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8563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8563B1
KR102208563B1 KR1020140066201A KR20140066201A KR102208563B1 KR 102208563 B1 KR102208563 B1 KR 102208563B1 KR 1020140066201 A KR1020140066201 A KR 1020140066201A KR 20140066201 A KR20140066201 A KR 20140066201A KR 102208563 B1 KR102208563 B1 KR 102208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heat sink
cooktop
cooling
cooling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755A (ko
Inventor
박동호
박준홍
권명근
이동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6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8563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8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8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0Tops, e.g. hot plates; Rings
    • F24C15/101Tops, e.g. hot plates; Rings provisions for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냉각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를 개시한다. 조리기기는 쿡탑, 상기 쿡탑 내부에 마련되는 전장품, 공기가 상기 쿡탑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쿡탑에 연결되는 유입 덕트 및 상기 전장품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쿡탑 내부에 마련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쿡탑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상기 전장품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히트 싱크 및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팬 및 상기 히트 싱크를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냉각 효율이 향상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가스나 전기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의 쿡탑(COOK TOP)은 통상적으로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한다. 쿡탑에는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각종 가열원이 구비된다.
쿡탑 내부에는 각종 전장품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장품은 조리기기의 사용 과정에서 과열될 수 있다. 따라서, 쿡탑 내부에는 높아진 온도에 의해 전장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냉각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발열량이 증가할수록 전장품이 과열될 가능성이 크므로, 조리기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고, 조리기기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환으로써 냉각 효율 향상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전장품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장품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조리물의 가열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쿡탑, 상기 쿡탑 내부에 마련되는 전장품, 공기가 상기 쿡탑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쿡탑에 연결되는 유입 덕트 및 상기 전장품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쿡탑 내부에 마련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쿡탑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상기 전장품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히트 싱크 및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팬 및 상기 히트 싱크를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기 쿡탑에 마련되는 조리면 상에 배치되는 조리 용기에 특정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상기 쿡탑 내부에 마련되는 광원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히트 싱크에 직결될 수 있다.
상기 팬은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팬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히트 싱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에는 상기 히트 싱크를 통과하는 공기 및 상기 히트 싱크에 배치되는 전장품 사이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복수의 방열핀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방열핀은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냉각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히트 싱크를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입구,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히트 싱크를 이동하는 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출구 및 상기 입구 및 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방열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팬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냉각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의 일부 및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냉각유로를 따라 상기 냉각유로의 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개방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쿡탑, 상기 쿡탑 내부를 전장품이 수용되는 제 1공간 및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이 수용되는 제 2공간으로 구획하는 지지 플레이트, 공기가 상기 쿡탑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공간에 연결되는 유입덕트 및 상기 전장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쿡탑 내부에 마련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쿡탑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상기 전장품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히트 싱크 및 상기 팬 및 상기 히트 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제 1공간 및 상기 제 2공간으로 분배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팬 및 상기 히트 싱크에 직결될 수 있다.
상기 팬은 토출구를 가지는 팬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팬 하우징 및 상기 히트 싱크가 연통되도록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는 상기 전장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을 냉각시키도록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냉각유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히트 싱크 및 상기 팬 하우징 중 적어도 하나에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팬 하우징 및 상기 히트 싱트를 연결하는 제 1냉각유로 및 상기 팬 하우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을 연결하는 제 2냉각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냉각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가이드 덕트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히트 싱크에 공급되고, 상기 제 2냉각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경사를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외면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에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2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 2냉각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히트 싱크에는 상기 히트 싱크를 통과하는 공기 및 상기 히트 싱크에 배치되는 전장품 사이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복수의 방열핀이 마련되고, 상기 제 1냉각유로는 제 1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방열핀을 통과하고, 상기 제 2냉각유로는 상기 제 1방향과 교차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방열핀을 통과할 수 있다.
팬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히트 싱크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팬과 히트 싱크를 가이드 덕트로 연결함으로써, 히트 싱크에 배치되고, 발열량이 많은 전장품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팬 하우징의 토출구 일부 및 히트 싱크를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를 사용함으로써, 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히트 싱크에 공급되는 공기 및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에 공급되는 공기로 분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장품 및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작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에 마련되는 히트 싱크 및 가이드 덕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히트 싱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의 가이드 덕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냉각유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에 마련되는 히트 싱크 및 가이드 덕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히트 싱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8의 가이드 덕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조리기기의 종류는 다양할 수 있고,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조리기기의 일 예로써, 오븐(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작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내부에 조리실(미도시)이 형성되고, 상부에 쿡탑(100)을 구비하는 본체(2) 및 조리실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3)의 전면에는 조리실 내부에 수용되는 조리물의 조리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윈도우(3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3)에는 사용자의 도어(3) 개폐가 용이하도록 핸들(4)이 마련될 수 있다.
쿡탑(100)은 케이싱(110) 및 케이싱(110)의 상방에 마련되는 조리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베이스(111) 및 베이스(111)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테두리(11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테두리(112)는 베이스(11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1)는 조리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111)는 조리실의 외벽 상면과 마주하도록 조리실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케이싱(110)은 적어도 하나의 개방된 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싱(110)은 개방된 상면을 가질 수 있고, 케이싱(110)의 개방된 상면에는 지지 프레임(140)이 결합될 수 있다. 조리면(120)은 지지 프레임(140)의 개방된 상면에 결합된다. 테두리(112)의 일 측에는 유입 덕트 체결공(113)이 마련될 수 있다.
조리면(120)은 조리 용기(P)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는 강화 내열 유리(미도시), 강화 내열 유리의 저면에 마련되는 광차단 필름(미도시), 강화 내열 유리의 상면에 마련되는 상부 필름(미도시)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강화 내열 유리는 소정의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을 가지고, 빛이 통과하도록 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강화 내열 유리 대신 소정의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을 가지고, 투명하게 마련되는 세라믹 판넬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조리면(120)에는 조리 용기(P)의 적정 위치를 표시해주는 용기 안내선(121)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안내선(121)은 강화 내열 유리에 형성될 수 있다.
광차단 필름은 불투명한 재질로 마련되어 광원 모듈(130)에서 발산되는 빛이 강화 내열 유리의 상측으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한다.
강화 내열 유리의 상면에 마련되는 상부 필름은 투명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필름에는 광원 모듈(130)을 은폐하기 위한 불투명한 색상의 은폐 밴드(122)가 형성될 수 있다. 은폐 밴드(122)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쿡탑(100)의 케이싱(110)의 일 면에는 컨트롤패널(5)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에는 오븐(1)의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6) 및 오븐(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7)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7)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홀더(7a)를 포함하며, 홀더(7a)의 외각을 따라 출력 레벨을 표시하는 출력 레벨 마크(7b)가 형성된다. 또한, 본체(2)에는 선택된 출력 레벨을 지시하기 위한 지시 마크(7c)가 형성된다.
사용자는 홀더(7a)를 오븐(1)의 본체(2)를 향하여 가압한 이후, 홀더(7a)를 시계 방향(C) 또는 반시계 방향(CC)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홀더(7a)를 시계 방향(C) 또는 반시계 방향(CC)으로 회전시키면, 출력 레벨 마크(7b)가 홀더(7a)와 함께 회전하고, 출력 레벨 마크(7b)에 표시된 복수의 출력 레벨 가운데 지시 마크(7c)와 대면하는 출력 레벨이 오븐(1)에 입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홀더(7a)를 반시계 방향(CC)으로 회전시키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7a)의 회전에 따라 출력 레벨 1, 2, 3, ... 9가 지시 마크(7c)와 대면하게 되고, 출력 레벨 1, 2, 3, ... 9가 오븐(1)에 입력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오프(OFF) 상태에서 사용자가 홀더(7a)를 시계 방향(C)으로 회전시키면 오븐(1)에 최대 출력 레벨이 입력된다.
다시 말해, 오프(OFF) 상태에서 사용자가 홀더(7a)를 반시계 방향(CC)으로 회전시키면 출력 레벨 마크(7b)에 표시된 출력 레벨이 차례대로 입력되고, 오프(OFF) 상태에서 사용자가 홀더(7a)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즉시 최대 출력 레벨이 입력될 수 있다.
오븐(1)은 쿡탑(100) 내부에 마련되는 전장품(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장품(160)은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SMPS) 및 전자파 장해 필터(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EMI fil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오븐(1)은 외부 공기가 쿡탑(100)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쿡탑(100)에 연결되는 유입 덕트(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 덕트(170)는 본체(2)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유입 덕트(170)는 쿡탑(100)에 연결되도록 조리실(미도시)의 외측벽에 고정될 수 있다. 유입 덕트(170)는 본체(2)의 저면을 향하는 입구(미도시) 및 쿡탑(100) 내부에 연통되는 출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 덕트(170)의 입구를 쿡탑(100)과 멀리 배치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를 쿡탑(100)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전장품(160) 등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입 덕트(170)는 제 1공간(101)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입 덕트(170)는 출구(171)가 제 1공간(101)에 연통되도록 테두리(112)에 마련되는 유입 덕트 체결공(113)에 결합될 수 있다.
오븐(1)은 쿡탑(100) 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쿡탑(100)의 가열원으로는 가스 또는 전기가 사용될 수 있다. 전기 가열원으로는 복사 히터(radiant heater)나 유도 가열 히터(induction heater)가 있다. 이하, 유도 가열 히터를 쿡탑(100)의 가열원으로 사용하는 오븐(1)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는 전류가 인가되면 수직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시키도록 대략 원형으로 감겨 있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이 발생되면 조리 용기(P)에 2차 전류가 유도되고, 조리 용기(P) 자체의 저항 성분에 의해 줄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 용기(P)가 가열되고, 조리 용기(P)에 담긴 음식물이 조리된다.
오븐(1)은 쿡탑(100) 내부에 마련되는 광원 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모듈(130)은 조리면(120) 상에 배치되는 조리 용기(P)에 특정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쿡탑(100) 내부에 마련될 수 있다. 특정 이미지는 불꽃 이미지(I)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모듈(130)은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131)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131)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131)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131)는 그 종류와 형태에 제한은 없으며, 일 예로, 전류가 인가되면 빛을 발산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미도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보호하는 몰딩부(미도시),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전극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131)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 소자, 녹색 발광 다이오드 소자 및 청색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모두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131)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의 반경 방향 외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131)는 원주 방향을 따라 대략 180ㅀ 내지 360ㅀ의 범위로 배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오븐(1)은 쿡탑(100)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지지 플레이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써, 지지 플레이트(150)는 쿡탑(100) 내부를 전장품(160)이 수용되는 제 1공간(101) 및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가 수용되는 제 2공간(102)으로 구획할 수 있다. 광원 모듈(130)도 제 2공간(102)에 수용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50)는 상면이 개방된 지지 프레임(14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는 지지 플레이트(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광원 모듈(130)은 지지 플레이트(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원 모듈(130)은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의 반경 방향 외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지지 플레이트(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50)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51)가 마련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151)는 제 1공간(101) 및 제 2공간(102)을 연통시킬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개구(151)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 및 광원 모듈(130) 중 적어도 하나가 배치될 수 있다.
오븐(1)은 전장품(160),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 및 광원 모듈(130) 중 적어도 하나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쿡탑(100) 내부에 마련되는 냉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 유닛은 제 1공간(101)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1공간(101)에는 베이스(111)와 마주하는 지지 프레임(140)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베이스(111)와 이격되도록 케이싱(110)의 테두리(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은 상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프레임(140)에는 전장품(160) 및 냉각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장품(160) 및 냉각 유닛은 지지 프레임(140)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14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150)는 조리면(120)과 마주하도록 지지 프레임(14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냉각 유닛은 팬(미도시) 및 히트 싱크(180)를 포함할 수 있다.
팬(미도시)은 쿡탑(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팬(미도시)은 유입구(미도시) 및 토출구(312)를 가지는 팬 하우징(31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팬 하우징(310)은 팬 하우징(310)의 유입구(미도시)와 유입 덕트(170)의 출구(171)가 연통되도록 지지 프레임(14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팬 하우징(310)의 토출구(312)는 히트 싱크(180)를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팬(미도시)은 DC팬을 포함할 수 있다.
히트 싱크(heat sink)(180)는 전장품(160)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장품(160)에서 발생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방출시키는 장치이다.
히트 싱크(180)는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14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크(180)는 팬 하우징(310)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크(180)는 지지 프레임(14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히트 싱크(180)에는 전장품(160)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히트 싱크(180)에 배치되는 전장품(160)은 발열량이 큰 다이오드 및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히트 싱크(180)에는 히트 싱크(180)를 통과하는 공기 및 히트 싱크(180)에 배치되는 전장품(160) 사이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방열핀(183)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183)은 소정 두께를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183) 소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히트 싱크(180)는 알루미늄 및 동판을 포함하는 열전도율이 좋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히트 싱크(180)의 재질은 열전도율이 좋은 재질이면 족하고, 알루미늄 및 동판에 한정하지 않는다.
히트 싱크(180)는 전장품(160)이 배치되는 제 1면(181) 및 복수의 방열핀(183)이 마련되는 제 2면(182)을 포함할 수 있다. 히트 싱크(180)의 제 1면(181)은 지지 프레임(140)의 내측방향을 향할 수 있다. 즉, 히트 싱크(180)의 제 1면(181)은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141) 상에 배치되는 전장품(160)과 마주할 수 있다. 히트 싱크(180)의 제 2면(182)은 지지 프레임(140)의 외측방향을 향할 수 있다. 즉, 히트 싱크(180)의 제 2면(182)은 지지 프레임(140)의 내측벽과 마주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183)은 서로 나란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183)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거나, 좌우방향으로 서로 나란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183)은 히트 싱크(180)의 제 2면(182)에서 지지 프레임(140)의 내측벽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방열핀(183)은 히트 싱크(180)의 제 2면(182)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183)은 팬(미도시)에서 토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냉각유로(184)를 형성할 수 있다. 냉각유로(184)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냉각 유닛은 팬(미도시)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이드 덕트(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500)는 팬(미도시) 및 히트 싱크(180)를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50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오븐(1)은 쿡탑(100) 내부에 마련되는 토출팬(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팬(400)은 조리실에서 발생되는 열이 쿡탑(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유입 덕트(170)를 통해 쿡탑(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도어(3)의 전면 또는 본체(2)의 전면에 형성되는 배기구(8)로 토출시키는 장치이다.
토출팬(400)은 제 1공간(101)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출팬(400)은 지지 프레임(140)과 연통되도록 베이스(111)에 배치될 수 있다.
토출팬(400)은 AC팬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에 마련되는 히트 싱크 및 가이드 덕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히트 싱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가이드 덕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냉각유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덕트(500)는 팬(미도시) 및 히트 싱크(180)를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500)는 팬(미도시)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팬(미도시) 및 히트 싱크(1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500)는 히트 싱크(180)에 직결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 덕트(500)는 팬(미도시)에 직결될 수 있다.
또는, 가이드 덕트(500)는 팬(미도시) 및 히트 싱크(180)에 직결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500)는 팬(미도시)에서 토출된 공기를 제 1공간(101) 및 제 2공간(102)으로 분배할 수 있다. 즉, 유입 덕트(170)를 통해 팬 하우징(310)에 전달된 공기는 가이드 덕트(5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제 1공간(101)을 순환하는 공기와 제 2공간(102)을 순환하는 공기로 분배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500)는 팬 하우징(310)의 토출구(312)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500)는 팬 하우징(310) 및 히트 싱크(180)가 연통되도록 토출구(312)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 덕트(500)가 토출구(312)의 일부에 연결되는 경우, 토출구(312)의 다른 일부는 개방된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팬(미도시)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가이드 덕트(500)를 통과하여 히트 싱크(180)에 전달되고, 팬(미도시)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다른 일부는 개방된 상태로 존재하는 토출구(312)의 다른 일부를 통해 쿡탑(100) 내부로 토출된다.
히트 싱크(180)의 복수의 방열핀(183)은 팬(미도시)에서 토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냉각유로(184)를 형성할 수 있다.
냉각유로(184)는 입구(184a), 출구(184b) 및 개방부(184c)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유로(184)의 입구(184a)는 팬(미도시)에서 토출된 공기가 히트 싱크(180)를 이동하는 방향(G)으로 상류측에 위치하고, 냉각유로(184)의 출구(184b)는 팬(미도시)에서 토출된 공기가 히트 싱크(180)를 이동하는 방향(G)으로 하류측에 위치한다. 개방부(184c)는 입구(184a) 및 출구(184b) 사이에 배치되고, 복수의 방열핀(183)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183)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고, 히트 싱크(180)의 제 2면(182)에서 지지 프레임(140)의 내측벽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우, 개방부(184c)는 지지 프레임(140)의 내측벽을 향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500)는 연결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510)는 팬(미도시)에서 토출된 공기가 냉각유로(18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팬 하우징(310)의 토출구(312)의 일부 및 냉각유로(184)의 입구(184a)를 연결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500)는 차단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520)는 연결부(5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차단부(520)는 냉각유로(184)의 입구(184a)로 유입된 공기가 냉각유로(184)를 따라 냉각유로(184)의 출구(184b)로 토출되도록 개방부(184c)를 차단할 수 있다. 개방부(184c)가 지지 프레임(140)의 내측벽을 향하는 경우, 냉각유로(184)를 이동하는 공기는 개방부(184c)를 통해 지지 프레임(140)의 내측벽을 향해 누출될 수 있으므로, 전장품(160)의 냉각 효율이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냉각유로(184)를 이동하는 공기가 전장품(160)의 냉각에 집중 사용될 수 있도록 개방부(184c)를 가이드 덕트(500)의 차단부(520)로 차단할 수 있다.
가이드 덕트(500)는 걸침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침부(530)는 연결부(510) 및 차단부(52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걸침부(530)는 차단부(520)와 함께 공기가 냉각유로(184)의 개방부(184c)를 통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히트 싱크(180)에 결합될 수 있다. 걸침부(530)는 차단부(520)가 히트 싱크(180)의 개방부(184c) 상에 위치하도록 차단부(520)를 히트 싱크(180)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가이드 덕트(500)의 연결부(510), 차단부(520) 및 걸침부(5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오븐(1)의 냉각유로를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1)은 쿡탑(100) 내부에 배치되는 전장품(160),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 및 광원 모듈(130)을 냉각시키도록 팬(미도시)에서 토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냉각유로(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각유로(190)는 제 1공간(101)을 순환하는 제 1냉각유로(191) 및 제 2공간(102)을 순환하는 제 2냉각유로(19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냉각유로(191)는 팬 하우징(310) 및 히트 싱크(180)를 연결할 수 있고, 제 2냉각유로(192)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 및 광원 모듈(130) 중 적어도 하나와 팬 하우징(310)을 연결할 수 있다.
냉각유로(190)는 히트 싱크(180) 및 팬 하우징(31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분기될 수 있다. 냉각유로(190)가 팬 하우징(310)에서 분기되는 경우, 팬(미도시)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는 제 1냉각유로(191)를 따라 가이드 덕트(500) 내부를 통과하여 히트 싱크(180)에 공급되고, 팬(미도시)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다른 일부는 제 2냉각유로(192)를 따라 경사를 형성하는 가이드 덕트(500)의 외면을 통과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에 공급된다.
지지 플레이트(15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51)는 제 2냉각유로(192)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냉각유로(19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51)를 통과하여 지지 플레이트(150)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 및 광원 모듈(130) 중 적어도 하나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7을 중심으로, 쿡탑(100)의 냉각 시스템을 설명한다.
유입 덕트(170)를 통해 쿡탑(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쿡탑(100) 내부를 순환한 후, 토출팬(400)에 의해 배기구(8)로 토출된다.
유입 덕트(170)를 통해 팬 하우징(310)에 전달된 공기는 냉각유로(190)를 따라 쿡탑(100) 내부를 순환한다.
제 1냉각유로(191)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팬 하우징(310)의 토출구(312)로 토출된 후, 가이드 덕트(500)를 통해 히트 싱크(180)에 전달된다. 히트 싱크(180)에 전달된 공기는 복수의 방열핀(18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히트 싱크(180)에 배치되는 전장품(160)과 열교환한다. 히트 싱크(180)를 통과한 공기는 제 1공간(101)을 순환한 후, 토출팬(400)에 의해 배기구(8)로 토출된다.
제 2냉각유로(192)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팬 하우징(310)의 토출구(312)로 토출된 후, 가이드 덕트(500)의 외면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가이드 덕트(500)의 외면을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지지 플레이트(15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51)를 통과하여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 및 광원 모듈(13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된다. 적어도 하나의 유도 코일부(200) 및 광원 모듈(130) 중 적어도 하나를 통과한 공기는 제 2공간(102)을 순환한 후, 토출팬(400)에 의해 배기구(8)로 토출된다.
제 1냉각유로(191)를 이동하는 공기 및 제 2냉각유로(192)를 이동하는 공기는 팬(미도시) 및 토출팬(400)에 의해 쿡탑(100) 내부에서 난류를 형성할 수 있고, 서로 섞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쿡탑에 마련되는 히트 싱크 및 가이드 덕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히트 싱크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가이드 덕트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7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히트 싱크(180)의 제 2면(182)은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히트 싱크(180)의 제 2면(182)은 지지 프레임(140)의 내측벽에서 멀어질수록 상방으로 기운다.
복수의 방열핀(183)은 좌우방향으로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방열핀(183)은 히트 싱크(180)의 제 2면(182)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개방부(184c)는 상방을 향할 수 있다. 즉, 개방부(184c)는 지지 플레이트(150)의 저면과 마주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183)의 높이는 개방부(184c)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도록 지지 프레임(140)의 내측벽에 가까워질수록 증가한다.
가이드 덕트(500)는 팬 하우징(310)의 토출구(312) 및 히트 싱크(180)를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덕트(500)는 팬 하우징(310)의 토출구(312) 전부 및 냉각유로(184)의 입구(184a)를 연결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덕트(500)는 연결부(510)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냉각유로(191) 및 제 2냉각유로(192)는 히트 싱크(180)에서 분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냉각유로(191)는 제 1방향(A)으로 복수의 방열핀(183)을 통과하고, 제 2냉각유로(192)는 제 2방향(B)으로 복수의 방열핀(183)을 통과할 수 있다. 제 1방향(A) 및 제 2방향(B)은 서로 교차할 수 있다. 또한, 제 1방향(A) 및 제 2방향(B)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오븐 2 : 본체
3 : 도어 3a : 윈도우
4 : 핸들 5 : 컨트롤패널
6 : 디스플레이 7 : 조작부
100 : 쿡탑 101 : 제 1공간
102 : 제 2공간 110 : 케이싱
111 : 베이스 112 : 테두리
113 : 유입 덕트 체결공 120 : 조리면
121 : 용기 안내선 122 : 은폐 밴드
130 : 광원 모듈 131 : 발광 다이오드
132 : 인쇄회로기판 140 : 지지 프레임
150 : 지지 플레이트 151 : 개구
160 : 전장품 170 : 유입 덕트
171 : 출구 180 : 히트 싱크
181 : 제 1면 182 : 제 2면
183 : 방열핀 184 : 냉각유로
184a: 입구 184b : 출구
184c : 개방부 190 : 냉각유로
191 : 제 1냉각유로 192 : 제 2냉각유로
200 : 유도 코일부 310 : 팬 하우징
312 : 토출구 400 : 토출팬
500 : 가이드 덕트 510 : 연결부
520 : 차단부 530 : 걸침부
8 : 배기구 141 : 회로기판
7a : 홀더 7b : 출력 레벨 마크
7c : 지시 마크

Claims (15)

  1. 쿡탑;
    상기 쿡탑 내부에 마련되는 전장품;
    상기 쿡탑 내부를 전장품이 수용되는 제 1공간 및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이 수용되는 제 2공간으로 구획하는 지지 플레이트;
    공기가 상기 쿡탑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쿡탑에 연결되는 유입덕트; 및
    상기 전장품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쿡탑 내부에 마련되는 냉각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쿡탑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상기 전장품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히트 싱크; 및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팬 및 상기 히트 싱크를 연결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팬은 토출구를 가지는 팬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팬 하우징 및 상기 히트 싱크가 연통되도록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팬 하우징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팬 하우징 및 상기 히트 싱트를 연결하여 상기 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히트 싱크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 1냉각유로 및, 상기 팬 하우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을 연결하여 상기 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다른 일부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2 냉각유로를 포함하는 냉각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쿡탑에 마련되는 조리면 상에 배치되는 조리 용기에 특정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상기 쿡탑 내부에 마련되는 광원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원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히트 싱크에 직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팬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히트 싱크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에는 상기 히트 싱크를 통과하는 공기 및 상기 히트 싱크에 배치되는 전장품 사이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복수의 방열핀이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방열핀은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이동하는 냉각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히트 싱크를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류측에 위치하는 입구;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히트 싱크를 이동하는 방향으로 하류측에 위치하는 출구; 및
    상기 입구 및 출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방열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개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팬 하우징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가 상기 냉각유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토출구의 일부 및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상기 냉각유로의 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냉각유로를 따라 상기 냉각유로의 출구로 토출되도록 상기 개방부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쿡탑;
    상기 쿡탑 내부를 전장품이 수용되는 제 1공간 및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이 수용되는 제 2공간으로 구획하는 지지 플레이트;
    공기가 상기 쿡탑 내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공간에 연결되는 유입덕트; 및
    상기 전장품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이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쿡탑 내부에 마련되는 냉각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쿡탑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
    상기 전장품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히트 싱크; 및
    상기 팬 및 상기 히트 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제 1공간 및 상기 제 2공간으로 분배하는 가이드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팬은 토출구를 가지는 팬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팬 하우징 및 상기 히트 싱크가 연통되도록 상기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팬 하우징으로부터 분기되며, 상기 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상기 가이드 덕트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히트 싱크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 1냉각유로 및, 상기 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 다른 일부가 상기 가이드 덕트의 외면을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에 공급되도록 하는 제2 냉각유로를 포함하는 냉각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덕트는 상기 팬 및 상기 히트 싱크에 직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삭제
  11. 삭제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냉각유로는 상기 팬 하우징 및 상기 히트 싱트를 연결하고,
    상기 제2 냉각유로는 상기 팬 하우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냉각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경사를 형성하는 상기 가이드 덕트의 외면을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2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마련되고,
    상기 제 2냉각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과하여 상기 지지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열유닛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트 싱크에는 상기 히트 싱크를 통과하는 공기 및 상기 히트 싱크에 배치되는 전장품 사이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키도록 복수의 방열핀이 마련되고,
    상기 제 1냉각유로는 제 1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방열핀을 통과하고,
    상기 제 2냉각유로는 상기 제 1방향과 교차하는 제 2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방열핀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140066201A 2014-05-30 2014-05-30 조리기기 KR102208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201A KR102208563B1 (ko) 2014-05-30 2014-05-30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201A KR102208563B1 (ko) 2014-05-30 2014-05-30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755A KR20150137755A (ko) 2015-12-09
KR102208563B1 true KR102208563B1 (ko) 2021-01-28

Family

ID=5487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201A KR102208563B1 (ko) 2014-05-30 2014-05-30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85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17794A1 (en) 2022-08-02 2024-02-07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KR20240018274A (ko) 2022-08-02 202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048B1 (ko) * 2016-07-29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쿡탑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ES2750879A1 (es) * 2018-09-27 2020-03-27 Bsh Electrodomesticos Espana Sa Campo de Coccion
CN111447799A (zh) * 2020-04-29 2020-07-24 水氪(北京)科技发展有限公司 用于食品净化机的散热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7424A (ja) * 2002-08-29 2004-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JP2011090991A (ja) * 2009-10-26 2011-05-06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KR101291428B1 (ko) * 2006-12-14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748B1 (ko) * 2008-05-23 2010-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7424A (ja) * 2002-08-29 2004-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加熱調理器
KR101291428B1 (ko) * 2006-12-14 2013-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JP2011090991A (ja) * 2009-10-26 2011-05-06 Panason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17794A1 (en) 2022-08-02 2024-02-07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KR20240018273A (ko) 2022-08-02 202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40018274A (ko) 2022-08-02 202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755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8563B1 (ko) 조리기기
JP5208240B2 (ja) 加熱調理器
CN108266764B (zh) 加热烹调器
KR101931412B1 (ko) 유도가열부를 포함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EP2066974B1 (en) Cooking apparatus
KR102251058B1 (ko) 유도가열조리기
KR101878048B1 (ko) 쿡탑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581788B1 (ko) 냉각 시스템을 구비한 조리장치
KR101847286B1 (ko) 냉기흐름유도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170007955A (ko) 조리 기기
TW201636551A (zh) 加熱調理器
KR101931413B1 (ko) 워킹코일 냉각구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JP2012186174A (ja) 誘導加熱調理装置
JP5159505B2 (ja) 加熱調理器
KR102599900B1 (ko) 도어 및 이를 갖는 오븐
KR101851865B1 (ko) 복합식 조리기기
JP6893196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867177B1 (ko) 복합식 조리기기
JP739087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0198840A (ja) 誘導加熱調理器
EP2064492B1 (en) Cooking apparatus
JP2010203644A (ja) 加熱調理器
JP6749280B2 (ja) 加熱調理器
JP655602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279537B2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