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447B1 - 부생가스 홀더장치 - Google Patents

부생가스 홀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447B1
KR102201447B1 KR1020190060947A KR20190060947A KR102201447B1 KR 102201447 B1 KR102201447 B1 KR 102201447B1 KR 1020190060947 A KR1020190060947 A KR 1020190060947A KR 20190060947 A KR20190060947 A KR 20190060947A KR 102201447 B1 KR102201447 B1 KR 102201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unit
product gas
sludge
d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843A (ko
Inventor
우영혁
강찬모
권혁원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447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002Evacuating and treating of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B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0Gas-holders of variable capacity
    • F17B1/02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00Handling of exhaust gases produced during the 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60Process control or energy utilisation in the 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100/64Controll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gas, e.g. pressure or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부생가스 홀더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부생가스 홀더장치는: 부생가스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 저장 탱크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부생가스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이동 장치; 이동 장치의 둘레부에 설치되고, 이동 장치의 둘레부와 저장 탱크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저장 탱크의 내측면에 밀봉 오일을 배출하는 밀봉 장치; 밀봉 장치에서 누설되는 밀봉 오일을 수용하도록 저장 탱크의 하측에 되는 저유댐부; 저유댐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저유댐부에 침전된 슬러지에 유체를 분사하여 슬러지를 유동시키는 분사 노즐부; 분사 노즐부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분사 노즐부에 연결되는 유체 공급부; 및 저유댐부에서 유동되는 슬러지를 저장 탱크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저장 탱크에 연결되는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부생가스 홀더장치{BY-PRODUCT GAS HOLDER APPARATUS}
본 발명은 부생가스 홀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 탱크의 하측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부생가스 홀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제선 공정, 제강 공정, 압연 공정을 거쳐 철강 제품이 생산된다. 제선 공정의 고로에서는 철광석, 코크스 및 석회를 반응시킨다. 고로에서는 선철 제조시 부생가스가 발생된다. 부생가스는 부생가스 홀더에 저장되거나 발전소로 직접 공급된다. 부생가스는 발전소에서 연료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7-0043079호(1997. 07. 26 공개, 발명의 명칭: 직립원통형 피스톤 방식의 홀더 레벨 예측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 탱크의 하측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는 부생가스 홀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는: 부생가스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부생가스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이동 장치; 상기 이동 장치의 둘레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장치의 둘레부와 상기 저장 탱크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상기 저장 탱크의 내측면에 밀봉 오일을 배출하는 밀봉 장치; 상기 밀봉 장치에서 누설되는 밀봉 오일을 수용하도록 상기 저장 탱크의 하측에 되는 저유댐부; 상기 저유댐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유댐부에 침전된 슬러지에 유체를 분사하여 슬러지를 유동시키는 분사 노즐부; 상기 분사 노즐부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분사 노즐부에 연결되는 유체 공급부; 및 상기 저유댐부에서 유동되는 슬러지를 상기 저장 탱크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저장 탱크에 연결되는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 노즐부는 상기 분사홀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2열 이상 형성되는 노즐 바디부; 및 상기 노즐 바디부에 공급되는 유체를 선회시키도록 상기 노즐 바디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선회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회팬부는 상기 노즐 바디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노즐 바디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유댐부는 상기 저장 탱크의 하측에 상기 저장 탱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분사 노즐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및 상기 분사 노즐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생가스 홀더장치는 상기 저유댐부에 수용되는 슬러지를 가열하도록 상기 저유댐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열 라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라인부는 상기 저유댐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 노즐부가 슬러지에 유체를 분사하여 슬러지를 유동시키므로, 저유댐부에서 슬러지가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 라인부가 저유댐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되므로, 저유댐부의 슬러지가 원주방향을 따라 고르게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슬러지의 배출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에서 분사 노즐부와 유체 공급부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에서 분사 노즐부와 유체 공급부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에서 분사 노즐부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의 분사 노즐부에서 선회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에서 가열 라인부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부생가스 홀더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에서 분사 노즐부와 유체 공급부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에서 분사 노즐부와 유체 공급부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에서 분사 노즐부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의 분사 노즐부에서 선회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에서 가열 라인부의 설치 형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생가스 홀더장치는 저장 탱크(110), 이동 장치(120), 밀봉 장치(130), 저유댐부(150), 분사 노즐부(160), 유체 공급부(170) 및 슬러지 배출부(180)를 포함한다.
저장 탱크(110)는 고로나 코크스 공장에서 발생되는 BFG(Blast Furnace Gas) 등의 부생가스가 공급된다. 저장 탱크(110)는 가스 배관(144)에 의해 고로와 연결된다. 가스 배관(144)에는 공급 배관(144)이 연결된다.
공급 배관(144)은 발전소 등과 같이 부생가스가 필요한 설비에 부생가스를 공급한다. 공급 배관(144)에는 유로를 개폐하도록 밸브가 설치된다. 고로나 코크스 공장에서 발생된 부생가스는 저장 탱크(110)에 공급되거나 또는 발전소의 부생가스 저장부(141)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이동 장치(120)는 저장 탱크(11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부생가스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이동 장치(120)는 저장 탱크(110)의 내부 공간을 상측 공간(115)과 하측 공간(113)으로 구획한다. 이동 장치(120)는 저장 탱크(110)에 저장된 부생가스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저장 탱크(110)에 공급된 부생가스가 하측 공간(113)에서 상측 공간(115)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 장치(120)는 부생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 탱크(110)에 부생가스가 공급되는 경우, 부생가스의 압력이 이동 장치(120)의 자중보다 크게 형성되면, 이동 장치(120)는 부생가스의 압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 장치(120)는 부생 가스의 압력이 이동 장치(120)의 자중과 동일해질 때까지 상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저장 탱크(110)에서 부생가스가 배출되는 경우, 부생가스의 압력이 이동 장치(120)의 자중보다 작게 형성되면, 이동 장치(120)는 부생가스의 압력이 낮아짐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이동 장치(120)는 부생 가스의 압력이 이동 장치(120)의 자중과 동일해질 때까지 하측으로 이동된다.
이동 장치(120)가 저장 탱크(110)에 저장된 부생가스를 압축하고, 이동 장치(120)가 부생가스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므로, 저장 탱크(110)의 부생가스는 저장된 양에 거의 상관없이 농도 및 압축비가 균일해진다. 따라서, 발전소 등과 같이 부생가스가 필요한 곳에 일정한 농도와 압력의 부생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장치(120)가 부생가스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므로, 부생가스의 공급량이 변경되더라도 저장 탱크(110)의 내부 압력을 탄력적으로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부생가스가 저장 탱크(110) 내부에서 가장 안정화된 상태로 저장될 수 있다.
이동 장치(120)는 이동판(121), 서포트 프레임(123) 및 이동 롤러부(125)를 포함한다.
이동판(121)은 저장 탱크(110)의 내부를 구획한다. 이동판(121)은 부생가스의 유동을 차단하도록 부생가스가 통과하지 못하는 판형 구조물이다. 저장 탱크(110)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면, 이동판(121)은 원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판(121)은 저장 탱크(110)의 내부를 구획하는 한 저장 탱크(11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서포트 프레임(123)은 이동판(121)의 상측에 배치된다. 서포트 프레임(123)은 이동판(121)이 안정되게 이동되도록 일정한 강성을 갖는다. 서포트 프레임(123)은 이동판(121)이 부생가스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 롤러부(125)는 서포트 프레임(123)의 둘레부를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롤러부(125)는 저장 탱크(110)의 내측면과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이동 장치(120)가 이동될 때에 이동 롤러부(125)가 저장 탱크(110)의 내측면과 접촉됨에 의해 회전된다.
밀봉 장치(130)는 이동 장치(120)의 둘레부에 배치된다. 이때, 밀봉 장치(130)는 이동판(121)의 둘레부에 고정된다. 밀봉 장치(130)의 내부에는 이동 장치(120)의 둘레부와 저장 탱크(110)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저장 탱크(110)의 내측면에 밀봉 오일을 배출한다.
밀봉 장치(130)에서 배출된 밀봉 오일은 밀봉 장치(130)와 이동 장치(120) 사이의 틈새를 밀봉한다. 밀봉 장치(130)에는 밀봉 오일을 가열하도록 가열부(미도시)가 설치된다. 저장 탱크(110)의 부생가스가 밀봉 장치(130)와 이동 장치(1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측 공간(115)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저장 탱크(110) 내부의 부생가스가 일정한 농도 및 압축비로 압축될 수 있다. 또한, 가열부가 밀봉 오일를 가열하므로, 기온이 급강하하더라도 밀봉 오일이 결빙되거나 밀봉 오일의 점도(viscosity)가 비정상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봉 장치(130)에 밀봉 오일을 공급하도록 밀봉 유체 공급부(140)가 설치된다. 밀봉 장치(130)의 밀봉 오일은 밀봉 장치(130)에서 누설됨에 따라 저장 탱크(110)의 내측면을 따라 흘러내리고, 밀봉 유체 공급부(140)는 밀봉 장치(130)에 밀봉 오일을 보충해 준다.
밀봉 유체 공급부(140)는 밀봉 오일이 저장되는 저장부(141)와, 저장부(141)의 내부에 배치되는 펌프(142)와, 펌프(142)로부터 저장 탱크(110)의 상측까지 연장되는 배관(144)과, 배관(144)에 연결되고, 저장 탱크(11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저유부(145)를 포함한다. 펌프(142)가 구동되면, 저장부(141)의 밀봉 오일은 배관(144)을 따라 상승되어 저유부(145)에 공급된다.
저유부(145)는 저장 탱크(1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밀봉 오일을 저장 탱크(110)의 상측 내측면으로 공급한다. 밀봉 오일은 저장 탱크(110)의 내측 벽면을 따라 흘러내려 밀봉 장치(130)에 유입된다. 저유부(145)가 밀봉 장치(130)의 상측에 배치되므로, 이동 장치(120)가 이동됨에 따라 밀봉 장치(130)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밀봉 장치(130)에 밀봉 오일을 항상 공급할 수 있다.
저유부(145)는 저장 탱크(110)의 내측면으로 밀봉 오일 흘려 내림에 의해 밀봉 장치(130)에 밀봉 오일을 공급한다. 따라서, 배관(144)을 별도로 이용하지 않고 밀봉 오일을 밀봉 장치(130)에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관(144)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이동 장치(120)가 이동될 때에 배관(144)이 이동 장치(120)에 걸리거나 방해되는 구조물을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저유댐부(150)는 밀봉 장치(130)에서 누설되는 밀봉 오일을 수용하도록 저장 탱크(1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저유댐부(150)는 저장 탱크(110)의 내측 벽면에서 중심부 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저유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저유댐부(150)는 저장 탱크(110)의 하측에 저장 탱크(11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저장 탱크(110)의 내측 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밀봉 오일이 저유댐부(150)의 내부에 거의 모두 수거될 수 있다.
또한, 저유댐부(150)의 바닥면은 저장 탱크(110)의 내측 벽면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저유댐부(150)의 슬러지(S)가 저장 탱크(110)의 내측 벽면 측으로 원활하게 흘러내려갈 수 있다.
분사 노즐부(160)는 저유댐부(150)의 내측에 배치되고, 저유댐부(150)에 침전된 슬러지(S)에 유체를 분사하여 슬러지(S)를 유동시킨다. 여기서, 슬러지(S)는 저유댐부(150)에 저장되는 밀봉 오일, 부생 가스에 함유된 수분 및 부생 가스에 함유된 이물질 등이 혼합된 물질을 의미한다.
분사 노즐부(160)는 분사관부(160a)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도 2 참조). 따라서, 분사 노즐부(160)의 분사홀부(162)를 통해 분사되는 유체가 항상 동일한 방향으로만 분사된다.
또한, 분사 노즐부(160)는 노즐 바디부(161)와 선회팬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도 3 및 도 4 참조). 노즐 바디부(161)에는 분사홀부(162)가 노즐 바디부(161)의 길이방향을 따라 2열 이상 형성된다. 노즐 바디부(16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분사관부(164)에는 베어링부(163)가 설치되고, 베어링부(163)에는 노즐 바디부(161)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선회팬부(165)는 노즐 바디부(161)에 공급되는 유체를 선회시키도록 노즐 바디부(161)의 내측에 설치된다. 노즐 바디부(161)에 공급되는 유체가 선회팬부(165)를 통과하면서 선회되면서 선회팬부(165)를 회전시키고, 선회팬부(165)가 회전됨에 따라 노즐 바디부(161)가 회전된다. 따라서, 분사 노즐부(160)가 저유댐부(150)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므로, 저유댐부(150)에 침전되거나 퇴적된 슬러지(S)가 거의 전체적으로 유동화될 수 있다.
선회팬부(165)는 노즐 바디부(161)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허브(165)와, 허브(165)의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노즐 바디부(161)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부(166)를 포함한다. 복수의 블레이드부(166)는 허브(165)의 회전축과 수직한 평면에 대하여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복수의 블레이드부(166)의 외측 단부는 고정링부(167)에 연결되고, 고정링부(167)는 노즐 바디부(161)에 연결된다.
유체가 블레이드부(166)를 가압하면서 통과함에 따라 선회팬부(165) 회전되고, 선회팬부(165)가 노즐 바디부(161)의 내측면에 고정되므로, 노즐 바디부(161)가 선회팬부(165)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노즐 바디부(161)에서 유체의 분사 각도가 계속적으로 변경되면서 유체가 분사될 수 있다.
저유댐부(150)에 침전된 슬러지(S)가 분사 노즐부(160)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유동성이 증대되므로, 슬러지(S)가 슬러지 배출부(180)에 의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저장 탱크(110)의 내부에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체 공급부(170)와 슬러지 배출부(180)를 구동하여 저유댐부(150)의 슬러지(S)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유체 공급부(170)는 분사 노즐부(160)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분사 노즐부(160)에 연결된다. 유체 공급부(170)가 구동됨에 따라 분사 노즐부(160)에 일정 압력의 유체가 공급된다.
유체 공급부(170)는 분사 노즐부(160)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171)와, 분사 노즐부(16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175)를 포함한다. 가스 공급부(171)와 세척수 공급부(175)가 분사 노즐부(160)에 가스와 세척수를 동시에 공급하므로, 분사 노즐부(160)에서는 가스와 세척수가 동시에 분사된다. 가스는 침전되거나 퇴적된 슬러지(S)가 붕괴되면서 미분화되는 것을 촉진하고, 세척수는 미분화되는 슬러지(S) 오일이나 물에 보다 용이하게 혼합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척수로는 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가스 공급부(171)는 질소를 공급하는 질소 공급부(172)와, 코크스 가스를 공급하는 코크스 가스 공급부(171)를 포함한다. 가스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슬러지 배출부(180)는 저유댐부(150)에서 유동되는 슬러지(S)를 저장 탱크(1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저장 탱크(110)에 연결된다. 슬러지 배출부(180)는 배출 파이프(미도시)에 의해 저장 탱크(110)에 연결될 수 있다. 슬러지 배출부(180)는 흡입 압력에 의해 슬러지(S)를 흡입하는 배출펌프(142)가 적용될 수 있다.
부생가스 홀더장치는 저유댐부(150)에 수용되는 슬러지(S)를 가열하도록 저유댐부(150)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열 라인부(190)를 더 포함한다. 가열 라인부(190)로는 내부에 온수가 유동되는 온수 라인부가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온수 라인부는 슬러지(S)를 가열하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가열 라인부(190)가 슬러지(S)를 가열하므로, 외부 기온이 차가운 경우에도 슬러지(S)의 점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열 라인부(190)는 저유댐부(150)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저유댐부(150)의 슬러지(S)가 원주방향을 따라 고르게 가열되므로, 슬러지(S)의 배출 성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또한, 가열 라인부(190)는 저유댐부(150)의 원주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가열 라인부(190)의 열교환 면적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가열 라인부(190)는 저유댐부(150)의 바닥면에서 일정한 높이에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슬러지(S)에는 오일, 물 및 이물질이 함유된다. 오일은 물보다 비중이 낮기 때문에 오일이 물의 상측에 배치된다. 가열 라인부(190)가 오일에 위치되므로 오일이 가열 라인부(190)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오일의 유동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저유댐부(150)에 침전된 슬러지(S)가 분사 노즐부(160)에서 분사되는 유체에 의해 유동성되므로, 슬러지(S)가 슬러지 배출부(180)에 의해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저장 탱크(110)의 내부에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도 유체 공급부(170)와 슬러지 배출부(180)를 구동하여 저유댐부(150)의 슬러지(S)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노즐 바디부(161)에 공급되는 유체가 선회팬부(165)를 통과하면서 선회되면서 선회팬부(165)를 회전시키고, 선회팬부(165)가 회전됨에 따라 노즐 바디부(161)가 회전된다. 따라서, 분사 노즐부(160)가 저유댐부(150)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므로, 저유댐부(150)에 침전되거나 퇴적된 슬러지(S)가 거의 전체적으로 유동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저장 탱크 113: 하측 공간
115: 상측 공간 120: 이동 장치
121: 이동판 123: 서포트 프레임
125: 이동 롤러부 130: 밀봉 장치
140: 밀봉 유체 공급부 141: 저장부
142: 펌프 144: 배관
145: 저유부 150: 저유댐부
160: 분사 노즐부 161: 노즐 바디부
162: 분사홀부 163; 베어링부
164: 분사관부 165: 선회팬부
165: 허브 166: 블레이드부
167: 고정링부 170: 유체 공급부
171: 가스 공급부 172: 질소 공급부
173: 코크스가스 공급부 175: 세척수 공급부
180: 슬러지 배출부 190: 가열 라인부
S: 슬러지

Claims (7)

  1. 부생가스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
    상기 저장 탱크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고, 부생가스의 압력에 의해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이동 장치;
    상기 이동 장치의 둘레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동 장치의 둘레부와 상기 저장 탱크의 내측면 사이의 틈새를 밀봉하도록 상기 저장 탱크의 내측면에 밀봉 오일을 배출하는 밀봉 장치;
    상기 밀봉 장치에서 누설되는 밀봉 오일을 수용하도록 상기 저장 탱크의 하측에 되는 저유댐부;
    상기 저유댐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저유댐부에 침전된 슬러지에 유체를 분사하여 슬러지를 유동시키는 분사 노즐부;
    상기 분사 노즐부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상기 분사 노즐부에 연결되는 유체 공급부; 및
    상기 저유댐부에서 유동되는 슬러지를 상기 저장 탱크의 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상기 저장 탱크에 연결되는 슬러지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부는,
    분사홀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2열 이상 형성되는 노즐 바디부; 및
    상기 노즐 바디부에 공급되는 유체를 선회시키도록 상기 노즐 바디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선회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생가스 홀더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팬부는,
    상기 노즐 바디부의 중심부에 배치되는 허브; 및
    상기 허브의 외측면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상기 노즐 바디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생가스 홀더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댐부는 상기 저장 탱크의 하측에 상기 저장 탱크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생가스 홀더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부는,
    상기 분사 노즐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부; 및
    상기 분사 노즐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생가스 홀더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유댐부에 수용되는 슬러지를 가열하도록 상기 저유댐부의 내측에 설치되는 가열 라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생가스 홀더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라인부는 상기 저유댐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링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생가스 홀더장치.
KR1020190060947A 2019-05-24 2019-05-24 부생가스 홀더장치 KR102201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947A KR102201447B1 (ko) 2019-05-24 2019-05-24 부생가스 홀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0947A KR102201447B1 (ko) 2019-05-24 2019-05-24 부생가스 홀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843A KR20200134843A (ko) 2020-12-02
KR102201447B1 true KR102201447B1 (ko) 2021-01-12

Family

ID=73791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0947A KR102201447B1 (ko) 2019-05-24 2019-05-24 부생가스 홀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44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0936Y1 (ko) * 1989-12-26 1992-02-06 주식회사 신우엔지니어링 횡류식 침전지의 슬러지 제거장치
KR100406568B1 (ko) * 1998-07-31 2004-04-29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홀더의 실 오일 불순물 제거장치
KR101504917B1 (ko) * 2013-06-27 2015-03-23 현대제철 주식회사 부생가스 홀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843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6462A (ko) 열가소성 물질을 위한 열 및 공기 제어된 공급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형화 및 반응성 중합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 및 기구
KR101435170B1 (ko) 슬래그 입상화 장치
KR102201447B1 (ko) 부생가스 홀더장치
KR101400315B1 (ko) 슬래그 입상화 장치
RU2758893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хлаждения горячебрикетированного железа
CN103935964A (zh) 一种硫磺水下成型设备及工艺
JP5812289B2 (ja) 水封装置及びダスト排出方法
JP5863653B2 (ja) 冷却システムが装備されたシャフト炉充填装置及び該装置に用いられる環状スイベルジョイント
KR101504917B1 (ko) 부생가스 홀더
KR20060103154A (ko) 라이너 소재 공급 장치
CN207822788U (zh) 一种提高脱硫塔脱硫效率的装置
KR20220027890A (ko) 온도 제어 가능한 케이싱 부분을 가진 펌프 장치
CN207307990U (zh) 卧式砂磨机的磨筒以及卧式砂磨机
US3707335A (en) Water pump
RU2604606C2 (ru) Валок
US84094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and cleaning a pulp tower
US20100186775A1 (en) Rotating cleaning system
CN104774626A (zh) 一种物料冷却装置
CN211367582U (zh) 一种玉米淀粉糖化装置
KR200209933Y1 (ko) 접착제 분사노즐
US20130105012A1 (en) Delivery device
KR20230021260A (ko) 부생가스 홀더장치
CN113000522A (zh) 筒类设备的进料装置以及筒类设备自动清洁系统
US3412909A (en) Ice dispensing bin
KR101402067B1 (ko) 드라이 피트의 황화수소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