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885B1 - 가변 열저항을 갖는 방열판 - Google Patents

가변 열저항을 갖는 방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885B1
KR102200885B1 KR1020197015600A KR20197015600A KR102200885B1 KR 102200885 B1 KR102200885 B1 KR 102200885B1 KR 1020197015600 A KR1020197015600 A KR 1020197015600A KR 20197015600 A KR20197015600 A KR 20197015600A KR 102200885 B1 KR102200885 B1 KR 102200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headlamp
contact
members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0913A (ko
Inventor
페터 메이어
미하엘 브루너
마르틴 에브너
Original Assignee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제트카베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80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0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8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5/00Arrangements within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for purposes other than emission or distribution of light
    • F21S45/40Cooling of lighting devices
    • F21S45/47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 F21S45/48Passive cooling, e.g. using fins, thermal conductive elements or openings with means for conducting heat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lighting devices, e.g. with fins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igh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4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1/141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1/147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 F21S41/148Light emitting diodes [LED]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angled to the optical axis of the illuminating device the main emission direction of the LED being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8Cover gla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6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 F21S41/65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 F21S41/65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a variable light distribution by acting on light sources by moving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2013/005Thermal joints
    • F28F2013/008Variable conductance materials; Thermal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램프 하우징(102) 및 커버판(103)과, 해당 자동차 헤드램프(100)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에 관한 것이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의 냉각을 위해 방열판 장치(200)가 제공되며, 방열판 장치(200)는 공기 간극(209)을 통해 상호 간에 분리된 2개의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를 포함하며, 이들 방열판 부재는, 제1 방열판 부재(106, 201, 501, 601, 701, 801, 901, 1001)가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에 장착되고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는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방열판 장치(200)는 접촉 장치(210)를 구비하며, 이 접촉 장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높다면, 상기 접촉 장치(210)를 통한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을 허용하며, 그리고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낮다면,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은 불가능하다.

Description

가변 열저항을 갖는 방열판
본 발명은, 헤드램프 하우징 및 커버판과, 해당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에 관한 것이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광은 정의된 광 분포의 형태로 자동차 헤드램프 전방에 매핑(mapping)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냉각을 위해 방열판 장치(heat sink device)가 제공된다.
자동차 헤드램프의 경우, 일반적으로 예컨대 백열등, 고휘도 방전 램프 또는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광원들은 헤드램프 하우징의 안쪽에 배치된다. 자동차 헤드램프의 작동 동안, 상기 통상적인 광원들 및 그 컴포넌트들은 소산되어야 하는 열을 생성한다. 특히 발광다이오드들은, 최적의 성능 및 장기 내구성을 보장하기 위해, 자신들의 최대 작동 온도 미만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작동 중인 차량 헤드램프의 주변 온도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자체 내부에서보다 더 낮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실제 해결책은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에서 생성되는 열을 주변 온도로 방출하는 것에 있다.
그러나 자동차 헤드램프의 헤드램프 하우징 및 하우징의 전방 영역을 덮는 커버판은, 먼지나 다른 오염 입자들과 같은 오염물질들이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챔버 내로 침투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 통상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챔버를 주변환경으로부터 유체적으로 분리하기 때문에, 열을 외부 환경으로 방출함으로써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챔버 및 이 내에 배치된 광원들을 냉각시키도록 장착되어 있는 자체의 냉각 장치가 제공된다.
자동차 헤드램프들은, 통상적으로, 흔히 외부 주변 온도보다 훨씬 더 높은 온도를 보유하는 엔진룸에 인접하는 차량 프레임의 섹션에 고정된다. 예컨대 차량 작동 동안 엔진룸 내에서는 연소 엔진 및 매우 상이한 컴포넌트들을 통해 열이 방출된다. 동일하게, 엔진룸 내 공기는 차량의 사용 동안뿐만 아니라 비사용 동안에도 태양 에너지를 통해 가열된다. 그러므로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06 057 569 B4호에 기술된 것처럼,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의 온도를, 조립된 자동차 헤드램프의 커버판을 통해 방출하는 점은 쉽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사항은, 광학적인 이유에서, 그리고 자동차 헤드램프의 광 방출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는 커버판의 기능성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포기된다.
또 다른 구조적인 조치를 통해 차량의 외부 광학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 방열판 장치들은, 조립된 상태에서 엔진룸의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차량 헤드램프 상에 장착된다. 이미 언급한 것처럼, 경우에 따라서 엔진룸 내의 온도는 자동차 헤드램프 내부의 온도와 동일하거나, 또는 더 높을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는 엔진룸의 방향으로 배치된 방열판 장치를 통해 냉각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방열판 장치를 심지어 더 가열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엔진룸 내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대해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및 그 내에 배치되는 광원들을 차폐하는 냉각 장치를 자동차 헤드램프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종래 기술의 상술한 제한사항 및 다른 단점들과 관련하여,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를 냉각하고 엔진룸 내의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 대해 자동차 헤드램프 내에 배치되는 광원들을 차폐하는 방열판 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는, 방열판 장치가 공기 간극(air gap)을 통해 상호 간에 분리된 2개의 방열판 부재(heat sink element)를 포함하고, 이들 방열판 부재는, 제1 방열판 부재가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챔버 내에 장착되고 제2 방열판 부재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바깥쪽에 장착되며, 방열판 장치는 접촉 장치(contacting device)를 구비하며, 접촉 장치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제2 방열판 부재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자동차 헤드램프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접촉 장치를 통한 방열판 부재들 간의 열 교환이 일어나고,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제2 방열판 부재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자동차 헤드램프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낮으면 방열판 부재들 간의 열 교환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서, 방열판 부재들은, 제1 방열판 부재가 헤드램프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과 열 전달 방식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추가로 적합하게는, 제2 방열판 부재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조립된 상태에서 엔진룸의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엔진룸 내에 포지셔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방열판 부재들은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장치는, 방열판 부재들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열 전도성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구현예의 경우, 접촉 장치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제2 방열판 부재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자동차 헤드램프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높다면 방열판 부재들 간의 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접촉 부재 또는 복수의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되, 이 경우 접촉 장치의 접촉 부재 또는 접촉 부재들은 제1 방열판 부재 및 제2 방열판 부재와 동시에 열 전도 방식으로 접촉하며, 그리고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제2 방열판 부재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자동차 헤드램프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낮으면, 이 경우 접촉 장치의 포함된 접촉 부재들이 단지 각각 하나의 방열판 부재와만 접촉하거나, 또는 방열판 부재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방열판 부재들 간의 열 교환이 불가능하다.
상기에 기술한 온도 조건에서 열을 전달하기 위해 상호 간에 접촉하는 접촉 부재들의 접촉면들은 예컨대 평탄하게, 또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마모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해, 접촉 부재들의 접촉면들은 더 이상 전면(full-face)으로 상호 간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최적의 열 전달에 불리하며, 그리고 그로 인해 이를 위해 예컨대 2개의 객체 간의 열 전달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한 열전도 페이스트(heat transfer paste) 또는 기타 수단들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접촉 장치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제2 방열판 부재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자동차 헤드램프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높으면 방열판 부재들 간의 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제1 및 제2 접촉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접촉 부재는 제1 방열판 부재와 동시에 열 전도 방식으로 접촉하고 이와 동시에 제2 접촉 부재를 통해 제2 방열판 부재와 접촉하며, 그리고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제2 방열판 부재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자동차 헤드램프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낮으면, 이 경우 접촉 장치의 접촉 부재들이 단지 각각 하나의 방열판 부재와만 접촉하지만, 그러나 상호 간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방열판 부재들 간의 열 교환은 불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접촉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는 방열판 부재 내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적합하게는, 접촉 장치의 정확히 2개의 접촉 부재는 방열판 부재들 내의 각각 하나의 리세스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장치의 접촉 부재들은 각각의 접촉 부재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부재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제1 접촉 부재에는 제1 제어 부재가 할당되고 제2 접촉 부재에는 제2 제어 부재가 할당된다.
예컨대 제1 제어 부재는, 자동차 헤드램프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승할 경우, 제1 접촉 부재가 제1 제어 부재를 통해 인출 이동됨으로써 제2 접촉 부재와의 열 전도식 접촉이 수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 제어 부재는, 제2 방열판 부재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자동차 헤드램프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제2 접촉 부재가 제2 제어 부재를 통해 인입 이동됨으로써 제1 접촉 부재와 열 전도식 접촉이 저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적합하게는, 제어 부재들은 온도에 따라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재료로 구성된다.
일 실시형태의 경우, 제어 부재들은 바이메탈로 제조된다.
제어 부재들로서 바이메탈들을 이용할 경우, 예컨대 모든 제어 부재를 위해 동일한 바이메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정해진 ΔT만큼 가열 또는 냉각 동안, 접촉 부재들은, 제어 부재들-다시 말해 바이메탈들-을 거울상으로 포지셔닝하는 경우 양과 관련하여 동일한 경로 거리를 나아간다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기능 수행을 위해, 접촉 부재들의 접촉면들이 동일한 온도에서 상호 간에 접촉하는 것인 특정한 온도에서의 "보정 위치"를 결정하는 점이 권장된다. 이를 위해, 접촉 부재들의 위치는, 접촉 부재들이 헤드램프 하우징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예컨대 70℃이고 제2 방열판 부재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자동차 헤드램프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가 70℃인 경우 직선으로 상호 간에 접촉하면서 열 전도식 접촉을 수행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동일하게, 접촉 부재들은, 헤드램프 하우징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예컨대 70℃이고 제2 방열판 부재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자동차 헤드램프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가 70℃인 경우 자신들이 직선으로 상호 간에 접촉하면서 열 전도식 접촉을 수행하도록 포지셔닝되거나 보장되는 점도 생각해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보정 또는 포지셔닝은 온도가 동일한 경우 접촉 부재들 간의 열 전도식 접촉일 수도 있으며, 접촉 부재들 간에 바로 열 전도식 접촉이 존재하는 것인 가능한 제2 보정 위치는, 헤드램프 하우징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자동차 헤드램프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바로 더 높을 때의 온도 차이를 나타낸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도면들에 따라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예시의 자동차 헤드램프의 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열 교환 상태에서 도 2의 방열판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열 교환이 일어나지 않는 상태에서 도 2의 방열판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 6, 7, 8, 9 및 10은 각각 방열판 장치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헤드램프 하우징(102) 및 커버판(103)을 포함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헤드램프(100)가 도시되어 있다. 자동차 헤드램프(100) 안쪽에는, 각자의 광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할당된 반사경(reflector)에 광을 각각 조명하는 광원(104, 105)들이 장착된다. "상부", "하부", "전방" 또는 "후방"과 같은 방향 정보들은 조립된 상태에서의 자동차 헤드램프에 적용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방열판 장치(200)의 제1 방열판 부재(106)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내에 배치되는 광원(104)과 열 전달 방식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며, 그리고 제2 방열판 부재(107)는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조립된 상태에서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에서 엔진룸의 방향으로 지향된다. 방열판 장치(200) 및 포함된 컴포넌트들의 상세도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방열판 장치(200)는 공기 간극(209)을 통해 상호 간에 분리된 2개의 방열판 부재(201, 202)를 포함하며, 두 방열판 부재(201, 202)는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고정 포지셔닝된다. 방열판 부재(201, 202)들 사이에는 접촉 장치(210)가 배치되며, 이 접촉 장치는 2개의 분리된 방열판 부재(201, 202) 간의 열 접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접촉 장치(210)는 열 전도성 접촉 부재(203, 204)들 및 그에 대응하는 온도 의존성 제어 부재(207, 208)들을 포함한다.
제1 접촉 부재(203)는 제1 방열판 부재(201) 내에 제공된 리세스(205)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고, 제2 접촉 부재(204)는 제2 방열판 부재(202) 내에 제공된 리세스(206)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제1 접촉 부재(203)에는 제1 제어 부재(207)가 할당되고 제2 접촉 부재(204)에는 제2 제어 부재(208)가 할당된다.
접촉 부재(203, 204)들은 도시된 예에서 바이메탈로 제조되어 있는 각각의 제어 부재(207, 208)를 통해 리세스(205, 206)들 내로 또는 그 외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에는,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엔진룸으로 지향된 제2 방열판 부재(202)의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높은 것인 도 2의 방열판 장치(200)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제1 접촉 부재(203)는, 결과적으로 제2 방열판 부재(202)의 제2 접촉 부재(204)와의 열 전도식 접촉을 수행하여 열을 제2 방열판 부재(202)로 방출하기 위해, 온도 의존성 제1 제어 부재(207)를 통해 제1 방열판 부재(201)의 리세스(205)에서부터 그 외로 이동되어 있다.
도 4에는,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엔진룸으로 지향되는 제2 방열판 부재(202)의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낮은 것인 도 2의 방열판 장치(200)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제2 접촉 부재(204)는, 결과적으로 제1 방열판 부재(201)의 제1 접촉 부재(203)와의 접촉을 저지함으로써 방열판 부재(201, 202)들 간의 각각의 열 교환이 저지되게 하기 위해, 온도 의존성 제2 제어 부재(208)를 통해 제2 방열판 부재(202)의 리세스(206) 내로 이동되어 있다.
대상에 관한 발명의 또 다른 가능한 실시형태들은 또 다른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되, 도 5, 6 및 7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의 리세스(505, 506, 511, 512, 606, 612, 705, 706, 712)는 각각의 방열판 부재(501, 502, 601, 602, 701, 702)들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서는, 각각의 방열판 부재(501, 502)마다 2개의 리세스(505, 506, 511, 512)가 제공되며, 제1 접촉 부재(503)는 제1 방열판 부재(501)에 할당되고 제2 접촉 부재(504)는 제2 방열판 부재(502)에 할당되며, 그리고 상기 접촉 부재들은, 리세스(505, 512)들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내는 것을 통해 어떠한 방식으로도 접촉할 수 없는 방식으로, 제공된 리세스(505, 506, 511, 512)들 내에 배치되며, 각자의 접촉 부재(503, 504)는, 자신에게 할당되지 않은 방열판 부재(501, 502)와의 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해, 자신에게 각각 대향하여 위치하는 리세스(506, 511)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에는, 도 5에서와 유사한 배치구조가 도시되어 있되, 제1 및 제2 접촉 부재(603, 604)는 상호 간에 분리된 리세스(606, 612)들 내 하나의 공통 제2 방열판 부재(602)에 할당되고 배치되며, 그리고 각각은, 리세스들 및 할당된 접촉 부재들을 포함하지 않고 제공되는 제1 방열판 부재(601)와의 열 교환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리세스들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외로 이동될 수 있다. 오직 단일의 접촉 부재(803, 904)만을 포함하는 유사한 예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서는, 도 9와 달리, 추가 리세스(805)가 제1 방열판 부재(801) 내에 제공되어 있다.
도 7에는, 도 2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달리, 제2 방열판 부재(702) 내에 추가의 제2 리세스(712)가 도시되어 있되, 제2 접촉 부재(704)는 말발굽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제2 방열판 부재(702)의 두 리세스(706, 712) 내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도 10에서, 제1 접촉 부재(1003)는 제1 방열판 부재(1001)의 상부 면 또는 하부 면 상에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되, 제1 방열판 부재(1001)는 리세스들을 포함하지 않으며, 제2 접촉 부재(1004)는 제2 방열판 부재(1002)의 리세스(1006) 내에 배치되며, 그리고 리세스(1006)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낼 때 바람직하게는 이동 가능한 제1 접촉 부재(1003)와의 열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여전히 주지할 사항은, 도 5, 6, 7, 8, 9 및 10에서는 각각의 제어 부재(207, 208)들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되, 상기 실시형태들의 접촉 부재들은 상기에 기술한 제어 부재(207, 208)들에 의해 매우 충분하게 이동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도 5, 6, 8 및 9에 도시된 실시형태들의 경우 온도 센서들이 제공될 수 있되, 이런 경우 하나의 온도 센서는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에 장착되고, 또 다른 온도 센서는 제2 방열판 부재(502, 602, 802, 9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에 장착된다. 제어부는 온도 센서들에 의해 각각 검출된 온도들을 서로 비교하며, 그리고 접촉 부재(503, 504, 603, 604, 803, 804)에 할당되고 상기 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 부재(207, 208)를 통해 구동부, 예컨대 선형 모터 또는 벨로우즈 및 멤브레인 드라이브를 이용하여 각각의 접촉 부재(503, 504, 603, 604, 803, 904)를 변위시키며, 그럼으로써 상기에 기술한 온도 조건들에 따라서 열 접촉이 수행되거나 또는 저지될 수 있게 된다.
100: 자동차 헤드램프
102: 헤드램프 하우징
103: 커버판
104, 105: 광원
200: 방열판 장치
106, 201, 501, 601, 701, 801, 901, 1001: 제1 방열판 부재
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 제2 방열판 부재
209: 공기 간극
210: 접촉 장치
108, 203, 503, 603, 703, 803, 904, 1003: 제1 접촉 부재
109, 204, 504, 604, 704, 1004: 제2 접촉 부재
207: 제1 제어 부재
208: 제2 제어 부재
205, 206, 505, 506, 511, 512, 606, 612, 705, 706, 712, 805, 806, 906, 1006: 리세스

Claims (15)

  1. 헤드램프 하우징(102) 및 커버판(103)과, 해당 자동차 헤드램프(100)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의 광은 정의된 광 분포로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 전방에 매핑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의 냉각을 위해 방열판 장치(200)가 제공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 장치(200)는, 공기 간극(209)을 통해 상호 간에 분리된 2개의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를 포함하며, 이들 방열판 부재는, 제1 방열판 부재(106, 201, 501, 601, 701, 801, 901, 1001)가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에 장착되고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는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방열판 장치(200)는 접촉 장치(210)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장치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높다면, 상기 접촉 장치(210)를 통한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이 일어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낮다면,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은 불가능하고,
    상기 접촉 장치(210)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높다면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의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 또는 복수의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를 포함할 수 있되, 이 경우 상기 접촉 장치(210)의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 또는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들은 상기 제1 방열판 부재(106, 201, 501, 601, 701, 801, 901, 1001) 및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와 동시에 열 전도 방식으로 접촉하며, 그리고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낮으면, 이 경우 상기 접촉 장치(210)의 포함된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들이 단지 각각 하나의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와만 접촉하거나, 또는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와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은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은, 상기 제1 방열판 부재(106, 201, 501, 601, 701, 801, 901, 1001)가 자동차 헤드램프(100) 내에 배치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과 열 전달 방식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의 바깥쪽에서 상기 커버판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상기 헤드램프 하우징의 측면 상에 배치되며, 또는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조립된 상태에서 엔진룸 내에 포지셔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은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고정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장치(210)는,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6. 삭제
  7. 헤드램프 하우징(102) 및 커버판(103)과, 해당 자동차 헤드램프(100)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의 광은 정의된 광 분포로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 전방에 매핑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의 냉각을 위해 방열판 장치(200)가 제공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 장치(200)는, 공기 간극(209)을 통해 상호 간에 분리된 2개의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를 포함하며, 이들 방열판 부재는, 제1 방열판 부재(106, 201, 501, 601, 701, 801, 901, 1001)가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에 장착되고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는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방열판 장치(200)는 접촉 장치(210)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장치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높다면, 상기 접촉 장치(210)를 통한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이 일어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낮다면,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은 불가능하고,
    상기 접촉 장치(210)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높으면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제1 및 제2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접촉 부재(108, 203, 503, 603, 703, 803, 904, 1003)는 상기 제1 방열판 부재(106, 201, 501, 601, 701, 801, 901, 1001)와 동시에 열 전도 방식으로 접촉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접촉 부재(109, 204, 504, 604, 704, 1004)를 통해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와 접촉하며, 그리고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낮으면, 이 경우 상기 접촉 장치(210)의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들이 단지 각각 하나의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와만 접촉하지만, 그러나 상호 간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은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8. 헤드램프 하우징(102) 및 커버판(103)과, 해당 자동차 헤드램프(100)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의 광은 정의된 광 분포로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 전방에 매핑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의 냉각을 위해 방열판 장치(200)가 제공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 장치(200)는, 공기 간극(209)을 통해 상호 간에 분리된 2개의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를 포함하며, 이들 방열판 부재는, 제1 방열판 부재(106, 201, 501, 601, 701, 801, 901, 1001)가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에 장착되고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는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방열판 장치(200)는 접촉 장치(210)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장치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높다면, 상기 접촉 장치(210)를 통한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이 일어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낮다면,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은 불가능하고,
    상기 접촉 장치(210)는,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장치(210)의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는 적어도 하나의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 내의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05, 206, 505, 506, 511, 512, 606, 612, 705, 712, 805, 806, 906, 1006)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9. 헤드램프 하우징(102) 및 커버판(103)과, 해당 자동차 헤드램프(100)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의 광은 정의된 광 분포로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 전방에 매핑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의 냉각을 위해 방열판 장치(200)가 제공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 장치(200)는, 공기 간극(209)을 통해 상호 간에 분리된 2개의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를 포함하며, 이들 방열판 부재는, 제1 방열판 부재(106, 201, 501, 601, 701, 801, 901, 1001)가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에 장착되고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는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방열판 장치(200)는 접촉 장치(210)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장치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높다면, 상기 접촉 장치(210)를 통한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이 일어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낮다면,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은 불가능하고,
    상기 접촉 장치(210)는,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장치(210)의 정확히 2개의 접촉 부재(106,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는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내의 각각 하나의 할당된 리세스(205, 206, 505, 506, 511, 512, 606, 612, 705, 712, 805, 806, 906, 1006) 내에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10. 헤드램프 하우징(102) 및 커버판(103)과, 해당 자동차 헤드램프(100) 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을 포함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의 광은 정의된 광 분포로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 전방에 매핑될 수 있으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원(104, 105)의 냉각을 위해 방열판 장치(200)가 제공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 장치(200)는, 공기 간극(209)을 통해 상호 간에 분리된 2개의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를 포함하며, 이들 방열판 부재는, 제1 방열판 부재(106, 201, 501, 601, 701, 801, 901, 1001)가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에 장착되고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는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에 장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되며, 상기 방열판 장치(200)는 접촉 장치(210)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 장치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높다면, 상기 접촉 장치(210)를 통한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이 일어나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보다 더 낮다면,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 간의 열 교환은 불가능하고,
    상기 접촉 장치(210)는, 상기 방열판 부재(106, 107, 201, 202, 501, 502, 601, 602, 701, 702, 801, 802, 901, 902, 1001, 1002)들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장치(210)의 접촉 부재(108,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들은 각각의 접촉 부재(106, 109, 203, 204, 503, 504, 603, 604, 703, 704, 803, 904, 1003, 1004)에 할당된 적어도 하나의 제어 부재(207, 208)를 통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부재(108, 203, 503, 603, 703, 803, 904, 1003)에 제1 제어 부재(207)가 할당되고 상기 제2 접촉 부재(109, 204, 504, 604, 704, 1004)에는 제2 제어 부재(208)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부재(207)는,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내부 챔버 내 온도가 상승할 경우, 상기 제1 접촉 부재(108, 203, 503, 603, 703, 803, 904, 1003)가 상기 제1 제어 부재(207)를 통해 상기 할당된 리세스(205, 505, 506, 606, 705, 805, 806, 906)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그 외로 밀어내어짐으로써 상기 제2 접촉 부재(109, 204, 504, 604, 704, 1004) 또는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와의 열 전도식 접촉이 수행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 부재(208)는, 상기 제2 방열판 부재(107, 202, 502, 602, 702, 802, 902, 1002)가 그 상에 장착되는 것인 상기 자동차 헤드램프(100)의 바깥쪽 영역 내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제2 접촉 부재(109, 204, 504, 604, 704, 1004)가 상기 제2 제어 부재(208)를 통해 추가로 상기 할당된 리세스(206, 511, 512, 612, 706, 712, 1006) 내로 인입 이동됨으로써 상기 제1 접촉 부재(108, 203, 503, 603, 703, 1003) 또는 상기 제1 방열판 부재(106, 201, 501, 601, 701, 801, 901, 1001)와 열 전도식 접촉이 저지될 수 있는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207, 208)들은 온도에 따라서 팽창되거나 수축되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207, 208)들은 바이메탈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헤드램프(100).
KR1020197015600A 2016-11-17 2017-10-25 가변 열저항을 갖는 방열판 KR102200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1043/2016A AT518977B1 (de) 2016-11-17 2016-11-17 Kühlkörper mit variablem thermischen Widerstand
ATA51043/2016 2016-11-17
PCT/AT2017/060287 WO2018090067A1 (de) 2016-11-17 2017-10-25 Kühlkörper mit variablem thermischen widerstan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0913A KR20190080913A (ko) 2019-07-08
KR102200885B1 true KR102200885B1 (ko) 2021-01-12

Family

ID=60262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5600A KR102200885B1 (ko) 2016-11-17 2017-10-25 가변 열저항을 갖는 방열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05429B2 (ko)
EP (1) EP3542098B1 (ko)
JP (1) JP6893982B2 (ko)
KR (1) KR102200885B1 (ko)
CN (1) CN109964079B (ko)
AT (1) AT518977B1 (ko)
WO (1) WO20180900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81294B2 (en) 2020-04-30 2024-05-14 Paccar Inc. Headlamp heater control
US11767957B2 (en) * 2020-04-30 2023-09-26 Paccar Inc. Headlamp heat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2932A (ja) 2005-12-20 2007-07-05 Toyota Motor Corp 車両用前照灯
JP2009021135A (ja) * 2007-07-12 2009-01-29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
DE102007057056A1 (de) * 2007-11-27 2009-05-28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mit Mitteln zum Wärmeaustausch zwischen dem Innenraum und der Außenseite des Scheinwerfers
JP2012028135A (ja) 2010-07-22 2012-02-09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2012174354A (ja) 2011-02-17 2012-09-10 Yamaha Motor Co Ltd 前照灯及びこれを備えた鞍乗型車両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80164A (ja) * 1985-06-05 1986-12-10 Hitachi Ltd 文字・画像入力装置の照明装置
US5131456A (en) * 1991-07-01 1992-07-21 Ibm Corporation Bimetallic insert fin for high conduction cooling structure
US7249868B2 (en) * 2005-07-07 2007-07-31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amp housing with interior cooling by a thermoelectric device
DE102006001711B4 (de) 2006-01-13 2008-10-30 Audi Ag Beleuchtungs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JP4515391B2 (ja) * 2006-01-17 2010-07-28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用前照灯
JP2008091095A (ja) * 2006-09-29 2008-04-17 Toshiba Corp 化学反応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システム
US20090059594A1 (en) 2007-08-31 2009-03-05 Ming-Feng Lin Heat dissipating apparatus for automotive LED lamp
JP2009087733A (ja) * 2007-09-28 2009-04-23 Koito Mfg Co Ltd 車両用灯具
DE102007055165A1 (de) * 2007-11-19 2009-05-20 Osram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LED-Scheinwerfer
EP2572992B1 (en) * 2011-09-26 2014-07-30 Goodrich Lighting Systems GmbH Aircraft light
GB2497724A (en) * 2011-12-08 2013-06-26 Nissan Motor Mfg Uk Ltd Lighting unit mounting for a vehicle
US9285090B2 (en) * 2014-07-10 2016-03-15 Chen-Wei Hsu Vehicle headlight assembly
DE102014226647A1 (de) * 2014-12-19 2016-06-23 Osram Gmbh LED-Träger mit einer LED und Leuchte mit einem derartigen LED-Träger
US10429026B2 (en) * 2017-06-16 2019-10-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amp assembly with anisotropic heat spreader and vehicle having the same
JP6504219B2 (ja) * 2017-09-20 2019-04-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前部構造
JP2019164916A (ja) * 2018-03-19 2019-09-26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2932A (ja) 2005-12-20 2007-07-05 Toyota Motor Corp 車両用前照灯
JP2009021135A (ja) * 2007-07-12 2009-01-29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前照灯
DE102007057056A1 (de) * 2007-11-27 2009-05-28 Hella Kgaa Hueck & Co. Scheinwerfer für ein Kraftfahrzeug mit Mitteln zum Wärmeaustausch zwischen dem Innenraum und der Außenseite des Scheinwerfers
JP2012028135A (ja) 2010-07-22 2012-02-09 Stanley Electric Co Ltd 車両用灯具
JP2012174354A (ja) 2011-02-17 2012-09-10 Yamaha Motor Co Ltd 前照灯及びこれを備えた鞍乗型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T518977B1 (de) 2018-03-15
JP2019536229A (ja) 2019-12-12
WO2018090067A1 (de) 2018-05-24
EP3542098A1 (de) 2019-09-25
US20200072435A1 (en) 2020-03-05
AT518977A4 (de) 2018-03-15
EP3542098B1 (de) 2021-12-15
US10605429B2 (en) 2020-03-31
JP6893982B2 (ja) 2021-06-23
KR20190080913A (ko) 2019-07-08
CN109964079B (zh) 2022-01-11
CN109964079A (zh) 201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89901B (zh) 汽车前照灯
US7371964B2 (en) Lighting and/or signalling device with light emitting diodes for motor vehicles
US7249868B2 (en) Lamp housing with interior cooling by a thermoelectric device
EP2860440B1 (en) Cooling device for vehicle headlights
US20100277941A1 (en) Led headlight
KR102200885B1 (ko) 가변 열저항을 갖는 방열판
CN105180049B (zh) 用于汽车前照灯的光学模块
KR20150015901A (ko) 플렉시블 기판을 이용한 자동차용 led 램프 모듈 및 그 방열 구조
JP2009187707A (ja) 車両用灯具
JP6283357B2 (ja) 車両用灯具
CN209909794U (zh) 冷却单元以及车辆用灯具
JP2008123836A (ja) 車両前照灯
JP4702230B2 (ja) 車両用led灯具
US9636994B2 (en) Cooling device for a hybrid module of a hybrid vehicle
CN103867988B (zh) 用于机动车前照灯的发光装置和配备有所述装置的前照灯
KR20110037032A (ko) 램프용 습기제거장치
JP5513472B2 (ja) ランプ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信号灯器
JP2014063698A (ja) 車両用灯具
JP6064488B2 (ja) 自動二輪車用ヘッドランプ
KR102204745B1 (ko) 헤드라이트 밀봉 캡의 열 기능
US10247403B2 (en) Heat sink and lighting apparatus
JP2006302760A (ja) Ledランプ
KR102468106B1 (ko) 차량용 램프
KR20140003029A (ko) 차량 헤드램프용 방열 장치
JP6061070B2 (ja) 自動二輪車用ヘッドラン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