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114B1 - 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 Google Patents

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114B1
KR102209114B1 KR1020170136585A KR20170136585A KR102209114B1 KR 102209114 B1 KR102209114 B1 KR 102209114B1 KR 1020170136585 A KR1020170136585 A KR 1020170136585A KR 20170136585 A KR20170136585 A KR 20170136585A KR 102209114 B1 KR102209114 B1 KR 10220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upport
saddle
wood block
h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6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4311A (ko
Inventor
이동주
진형국
강봉국
김종민
김현수
이지훈
김대영
김하근
황윤이
김언
Original Assignee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6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1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4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4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17/0027Tanks for fuel or the like ; Accessories therefor, e.g. tank filler 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8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 F17C13/082Mounting arrangements for vessels for large sea-borne storage vessels
    • B63B2701/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53Details of 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8Supporting fe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설치구조는, 온 데크 상에 마련되며, 캡슐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박을 추진시키는 연료인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하부에서 선체기준으로 좌우 둘레면을 따라 서로 이격 되게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탱크를 불연속적으로 지지하는 서포트부; 및 상기 서포트부와 상기 온 데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탱크를 지지하는 새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탱크의 하부 중심에 마련되며 상기 탱크를 고정시키는 고정서포트; 및 상기 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선체기준으로 좌우에 마련되며, 상기 새들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탱크를 지지하는 사이드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Tank installation structure and ship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 관한 것이다.
유조선, 정유제품운반선, 살물선 등은 내부에 다수의 화물창을 포함하고, 선박을 운항하는 경우에 추진력 발생을 위한 엔진을 구동하기 위해 엔진에 연료유를 공급할 필요가 있는데, 연료유는 화물창에 보관되는 화물을 이용하지 않고 별도의 연료유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여 이용하게 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국제해사기구(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의 규정 강화에 기인하여 환경 요구 기준을 맞추기 위하여 유조선, 정유제품운반선, 살물선 등에는유조선에는 청정 연료인 LNG를 사용하는데, 이를 위해 온 데크 상에 LNG 탱크(C 타입 탱크)를 구비한다.
아울러, LNG 탱크는 외부로부터 탱크로 열 유입을 최소화하여 선박 운항 동안 BOG를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163도의 LNG를 담고 있기 때문에 열 응력을 최소화하여 구조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러한 탱크의 구조와 이를 지지하기 이한 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종래의 탱크 지지구조는 새들(saddle)과 탱크가 전체적으로 접촉하는 연속형 구조를 채용하고 있어, 지지 구조의 접촉을 통한 열 유입량이 많아 탱크의 온도가 상승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의 소재비용 증가와 정확한 조립을 위한 정도 관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증가되어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 구조로부터 탱크로 전달되는 열 유입량을 감소시키고, 정도 관리가 용이하며,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설치구조는, 온 데크 상에 마련되며, 캡슐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박을 추진시키는 연료인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하부에서 선체기준으로 좌우 둘레면을 따라 서로 이격 되게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탱크를 불연속적으로 지지하는 서포트부; 및 상기 서포트부와 상기 온 데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탱크를 지지하는 새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탱크의 하부 중심에 마련되며 상기 탱크를 고정시키는 고정서포트; 및 상기 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선체기준으로 좌우에 마련되며, 상기 새들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탱크를 지지하는 사이드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상기 탱크 설치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편심되어 마련되는 제1 위치의 제1 서포트부재; 및 상기 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에 편심되어 마련되는 제2 위치의 제2 서포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서포트부재는, 상기 고정서포트; 및 상기 사이드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서포트는,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우드블록; 및 상기 제1 우드블록의 적어도 좌우를 지지하며,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각각에 서로 분리되도록 연결되는 제1 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서포트는,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사이에 상하로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제2 우드블록; 쌍을 이루는 상기 제2 우드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제2 우드블록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탱크의 둘레면 방향에서 상기 선체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사이드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드블록의 적어도 좌우를 지지하며,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각각에 서로 분리되도록 연결되는 제2 댐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서포트부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탱크의 하부 중심에 마련되며 상기 탱크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센터서포트;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선체기준으로 좌우에 마련되며 상기 탱크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서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터서포트는,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사이에 상하로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제3 우드블록; 쌍을 이루는 상기 제3 우드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제3 우드블록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선체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센터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우드블록의 적어도 좌우를 지지하며,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각각에 서로 분리되도록 연결되는 제3 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서포트는,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사이에 상하로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제4 우드블록; 쌍을 이루는 상기 제4 우드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제4 우드블록 중 어느 하나가 사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우드블록의 사방을 지지하며,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각각에 서로 분리되도록 연결되는 제4 댐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새들부는, 상기 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선체기준으로 좌우 둘레면에 대향하도록 좌측 및 우측 각각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상기 새들부와 상기 탱크 각각에 마련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은, 탱크를 지지하는 구조가 불연속으로 마련되어, 탱크와 접촉되는 서포트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선체로부터 전도로 인한 탱크로 유입되는 열량의 최소화로 증발가스 발생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탱크 내부의 압력 변화 등에 대한 구조적 안정을 이룰 수 있고, 서포트부의 사용량을 줄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곡면을 이루는 탱크와 서포트부의 정도 관리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마련된 탱크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마련된 탱크 구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마련된 탱크 구조의 연장라인의 배치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마련된 탱크 설치구조에 탱크가 마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탱크 설치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마련된 탱크 구조 측면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방향에서 바라본 서포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B 방향에서 바라본 서포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마련된 탱크 구조 정면의 개념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 B 방향에서 바라본 제1 서포트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A, B 방향에서 바라본 제2 서포트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마련된 탱크 구조 정면의 개념도이다.
도 14은 도 13의 A", B" 방향에서 바라본 제1 서포트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의 A", B" 방향에서 바라본 제2 서포트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마련된 와이어와 연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마련된 와이어와 연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탱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5 내지 도 15는 탱크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에 마련된 와이어와 연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초대형 원유운반선(Very Large Crude Oil Carrier: VLCC)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선체(11)의 내부에 화물창(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고, 선체(11)의 최상부 갑판인 온 데크(12) 상에 탱크(110)가 마련되어 선박(100)을 추진시키는 엔진(도시하지 않음)을 구동하기 위한 연료로서 LNG 등의 액화가스가 저장될 수 있다.
특히, 탱크를 포함하는 탱크 구조(100)는 선박(10)에 마련되는 구조로서, 탱크(110), 커넥션 룸(120)을 포함한다.
탱크(110)는 극저온의 LNG 가스를 액상으로 보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압력탱크로 이루어질 수 있고, 탱크의 형상은 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캡슐 형태(C 타입 탱크)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탱크(110)의 상부에는 돔(111)이 형성되어 복수의 라인(1231)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라인(1231)은 연료의 인입과 배출, 탱크 상태 진단 등을 위한 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돔(111)에는 탱크(110)로의 유입을 위한 제1 맨홀(1111)이 형성되어 탱크(110)의 유지 보수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탱크(110)는 선체(11)의 온 데크(12) 상에 마련되며, 예를 들어, 탱크(110)는 선체(11) 상에 쌍으로 마련될 수 있어, 선체의 좌현과 우현 각각에 치우쳐 나란히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탱크(110)는 탱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마련되는 초크부(130)에 의해 선체(11) 상에서 마련될 수 있는데, 초크부(130)는 탱크(110)의 열수축에 따라 탱크(110)의 이동을 허용하되, 일단이 고정된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초크부(130)는 고정초크(131), 보조초크(132)를 포함하여 고정초크(131)를 기준으로 보조초크(132)가 이동 가능하여 탱크(110)가 선체 상에서 연결된 상태에서 극저온의 연료가 충진/배출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탱크(110)가 수축/팽창 하더라도 보조초크(132)가 탱크와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보조초크(132)와 탱크(110)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초크부(130)에 대한 구조는 후술하기로 하며, 고정초크(131)는 후술되는 고정서포트(2110)일 수 있고, 보조초크(132)는 후술되는 센터서포트(212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넥션 룸(120)은 탱크(110)로부터 가스 누출시 이를 제어하기 위한 공간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즉 탱크(110)에서 엔진에 연료 공급을 위해 설치되는 각종 연료 공급용 등을 위한 라인(1231) 및 밸브류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LNG 유출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라인(1231) 및 밸브가 설치될 수 있는 일종의 밀폐된 완충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커넥션 룸(120)은 움직임이 최소화되도록 고정초크(131)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돔(111)의 상부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커넥션 룸(120)의 공간은 돔(111)에 대비하여 크게 형성되어 작업자가 직접 출입할 수 있으며, 커넥션 룸(120) 내부로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게 제2 맨홀(121)이 형성되어 커넥션 룸(120)의 유지보수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커넥션 룸(120)은, 원통 또는 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선체(11)의 중심방향에 대향하는 쉽 사이드(ship side)와, 선체의 외부 방향으로 대향하는 씨 사이드(sea sid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커넥션 룸(120)의 제조의 편의성, 라인 설치의 편리성, 하중 절감을 위해 커넥션 룸(120)의 바닥면은 별도로 형성되지 않고 돔(111)의 상부가 커넥션 룸(120)의 바닥면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추가로 바닥면이 마련되어 돔(111)의 상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돔(111)의 상부에 마련되는 커넥션 룸(120)을 연결하기 위해, 제1 연결부(1220), 제2 연결부(1221), 단열부재(1222)가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연결부(1220)는 돔(111)의 둘레를 따라 마련되며 하부는 돔(111)의 둘레면을 감싸고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형태를 이루어 수직절단면이 '┒' 또는 '┎'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제2 연결부(1221)는 커넥션 룸(12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부(1220)와 상하가 대칭되는 형태를 이루되 내측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이루어 돔(111)의 상단에 수평한 판과 이에 수직으로 연장된 판이 서로 연결된 형태를 이루어 수직 절단면이 '⊥'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단열부재(1222)는 돔(111)으로부터 커넥션 룸(120)으로 온도가 전도되지 않도록 제1 연결부(1220)와 제2 연결부(1221)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 단열을 이루는 공지된 재질이 적용될 수 있다.
게다가, 커넥션 룸(120)은 탱크(110)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라인(1231)이 마련될 수 있는데, 라인(1231)에는 연장라인(1232)이 플랜지로 연결되어 커넥션 룸(120)의 외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연장라인(1232)은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쉽사이드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넥션 룸(120)에는 장벽부(124)가 마련될 수 있고, 장벽부(124)는 커넥션 룸(120)의 내부에서 노출된 라인(1231)의 둘레면을 따라 마련되어, 라인(1231)에서 누출된 LNG가 탱크(110)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탱크(110)로부터 누출되어 외기에 의해 온도 변화가 발생된 LNG가 탱크(110) 내부의 LNG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벽부(124)는 돔(111)의 상부인 커넥션 룸(120)의 바닥으로부터 연장라인(1232)의 플랜지 하부와 이격되는 영역까지 연장되는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라인(1231)의 둘레면을 감싸는 형태를 이룰 수 있고, 라인(1231)과 장벽부(124) 사이에는 단열재(퍼프 등)가 마련될 수 있어, 라인(1231)을 경유하는 연료의 온도가 변화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장벽부(124)는 라인(1231) 전체를 감쌀 필요없이, 벙커링 시간 동안의 LNG 누출 등을 포함하는 설계에서 설정된 시나리오에 의해 누출될 수 있는 LNG의 양만큼만 견디면 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설정된 시나리오 동안 누출되는 LNG의 양은 탱크(110)의 용량에 의해 제한되므로, 기설정될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커넥션 룸(120)에는 드레인라인(1233)이 마련되어 커넥션 룸(120)의 내부로부터 외부 연장되게 마련되어, 커넥션 룸(120) 내부의 물질(해수, 빗물, LNG 등)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기존에 온 데크(12) 상에 배치되어 별도로 마련된 커넥션 룸(120)을 연료가 수용된 탱크(110)와 일체형 구조를 채용하여 재료비와 제작 공수가 절감될 뿐만 아니라, 탱크(110)의 상부에 커넥션 룸(120)을 마련하여, 탱크 커넥션 스페이스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불필요하여 탱크 배치 설계의 공간적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온 데크(12) 상의 한 쌍의 탱크(110)는 탱크 설치구조(200) 일례로 앞서 언급한 초크부(130)에 의해 선체(11)에 마련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도 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선박(10)에 마련되는 설치구조(200) 는 서포트부(210) 및 새들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부(210)는 탱크(110)의 하부에서 좌우 둘레면을 따라 서로 이격 되게 복수로 마련되어, 탱크(110)의 좌우 둘레를 연속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탱크(110)를 불연속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탱크(110)와 서포트부(210)의 접촉면을 줄임으로써 선체(11)로부터 전달되는 열량을 최소화하여 증발가스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선체(1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캡슐 형태의 탱크(110)가 안정적으로 지지 되도록 탱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지지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서포트부(210)는, 전후 방향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쌍을 이루도록 제1 서포트부재(211) 및 제2 서포트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서포트부재(212)는 복수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제1 서포트부재(211)에 대응하여 하나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탱크(110)의 길이에 따라 제2 서포트부재(212)가 복수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먼저, 제1 위치(선미 방향일 수 있음)에 마련되는 제1 서포트부재(211)는, 탱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선미 방향일 수 있음)에 편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서포트부재(211)는, 고정서포트(2110)와 사이드서포트(2111)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서포트(2110)는 제1 위치에서 탱크(110)의 하부 중심에 마련되어, 탱크(110)를 고정시킬 수 있어, 탱크(110)의 수축 및 팽창에 따른 제2 서포트부재(212)의 이동시 기준점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서포트부재(211)를 기준으로 제2 서포트부재(212)가 전후방으로 이동하여 탱크(110)의 수축/팽창에 대응할 수 있어, 서포트부(210)의 위치가 조정되므로 탱크(110)와 서포트부(210) 사이의 연결지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서포트(2110)는 제1 우드블록(2110A) 및 제1 댐플레이트(2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드블록(2110A)은 탱크(110)와 새들부(220) 사이에 마련되어 탱크(11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상하 각각의 면이 탱크(110) 및 새들부(220)의 표면에 직접 맞닿게 이루어져 선체(11)로부터 탱크(110)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나무 목재와 같이 열전달이 최소화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는 개념도로 기술되어 제1 우드블록(2110A)의 상단이 수평한 면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1 우드블록(2110A)의 상부는 탱크(110)의 하부에 대응하도록 곡면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댐플레이트(2110B)는 제1 우드블록(2110A)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1 우드블록(2110A)의 사방(좌우 및 앞뒤)에서 제1 우드블록(2110A)을 지지/고정할 수 있으며, 탱크(110)의 하부에서 제1 우드블록(2110A)의 좌우 및 앞뒤 각각에 쌍으로 마련되고, 새들부(220)의 상부에서 제1 우드블록(2110A)의 좌우 및 앞뒤 각각에 쌍으로 마련되어, 탱크(110)와 새들부(220)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댐플레이트(2110B)는 제1 우드블록(2110A)의 고정을 위해 즉 이동이 방지되도록 제1 우드블록(2110A)의 좌우 및 앞뒤 각각에 맞닿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댐플레이트(2110B)는 안티 롤링과 안티 피칭을 이룰 수 있어 탱크(110)의 회전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탱크(110)에 마련되는 제1 댐플레이트(2110B)는 제1 우드블록(2110A)과 고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댐플레이트(2110B)는 강도 보강을 위해 탱크(110)/새들부(220)와 제1 우드블록(2110A)에 맞닿는 면이 확장되되, 자재가 최소화되도록 탱크(110)/새들부(220)와 제1 우드블록(2110A)사이는 곡선(또는 직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드서포트(2111)는 제1 위치에서 탱크(110)의 하부 좌우에 마련될 수 있고, 탱크(110)의 수축/팽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새들부(220)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탱크(110)의 파손 없이 탱크(110)를 지지할 수 있다. 즉 탱크(110)는 길이방향으로의 수축/팽창만 아니라 둘레면으로 수축/팽창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길이방향에 대응할 수 있게 제1 서포트부재(211)를 기준으로 제2 서포트부재(212)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면, 탱크(110)의 좌우 둘레면에서는 고정서포트(2110)를 기준으로 사이드서포트(2111)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사이드서포트(2111)는 제2 우드블록(2111A), 사이드서포트 플레이트(2111B) 및 제2 댐플레이트(2111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우드블록(2111A)은 탱크(110)와 새들부(220) 사이에 상하로 쌍을 이루어 마련될 수 있고,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재질로서 나무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우드블록(2111A)에서 상부는 하부를 기준으로 선체(11)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의 제2 우드블록(2111A)에 대비하여 하부의 제2 우드블록(2111A)의 두께가 작게 이루어질 수 잇다.
사이드서포트 플레이트(2111B)는 상하로 쌍을 이루는 제2 우드블록(2111A) 사이에 마련되어, 탱크(110) 및 선체(11)의 좌우 둘레면 방향으로 상부의 제2 우드블록(2111A)이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고, 마찰면이 감소되도록 표면이 매끄럽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서포트 플레이트(2111B)는 상부의 제2 우드블록(2111A)의 이동을 위해, 상부의 제2 우드블록(2111A)에 대비하여 선체(11)의 좌우방향 면적이 크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하부의 제2 우드블록(2111A)의 면적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댐플레이트(2111C)는 제2 우드블록(2111A)의 사방(좌우 및 앞뒤)을 지지할 수 있으며, 탱크(110)와 새들부(220) 각각에 서로 분리되도록 연결될 수 있는 것은 제1 댐플레이트(2110B)와 유사하다,
다만, 도 8, 도 11, 도 14를 참조하면, 제2 댐플레이트(2111C)는 제2 우드블록(2111A)의 좌우에서 사이드서포트 플레이트(2111B)와 하부의 제2 우드블록(2111A)의 양측을 지지하면서, 상부의 제2 우드블록(2111A)의 좌우 이동이 과도하지 않도록 제한하기 위해, 즉 설계상의 길이에 따라 일부만 이동할 수 있게 상부의 제2 우드블록(2111A)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사이드서포트 플레이트(2111B)의 측면보다 돌출되어 제2 댐플레이트(2111C)의 높이가 사이드서포트 플레이트(2111B)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새들부(220)에 마련된 제2 댐플레이트(2111C)는, 외측에 인접한 제2 댐플레이트(2111C)에 대비하여 중심에 인접한 즉 고정서포트(2110)에 인접한 제2 댐플레이트(2111C)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새들부(220)에 마련된 제2 댐플레이트(2111C)는, 중심에 인접한 제2 댐플레이트(2111C)에 대비하여 외측에 인접한 제2 댐플레이트(2111C)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2 댐플레이트(2111C)는, 제2 우드블록(2111A)의 전후방을 가로 막아 안티 피칭을 이루되, 좌우 방향에서는 제2 우드블록(2111A)이 이동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탱크(110)의 수축/팽창에 제2 우드블록(2111A)이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위치(제1 위치가 선미 방향일 때, 선수 방향일 수 있음)에 마련되는 제2 서포트부재(212)는, 탱크(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선수 방향일 수 있음)에 편심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포트부재(212)는 센터서포트(2120), 슬라이딩서포트(2121)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서포트(2120)는 제2 위치에서 탱크(110)의 하부 중심에 마련되며, 탱크(110)의 수축/팽창에 대응할 수 있도록 탱크(110)가 선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센터서포트(2120)는 제3 우드블록(2120A), 센터서포트 플레이트(2120B), 제3 댐플레이트(212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우드블록(2120A)은 탱크(110)와 새들부(220) 사이에 상하로 쌍을 이루어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의 제3 우드블록(2120A)이 하부의 제3 우드블록(2120A)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는데 이때, 상부의 제3 우드블록(2120A)이 하부의 제3 우드블록(2120A)에 대비하여 두께가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3 댐플레이트(2120C)는 제1 댐플레이트(2110B)와 유사하게 탱크(110)와 새들부(220) 각각에 마련되되, 새들부(220)의 제3 댐플레이트(2120C)에 의해 하부의 제3 우드블록(2120A)의 이동이 방지되게 새들부(220)의 제3 댐플레이트(2120C)는 하부의 제3 우드블록(2120A)의 사방을 두르는 형태로 마련되면서, 하부의 제3 우드블록(2120A)보다 높게 이루어지도록 돌출되어 상부의 제3 우드블록(2120A)의 양측은 간섭하면서(도 9 참조), 전후 방향의 이동은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댐플레이트(2120C)는 안티 롤링 기능을 이룰 수 있다.
센터서포트 플레이트(2120B)는, 사이드서포트 플레이트(2111B)와 유사하게 쌍을 이루는 제3 우드블록(2120A)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한 쌍의 제3 우드블록(2120A)에서 상부의 제3 우드블록(2120A)이 선체(11)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부의 제3 우드블록(2120A)에 대비하여 센터서포트 플레이트(2120B)의 전후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고, 센터서포트 플레이트(2120B)에 대응하여 하부의 제3 우드블록(2120A)의 면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슬라이딩서포트(2121)는 사이드서포트(2111)와 동일/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사이드서포트(2111)가 제1 위치에 마련되어 탱크(110)의 수축/팽창에 따라 좌우 이동이 가능한 것과 달리, 슬라이딩서포트(2121)는 제2 위치에서 탱크(110)의 하부 좌우에 마련되어, 탱크(110)의 수축/팽창에 대응하도록 좌우만 아니라 전후방 이동 또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도 15 하부 도면 참조).
예를 들어, 슬라이딩서포트(2121)는 제4 우드블록(2121A), 슬라이딩서포트 플레이트(2121B), 제4 댐플레이트(2121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사이드서포트(2111)의 제2 우드블록(2111A), 사이드서포트 플레이트(2111B), 제2 댐플레이트(2111C) 각각과 동일/유사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슬라이딩서포트(2121)와 사이드서포트(2111) 각각은 제1 위치와 제2 위치에서 탱크(110)의 수축/팽창에 대응하여 탱크(110)의 좌우 폭 길이의 가감에 대응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탱크(110)와 서포트부(210) 사이의 연결지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사이드서포트(2111)는 고정서포트(2110)를 기준으로 탱크(110)의 좌우 둘레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여, 고정서포트(2110)로부터 근접하거나 이격 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면, 슬라이딩서포트(2121)는 탱크(110)의 좌우 둘레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것은 물론, 센터서포트(2120)와 동일/유사하게 탱크(1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수축/팽창에 대응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서포트(2121)가 전후방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서포트 플레이트(2121B)는, 사이드서포트 플레이트(2111B)가 선체(11)의 좌우방향 면적으로 크게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선체(11)의 좌우방향만 아니라, 앞뒤 방향으로도 면적이 크게 이루어질 수 있고(도 15 하부 도면 참조), 슬라이딩서포트 플레이트(2121B)에 대응하여 한 쌍의 제4 우드블록(2121A)중 하부의 제4 우드블록(2121A) 또한 상부의 제4 우드블록(2121A)에 대비하여 좌우 및 앞뒤 방향의 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댐플레이트(2110B), 제2 댐플레이트(2111C), 제3 댐플레이트(2120C), 제4 댐플레이트(2121C) 각각은 탱크(110)와 새들부(220) 각각에서 제1 우드블록(2110A), 제2 우드블록(2111A), 제3 우드블록(2120A), 제4 우드블록(2121A)의 사방을 두르는 형태로 마련되련되되, 상하 위치에서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우드블록(2111A), 제3 우드블록(2120A) 및 제4 우드블록(2121A)의 이동시에 탱크(110)측의 제2 댐플레이트(2111C), 제3 댐플레이트(2120C), 제4 댐플레이트(2121C)가 새들부(220) 측의 제2 댐플레이트(2111C), 제3 댐플레이트(2120C), 제4 댐플레이트(2121C)에 부딪히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새들부(220) 측의 제2 댐플레이트(2111C), 제3 댐플레이트(2120C), 제4 댐플레이트(2121C) 각각은 제2 우드블록(2111A), 제3 우드블록(2120A), 제4 우드블록(2121A)의 이동이 설계범위를 넘지 않도록 일부 제한할 수 있게, 제2 우드블록(2111A), 제3 우드블록(2120A), 제4 우드블록(2121A) 각각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새들부(220)는 탱크(110)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서포트부(210)와 온 데크(12) 상에 마련되어 탱크(110)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새들부(220)는 탱크(110)의 하부 둘레면에 대향하도록 좌측 및 우측 각각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어, 새들부(220)의 좌우 양측은 중심부에 대비하여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경사면은 새들부(220)의 좌우 양측 상부에서 탱크(110)의 하부 중심으로 하향경사지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포트부(210)는 고정서포트(2110)/센터서포트(2120)에 대비하여, 사이드서포트(2111)/슬라이딩서포트(2121)의 하부가 과도하게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고, 탱크(110)의 수축/팽창에 따른 서포트부(210)의 대응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게다가, 선박(10)의 운항 과정에서 해수 등의 유입으로, 탱크(110)는 해수에 의해 부유되어 선체(11)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리프트업 방지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리프트업 방지 구성은, 와이어(231)와 연결부(2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와이어(231)는 탱크(110)와 새들부(220)를 연결하되,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탱크(110)의 수축/팽창에 대응하여 와이어(231)의 형태가 변형 가능하여 탱크(110)와의 연결지점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탱크(1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232)는 와이어(231)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새들부(220)와 탱크(110) 각각에 마련될 수 있고, 관통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며 쌍으로 마련되는 러그(232A)와, 한 쌍의 러그 사이를 가로지르며 관통홀에 볼트 체결되는 고정바(232B)가 마련되어, 와이어(231)가 고정바(232B)에 연결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또는, 러그(232A)에 와이어(231)가 직접 연결될 수도 있는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탱크(110)를 지지하는 구조가 불연속으로 마련되어, 탱크(110)와 접촉되는 서포트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선체(11)로부터 전도로 인한 탱크(110)로 유입되는 열량의 최소화로 증발가스 발생이 감소될 수 있으므로, 탱크(110) 내부의 압력 변화 등에 대한 구조적 안정을 이룰 수 있고, 서포트부(210)의 사용량을 줄여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곡면을 이루는 탱크(110)와 서포트부(210)의 정도 관리가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선박 100: 탱크 구조
110: 탱크 111: 돔
1111: 제1 맨홀 120: 커넥션 룸
121: 제2 맨홀 1220: 제1 연결부
1221: 제2 연결부 1222: 단열부재
1231: 라인 1232: 연장라인
1233: 드레인라인 124: 장벽부
130: 초크부 131: 고정초크
132: 보조초크 210: 서포트부
211: 제1 서포트부재 2110: 고정서포트
2110A: 제1 우드블록 2110B: 제1 댐플레이트
2111: 사이드서포트 2111A: 제2 우드블록
2111B: 사이드서포트 플레이트 2111C: 제2 댐플레이트
212: 제2 서포트부재 2120: 센터서포트
2120A: 제3 우드블록 2120B: 센터서포트 플레이트
2120C: 제3 댐플레이트 2121: 슬라이딩서포트
2121A: 제4 우드블록 2121B: 슬라이딩서포트 플레이트
2121C: 제4 댐플레이트 220: 새들부
231: 와이어 232: 연결부
232A: 러그 232B: 고정바
200: 탱크 설치구조

Claims (9)

  1. 온 데크 상에 마련되며, 캡슐 형태로 이루어지고 선박을 추진시키는 연료인 액화가스를 저장하는 탱크;
    상기 탱크의 하부에서 선체기준으로 좌우 둘레면을 따라 서로 이격 되게 복수로 마련되어, 상기 탱크를 불연속적으로 지지하는 서포트부; 및
    상기 서포트부와 상기 온 데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탱크를 지지하는 새들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탱크의 하부 중심에 마련되며 상기 탱크를 고정시키는 고정서포트; 및
    상기 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선체기준으로 좌우에 마련되며, 상기 새들부 상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탱크를 지지하는 사이드서포트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부는,
    상기 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편심되어 마련되는 제1 위치의 제1 서포트부재; 및
    상기 탱크의 길이방향을 따라 타측에 편심되어 마련되는 제2 위치의 제2 서포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서포트부재는,
    상기 고정서포트; 및 상기 사이드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서포트는,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우드블록; 및
    상기 제1 우드블록의 적어도 좌우를 지지하며,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각각에 서로 분리되도록 연결되는 제1 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서포트는,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사이에 상하로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제2 우드블록;
    쌍을 이루는 상기 제2 우드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제2 우드블록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탱크의 둘레면 방향에서 상기 선체기준으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사이드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우드블록의 적어도 좌우를 지지하며,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각각에 서로 분리되도록 연결되는 제2 댐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설치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포트부재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탱크의 하부 중심에 마련되며 상기 탱크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센터서포트; 및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선체기준으로 좌우에 마련되며 상기 탱크가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서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설치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서포트는,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사이에 상하로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제3 우드블록;
    쌍을 이루는 상기 제3 우드블록 사이에 마련되며, 한 쌍의 상기 제3 우드블록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선체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센터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제3 우드블록의 적어도 좌우를 지지하며,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각각에 서로 분리되도록 연결되는 제3 댐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서포트는,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사이에 상하로 쌍을 이루어 마련되는 제4 우드블록;
    쌍을 이루는 상기 제4 우드블록 사이에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제4 우드블록 중 어느 하나가 사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슬라이딩서포트 플레이트: 및
    상기 제4 우드블록의 사방을 지지하며,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 각각에 서로 분리되도록 연결되는 제4 댐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설치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들부는,
    상기 탱크의 하부에서 상기 선체기준으로 좌우 둘레면에 대향하도록 좌측 및 우측 각각이 경사지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설치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와 상기 새들부를 연결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가 연결되도록, 상기 새들부와 상기 탱크 각각에 마련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설치구조.
  9. 제1항, 및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탱크 설치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70136585A 2017-10-20 2017-10-20 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209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85A KR102209114B1 (ko) 2017-10-20 2017-10-20 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6585A KR102209114B1 (ko) 2017-10-20 2017-10-20 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311A KR20190044311A (ko) 2019-04-30
KR102209114B1 true KR102209114B1 (ko) 2021-01-28

Family

ID=6628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6585A KR102209114B1 (ko) 2017-10-20 2017-10-20 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1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8532B1 (ko) 2019-07-17 2023-06-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지지구조체
KR20210014247A (ko) 2019-07-29 2021-02-0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연료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225573B1 (ko) * 2019-10-30 2021-03-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탱크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0495535Y1 (ko) * 2020-06-15 2022-06-23 주식회사 트랜스가스솔루션 선박의 탱크 구조
KR20220000555A (ko) 2020-06-26 2022-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새들 일체형 플렉서블 외부 플랫폼
JP7048683B2 (ja) * 2020-08-06 2022-04-05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樹脂圧送lng燃料タンクサドル及び同サドルによる圧送樹脂硬化層を有するlng燃料船
KR20220020646A (ko) 2020-08-12 2022-02-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연료탱크의 외부 플랫폼
KR102352046B1 (ko) * 2020-12-02 2022-01-17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수소연료전지 추진선박의 수소 연료 공급 방법
CN113525920B (zh) * 2021-09-15 2021-12-03 江苏福克斯电气集团有限公司 可预防变形的带支撑板式压力容器运输辅助鞍座及其实施方法
CN115140268B (zh) * 2022-08-11 2024-03-26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双燃料船液罐鞍座分片制造及安装方法
CN115783127B (zh) * 2022-12-22 2024-04-16 江苏科技大学 一种双燃料动力船舶用燃料储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4724B1 (ko) * 2014-08-25 2016-11-09 주식회사 엔케이 단열블록 고정턱이 형성된 서포트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2중벽 탱크
KR101681723B1 (ko) * 2015-01-05 2016-12-0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연료탱크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4311A (ko) 2019-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114B1 (ko) 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7109516B2 (ja) 液化ガス運搬船
KR102490542B1 (ko) 로딩/언로딩 타워가 장착된 밀폐 및 단열 탱크
KR102246669B1 (ko) 탱크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125329A (ko) 액화가스 저장시설
KR102225573B1 (ko) 탱크 지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15559A (ko) 연료 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30012570A (ko) 액화 가스 저장 설비
KR20210089847A (ko) 가스연료 추진 선박
WO2015082628A1 (en) Floating vessel with trough deck
JP7370885B2 (ja) 船舶
KR102123774B1 (ko) 액화가스 운반선
KR20160068088A (ko) Lng 운용 해양구조물의 저장 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lng 해양 구조물의 선창 구조
JP7466705B2 (ja) 液化ガス貯蔵タンク及びそれを含む船舶
KR102305882B1 (ko) 액화가스 운반선
KR20220031441A (ko) 연료 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64232B1 (ko) 선박 및 선박의 연료 탱크 설치 방법
KR20240030972A (ko)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56039A (ko) 벙커링 스테이션
JP2022038077A (ja) タンクドーム構造及び船舶
KR20220107411A (ko) 연료 탱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56040A (ko) 벙커링 스테이션
KR20210014247A (ko) 연료탱크 설치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80002356A (ko) 연료 탱크 지지 유닛, 연료 탱크 지지 방법, 선박, 및 선박의 연료 탱크 설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