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872B1 - 내열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열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872B1
KR102200872B1 KR1020180146471A KR20180146471A KR102200872B1 KR 102200872 B1 KR102200872 B1 KR 102200872B1 KR 1020180146471 A KR1020180146471 A KR 1020180146471A KR 20180146471 A KR20180146471 A KR 20180146471A KR 102200872 B1 KR102200872 B1 KR 102200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s
group
high heat
polyarylate
resistant poly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464A (ko
Inventor
강소영
윤상화
최하림
김명욱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6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872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8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투명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유동성이 개선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30~80 중량%; 및 폴리아릴레이트 20~70 중량%;를 포함하는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17252012-pat00016

[화학식 2]

Description

내열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High heat resistant polycarbonate and polyarylate alloy composition having enhanced heat resistance and flowability}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열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열변형 온도가 약 130℃인 대표적인 열가소성 소재로서, 내충격성 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우수하고, 치수안정성, 내열성 및 투명성이 우수하여 전기/전가 제품 하우징, 사무기기, 자동차 부품, 광학용 필름 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분야에 폭 넓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더욱 높은 내열성을 요구하는 자동차 부품 및 고온이 발생하는 램프 커버 등에는 폴리카보네이트의 내열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투명하여 전기/전자, 기계 및 렌즈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는 높은 용융점도를 가지고 있어 성형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폴리아릴레이트 수지의 성형 가공성 개선을 위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를 제조하여 유동성을 개선할 수 있으나, 폴리카보네이트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내열성이 감소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36078호는 제1 수지(폴리아릴레이트 수지)와 제2 수지(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여,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인성 및 성형성을 갖고, 우수한 내후성, 투명성, 표면 광택 특성을 유지하는 신규 중합체 블렌드를 개시하고 있으나, 폴리아릴레이트 함량 증가에 따른 성형 가공성 문제 및 폴리카보네이트의 함량 증가에 따른 블렌드 수지의 내열성 감소에 관한 문제는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2-265766호는 아릴레이트 수지의 높은 내열성 및 투명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라이트 광원의 발열로 인한 변색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놀계 화합물, 인계화합물 및 락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성형 가공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를 개시하고 있으나,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의 효과에 대한 언급이 없고, 폴리카보네이트/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의 내열성 저하의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0956048호는 비스페놀 플루오렌(BPF)을 사용하여 제조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의 색상(황색)을 억제하기 위해 비스페놀 플루오렌의 불순물인 플루오렌-9-온의 최소 함유량에 관해 언급하면서 비스페놀 플루오렌의 불순물의 함유량을 최소화하여 공중합체의 투명성을 개선시키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비스페놀 플루오렌의 함량에 따른 내열성 저하 문제에 대해서는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유동성이 개선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와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성형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30~80 중량%; 및 폴리아릴레이트 20~70 중량%;를 포함하는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17252012-pat00001
화학식 1에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기이고. m 및 n은 각각 0~4의 정수이고, A는 단결합, 탄소수 1~20의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사이클로알킬리덴기,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 또는 아릴알킬렌기, -O-, -CO-, -S-, -SO-, 또는 -SO2- 결합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18117252012-pat00002
화학식 2에서,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기이고, p 및 q는 각각 0~4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고,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는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3]
Figure 112018117252012-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8117252012-pat00004
또한, 상기 화학식 3에서의 비스페놀 A 잔기 및 상기 화학식 4에서의 비스페놀 플루오렌 잔기 총 100 몰%에 대하여 상기 비스페놀 플루오렌 잔기는 20~50 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열변형 온도(ASTM D648, 18.5 kgf)가 150℃ 이상이고, 용융지수(MI, ASTM D1238, 330℃, 2.16 kgf)가 10 g/10min 이상이고, 광 투과율(ASTM D1003, 시편 두께 1mm)이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공ㅎ나다.
상기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성형품은 자동차 헤드램프 부품, 램프 커버 또는 조명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의 내열성을 더욱 개선시킨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폴리아릴레이트와 특정 조성으로 블렌딩하여 투명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유동성이 개선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는 고온에서 사용되어 우수한 내열성을 요구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부품에 적용 가능하고, 광원의 발열에 따른 내열성을 요구하는 램프 커버 및 조명용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기존 고내열 수지 대비 유동성이 개선되어 성형성이 우수하여, 복잡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자동차 부품 및 고온이 발생하는 램프 커버 등에 적용 시 내열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고, 폴리아릴레이트 수지는 내열성이 우수하나, 높은 용융점도를 가지고 있어 성형 가공성에 문제가 있는 기술 환경에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로서 특정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아릴레이트를 특정 조성으로 혼합한 얼로이의 경우 상기한 문제를 모두 극복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30~80 중량%; 및 폴리아릴레이트 20~70 중량%;를 포함하는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개시한다.
상기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17252012-pat00005
화학식 1에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기이고. m 및 n은 각각 0~4의 정수이고, A는 단결합, 탄소수 1~20의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사이클로알킬리덴기,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 또는 아릴알킬렌기, -O-, -CO-, -S-, -SO-, 또는 -SO2- 결합이다.
상기 X에 있어, 상기 할로겐 원자로는 예컨대, 염소, 브롬, 불소, 옥소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탄소수 1~8의 알킬기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아밀기, 이소아밀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로는 예컨대, 페닐기, 메틸 페닐기, 톨릴기, 크시릴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A에 있어, 상기 탄소수 1~20의 알킬렌기 또는 알킬리덴기로는 예컨대,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틸렌기, 헥센기, 에틸리덴기, 이소프로필리덴기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탄소수 5~2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사이클로알킬리덴기로는 예컨대, 시클로펜틸렌기, 시클로헥실렌기, 시클로펜틸리덴기, 시클로헥실리덴기, 3,3,5-트리메틸 시클로헥실리덴기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탄소수 6~20의 아릴렌기 또는 아릴알킬렌기로는 예컨대, 페닐렌기, 나프틸렌기, 크실렌기, 페닐에틸리덴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8117252012-pat00006
화학식 2에서,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20의 아릴기이고, p 및 q는 각각 0~4의 정수이다.
상기 Y에 있어, 상기 할로겐 원자로는 예컨대, 염소, 브롬, 불소, 옥소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탄소수 1~8의 알킬기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아밀기, 이소아밀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탄소수 6~20의 아릴기로는 예컨대, 페닐기, 톨릴기, 크시렌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을 구성하는 비스페놀로는 예컨대,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메탄, 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메탄, 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1,1-비스(2-t-부틸-4-하이드록시-3-메틸 페닐)에탄, 1-페닐-1,1-비스(2-플루오로-4-하이드록시-3-메틸 페닐)에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A. BPA), 2,2-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2-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2-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 페닐)프로판, 2,2-비스(3-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플루오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옥탄, 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t-부틸 페닐)프로판, 2,2-비스(3-브로모-4-하이드록시-5-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3-페닐-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2-부틸-4-하이드록시-5-메틸 페닐)부탄, 1,1-비스(2-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 페닐)부탄, 1,1-비스(2-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 페닐)이소부탄, 1,1-비스(2-t-아밀-4-하이드록시-5-메틸 페닐)부탄, 2,2-비스(3,5-디클로로-4-하이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부탄, 4,4-비스(4-하이드록시페닐)헵탄, 1,1-비스(2-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 페닐)헵탄 등의 비스(히드록시아릴)알칸류,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펜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사이클로헥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페닐-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 사이클로헥산 등의 비스(히드록시아릴)사이클로알칸류,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하이드록시-3-메틸 페닐)에테르 등의 비스(히드록시아릴)에테르류,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설파이드 등의 비스(히드록시아릴)설파이드류,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3-페닐-4-하이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등의 비스(히드록시아릴)설폭사이드류, 비스(4 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비스(3-페닐-4-하이드록시페닐)설폰 등의 비스(히드록시아릴)설폰류, 4,4'-디히드록시비페닐, 4,4'-디하이드록시-2,2'-디메틸비페닐, 4,4'-디하이드록시-3,3'-디메틸비페닐, 4,4'-디하이드록시-3,3'-디사이클로헥실비페닐, 3,3'-디플루오로-4,4'-디히드록시비페닐 등의 디히드록시비페닐류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A)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2를 구성하는 비스페놀로는 예컨대,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 9,9-비스(4-하이드록시-3,5-디메틸페닐) 플루오렌 또는 그 유도체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9-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BPF)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 및 화학식 2를 구성하는 카보네이트 단위 유래 성분으로서 탄산 디에스테르로는 탄산 디아릴 화합물, 탄산 디알킬 화합물 또는 탄산 알킬 아릴 화합물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탄산 디아릴 화합물로는 예컨대, 디페닐카보네이트, 디톨릴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카보네이트, 디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페놀 A 비스 페닐 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탄산 디알킬 화합물로는 예컨대, 디에틸카보네이트, 디메틸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사이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비스페놀 A 비스 메틸 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탄산 알킬 아릴 화합물로는 예컨대, 메틸 페닐 카보네이트, 에틸 페닐 카보네이트, 부틸 페닐 카보네이트, 사이클로헥실 페닐 카보네이트, 비스페놀 A 메틸 페닐 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각종 디하이드록시 디아릴 화합물과 포스겐을 반응시키는 포스겐 방법 또는 디하이드록시 디아릴 화합물과 디페닐카보네이트 등을 반응시키는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사용하여 수득할 수 있는 중합체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보다 우수한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해 각종 벌키(bulky)하고 딱딱한(rigid) 구조의 고내열 모노머로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가 도입되었다.
본 발명에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잔기를 구성하는 단량체,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반복단위 잔기를 구성하는 단량체와 카보네이트 단량체를 용융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단량체로서, 고내열 모노머로 비스페놀-플루오렌(Bisphenol-fluorene, BPF)을 사용하여 비스페놀-A(Bisphenol-A, BPA) 및 디페닐 카보네이트(Diphenyl carbonate, DPC)를 원료로 사용하는 논 포스겐 용융중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량체(BPF, BPA 및 DPC) 및 촉매를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BPF는 BPA의 함량 일부를 몰비 대체하여 사용된다. DPC/(BPA+BPF) 몰비는 약 1~1.1이고, 중합 촉매로 수산화칼륨 용액(KOH solution)을 사용한다. 반응기 내부온도를 170~190℃에서 280~300℃까지 서서히 승온하고, 760 torr에서 0.5~2 torr가 될 때까지 압력을 서서히 낮추면서 축중합 반응을 진행한다. 반응 부산물로 페놀(phenol)을 회수하고, 반응 후 반응물은 물에 급랭(quenching)하여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BPF-PC)를 제조한다(하기 반응식 1 참조).
[반응식 1]
Figure 112018117252012-pat00007
여기서, 첨가된 BPF의 함량은 BPA 및 BPF 총 총 100 몰%에 대하여 20~50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BPF 함량이 20 몰% 미만일 경우 내열성이 충분히 향상되지 않을 수 있고, 50 몰%를 초과할 경우 중합물의 점도가 급상승하여 중합도를 최대한 상승시키지 못해 분자량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내열성을 충분히 향상시키지 못할 수 있다. 또한, BPF가 첨가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내열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지만, 중합시 변색으로 인해 투명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으므로, BPF 함량을 특정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최종 수지 조성물의 목적한 바에 따른 물성 밸런스를 위해 30~80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30~70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함량이 30 중량% 미만일 경우 최종 수지 조성물의 유동성 개선 정도가 미흡할 수 있고,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의 색상으로 인해 투명도가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아릴레이트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잔기 단위와 비스페놀 잔기 단위로 구성되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다.
상기 폴리아릴레이트의 제조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계면중합법, 용융중합법 등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잔기를 도입하기 위한 전구체는 일예로 테레프탈산 및 이소프탈산을 들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 잔기를 도입하기 위한 전구체는 예컨대,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술폰,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에테르,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 술피드,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케톤, 4,4'-디하이드록시디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2종 이상을 혼합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아릴레이트는 최종 수지 조성물의 목적한 바에 따른 물성 밸런스를 위해 20~70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30~70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릴레이트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 최종 수지 조성물의 투명도가 저하될 수 있고, 7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유동성 개선 정도가 미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아릴레이트는 수평균분자량(Mn)이 1,000~100,000 g/㏖, 바람직하게는 5,000~30,000 g/㏖이고,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100,000 g/㏖, 바람직하게는 20,000~50,000 g/㏖인 파우더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의 제조는 상기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아릴레이트를 블렌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실린더 온도 260~290℃로 설정된 이축 압출기를 통하여 상기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아릴레이트를 용융 혼련 후 펠렛화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산화방지제, 이형제, UV안정제 등 필요에 따라 첨가제 투입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펠렛은 건조 후 사출 성형을 통해 시편으로 제조가 가능하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유동성이 개선된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열변형 온도(ASTM D648, 18.5 kgf)가 150℃ 이상이고, 용융지수(MI, ASTM D1238, 330℃, 2.16 kgf)가 10 g/10min 이상이고, 광 투과율(ASTM D1003, 시편 두께 1mm)이 85%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열변형 온도(ASTM D648, 18.5 kgf)가 160℃ 이상이고, 용융지수(MI, ASTM D1238, 330℃, 2.16 kgf)가 15 g/10min 이상이고, 광 투과율(ASTM D1003, 시편 두께 1mm)이 87% 이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열성, 유동성 및 투명성이 동시에 우수한 본 발명에 따른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은 더욱 향상된 내열성을 요구하는 자동차 헤드램프 부품에 적용 가능하고, 또한 광원의 발열에 따른 내열성을 요구하는 램프 커버 및 조명용으로 적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조예 :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제조
단량체로 BPF, BPA, PPPBP(2-phenyl-3,3'-bis(4-hydroxyphenyl)phthalimidine) 및 DPC를 사용하여 촉매와 함께 반응기 내에 투입하고, BPF 또는 PPPBP는 BPA의 함량 일부를 하기 표 1의 몰비로 대체하여 사용되었다. DPC/(BPA+BPF) 몰비는 약 1.05이며, 중합 촉매로 KOH solution을 사용하였다. 반응기 내부온도를 180℃에서 290℃까지 서서히 승온하였고, 760 torr에서 1 torr가 될 때까지 압력을 서서히 낮추면서 축중합 반응을 진행하였다. 반응 부산물로 페놀을 회수하였고, 반응 후 반응물은 물에 급랭(quenching)하여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117252012-pat00008
실시예 1
실린더 온도 260~290℃로 설정된 이축 압출기를 통하여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아릴레이트(PAR-RK, UNITIKA, 수평균분자량(Mn) 13,700 g/㏖ 및 중량평균분자량(Mw) 31,000 g/㏖인 저분자량 파우더 형상의 폴리아릴레이트, 하기 화학식 5 참조)를 용융 혼련 후 펠렛화하여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5]
Figure 112018117252012-pat00009
실시예 2 내지 6,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에서 하기 표 2와 같이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종류를 변경하거나,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아릴레이트의 함량비를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117252012-pat00010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수지 조성물을 충분히 건조시킨 후 사출하여 시험 시편을 제조하고, 하기 방법에 따라 열변형 온도, 용융지수 및 광 투과율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측정방법]
(1) 열변형 온도(HDT)
ASTM D648에 따라 18.5 kg의 하중에서 측정하였다.
(2) 용융지수(MI)
ASTM D1238에 준하여 측정 조건 330℃, 2.16 kg 하중에서 용융지수를 측정하여 유동성을 분석하였다.
(3) 광 투과율
ASTM D1003에 준하여 시편 두께 1 mm의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여 투명성을 분석하였다.
Figure 112018117252012-pat00011
표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폴리아릴레이트를 특정 조성으로 블렌딩할 경우 투명성이 우수하고,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유동성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함량이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비교예 1) 유동성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실시예 4) 투명성이 다소 떨어지므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폴리아릴레이트의 함량비는 각각 30~7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에서 BPF 함량 관련하여 BPF를 전혀 포함하지 않을 경우(비교예 2)에는 내열성이 현저히 저하된 것을 알 수 있고, 반대로 BPA를 모두 BPF로 대체할 경우(비교예3)에는 투명성이 현저히 저하될 뿐 아니라, 역시 내열성이 현저히 저하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중합물의 점도가 급상승하여 중합도를 최대한 상승시키지 못해 분자량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내열성을 충분히 향상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BPF 함량이 일정 수준에 다소 못 미치거나(실시예 5), 다소 과도할 경우(실시예 6)에는 내열성 또는 투명성이 목적하는 바에 미치지 못할 수 있으므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에서 BPF 함량에 있어서도 특정 범위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고내열 단량체로서 본 발명에 따른 BPF가 아닌 PPPBP와 같은 단량체를 사용할 경우(비교예 4)에는 내열성은 우수하나 유동성 및 투명성 모두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발명의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30~80 중량%; 및 폴리아릴레이트 20~70 중량%;를 포함하는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로서,
    [화학식 3]
    Figure 112020053632106-pat00018

    [화학식 4]
    Figure 112020053632106-pat00019

    상기 화학식 3에서의 비스페놀 A 잔기 및 상기 화학식 4에서의 비스페놀 플루오렌 잔기 총 100 몰%에 대하여 상기 비스페놀 플루오렌 잔기는 20~50 몰%이고,
    상기 수지 조성물은 열변형 온도(ASTM D648, 18.5 kgf)가 160℃ 이상이고, 용융지수(MI, ASTM D1238, 330℃2.16 kgf)가 15 g/10min 이상이고, 광 투과율(ASTM D1003, 시편 두께 1mm)이 85% 이상인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46471A 2018-11-23 2018-11-23 내열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102200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471A KR102200872B1 (ko) 2018-11-23 2018-11-23 내열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471A KR102200872B1 (ko) 2018-11-23 2018-11-23 내열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464A KR20200061464A (ko) 2020-06-03
KR102200872B1 true KR102200872B1 (ko) 2021-01-12

Family

ID=71087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471A KR102200872B1 (ko) 2018-11-23 2018-11-23 내열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87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9274B2 (en) * 2004-06-28 2006-09-19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arylate compositions
KR101316581B1 (ko) * 2010-12-21 2013-10-15 주식회사 삼양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491781B1 (ko) * 2012-06-28 2015-02-2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카보네이트 삼원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하는 성형품
KR20150081989A (ko) * 2014-01-07 2015-07-15 삼성전기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464A (ko) 2020-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9065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体
KR101723699B1 (ko) 폴리카보네이트-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공중합체
US9127155B2 (en) Phosphorus free flame retardant composition
KR101538206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동 수지의 조성물 및 동 수지의 성형체
BRPI1010370A2 (pt) composições de policarbonato com dureza superficial melhorada
KR20140104714A (ko) 내충격성이 우수한 열전도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조성물
AU2010241359A1 (en) Copolycarbonat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thermal properties and based on blends
US4477637A (en) Flame retardant alkylated polycarbonate compositions
JP2007106984A (ja) 樹脂組成物および樹脂成形体
EP0114290B1 (en) Copolyester-carbonate blends
JP5973282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US20190127574A1 (en) Poly(ester-carbonate) copolymers, articles formed therefrom,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8053534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made using the same
JP2013107928A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KR20210067097A (ko) 난연 폴리카보네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KR102200872B1 (ko) 내열성 및 유동성이 향상된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릴레이트 얼로이 수지 조성물
JP5245394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5369296B2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JP2015189906A (ja) 芳香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CN110776728B (zh) 热塑性树脂组合物及由其形成的模制品
CN110691820B (zh) 增强聚碳酸酯树脂组合物
JPH1145139A (ja) キートップ部材製造用材料
US8933170B2 (en) Bio-sourced transparent and ductile polycarbonate blends
JPH07188539A (ja) 共重合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812893B1 (ko) 고내열 폴리카보네이트 멀티 블록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