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366B1 - 지엽류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366B1
KR102205366B1 KR1020197023631A KR20197023631A KR102205366B1 KR 102205366 B1 KR102205366 B1 KR 102205366B1 KR 1020197023631 A KR1020197023631 A KR 1020197023631A KR 20197023631 A KR20197023631 A KR 20197023631A KR 102205366 B1 KR102205366 B1 KR 102205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aper sheets
unit
bil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3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4594A (ko
Inventor
마코토 하세가와
요시히토 오사다
가즈야 후루마치
Original Assignee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긴센기카이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104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2Pile receivers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10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38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ovable piling or advancing arms, frames, plates, or like members with which the articles are maintained in face contact
    • B65H29/40Members rotate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article movement, e.g. star-wheels formed by S-shaped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12Devices relieving the weight of the pile or permitting or effecting movement of the pile end support during piling
    • B65H31/18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54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moving the surface supporting the lowermost article of the pile, e.g. by using belts or rollers
    • B65H31/3063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moving the surface supporting the lowermost article of the pile, e.g. by using belts or rollers by special supports like carriages, containers, trays, compartments, plates or bars, e.g. moved in a closed loop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40Device architecture, e.g. modular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5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in or on special supports
    • B65H2301/42254Boxes; Cassettes;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50Machine elements
    • B65H2402/51Joints, e.g. riveted or magnetic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1Parts and details thereof
    • B65H2405/114Side, i.e. portion parallel to the feeding / delivering direction
    • B65H2405/1144Side, i.e. portion parallel to the feeding / delivering direction exten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2Parts to be handled by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1Supports for sheet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e.g. casset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5Means for moving support
    • B65H2405/353Means for moving support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처리후에 집적된 복수의 지엽류를 결속하지 않고 상기 지엽류의 단부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용이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지엽류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지엽류 처리 장치는, 처리부(4)에서 처리된 후의 복수의 지엽류를 집적하는 집적부(6)를 구비한다. 집적부(6)는, 집적부 본체(7)와, 집적부 본체(7)의 박스 수용 공간(7a)에 출입 가능한 수용 박스(9)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지엽류 처리 장치
본 발명은, 지엽류(紙葉類)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폐나 수표 등의 지엽류에 대한 진안(
Figure 112019082290713-pct00001
, 진짜와 가짜)이나 금종(金種)의 판별 등의 처리를 행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가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지엽류 처리 장치는,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지폐를 단시간에 처리하기 위해서, 혼합 상태의 다수의 지폐로 이루어지는 지폐 다발이 일괄하여 삽입되는 삽입부와, 지폐 다발을 1매씩 반송하면서 지폐의 진안이나 금종을 판별하는 처리부와, 해당 처리부에서 처리된 후의 지폐가 금 종별 등으로 집적되는 적어도 1개의 스태커 유닛(stacker unit)을 구비하고 있다. 각 스태커 유닛의 수납고(收納庫)에 집적된 지폐 다발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순서대로 취출된다.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 스태커 유닛에 집적된 특정금종의 지폐를 지정 매수 단위로 시봉(施封, seal)할 수 있는 결속 기구를 구비한 지엽류 처리 장치도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 제5129339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특허 제5438093호 공보
상기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지엽류 처리 장치에서는, 계수(計數) 등의 처리후의 복수의 지폐를 스태커 유닛의 수납고에 해당 수납고 상측의 투입구로부터 순차 투입할 때에, 지폐가 수납고의 저벽에 도달하기까지 지폐의 낙하 위치가 불균일하기 쉽다. 그 때문에, 지폐의 단부를 깨끗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집적하는 것이 어렵다.
또, 수납고에 집적된 복수의 지폐의 다발을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 취출할 때에도 지폐의 다발이 흐트러질 우려가 있다.
이상과 같이 수납고에 집적된 지폐의 다발은, 집적시 또는 취출시에서 지폐의 단부끼리가 깨끗하게 일치되지 않은 상태가 되므로, 수납고로부터 취출한 지폐의 다발을 현금자동지급기(ATM) 등의 후공정의 기계에 셋팅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에 의해서 각각의 지폐의 다발에 대해 전후 양측의 단부를 일치시키는 작업이 필요하여, 작업자에게 있어서 부담이 된다.
또, 특허 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지엽류 처리 장치는, 집적된 지폐를 결속하기 위한 결속 기구가 스태커 유닛와는 별개로 필요하다. 그 때문에, 지엽류 처리 장치가 대형화, 고비용화되므로, 상업상 및 실용상의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처리후에 집적된 복수의 지엽류를 결속하지 않고 해당 지엽류의 단부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용이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한 지엽류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는, 복수의 지엽류(紙葉類)를 처리하고, 처리후의 복수의 지엽류를 집적(集積)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지엽류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후의 상기 복수의 지엽류를 집적하는 적어도 1개의 집적부를 구비하며, 상기 집적부는, 박스 수용 공간을 가지는 집적부 본체와, 상기 박스 수용 공간에 출입 가능한 치수를 가지는 수용 박스로서, 상기 수용 박스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지엽류가 통과 가능한 크기의 개구, 및 집적된 상기 복수의 지엽류를 수용하는 지엽류 수용 공간을 가지는 수용 박스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처리부에서 처리된 후의 복수의 지엽류는 집적부의 수용 박스에 집적된다. 구체적으로는, 집적부에서는, 수용 박스가 집적부 본체의 박스 수용 공간에 셋팅된 상태에서는, 해당 수용 박스의 지엽류 수용 공간의 내부에서 복수의 지엽류가 흐트러지는 것이 억제되면서 수용되고, 지엽류의 단부를 깨끗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처리후의 복수의 지엽류는 결속하지 않아도 수용 박스 내부에서 각각의 단부를 깨끗하게 일치시켜 집적된 상태에서, 수용 박스마다 집적부 본체로부터 외부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집적된 복수의 지엽류에 직접 접촉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해당 복수의 지엽류를 집적부 본체로부터 취출할 때에 흐트러질 우려가 없다.
상기 집적부는, 상기 지엽류를 재치할 수 있는 넓이의 상면을 가지고, 상기 수용 박스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재치부와, 상기 수용 박스가 상기 박스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재치부에 대해서 적어도 상부로 이동시키는 재치부 이동부를 더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수용 박스 내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재치부가 배치되어 있다. 이 재치부는, 지엽류가 수용 박스에 수용될 때에, 재치부 이동부에 의해서 미리 소정의 상부 위치까지 이동해 두는 것에 의해, 수용 박스 상부의 개구로부터 재치부까지의 거리를 가까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지엽류가 개구로부터 수용 박스의 지엽류 수용 공간의 내부로 투입될 때에 더 흐트러지기 어려워져, 지엽류의 단부를 보다 깨끗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지엽류가 재치부 상에 퇴적해 감에 따라, 재치부가 지엽류의 자중 또는 재치부 이동부의 구동력 등에 의해서 하강해 가는 것에 의해, 수용 박스 내에서 복수의 지엽류를 각각의 단부를 보다 깨끗하게 일치시킨 형태로 집적해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재치부 이동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를 가지고, 상기 재치부는, 상기 이동 부재에 대해서 접리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재치부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에 대해서 접리 가능하므로, 재치부는, 이동 부재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와, 수용 박스 내에 위치하여 이동 부재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재치부와 상기 이동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1개의 마그넷을 가지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재치부 및 상기 이동 부재 중 어느 일방 또는 양쪽 모두에 마련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수용 박스가 상기 박스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재치부와 상기 이동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수용 박스가 상기 박스 수용 공간으로부터 나와 있는 상태일 때에는 상기 연결을 해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는 수용 박스를 집적부 본체의 박스 수용 공간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수용 박스 내의 재치부를 마그넷에 의해서 재치부 이동부의 이동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용 박스를 집적부 본체의 박스 수용 공간에 셋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치부와 이동 부재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이동 부재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재치부를 상승시켜 수용 박스 상부의 개구로 가까이 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수용 박스에 수용된 지엽류를 취출할 때에는, 작업자는 수용 박스를 집적부 본체의 박스 수용 공간으로부터 취출하는 것에 의해, 재치부와 이동 부재와의 사이의 마그넷에 의한 연결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이동 부재와의 연결이 해제된 재치부는, 지엽류가 재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용 박스 내부에서 하강한다. 이것에 의해, 지엽류가 수용 박스의 상부의 개구로부터 넘칠 우려가 없어, 복수의 지엽류가 수용된 수용 박스를 집적부 본체로부터 취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 박스의 측벽에는, 상기 측벽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그넷 연결용의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재치부와 상기 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그넷은, 수용 박스의 측벽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수용 박스의 내부의 재치부와 해당 수용 박스 외부의 재치부 이동부의 이동 부재를 강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이동 부재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마그넷이 슬릿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므로, 이동 부재가 상하로 이동해도, 마그넷이 수용 박스의 측벽에 접촉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이동 부재 및 재치부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할 때에 마그넷에 의한 이동 부재와 재치부와의 연결이 해제될 우려가 없다.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재치부로부터 떼어놓는 것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재치부를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 박스는, 저벽과, 상기 저벽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세워지는 측벽을 가지고, 상기 측벽은, 상기 측벽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를 통과할 수 있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통과용의 제1 슬릿을 가지고, 상기 저벽은, 상기 제1 슬릿에 연통하고, 상기 지지부를 통과할 수 있는 저부 개구를 가지도록 해도 괜찮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 박스를 집적부 본체의 박스 수용 공간에 수용한 상태에서는, 재치부 이동부의 이동 부재를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이동 부재의 지지부는, 수용 박스의 저벽의 저부 개구 및 측벽의 제1 슬릿을 통해 지지부를 수용 박스의 내부에 삽입시키고, 또한 제1 슬릿에 따라서 수용 박스 내를 더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수용 박스 내의 재치부를 이동 부재의 지지부에 의해서 하부로부터 지지하고, 해당 재치부를 이동 부재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수용 박스를 박스 수용 공간으로부터 취출할 때에는, 지지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하강시키면 지지부는 수용 박스의 저벽의 저부 개구로부터 해당 수용 박스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수용 박스를 지지부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집적부 본체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지지부의 하강에 추종하여, 재치부도 하강하여 소정의 하부 위치까지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용 박스를 집적부 본체로부터 취출할 때에는, 지엽류가 수용 박스의 상부의 개구로부터 넘칠 우려가 없다. 이상과 같이, 수용 박스와 지지부와의 간섭 및 지엽류의 개구로부터의 유출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지엽류가 수용된 수용 박스를 집적부 본체로부터 취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재치부 이동부는, 상기 이동 부재에 상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를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 박스가 집적부 본체의 박스 수용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가압 부재는 이동 부재를 매개로 하여 재치부에 상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재치부를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승시켜 수용 박스 상부의 개구로 가까이 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재치부를 상승시키기 위한 다른 구동원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재치부 상에 지엽류가 집적하는 것에 따라서, 해당 집적한 지엽류의 중량에 의해, 재치부는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서서히 하강하여, 복수의 지엽류를 각각의 단부를 일치시키면서 재치부 상에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재치부 상에 지엽류가 집적함에 따라 재치부를 하강시키기 위한 다른 구동원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재치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을 생략 또는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재치부 이동부는, 상기 이동 부재에 상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를 더 가지고, 상기 측벽은, 상기 저부 개구에 연통하고,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제2 슬릿을 가지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수용 박스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슬릿을 통해 상기 수용 박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하향으로 조작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이동 부재를 하강시킬 때에는, 이동 부재의 지지부를 손가락으로 하부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이동 부재를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이동 부재를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이동 부재는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가압 부재 이외에 이동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원이 불필요하게 되어, 재치부 이동부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이 구성에서는, 지지부는, 수용 박스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라도, 제2 슬릿을 통해 수용 박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지지부를 손가락으로 하부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지지부가 수용 박스 내부에서 재치부를 하부로부터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압 부재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해당 지지부 및 재치부의 양쪽 모두를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용 박스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저벽과, 해당 저벽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측벽을 가지고, 상기 박스 수용 공간의 내부에서 상기 측벽의 상단을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수용 박스의 저벽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용 박스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한 상태와 접은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접은 상태의 수용 박스를 박스 수용 공간에 삽입하고, 지지부에 의해서 수용 박스의 측벽의 상단을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지지하며, 또한, 상기의 재치부 이동부의 구동력이나 측벽 자체의 탄성력 등에 의해서 저벽을 소정의 상부 위치에 배치시키면, 박스 수용 공간의 상부의 위치에 접은 상태의 수용 박스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지엽류가 수용 박스의 상부의 개구로부터 수용 박스 내부로 투입될 때 더 흐트러지기 어려워져, 지엽류의 단부를 보다 깨끗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수용 박스의 내부에 지엽류가 집적됨에 따라 저벽이 지엽류의 자중 또는 재치부 이동부의 구동력 등에 의해서 하강해 가는 것에 의해, 측벽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상기 측벽에 의해서 지엽류의 주위를 덮으면서 수용 박스 내에서 복수의 지엽류를 각각의 단부를 보다 깨끗하게 일치시킨 형태에서 집적해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수용 박스는, 지엽류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비어있을 때에는 접은 상태로 해 두면 보관 및 반송이 용이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에 의하면, 처리후에 집적된 복수의 지엽류를 결속하지 않고 해당 지엽류의 단부가 일치시켜진 상태에서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류 처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용 박스, 박스 가이드, 및 테이블 이동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용 박스 및 지폐 집적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테이블 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수용 박스를 박스 수용 공간에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5의 지폐 집적 테이블측의 마그넷과 리니어 부시측의 마그넷을 흡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7은 도 5의 지폐 집적 테이블과 리니어 부시를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상승시키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5의 지폐 집적 테이블에 지폐가 집적하는 것에 따라 해당 지폐 집적 테이블 및 리니어 부시가 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도 8의 수용 박스의 상부에 임펠러가 마련되어 있는 구성에서, 임펠러를 이용하여 지폐가 지폐 집적 테이블 상에 보내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5의 수용 박스 내에서의 지폐의 집적이 완료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수용 박스를 박스 가이드로부터 빼내는 도중으로서, 지폐 집적 테이블측의 마그넷과 리니어 부시측의 마그넷과의 흡착이 해제되어, 지폐 집적 테이블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수용 박스를 박스 가이드로부터 완전히 빼내어, 박스 수용 공간의 외부로 취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류 처리 장치에서, 박스 가이드의 저부에 이동 부재의 지지 암이 배치되고, 수용 박스가 박스 가이드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수용 박스 및 지폐 집적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지지 암의 상부에 지폐 집적 테이블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지지 암이 지폐 집적 테이블을 하부로부터 지지한 상태에서, 리니어 부시 및 지폐 집적 테이블이 상승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류 처리 장치에서, 이동 부재의 지지 암의 선단에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가 마련되고, 수용 박스의 측벽에 조작부를 삽입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된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수용 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지지 암 선단의 조작부를 수용 박스의 외부로부터 손가락으로 밀어 내리는 것에 의해, 지지 암에 하부로부터 지지된 지폐 집적 테이블을 수동으로 하강시키는 조작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엽류 처리 장치에서, 신축 가능한 수용 박스를 가지는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수용 박스를 접은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접은 상태의 수용 박스를 박스 가이드에 장착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접은 상태의 수용 박스의 측벽의 상단부가 박스 가이드의 상단면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수용 박스가 지폐가 집적됨에 따라 연장되어 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실시 형태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일례로서, 지폐를 처리하는 지폐 처리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지폐 처리 장치(1)는, 복수의 지폐(P)의 진안(
Figure 112019082290713-pct00002
, 진짜와 가짜)이나 금종(金種)의 판별 등의 처리를 행하고, 처리후의 복수의 지폐(P)를 집적하여 집적 지폐(PA)를 형성하는 장치이다.
지폐 처리 장치(1)는, 장치 본체(2)와, 입금 유닛(3)과, 진안이나 금종의 판별 등의 처리를 행하는 처리부인 처리 유닛(4)과, 처리후의 지폐(P)를 일시적으로 보류하는 일시 저류(貯留) 유닛(5)과, 지폐(P)를 금종마다 등의 조건으로 각각 집적하는 집적부인 복수의 집적 유닛(6)과, 제어부(12)와, 각 집적 유닛(6)으로 보내어지는 지폐(P)를 검지하는 지폐 검지 센서(13)와, 각 집적 유닛(6)에서의 수용 박스(9)의 존재를 검지하는 박스 검지 센서(1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지폐 처리 장치(1)에서는, 입금 유닛(3)에 일괄하여 삽입된 지폐(P)는, 1매씩 반송 경로(R1 및 R2)를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반송 기구에 의해서 반송된다. 지폐(P)가 입금 유닛(3)으로부터 반송 경로(R1)를 따라서 처리 유닛(4)으로 보내져 왔을 때에, 해당 처리 유닛(4)에 의해서 지폐(P)의 진안이나 금종의 판별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처리후의 지폐(P)는, 일시 저류 유닛(5)에 일시적으로 보류되고 나서 반송 경로(R2)로 보내어지던지, 또는 일시 저류 유닛(5)을 경유하지 않고 반송 경로(R2)로 직접 보내어진다. 그 후, 지폐(P)는, 처리 유닛(4)에서의 진안이나 금종의 판별 결과에 근거하여, 반송 경로(R2)를 따라서 복수의 집적 유닛(6) 중 어느 하나로 분류하여 보내어지고, 집적 유닛(6)의 수용 박스(9)에 집적된다. 또, 지폐(P)는, 신구의 조건으로 분류해도 좋고, 그 경우, 새로운 지폐는 지폐 처리 장치(1)의 외부의 다른 장치(예를 들면 현금자동지급기(ATM등)에서 재이용되고, 낡은 지폐는 회수된다.
집적 유닛(6)은, 처리 유닛(4)에서 처리된 후의 복수의 지폐(P)를 집적하여 집적 지폐(PA)를 형성하는 유닛이다. 또, 지폐 처리 장치(1)는, 적어도 1개의 집적 유닛(6)을 구비하고 있으면 되며, 집적 유닛(6)의 수(數)에 대해서는 본 발명에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집적 유닛(6)은, 집적 유닛 본체(7)와, 박스 가이드(8)와, 수용 박스(9)와,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테이블 이동부(11)를 가지고 있다.
집적 유닛 본체(7)는, 수용 박스(9)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의 박스 수용 공간(7a)을 가진다. 수용 박스(9)는, 집적 유닛 본체(7)의 전면(前面)측에 형성된 개구(7b)를 통해 박스 수용 공간(7a)에 출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박스 수용 공간(7a)에는, 수용 박스(9)를 출입할 때에 안내하는 박스 가이드(8)가 장착되어 있다. 박스 가이드(8)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용 박스(9)를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블록(8a)과, 수용 박스(9)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8b)를 가진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용 박스(9)는, 상단에 개구(9d)를 가지는 직방체 형상의 중공 상자체이며, 지폐(P)의 크기에 적합한 저면적(底面積)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수용 박스(9)는, 직사각형의 저벽(9a)과, 저벽(9a)의 사방(四方)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세워지는 4개의 측벽(9b)을 가진다. 저벽(9a) 및 4개의 측벽(9b)에 의해서 직방체 형상의 지폐 수용 공간(9c)이 형성된다. 수용 박스(9)는, 박스 수용 공간(7a)에 출입할 수 있는 외형 치수를 가진다. 수용 박스(9)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9d)는, 지폐(P)가 통과할 수 있는 개구 면적을 가진다. 지폐 수용 공간(9c)은, 상하 방향으로 집적된 복수의 지폐인 집적 지폐(PA)를 수용할 수 있는 용적을 가진다. 수용 박스(9) 내부의 지폐 수용 공간(9c)은, 박스 수용 공간(7a)보다도 작으므로, 해당 지폐 수용 공간(9c)에 투입되는 지폐(P)는, 박스 수용 공간(7a)에 투입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흐트러지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지폐 수용 공간(9c)의 내부에 깨끗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폐(P)를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4개의 측벽(9b) 중, 수용 박스(9)를 박스 수용 공간(7a)에 삽입하는 삽입 방향(A)에서 전방측의 측벽(9b1)에는, 해당 측벽(9b1)을 관통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9e)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9e)은, 지폐 집적 테이블(10)에 고정된 후술의 마그넷(15)이 리니어 부시(21)측의 마그넷(30)에 연결하기 위한 슬릿이다.
수용 박스(9)는, 집적 지폐(PA)를 수용하여 이송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수지 또는 금속 박판 등의 재료에 의해서 형성된다. 또, 수용 박스(9)는 겹쳐 쌓을 수 있는 형상 및 강도이면, 집적 지폐(PA)의 보관 및 반송이 용이하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또, 수용 박스(9)의 개구(9d)는, 수용 박스(9)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수용 박스(9)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수용 박스(9)의 상부이면 측벽(9b)에 슬릿 모양의 개구가 형성되어도 괜찮다.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 모양의 부재이며, 지폐(P)를 재치할 수 있는 넓이의 상면(10a)을 가진다.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수용 박스(9)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수지나 금속 박판 등으로 제조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재치부의 일례로서, 직사각형의 판 모양의 부재인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지폐(P)를 재치할 수 있는 상면을 가지고, 수용 박스(9)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면 다른 형상의 재치부라도 좋다.
도 1~2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테이블 이동부(11)는, 수용 박스(9)가 박스 수용 공간(7a)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적어도 상부로 이동시키는 구성을 가진다. 테이블 이동부(11)는, 청구범위의 재치부 이동부에 대응하는 것이다. 테이블 이동부(11)는, 수용 박스(9)를 박스 수용 공간(7a)에 삽입하는 삽입 방향(A)에서, 박스 가이드(8)보다도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테이블 이동부(11)는,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를 구성하는 리니어 부시(21)와, 리니어 부시(21)를 상하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로드(22)와, 리니어 부시(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23)와, 리니어 부시(21)에 상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인 인장 코일 스프링(29)을 가진다.
가이드 로드(2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세운 상태에서 집적 유닛 본체(7)의 박스 수용 공간(7a)의 저면 등에 고정되어 있다. 리니어 부시(21)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을 가지고, 예를 들면 대략 직방체 형상의 부재이다. 리니어 부시(21)는, 이 관통공에 가이드 로드(22)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가이드 로드(22)로 안내되면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 기구(23)는, 리니어 부시(21)를 상하 방향 이동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어지는 구동 기구(23)는, 고리 모양으로 닫힌 무단(無端) 형상의 무단 벨트(24)와, 무단 벨트(24)의 외주면과 리니어 부시(21)를 연결하는 연결봉(25)과, 중심축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된 구동 풀리(26) 및 종동 풀리(27)와, 구동 풀리(26)를 순방향 및 역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는 모터(28)를 가진다. 구동 풀리(26) 및 종동 풀리(27)는, 가이드 로드(22)와 평행하게 늘어서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다. 무단 벨트(24)는, 구동 풀리(26) 및 종동 풀리(27)에 각각 걸려, 한 쌍의 풀리(26, 27) 사이에서 가이드 로드(22)와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모터(28)의 구동력에 의해서 구동 풀리(26)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무단 벨트(24)가 구동 풀리(26) 및 종동 풀리(27)의 사이에서 구동 풀리(26)의 회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주행한다. 이 때, 무단 벨트(24)에 연결봉(25)을 매개로 하여 연결된 리니어 부시(21)는, 상하 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동 기구(23)의 모터(28)의 구동은, 제어부(12)에 의해서 제어되지만, 구체적인 제어에 대해서는 후단의 집적 유닛의 동작 설명에서 상술된다.
또, 리니어 부시(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23)로서는, 상기와 같은 무단 벨트(24)를 가지는 기구 이외에도, 상하 방향으로 직선 구동 가능한 리니어 모터를 가지는 기구 등 여러 가지의 구동 기구를 채용해도 괜찮다.
인장 코일 스프링(29)은, 리니어 부시(21)에 상부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이다.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하단은 리니어 부시(21)에 고정되고, 해당의 상단은 가이드 로드(22)나 집적 유닛 본체(7)의 내벽 등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의 구동 기구(23)에 의해서 리니어 부시(21)가 하부로 밀어 내려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리니어 부시(21)는,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의해 소정의 상부 위치까지 밀어 올려진 상태로 대기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가압 부재의 일례로서 인장 코일 스프링(29)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부재를 구성하는 리니어 부시(21)에 상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면, 본 발명의 가압 부재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른 가압 부재로서, 고무와 같은 탄성 부재나 공기 스프링 등이 이용되어도 괜찮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지폐 처리 장치(1)는,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이동 부재를 구성하는 리니어 부시(21)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연결부는, 도 2~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지폐 집적 테이블(10)측의 마그넷(15)과, 리니어 부시(21)측의 마그넷(30)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마그넷(15, 30)은, 수용 박스(9)가 박스 수용 공간(7a)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도 6 참조)에서는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리니어 부시(21)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수용 박스(9)가 박스 수용 공간(7a)으로부터 나와 있는 상태(도 12 참조)일 때에는 해당 연결을 해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폐 집적 테이블(10)측의 마그넷(15)은,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지폐 집적 테이블(10)에서의 삽입 방향(A)의 전방측에 브라켓(16)을 매개로 하여 장착되어 있다. 그 마그넷(15)의 흡착면은, 상기 삽입 방향(A)을 향하도록 세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마그넷(15)은, 지폐 집적 테이블(10)이 수용 박스(9)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수용 박스(9)의 전방측의 측벽(9b1)에 형성된 슬릿(9e)을 통해 수용 박스(9)의 외부로 노출되어 삽입 방향(A)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한편, 리니어 부시(21)측의 마그넷(30)은, 도 2 및 도 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리니어 부시(21)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마그넷(30)의 흡착면은, 삽입 방향(A)에 대해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세운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 박스(9)가 박스 수용 공간(7a)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마그넷(15, 30)이 서로 흡착하는 것에 의해,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리니어 부시(21)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리니어 부시(21)에 대해서 접리(接離) 가능하다. 그 때문에,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리니어 부시(21)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와, 수용 박스(9) 내에 위치하여 리니어 부시(21)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마그넷(15, 30)은, 지폐 집적 테이블(10) 및 리니어 부시(21) 중 어느 일방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고, 타방측에는 해당 마그넷(15 또는 30)에 흡착 가능한 철 등의 자성판이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폐 처리 장치(1)에서는, 집적 유닛(6)에서 지폐(P)가 수용 박스(9)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지폐 집적 테이블(10)에 순차 재치되어 가는 것에 의해 집적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5~1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집적 유닛(6)에서는 이하와 같은 순서로 지폐(P)의 집적이 행해진다.
먼저, 도 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용 박스(9)가 집적 유닛(6)의 집적 유닛 본체(7)의 박스 수용 공간(7a)에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리니어 부시(21)를 상기의 구동 기구(23)에 의해서 소정의 하부 위치까지 하강시켜 대기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지폐 처리 장치(1)가 운전 상태에서, 각 집적 유닛(6)의 박스 검지 센서(14)(도 1 참조)가 수용 박스(9)를 검지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제어부(12)(도 1 참조)는, 리니어 부시(21)가 소정의 하부 위치까지 하강하도록 구동 기구(23)의 모터(28)(도 4 참조)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 때, 인장 코일 스프링(29)은, 구동 기구(23)에 의한 리니어 부시(21)의 하강에 따라 연장되는 것에 의해, 인장 코일 스프링(29)에는 탄성 에너지가 축적된다.
도 5의 대기 상태에서, 도 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용 박스(9)는, 작업자에 의해서, 삽입 방향(A)으로 밀려지는 것에 의해, 박스 수용 공간(7a) 내부의 박스 가이드(8)에 삽입된다. 이 때, 수용 박스(9) 내부의 지폐 집적 테이블(10)에 고정된 마그넷(15)은, 수용 박스(9)의 슬릿(9e)을 통해, 리니어 부시(21)에 고정된 마그넷(30)에 흡착된다. 이것에 의해,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리니어 부시(21)가 착탈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 후, 도 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지폐 집적 테이블(10) 및 리니어 부시(21)를 소정의 상부 위치까지 상승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2)가 구동 기구(23)의 모터(28)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에 의해 구동 풀리(26)가 공전 가능한 상태로 하고,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해, 지폐 집적 테이블(10) 및 리니어 부시(21)를 소정의 상부 위치까지 상승시켜, 지폐(P)가 집적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때,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수용 박스(9)의 상단의 개구(9d)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또, 인장 코일 스프링(29)이 없는 경우에는, 구동 기구(23)의 모터(28)의 구동에 의해서 지폐 집적 테이블(10) 및 리니어 부시(21)를 소정의 상부 위치까지 상승시키면 된다.
상기의 도 1의 처리 유닛(4)에서 처리된 후에 집적 유닛(6)으로 보내어져 온 지폐(P)는, 도 8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용 박스(9)의 상단의 개구(9d)로부터 지폐 수용 공간(9c)으로 순차 투입되고, 지폐 집적 테이블(10) 상에 집적되어, 집적 지폐(PA)가 형성된다. 이 때, 집적 지폐(PA)의 중량이 증대되는 것에 따라서,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상향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서서히 하강해 간다. 또, 인장 코일 스프링(29)이 없는 경우에는, 구동 기구(23)의 모터(28)의 구동에 의해서 지폐 집적 테이블(10) 및 리니어 부시(21)를 서서히 하강시키면 좋다. 이 경우, 지폐 집적 테이블(10) 및 리니어 부시(21)의 하강량은, 지폐 검지 센서(13)에서 검지되는 집적 유닛(6)으로 보내어지는 지폐(P)의 매수에 근거하여 제어부(12)에 의해서 제어하면 좋다.
여기서, 지폐(P)를 수용 박스(9)에 원활히 순차 투입하기 위해서, 도 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은 임펠러(31)가 집적 유닛(6)에 마련되어도 괜찮다. 임펠러(31)는, 원통 모양의 본체(31a)와, 해당 본체(31a)의 원통 모양의 외주면에서 해당 외주면의 접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날개(31b)를 가진다. 집적 유닛(6)에 지폐(P)가 보내어 넣어질 때에, 임펠러(31)를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지폐(P)는, 인접하는 2개의 날개(31b)의 간극(31c)에 순차적으로 끼워져 회전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지폐(P)를 1매씩 수용 박스(9)로 원활히 순차 투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어떤 집적 유닛(6)의 수용 박스(9)에서 지폐(P)가 소정 매수(예를 들면 500매)의 집적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그 집적 유닛(6)으로의 지폐(P)의 반송은 정지하고, 작업자에게 버저 또는 램프 등의 검지 수단(도시하지 않음)으로 알린다. 각 집적 유닛(6)에서의 지폐(P)의 계수(計數)는, 예를 들면, 지폐 검지 센서(13)(도 1 참조)의 검지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부(12)가 행하면 좋다.
지폐(P)의 집적이 완료한 후,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수용 박스(9)를 취출 방향(B)을 따라서 이동시키고, 박스 가이드(8)로부터 빼낸다. 이 때, 지폐 집적 테이블(10)에 고정된 마그넷(15)은, 리니어 부시(21)에 고정된 마그넷(30)으로부터 떼어 놓여진다. 그것에 의해,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리니어 부시(21)와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 결과, 지폐 집적 테이블(10) 및 그 위에 집적된 집적 지폐(PA)는 자중에 의해서 수용 박스(9) 내부에서 하강한다. 이것에 의해, 도 10의 집적 완료시의 상태에서 집적 지폐(PA)의 최상단의 지폐(P)가 수용 박스(9)의 상단의 개구(9d)보다도 상부에 있는 상태(2점 쇄선으로 도시한 최상단의 지폐(P) 참조)라도, 도 1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지폐 집적 테이블(10)이 하강하는 것에 의해서, 집적 지폐(PA)의 전체를 수용 박스(9) 내부에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후, 도 1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집적 지폐(PA)가 수용된 수용 박스(9)를 취출 방향(B)으로 이동시켜 집적 유닛 본체(7)의 박스 수용 공간(7a)으로부터 외부로 취출한다. 수용 박스(9)의 취출이 완료되었을 때에는, 도 5의 대기 상태로 되돌아오도록, 리니어 부시(21)를 상기의 구동 기구(23)에 의해서 소정의 하부 위치까지 하강시켜 대기시키도록, 제어부(12)는 구동 기구(23)를 제어한다.
박스 수용 공간(7a)으로부터 외부로 취출된 해당 수용 박스(9)는, 작업자에 의해서, 지폐 처리 장치(1)의 외부의 다른 장치(예를 들면, 현금자동지급기(ATM) 등)로 반송된다. 집적 지폐(PA)가 수용된 수용 박스(9)를 보관 및 반송할 때에는, 뚜껑(32)에 의해서 개구(9d)를 닫아 두는 것이 안전상 바람직하다. 또, 뚜껑(32)의 하면에 마련된 압축 코일 스프링(33)에 의해서 집적 지폐(PA)를 상면으로부터 압압하도록 하면, 집적 지폐(PA)가 반송시 등에 흐트러지지 않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폐 처리 장치(1)에서는, 처리 유닛(4)에서 처리된 후의 복수의 지폐(P)는 집적 유닛(6)의 수용 박스(9)에 집적된다. 구체적으로는, 집적 유닛(6)에서는, 수용 박스(9)가 집적 유닛 본체(7)의 박스 수용 공간(7a)에 셋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해당 수용 박스(9)의 지폐 수용 공간(9c)의 내부에서 복수의 지폐(P)가 흐트러지는 것이 억제되면서 수용된다. 지폐(P)의 단부를 깨끗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처리후의 복수의 지폐(P)는, 결속하지 않아도 수용 박스(9) 내부에서 지폐 집적 테이블(10) 상에서 각각의 단부를 깨끗하게 일치시켜 집적된 집적 지폐(P)의 상태에서, 수용 박스(9)마다 집적 유닛 본체(7)로부터 외부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작업자가 집적 지폐(PA)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해당 집적 지폐(PA)를 집적 유닛 본체(7)로부터 취출할 때에는 흐트러질 우려가 없다. 또, 집적 지폐(PA)를 수용 박스(9)에 수용된 상태에서 집적 유닛 본체(7)로부터 취출한 후, 집적 지폐(PA)를 수용 박스(9)의 측벽(9b)에 접촉시키면서 집적 지폐(PA)를 보다 깨끗하게 일치시킨 형태로 정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수용 박스(9)에 수용된 집적 지폐(PA)를 작업자는 손으로 직접 잡지 않고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인간 공학적으로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지폐의 매수에 제약되지 않아, 집적 유닛(6)에서의 지폐(P)의 수용 매수를 확대할 수 있다.
게다가, 집적 지폐(PA)를 수용 박스(9)에 수용한 채로 다음의 처리 공정으로 반송할 수 있으므로, 집적 지폐(PA)를 시봉(施封)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지폐 처리 장치(1)에서는 결속 기구를 생략할 수 있어, 해당 지폐 처리 장치의 대형화, 복잡화, 및 제조 코스트의 증대 등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시봉(施封)용 부재(고무 밴드나 테이프 등)가 불필요하게 되므로, 이러한 시봉용 부재에 기인하는 쓰레기를 감량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 수용 박스(9) 내부에 지폐(P)를 집적하여 수용하는 것에 의해, 지폐(P)를 안정되게 겹쳐 쌓을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지폐 처리 장치(1)에서는, 집적 유닛(6)은,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테이블 이동부(11)를 가진다.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수용 박스(9)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지폐(P)가 수용 박스(9)에 수용될 때에, 테이블 이동부(11)에 의해서 미리 소정의 상부 위치까지 이동해 두는 것에 의해, 수용 박스(9) 상부의 개구(9d)로부터 지폐 집적 테이블(10)까지의 거리를 가까이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지폐(P)가 개구(9d)로부터 수용 박스(9)의 지폐 수용 공간(9c)의 내부로 투입될 때에 보다 흐트러지기 어려워져, 지폐(P)의 단부를 보다 깨끗하게 일치시킨 상태에서 집적하여 집적 지폐(PA)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지폐(P)가 지폐 집적 테이블(10) 상에 퇴적해 감에 따라, 지폐 집적 테이블(10)이 지폐(P)의 자중 또는 구동 기구(23)의 모터(28)의 구동력 등에 의해서 하강해 가는 것에 의해, 수용 박스(9) 내에서 복수의 지폐(P)를 각각의 단부를 보다 깨끗하게 일치시킨 형태로 집적하여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지폐 처리 장치(1)에서는, 집적 유닛(6)(집적부)이 지폐 집적 테이블(10)(재치부) 및 테이블 이동부(11)(재치부 이동부)를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집적부가 재치부 및 재치부 이동부를 가지지 않은 구성, 구체적으로는, 수용 박스(9)의 내부에 지폐 집적 테이블(10)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라도 좋다. 이 경우, 지폐(P)를 수용 박스(9)에 투입해도, 수용 박스(9)가 없는 상태에서 박스 수용 공간(7a)에 투입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지폐(P)를 깨끗하게 일치시켜 집적하고, 그 집적 상태인 채로 지폐 처리 장치(1)의 외부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지폐 처리 장치(1)는,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리니어 부시(21)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로서, 마그넷(15, 30)을 가지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다. 마그넷(15, 30)은, 지폐 집적 테이블(10) 및 리니어 부시(21) 중 어느 일방 또는 양쪽 모두에 마련되어 있다. 마그넷(15, 30)은, 수용 박스(9)가 박스 수용 공간(7a)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리니어 부시(21)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수용 박스(9)가 박스 수용 공간(7a)으로부터 나와 있는 상태일 때에는 해당 연결을 해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작업자는 수용 박스(9)를 집적 유닛 본체(7)의 박스 수용 공간(7a)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수용 박스(9) 내의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마그넷(15, 30)에 의해서 테이블 이동부(11)의 리니어 부시(21)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수용 박스(9)를 집적 유닛 본체(7)의 박스 수용 공간(7a)에 셋팅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리니어 부시(21)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리니어 부시(21)가 상부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상승시켜 수용 박스(9) 상부의 개구(9d)로 가까이 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수용 박스(9)에 수용된 지폐(P)를 취출할 때에는, 작업자는 수용 박스(9)를 집적 유닛 본체(7)의 박스 수용 공간(7a)으로부터 취출하는 것에 의해,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리니어 부시(21)와의 사이의 마그넷(15, 30)에 의한 연결을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 리니어 부시(21)와의 연결이 해제된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지폐(P)가 재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용 박스(9) 내부에서 하강한다. 이것에 의해, 지폐(P)가 수용 박스(9)의 상부의 개구(9d)로부터 넘칠 우려가 없어져, 집적 지폐(PA)가 수용된 수용 박스(9)를 집적 유닛 본체(7)로부터 취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수용 박스(9)의 측벽(9b1)에는, 해당 측벽(9b1)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그넷 연결용의 슬릿(9e)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마그넷(15, 30)은, 수용 박스(9)의 측벽(9b1)에 형성된 슬릿(9e)을 통하여, 수용 박스(9)의 내부의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해당 수용 박스(9) 외부의 테이블 이동부(11)의 리니어 부시(21)를 강고하게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리니어 부시(21)가 상하로 이동하는 것에 추종하여, 마그넷(15, 30)이 슬릿(9e)을 따라서 상하로 이동하므로, 리니어 부시(21)가 상하로 이동해도, 마그넷(15, 30)이 수용 박스(9)의 측벽(9b1)에 접촉하는 것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리니어 부시(21)와 지폐 집적 테이블(10)이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할 때에 마그넷(15, 30)에 의한 리니어 부시(21)와 지폐 집적 테이블(10)과의 연결이 해제될 우려가 없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테이블 이동부(11)는, 리니어 부시(21)에 상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로서 인장 코일 스프링(29)을 가진다. 이 구성에서는, 수용 박스(9)가 집적 유닛 본체(7)의 박스 수용 공간(7a)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인장 코일 스프링(29)은 리니어 부시(21)를 매개로 하여 지폐 집적 테이블(10)에 상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승시켜 수용 박스(9) 상부의 개구(9d)로 가까이 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상승시키기 위한 다른 구동원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지폐 집적 테이블(10) 상에 지폐(P)가 집적하는 것에 따라서, 해당 집적한 지폐(P)의 중량에 의해,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서서히 하강하고, 복수의 지폐(P)를 각각의 단부를 일치시키면서 지폐 집적 테이블(10) 상에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지폐 집적 테이블(10) 상에 지폐(P)가 집적되는 것에 따라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하강시키기 위한 다른 구동원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원을 생략 또는 간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의 지폐 처리 장치(1)는, 테이블 이동부(11)가 리니어 부시(21)를 상부로 가압시키는 인장 코일 스프링(29) 등의 가압 부재를 가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해당 가압 부재가 없어도 되고, 리니어 부시(21)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 기구(23)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 한편, 인장 코일 스프링(29)을 가지는 구성이라도, 수용 박스(9)를 박스 수용 공간(7a)에 삽입할 때 및 해당 박스 수용 공간(7a)으로부터 취출할 때에는 리니어 부시(21)를 하부 위치로 이동시켜 두기 위해서, 리니어 부시(21)를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동 기구(23)가 필요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리니어 부시(21)를 마그넷(15, 20)에 의해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13~1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하부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서, 리니어 부시(21)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암(34)이 마련되어도 좋다. 이 경우, 지지 암(34)은, 지폐 집적 테이블(10)로부터 떼어놓는 것이 가능한 상태에서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것에 의해서,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승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테이블 이동부(11)는, 가이드 로드(22)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35)를 가진다. 또,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테이블 이동부(11)도, 상기의 도 4에 나타내어지는 구동 기구(23) 및 인장 코일 스프링(29)을 가지고 있지만, 도 13에서는 이들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이동 부재(35)는, 상기의 리니어 부시(21)와, 지지 암(34)을 가진다. 지지 암(34)은, 리니어 부시(21)의 케이싱(21a)의 외면으로부터 수평 방향(구체적으로는, 삽입 방향(A)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지 암(34)은,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평탄한 상면을 가지는 평판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나타내어지는 지지 암(34)은, 일단이 케이싱(21a)에 연결된 근원 부분(34a)과, 근원부(34a)의 타단에 연결된 중간 부분(34b)과, 중간 부분(34b)으로부터 분기한 한 쌍의 선단 부분(34c)을 가진다. 즉, 지지 암(34)은, 대략 Y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지지 암(34)에 재치할 수 있고, 환언하면, 지지 암(34)에 대해서 접리 가능하다. 그 때문에, 지폐 집적 테이블(10)은, 이동 부재(35)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 가능한 상태와, 수용 박스(9) 내에 위치하며 이동 부재(35)로부터 떨어진 상태가 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지지 암(34)은,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하부로부터 지지하여 지지부로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면 좋고, 대략 Y자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형상이라도 좋다.
도 13 및 도 15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동 부재(35)의 지지 암(34)은, 수용 박스(9)가 박스 수용 공간(7a)(도 1 참조) 내부의 박스 가이드(8)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는, 박스 가이드(8)의 저부, 구체적으로는 지지 블록(8a)의 상면(8a1)보다도 하부의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수용 박스(9)를 지지 암(34)에 접촉하지 않고 원활히 박스 가이드(8)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4에 나타내어지는 수용 박스(9)는, 저벽(9a)과, 해당 저벽(9a)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세워지는 4개의 측벽(9b)을 가지는 점에서는, 상기의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수용 박스(9)와 동일하지만, 저부 개구(9f) 및 제1 슬릿(9i)을 가지는 점에서 다르다.
즉, 수용 박스(9)의 전방측의 측벽(9b1)에는, 해당 측벽(9b1)을 관통함과 아울러 지지 암(34)의 근원 부분(34a)이 통과할 수 있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암 통과용의 제1 슬릿(9i)이 형성되어 있다. 저벽(9a)에는, 해당 제1 슬릿(9i)에 연통하고, 지지 암(34)이 통과할 수 있는 저부 개구(9f)가 형성되어 있다.
저부 개구(9f)는, 지지 암(34)이 통과할 수 있도록 지지 암(34)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저부 개구(9f)는, 지지 암(34)의 근원 부분(34a)에 대응하는 제1 부분(9f1)과, 중간 부분(34b)에 대응하는 제2 부분(9f2)과, 한 쌍의 선단 부분(34c)에 대응하는 한 쌍의 제3 부분(9f3)을 가진다. 저부 개구(9f)의 제1 부분(9f1)은, 측벽(9b1)의 제1 슬릿(9i)에 연통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폐 처리 장치에서는, 도 15~16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용 박스(9)를 집적 유닛 본체(7)의 박스 수용 공간(7a)에 수용한 상태에서는, 테이블 이동부(11)의 이동 부재(35)(즉, 리니어 부시(21) 및 지지 암(34))를 상기의 인장 코일 스프링(29) 또는 구동 기구(23)에 의해서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 해당 이동 부재(35)의 지지 암(34)은, 수용 박스(9)의 저벽(9a)의 저부 개구(9f) 및 측벽(9b1)의 제1 슬릿(9i)을 통해 수용 박스(9)의 내부에 삽입시키고, 또한 제1 슬릿(9i)을 따라서 수용 박스(9) 내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수용 박스(9) 내의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이동 부재(35)의 지지 암(34)에 의해서 하부로부터 지지하고, 해당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이동 부재(35)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수용 박스(9)를 박스 수용 공간(7a)으로부터 취출할 때에는, 이동 부재(35)를 전술의 구동 기구(23)의 모터(28)(도 4 참조)의 구동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하강시키면 지지 암(34)은 수용 박스(9)의 저벽(9a)의 저부 개구(9f)로부터 해당 수용 박스(9)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후술의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지지 암(34)의 선단에 조작부(34d)를 가지는 경우에는, 조작부(34d)를 손가락으로 밀어 내리는 것에 의해, 이동 부재(35)를 수동으로 하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지지 암(34)이 저부 개구(9f)를 통해 수용 박스(9)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에 의해, 수용 박스(9)를 지지 암(34)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집적 유닛 본체(7)로부터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지지 암(34)의 하강에 추종하여, 지폐 집적 테이블(10)도 하강하여 소정의 하부 위치까지 되돌아가는 것이 가능하므로, 수용 박스(9)를 집적 유닛 본체(7)로부터 취출할 때에, 지폐(P)가 수용 박스(9)의 상부의 개구(9d)로부터 넘칠 우려가 없어진다. 이상과 같이, 수용 박스(9)와 지지 암(34)과의 간섭 및 지폐(P)의 개구(9d)로부터의 유출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집적 지폐(PA)가 수용된 수용 박스(9)를 집적 유닛 본체(7)로부터 취출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3~16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의 지폐 처리 장치에서는, 이동 부재(35)가 지지 암(34)을 가지고 있으므로, 수용 박스(9)가 없는 상태에서도, 지폐(P)를 지지 암(34) 상에 집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집적 후의 지폐(P)는 작업자의 손에 의해서 취출하면 좋다. 따라서, 수용 박스(9)가 부족할 때에도, 지폐(P)의 집적 작업을 계속하여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실용상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17~1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이동 부재(35)가 지지 암(34)을 가지는 구성에서, 수동으로 지지 암(34)을 밀어 내릴 수 있도록 지지 암(34)이 조작부(34d)를 가지도록 해도 괜찮다. 구체적으로는, 테이블 이동부(11)는, 이동 부재(35)에 상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29)을 가진다. 이동 부재(35)의 지지 암(34)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손가락에 맞닿아 해당 손가락으로부터의 하향의 조작력을 받는 것이 가능한 조작부(34d)를 가진다.
조작부(34d)는, 지지 암(34)의 한 쌍의 선단 부분(34c) 중 일방의 선단 부분(34c)의 선단을 삽입 방향(A)과 반대측으로 연장시키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수용 박스(9)의 삽입 방향(A)에서 후방측의 측벽(9b2)에는, 전방측의 측벽(9b1)의 제1 슬릿(9i)과는 다른 슬릿으로서, 조작부(34d)가 통과하기 위한 제 2 슬릿(9h)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슬릿(9h)은, 해당 측벽(9b2)을 관통함과 아울러 조작부(34d)를 통과할 수 있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이다. 제2 슬릿(9h)은, 저벽(9a)의 저부 개구(9f)의 제3 부분(9f3)에 연통 부분(9j)을 통해서 연통하고 있다.
지지 암(34)의 조작부(34d)는, 지지 암(34)이 수용 박스(9)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삽입 방향(A)의 후방측의 측벽(9b2)에 형성된 제2 슬릿(9h)을 통하여, 수용 박스(9)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 17~19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구성된 지폐 처리 장치에서는, 이동 부재(35)(즉, 리니어 부시(21) 및 지지 암(34))를 하강시킬 때에는, 지지 암(34)의 조작부(34d)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하부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이동 부재(35)를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 때문에, 이동 부재(35)를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원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 이동 부재(35)는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의해서 상승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인장 코일 스프링(29) 이외에 이동 부재(35)를 이동시키는 구동원이 불필요하게 되어, 테이블 이동부(11)의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이 구성에서는, 지지 암(34)의 조작부(34d)는, 지지 암(34)이 수용 박스(9)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라도, 삽입 방향(A)의 후방측의 측벽(9b2)에 형성된 제2 슬릿(9h)을 통하여 수용 박스(9)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부(34d)를 손가락으로 하부로 누르는 것에 의해서, 지지 암(34)이 수용 박스(9) 내부에서 지폐 집적 테이블(10)을 하부로부터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가압력에 저항하면서 해당 지지 암(34) 및 지폐 집적 테이블(10)의 양쪽 모두를 하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지지 암(34)은, 하강하는 것에 의해서 수용 박스(9)의 저벽(9a)의 저부 개구(9f)로부터 해당 수용 박스(9)의 외부로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집적 지폐(PA)가 수용된 수용 박스(9)를 지지 암(34)과 간섭하지 않고 박스 수용 공간(7a)의 박스 가이드(8)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도 17~19에 나타내어지는 지폐 처리 장치는, 조작부(34d)를 손가락으로 밀어 내리는 것에 의해 이동 부재(35)(리니어 부시(21) 및 지지 암(34))를 하강시켰을 때에, 해당 이동 부재(35)를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소정의 하부 위치(구체적으로는, 지지 암(34)이 박스 가이드(8)의 지지 블록(8a)의 상면(8a1)보다도 하부가 되는 위치)에서 가고정시키기 위해서, 래칫 기구 등의 가고정 기구를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이 경우, 수용 박스(9)가 박스 가이드(8)에 삽입되기 전에는, 가고정 기구에 의해서 이동 부재(35)를 도 17에 나타내어지는 소정의 하부 위치에 가고정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수용 박스(9)를 박스 가이드(8)에 삽입한 후에는, 조작부(34d)를 손가락으로 재차 밀어 내리는 등의 조작에 의해서 가고정 기구에 의한 이동 부재(35)의 가고정을 해제하면, 인장 코일 스프링(29)의 복원력에 의해, 지지 암(34) 및 이동 부재(35)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의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 20~2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용 박스(40)가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구성을 가져도 괜찮다. 구체적으로는, 도 20~2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용 박스(4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저벽(41)과, 해당 저벽(41)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측벽(42)을 가진다. 저벽(41)은, 지폐(P)를 재치할 수 있는 상면을 가지고, 수용 박스(40)의 내부(구체적으로는 측벽(42)의 내측의 공간)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재치부(예를 들면, 상기의 지폐 집적 테이블(10)과 같은 재치부)로서 기능한다.
수용 박스(40)의 저벽(41)은, 박스 수용 공간(7a)의 내부에서는, 상기의 이동 부재(35)의 지지 암(34) 상에 재치된다.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측벽(42)은, 예를 들면, 크기가 다른 복수의 테이퍼 모양의 프레임(42a, 42b, 42c)이 서로 겹쳐지는 것에 의해서 구성된다. 테이퍼 모양의 프레임(42a, 42b, 42c)은, 각각, 직사각형의 프레임체로서 하부로 향함에 따라 끝이 가늘게 되는 형상을 가진다. 측벽(42)이 연장된 상태에서는, 테이퍼 모양의 프레임(42a, 42b, 42c)은, 인접하는 프레임의 단부끼리가 걸리도록 되어 있다. 또, 측벽(42)은,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면 되며, 벨로우즈 모양의 프레임이나 캔버스(canvas) 등의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등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괜찮다. 측벽(42)이 벨로우즈 모양의 프레임 등과 같이 연장해도 자기의 탄성력에 의해서 줄어드는 프레임이라도 괜찮다. 그 경우에는, 저벽(41)을 측벽(42)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부 위치로 위치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측벽(42)의 상단에는, 해당 측벽(42)의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42d)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42)은, 저벽(41)의 상하 방향의 이동에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면 되며, 저벽(41)이 고착되어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저벽(41)이 측벽(42)으로부터 착탈 가능해도 좋다.
이 도 20~24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에서는, 박스 수용 공간(7a)의 내부에서 수용 박스(40)의 측벽(42)의 상단의 플랜지(42d)를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예를 들면, 박스 가이드(8)의 한 쌍의 가이드 플레이트(8b)는 상단면(8b1)을 가지고 있다. 측벽(42)의 상단의 플랜지(42d)가 가이드 플레이트(8b)의 상단면(8b1)에 재치되는 것에 의해, 측벽(42)은 가이드 플레이트(8b)의 상단에 걸려진다. 또, 측벽(42)의 상단의 플랜지(42d)를 지지하는 지지부는, 가이드 플레이트(8b)의 상단면(8b1) 이외의 것이라도 좋다.
상기와 같이, 도 20~24에 나타내어지는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수용 박스(40)는, 지폐를 재치할 수 있는 재치부로서 기능하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저벽(41)과, 해당 저벽(41)의 상하 방향의 이동을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측벽(42)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박스 수용 공간(7a)의 내부에서 측벽(42)의 상단을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로서, 박스 가이드(8)의 가이드 플레이트(8b)는 상단면(8b1)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지폐가 재치되는 재치부로서 기능하는 수용 박스(40)의 저벽(4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수용 박스(40)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와 접은 상태와의 사이에서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2~2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용 박스(40)를 박스 수용 공간(7a)에 셋팅하는 경우에는, 접은 상태의 수용 박스(40)를 박스 수용 공간(7a)에 삽입하고, 가이드 플레이트(8b)의 상단면(8b1)에 의해서 수용 박스(40)의 측벽(42)의 상단을 소정의 높이가 되도록 지지한다. 이 때, 수용 박스(40)의 측벽(42)의 양측은, 가이드 플레이트(8b)의 상단면(8b1)에 걸려 매달려진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의 테이블 이동부(11)의 이동 부재(35)의 지지 암(34)에 의해서, 또는 측벽(42) 자체의 탄성력 등에 의해서 저벽(41)은 소정의 상부 위치에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박스 수용 공간(7a)의 상부의 위치에 접은 상태의 수용 박스(40)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복수의 지폐가 수용 박스(40)의 상부의 개구로부터 수용 박스(40) 내부로 투입될 때에 보다 흐트러지기 어려워져, 지폐의 단부를 보다 깨끗하게 일치시킨 상태로 집적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도 24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수용 박스(40)의 내부에 지폐가 집적함에 따라 저벽(41)이 지폐의 자중 또는 상기의 테이블 이동부(11)의 구동력 등에 의해서 하강해 가는 것에 의해, 측벽(42)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해당 측벽(42)에 의해서 지폐의 주위를 덮으면서 수용 박스(40) 내에서 복수의 지폐를 각각의 단부를 보다 깨끗하게 일치시킨 형태로 집적해 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지폐가 집적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태의 수용 박스(40)는, 그대로 박스 수용 공간(7a)으로부터 취출되고, 상단의 개구를 뚜껑에 의해 닫은 상태에서 보관된다. 또한, 수용 박스(40)는, 측벽(42)의 상단의 플랜지(42d)를 거는 것이 가능한 부분을 가지는 보관 선반에 매단 상태로 보관해도 괜찮다. 수용 박스(40)를 보관 선반에 보관하거나 취출하는 작업을 로봇 등을 이용하여 무인으로 행하는 경우에는, 수용 박스(40)를 뚜껑으로 닫을 필요가 없고, 수용 박스(40)의 반송 및 보관 등의 작업의 효율이 향상된다.
수용 박스(40)에 수용된 지폐를 취출하는 경우에는, 수용 박스(40)를 작업대 등이 평탄한 면에 두면, 측벽(42)은 자중에 의해 접히는 것에 의해, 수용 박스(40) 내부의 지폐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해당 지폐를 용이하게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저벽(41)이 측벽(42)으로부터 착탈 가능한 경우에는, 저벽(41)의 면적과 동일하거나 작은 상면을 가지는 베이스 상에 수용 박스(40)를 재치하면, 측벽(42)이 저벽(41)으로부터 분리하여 저벽(41)보다도 하부로 낙하하고, 베이스 상에는 지폐가 저벽(41) 상에 재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므로, 지폐를 취출하는 작업이 더 용이하게 된다.
또, 수용 박스(40)는, 지폐가 수용되어 있지 않은 비어 있을 때에는 접은 상태로 해 두면 보관 및 반송이 용이하다.
또, 본 발명의 지엽류 처리 장치에서 처리되는 지엽류는, 복수의 지엽류의 처리(예를 들면 진안이나 금종의 판별 등)가 실시되고, 처리후의 복수의 지엽류가 집적되는 것이면 좋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말하는 지엽류에는,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어지는 지폐 뿐만 아니라, 수표나 유기장(遊技場) 내에서 사용되는 게임용 가상 지폐 등도 포함된다.
1 : 지폐 처리 장치 4 : 처리 유닛(처리부)
6 : 집적 유닛(집적부) 7 : 집적 유닛 본체
7a : 박스 수용 공간 9, 40 : 수용 박스
9a, 41 : 저벽 9b, 42 : 측벽
9c : 지폐 수용 공간 9d : 개구
9e : 마그넷 연결용의 슬릿 9f : 저부 개구
9i : 지지 암 통과용의 제1 슬릿 9h : 조작부 통과용의 제2 슬릿
10 : 지폐 집적 테이블(재치부) 11 : 테이블 이동부(재치부 이동부)
15 : 지폐 집적 테이블측 마그넷 21 : 리니어 부시(이동 부재)
23 : 구동 기구 29 : 인장 코일 스프링(가압 부재)
30 : 리니어 부시측 마그넷 34 : 지지 암(지지부)
35 : 이동 부재 P : 지폐
PA : 집적 지폐

Claims (9)

  1. 복수의 지엽류(紙葉類)를 처리하고, 처리후의 복수의 지엽류를 집적(集積)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지엽류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후의 상기 복수의 지엽류를 집적하는 적어도 1개의 집적부를 구비하며,
    상기 집적부는,
    박스 수용 공간을 가지는 집적부 본체와,
    상기 박스 수용 공간에 출입 가능한 치수를 가지는 수용 박스로서, 상기 수용 박스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지엽류가 통과 가능한 크기의 개구, 및 집적된 상기 복수의 지엽류를 수용하는 지엽류 수용 공간을 가지는 수용 박스와,
    상기 지엽류를 재치할 수 있는 넓이의 상면을 가지고, 상기 수용 박스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재치부와,
    상기 수용 박스가 상기 박스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재치부에 대해서 적어도 상부로 이동시키는 재치부 이동부를 가지고,
    상기 재치부 이동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 부재를 가지고,
    상기 재치부와 상기 이동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1개의 마그넷을 가지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재치부 및 상기 이동 부재 중 어느 일방 또는 양쪽 모두에 마련되며,
    상기 마그넷은, 상기 수용 박스가 상기 박스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재치부와 상기 이동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수용 박스가 상기 박스 수용 공간으로부터 나와 있는 상태일 때에는 상기 연결을 해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지엽류 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 박스의 측벽에는, 상기 측벽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마그넷 연결용의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마그넷은, 상기 슬릿을 통해 상기 재치부와 상기 이동 부재를 연결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
  3. 복수의 지엽류(紙葉類)를 처리하고, 처리후의 복수의 지엽류를 집적(集積)하는 지엽류 처리 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지엽류를 처리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후의 상기 복수의 지엽류를 집적하는 적어도 1개의 집적부를 구비하며,
    상기 집적부는,
    박스 수용 공간을 가지는 집적부 본체와,
    상기 박스 수용 공간에 출입 가능한 치수를 가지는 수용 박스로서, 상기 수용 박스의 상부에 형성된 상기 지엽류가 통과 가능한 크기의 개구, 및 집적된 상기 복수의 지엽류를 수용하는 지엽류 수용 공간을 가지는 수용 박스와,
    상기 지엽류를 재치할 수 있는 넓이의 상면을 가지고, 상기 수용 박스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재치부와,
    상기 수용 박스가 상기 박스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재치부에 대해서 적어도 상부로 이동시키는 재치부 이동부를 가지고,
    상기 재치부 이동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또한 상기 재치부에 대해서 접리 가능한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에 상향의 가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를 가지며,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재치부로부터 떼어놓는 것이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재치부를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을 가지는 지지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 박스는,
    저벽과,
    상기 저벽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로 세워지는 측벽을 가지며,
    상기 측벽은,
    상기 측벽을 관통함과 아울러 상기 지지부가 통과할 수 있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통과용의 제1 슬릿과,
    상기 측벽을 관통하는 제2 슬릿을 가지고,
    상기 저벽은, 상기 제1 슬릿 및 상기 제2 슬릿에 연통하고, 또한 상기 지지부가 통과할 수 있는 저부 개구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부가 상기 수용 박스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제2 슬릿을 통해 상기 수용 박스의 외부로 돌출되어 하향으로 조작할 수 있는 지엽류 처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97023631A 2017-03-15 2018-02-22 지엽류 처리 장치 KR1022053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049657A JP6762249B2 (ja) 2017-03-15 2017-03-15 紙葉類処理装置
JPJP-P-2017-049657 2017-03-15
PCT/JP2018/006353 WO2018168377A1 (ja) 2017-03-15 2018-02-22 紙葉類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594A KR20190104594A (ko) 2019-09-10
KR102205366B1 true KR102205366B1 (ko) 2021-01-19

Family

ID=6352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3631A KR102205366B1 (ko) 2017-03-15 2018-02-22 지엽류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954095B2 (ko)
EP (1) EP3569532B1 (ko)
JP (1) JP6762249B2 (ko)
KR (1) KR102205366B1 (ko)
CN (1) CN110461743B (ko)
BR (1) BR112019013830B1 (ko)
MX (1) MX2019007828A (ko)
PH (1) PH12019501916A1 (ko)
WO (1) WO20181683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522B1 (ko) * 2018-03-23 2019-10-10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트레이 유닛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5023A (ja) * 2013-06-19 2015-01-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カセット
JP2016015003A (ja) * 2014-07-02 2016-01-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収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29339B2 (ko) 1971-10-12 1976-08-25
BE791638A (fr) 1971-11-20 1973-05-21 Hoechst Ag Sulfonyl-ure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JPS5812084A (ja) * 1981-07-16 1983-01-24 株式会社東芝 紙幣処理装置
JPS59143832A (ja) * 1983-02-04 1984-08-17 Fujitsu Ltd 紙葉類検知機構
JPH0643083Y2 (ja) * 1987-03-02 1994-11-09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貨幣収納装置
JPH01143757U (ko) 1988-03-25 1989-10-03
US5219158A (en) * 1992-09-28 1993-06-15 Xerox Corporation Two corner sheet stacking apparatus with matching cover
US5803704A (en) * 1994-02-01 1998-09-08 Lockheed Martin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ccumulating and transferring one or more stacks of articles
JP2742021B2 (ja) * 1994-07-11 1998-04-22 富士通株式会社 スタッカ装置
US5803227A (en) * 1995-06-06 1998-09-08 International Game Technology Bill stacker
JP4631451B2 (ja) * 2005-01-28 2011-02-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収納カセット及び入金装置
US20080099975A1 (en) * 2006-10-26 2008-05-01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stack loader and sheet loading method
JP5129339B2 (ja) 2008-01-17 2013-01-3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釣銭準備金作成方法
US9016687B2 (en) 2008-11-25 2015-04-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Tag stacking system and stack tray and method of making and handling tags
EP2402918A4 (en) 2009-02-27 2013-01-02 Glory Kogyo Kk DEVICE FOR SORTING AND BINDER PROCESSING OF BANKNOTES
US8066273B2 (en) * 2009-12-18 2011-11-29 Ncr Corporation Dual-stack document storage bin for use in a self-service bunch document depositing terminal
JP2012030913A (ja) * 2010-07-29 2012-02-16 Fujifilm Corp 画像形成装置
JP2012078981A (ja) * 2010-09-30 2012-04-19 Fujitsu Frontech Ltd 紙葉類処理装置
CN103456079B (zh) * 2012-05-28 2016-08-31 冲电气工业株式会社 介质处理装置及介质收纳盒
CN104044950B (zh) * 2014-04-11 2017-05-10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张类集积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5023A (ja) * 2013-06-19 2015-01-0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カセット
JP2016015003A (ja) * 2014-07-02 2016-01-28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収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54095B2 (en) 2021-03-23
BR112019013830A2 (pt) 2020-01-28
JP2018150168A (ja) 2018-09-27
EP3569532A1 (en) 2019-11-20
EP3569532A4 (en) 2020-10-28
MX2019007828A (es) 2019-09-09
US20200180895A1 (en) 2020-06-11
EP3569532B1 (en) 2021-10-20
PH12019501916A1 (en) 2020-06-08
KR20190104594A (ko) 2019-09-10
BR112019013830B1 (pt) 2023-05-09
WO2018168377A1 (ja) 2018-09-20
CN110461743A (zh) 2019-11-15
JP6762249B2 (ja) 2020-09-30
CN110461743B (zh)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031B1 (ko) 지폐 수납/지불 장비 및 자동 현금 거래 장치
EP2600322A1 (en) Medium storage box
CN110538806B (zh) 一种检测系统及其上下料设备
JPH0215451B2 (ko)
EP2671833A2 (en) Automatic winder
EP3333813B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CN115515870A (zh) 用于从包装箱中提取物品的提取系统
KR102205366B1 (ko) 지엽류 처리 장치
CN110637329A (zh) 有价文件匣的装填
US5348441A (en) Parts tray conveying system
KR20140084535A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CN105035422B (zh) 用于包装盒的折叠机构和折叠方法、包装机、包装方法
ITBO980282A1 (it) Metodo e macchina per l'inserimento in cassette di gruppi di foglietti in particolare banconote.
CN211520793U (zh) 一种号牌自动码垛设备
JP2630681B2 (ja) 単票等を自動的に供給する装置
BR122022024613B1 (pt) Dispositivo de processamento de folha de papel
CN106904318A (zh) 食品容器供给装置
KR101405082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및 지폐류 입출금방법
KR102030513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JP2013252965A (ja) 回収容器
KR20190013199A (ko) 포장용 로봇시스템
JP3667469B2 (ja) 平坦で中空の物品の取り扱い装置
JP2003157462A (ja) 紙幣処理装置
KR20100073473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저장장치
JPH021545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