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5170B1 - 슬래그 입상화 장치 - Google Patents

슬래그 입상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5170B1
KR101435170B1 KR20130021597A KR20130021597A KR101435170B1 KR 101435170 B1 KR101435170 B1 KR 101435170B1 KR 20130021597 A KR20130021597 A KR 20130021597A KR 20130021597 A KR20130021597 A KR 20130021597A KR 101435170 B1 KR101435170 B1 KR 101435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ath
cooling liquid
cooling
cooling gas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철
김인수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21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51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5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5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3/00Gener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pig-iron
    • C21B3/04Recovery of by-products, e.g. slag
    • C21B3/06Treatment of liquid slag
    • C21B3/08Cooling sla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5/00Handling or treating discharged material; Supports or receiving chambers therefor
    • F27D15/02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2200/00Recycling of non-gaseous waste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슬래그 입상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융 슬래그가 주입되는 챔버, 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면으로 낙하하는 용융 슬래그를 챔버의 내벽을 향해 비산시켜 입상 슬래그를 형성하는 회전체, 회전체에 형성되어, 비산되는 입상 슬래그에 냉각액과 냉각기체를 함께 분사하는 2유체 노즐, 및 회전체에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슬래그 입상화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슬래그 입상화 장치{APPARATUS FOR SLAG GRANULATION}
본 발명은 슬래그 입상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관제철 공정 또는 전기로 공정 중에는 다량의 슬래그, 예를 들어 고로 또는 전기로의 조업량 1t 당 0.3t 정도의 슬래그가 고온의 용융 상태로 발생된다. 이러한 슬래그는 건축, 토목 공사용 골재 등으로 재활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래그를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고온의 용융 상태인 슬래그를 입상화 처리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물을 이용하여 슬래그를 급냉시키는 경우 수재 슬래그가 형성되며, 공기를 이용하여 슬래그를 서냉시키는 경우 괴재 슬래그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93337호(2006.08.24, 슬래그 입상화 방법 및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냉 방식과 공냉 방식을 병행함으로써 적은 에너지로 보다 효과적으로 슬래그를 입상화할 수 있는 슬래그 입상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용융 슬래그가 주입되는 챔버, 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면으로 낙하하는 용융 슬래그를 챔버의 내벽을 향해 비산시켜 입상 슬래그를 형성하는 회전체, 회전체에 형성되어, 비산되는 입상 슬래그에 냉각액과 냉각기체를 함께 분사하는 2유체 노즐, 및 회전체에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슬래그 입상화 장치가 제공된다.
2유체 노즐은 복수개이며, 복수의 2유체 노즐은, 분사구의 직경이 회전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회전체는, 용융 슬래그가 낙하하는 상면을 갖는 중앙부, 및 2유체 노즐이 배치되는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회전판부, 및 회전판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회전판부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판부에는 2유체 노즐과 연결되어 2유체 노즐에 냉각액과 냉각기체를 각각 공급하는 제1 냉각액 공급로 및 제1 냉각기체 공급로가 형성되고, 회전축부에는 제1 냉각액 공급로 및 제1 냉각기체 공급로와 각각 연결되어 제1 냉각액 공급로 및 제1 냉각기체 공급로에 냉각액과 냉각기체를 각각 공급하는 제2 냉각액 공급로 및 제2 냉각기체 공급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냉각액 공급로 및 제2 냉각기체 공급로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내부에 수용되고, 제2 냉각액 공급로 및 제2 냉각기체 공급로의 중심은 회전체의 회전 중심과 일치할 수 있다.
슬래그 입상화 장치는, 제2 냉각액 공급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 냉각액 공급로에 냉각액을 공급하는 냉각액 공급관, 제2 냉각기체 공급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2 냉각기체 공급로에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냉각기체 공급관, 및 냉각액과 냉각기체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제2 냉각액 공급로와 냉각액 공급관 사이 및 제2 냉각기체 공급로와 냉각기체 공급관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실 베어링(seal bea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챔버의 내벽에는, 비산하여 챔버의 내벽에 충돌하는 입상 슬래그의 하강을 유도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냉 방식과 공냉 방식을 병행함으로써 적은 에너지로 보다 효과적으로 슬래그를 입상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입상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입상화 장치의 회전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입상화 장치의 제2 냉각액 공급로, 제2 냉각기체 공급로 및 이에 연결되는 냉각액 공급관, 냉각기체 공급관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제2 냉각액 공급로 및 제2 냉각기체 공급로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슬래그 입상화 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로 또는 전기로의 조업 중 발생되는 고온의 용융 슬래그(10)를 입상화하기 위한 장치로서, 챔버(110), 회전체(120), 2유체 노즐(130) 및 구동 유닛(150)을 포함하는 슬래그 입상화 장치(100)가 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체(120)를 이용하여 용융 슬래그(10)를 비산시키면서 2유체 노즐(130)을 이용하여 용융 슬래그(10)에 냉각액(30)과 냉각기체(40)가 혼합된 혼합유체(60)를 분사함으로써, 회전체(120)를 구동하기 위한 전기 에너지의 양을 줄이면서도 효과적으로 슬래그를 입상화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회전체(120)의 원심력을 이용하여 용융 슬래그(10)를 비산시킴에 있어 수냉 및 공냉 방식이 혼합된 2유체 노즐(130)을 적용함으로써 용융 슬래그(10)의 입상화가 보다 원활히 일어날 수 있으므로, 슬래그의 입상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많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여 회전체(120)의 회전수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으며, 이에 따라 회전수 증가에 따른 고장을 방지하여 장치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슬래그 입상화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의 내부에는 회전체(1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챔버(110)의 상부에는 턴디쉬(112)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러한 턴디쉬(112)를 통해 용융 슬래그(10)가 챔버(110) 내부의 회전체(120)로 주입될 수 있다.
회전체(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상면에는 턴디쉬(112)를 통해 주입된 용융 슬래그(10)가 낙하하게 된다. 회전체(120)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 유닛(150)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 운동하며, 이러한 회전체(120)의 회전 운동에 따라 회전체(120) 상면의 용융 슬래그(10)에는 원심력이 작용하여 용융 슬래그(10)는 회전체(120)의 반경 방향 외측, 즉 챔버(110)의 내벽을 향해 입상 슬래그(20)의 형태로 비산하게 된다.
회전체(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부(122)와 회전축부(124)로 구성될 수 있다. 회전판부(122)의 상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턴디쉬(112)로부터 주입되는 용융 슬래그(10)가 낙하하게 되며, 구체적으로 회전판부(1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122a), 가장자리부(122b) 및 슬래그 가이드(122c)로 구성될 수 있다.
중앙부(122a)는 턴디쉬(112)로부터 주입된 용융 슬래그(10)가 낙하하는 부분으로 평판 구조를 가지며, 가장자리부(122b)는 이러한 중앙부(122a)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장자리부(122b)에는 후술할 2유체 노즐(130)이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장자리부(122b)가 중앙부(122a)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회전체(12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더라도 용융 슬래그(10)는 가장자리부(122b)의 경사에 의한 중력의 영향을 받아 외측으로의 비산이 촉진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장자리부(122b)의 단부에는 슬래그 가이드(122c)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래그 가이드(122c)는 상부 방향으로 만곡된 형상을 가지므로, 회전체(12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어 용융 슬래그(10)가 가장자리부(122b)를 따라 흘러내리는 경우에도 용융 슬래그(10)가 비산되지 않고 그대로 챔버(110)의 바닥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전축부(124)는 회전체(120)의 회전 중심축의 기능을 수행하며, 회전판부(12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판부(122)와 함께 회전 운동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20)는 모터 등의 구동 유닛(150)으로부터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 받으며, 예를 들어 회전축부(124)의 외주면 및 모터의 회전축에 각각 결합된 한 쌍의 베벨 기어를 통해 구동력을 전달 받을 수 있다.
2유체 노즐(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120)에 형성되어, 회전체(120)로부터 비산되는 입상 슬래그(20)에 냉각액(30)과 냉각기체(40)를 함께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2유체 노즐(130)을 이용하여, 회전체(120)로부터 비산되는 입상 슬래그(20)에 냉각액(30)과 냉각기체(40)의 혼합유체(60)를 분사함으로써, 비산되는 입상 슬래그(20)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전체(120)의 회전수를 필요 이상으로 높이지 않더라도 용융 슬래그(10)를 효과적으로 입상화할 수 있다.
이 경우 2유체 노즐(1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부(122)의 가장자리부(122b)를 따라 방사 구조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들 2유체 분사 노즐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2유체 노즐(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분사구(132)의 직경이 회전체(12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유체 노즐(130)의 분사구(132) 사이즈를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작게 형성함으로써, 2유체 노즐(130)을 입상 슬래그(20)의 냉각 요구량에 대응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회전체(120)의 외측으로 비산되는 입상 슬래그(20)는 상대적으로 중앙에 가까운 2유체 노즐(130)의 혼합유체(60)에 의해 1차적으로 냉각된 상태이므로, 상대적으로 외측에 가까운 2유체 노즐(130)은 1차 냉각된 입상 슬래그(20)에 필요 이상으로 많은 양의 혼합유체(60)를 분사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2유체 노즐(130)의 분사구(132) 직경을 회전체(120)의 외측으로 갈수록 작게 형성하는 경우, 냉각액(30)과 냉각기체(40)가 필요 이상으로 분사되어 낭비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2유체 노즐(130)은 회전체(120) 내부에 마련된 제1 냉각액 공급로(126a) 및 제2 냉각액 공급로(128a)를 통해 냉각액(30)을 공급받게 되며, 제1 냉각기체 공급로(126b) 및 제2 냉각기체 공급로(128b)를 통해 냉각기체(40)를 공급받게 된다.
그리고 제2 냉각액 공급로(128a) 및 제2 냉각기체 공급로(128b)는 냉각액 공급관(162) 및 냉각기체 공급관(164)과 각각 연결되어, 펌프 등의 구동원에 의해 냉각액 탱크(166) 및 냉각기체 탱크(168)로부터 각각 공급되는 냉각액(30) 및 냉각기체(40)를 공급받는다.
제1 냉각액 공급로(126a)와 제1 냉각기체 공급로(126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판부(122)의 내부에 방사상 대칭을 이루도록 다수 형성되며, 상술한 2유체 노즐(130)은 제1 냉각액 공급로(126a)와 제1 냉각기체 공급로(126b)와 연결되어 이들로부터 냉각액(30)과 냉각기체(40)를 공급받는다.
제2 냉각액 공급로(128a)와 제2 냉각기체 공급로(128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부(124)의 내부에 형성되며, 제1 냉각액 공급로(126a)와 제1 냉각기체 공급로(126b)와 각각 연결되어 제1 냉각액 공급로(126a)와 제1 냉각기체 공급로(126b)에 냉각액(30) 및 냉각기체(40)를 각각 공급한다.
이 경우, 제2 냉각액 공급로(128a) 및 제2 냉각기체 공급로(128b)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내부에 수용된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냉각액 공급로(128a)는 제2 냉각기체 공급로(128b)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이들 제2 냉각액 공급로(128a)와 제2 냉각기체 공급로(128b)는 그 중심이 회전체(120)의 회전 중심(70)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냉각액 공급관(162) 역시 냉각기체 공급관(164)의 내부에 수용되며 이들은 각 중심이 회전체(120)의 회전 중심(70)과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냉각액 공급관(162)과 냉각기체 공급관(16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부에 회전축부(124)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액 공급관(162)은 제2 냉각액 공급로(128a)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냉각기체 공급관(164)은 제2 냉각기체 공급로(128b)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냉각액 공급관(162)은 제2 냉각액 공급로(128a)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즉 냉각액(30)을 저장하고 있는 냉각액 탱크(166)로부터 제2 냉각액 공급로(128a)에 냉각액(30)을 공급할 수 있으며, 냉각기체 공급관(164)은 제2 냉각기체 공급로(128b)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즉 냉각기체(40)를 저장하고 있는 냉각기체 탱크(168)로부터 제2 냉각기체 공급로(128b)에 냉각기체(40)를 공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냉각액 공급로(128a)와 냉각액 공급관(162) 사이 및 제2 냉각기체 공급로(128b)와 냉각기체 공급관(164) 사이에는 실 베어링(170)(seal bearing)이 개재될 수 있다. 실 베어링(170)은 실링 부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냉각액(30)과 냉각기체(40)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축부(124)가 냉각액 공급관(162)과 냉각기체 공급관(164)에 대해 회전 운동을 함에도, 냉각액(30) 및 냉각기체(40)는 외부로 누출됨이 없이 제2 냉각액 공급로(128a) 및 제2 냉각기체 공급로(128b)로 각각 이송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120)의 회전 운동에 의해 회전체(120)의 외측 방향으로 비산되는 입상 슬래그(20)는 냉각액(30)과 냉각기체(40)의 수냉 및 공냉에 의해 냉각되면서 챔버(110)의 내벽에 충돌하게 된다.
이 경우 챔버(110)의 내벽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114)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체(120)의 외측으로 비산하여 챔버(110)의 내벽에 충돌하는 입상 슬래그(20)는 이러한 경사면(114)에 의해 보다 원활히 하강하도록 유도되어 그 하부의 포집 용기(180)에 포집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용융 슬래그(10)의 수냉 및 공냉에 이용된 냉각액(30) 및 냉각기체(40)는 용융 슬래그(10)로부터 열을 전달받아 증기 등의 배가스(50)로 변환된다. 이와 같이 열 에너지를 보유한 배가스(50)는 챔버(110)의 에너지 회수구(116)를 통해 배출되어, 다양한 용도의 열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2유체 노즐(130)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액(30)과 냉각기체(40)의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90)의 냉각액(30)과 냉각기체(40)의 분사량 제어는 수위 센서(192) 및 온도 센서(194)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턴디쉬(112)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 슬래그(10)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192) 및 용융 슬래그(10)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194)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위 센서(192) 및 온도 센서(194)를 이용하여 턴디쉬(112) 내의 용융 슬래그(10) 양이 예측될 수 있다.
수위 센서(192) 및 온도 센서(194)에 의해 용융 슬래그(10)의 양이 산출되면, 제어부(190)는 그에 따라 냉각액(30)과 냉각기체(40)의 분사량을 증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융 슬래그(10)의 양이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90)는 냉각액 탱크(166) 및 냉각기체(40) 각각의 펌프 작동을 제어하여 냉각액(30)과 냉각기체(40)의 분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용융 슬래그
20: 입상 슬래그
30: 냉각액
40: 냉각기체
50: 배가스
60: 혼합유체
70: 회전체의 회전 중심
100: 슬래그 입상화 장치
110: 챔버
112: 턴디쉬
114: 경사면
116: 에너지 회수구
120: 회전체
122: 회전판부
122a: 중앙부
122b: 가장자리부
122c: 슬래그 가이드
124: 회전축부
126a: 제1 냉각액 공급로
126b: 제1 냉각기체 공급로
128a: 제2 냉각액 공급로
128b: 제2 냉각기체 공급로
130: 2유체 노즐
132: 분사구
150: 구동 유닛
162: 냉각액 공급관
164: 냉각기체 공급관
166: 냉각액 탱크
168: 냉각기체 탱크
170: 실 베어링
180: 포집 용기
190: 제어부
192: 수위 센서
194: 온도 센서

Claims (7)

  1. 용융 슬래그가 주입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면으로 낙하하는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챔버의 내벽을 향해 비산시켜 입상 슬래그를 형성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비산되는 상기 입상 슬래그에 냉각액과 냉각기체를 함께 분사하는 2유체 노즐; 및
    상기 회전체에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2유체 노즐은 복수개이며,
    복수의 상기 2유체 노즐은, 분사구의 직경이 상기 회전체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감소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입상화 장치.
  2. 삭제
  3. 용융 슬래그가 주입되는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상면으로 낙하하는 상기 용융 슬래그를 상기 챔버의 내벽을 향해 비산시켜 입상 슬래그를 형성하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에 형성되어, 비산되는 상기 입상 슬래그에 냉각액과 냉각기체를 함께 분사하는 2유체 노즐; 및
    상기 회전체에 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용융 슬래그가 낙하하는 상면을 갖는 중앙부, 및 상기 2유체 노즐이 배치되는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회전판부; 및
    상기 회전판부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부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입상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부에는 상기 2유체 노즐과 연결되어 상기 2유체 노즐에 상기 냉각액과 상기 냉각기체를 각각 공급하는 제1 냉각액 공급로 및 제1 냉각기체 공급로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부에는 상기 제1 냉각액 공급로 및 제1 냉각기체 공급로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1 냉각액 공급로 및 제1 냉각기체 공급로에 상기 냉각액과 상기 냉각기체를 각각 공급하는 제2 냉각액 공급로 및 제2 냉각기체 공급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입상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액 공급로 및 상기 제2 냉각기체 공급로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제2 냉각액 공급로 및 상기 제2 냉각기체 공급로의 중심은 상기 회전체의 회전 중심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입상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냉각액 공급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냉각액 공급로에 상기 냉각액을 공급하는 냉각액 공급관;
    상기 제2 냉각기체 공급로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2 냉각기체 공급로에 상기 냉각기체를 공급하는 냉각기체 공급관; 및
    상기 냉각액과 상기 냉각기체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냉각액 공급로와 상기 냉각액 공급관 사이 및 상기 제2 냉각기체 공급로와 냉각기체 공급관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실 베어링(seal bearing)을 더 포함하는 슬래그 입상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내벽에는, 비산하여 상기 챔버의 내벽에 충돌하는 상기 입상 슬래그의 하강을 유도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그 입상화 장치.
KR20130021597A 2013-02-27 2013-02-27 슬래그 입상화 장치 KR101435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1597A KR101435170B1 (ko) 2013-02-27 2013-02-27 슬래그 입상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1597A KR101435170B1 (ko) 2013-02-27 2013-02-27 슬래그 입상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5170B1 true KR101435170B1 (ko) 2014-09-02

Family

ID=5175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1597A KR101435170B1 (ko) 2013-02-27 2013-02-27 슬래그 입상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517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3209A (zh) * 2014-09-26 2015-01-28 重庆大学 组合式机械破碎离心粒化装置
CN104494029A (zh) * 2014-12-25 2015-04-08 扬州金橡塑化工材料厂 一种颗粒状复合脂润滑材料喷珠塔
KR101867695B1 (ko) * 2016-10-17 2018-06-15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장치
KR101957708B1 (ko) * 2019-01-25 2019-07-0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알칼리 용융에 의한 폐탈질촉매로부터 유가금속 침출 시스템
CN110093463A (zh) * 2019-05-31 2019-08-06 安徽中巨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钢渣回收处理系统
CN113337650A (zh) * 2021-06-18 2021-09-03 唐山市嘉恒实业有限公司 一种冶金炉渣处理设备及方法
CN113913566A (zh) * 2021-11-10 2022-01-11 北京中冶设备研究设计总院有限公司 一种粒化装置的上锥体
KR102428680B1 (ko) * 2021-08-02 2022-08-03 주식회사 제이케이메탈소재 폐 슬래그를 재활용한 구 형상의 알루미나 볼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5455A (ja) * 1992-11-26 1994-06-03 Sekisui Plastics Co Ltd 熱可塑性樹脂の造粒装置
JPH1085583A (ja) * 1996-09-13 1998-04-07 Dowa Iron Powder Co Ltd 微粉体の作製法
KR20050063146A (ko) * 2003-12-22 2005-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용융 배재슬래그의 건식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10119991A (ko) * 2010-04-28 2011-11-0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슬래그 건식 처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5455A (ja) * 1992-11-26 1994-06-03 Sekisui Plastics Co Ltd 熱可塑性樹脂の造粒装置
JPH1085583A (ja) * 1996-09-13 1998-04-07 Dowa Iron Powder Co Ltd 微粉体の作製法
KR20050063146A (ko) * 2003-12-22 2005-06-2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용융 배재슬래그의 건식처리 장치 및 방법
KR20110119991A (ko) * 2010-04-28 2011-11-0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슬래그 건식 처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13209A (zh) * 2014-09-26 2015-01-28 重庆大学 组合式机械破碎离心粒化装置
CN104494029A (zh) * 2014-12-25 2015-04-08 扬州金橡塑化工材料厂 一种颗粒状复合脂润滑材料喷珠塔
KR101867695B1 (ko) * 2016-10-17 2018-06-15 주식회사 포스코 열처리장치
KR101957708B1 (ko) * 2019-01-25 2019-07-0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알칼리 용융에 의한 폐탈질촉매로부터 유가금속 침출 시스템
WO2020153779A1 (ko) * 2019-01-25 2020-07-30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알칼리 용융에 의한 폐탈질촉매로부터 유가금속 침출 시스템
CN110093463A (zh) * 2019-05-31 2019-08-06 安徽中巨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钢渣回收处理系统
CN113337650A (zh) * 2021-06-18 2021-09-03 唐山市嘉恒实业有限公司 一种冶金炉渣处理设备及方法
KR102428680B1 (ko) * 2021-08-02 2022-08-03 주식회사 제이케이메탈소재 폐 슬래그를 재활용한 구 형상의 알루미나 볼 제조 방법
CN113913566A (zh) * 2021-11-10 2022-01-11 北京中冶设备研究设计总院有限公司 一种粒化装置的上锥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5170B1 (ko) 슬래그 입상화 장치
KR101400315B1 (ko) 슬래그 입상화 장치
CN105624347B (zh) 一种液态高温熔渣粒化及余热回收装置
CN102149454B (zh) 用于雾化熔融材料的旋转式雾化器
CN105755188A (zh) 一种用于粒化高温液态熔渣并回收高温显热的移动床装置
KR101157571B1 (ko) 슬래그 건식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20074756A (ko) 용융 슬래그의 조립화 및 현열 회수 장치
CN101824499B (zh) 一种液态高炉渣粒化装置及其粒化方法
BRPI0913633B1 (pt) Método para granular material em fusão
KR20150086370A (ko) 슬래그 과립화 시스템 및 작동 방법
KR20110089332A (ko) 금속 용융물의 과립화를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6435065B (zh) 一种用于处理高温液态熔渣的粒化系统
CN106001592A (zh) 一种采用常压水冷方式制备金属颗粒的装置和制备方法
CN108411053A (zh) 一种带升降功能的液态熔渣粒化设备及驱动装置
US20130152632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vitreous slag
CN108285942A (zh) 一种具有冷却功能的粒化器及其驱动系统
CN109880950A (zh) 一种液态熔渣机械离心粒化系统及方法
CN105950222B (zh) 一种流化床气化装置
CN114107580A (zh) 一种干法粒化转盘
CN206052058U (zh) 一种用于处理高温液态熔渣的粒化系统
CN106381353B (zh) 一种用于处理高温液态熔渣的粒化系统
KR101173499B1 (ko) 용융 슬래그의 조립화 장치
CN207975992U (zh) 侧吹喷枪
CN208038477U (zh) 一种高炉渣粒化及余热回收系统
KR101321925B1 (ko) 코크스 건식 소화설비의 더스트 파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