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025B1 -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025B1
KR102206025B1 KR1020180154196A KR20180154196A KR102206025B1 KR 102206025 B1 KR102206025 B1 KR 102206025B1 KR 1020180154196 A KR1020180154196 A KR 1020180154196A KR 20180154196 A KR20180154196 A KR 20180154196A KR 102206025 B1 KR102206025 B1 KR 102206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thium
carbon
cathode
air battery
litf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7395A (ko
Inventor
강정원
Original Assignee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54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025B1/ko
Priority to PCT/KR2019/016962 priority patent/WO2020116913A2/ko
Publication of KR20200067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7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ybrid Cells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 제조 후 LiTFSI를 전해질 염으로 사용하여 in-situ 상태에서 전기화학 환원을 통하여 간단하게 F-도핑 카본을 제조하고, 이를 공기극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고출력, 고용량을 발현하는 F-도핑 카본 공기극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양극 소재로 카본 페이퍼, 음극으로 리튬금속 및 그 사이에 분리막과 LiTFSI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로 하여 셀을 제조하는 단계; 불활성 대기 하에서 방전시 발생하는 LiTFSI의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카본 페이퍼에 플루오르를 도핑하는 F-도핑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전기화학적 환원법으로 F-도핑을 하여 카본 표면에 산소 이온의 이동 경로를 생성하고, 부가적으로 생성된 카르복실 그룹으로 하여 Li2O2 생성 사이트를 제공하여 F-도핑된 P50은 면적당 용량 30,000 ㎂h/cm2 이상, Sp는 중량당 용량 200,000 mAh/g을 육박하는 등 고출력, 고용량의 리튬-공기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F-Doping Carbon Cathode and Method for Producing Lithium-Air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셀 제조 후 LiTFSI를 전해질 염으로 사용하여 in-situ 상태에서 전기화학 환원을 통하여 간단하게 F-도핑 카본을 제조하고, 이를 공기극 소재로 사용함으로써 고출력, 고용량을 발현하는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리튬-공기전지는 현재까지 개발된 이차전지 중 가장 높은 이론용량(~3,500Wh/㎏)을 구현하고 있으며, 유기계 전해질을 사용하는 non-aqueous 타입과 수계 전해질을 사용하는 aqueous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이하의 설명에서는 non-aqueous 타입의 리튬-공기전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리튬-공기전지는 공기극, 분리막, 전해질, 리튬금속으로 구성되는데, 방전과정에서 리튬금속의 산화반응에 의해 리튬이온과 전자가 생성된다. 생성된 리튬이온은 전해질을 통해 이동하고 전자는 외부 도선을 따라 이동하여 공기극에서 공기 중의 산소와 만나 Li2O2를 생성한다. 충전과정은 이와 반대 반응으로 진행된다.
리튬-공기전지는 구조가 간단하고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장점이 있으나 방전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인 Li2O2가 방전이 지속될수록 공기극 내의 기공을 막아 방전 용량이 줄어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전시에는 Li2O2의 분해를 위한 높은 과전압으로 충방전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은 리튬-공기전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해질의 최적화, 가역반응에 우수한 촉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IBM에서 디메톡시에탄(dimethoxyethane)과 LiNO3 염의 이온성 용해(ionic solvation)를 이용하여 탄소전극에 질소 도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리튬공기전지 충방전시 CO2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참고문헌: S J Kang, T Mori, S Narizuaka, W Wilcke and H -C Kim, Nature Communication, DOI:101038/ncomms4937).
그러나 IBM에서 고안한 방법은 LiNO3 염이 용해된 디메톡시에탄에만 적용이 가능하며, 다른 리튬공기 전해액에 널리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다양한 리튬공기전지의 전해액에 적용이 가능한 질소 도핑 방법으로 '질소 도핑 탄소전극이 구비된 리튬공기전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공기전지'를 다른 발명자들과 공동으로 제안한 바 있고, 이는 대한민국 특허 제10-1739524호(2017. 5. 18. 등록)로 등록되어 있다.
한편, 수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현재 리튬-공기전지는 사이클 수명이 매우 낮아 상용화가 어렵다는 점에서, 본 발명자는 리튬-공기전지가 가장 높은 이론용량을 구현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배터리 수명을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대신 일차전지로서 고출력, 고용량을 발현할 수 있는 상용화 가능한 리튬-공기전지를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리튬-공기전지의 전극 소재는 고용량면에서 많은 Li2O2를 생성할 수 있는 사이트와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물질이어야 하고, 고출력면에서는 표면에서 빠른 리튬이온, 환원된 산소이온과 전자의 이동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리튬-공기전지의 전극 소재가 고용량면에서 많은 Li2O2를 생성할 수 있는 사이트와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물질이어야 하고, 고출력면에서는 표면에서 빠른 리튬이온, 환원된 산소이온과 전자의 이동을 만족시켜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셀 제조 후 LiTFSI를 전해질 염으로 사용하고 in-situ 상태에서 전기화학 환원법으로 제조한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하여 저비용, 고출력, 고용량의 상용화 가능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양극 소재로 카본 페이퍼, 음극으로 리튬금속 및 그 사이에 분리막과 LiTFSI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로 하여 셀을 제조하는 단계; 불활성 대기 하에서 방전시 발생하는 LiTFSI의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카본 페이퍼에 플루오르를 도핑하는 F-도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방전시 조건은 불활성 대기 하에서 O.05㎃ 전류를 인가하여 8~1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전해질은 1 M, LiTFSI/TEGDME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셀 제조 후 LiTFSI를 전해질 염으로 사용하고 in-situ 상태에서 전기화학적 환원법을 통하여 저비용으로 간단하게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제조할 수 있고, 이는 수많은 Li2O2를 생성할 수 있는 사이트와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표면에서 빠른 리튬이온, 환원된 산소이온과 전자의 이동을 만족한다는 점에서, 항공 우주 및 군수 산업과 같은 고전력 전기 추진이 필요한 일차전지 분야에서 상용화가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리튬-공기 Swagelok cell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전기화학적 환원법을 통한 F-도핑 과정 그래프,
도 3은 불활성(아르곤) 대기에서 in-situ 전기화학적 환원을 통해 기능화된 카본의 특성화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순수 카본(P50, Sp)/LiTFSI-TEGDME 와 F-도핑된 순수 카본(P50, Sp)/LiTFSI-TEGDME의 방전용량 특성평가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르화된 카본 공기극을 갖는 리튬-공기전지의 방전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루오르화된 카본 공기극을 갖는 리튬-공기전지의 사이클 특성을 보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양극 소재로 카본 페이퍼, 음극으로 리튬금속 및 그 사이에 분리막과 LiTFSI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로 하여 셀을 제조하는 단계; 불활성 대기 하에서 방전시 발생하는 LiTFSI의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카본 페이퍼에 플루오르를 도핑하는 F-도핑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방전시 조건은 불활성 대기 하에서 O.05㎃ 전류를 인가하여 8~10시간 동안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의 전해질은 1 M, LiTFSI/TEGDME이 양호하게 적용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서, 비수계 전해질을 사용하는 non-aqueous 타입 셀은 양극 소재로 카본 페이퍼가 양호하게 적용되는데, 양극 소재로 카본 페이퍼만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렉, 케첸 블랙, 덴카 블랙, 슈퍼피(Super P), 그래핀 등 탄소를 포함한 전도도가 우수한 소재일수록 좋다.
또한 리튬-공기전지의 음극은 리튬금속이 양호하게 적용되는데, 음극으로 리튬금속만을 한정하지는 않으며, 리튬을 포함한 다양한 합금일 수 있다.
그리고 전해질은 1 M, LiTFSI/TEGDME이 양호하게 적용되는데, 이 때 리튬 염인 LiTFSI은 F-도핑 소스로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제조 예 및 실시 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제조 예 및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제조 예 및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글로브 박스(H2O〈1ppm) 안에서 양극 소재로 카본 페이퍼 P50(AvCarb 社), 음극으로 호일 형태의 리튬금속(Honjo Metal Co., 두께 0.3㎜) 및 그 사이에 미세 다공성 유리막(GF/CTM, Whatman)으로 조성된 분리막과 1 M, LiTFSI/TEGDME를 전해질로 하여 Swagelok cell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Ar 등 불활성 대기 하에서 환원전류를 인가하여 0.05㎃에서 8~10시간 동안 방전시켜 플루오르가 도핑(F-도핑)된 카본 공기극을 제조한다. 이때, 리튬 염인 LiTFSI이 F-도핑 소스로 사용된다.
물론, 도 2 그래프를 참조할 때 0.05㎃에서 방전하여 0.6V에서 컷오프(cut-off)함으로써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제조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와 같이 F-도핑 과정을 진행한 후 카본 페이퍼 P50(이하 'P50'이라 한다)에 플루오르가 도핑되었는지에 대하여는 아래의 시험결과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본 발명과 대비되는 순수 P50은 F-도핑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FT-IR 스펙트럼은 카본의 플루오르화를 명확하게 보여준다. 낮은 강도로 정의할 수 없는 피크 (도 3a의 검은색 선, ~1600cm-1)를 제외하고는 특별한 신호를 표시하지 않는 순수 P50과 비교하여 플루오르화 된 P50은 범위에서 두 개의 넓은 피크를 나타낸다.
또한 화학적 기능성은 XPS 스펙트럼을 통해 더 확증된다(도 3b, 3c, 3d 및 3e 참조).
순수 P50(검은색 선) 및 전해질에 잠긴 P50(파란색 선)과 비교하여 새롭게 구별할 수 있는 피크는 플루오르화 된 P50(빨간색 선)의 XPS C 1s(도 3b) 및 F ls(도 3c) 스펙트럼에서 확인된다.
플루오르화 된 P50의 커브피팅(curve-fitted)된 XPS C 1s는 도 3d에 도시된다. 2개의 다른 C-F 피크의 존재는 세미 이온 C-F(빨간색 선, ~286.9eV) 및 공유 결합 C-F(파란선, ~290.5eV)의 결합으로 확인되고, ~ 289.2eV 부근의 C 1s 피크(파란색 선)는 카르복실기의 존재를 나타낸다.
또한, 플루오르화 된 부분은 ~685.8eV(빨간색 선) 및 ~689.6eV(파란색 선)의 피크가 각각 세미-이온성 C-F 및 공유 결합 C-F 존재를 나타내는 커브피팅된 XPS F 1s 스펙트럼(도 1e)에서 재차 확인된다.
플루오르화 된 P50 (도 3a의 빨간색 선)은 푸리에 변환 적외선(FT-IR) 분광 스펙트럼에서, 플루오르화 된 부분을 나타내는 1140-1000 cm-1 범위의 넓은 피크는 ~ 1102 cm-1 및 ~ 1041 cm-1 에서 두 개의 뚜렷한 피크를 나타낸다.
플루오르화 된 P50 (도 3d)의 XPS C 1s 스펙트럼에서 ~289.2eV (파란색 선)의 카르복실기는 1680-1550cm-1 범위의 FT-IR 스펙트럼에 의해 추가로 확인되었다 (도 3a, 빨간색 선).
이는 전기 화학적 표면 변형 과정이 리튬-이온전지에서 흑연 카본상에 고체 전해질 경계면(SEI) 층을 형성하는 것과 유사하다는 것을 감안할 때, 카르복실산 염의 존재는 충분히 예측 가능하다.
또한, 플루오르화 부분은 전해질 염(TFSI-)의 부분 분해에 의해 형성 될 수있다.
탄소 음극의 각각의 작용기는 리튬-공기전지에서 시너지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카르복실기는 많은 양의 Li2O2 형성(높은 방전 용량과 관련)을 위한 활성 사이트를 제공하는 반면 플루오르화 된 부분은 높은 O2 친화성으로 인해 고체 전해질 계면에서 O2 확산 경로를 형성한다(매우 빠른 O2 이동과 관련됨).
플루오르화 된 카본 표면상의 높은 O2 농도는 Li2O2 형성의 표면 성장과 경쟁하는 나머지 O2의 환원(전자를 받아들이는 것, O2 + e → O2-)에 의해 용해성 및 확산성 슈퍼 옥사이드 중간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본 실험에서는 순수 카본(P50)과 비교하여 플루오르화로 산소 농도/용해도가 훨씬 더 높다는 직접적인 증거가 확인되었다.
도 3f는 DEMS(differential electrochemical mass spectrometer)분석을 사용하여 개방형 회로 전압(OCV)을 갖는 순수 P50(검은색) 또는 플루오르화 된 P50(빨간색)을 적용한 밀폐 셀의 압력 변화를 보여준다.
순수 P50이 있는 셀에서는 명확한 압력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러나 플루오르화 된 P50을 갖는 셀에서는 1063 내지 1045 Torr의 점진적 압력 강하가 관찰된다.
이것은 4.1μmol의 O2(25 ℃에서 셀 공간 4.2 mL를 기준으로 함)가 셀에서 용해되어 플루오르화 된 P50의 표면에 흡착된 것으로 판단된다.
도 3g는 순수 P50과 플루오르화 된 P50의 음극 LSV(linear sweep voltammograms)를 보여준다.
2.5V에서 피크를 가진 순수 P50(검은색 선)의 음극 LSV는 이전 보고에서 관찰 된 것과 유사하며 Li2O2를 생성하는 소위 "표면 메커니즘"에 할당된다.
플루오르화된 P50(빨간색 선)의 음극 LSV는 ~2.5V(표면 메커니즘)의 쇼울더와 Li2O2의 용액 매개 성장과 관련된 2.4V의 추가 피크를 나타낸다.
2.4V에서 추가 피크는 플루오르화 부분의 높은 O2 친화성으로 인해 표면 처리된 카본 표면의 강한 산소 농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플루오르와 된 탄소 표면상의 집중적인 O2 농도는 Li2O2 형성의 표면 성장과 경쟁하는 잔여 O2의 환원에 의해 용해성 및 확산성 슈퍼 옥사이드 중간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3g에서 플루오르화된 P50(빨간색 선)의 방전 LSV를 요약하면, 큰 강도를 갖는 추가 피크(~ 2.4V)는 모든 Li+ 이온과 반응한 후에 남은 잔여 O2의 환원(O2-)에 기인한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탄소 표면에 O2- 확산 경로를 형성한다.
다음, 도 4는 순수 카본과 플루오르화된 카본 공기극을 적용한 리튬-공기 일차전지의 전기 화학적 특성을 보여준다.
플루오르화된 P50(빨간색)의 경우, 33mAh cm-2의 면적 방전 용량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0.176 mA cm-2(0.2 mA)의 전류 밀도에서 전달되었다.
이 방전 용량은 단순한 in-situ 전기화학적 환원방법에 의한 순수 P50(도 4a, 검은색)의 방전 용량의 100배 이상의 방전 용량을 실현하였다. 또한 플루오르화된 P50을 적용한 리늄-공기전지는 도 4b에서와 같이 0.2~1 mA cm-2(0.226~1.13 mA)의 높은 전류 밀도에서도 큰 전위 강하없이 잘 작동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c는 전류 밀도 0.176 mA cm-2(0.2 mA)에서 다양한 카본과 전해질 조합의 면적 방전 용량을 보여준다(모든 카본의 담지량은 6.5 mg이고 음극 지름은 1.2 cm 임).
Landa-Medrano 등 카본 블랙의 담지량이 증가함에 따라 중량 방전 용량이 점차 감소하고, 특히 0.5mg을 초과하는 조건에서는 중량 방전 용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에서는 고부하 기능성 P50(6.5mg)을 사용하는 전지는 저부하 전극(0.45mg)에 대한 카본 블랙의 총 사용량에 해당하는 5800mAh g-1의 방전 용량을 달성하였다.
따라서, 고부하 기능화 P50(6.5mg)을 사용하는 셀은 높은 면적 용량을 달성 할 것으로 예상되며, 전류 밀도 0.176mAcm-2에서 33mAh cm-2의 가장 높은 면적 용량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플루오르화된 카본 공기극을 갖는 리튬-공기전지의 방전 메커니즘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루오르화 된 P50을 적용한 리튬-공기전지를 완전 방전 한 후의 최종 생성물은 X선 회절 분석(XRD) 패턴(도 5a)에 의한 부반응없이 일반적으로 리튬-공기전지에서 예상되는 Li2O2로 확인되었다. Li2O2의 1차 입자 크기는 주사 전자 현미경 (SEM) 이미지(도 5a 삽입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 10 μm 정도이다.
방전 과정에서의 메커니즘을 평가하기 위해 도 5c에 표시된 지점(50 시간, 100 시간, 150 시간 및 방전 종료)에서 외부 분석을 수행하였다.
방전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Li2O2 사이의 공극이 SEM 이미지(도 5d)에서 처럼 점차적으로 막히게되고 0.176mA cm-2(0.2mA)의 전류 밀도에서 셀의 방전 용량이 ~180h에서 사라진다(도 5c).
도 5e는 OCV(50 시간, 100 시간, 150 시간 및 방전 종료)에서 각 단계의 방전 LSVs를 OCV의 각 지점에서 어느 반응이 지배적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0.05mV s-1에서 수행 한 것으로, 50 시간, 100 시간 및 150 시간에서 측정하였다.
초기 방전 동안, 도 5e의 OCV(노란색)의 방전 LSV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면 메커니즘"에 의한 Li2O2의 형성이 주 피크 위치(~2.4V)가 다른 방전 LSV 인 50h(녹색), 100h(파란색) 및 150h(보라색) 보다 높다.
즉, 탄소 표면의 집중적인 O2 양이 표면 성장 메커니즘과 경쟁하는 나머지 O2의 O2 -로 우선적으로 감소되고, 그 결과 확산 된 O2 -는 결과적으로 플루오르화된 카본을 적용한 리튬-공기전지에서 Li2O2상의 Li2O2의 추가 성장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도 6은 플루오르화된 카본의 사이클 특성 평가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전류밀도 1000 mA/g에 용량 5000 mAh/g으로 제한 하였을시 150 사이클 이상, 전류밀도 5000 mA/g에 용량 1000 mAh/g으로 제한 하였을시 250 사이클 이상의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공기전지에서 카본 공기극을 사용하는 경우 리튬이온 전도도와 전자 전도도를 만족시킬 수 있으나 산소이온 전도도는 음극의 표면 기능 및 형태, 전해질의 극성 및 점도, 산소 압력 등에 따라 크게 좌우된다.
상기의 제조 예 및 실시 예에 따르면, F-도핑으로 카본 표면은 높은 O2 친화성으로 전해질 계면에서 산소 이온의 확산 경로를 제공하고, 플루오르화된 공기극 표면상의 급속한 산소 이온 확산은 Li2O2 형성을 위한 표면 성장과 경쟁하는 잔여 산소의 환원에 의한 용해성 및 확산성 O2 - 중간체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플루오르화의 시너지 효과로서 부가적으로 생성된 카르복실 그룹으로 인하여 많은 양의 Li2O2 생성 사이트가 제공되어 고출력, 고용량을 발현하는 리튬-공기전지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양극 소재로 카본 페이퍼, 음극으로 리튬금속 및 그 사이에 분리막과 LiTFSI 염을 포함하는 전해질로 하여 셀을 제조하는 단계;
    불활성 대기 하에서 방전시 발생하는 LiTFSI의 환원반응을 이용하여 상기 카본 페이퍼에 플루오르를 도핑하는 F-도핑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시 조건은 불활성 대기 하에서 O.05㎃ 전류를 인가하여 8~10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1 M, LiTFSI/TEGDME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
KR1020180154196A 2018-12-04 2018-12-04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 KR102206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196A KR102206025B1 (ko) 2018-12-04 2018-12-04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
PCT/KR2019/016962 WO2020116913A2 (ko) 2018-12-04 2019-12-03 F-도핑 카본 공기극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4196A KR102206025B1 (ko) 2018-12-04 2018-12-04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7395A KR20200067395A (ko) 2020-06-12
KR102206025B1 true KR102206025B1 (ko) 2021-01-20

Family

ID=70975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196A KR102206025B1 (ko) 2018-12-04 2018-12-04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06025B1 (ko)
WO (1) WO202011691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24587A (zh) * 2022-05-30 2022-07-29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锂空气/氟化碳复合电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30801A (ja) 2014-06-04 2015-12-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リチウム空気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524B1 (ko) * 2015-03-04 2017-05-24 한국화학연구원 질소 도핑 탄소전극이 구비된 리튬공기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30801A (ja) 2014-06-04 2015-12-2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リチウム空気電池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 H. 등, Carbon, 2017, 제116권, 페이지 338-346
KAKAEI, K. 등,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2017, 제490권, 페이지 819-824
LV, Y. 등,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2017, 제9권, 제38호, 페이지 32859-3286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16913A3 (ko) 2020-07-23
KR20200067395A (ko) 2020-06-12
WO2020116913A2 (ko) 2020-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Achieving high energy density through increasing the output voltage: a highly reversible 5.3 V battery
Zhao et al. Recent developments and insights into the understanding of Na metal anodes for Na-metal batteries
KR101560471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US11171326B2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sai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US10784507B2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said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US20180226646A1 (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Zhao et al. Lithium/sulfur secondary batteries: a review
JP5289735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
Yaqub et al. Low temperature performance of graphite and LiNi 0.6 Co 0.2 Mn 0.2 O 2 electrodes in Li-ion batteries
JP2013182712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JP2009193803A (ja) 全固体リチウム二次電池
JP5215146B2 (ja) リチウム空気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空気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7052935A (ja) 非水電解質電池
Giammona et al. Oxygen Assisted Lithium‐Iodine Batteries: Towards Practical Iodine Cathodes and Viable Lithium Metal Protection Strategies
JP2020187825A (ja) デュアルイオン蓄電デバイス
TWI530009B (zh) 鋰離子儲能元件及其製造方法
KR102206025B1 (ko) F-도핑 카본 공기극을 이용한 리튬-공기전지 제조 방법
JP2005158623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20190312301A1 (en) Lithium and sodium batteries with polysulfide electrolyte
JP2019016430A (ja) 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
KR101773673B1 (ko)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
Wang et al. In situ tailoring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of three‐dimensional Li metal electrode for enhanced Coulombic efficiency
KR20210037849A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방법 및 상기 양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G Buonomenna et al. Lithium-sulfur batteries: Overview and advances
KR20200112427A (ko) 결함내재 탄소구조체를 적용한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