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274B1 -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274B1
KR102201274B1 KR1020150127737A KR20150127737A KR102201274B1 KR 102201274 B1 KR102201274 B1 KR 102201274B1 KR 1020150127737 A KR1020150127737 A KR 1020150127737A KR 20150127737 A KR20150127737 A KR 20150127737A KR 102201274 B1 KR102201274 B1 KR 102201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ate
ground clearance
suspension
tur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0701A (ko
Inventor
이중호
신용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27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274B1/ko
Publication of KR2017003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0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2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 B60G17/04Spring characteristics, e.g. mechanical springs and mechanical adjusting means fluid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Pneumatic spring characteristics
    • B60G17/0523Regulating distributors or valves for pneumatic springs
    • B60G17/0528Pressure regulating or air fill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20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04Pressure regulating valves for air-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01Attitude or postur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1Suspension Control
    • B60G2800/912Attitude Control; levell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동 온 상태에서 차속이 제로(zero)인 차량이 일정시간 이상 좌회전 신호를 발생하는 경우 서스펜션의 제어를 통해 가변댐퍼(4)는 하드한 상태가 되고 동시에 차량의 지상고는 최저의 지상고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SUSPENSION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좌회전 신호 대기상태가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 차량의 서스펜션을 제어해서 차량 자세의 안정성 향상 및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은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로서 사용되는 가변댐퍼 기술은 주행 중 노면의 상황에 따라 댐퍼의 특성(하드한 특성 또는 소프트한 특성)을 가변시켜서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기술이고, 에어서스펜션 기술은 고속 주행시에 에어스프링의 공기를 배출해서 차고를 낮추어 연비를 개선하고 험로 주행시에는 에어스프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차고가 높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험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한편, 주행 중인 차량이 신호대기 등으로 일시 정차한 상태 일예로 좌회전 신호 대기상태에서, 타 차량이 고속으로 옆을 지나가게 되면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정차중인 차량이 심하게 흔들리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정차 중인 차량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됨으로써 운전자 또는 승객이 불안감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6-0016411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8-0011611호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좌회전 신호 대기상태가 일정시간 지속되는 경우 차량의 가변댐퍼를 하드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이와 동시에 에어스프링의 압력을 조절하여 차량의 지상고를 최저 지상고 상태로 변화시킴으로써, 차량 자세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차량 탑승자의 승차감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은, 시동 온(ON) 상태에서 현재 차속이 제로(zero)이면서 좌회전 신호가 발생된 경우 좌회전 신호 발생시간과 설정시간을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좌회전 신호 발생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차량의 자세가 안정화되도록 차량의 서스펜션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전륜 및 후륜의 가변댐퍼를 하드(hard)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차량의 지상고가 최저 지상고 상태가 되도록 차량의 에어스프링의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단계는 전륜 및 후륜의 가변댐퍼를 하드(hard)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차량의 지상고가 최저 지상고 상태가 되도록 차량의 에어스프링의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동 온(ON) 상태에서 현재 차속이 제로(zero)상태가 아니면 차량의 서스펜션의 제어를 해제하고, 서스펜션의 제어가 해제되면 전륜 및 후륜의 가변댐퍼는 노멀(normal)한 상태가 되고 동시에 차량의 지상고는 노멀한 지상고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에 의하면, 시동 온 상태에서 차속이 제로(zero)인 차량이 일정시간 이상 좌회전 신호를 발생하게 되면, 서스펜션의 제어를 통해 가변댐퍼는 하드한 상태가 되고 동시에 차량의 지상고는 최저의 지상고 상태가 되는 바, 이를 통해 차량 자세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차량 탑승자는 보다 안정된 상태의 승차감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 및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온(ON) 상태에서 현재 차속이 제로(zero)이면서 좌회전 신호가 발생된 경우 좌회전 신호 발생시간과 설정시간을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좌회전 신호 발생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차량의 자세가 안정화되도록 차량의 서스펜션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의 차속은 차속 검출부(1)를 통해서 검출되고, 차속 검출부(1)는 통상적으로 차속센서를 이용한다.
차량의 좌회전 신호는 좌회전 신호 발생부(2)를 통해서 발생되고, 좌회전 신호 발생부(2)는 통상적으로 운전석의 스티어링 휠의 측부에 위치한 턴 시그널 스위치(turn signal switch)가 된다.
상기 차속 검출부(1)를 통해서 검출된 차속정보와 좌회전 신호 발생부(2)에서 발생된 좌회전 신호 정보는 제어부(3)로 전달되는 바, 상기 제어부(3)는 좌회전 신호 발생시간(T1)과 기 설정된 설정시간(T2)을 비교한 후, 차량의 서스펜션을 제어해서 차량 자세의 안정화를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어기(3)는 전륜 및 후륜의 가변댐퍼(4)를 하드(hard)한 상태가 되도록 차량의 서스펜션을 제어하게 되고, 또한 차량의 지상고가 최저 지상고 상태가 되도록 차량의 에어스프링(5)의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
가변댐퍼의 동력원으로 사용되는 공압 또는 유압의 유동저항을 크게 하면 댐퍼의 댐핑계수가 커지게 되고, 댐핑계수가 커지면 댐퍼의 스트로크(stroke)가 작아지게 되는 바, 이를 통해 가변댐퍼(4)는 하드(hard)한 상태로 변화된다.
그리고, 에어 서스펜션을 구성하는 에어스프링(5)으로부터 에어를 배출시키게 되면 에어가 배출된 만큼 차량의 지상고는 낮아지게 되는 바, 에어스프링(5)의 압력조절을 통해서 차량의 지상고가 최저 상태의 지상고가 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가변댐퍼(4)가 하드(hard)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차량의 지상고가 최저의 지상고 상태가 되도록 에어스프링(5)의 압력을 제어하게 되면, 차량의 자세는 안정화 상태가 되는 바, 이때에는 차량에 외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차량의 흔들림 현상은 최소화가 되며, 차량 탑승자는 보다 안정된 상태의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가변댐퍼(4)와 에어스프링(5)은 필요에 따라 각각 제어를 하거나 또는 동시에 제어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이 시동 온(ON) 상태이고(단계 S1), 차속이 제로(zero)인 상태에서(단계 S2), 좌회전을 위해 운전자가 좌회전 신호 발생부(2)를 조작하게 되면, 제어부(3)는 좌회전 신호 발생상황을 판단하고(단계 S3), 좌회전 신호 발생시간(T1)과 기 설정된 설정시간(T2)을 비교한 후, 좌회전 신호 발생시간(T1)이 설정시간(T2) 이상의 시간인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S4)
상기 단계 S4에서 좌회전 신호 발생시간(T1)이 설정시간(T2) 이상의 시간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제어부(3)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를 시작하게 되는 바(단계 S5), 즉 상기 제어기(3)는 전륜 및 후륜의 가변댐퍼(4)를 하드(hard)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단계 S6), 또한 차량의 지상고가 최저 상태의 지상고가 되도록 차량의 에어스프링(5)의 압력을 제어하게 된다.(단계 S7)
상기와 같이 가변댐퍼(4)가 하드(hard)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고 차량의 지상고가 최저의 지상고 상태가 되도록 에어스프링(5)의 압력을 제어하게 되면, 차량 자세의 안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차량의 자세의 안정화가 향상되면 좌회전 신호 대기상태에서 타 차량이 고속으로 옆을 지나가더라도 공기의 압력차에 의해 정차중인 차량이 심하게 흔들리는 현상이 없어지게 되는 바, 이를 통해 정차 중인 차량의 자세가 불안정하게 되는 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고, 더 나아가 차량 탑승자는 보다 안정된 상태의 승차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량이 시동 온(ON) 상태에서 현재 차속이 제로(zero)상태가 아니면 제어부(3)는 차량의 서스펜션의 제어를 해제하게 되는 바(단계 S8), 이와 같이 서스펜션의 제어가 해제되면 전륜 및 후륜의 가변댐퍼(4)는 노멀(normal)한 상태가 되고 동시에 차량의 지상고는 노멀한 지상고 상태가 된다.(단계 S9)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차속 검출부 2 - 좌회전 신호 발생부
3 - 제어부 4 - 가변댐퍼
5 - 에어스프링

Claims (5)

  1. 시동 온(ON) 상태에서 현재 차속이 제로(zero)이면서 좌회전 신호가 발생된 경우 좌회전 신호 발생시간과 설정시간을 비교하는 비교단계; 및
    상기 좌회전 신호 발생시간이 설정시간 이상인 경우 차량의 자세가 안정화되도록 차량의 서스펜션을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전륜 및 후륜의 가변댐퍼를 하드(hard)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차량의 지상고가 최저 지상고 상태가 되도록 차량의 에어스프링의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전륜 및 후륜의 가변댐퍼를 하드(hard)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차량의 지상고가 최저 지상고 상태가 되도록 차량의 에어스프링의 압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시동 온(ON) 상태에서 현재 차속이 제로(zero)상태가 아니면 차량의 서스펜션의 제어를 해제하고,
    서스펜션의 제어가 해제되면 전륜 및 후륜의 가변댐퍼는 노멀(normal)한 상태가 되고 동시에 차량의 지상고는 노멀한 지상고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KR1020150127737A 2015-09-09 2015-09-09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KR102201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737A KR102201274B1 (ko) 2015-09-09 2015-09-09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7737A KR102201274B1 (ko) 2015-09-09 2015-09-09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701A KR20170030701A (ko) 2017-03-20
KR102201274B1 true KR102201274B1 (ko) 2021-01-12

Family

ID=58502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7737A KR102201274B1 (ko) 2015-09-09 2015-09-09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27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981A (ja) 2004-06-11 2005-12-22 Toyota Motor Corp 車輌のロール運動制御装置
JP2007106364A (ja) 2005-10-17 2007-04-26 Aisin Aw Co Ltd 走行支援装置及び走行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90236C (fi) * 1987-07-10 1994-01-10 Hoechst Ag Menetelmä terapeuttisesti käyttökelpoisten 3-desmetyylimevalonihappojohdannaisten valmistamiseksi
JPH07205628A (ja) * 1994-01-24 1995-08-08 Toyot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KR20060016411A (ko) 2004-08-17 2006-02-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KR20080011611A (ko) 2006-07-31 2008-0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현가장치의 에어 스프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981A (ja) 2004-06-11 2005-12-22 Toyota Motor Corp 車輌のロール運動制御装置
JP2007106364A (ja) 2005-10-17 2007-04-26 Aisin Aw Co Ltd 走行支援装置及び走行支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0701A (ko) 2017-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37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emi-active suspension components
KR102172306B1 (ko) 차량 거동 제어 장치
US8348283B2 (en) Suspension control apparatus and vehicle control apparatus
US8311704B2 (en) Control apparatus of variable damping force damper
KR100517208B1 (ko) 차량의 앤티-롤 및 앤티-요 제어 방법
JP7223798B2 (ja) 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及びサスペンションの制御装置
JP7214776B2 (ja) 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装置、及びサスペンションの制御装置
KR102201274B1 (ko) 차량의 서스펜션 제어방법
JP2009227036A (ja) サスペンショ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8544926A (ja) 車両のローリング防止方法およびシステムならびに対応する車両
US11987091B2 (en) Control device and suspension system
JP5167067B2 (ja)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JP4621582B2 (ja) 可変減衰力ダンパの制御装置
JP4486979B2 (ja) 減衰力可変ダンパの制御装置
JP2008247357A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2010158960A (ja) 走行状況報知装置
JP4760369B2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EP2810835B1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10132184A (ja) 減衰力制御装置
JP5162491B2 (ja) 車両の後部座席制御装置
JP2010058768A (ja) 車両の姿勢制御装置
JP2003063473A (ja) 自動車の車体姿勢調整装置
KR20060038226A (ko) 차량의 능동형 현가장치
JP2023088532A (ja) 車両制御システムおよび車両制御装置
JPH02151513A (ja) 車両用アクティブサスペンショ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