승재
이승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재, 이승민 filed Critical 이승재
Priority to KR10201800808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00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7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7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0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0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이 교량 하부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부재의 재질을 섬유재로 하여 재단 및 재봉을 통해 시공되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방수부재의 우수한 기밀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교량 상판의 슬래브 유간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각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서로를 향해 맞물리되 신축 이동을 위한 유격이 형성된 상태로 설치된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슬래브 유간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유격을 통해 유입되는 물 및 이물질을 받아내는 방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부재는 섬유재이며, 상기 방수부재는 신축이음장치가 교차되는 지점 및 신축이음장치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도록 재단된 후, 재봉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핑거플레이트를 통해 차폐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부재의 양단부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인 고정바를 재봉을 통해 감싸 고정하고, 상기 방수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위치된 후, 핑거플레이트가 지지부재에 고정됨으로써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An expansion joint for bridge having watertight member of a fabric or a high-strength sheet and an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위치에 관계없이 우수한 기밀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교각을 가지는 비교적 길이가 긴 교량에는 온도 변화에 따른 교량의 팽창 및 수축에 대응하기 위하여 교량의 상판을 교량의 길이 방향으로 여러 개의 부분으로 나누고, 각 분할된 상판부 사이에는 신축 이음장치를 설치한다.
상기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이음부나 확장 등 교량 상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의 온도 변화의 차이로 인해 발생되는 수축 및 팽창을 수용하는 장치로써, 교량 연결부의 차량통행을 원활히 함과 더불어 교량하부로의 이물질 유입 및 빗물 유입을 방지하여 2차적 손상인 교량하부에 대한 녹방지 및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신축이음장치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장치는, 서로 마주본 상태로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고 각 외측면에는 앵커(a)가 마련된 한 쌍의 지지부재(10)와, 상기 각 지지부재(10) 상단의 수평단에 설치되어 서로 맞물리게 배치된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0)와, 상기 지지부재(10)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하는 이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핑거플레이트(20) 사이로 낙하되는 물이나 이물질을 수용하는 고무 재질의 방수부재(30)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신축이음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 상판의 각 지점마다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신축작용을 수행하면서 차량 통행을 원활하게 하고 교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고무 방수부재(30)로 하여금 물이나 이물질을 수용하도록 하여, 교량 하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교량의 상판 간에 만나는 지점 중, 교량의 상판 간에 교차되는 지점(C)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방수부재(30)가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교량의 상판 간에 교차되는 지점인 십자(十字) 위치 및 T자 위치에 설치된 신축이음장치는 고무 재질의 방수부재(30)간 연결이 기밀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방수부재(30)의 기밀력이 유지되기 어려웠던 것이다.
이에 따라, 교량 위의 물이나 이물질이 방수부재(30) 이음부 사이로 새어나가면서 교량 하부로 낙하되어, 교량 하부 구조물을 손상시키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또한, 고무 재질의 특성상 방수부재는 교체 주기가 짧아, 유지 보수 관리에 대한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53066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물이나 이물질을 걸러내는 방수부재의 재질을 섬유재로 하여 재단 및 재봉을 통해 방수부재를 시공함으로써, 교량 상판 간에 서로 교차되는 지점에 교량 하부로 누수 방지 및 이물질 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량 상판의 슬래브 유간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각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서로를 향해 맞물리되 신축 이동을 위한 유격이 형성된 상태로 설치된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슬래브 유간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유격을 통해 유입되는 물 및 이물질을 받아내는 방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부재는 섬유재이며, 상기 방수부재는 신축이음장치가 교차되는 지점 및 신축이음장치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도록 재단된 후, 재봉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핑거플레이트를 통해 차폐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부재의 양단부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인 고정바를 재봉을 통해 감싸 고정하고, 상기 방수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위치된 후, 핑거플레이트가 지지부재에 고정됨으로써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신축이음장치의 핑거플레이트 사이를 통해 낙하되는 물 및 이물질을 받아내는 방수부재의 재질을 섬유재로 함으로써, 방수부재에 대한 재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재봉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교량 상판이 교차되는 지점 즉, 십자(十字) 및 T자 지점에 설치되는 방수부재 형상을 십자(十字) 및 T자로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으므로, 방수부재 시공의 편의성은 물론 교량 상판이 교차되는 지점에 대한 기밀 유지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방수부재 재질이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로 제공됨으로써, 내구성은 물론 내열성이 높기 때문에 유지 보수 주기를 연장할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a는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교량 상판에서 십자(十字)로 교차되는 지점을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부재 요부를 나타낸 것으로써, 십자(十字)로 교차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교차지점에 대응되는 방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는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가 교량 상판에서 T자로 교차되는 지점을 나타낸 요부 평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부재 요부를 나타낸 것으로써, T자로 교차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교차지점에 대응되는 방수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시공방법 중 요부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부재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이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물이나 이물질이 교량 하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부재 재질을 섬유재로 하고, 그 방수부재 연결은 재봉 및 가열접착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방수부재 기밀 유지력을 높일 수 있으므로, 유지 보수 관리에 대한 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와, 핑거플레이트(200)와, 방수부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재(100)는 교량 상판의 이격된 슬래브에 앵커(110)를 통해 고정된다.
지지부재(100)는 한 쌍으로 제공되며, 슬래브의 유간에서 서로를 향해 대향된다.
이때, 지지부재(100)에는 각각 상방을 향해 개구된 체결홈(120)이 형성된다.
체결홈(120)은 후술하는 고정수단의 체결구가 삽입되는 부위이다.
이때, 지지부재(100)의 측면에는 나사공(130)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체결홈(120) 및 나사공(130)은 방수부재(300)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써,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핑거플레이트(200)는 교량 신축 작용시 신축 경로를 가이드해주고, 교량의 신축 작용이 유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핑거플레이트(200)는 지지부재(10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서로 맞물려 위치된 한 쌍으로 제공된다.
핑거플레이트(200)는 돌부와 요홈이 교번으로 형성(도 1참조)되며, 대향된 핑거플레이트(200) 간에는 돌부 및 요홈이 서로 엇갈린 상태로 배치된다.
다음으로, 방수부재(300)는 지면으로부터 낙하되는 물이나 이물질이 교량 하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지지부재(100) 사이의 유간에 설치된다.
즉,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200) 사이의 이격공간을 통해 빗물이나 지면의 이물질이 낙하될 수 있는데, 방수부재(300)는 상기한 물이나 이물질을 받아내어 교량 하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인 것이다.
상기 방수부재(300)는 재봉이 가능한 섬유재 또는 거열접착이 가능한 고강도 시트 등으로 제공된다.
상기 방수부재(300)는 핑거플레이트(200)의 하방에 설치되며, 그의 양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의 측면에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부재(30)가 핑거플레이트(20)와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형태로 고정될 경우, 상기 방수부재(30)는 신축 과정에서 개재된 부위로부터 이탈되거나 찢어질 염려가 있는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의 측면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방수부재(30))의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방수부재(300)는 고정수단(400)을 통해 지지부재의 측면에 고정되며, 고정수단(400)은 체결구(410)와 볼트(4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체결구(410)는 체결홈(120)에 삽입되는 삽입부(411)와, 이 삽입부(411)로부터 지지부재(100)의 유간을 향해 다단 절곡 형성된 밀착부(41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의 체결구(4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밀착부(412)에는 나사공(130)에 대응되는 고정공(412a)이 형성된다.
또한, 밀착부(412)와 지지부재(100) 사이는 서로 이격되며, 그 이격 공간은 방수부재(300)의 단부가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방수부재(300)의 양단부는 밀착부(412)와 지지부재(100) 사이의 이격 공간에 삽입되고, 볼트(420)를 밀착부(412)의 고정공(412a)을 통해 나사공(130)으로 나사 체결시킴으로써 지지부재(100)에 방수부재(300)의 고정이 완료된다.
이때, 방수부재(300)의 양단부에도 고정공(412a) 및 나사공(130)에 대응되는 통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방수부재(300)의 재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로 하되, 바람직하게는 방수 기능을 구비한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로 제공된다.
아라미드 섬유(300)는 내구성이 뛰어난 폴리아마이드 섬유재로써, 항공우주 분야나 군사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재질이다.
아라미드 섬유(300)는 철에 비해 인장 강도가 6배 이상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상기 아라미드 섬유(300)는 나일론과 달리 섭씨 400도 이상에도 원래 상태를 유지하는 특성이 있어 내열성도 뛰어나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300)는 5m 이상 일체 시공될 수 있도록 재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신축이음장치간 이음부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대략 1.8m로 구성된 신축이음장치마다 이음부가 발생하고, 방수부재(30)는 신축이음장치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공되었으므로, 신축이음장치마다 이음부가 발생하였는바, 본 발명의 방수부재(300)는 섬유재로 제공됨으로써 그 길이를 최대화하여 재단할 수 있으므로 이음부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방수부재(300)의 재질은 아라미드 섬유외에도 고강도 시트 재질인 고강나이론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아라미드 섬유로 이루어진 방수부재(300)가 신축이음장치에 적용되는 시공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장치가 십자(十字) 형태로 교차되는 경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수부재(300) 시공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부재(300) 시공을 위해서 아라미드 섬유 또는 고강도시트를 마련한다.(S100)
이후, 아라미드 섬유 또는 고강도시트를 십자(十字) 형태로 재단하고(S200), 십자(十字)로 재단된 아라미드 섬유 또는 고강도시트의 각 4지점에 일직선의 신축이음장치에 대응되는 길이의 아라미드 섬유를 재봉하거나, 고강도시트의 경우 가열접착을 통해 고정한다.(S300)
이와 같이 아라미드 섬유 재봉 또는 고강도시트 가열접착을 통해 마련된 방수부재(3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에 설치한다.
이때, 지지부재(100)에 설치된 방수부재(300)의 상,하 길이는 기존의 고무재로 이루어진 방수부재(300)의 상,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라미드 섬유 또는 고강도시트의 신축성은 고무재에 비해 낮기 때문에, 아라미드 섬유 또는 고강도시트로 연결된 방수부재(300)의 상,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신축력을 보완할 수 있다.
이때, 방수부재(300)는 실제 설계 대비 10%이상 추가된 상,하 길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아라미드 섬유 또는 고강도시트로 이루어진 방수부재(300)를 갖는 신축이음장치가 교량 상판에 설치됨으로써, 일자(一字)형태는 물론 십자(十字) 형태로 교차되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구간에도 방수부재(300)는 우수한 기밀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에 T자 형태로 교차될 수도 있다.
신축이음장치가 T자로 교차되는 구간의 방수부재(300) 시공에 대하여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장치가 T자 형태로 교차되는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수부재 연결이 이루어진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부재 연결을 위해서 아라미드 섬유 도는 고강도시트를 마련한다.(S100)
이후, 아라미드 섬유 또는 고강도시트를 T자 형태로 재단하고(S200), T자로 재단된 아라미드 섬유 또는 고강도시트의 각 3지점에 일직선의 신축이음장치에 대응되는 길이의 아라미드 섬유 도는 고강도시트를 재봉하거나 가열접착하여 연결한다.(S300)
이와 같이 아라미드 섬유 재봉 또는 고강도시트 가열접착을 통해 마련된 방수부재(3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에 설치한다.
이때, 지지부재(100)에 설치된 방수부재(300)의 상,하 길이는 기존의 고무재로 이루어진 방수부재(30)의 상,하 길이에 비해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아라미드 섬유 또는 고강도시트의 신축성은 고무재에 비해 낮기 때문에, 아라미드 섬유로 재봉된 또는 고강도시트로 가열접착된 방수부재(300)의 상,하 길이를 길게 함으로써 신축력을 보완할 수 있다.
이때, 방수부재(300)는 실제 설계 대비 10%이상 추가된 상,하 길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아라미드 섬유 또는 고강도시트로 이루어진 방수부재(300)를 갖는 신축이음장치가 교량 상판에 설치됨으로써, T자 형태로 교차되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구간에도 방수부재의 기밀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수부재(300)를 지지부재(100)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교량의 양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시공할 수도 있다.
이는, 교량의 양단부에 설치된 집수관으로 방수부재에 수용된 물이나 이물질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방수부재는 도 3에 도시된 체결구 및 볼트 구성외에 지지부재에 다양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방수부재(300)의 양단부는 지지부재(100)의 체결홈(120)에 위치되며, 핑거플레이트(200)의 압착력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방수부재(300)의 양단부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바(430)가 설치되며, 그 고정바(430)는 체결홈(120)에 위치된다.
고정바(430)는 방수부재(300) 양단부의 롤링 및 접착 또는 재봉 등에 의해 고정되며, 그의 단면 형태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바(430)가 설치된 방수부재(300)의 양단부가 체결홈(120)에 위치된 후, 핑거플레이트(200)가 지지부재(100)에 고정됨으로써, 방수부재(300)의 양단부는 체결홈(120)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원천 차단되므로, 지지부재(100)로부터 이탈되는 일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방수부재(300)의 양단부를 지지부재(100)에 고정하기 위해 형성된 체결홈(120)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0)의 맨 외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방수부재(300)의 양단부에는 고정바(440)가 설치되되, 상기 고정바(440)의 단면 형태는 사각 형태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방수부재(300)의 양단부는 지지부재(100) 사이의 유간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고정됨에 따라, 핑거플레이트(200)와 지지부재(100) 사이에 압착면(300a)이 제공됨으로써 방수부재(300)의 체결력은 극대화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은 방수부재의 재질을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로 하여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위치에 관계없이 재단 및 재봉, 가열접착을 통해 방수부재를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즉,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교차 지점의 형태에 관계없이 방수부재가 교차형태에 대응되게 용이하게 재단될 수 있으며, 이음부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방수부재의 기밀력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내구성이 우수하므로 유지 보수 관리 주기를 연장할 수 있어, 유지 보수 관리 비용에 대한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지지부재 110 : 앵커
120 : 체결홈 130 : 나사공
200 : 핑거플레이트 300 : 방수부재(아리미드 섬유,고강도시트)
400 : 고정수단 410 : 체결구
411 : 삽입부 412 : 밀착부
412a : 고정공 420 : 볼트
430,440 : 고정바

Claims (4)

  1. 교량 상판의 슬래브 유간 사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부재;
    상기 각 지지부재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서로를 향해 맞물리되 신축 이동을 위한 유격이 형성된 상태로 설치된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어 슬래브 유간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핑거플레이트 유격을 통해 유입되는 물 및 이물질을 받아내는 방수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방수부재는 섬유재이며,
    상기 방수부재는 신축이음장치가 교차되는 지점 및 신축이음장치의 길이 방향에 대응되도록 재단된 후, 재봉을 통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핑거플레이트를 통해 차폐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방수부재의 양단부는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인 고정바를 재봉을 통해 감싸 고정하고,
    상기 방수부재는 양단부가 상기 체결홈에 위치된 후, 핑거플레이트가 지지부재에 고정됨으로써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080881A 2018-07-12 2018-07-12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210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881A KR102210017B1 (ko) 2018-07-12 2018-07-12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881A KR102210017B1 (ko) 2018-07-12 2018-07-12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137A KR20200007137A (ko) 2020-01-22
KR102210017B1 true KR102210017B1 (ko) 2021-02-01

Family

ID=6936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881A KR102210017B1 (ko) 2018-07-12 2018-07-12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0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646B1 (ko) 2021-09-29 2022-02-28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670B1 (ko) * 2020-02-06 2022-05-19 매크로드 주식회사 핑거플레이트 이탈 방지 장치가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062B1 (ko) * 2009-10-26 2010-10-11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7548B2 (ja) * 1994-04-28 1998-06-18 クレハエラストマー株式会社 自己修復性遮水シートの接合方法
KR101284886B1 (ko) * 2011-05-02 2013-07-10 안창모 시트 교체가 용이한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1530663B1 (ko) 2014-10-01 2015-06-22 주식회사 부흥시스템 신축이음장치의 고무 방수부재 결합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062B1 (ko) * 2009-10-26 2010-10-11 림버스산업 주식회사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7646B1 (ko) 2021-09-29 2022-02-28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저소음 신축이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7137A (ko) 2020-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0017B1 (ko) 섬유재 또는 고강도시트의 방수부재를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533984B1 (ko) 방수 및 이물질 유입 방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축이음장치 시공공법
KR200418580Y1 (ko) 교체용 신축 이음 누수 방지장치
KR10123619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 보수공법
KR102051614B1 (ko)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KR100924708B1 (ko) 신축이음장치의 배수장치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219808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부재 체결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9287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20010068280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JP7385447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コンクリート打継ぎ工法
KR20100003560U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유닛의 연결 구조
JP5355526B2 (ja) 止水板
KR200426214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184726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1286744B1 (ko) Pc박스 구조물의 연결구조
KR200332532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399279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및 그 보수공법
KR200272143Y1 (ko) 교량용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KR100502077B1 (ko) 교량구조물
KR102603468B1 (ko) 배수시트의 설치가 용이한 신축이음장치
KR102187004B1 (ko) 레일 타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RU138163U1 (ru) Бетонный мат со скрытыми креплениями и гибкое защитное полотно
KR101323239B1 (ko)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공법
CN204000597U (zh) 一种便捷更换的排污梳齿型伸缩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