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642B1 - 액체 광 개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액체 광 개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642B1
KR102208642B1 KR1020190046805A KR20190046805A KR102208642B1 KR 102208642 B1 KR102208642 B1 KR 102208642B1 KR 1020190046805 A KR1020190046805 A KR 1020190046805A KR 20190046805 A KR20190046805 A KR 20190046805A KR 102208642 B1 KR102208642 B1 KR 102208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initiator
compound
liquid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
photopolymeriz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6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8940A (ko
Inventor
웨이-춘 창
칭판 크리스 치우
후앙-민 우
Original Assignee
키텍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텍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키텍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0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8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6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08F2/50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with sensit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ydrocarbon 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46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C08F2/48Polymerisation initiate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by ultraviolet or visible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7Aldehydes; Ketones
    • C08K5/08Qui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 C08K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in the ring having also oxygen in the ring
    • C08K5/353Five-membered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97Phosphine oxi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G03F7/031Organic compounds not covered by group G03F7/029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Abstract

액체 광 개시 화합물 및 이의 용도가 제공된다. 상기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19041274552-pat00019

상기 화학식 I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C3 알킬이며,
R3은 H 또는 메틸이다.

Description

액체 광 개시 화합물 및 이의 용도{LIQUID PHOTO INITIATING COMPOUND AND USES OF THE SAME}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18년 7월 17일자로 출원된 대만 특허 출원 제107124654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주제는 이의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액체 광 개시 화합물 및 이를 사용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광개시제는 가시광선 또는 UV 광의 에너지를 흡수한 후 노리쉬 I형 광분해(Norrish Type I photo-fragmentation)를 통해 자유 라디칼을 형성하는 물질로,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중합을 개시하여 경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1990년, Ciba Specialty Corporation은 짙은색 UV 잉크용으로 특별히 고안된 최초의 광개시제인 Irgacure® 369를 출시했다(관련 특허: US 5,077,402). Irgacure® 369는 고체 형태이며 그 구조는 아래에 나타낸다.
[Irgacure® 369]
Figure 112019041274552-pat00001
Irgacure® 369는 탁월한 광 속도(photo speed) 및 경화 전후에 무취와 같은 기타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것은 대부분의 UV 잉크에서 불량한 용해도를 가지며, 따라서 용해를 촉진하기 위해 추가 연삭 및 가열 공정이 필요하다. 비록, Irgacure® 369는 투여량이 4 중량%를 초과할 때 그리고 추운 지역에서 취급할 때 침전되기 쉽다. Irgacure® 369는 최근 생식 독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EU에서는 식품 접촉 적용분야에서 사용을 금하도록 감시하에 있다.
용해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Ciba Specialty Corporation은 또 다른 고체 광개시제 제품, 즉 Irgacure® 379(관련 특허: US 7,247,659 B2)를 도입했다. Irgacure® 379는 일부 단량체 및 수지에 있어서 Irgacure® 369보다 개선된 용해도를 갖는다. 여전히, 잉크 조성물에 용해시키기 위해 연삭 및 가열 공정을 필요로 하는 고체 형태로 사용하기가 쉽지는 않다. 또한, Irgacure® 379 또한 생식 독성을 갖는다.
[Irgacure® 379]
Figure 112019041274552-pat00002
최근에, 디지털 UV 및 플렉소 UV 잉크와 같은 저점도 UV 잉크에 대한 요구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고용해도의 액체 형태 광개시제는, 이들 잉크가 고체 광 개시제에 대해 연삭 및 분산 공정을 수행하기에 충분한 전단력(shearing force)을 제공하지 못하기 때문에 저점도 잉크에 매우 바람직하다.
액체 광개시제의 예는 US 5,077,40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기 화합물 93, 95, 96 및 100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의 불량한 광 속도뿐만 아니라 냄새 문제 때문에 이들 화합물은 상용화되지 않는다.
[US 5,077,402]
Figure 112019041274552-pat00003
Figure 112019041274552-pat00004
TW I277834에는 실시예 3에 액체 광개시제를 개시한다. 액체 광개시제가 무취이더라도, Irgacure® 369의 약 1/10 정도인 불량한 광 속도로 인해 상업화되지는 않는다.
[TW I277834의 실시예 3]
Figure 112019041274552-pat00005
하기 화합물 I은 또한 액체 광개시제이며, Irgacure® 369의 광 속도에 필적할만한 광 속도를 갖는다. 불행하게도, 화합물 I은 경화 후 심각한 냄새 문제를 갖는다.
[화합물 I]
Figure 112019041274552-pat00006
TW I564276은 또한 액체 광개시제, 즉 하기 화합물 IIa를 개시하는데, 이는 광 속도 측면에서 Irgacure® 369와 필적할만하며 경화 전후에 무취이다. 그러나, 화합물 IIa는 높은 급성 경구 독성을 갖는다. 게다가, 이것은 암갈색으로 일부 색에 대해서는 만족스럽지 않다.
[TW I564276의 화합물 IIa]
Figure 112019041274552-pat00007
따라서, 어두운 블랙 잉크에 대한 개별 결함을 갖는 종래의 액체 광개시제는 만족스럽지 않다.
종래의 광개시제의 불만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옥사졸리딘으로부터 유도된 광개시제를 제공하며, 이는 블랙 잉크 시스템용의 종래의 액체 광개시제와 관련된 상기 언급된 모든 결함을 개선시킨다: (1) 50℃에서 액체 상태로 되며; (2) 광 속도가 Irgacure® 369의 광 속도와 필적할만하며; (3) 경화 전후에 무취이며; (4) 급성 경구 독성이 없다. 또한, 이의 밝은 색상과 고순도는 액체 광개시제에 관한 업계의 요구사항을 완벽하게 충족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기 기술되는 목적을 포함한다.
US 5,077,402 및 US 7,732,504 B2에 개시된 광개시제가 옥사졸리딘 구조를 가질 수 있을지라도 상기 특허들 어디에도 본 발명의 광개시제를 개시하지 않는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당업자는 US 5,077,402 또는 US 7,732,504 B2의 일반적인 교시에 기반하여 본 발명의 광개시제의 이점을 예상할 수 없다. 50℃의 저온에서의 액체, 다양한 단량체 및 올리고머에서의 높은 용해도, 무취, Irgacure® 369에 필적할만한 광 속도 및 급성 경구 독성이 없다는 이점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I]
Figure 112019041274552-pat00008
상기 화학식 I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C3 알킬이며,
R3은 H 또는 메틸이다.
C1-C3 알킬의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이소프로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서, 상기 언급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Ia]
Figure 112019041274552-pat00009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언급된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을 사용하여 화학 반응을 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언급된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인 제1 광개시제;
광중합성 성분; 및
임의의 용매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서, 광중합성 성분은 올레핀계 불포화 단량체, 올레핀계 불포화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이다. 올레핀계 불포화 단량체의 예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한다. 올레핀계 불포화 올리고머의 예는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서, 광중합성 조성물은 아실포스핀 옥사이드, 9,10-디알킬옥시안트라센(
Figure 112019041274552-pat00010
, 여기서, R은 알킬이다),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서, 광중합성 조성물은 벤조페논, 티옥산톤, 미흘러 케톤(Michler's ketone), 안트라퀴논,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감광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서, 광중합성 조성물은 안료, 아민 상승제,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서, 제1 광개시제의 함량은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5 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기술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백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 일부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의 기술
이하, 본 발명의 일부 구체적인 양태가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은 다양한 양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양태로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추가로 설명되지 않는 한, 명세서에(특히 청구항에) 열거된 표현 "a", "an", "the" 등은 단수형과 복수형 둘 다를 포함해야 한다.
추가로 설명되지 않는 한,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수치적 한계를 제공하는 용어가 아닌 상이한 요소 또는 성분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설명되지 않는 한, 명세서에(특히 청구항에) 열거된 용어 "알킬"은 선형, 분지형 및/또는 사이클릭 알킬 그룹을 포함한다.
액체 광 개시 화합물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19041274552-pat00011
상기 화학식 I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C3 알킬이며,
R3은 H 또는 메틸이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이며, R3은 H이다. 첨부된 실시예에서, 제1 광개시제는 하기 화학식 Ia로 표시된다:
[화학식 Ia]
Figure 112019041274552-pat00012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의 합성은 첨부된 실시예들에 기술될 것이다.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의 용도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은 50℃의 저온에서 액체이다. 따라서, 이는 광중합성 단량체 또는 올리고머의 중합 및 가교결합을 유발하는 액체 광개시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경화 효과를 제공한다. 놀랍게도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은 종래의 광개시제와는 상당히 다른 성질을 나타내며 많은 이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은 우수한 광 속도 성능, 우수한 용해도 및 밝은 색을 가지며 50℃의 저온에서 액체 상태이다. 광중합성 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이 점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미미하다.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은 긴 저장 안정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은 저점도 UV 잉크(예를 들어, 1000 cP 미만의 점도를 갖는 잉크), 밝은 색 UV 잉크, 컬러 레지스트(color resist), 블랙 매트릭스 및 솔더 마스크(solder mask)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은 세계 각국의 화학 물질 등록 규정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고순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제1 광개시제, 광중합성 성분 및 임의의 용매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상기 제1 광개시제는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다.
광중합성 성분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UV 잉크와 같은 광중합성 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질을 포함하여 광개시제의 존재하에 광중합성인 임의의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서, 광중합성 성분은 올레핀계 불포화 단량체, 올레핀계 불포화 올리고머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올레핀계 불포화 단량체의 예는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올레핀계 불포화 올리고머의 예는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용매는 임의적이며 조성물의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키지만 UV 잉크와 같은 광중합성 시스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를 포함하여 성분과 반응하지 않는 임의의 용매일 수 있다. 용매의 예는 물; 지방족 탄화수소, 예컨대 디클로로메탄, 트리클로로메탄, 테트라클로로메탄, n-헥산 및 사이클로헥산; 방향족 탄화수소, 예컨대 톨루엔, 벤젠 및 크실렌; 케톤, 예컨대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이소부틸 케톤 및 사이클로헥사논;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틸 아세테이트; 알코올, 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 및 에테르, 예컨대 디메틸에테르, 디에틸에테르 및 메틸에틸에테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광중합성 조성물에서, 제1 광개시제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우수한 광경화 효율을 얻기 위해, 광개시제의 양은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일반적으로 0.1 중량% 내지 15 중량%, 예컨대 1 중량%, 2 중량%, 3 중량%, 4 중량%, 5 중량%, 6 중량%, 7 중량%, 8 중량%, 또는 9 중량%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광개시제 이외에, 본 발명의 광중합성 조성물은 임의로 감광성 성분 또는 다른 광 개시 성분과 같은 광개시의 효율에 유리한 다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양태에서, 광중합성 조성물은 제2 광개시제, 감광제,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2 광개시제는 제1 광개시제 이외의 임의의 광 개시 성분일 수 있다. 제2 광개시제의 예는 아실포스핀 옥사이드, 9,10-디알킬옥시안트라센,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감광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감광제의 예는 벤조페논, 티옥산톤, 미흘러 케톤, 안트라퀴논,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첨부된 실시예에서, 2,4-디에틸티옥산톤(제품명: Chivacure® DETX)은 광중합성 조성물에서 제2 감광제로서 사용된다. 제2 광개시제 또는 감광제의 양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임의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중합성 조성물은 임의로, 조성물의 경화물에 원하는 성질을 부여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화물에 색을 제공하기 위해 안료를 첨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조성물의 표면 경화 속도를 향상시키고 경화 후 경면(mirror surface)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아민 상승제를 첨가하여 경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안료의 예는 산화티탄, 카본 블랙, 카드뮴 레드, 몰리브덴산 레드, 크롬 옐로우, 카드뮴 옐로우, 티탄 옐로우, 산화크롬, 티탄산코발트 그린, 세룰란(cerulean) 블루, 구리 블루, 아조 안료, 프탈로시아닌 안료, 퀴나크리돈계 안료, 이소인돌리논계 안료, 페릴렌계 안료, 티오 인디고계 안료, 및 금속 착물 안료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아민 상승제는 당업자에게 익히 공지되어 있으며 저분자량 3급 아민과 같은 광개시를 촉진시킬 수 있는 반응성 아민을 지칭한다. 아민 상승제의 예는 메틸디에탄올아민, 디부틸에탄올아민, 트리에틸아민 및 트리에탄올아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민 상승제의 상업적으로 시판중인 제품은 Chitec Technology Co., Ltd.로부터 시판중인 Chivacure® 115, Chivacure® EPD, Chivacure® OPD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기 양태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실시예
실시예 1: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의 제조
34 g의 2-(디메틸아미노)-1-[4-[(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페닐]-2-(페닐메틸)-1-부타논(CAS 862589-48-8; 이의 합성 방법은 TW I277834를 참조할 수 있음), 13.0 g의 2,2-디메톡시부탄(CAS 3453-99-4), 0.17 g의 PTSA(p-톨루엔설폰산), 및 100 mL의 톨루엔을 실온에서 250 mL 3구 플라스크에 순서대로 첨가한 다음, 아래에 나타낸 반응을 환류하에 수행하였다. 이 반응에 의해 생성된 부산물인 메탄올을 딘-스탁 증발기(Dean-Stark evaporator)로 제거하였다.
Figure 112019041274552-pat00013
반응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반응 생성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17 g의 순수로 3회 동안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수집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켜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광 개시 화합물 Ia")을 황색을 띤 점성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은 95%이다.
광 개시 화합물 Ia를 핵 자기 공명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 자기 공명 분석:
1H NMR(500 MHz, CDCl3): 0.70 (t, J = 7.5 Hz, 3H), 0.82 (t, J = 7.5 Hz, 3H), 1.85-1.89 (m, 1H), 1.94-1.99 (m, 1H), 2.04-2.09 (m, 1H), 2.13-2.18(m, 1H), 2.36 (s, 6H), 3.16-3.23 (m, 2H), 3.18 (d, J = 14.0Hz, 1H), 3.22 (d, J =14.0Hz, 1H), 4.06-4.10 (m, 1H), 4.12-4.26 (m, 1H), 6.60 (d, J = 9.0 Hz, 2H), 7.16-7.28 (m, 6H), 8.34 (d, J = 9.0 Hz, 2H)
13C NMR(500 MHz, CDCl3): 7.7, 9.8, 23.8, 27.8, 31.0, 35.5, 39.1, 48.4, 63.2, 73.8, 96.2, 111.5, 125.8, 125.9, 127.9, 131.3, 132.2, 139.6, 147.1, 201.6
실시예 2: 화학식 Ib로 표시되는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의 제조
34 g의 2-(디메틸아미노)-1-[4-[(2-하이드록시에틸)메틸아미노]페닐]-2-(페닐메틸)-1-부타논, 12.0 g의 2,2-디메톡시프로판(CAS 77-76-9), 0.17 g의 PTSA(p-톨루엔설폰산), 및 100 mL의 톨루엔을 실온에서 250 mL 3구 플라스크에 순서대로 첨가한 다음, 아래에 나타낸 반응을 이전 실시예와 동일한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Figure 112019041274552-pat00014
반응은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모니터링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반응 생성물을 17 g의 순수로 3회 동안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수집한 다음, 진공하에 농축시켜 화학식 Ib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광 개시 화합물 Ib"로 칭함)을 황색을 띤 점성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수율은 93%이다.
광 개시 화합물 Ib를 핵 자기 공명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핵 자기 공명 분석:
1H NMR(500 MHz, CDCl3): 0.69 (t, J = 7.5Hz, 3H), 1.64 (s, 6H), 1.83-1.90 (m, 1H), 2.02-2.17 (m, 1H), 2.36 (s, 6H), 3.17 (d, J = 14.0Hz, 1H), 3.22 (d, J = 14.0Hz, 1H), 3.53 (t, J = 6.5Hz, 2H), 4.11 (t, J = 6.5Hz, 2H), 6.60 (d, J = 9.0Hz, 2H), 7.15-7.28(m, 6H), 8.35(d, J = 9.0Hz, 2H)
13C NMR(500 MHz, CDCl3): 9.8, 25.4, 27.8, 35.5, 39.1, 47.8, 62.9, 73.9, 93.9, 111.8, 125.8, 125.9, 127.9, 131.3, 132.2, 139.6, 147.0, 201.6
실시예 3: 용해도 시험
혼합물 I 내지 III은 하기에 제공된 조성에 따라 제조하였으며, 6 중량부의 광개시제 Irgacure® 369 (IGM으로부터 시판중임), 광개시제 R-gen® 919(Chitec Technology Co., Ltd.로부터 시판중임) 또는 광 개시 화합물 Ia를 상기 혼합물 I 내지 III 각각에 첨가하였다. 수득한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처리하였고, Irgacure® 369, R-gen® 919 및 광 개시 화합물 Ia 각각의 용해가 관찰되었으며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혼합물 I: 점도가 41.2 cP인 50 중량부의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제품명: EM221, Eternal Materials Co., Ltd.)와 50 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 테트라아크릴레이트(제품명: 올리고머 6325-100, Eternal Materials Co., Ltd.)의 혼합물
혼합물 II: 점도가 349.5 cP인 50 중량부의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제품명: EM231, Eternal Materials Co., Ltd.)와 50 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 테트라아크릴레이트(제품명: 올리고머 6325-100, Eternal Materials Co., Ltd.)의 혼합물
혼합물 III: 점도가 433.0 cP인 50 중량부의 에톡시화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제품명: EM2411, Eternal Materials Co., Ltd.)와 50 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 테트라아크릴레이트(제품명: 올리고머 6325-100, Eternal Materials Co., Ltd.)의 혼합물
실온에서 1시간의 초음파처리 후의 Irgacure® 369, R-gen® 919 및 광 개시 화합물 Ia의 용해
광개시제 혼합물 I 혼합물 II 혼합물 III
Irgacure® 369 완전히 용해됨 작은 부분만이
용해되었음
작은 부분만이
용해되었음
R-gen® 919 완전히 용해됨 완전히 용해됨 완전히 용해됨
광 개시 화합물 Ia 완전히 용해됨 완전히 용해됨 완전히 용해됨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온에서 1시간의 초음파처리 후에 세가지 혼합물 각각에 광 개시 화합물 Ia가 완전히 용해되었다. 결과는 광 개시 화합물 Ia가 용해도 측면에서 고체 광개시제인 Irgacure® 369보다 훨씬 우수하며 R-gen® 919와는 필적할만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점도 변화 시험
4 중량부의 광개시제 Irgacure® 369, R-gen® 919, 및 광 개시 화합물 Ia를 혼합물 I 내지 III 각각에 개별적으로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0℃ 대기에 7일 동안 노출시켰다. 노출 전후의 점도를 측정하고 하기 표 2로 표를 만들었다.
0℃ 대기로 7일 동안 노출 전후의 점도(cP)
광개시제 혼합물 I 혼합물 II 혼합물 III
초기 7일 초기 7일 초기 7일
없음 41.2 50.1 349.5 401.0 433.0 548.0
Irgacure® 369 52.7 60.4 385.0 침전됨 487.0 침전됨
R-gen® 919 42.2 51.0 354.0 408.0 445.5 544.0
광 개시 화합물 Ia 41.6 51.2 351.3 406.7 433.1 547.8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개시 화합물 Ia는 혼합물의 점도에 가장 낮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0℃ 대기로 7일 동안 노출시킨 후에, 광 개시 화합물 Ia를 갖는 혼합물의 점도 변화는 광개시제가 없는 혼합물의 점도 변화와 유사하고, 광 개시 화합물 Ia를 갖는 혼합물에서는 침전물이 관찰되지 않았다. 결과는 광 개시 화합물 Ia가 용해도 및 수지 상용성 측면에서 Irgacure® 369보다 우수하므로 매우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5: 광 속도 성능 시험
올리고머 6325-100, EM2411 및 카본 블랙(점도: 1750 cP)을 함유하는 블랙 플렉소 제형을 광개시제와 혼합하여 광 속도 성능 시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100 중량부의 블랙 플렉소 제형 및 2 중량부의 Chivacure® DETX (Chitec Technology Co., Ltd.로부터 시판중임)를 혼합한 다음, 6 중량부의 Irgacure® 369, R-gen® 998(Chitec Technology Co., Ltd.로부터 시판중임), R-gen® 919, 또는 광 개시 화합물 Ia를 수득된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인쇄 가능한 진주 광택 필름(습윤 필름 두께: 25.15 μm) 상에 코팅하고; 코팅된 인쇄 가능한 진주 광택 필름을 경화를 위해 UV 광(Fusion F300, D-bulb, 300 W/인치)에 노출시켰다. 광 속도 성능을 관찰하고 하기 표 3으로 표를 만들었다.
광개시제의 광 속도 성능
광개시제 Irgacure® 369 R-gen® 998 R-gen® 919 광 개시 화합물 Ia
광 속도
(m/분)
120 70 120 120
이론적으로, 광 개시 화합물 Ia와 같은 전자 구인성 그룹(electron withdrawing groups)을 갖는 광개시제는 일반적으로 블루 시프트 효과(blue shift effect)로 인해 보다 낮은 광 속도를 갖는다. 그러나,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개시 화합물 Ia는 놀랍게도 Irgacure® 369 및 R-gen® 919의 광 속도에 필적할만 하고 R-gen® 998보다 상당히 우수한 광 속도를 갖는다.
실시예 6: 광개시제 투여 시험
광개시제를 갖지 않는 상업적으로 시판중인 블랙 플렉소 잉크를 광개시제와 혼합하여 광 속도 성능 시험을 수행하고, 광 개시 화합물 Ia의 양이 광 속도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100 중량부의 블랙 플렉소 제형 및 2 중량부의 Chivacure® DETX(광개시제; Chitec Technology Co., Ltd.)를 혼합한 다음,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특정량의 Irgacure® 369 또는 광 개시 화합물 Ia를 수득된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프라이머(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수단)로 PET 필름 상에 코팅하였다(건조(dry) 필름 두께: 5 μm). 경화를 위해 코팅된 PET 필름을 UV 광(파장: 365 nm; 4 W/인치)에 노출시켰다. 각 경우의 광 속도 성능을 관찰하였으며 하기 표 4로 표로 만들었다.
상이한 양의 광개시제의 광 속도 성능:

(중량부)
경화 성능(UV 광 처리 시간)
1 2 3 4 5
Irgacure® 369 4 × × ×
8 불완전 용해
광 개시 화합물 Ia 4 × × ×
8
12
경화 결과에 대한 설명:
Figure 112019041274552-pat00015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된 블랙 플렉소 잉크는 광경화하기 어려운 잉크 시스템이며, 광개시제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광경화 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그러나, 8 중량부의 Irgacure® 369를 첨가하면, 용해도 시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광개시제가 잉크 시스템에 완전히 용해되지 않아서 광 속도 시험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대조적으로, 광 개시 화합물 Ia의 양이 증가하면, 양이 12 중량부에 도달해도 용해성 문제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광 개시 화합물 Ia의 양이 4 중량부에서 8 중량부로 증가하면 광경화 속도를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으며; 광 개시 화합물 Ia의 양이 12 중량부이면 충분한 경화를 달성하기 위해 1회의 UV 광 처리만이 요구되었다.
실시예 7: 급성 경구 독성 시험
반수 치사량(median lethal dose) (LD50) 시험은 시험 가이드라인 423: 급성 경구 독성,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에 따라 Irgacure® 369, R-gen® 998, R-gen® 919 및 광 개시 화합물 Ia 각각에 대해 수행되었다. 결과는 하기 표 5로 표로 만들었다.
광개시제의 반수 치사량(LD50)
광개시제 Irgacure® 369 R-gen® 998 R-gen® 919 광 개시 화합물 Ia
LD50 (mg/kg) > 5000 2500 500 > 5000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 개시 화합물 Ia의 반수 치사량(LD50)은 Irgacure® 369의 반수 치사량과 유사하며 둘 다 5000 mg/kg을 초과하며 이는 급성 경구 독성이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실시예 1 내지 7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은 우수한 광 속도 성능, 우수한 용해도, 밝은 색을 가지며 급성 경구 독성이 없다.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은 50℃의 저온에서 액체 상태이다. 중합성 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우, 점도에 대한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의 영향을 매우 미미하다.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은 또한 긴 저장 안정성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은 저점도 UV 잉크, 밝은 색 UV 잉크, 컬러 레지스트, 블랙 매트릭스 및 솔더 마스크에 특히 유용하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원리 및 효율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며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낸다. 당업자는 그 원리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기술된 본 발명의 개시내용 및 제안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대체를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액체 광 개시 화합물:
    [화학식 I]
    Figure 112019041274552-pat00016

    상기 화학식 I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H 또는 C1-C3 알킬이며,
    R3은 H 또는 메틸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이소프로필인, 화합물.
  3. 제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a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Ia]
    Figure 112019041274552-pat00017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을 사용함에 의해 화학 반응을 개시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체 광 개시 화합물인 제1 광개시제;
    광중합성 성분; 및
    임의의 용매를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성분이 올레핀계 불포화 단량체, 올레핀계 불포화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광중합성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중합성 성분이 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 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또는 이들의 조합물인, 광중합성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아실포스핀 옥사이드, 9,10-디알킬옥시안트라센(
    Figure 112019041274552-pat00018
    , 여기서, R은 알킬이다),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제2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벤조페논, 티옥산톤, 미흘러 케톤(Michler's ketone), 안트라퀴논,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감광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0. 제5항에 있어서, 안료, 아민 상승제,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광중합성 조성물.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개시제의 함량이 상기 광중합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중량% 내지 15 중량%의 범위인, 광중합성 조성물.
KR1020190046805A 2018-07-17 2019-04-22 액체 광 개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KR1022086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7124654 2018-07-17
TW107124654A TWI677492B (zh) 2018-07-17 2018-07-17 液態光引發化合物及其應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8940A KR20200008940A (ko) 2020-01-29
KR102208642B1 true KR102208642B1 (ko) 2021-01-29

Family

ID=6618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6805A KR102208642B1 (ko) 2018-07-17 2019-04-22 액체 광 개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385145B1 (ko)
EP (1) EP3598233B1 (ko)
JP (1) JP6833898B2 (ko)
KR (1) KR102208642B1 (ko)
CN (1) CN110724111B (ko)
CA (1) CA3039209C (ko)
ES (1) ES2857852T3 (ko)
TW (1) TWI6774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65006A1 (ja) 2020-09-28 2022-03-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体の製造方法、アンテナイン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積層体及び組成物
TW202231641A (zh) 2020-12-16 2022-08-16 日商富士軟片股份有限公司 組成物、膜、濾光器、固體攝像元件、圖像顯示裝置及紅外線感測器
JPWO2022130773A1 (ko) 2020-12-17 2022-06-23
EP4310556A1 (en) 2021-03-19 2024-01-24 FUJIFILM Corporation Film and photosensor
CN117916279A (zh) 2021-09-29 2024-04-19 富士胶片株式会社 组合物、树脂、膜及光传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0852A (ja) 2010-10-05 2014-01-16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ベンゾカルバゾール化合物のオキシムエステル誘導体ならびに前記誘導体の光重合性の組成物における光開始剤としての使用
WO2018037812A1 (ja) 2016-08-25 2018-03-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硬化膜及びそ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固体撮像素子、固体撮像装置、並びに、赤外線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4561B1 (de) * 1987-03-26 1993-05-12 Ciba-Geigy Ag Neue alpha-Aminoacetophenone als Photoinitiatoren
JP2678684B2 (ja) * 1990-10-30 1997-11-17 日本化薬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用光重合性樹脂組成物
EP0501433B1 (en) * 1991-02-28 1997-05-0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hotosensitive compositions using solvent dispersible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s
TW452575B (en) * 1996-12-06 2001-09-01 Ciba Sc Holding Ag New Α-aminoacetophenone photoinitiators and photopolymerizable compositions comprising these photoinitiators
US6458864B1 (en) * 1998-05-29 2002-10-01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oration Photoinitiators having chain transfer groups polymerized to obtain macrophotoinitiators useful to give block copolymers
JP2002346282A (ja) 2001-05-23 2002-12-03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機
WO2003010602A1 (en) * 2001-07-26 2003-02-06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CN1202098C (zh) * 2002-04-26 2005-05-18 奇钛科技股份有限公司 新颖的吗啉基酮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用途
US20030225179A1 (en) * 2002-04-26 2003-12-04 Chiu Chingfan Chris Novel morpholinoketone derivatives, and preparation process and uses of the same
TWI277834B (en) 2002-04-26 2007-04-01 Chitec Chemical Co Ltd Novel morpholinoketone derivatives, and preparation process and uses of the same
WO2005076074A2 (en) * 2004-02-02 2005-08-18 Ciba Specialty Chemicals Holding Inc. Functionalized photoinitiators
US20100236707A1 (en) * 2006-07-17 2010-09-23 Katia Studer Method of bonding
JP4990085B2 (ja) * 2007-09-28 2012-08-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着色硬化性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及び、固体撮像素子
CN103435722B (zh) * 2009-12-07 2015-07-01 爱克发印艺公司 用于uv-led可固化组合物和墨水的光引发剂
KR20130066483A (ko) * 2011-12-12 2013-06-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신규의 광중합개시제,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점착제 조성물
EP3019508B1 (en) * 2013-07-08 2019-01-30 IGM Group B.V. Liquid bisacylphosphine oxide photoinitiator
TWI564276B (zh) 2016-03-14 2017-01-01 奇鈦科技股份有限公司 液態光引發劑及其應用
CN107325288B (zh) * 2017-06-23 2021-02-12 武汉长盈鑫科技有限公司 一种提高表面固化效果的有机硅改性光引发剂及其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500852A (ja) 2010-10-05 2014-01-16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ベンゾカルバゾール化合物のオキシムエステル誘導体ならびに前記誘導体の光重合性の組成物における光開始剤としての使用
WO2018037812A1 (ja) 2016-08-25 2018-03-0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硬化膜及びそ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固体撮像素子、固体撮像装置、並びに、赤外線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98233A1 (en) 2020-01-22
US10385145B1 (en) 2019-08-20
TWI677492B (zh) 2019-11-21
CN110724111A (zh) 2020-01-24
KR20200008940A (ko) 2020-01-29
JP6833898B2 (ja) 2021-02-24
CN110724111B (zh) 2023-02-17
EP3598233B1 (en) 2020-11-11
CA3039209A1 (en) 2020-01-17
ES2857852T3 (es) 2021-09-29
CA3039209C (en) 2021-08-31
JP2020055992A (ja) 2020-04-09
TW202005959A (zh) 202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642B1 (ko) 액체 광 개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EP3186226B1 (en) Oxime sulfonate derivatives
EP3316036B1 (en) Sensitizer for uv-led photocuring,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KR20100014529A (ko) 투명한 착색제 및 착색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N104768925A (zh) 基于苯乙烯基的化合物、包含该基于苯乙烯基的化合物的着色材料、包含该着色材料的光敏树脂组合物、由该光敏树脂组合物制备的光阻材料、包含该光阻材料的滤色器及包括该滤色器的显示器件
CN109666088A (zh) 一种双酮肟酯化合物及其制造方法与应用
KR20140031121A (ko)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2010170117A (ja)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
CN105377997B (zh) 色素多聚体的制造方法以及着色组合物的制造方法
JP2014130186A (ja) 感光性組成物及び硬化物
KR101869205B1 (ko)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되는 패턴층, 이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17151B1 (ko) 착색제 함유 경화성 조성물 및 컬러필터 그리고 그 제조방법
CN107188996B (zh) 液态光引发剂及其应用
TW201333120A (zh) 著色劑、著色組成物、彩色濾光片及顯示元件
CN113150614A (zh) 一种可辐射固化喷墨流体、喷涂油墨及其用途
JP2019132934A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JP6349629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
KR101445906B1 (ko) 알칼리 가용성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6781738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組成物
KR20170123918A (ko)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101747528B1 (ko) 인돌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색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KR20150085295A (ko) 다관능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
KR102072624B1 (ko) 카르복시산기 및 히드록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50049346A (ko) 포스포닉산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KR20150028685A (ko) 4급 암모늄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