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7159B1 - 노즐 및 이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 Google Patents

노즐 및 이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7159B1
KR102207159B1 KR1020167005744A KR20167005744A KR102207159B1 KR 102207159 B1 KR102207159 B1 KR 102207159B1 KR 1020167005744 A KR1020167005744 A KR 1020167005744A KR 20167005744 A KR20167005744 A KR 20167005744A KR 102207159 B1 KR102207159 B1 KR 102207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liquid material
discharge pipe
liquid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5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3922A (ko
Inventor
가즈마사 이쿠시마
Original Assignee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사시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5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7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7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integral means for shielding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limit area of spray; with integral means for catching drips or collecting surplu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05B1/0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of pulsating nature, e.g. delivering liquid in successive separate quantities ; Fluidic oscillators
    • B05B1/08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of pulsating nature, e.g. delivering liquid in successive separate quantities ; Fluidic oscillators the pulsating mechanism comprising mova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discharged by cleaning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05B15/557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the cleaning fluid being a mixture of gas an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34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conducting intermittent application of small quantities, e.g. drops, of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Landscapes

  • Coating Apparatu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노즐 외표면에 부착된 토출 작업에 영향을 주는 여분의 액체 재료를, 특별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 간단하고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노즐 및 이 노즐을 갖추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를 제공한다.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과 관련되는 본 발명은, 액체 유입 공간을 가지는 몸통부(2)와, 액체 유입 공간과 연통하고, 몸통부(2)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토출관(4)을 구비하는 노즐(1)에 있어서, 몸통부(2)의 하단에 토출관(4)의 측방을 둘러싸는 액체 제거 부재(16)를 설치한 것, 액체 제거 부재(16)가, 복수의 포위면(10) 사이에 설치되고, 토출관(4)의 측방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모관력을 작용시키는 홈형 공간(15)을 구비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토출관(4)의 측면을 포위하는 복수의 포위면(10)으로서, 토출관(4)의 측면과 함께 작용하여 토출관(4)의 밑 방향으로의 모관력을 작용시키는 포위면(10)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1) 및 이 노즐(1)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이다.

Description

노즐 및 이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NOZZLE AND LIQUID MATERIAL DISCHARGE DEVICE PROVIDED WITH SAID NOZZLE}
본 발명은,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노즐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 외표면에 부착되는 여분의 액체 재료를 제거할 수 있는 노즐 및 이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는, 계속해서 토출을 행하고 있으면, 표면 장력 등의 영향에 의하여, 노즐(56)의 토출관(57)의 선단면이나 외측면 등의 노즐 외표면에 여분의 액체 재료(18)가 부착되는 「기어오름(creeping up)」이라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도 11 참조). 이 「기어오름」이 발생하면, 노즐(56)의 외표면[특히 그 토출관(57)의 선단면]에 부착된 액체 재료(18)가 영향을 주어, 토출량에 불균일이 생기거나, 토출 후의 액체 재료(18)의 형상이 의도한 것과 다른(예를 들면, 원형이 될 것이 타원형 등 왜곡된 형상으로 됨) 등의 문제점이 생긴다.
특히, 액체 재료가 도포 대상물에 부착되기 전에 노즐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이하에서는, 비상 토출 방식이라고 함)의 토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문제점뿐 아니라, 액체 재료가 노즐로부터 이격되지 않고, 도포 대상물에 액체 재료가 부착되지 않는 등, 비상 방향이 바뀐다는 문제점도 일어나 버린다. 그리고, 노즐에 부착된 채의 액체 재료는, 추가의 악영향을 미치거나, 자중에 견딜 수 없게 되어 낙하를 하고, 도포 대상물의 예기치 못한 위치에 부착되는 등 문제점을 증대시킨다.
그래서, 이 「기어오름」을 제거하여, 노즐을 청정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술이 지금까지 여러 가지 제안되어 왔다.
특허 문헌 1은, 도포 노즐의 선단이 끼워넣어져,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와이핑(wiping) 롤러와, 와이핑 롤러를 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동시키는 피치 이송 장치를 구비한 와이핑 장치에 있어서, 노즐을 와이핑 장치의 헤드 상으로 이동시킨 후, 노즐을 와이핑 롤러에 끼워질 때까지 하강시키고, 그 상태로, 모터를 회전시켜 롤러가 노즐 밖에 남아 있는 접착제 등을 짜내어 제거한다는 기술이다.
특허 문헌 2는, 토출 노즐의 선단 개구부에 걸치는 길이를 가지는 스크레이핑(scraping) 부재와, 이 스크레이핑 부재를 토출 노즐의 선단 개구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토출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 이동 기구를 구비한 스크레이핑 수단을 가지는 장치에 있어서, 유동 재료가 피도포 부재에 도포된 후에, 토출 노즐의 선단 개구부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남은 유동 재료를 긁어내는 스크레이핑 공정을 실시한다는 기술이다.
특허 문헌 3은, 노즐 선단이 삽탈(揷脫) 가능하게 되는 역원추형 오목부와, 상기 오목부의 하단 개구로부터 바로 아래에 연장되어 노즐 선단이 삽입되는 통형 청소구멍과, 오목부와 청소구멍의 사이에 취출구(吹出口)를 가지고, 압축 에어를 분출하는 에어 공급로와, 청소구멍과 연통(連通)되어 압축 에어와 불어 떨어진 페이스트재를 흡인 배제하는 에어 흡인 유로를 구비한 노즐 청소 장치에 있어서, 노즐을 오목부와 청소구멍에 삽입하고, 취출구로부터 압축 에어를 분출하여 노즐 하단 부분의 페이스트재를 불어 떨어뜨려, 에어 흡인 유로로부터 흡인 배제한다는 기술이다.
특허 문헌 4는, 깔때기부를 가지는 세정실과, 깔때기부에 용제를 공급하는 제1 용제 공급 수단과, 깔때기부의 상부측에 용제를 공급하는 제2 용제 공급 수단과, 노즐 흡인 수단을 구비하는 장치에 있어서, 노즐이 세정실 내에 수용되었을 때, 흡인 수단에 의해 노즐 내의 처리 액면을 후퇴시키고, 제1 용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용제를 공급하여 용제의 와류를 형성하여 노즐을 세정하고, 제2 용제 공급 수단으로부터 용제를 공급하여 세정실 내에 액체 고임을 형성하고, 흡인 수단에 의해 흡인을 행하고, 노즐 선단 내부에 처리액층과 공기층과 용제층을 형성한다는 기술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공개특허 제2002-7915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공개특허 제2005-246139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공개특허 제2007-216191호 공보 특허 문헌 4 : 일본공개특허 제2010-62352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 내지 특허 문헌 4의 기술은, 다음의 과제가 있다.
(1) 노즐 외표면에 부착된 액체 재료의 제거를 위해 복잡한 기구가 필요하며, 부품수의 증가, 비용 상승이 되었다.
(2) 상기 기구를 설치하는 장소가 필요하며, 즉, 토출 장치와는 별도의 액체 재료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므로, 토출 장치가 대형화되어 버렸다.
(3) 액체 재료의 제거를 위한 동작이 필요하며, 토출 장치의 가동률이 저하되었다. 또한, 액체 재료를 제거하기 위한 제어가 필요하므로, 전체의 제어도 복잡해졌다.
그래서, 본 발명은, 노즐 외표면에 부착된 토출 작업에 영향을 주는 여분의 액체 재료를, 특별한 프로세스를 거치지 않고, 간단하고 쉽게 제거할 수 있는 노즐 및 상기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노즐 외표면에 부착된 여분의 액체를 아무런 부재도 동작시키지 않고 제거하기 위한 구조를 설치함으로써, 토출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또한 제조·운용 비용를 삭감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본 발명자는, 노즐 외표면에 부착된 여분의 액체를 모관력(毛管力)의 작용에 의해 흡인함으로써, 노즐 선단에서의 액체의 체류를 해소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고, 본 발명을 창작했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기술 수단에 의해 구성된다.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에 관한 본 발명은, 액체 유입 공간을 가지는 몸통부와, 액체 유입 공간과 연통하고, 몸통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토출관을 구비하는 노즐에 있어서, 몸통부의 하단에 토출관의 측방을 둘러싸는 액체 제거 부재를 설치한 것, 액체 제거 부재가 복수의 포위면의 사이에 설치되고, 토출관의 측방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모관력을 작용시키는 홈형 공간를 구비하는 것, 바람직하게는, 토출관의 측면을 포위하는 복수의 포위면으로서, 토출관의 측면과 함께 작용하여 토출관의 밑 방향으로의 모관력을 작용시키는 포위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홈형 공간이, 대향하여 설치된 한 쌍의 유도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유도면 사이의 거리가, 토출관의 외경의 1∼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포위면과 상기 토출관의 외측면의 거리가, 토출관의 외경의 1∼3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유도면 사이의 거리 및 상기 포위면과 상기 토출관의 외측면의 거리가, 모두 20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위면에 의해 규정되는 토출관의 측면을 포위하는 공간이 원통형 공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홈형 공간이 복수의 홈형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홈형 공간이, 토출관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또한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제거 부재의 높이가, 상기 토출관의 길이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이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과, 선단에 상기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이 장착되고, 액체 재료를 저장하는 실린지(syringe)와, 실린지에 가압 기체를 공급하는 급기(給氣)관을 구비하는 에어식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관한 본 발명은, 상기 토출관의 길이가, 상기 액체 제거 부재의 높이의 1.2∼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관한 본 발명은, 상기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이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발명에 있어서, 추가로 진공 기구와, 흡인 장치를 구비하고, 진공 기구가, 액체 제거 부재의 근방에 내측 개구를 가지는 관통공을 가지는 블록형 부재를 구비하고, 블록형 부재의 관통공의 외측 개구와 흡인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여기서, 추가로 액량 검지 기구와, 액량 검지 장치를 구비하고, 액량 검지 기구가, 상기 블록형 부재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와 액량 검지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액체 재료 토출 장치의 발명에 있어서, 추가로 액량 검지 기구와, 액량 검지 장치를 구비하고, 액량 검지 기구가,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을 둘러싸는 블록형 부재와, 액체 제거 부재의 근방에 개구를 가지고, 블록형 부재에 형성된 센서용 구멍과, 센서용 구멍에 삽입되는 센서를 구비하고, 센서와 액량 검지 장치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관력의 작용에 의하여, 사람 또는 기계에 의한 액체 제거 동작을 거치지 않고, 노즐 외표면에 부착된 토출 작업에 영향을 주는 여분의 액체 재료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노즐의 일 실시 형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노즐의 일 실시 형태예를 나타낸 저면도(a), 및 정면도(b)이다.
도 3은 도 2 내에 나타낸 A-A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노즐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a)는 액체 재료가 포위면에 도달했을 때, (b)는 액체 재료가 토출관 밑에 도달했을 때, (c)는 액체 재료가 평면벽으로 규정되는 홈형 공간을 나아갈 때, (d)는 액체 재료가 홈형 공간의 최외부에 도달했을 때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관한 비상 토출 방식의 토출 장치의 부분 단면 개략도이다.
도 6은 실시예 2에 관한 에어식 토출 장치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예 3에 관한 노즐이 가지는 홈형 공간에 대하여 설명하는 저면도이다. 여기서, (a)는 홈이 1개인 경우, (b)는 홈이 2개인 경우, (c)는 홈이 3개인 경우, (d)는 홈이 5개인 경우, (e)는 홈이 6개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도 8은 실시예 4에 관한 노즐이 가지는 외벽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a)는 저면도, (b)는 (a)에 나타낸 R-R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예 5에 관한 진공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a)는 저면도, (b)는 (a)에 나타낸 S-S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6에 관한 액량 검지 기구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a)는 저면도, (b)는 (a)에 나타낸 T-T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노즐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여기서, (a)는 저면도, (b)는 정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예를 설명한다.
<구조>
도 1에 본 발명의 노즐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에 본 발명의 노즐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낸 저면도(a), 및 정면도(b), 도 3에 도 2 내에 나타낸 A-A선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토출관측을 「아래」, 플랜지부측을 「위」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측을 「밖」, 몸통부 중심축측을 「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노즐(1)은, 원통형의 몸통부(2)와, 토출관(4)과, 액체 제거 부재(16)를 주로 구비한다.
몸통부(2)는 중공으로 되어 있고, 몸통부 내측면(8) 및 몸통부 폐색벽(閉塞壁) 내면(9)에 의해 몸통부 내측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 상면이 몸통부 폐색벽 내면(9)을 구성하는 몸통부 폐색벽 외면(3)은, 토출 유로(5)의 중심을 지나는 몸통부 축선에 직각(즉, 수평)으로 형성되고, 몸통부(2)의 하단을 폐색한다. 토출관(4)은, 몸통부 폐색벽 외면(3)에 수직으로 장착되고, 몸통부 내측 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는 토출 유로(5)를 가진다. 개구(6)는, 몸통부(2)의 상단에 설치된다.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7)는, 개구(6)를 둘러싸도록 몸통부(2)의 상단에 설치된다.
몸통부(2)의 하단에는, 액체 제거 부재(16)가 접합된다. 액체 제거 부재(16)는, 몸통부(2)와 일체로 성형해도 되고, 몸통부(2)에 착탈 가능하게 접합해도 된다. 액체 제거 부재(16)는, 포위면(10) 및 몸통부 폐색벽 외면(3)에 의해 구성되는 원통형의 포위 공간(14)과, 유도면(11) 및 몸통부 폐색벽 외면(3)에 의해 구성되는 홈형 공간(15)을 구비하고, 토출관(4)의 외표면에 부착된 여분의 액체 재료를 모관력에 의해 흡인한다. 본 실시 형태의 액체 제거 부재(16)는, 하면으로부터 보면[도 2(a) 참조], 십자형으로 배치된 홈형 공간(15)에 의해 분리되는 4개의 부채꼴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4개의 부채꼴 돌기부는 동일한 형태이며, 홈형 공간(15)의 외측면을 구성하는 유도면(11) 및 유도면(11)에 인접하는 포위면(10)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각 부채꼴 돌기부는, 하면측에 선단면(12) 및 경사면(13)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액체 제거 부재(16)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토출관(4)의 주위에는, 토출관(4)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4개의 포위면(10)이 토출관(4)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토출관(4)의 외측면에 대향하는 포위면(10)은, 토출관(4)의 외측면 형상을 따르도록 만곡된 곡면을 가지고, 몸통부 폐색벽 외면(3)과 수직으로 설치된다. 포위면(10)은, 원통형의 토출관(4)과 동심의 원을 구성하는 곡면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와 같은 곡면으로 하는 것은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다. 포위면(10)은, 포위면(10)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2개의 유도면(11) 및 선단면(12)과 접하고 있다. 유도면(11)은 몸통부 폐색벽 외면(3)과 수직으로 설치되는 평면으로서, 일단이 포위면(10)과 접속하여 몸통부(2)의 반경 방향으로 외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선단면(12)은 몸통부 폐색벽 외면(3)과 평행한 평면으로서, 포위면(10)과 유도면(11)의 단부를 구성한다. 몸통부(2)의 외측면의 하단에는 액체 제거 부재(16)의 외면과 연속되는 경사면(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면(13)은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고, 예를 들면, 후술(실시예 4)과 같이, 몸통부(2)에 경사면(13)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도 있을 수 있다.
전술한 각 벽(3, 10, 11, 12)에 의하여, 토출관(4)의 주위에는 모관력을 작용시키는 복수의 공간(14, 15)이 형성된다. 먼저, 포위면(10)과 토출관(4)의 외면 사이에는, 토출관(4)을 둘러싸도록 원통형의 포위 공간(14)이 형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원통형으로는, 수평 단면이 등변육각형, 등변팔각형, 등변십각형, 등변십이각형과 같은 육각 이상의 등변다각형(각 변에 의해 구성되는 내측면은 곡면이어도 됨)도 포함된다. 또한, 몸통부(2)의 반경 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를 두고 대향하는 한 쌍의 유도면(11)이 4조 있고, 각각의 조의 사이에 홈형 공간(15)이 4개 형성된다. 실시 형태예의 홈형 공간(15)은 토출관(4)[또는 포위 공간(14)]으로부터 방사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직육면체형 공간이며, 포위 공간(14)과 외부를 연결하고 있다. 다른 관점에서는, 액체 제거 부재(16)는, 몸통부(2)에 장착 가능한 원뿔대형의 부재를 준비하고, 토출관(4)의 외면이 노출되도록 중심 부분을 원통형으로 깍아내어 포위 공간(14)을 형성하고, 포위 공간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는 홈을 깍아내어 홈형 공간(15)을 형성한 것이라고 환언할 수도 있다.
포위면(10) 및 유도면(11)의 높이(상하 방향 길이)는, 토출관(4)의 길이와 같거나, 토출관(4)보다 낮은 쪽이 바람직하다. 달리 말하면, 토출관(4)의 길이는, 포위면(10) 및 유도면(11)의 높이와 같거나, 포위면(10) 및 유도면(11)의 높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관(4)보다 포위면(10) 및 유도면(11)이 높으면, 액체 재료(18)가 포위면(10)에 도달했을 때, 토출관(4)의 선단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어, 토출관(4)의 선단면에 액체 재료(18)가 쉽게 부착되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 예에서는, 토출관(4)의 길이와 포위면(10) 및 유도면(11)의 높이가 같은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토출관(4)이 포위면(10) 및 유도면(11)보다 긴 경우의 구체예에 대해서는 실시예 2에서 후술한다.
홈형 공간(15)은 한 개 또는 복수 개 설치되지만 복수 개 설치하는 경우에는, 균등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 개의 홈형 공간(15)을 불균등하게 배치하면, 각 홈형 공간(15)으로 액체 재료(18)가 진입하는 데에 치우침이 생기고, 진입량이 적은 홈형 공간(15)에서는, 공간에 낭비가 생겨 버리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예에서는, 4개의 홈형 공간(15)을 십자형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예에서는, 홈형 공간(15)이 4개인 경우를 나타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홈형 공간(15)의 수나 배치의 변형의 예를 실시예 3에서 후술한다.
또한, 포위 공간(14) 및 홈형 공간(15)의 폭은, 모관력과 후술하는 액체 재료(18)를 모이게 하는 작용의 밸런스를 고려하면, 노즐의 토출관(4)의 외경과 같은 폭이거나, 노즐의 토출관(4)의 외경보다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노즐의 토출관(4)의 외경의 1배에서 3배이면 된다.
<작용>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노즐(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어진 8개의 도면 중, 말미에 「1」의 번호가 부여된 도면은 각각 저면도를 나타내고, 말미에 「2」의 번호가 부여된 도면은 대응하는 알파벳의 말미에 「1」의 번호가 부여된 도면에서 나타낸 일점쇄선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a1) 및 도 4(a2): 액체 재료 토출 장치에 있어서, 계속해서 토출을 행하고 있으면, 토출관(4)의 선단면이나 외측면에 액체 재료(18)가 기어오르기 시작한다. 그리고, 기어오름 양이 증가해 가면, 곧 액체 재료(18)는 포위면(10)에 도달하게 된다. 액체 재료(18)가 포위면(10)에 도달하면, 포위면(10)과 토출관(4)의 외면의 작용에 의하여, 액체 재료(18)를 위쪽[토출관(4)의 밑 방향]으로 운반하려고 하는 모관력이 작용하기 시작하고, 기어올라 오는 액체 재료(18)를 포위면(10)과 토출관(4)의 외면으로 규정되는 원통형의 포위 공간(14)으로 끌어들인다. 이 때, 이 모관력에 의하여, 토출관(4)의 선단면의 액체 재료(18)는 포위 공간(14)으로 끌어당겨지므로, 토출관(4)의 선단면의 액체 재료(18)는 제거된다.
도 4(b1) 및 도 4(b2): 그 후, 토출관(4)의 외표면으로의 액체 재료의 부착량이 증가해도, 포위면(10)과 토출관(4)의 외측면의 작용에 의한 모관력에 의하여, 액체 재료(18)는 포위 공간(14) 내를 위쪽[토출관(4)의 밑 방향]으로 계속해서 운반된다. 이 액체 재료(18)의 이동은, 액체 재료(18)가 토출관(4)의 밑까지 도달할 때까지 계속된다. 환언하면, 포위면(10)과 토출관(4)의 외면으로 규정되는 원통형의 포위 공간(14)이 액체 재료(18)로 채워질 때까지 액체 재료(18)는 상승 이동한다. 그리고, 원통형의 포위 공간(14)이 채워지는 동안에도, 토출관(4)의 선단면에 부착되는 액체 재료(18)에는 모관력이 작용하고 있으므로, 토출관(4)의 선단면에는 액체 재료(18)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
도 4(c1) 및 도 4(c2): 기어오름이 더 진행되면, 액체 재료(18)는 2개의 유도면(11)으로 규정되는 홈형 공간(15)에 진입하게 된다. 홈형 공간(15)에서는, 2개의 유도면(11)의 작용에 의하여, 액체 재료(18)를 노즐(2)의 외측면으로부터 떼어내는 방향(반경 방향 외측)으로 운반하려고 하는 모관력이 작용하기 시작하고, 원통형의 포위 공간(14) 내의 액체 재료(18)가 홈형 공간(15)으로 끌어들여진다. 이 단계에서도, 토출관(4)의 선단면의 액체 재료(18)는 포위 공간(14)으로부터 홈형 공간(15)으로 끌어당겨지므로, 토출관(4)의 선단면에는 액체 재료(18)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이 단계에서도, 포위면(10)과 토출관(4)의 외측면에 의해 생기는 모관력이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즉, 토출관(4)의 외표면에 부착된 액체 재료(18)에, 포위 공간(14) 내를 위쪽[토출관(4)의 밑 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하는 동시에, 홈형 공간(15) 내로 끌어들이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도 4(d1) 및 (d2): 기어오름이 더 진행되고, 마침내 액체 재료(18)가 홈형 공간(15)의 최외부에 도달하면 홈형 공간(15)에 의한 모관력은 생기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 도달했으면, 노즐(1)의 교환이나 액체 재료(18)의 닦아내기 등을 행하면 된다. 단, 이와 같은 상태가 될 때까지는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그 사이에 액체 재료(18)를 모두 사용하거나, 타품종으로의 전환을 행하는 것 등이 먼저 행해지므로, 일반적으로는 이와 같은 상태가 되는 일은 거의 없다고 고려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노즐(1)에서는, 토출관(4) 및 그 주위에 형성한 포위면(10) 및 유도면(11)의 작용에 의해 모관력이 작용하므로, 토출관(4)의 외표면에 부착된 여분의 액체 재료(18)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토출관(4) 및 그 주위에 형성한 포위면(10)이 구성하는 원통형의 포위 공간(14) 및 복수의 유도면(11)이 구성하는 홈형 공간(15)이 존재하므로, 어느 정도의 양의 액체 재료(18)를 모이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액체 재료(18)를 바로 제거하지 않아도 되고, 일정 시간 모관력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진공 발생원 등의 흡인 장치를 홈형 공간(15)에 접속하고, 여분의 액체 재료(18)가 적시에 제거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노즐(1)은, 액체 제거 부재(16)가 토출관(4)을 둘러싸고 있으므로, 토출관(4)이 외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토출관(4)의 직경이 작아질수록 외부로부터의 접촉으로 변형 또는 파손되기 쉬워지므로, 미량 토출용의 토출관일수록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노즐은, 예를 들면, 플런저를 전진 이동시키고, 이어서, 급격하게 정지하여 액체 재료에 관성력을 인가하여 토출하는 비상 토출 방식의 토출 장치, 선단에 노즐을 가지는 실린지가 저장하는 액체 재료에 압력 조절된 에어를 원하는 시간만큼 인가하는 에어식 토출 장치에서 사용하는 데 바람직하다. 그리고, 비상 토출 방식의 토출 장치에는, 플런저 착좌 타입의 제트식 및 플런저 비착좌 타입의 제트식이 포함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세한 내용을 실시예에 의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어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5에, 실시예 1에 관한 비상 토출 방식의 토출 장치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토출 장치(17)는, 로드(20)를 상하 이동시켜, 로드(20)의 선단을 노즐(1)의 토출관(4)이 가지는 토출 유로(5)의 입구에 대하여 작용시킴으로써, 노즐(1)의 토출관(4)으로부터 액체 재료(18)를 비상 토출시키는 토출 장치이다. 이 토출 장치(17)는, 주로, 로드(20)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구동부(19)와, 구동된 로드(20)의 작용에 의해 액체 재료(18)를 토출하는 토출부(3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실시예 1의 토출 장치(17)는, 노즐(1)과 공작물(work-object)을 상대 이동하면서 액체 재료(18)를 노즐(1)로부터 액적의 상태로 토출함으로써 원하는 패턴의 도포 묘화를 실현할 수 있다.
구동부(19)는, 피스톤실을 가지는 구동부 본체(60)를 구비하고, 피스톤실은 피스톤(21)에 의해 스프링실(23) 및 공기실(24)로 분단되어 있다. 피스톤(21)은 로드(20)에 고정 설치되고, 피스톤실 내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21)의 측면에는, 공기실(24)에 유입된 압축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실링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피스톤(21)의 상측에는 로드(20)를 하강 구동시키기 위한 스프링(22)을 수용하는 스프링실(23)이 형성되고, 피스톤(21)의 하측에는 로드(20)를 상승시키기 위한 압축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기실(24)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실(23)의 상부에는, 로드(20)의 이동을 규제하고, 이동 거리인 스트로크를 조정하기 위한 스트로크 조정 나사(25)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로크의 조정은, 스트로크 조정 나사(25)의 하단과 로드(20)의 상단의 거리를 변경함으로써 행한다. 공기실(24)로의 압축 공기의 유입은, 압축 기체원(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급기 관(27)을 통과하고, 전환 밸브(26)를 통하여 행해진다. 공기실(24) 내의 압축 공기의 유출은, 전환 밸브(26)를 통하여, 배기관(28)을 통해 행해진다. 전환 밸브(26)에는, 전자(電磁) 밸브나 고속 응답 밸브 등을 사용하고, 제어선(29)으로 접속된 제어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개폐 제어를 하고 있다.
토출부(31)는, 로드(20)의 선단 부분이 상하 이동하는 액체실(32)을 가지는 토출부 본체(61)를 구비하고 있다. 액체실(32)의 상부에는 로드(20)가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접속 부재(33)가 배치되고, 이 관통공에는 액체실(32)로부터의 액체 재료를 누출시키지 않기 위한 실링 부재(34)가 설치되어 있다. 액체실(32)의 하부에는, 액체실(32)과 토출관(4)을 연통하는 연통공(36)이 중앙에 관통하여 형성된 밸브 시트(35)가 장착되어 있다. 액체실(32) 측면에는, 액체실(32)과 저류 용기(39)를 연통시키는 공급로(37)가 형성되어 있고, 저류 용기(39)에 저류된 액체 재료(18)가 연장부(38)를 통해 액체실(32)로 공급된다. 또한, 저류 용기(39)에는, 액체 재료(18)를 압송하기 위한 압축 기체가 어댑터 튜브(40)를 통해 공급된다.
로드(20)의 측면이 액체실(32)의 내측면과 비접촉의 상태에서 밸브 시트(35)를 향해 고속 이동하여 밸브 시트(35)와 맞닿는 것에 의하여, 노즐(1)로부터 액체 재료(18)를 액적의 상태로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급속 전진하는 로드(20)를 밸브 시트(35)에 맞닿지 않고 급격하게 정지시키기 위한 기구를 설치하고, 로드(20)를 고속 전진시키고, 이어서, 로드(20)를 급정지시켜, 액체 재료(18)에 관성력을 인가하여 액적의 상태로 토출시키도록 해도 된다.
실시예 1의 노즐(1)은, 도 1 내지 도 4에 기재된 노즐이며, 그 기본적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의 토출관(4)의 내경(內徑)은, 예를 들면 φ100∼400㎛, 외경은 내경의 1.5∼3배, 길이는 내경의 수배이다. 토출관(4)의 외측면으로부터 각 포위면(10)까지의 거리는 토출관(4)의 외경의 1∼3배이며, 각 포위면(10)의 높이(상하 방향 길이)는 토출관(4)의 길이와 같다. 각 유도면(11)의 높이(상하 방향 길이)는 토출관(4)의 길이와 같고, 대향하여 설치된 한 쌍의 유도면(11, 11) 사이의 거리는 토출관(4)의 외측면으로부터 각 포위면(10)까지의 거리와 같다. 단, 토출관(4)의 외측면으로부터 각 포위면(10)까지의 거리 및 한 쌍의 유도면(11, 11) 사이의 거리는, 모두 2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노즐(1)이, 밸브 시트(35)와 함께, 노즐 고정구(41)에 의해 액체실(32)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공급로(37)로부터 공급된 액체 재료(18)는, 액체실(32)로부터 밸브 시트(35)의 연통공(36), 그리고, 노즐(1)의 토출관(4)의 토출 유로(5)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1의 토출 장치(17)에 있어서는, 토출을 계속해 가는 동안에 액체 재료(18)의 기어오름이 발생했다고 해도, 액체 제거 부재(16)를 가지는 노즐(1)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토출관(4)의 선단면에 부착된 여분의 액체 재료(18)를 제거할 수 있다. 노즐(1)이 구비하는 액체 제거 부재(16)는, 토출관(4)의 길이 이하의 소형의 부재이므로, 토출 장치(17)가 대형화되는 일도 없다. 또한, 액체 제거 부재(16)는, 고정된 부재이며, 구조도 간이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도 저가이다. 또한, 토출관(4)의 선단면에 부착된 여분의 액체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 특별한 동작은 불필요하므로, 토출 장치(17)의 높은 가동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2>
도 6에, 실시예 2에 관한 에어식 토출 장치의 개략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토출 장치(42)는, 액체 재료(18)를 저류하는 저류 용기(39)와 액체 재료(18)를 배출하기 위해 필요한 압축 기체를 공급하는 어댑터 튜브(40)로 주로 구성된다. 원통형의 포위 공간(14) 및 홈형 공간(15)을 가지는 노즐(1)은, 저류 용기(39)의 어댑터 튜브(40)와는 반대단(하단)에 착탈(着脫) 가능하게 나사 장착된다. 본 실시예의 노즐(1)은, 기본 구조는 실시예 1의 노즐(1)과 공통되지만, 토출관(4)의 길이와 비교하여 원통형의 포위 공간(14) 및 홈형 공간(15)의 깊이가 얕은[즉, 포위면(10) 및 유도면(11)의 높이가 낮음] 점에서 실시예 1의 노즐(1)과 상위하다. 그 이유는 다음에 설명하는 바와 같다.
에어식 토출 장치(42)에서는, 비상 토출 방식의 토출 장치(17)와는 다르게, 토출관(4)으로부터 유출하는 액체 재료(18)가 도포 대상물에 부착된 후에 토출관(4)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토출관(4)의 선단은, 도포 대상물과 대략 접촉하는 정도까지 접근하여 토출이 행해진다. 그러므로, 실시예 1과 같이, 토출관(4)의 길이와 포위면(10) 및 유도면(11)의 높이가 같으면, 원뿔대형의 액체 제거 부재(16)가, 토출된 후의 액체 재료(18)에 접촉되어 버려, 문제점이 생긴다. 그래서, 에어식 토출 장치와 같이, 액체 재료(18)가 도포 대상물에 부착된 후에 노즐(1)로부터 이격되는 방식에서는, 토출관(4)의 길이를 액체 제거 부재(16)의 높이(상하 방향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포위면(10) 및 유도면(11)의 높이의 1.5배 이내, 더욱 바람직하게는, 1.2배 이내로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모관력이 작용하고, 전술까지의 노즐[토출관(4)의 길이와 포위면(10) 및 유도면(11)의 높이가 같은 노즐]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액체 제거 부재(16)가, 토출된 후의 액체 재료(18)에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것을 고려하면, 토출관(4)의 길이를 액체 제거 부재(16)의 높이(상하 방향 길이)의 1.2∼1.5배의 범위 내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2의 에어식 토출 장치(42)에 있어서는, 토출관(4)으로부터 유출하는 액체 재료(18)가 도포 대상물에 부착된 후에 토출관(4)으로부터 떨어지는 토출 방식이면서, 토출관(4)의 선단면에 부착된 여분의 액체 재료(18)를 제거할 수 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은 노즐(1)이 가지는 홈형 공간(15)의 변형에 관한 것이다. 도 7에 노즐(1)이 가지는 홈형 공간(15)의 변형예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7(a)는 홈형 공간(15)이 1개인 경우, 도 7(b)는 홈형 공간(15)이 2개인 경우, 도 7(c)는 홈형 공간(15)이 3개인 경우, 도 7(d)는 홈형 공간(15)이 5개인 경우, 도 7(e)는 홈형 공간(15)이 6개인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어느 종류의 노즐(1)을 사용할 것인가는, 액체 재료(18)의 물성(점도나 구성물 등), 어느 정도의 시간 또는 횟수 연속하여 토출을 행할 것인가 등에 의해 적절히 선택한다. 도 7(b)∼도 7(e)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각 홈형 공간(15)의 용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여기서, 홈형 공간(15)이 복수 있는 경우, 각 홈형 공간(15)이 원통형의 포위 공간(14)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또한 균등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홈형 공간(15)의 배치 간격이 불균등하면, 홈형 공간(15)으로 액체 재료(18)가 진입하는 데에 치우침이 생기고, 진입량이 적은 홈형 공간(15)에서는, 공간에 낭비가 생겨 버리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도 7(a)∼도 7(e)의 홈형 공간을 가지는 노즐(1)은, 모두 비상 토출 방식의 토출 장치 또는 에어식 토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8에 실시예 4에 관한 노즐(1)의 저면도(a), 및 (a)에 나타낸 R-R선에서의 단면도(b)를 나타낸다.
실시예의 노즐(1)은, 몸통부(2)의 외측면 하단의 경사면을 없애고, 경사면(13)의 길이를 짧게 함으로써, 실시예 1(도 1 내지 도 3)과 비교하여, 선단면(12)의 면적을 넓게 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선단면(12)의 면적을 넓게 함으로써, 유도면(11)의 면적을 넓혀 액체 제거 부재(16)의 유지 가능 액체량을 증가시키고 있다. 유지 가능 액체량을 증가시킨다는 관점에서는, 액체 제거 부재(16)의 높이(상하 방향 길이), 즉 포위면(10) 및 유도면(11)의 높이는, 토출관(4)의 길이와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토출관(4)의 외측면으로부터 포위면(10)까지의 거리는 실시예 1보다 넓게(예를 들면, 실시예 1의 1.2∼2배), 유도면(11, 11) 사이의 거리는 토출관(4)의 외측면으로부터 포위면(10)까지의 거리의 1.2∼2배이다. 실시예 4에서는, 포위 공간(14) 및 홈형 공간(15)에서의 간극이 실시예 1보다 넓기 때문에, 그만큼 유지 가능 액체량도 많아지고 있다. 단, 토출관(4)의 외측면으로부터 각 포위면(10)까지의 거리 및 한 쌍의 유도면(11, 11) 사이의 거리는, 모두 2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토출관(4)의 외형 및 길이나 몸통부 내측 공간의 형상은 실시예 1과 같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4의 노즐은, 홈형 공간(15)의 용적을 확대함으로써, 실시예 1의 노즐(1)과 비교하여, 많은 액체 재료(18)를 모이게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실시예 5>
도 9에, 실시예 5에 관한 진공 기구를 구비한 노즐(1)의 저면도(a), 및 (a)에 나타낸 S-S선에서의 단면도(b)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서, 토출 장치는 실시예 1과 같은 비상 토출 방식의 토출 장치를 예로 하고 있다. 실시예 5의 노즐(1)은, 실시예 1의 노즐(1)에 진공 기구(43)를 부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부가적 구성인 진공 기구(43)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진공 기구(43)는, 노즐(1)을 둘러싸는 블록형 부재(44)와, 조인트(48)를 통하여 접속되는 진공 발생원(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고 있다. 블록형 부재(44)는, 그 중앙에 노즐(1)이 끼워 맞춰진 관통공(45)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공(45)은 연직 단면이 계단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토출 장치(17)의 노즐 고정구(41)가 맞닿아 지지되는 수평면인 지지부(46)가 설치되어 있다. 홈형 공간(15)을 둘러싸는 관통공(45)의 하부에는, 통기공(47)이 설치되어 있다. 통기공(47)은, 관통공(45)의 내주면과 블록형 부재(44)의 외면을 연통한다. 통기공(47)은, 관통공(45)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개구가, 홈형 공간(15)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도 9의 예에서는, 2개의 홈형 공간(15)과 2개의 통기공(47)이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되도록 하고 있다. 단,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직각으로 배치된 2개의 홈형 공간(15)과 2개의 통기공(47)이 각각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되도록 설치해도 되고, 홈형 공간(15)의 수와 같은 수의 통기공(47)[본 실시예라면 4개의 통기공(47)]을 설치해도 된다.
관통공(45) 내측면측의 통기공(47)의 단부는, 관통공(47)의 내주면과 동일면 상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관통공(47)의 내주면으로부터 더욱 내측으로 밀어내도록 형성해도 된다. 이로써, 홈형 공간(15)과 통기공(47)의 거리를 가깝게 하여, 보다 강한 흡인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블록형 부재(44) 외측면측의 통기공(47)의 단부에는, 조인트(48)가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진공 발생원과 접속된다. 이 진공 발생원의 작용에 의하여, 노즐(1)의 홈형 공간(15)나 포위 공간(14)에 모인 액체 재료(18)를 흡입하고, 노즐(1)로부터 불필요한 액체를 제거할 수 있다. 조인트(48)와 진공 발생원의 사이에는, 진공 작용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전자 밸브나, 흡입한 액체 재료가 진공 발생원 등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필터(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5의 토출 장치(17)는, 진공 기구(43)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강한 액체 흡인력을 노즐(1)의 외표면에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노즐(1)로부터 불필요한 액체 재료(18)를 적시에 분리 제거할 수 있으므로, 토출관(4) 외표면에 불필요한 액체 재료(18)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청정한 상태를 상시 유지할 수 있고, 닦아내기 등의 유지·보수 작업을 한층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6>
도 10에, 실시예 6에 관한 액량 검지 기구를 구비하는 노즐(1)의 저면도(a), 및 (a)에 나타낸 T-T선에서의 단면도(b)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서, 토출 장치는 실시예 1과 같은 비상 토출 방식의 토출 장치를 예로 하고 있다. 실시예 6의 노즐(1)은, 실시예 1의 노즐(1)에 액량 검지 기구(49)를 부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과 공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부가적 구성인 액량 검지 기구(49)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액량 검지 기구(49)는, 노즐(1)을 둘러싸는 블록형 부재(50)와, 액체의 존재를 비접촉으로 검지하는 센서(53)를 구비하고 있다. 블록형 부재(50)는, 그 중앙에 노즐(1)이 끼워 맞춰진 관통공(51)이 설치되어 있다. 관통공(51)은 연직 단면이 계단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토출 장치(17)의 노즐 고정구(41)가 맞닿아 지지되는 수평면인 지지부(52)가 설치되어 있다. 홈형 공간(15)을 둘러싸는 관통공(51)의 하부에는, 센서용 구멍(54)이 설치되어 있다. 센서용 구멍(54)에는, 검지면을 관통공(51) 내측을 향하도록 센서(53)가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센서용 구멍(54)은, 관통공(51)의 내주면에 위치하는 개구가, 홈형 공간(15)의 중심선 상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도 10의 예에서는, 4개의 홈형 공간(15) 중 1개에 대하여 1개의 센서용 구멍(54)을 설치하고 있다. 센서(53)는 1개로도 충분하지만, 검지 정밀도를 높이는 목적으로, 2∼4개소에 설치해도 된다. 복수의 센서용 구멍(54)의 배치는, 예를 들면, 2개의 홈형 공간(15)과 2개의 센서용 구멍(54)이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되도록 하는 것, 직각으로 배치된 2개의 홈형 공간(15)과 2개의 센서용 구멍(54)이 각각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되도록 하는 것, 홈형 공간(15)의 수와 같은 수의 센서용 구멍(54)[본 실시예라면 4개의 센서용 구멍(54)]을 설치하는 것이 개시된다.
센서(53)에는 접속선(55)이 장착되고, 블록형 부재(50)의 외면측을 통과하고, 도시하지 않은 액량 검지 장치에 접속된다. 이 액량 검지 장치는 소정 타이밍에서 센서(53)로부터의 신호를 모니터링하는 컴퓨터이며, 홈형 공간(15)에 존재하는 액체 재료의 양을 고정밀도로 검지하고, 사용자에게 경보를 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액량 검지 장치는, 토출 장치(17)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디스펜스 컨트롤러)와 겸용해도 된다. 센서(53)로서는, 예를 들면, 광학 센서나 초음파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량 검지 기구(49)는, 전술한 진공 기구(43)와 병설해도 된다. 즉, 블록형 부재(50)가 구비하는 복수의 센서용 구멍(54) 중 1개 이상을 센서 삽입용 구멍으로서 이용하고, 나머지 센서용 구멍(54)을 중 1개 이상을 진공 기구(43)용 통기공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개시된다. 예를 들면, 십자형으로 4개의 센서용 구멍(54)[또는 통기공(47)]을 설치하고, 동일 직선 상에 배열된 2개의 홈형 공간(15)과 2개의 센서용 구멍(54)을 진공 기구(43)의 통기공으로서 이용하고, 이 통기공과 직교하는 위치에 있는 센서용 구멍(54)에 센서(53)를 끼워 맞추는 것이 개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 6의 토출 장치(17)는, 액량 검지 기구(49)를 설치함으로써, 노즐(1)의 홈형 공간(15)이나 포위 공간(14)으로 액체 재료(18)가 지나치게 모이는 것 등을 검지하고, 도포 대상물 등으로의 불필요한 흘림 등을 미리 막을 수가 있다. 또한, 액체 제거 부재(16)에 저장되는 여분의 액체 재료(18)의 양을 정기적으로 체크하는 수고를 덜 수 있으므로, 운용 부하를 현저하게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진공 기구(43)와 조합함으로써, 보다 강한 액체 흡인력을 노즐(1)의 외표면에 작용시키고, 또한 노즐(1)로부터 불필요한 액체 재료(18)를 적시에 분리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 노즐, 2: 몸통부, 3: 몸통부 폐색벽 외면, 4: 토출관, 5: 토출 유로, 6: 개구, 7: 플랜지부, 8: 몸통부 내측면, 9: 몸통부 폐색벽 내면, 10: 포위면, 11: 유도면, 12: 선단면, 13: 경사면, 14: 포위 공간, 15: 홈형 공간, 16: 액체 제거 부재, 17: 토출 장치(비상 토출 방식), 18: 액체 재료, 19: 구동부, 20: 로드, 21: 피스톤, 22: 스프링, 23: 스프링실, 24: 공기실, 25: 스트로크 조정 나사, 26: 전환 밸브, 27: 급기관, 28: 배기관, 29: 제어선, 30: 실링 부재, 31: 토출부, 32: 액체실, 33: 접속 부재, 34: 실링 부재, 35: 밸브 시트, 36: 연통공, 37: 공급로, 38: 연장부, 39: 저류 용기, 40: 어댑터 튜브, 41: 노즐 고정구, 42: 토출 장치(에어식), 43: 진공 기구, 44: 블록형 부재, 45: 관통공, 46: 지지부, 47: 통기공, 48: 조인트, 49: 액량 검지 기구, 50: 블록형 부재, 51: 관통공, 52: 지지부, 53: 센서, 54: 센서용 구멍, 55: 접속선, 56: 노즐(종래), 57: 토출관(종래), 58: 챔퍼(面取)면, 59: 몸통부(종래), 60: 구동부 본체, 61: 토출부 본체

Claims (15)

  1. 액체 유입 공간을 가지는 몸통부와, 상기 액체 유입 공간과 연통하고, 상기 몸통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토출관을 구비하는 노즐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하단에 상기 토출관의 측방을 둘러싸는 액체 제거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액체 제거 부재가, 상기 토출관의 측면을 포위하는 복수의 포위면 및 상기 복수의 포위면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토출관의 측방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모관력을 작용시키는 홈형 공간을 구비하고,
    상기 홈형 공간이, 대향하여 설치된 한 쌍의 유도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유도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토출관의 외경보다 넓고,
    상기 포위면이, 상기 토출관의 측면을 기어오르는 액체에 대하여 상기 토출관의 측면과 함께 작용하여 상기 토출관의 밑 방향으로의 모관력을 작용시키는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도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토출관의 외경의 3배 이하인,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이 중앙에 위치하도록 동일 직선상에 설치된 2개의 홈형 공간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면과 상기 토출관의 외측면의 거리가, 상기 토출관의 외경의 1∼3배인,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의 길이가, 상기 토출관의 내경의 수배이며, 상기 밑 방향으로의 모관력이, 상기 토출관의 측면을 기어오르는 액체가 상기 토출관의 밑에 도달할때까지 작용하는,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유도면 사이의 거리 및 상기 포위면과 상기 토출관의 외측면의 거리가, 모두 2000㎛ 이하인,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위면에 의해 규정되는 토출관의 측면을 포위하는 공간이 원통형 공간을 구성하는,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형 공간이 복수의 홈형 공간으로 이루어지는,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홈형 공간이, 상기 토출관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또한 균등하게 배치되는,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의 길이가, 상기 포위면 및 상기 유도면의 높이보다 긴,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
  11. 제10항에 기재된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
    선단에 상기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이 장착되고, 액체 재료를 저류하는 실린지, 및
    상기 실린지에 가압 기체를 공급하는 급기관을 구비하고,
    상기 토출관의 길이가, 상기 액체 제거 부재의 높이의 1.2∼1.5배인
    에어식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과, 액체 재료에 관성력을 인가하는 플런저를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진공 기구와, 흡인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진공 기구가, 액체 제거 부재의 근방에 내측 개구를 가지는 관통공을 가지는 블록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블록형 부재의 관통공의 외측 개구와 흡인 장치가 접속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액량 검지 기구와, 액량 검지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액량 검지 기구가, 상기 액체 재료 토출용 노즐을 둘러싸는 블록형 부재, 액체 제거 부재의 근방에 개구를 가지고, 상기 블록형 부재에 형성된 센서용 구멍, 및 상기 센서용 구멍에 삽입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와 상기 액량 검지 장치가 접속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액량 검지 기구와, 액량 검지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액량 검지 기구가, 상기 블록형 부재의 관통공에 삽입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와 상기 액량 검지 장치가 접속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KR1020167005744A 2013-09-09 2014-09-08 노즐 및 이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KR1022071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85828 2013-09-09
JP2013185828A JP5934161B2 (ja) 2013-09-09 2013-09-09 ノズルおよび該ノズルを備える液体材料吐出装置
PCT/JP2014/073671 WO2015034085A1 (ja) 2013-09-09 2014-09-08 ノズルおよび該ノズルを備える液体材料吐出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778A Division KR102245689B1 (ko) 2013-09-09 2014-09-08 노즐 및 이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922A KR20160053922A (ko) 2016-05-13
KR102207159B1 true KR102207159B1 (ko) 2021-01-25

Family

ID=5262854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778A KR102245689B1 (ko) 2013-09-09 2014-09-08 노즐 및 이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KR1020167005744A KR102207159B1 (ko) 2013-09-09 2014-09-08 노즐 및 이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1778A KR102245689B1 (ko) 2013-09-09 2014-09-08 노즐 및 이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10010893B2 (ko)
EP (2) EP3045231B1 (ko)
JP (1) JP5934161B2 (ko)
KR (2) KR102245689B1 (ko)
CN (2) CN116238249A (ko)
HK (1) HK1219698A1 (ko)
HU (2) HUE055383T2 (ko)
TW (2) TWI617363B (ko)
WO (1) WO2015034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7715B1 (ko) 2016-02-05 2016-05-03 이원섭 구리스 자동 도포장치의 구리스 주입기
JP6778426B2 (ja) * 2016-09-20 2020-11-04 武蔵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体材料吐出装置
JP6582027B2 (ja) 2016-09-29 2019-09-25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KR102065599B1 (ko) * 2018-04-06 2020-01-13 세메스 주식회사 노즐 세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처리 장치
TWI796569B (zh) * 2020-05-29 2023-03-21 大量科技股份有限公司 用於檢測設備之噴嘴
CN111921786A (zh) * 2020-08-04 2020-11-13 深圳市汇泽嘉科技有限公司 活塞注胶头
CN112221857A (zh) * 2020-10-16 2021-01-15 广州赢帝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自动化点胶组装流水线
CN112547329A (zh) 2020-11-23 2021-03-26 石家庄禾柏生物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试剂盒出液装置
AU2020449442B1 (en) * 2020-12-08 2022-05-12 Utsunomiya Kogyo Co., Ltd. Spout nozzle for scum removal device and water conduit with that spout nozzle for scum removal device
TWI775477B (zh) * 2021-06-07 2022-08-21 萬潤科技股份有限公司 液室機構及液材擠出裝置
TWI775476B (zh) * 2021-06-07 2022-08-21 萬潤科技股份有限公司 液室機構及液材擠出裝置
EP4197786A1 (en) * 2021-12-16 2023-06-21 Quantica GmbH Method and system for a self-maintenance and recovery system for a printhead
GB2618785A (en) * 2022-05-16 2023-11-22 Merxin Ltd Nozzle arrangement
WO2023223196A1 (en) * 2022-05-16 2023-11-23 Merxin Ltd Nozzle arrangement
CN114939491B (zh) * 2022-06-22 2023-06-23 佛山市顺德区乐普达电机有限公司 一种水泵加工用防腐涂料喷涂加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7616A (ja) 2002-07-10 2004-02-12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およびスリットノズル先端の清浄化方法
KR101407582B1 (ko) 2007-12-11 2014-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노즐 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9579A (en) * 1990-10-25 1992-07-14 Sun Microsystems, Inc. Vacuum attachment for electronic flux nozzle
JPH08230185A (ja) * 1995-03-01 1996-09-10 Brother Ind Ltd インクジェット装置
US6661504B2 (en) * 1997-03-05 2003-12-09 John Rakucewicz Failure detecting optoelectronic sensor
US6132028A (en) * 1998-05-14 2000-10-17 Hewlett-Packard Company Contoured orifice plate of thermal ink jet print head
US6957783B1 (en) * 1999-01-26 2005-10-25 Dl Technology Llc Dispense tip with vented outlets
US6474566B1 (en) * 2000-06-20 2002-11-05 Ngk Insulators, Ltd. Drop discharge device
JP2002079151A (ja) 2000-09-04 2002-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塗布ノズルの拭き取り装置
SE0101503D0 (sv) * 2001-04-27 2001-04-27 Mydata Automation Ab Method device and use of the device
JP3649230B2 (ja) * 2002-08-26 2005-05-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ヘッドキャップおよびこれを備えた液滴吐出装置、並びに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有機el装置の製造方法、電子放出装置の製造方法、pdp装置の製造方法、電気泳動表示装置の製造方法、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有機elの製造方法、スペーサ形成方法、金属配線形成方法、レンズ形成方法、レジスト形成方法および光拡散体形成方法
GB0320461D0 (en) * 2003-09-02 2003-10-01 Givaudan Sa Device
EP2415606A3 (en) * 2003-12-30 2012-05-09 Dimatix, Inc. Drop ejection assembly
US7303259B2 (en) * 2003-12-30 2007-12-04 Fujifilm Dimatix, Inc. Drop ejection assembly
US7121646B2 (en) * 2003-12-30 2006-10-17 Dimatix, Inc. Drop ejection assembly
EP1561803B1 (en) * 2004-02-03 2008-04-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 composition for use in the laundering or treatment of fabrics
JP2005246139A (ja) 2004-03-01 2005-09-15 Seiko Epson Corp 流動材料塗布方法、流動材料塗布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065450B2 (ja) * 2004-04-16 2008-03-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流体噴射装置
JP4475104B2 (ja) * 2004-11-12 2010-06-09 株式会社安川電機 液滴吐出装置および駆動方法
JP2006212501A (ja) * 2005-02-02 2006-08-17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装置、液滴吐出装置におけるワイピング方法、電気光学装置の製造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070007370A1 (en) * 2005-07-06 2007-01-11 Spraying Systems Co. Clog resistant spray nozzle
JP2007216191A (ja) 2006-02-20 2007-08-30 Canon Machinery Inc 塗布ノズル清掃装置
JP2008229529A (ja) * 2007-03-22 2008-10-02 Seiko Epson Corp 液滴吐出装置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TWI516312B (zh) * 2007-05-18 2016-01-11 Musashi Engineerin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id material
US8172902B2 (en) 2008-07-17 2012-05-08 Spinemedica, Llc Spinal interbody spacers
JP5036664B2 (ja) 2008-09-04 2012-09-26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液処理におけるノズル洗浄、処理液乾燥防止方法及びその装置
JP2010186974A (ja) * 2009-02-13 2010-08-26 Tokyo Electron Ltd 液処理装置、液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2010188562A (ja) * 2009-02-17 2010-09-02 Panasonic Corp 液体吐出ヘッド及び液体吐出装置
KR101895409B1 (ko) * 2011-09-06 2018-09-06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설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7616A (ja) 2002-07-10 2004-02-12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およびスリットノズル先端の清浄化方法
KR101407582B1 (ko) 2007-12-11 2014-06-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잉크젯 프린트헤드의 노즐 플레이트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34161B2 (ja) 2016-06-15
TW201529179A (zh) 2015-08-01
TWI617363B (zh) 2018-03-11
EP3045231B1 (en) 2021-05-12
TW201825190A (zh) 2018-07-16
HK1219698A1 (zh) 2017-04-13
JP2015051402A (ja) 2015-03-19
KR20210009449A (ko) 2021-01-26
US20160199868A1 (en) 2016-07-14
CN105531035A (zh) 2016-04-27
KR102245689B1 (ko) 2021-04-27
KR20160053922A (ko) 2016-05-13
US10010893B2 (en) 2018-07-03
EP3865219A1 (en) 2021-08-18
WO2015034085A1 (ja) 2015-03-12
CN116238249A (zh) 2023-06-09
EP3865219B1 (en) 2022-11-30
HUE055383T2 (hu) 2021-11-29
EP3045231A1 (en) 2016-07-20
US10562045B2 (en) 2020-02-18
EP3045231A4 (en) 2017-04-19
HUE061040T2 (hu) 2023-05-28
TWI677377B (zh) 2019-11-21
US20180272364A1 (en) 2018-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7159B1 (ko) 노즐 및 이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재료 토출 장치
WO2018056072A1 (ja) 液体材料吐出装置
WO2002024460A1 (en) A self-cleaning print head for an ink jet printer
JP6193442B2 (ja) 液体材料吐出装置
US9227411B2 (en) Nozzle face cleaning device and image recording device
KR20150139544A (ko) 분배 팁 세척 장치
JP6278786B2 (ja) インクジェット式塗布ヘッドの清掃装置及び塗布液塗布装置
JP5440011B2 (ja) 吐出ノズル、吐出装置及び塗布装置
CN118321072A (zh) 喷嘴及具备该喷嘴的液体材料吐出装置
KR101911675B1 (ko) 유체 토출 장치
KR20130125175A (ko) 액체 토출 장치
US9375931B2 (en) Liquid receiving apparatus,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scharging liquid
US11007782B2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with cap and suction mechanism
JP2011011152A (ja) 吐出検査装置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装置
EP2722108B1 (en) Dosing device and method for its cleaning
WO2022229602A1 (en) Cleaning head for inkjet printing apparatus
US20160129694A1 (en) Liquid ejecting apparatus and wiping method thereof
JP2016010745A (ja) 液滴吐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4083849A (ja) 流体吐出装置のノズルプレートのメンテナンス
JP2012157824A (ja) 吐出不良検出装置、吐出不良検出方法、液滴塗布装置及び液滴塗布方法
KR20140103510A (ko) 액체 토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