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058B1 - 유도가열조리기 - Google Patents

유도가열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058B1
KR102251058B1 KR1020140066202A KR20140066202A KR102251058B1 KR 102251058 B1 KR102251058 B1 KR 102251058B1 KR 1020140066202 A KR1020140066202 A KR 1020140066202A KR 20140066202 A KR20140066202 A KR 20140066202A KR 102251058 B1 KR102251058 B1 KR 102251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inlet
case
emitting member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756A (ko
Inventor
오토모히로시
서여진
이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058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45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 H05B6/1263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special coil arrangements using coil cool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18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with arrangements using lights for heating zone state ind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발광부재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유도가열조리기를 개시한다. 유도가열조리기는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 면에 결합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냉각유로 및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냉각유로 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가열조리기{INDUCTION HEATING COOKER}
본 발명은 유도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광부재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유도가열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가열조리기는 가열코일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여 강력한 고주파 자계를 발생시키고 이 자계를 통해 가열코일과 자기 결합하고 있는 조리용기(이하, "용기"라 한다.)에 와전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용기가 와전류에 의해 발생된 주울 열로 인해 발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유도가열조리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내부에 열원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가열코일이 고정 설치된다. 또한, 케이스는 상부에 용기를 올려 놓기 위한 조리면을 포함한다.
유도가열조리기는 출력되는 교번 자속이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가열 상태를 시각적으로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유도가열조리기의 가열상태 내지 사용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방안으로 발광부재가 사용되고 있다.
발광부재는 용기의 가열과정에서 발생하는 열 또는 가열코일의 자기발열로 인한 열에 의해 과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광부재가 과열될 경우, 발광부재의 광도 및 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발광부재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유도가열조리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는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 면에 결합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냉각유로 및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냉각유로 상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도록 상기 유입구 상에 배치되는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냉각유로를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는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베이스, 상기 탑 플레이트와 마주하고,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베이스 상에 마련되는 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유입구 형성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유입구 형성면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유입구와 마주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 면에서 상기 탑 플레이트를 향하여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유입구와 마주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 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 형성면과 마주하는 냉각면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면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 형성면과 마주하는 냉각면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면에는 상기 유입구 형성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방열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는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 면에 결합되고, 발광 표시부를 구비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냉각유로, 상기 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를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발광 표시부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재는 상기 유입구와 마주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 면과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의 냉각면이 팬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접촉할 수 있도록 발광부재를 지지 플레이트에 설치함으로써, 베이스 및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회로기판 내지 발광소자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의 냉각면에 요철 내지 방열핀을 형성함으로써 팬에서 토출된 공기와 베이스의 열교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발광부재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유도가열조리기에 있어서, 탑 플레이트를 생략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냉각유로를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발광부재의 다양한 구조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선단", "후단", "상부", "하부", "상단" 및 하단"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유도가열조리기에 있어서, 탑 플레이트를 생략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냉각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유입구 형성면은 하면 프레임(10c)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도가열조리기(1)는 케이스(10) 및 케이스(10)의 상부에 마련되는 탑 플레이트(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일 면이 개방된 대략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1)는 상면이 개방된 케이스(1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의 상면이 개방된 경우, 케이스(10)는 전면 프레임(10a), 후면 프레임(미도시), 측면 프레임(10b) 및 하면 프레임(10c)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에는 공기가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구(11) 및 공기가 케이스(10)의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구(12)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써, 유입구(11)는 케이스(10)의 하면 프레임(10c)에 마련될 수 있고, 토출구(12)는 케이스(10)의 측면 프레임(10b)에 마련될 수 있다. 유입구(11) 및 토출구(12)의 형상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탑 플레이트(20)는 케이스(10)의 개방된 일 면에 결합될 수 있다. 탑 플레이트(20)는 조리 용기(P)를 올려 놓을 수 있도록 평판 형상을 가지는 강화 내열 유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강화 내열 유리는 소정의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을 갖고, 빛이 통과하도록 투명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1)에서 강화 내열 유리 대신에 소정의 기계적 강도와 내열성을 갖고, 투명하게 마련되는 세라믹 판넬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탑 플레이트(20)에는 조리 용기(P)의 적정 위치를 표시해주는 용기 안내선(21)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용기 안내선(21)은 강화 내열 유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탑 플레이트(20)에는 유도가열조리기(1)의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발광 표시부(2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탑 플레이트(20)에는 유도가열조리기(1)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3)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23)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조작 제어부(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조작 제어부(30)는 조작부(23)에 대응하도록 탑 플레이트(2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작 제어부(30)는 조작부(23)에 대응하도록 지지 플레이트(7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가열조리기(1)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유도 코일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 코일부(50)는 전류가 인가되면 수직 방향으로 자기장을 형성시키도록 대략 원형으로 감겨 있는 코일을 포함한다. 유도 코일부(50)에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이 발생되면 조리 용기(P)에 2차 전류가 유도되고, 조리 용기(P) 자체의 저항 성분에 의해 줄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 용기(P)가 가열되고, 조리 용기(P)에 담긴 음식물이 조리된다.
유도가열조리기(1)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60)는 발광 표시부(22)에 대응하도록 탑 플레이트(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60)는 발광 표시부(2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60)는 냉각유로(9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60)는 발광소자(61), 회로기판(62) 및 베이스(63)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61)는 빛을 발산하고, 탑 플레이트(20)와 마주할 수 있다.
발광소자(61)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LED)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소자(61)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발광소자(61)는 그 종류와 형태에 제한은 없으며, 일 예로, 전류가 인가되면 빛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 소자(미도시), 발광 다이오드 소자를 보호하는 몰딩부(미도시) 및 외부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전극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61)는 적색 발광소자, 녹색 발광소자 및 청색 발광소자를 모두 포함하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상의 구현이 가능하다.
발광소자(61)는 회로기판(62)에 실장될 수 있다. 즉, 발광소자(61)는 탑 플레이트(20)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회로기판(6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62)은 인쇄회로기판 및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62)의 재질은 종이페놀, 종이에폭시, 글라스에폭시, 알루미나 및 테플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63)는 지지 플레이트(7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63)는 지지 플레이트(70)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71,7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63) 상에는 회로기판(62)이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63)는 유입구(11)가 형성되는 케이스(10)의 유입구 형성면과 마주하는 냉각면(63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베이스(63)는 유입구(11)가 형성되는 케이스(10)의 하면 프레임(10c)과 마주하는 냉각면(63a)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6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발광소자(61), 회로기판(62) 및 베이스(63)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63), 회로기판(62) 및 발광소자(61)는 탑 플레이트(20)를 향하여 지지 플레이트(70) 상에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발광소자(61), 회로기판(62) 및 베이스(63)는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유도가열조리기(1)는 케이스(10)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지지 플레이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70)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70)의 재질은 알루미늄, 금, 은 및 동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70)는 실드(shield) 효과를 확보할 수 있는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즉, 지지 플레이트(70)는 유도 코일부(50)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설 자속 내지 노이즈로부터 제어부(40)를 보호하기에 적합한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70)는 지지 플레이트(70)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스(10)의 내벽에서 이격되도록 케이스(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 플레이트(70) 및 케이스(10)의 내벽 사이에는 지지 플레이트(70)의 적어도 일부의 테두리를 따라 연통홈(73)이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공간은 연통홈(73)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70)의 전부가 케이스(10)의 내벽에서 이격되는 경우, 지지 플레이트(70)는 케이스(10)의 내벽에 마련되는 지지부(미도시)에 의해 케이스(10)의 내부에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70)에는 유도 코일부(50), 발광부재(60) 및 조작 제어부(30)가 위치할 수 있다. 유도 코일부(50), 발광부재(60) 및 조작 제어부(30)는 탑 플레이트(20)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지지 플레이트(70)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 코일부(50), 발광부재(60) 및 조작 제어부(30) 중 적어도 하나는 탑 플레이트(20)와 이격되도록 지지 플레이트(70)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플레이트(70)에는 복수의 개구(71,72)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는 복수의 공간은 복수의 개구(71,72)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복수의 개구(71,72)는 슬릿(71) 및 발광부재 결합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릿(71)의 형상,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1)의 슬릿(71)은 유도 코일부(5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 1슬릿(71a), 유도 코일부(50) 및 발광부재(60) 사이에 위치하는 제 2슬릿(71b) 및 발광부재(60) 및 조작 제어부(30) 사이에 위치하는 제 3슬릿(71c)을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재(60)는 복수의 개구(71,7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발광부재(60)는 복수의 개구(71,72) 중 발광부재 결합부(72)에 결합될 수 있다. 발광부재(60)의 베이스(63)는 발광부재 결합부(72)에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지지 플레이트(70)에 형성되는 슬릿(71)은 필수적 요소는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 있다.
유도가열조리기(1)는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팬(80)은 유입구(11)와 인접하도록 하면 프레임(10c)에 배치될 수 있다. 팬(80)은 유입구(1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팬(80)은 입구(미도시) 및 출구(미도시)를 가지는 팬 하우징(8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팬 하우징(81)의 입구는 유입구(11)에 직결될 수 있다.
유도가열조리기(1)는 발광부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발광부재(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조작 제어부(30)와 연동하여 유도 코일부(50)의 가열정도를 조절하거나, 유도가열조리기(1)의 안전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하면 프레임(10c)에 배치될 수 있으나, 제어부(40)의 위치는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유도가열조리기(1)는 케이스(10)의 내부에 마련되고, 유입구(11) 및 토출구(12)를 연결하는 냉각유로(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팬(80)에서 토출된 공기는 냉각유로(90)를 따라 케이스(10)의 내부를 순환한다.
지지 플레이트(70)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71,72)는 냉각유로(9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70) 및 케이스(1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되는 연통홈(73)은 냉각유로(9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유도가열조리기(1)의 냉각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탑 플레이트(20)에 조리용기(P)를 올린 후 조작부(23)를 조작하면, 유도가열을 통해 조리용기(P)가 가열되고, 사용상태 등을 표시하는 발광 표시부(22)가 점등된다.
조리과정에서 발광부재(60)는 과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소자(61) 및 회로기판(62)은 조리용기(P)의 가열과정에서 발생하는 열 또는 유도 코일부(50), 제어부(40) 및 조작 제어부(30)의 자기발열로 인한 열에 의해 과열될 수 있다.
조리과정 시, 발광부재(60)를 포함하는 전장품이 지나치게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입구(11)를 통해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유로(90)를 따라 순환한다.
팬(80)에서 토출된 공기는 냉각유로(9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60)에 전달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60)의 베이스(63), 회로기판(62) 및 발광소자(61)는 구조적 뿐만 아니라 열적으로도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열전도율이 큰 베이스(63)를 냉각시킴으로써, 회로기판(62) 및 발광소자(61)도 냉각시킬 수 있다.
팬(80)에서 토출된 공기는 지지 플레이트(70)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71,72) 및 연통홈(73)을 통과하여 케이스(10)의 내부를 자유롭게 순환할 수 있으므로, 발광부재(60)를 포함하는 전장품의 냉각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냉각유로(90)의 순환을 마친 공기는 토출구(12)를 통해 케이스(10)의 외부로 토출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조리기의 발광부재의 다양한 구조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미도시된 도면 부호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한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60)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베이스(63)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60)는 유입구(11)와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70)의 일 면(70a)과 단차를 형성하도록 복수의 개구(71,7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발광부재(60)의 베이스(63)는 유입구(11)와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70)의 일 면(70a)과 단차를 형성하도록 발광부재 결합부(72)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63)는 베이스(63)의 적어도 일부가 하면 프레임(10c)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발광부재 결합부(7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베이스(63)는 베이스(63)의 냉각면(63a)이 하면 프레임(10c)을 향하여 발광부재 결합부(7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발광부재 결합부(72)에 결합될 수 있다.(도 4a참고)
또는, 베이스(63)는 유입구(11)와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70)의 일 면(70a)에서 탑 플레이트(20)를 향하여 단차를 형성하도록 발광부재 결합부(72)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베이스(63)는 베이스(63)의 냉각면(63a)이 발광부재 결합부(7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발광부재 결합부(72)에 결합될 수 있다.(도 4b참고)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재(60)는 유입구(11)와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70)의 일 면(70a)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개구(71,7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베이스(63)는 베이스(63)의 냉각면(63a)이 유입구(11)와 마주하는 지지 플레이트(70)의 일 면(70a)과 동일면 상에 위치하도록 발광부재 결합부(7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63)의 냉각면(63a) 및 냉각유로(9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베이스(63)의 냉각면(63a)에는 복수의 방열핀(6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64)은 베이스(63)의 냉각면(63a)에서 유입구 형성면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방열핀(64)은 베이스(63)의 냉각면(63a)에서 하면 프레임(10c)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방열핀(64)은 베이스(6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방열핀(64)은 베이스(63)와 별개로 형성되어 베이스(63)의 냉각면(63a)에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63)의 냉각면(63a)에는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요철 또한 복수의 방열핀(64)과 마찬가지로 베이스(63)의 냉각면(63a) 및 냉각유로(90)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켜 발광부재(60)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베이스(63)의 결합구조 내지 형상은 상기 예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유도가열조리기 10 : 케이스
10a : 전면 프레임 10b : 측면 프레임
10c : 하면 프레임 11 : 유입구
12 : 토출구 20 : 탑 플레이트
21 : 용기 안내선 22 : 발광 표시부
23 : 조작부 30 : 조작 제어부
40 : 제어부 50 : 유도 코일부
60 : 발광부재 61 : 발광소자
62 : 회로기판 63 : 베이스
63a : 냉각면 64 : 방열핀
70 : 지지 플레이트 70a : 일 면
71 : 슬릿 71a : 제 1슬릿
71b : 제 2슬릿 71c : 제 3슬릿
72 : 발광부재 결합부 73 : 연통홈
80 : 팬 81 : 팬 하우징
90 : 냉각유로

Claims (9)

  1.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 면에 결합되는 탑 플레이트;
    상기 탑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와 이격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고, 복수의 슬릿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 결합부를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냉각유로; 및
    상기 발광부재 결합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로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를 냉각시키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하면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냉각 유로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도록 상기 유입구 상에 배치되는 팬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냉각유로를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는,
    상기 탑 플레이트와 마주하고, 빛을 발산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를 실장하고, 상기 베이스 상에 마련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유입구와 마주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일 면에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탑 플레이트를 향하여 단차를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 형성면과 마주하는 냉각면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면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케이스의 유입구 형성면과 마주하는 냉각면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면에는 상기 유입구 형성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방열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9. 유입구 및 토출구를 가지며, 상기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면 프레임을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 면에 결합되고, 발광 표시부를 구비하는 탑 플레이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토출구를 연결하는 냉각유로;
    상기 탑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와 이격되며, 상기 냉각유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슬릿 및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 결합부를 가지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발광 표시부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탑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재 결합부에 결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 유로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슬릿을 통과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재를 냉각시키며,
    상기 베이스는 상기 하면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냉각 유로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에 의해 냉각되는 냉각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조리기.
KR1020140066202A 2014-05-30 2014-05-30 유도가열조리기 KR102251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202A KR102251058B1 (ko) 2014-05-30 2014-05-30 유도가열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6202A KR102251058B1 (ko) 2014-05-30 2014-05-30 유도가열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756A KR20150137756A (ko) 2015-12-09
KR102251058B1 true KR102251058B1 (ko) 2021-05-13

Family

ID=54873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6202A KR102251058B1 (ko) 2014-05-30 2014-05-30 유도가열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0945B1 (ko) 2017-01-03 202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10115332A (ko) 2020-03-12 2021-09-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및 이에 포함되는 에어 가이드
DE102020121633B4 (de) 2020-08-18 2022-09-29 Miele & Cie. Kg Induktionskochfeld
KR20220161029A (ko) * 2021-05-28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레인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7360B2 (ja) * 2002-07-18 2006-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08071679A (ja) * 2006-09-15 2008-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6243B1 (ko) * 2010-09-30 2013-06-20 주식회사 엘티전자 엘이디용 방열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57360B2 (ja) * 2002-07-18 2006-03-22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JP2008071679A (ja) * 2006-09-15 2008-03-27 Mitsubishi Electric Corp 誘導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756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1321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1291428B1 (ko) 조리기기
ES2640965T3 (es) Aparato de cocción por inducción
ES2560256T3 (es) Cocina de calentamiento por inducción
JP5642168B2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2251058B1 (ko) 유도가열조리기
JP5202185B2 (ja) 誘導加熱調理装置
KR20200053119A (ko) 냉각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KR102208563B1 (ko) 조리기기
JP5026364B2 (ja) 誘導加熱調理装置
KR101878048B1 (ko) 쿡탑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641091B1 (ko) 절연 구조가 개선된 유도 가열 장치
JP5355750B2 (ja) 誘導加熱調理装置
JP5460783B2 (ja) 誘導加熱調理装置
JP5159505B2 (ja) 加熱調理器
JP5642268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89319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586076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5138631A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1146393A (ja) 誘導加熱調理装置
JP5550491B2 (ja) 電磁調理器
JP5921333B2 (ja) 加熱調理器
JP6556026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16119314A (ja) 加熱調理器
JP2016025047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