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333B1 -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333B1
KR102200333B1 KR1020180030297A KR20180030297A KR102200333B1 KR 102200333 B1 KR102200333 B1 KR 102200333B1 KR 1020180030297 A KR1020180030297 A KR 1020180030297A KR 20180030297 A KR20180030297 A KR 20180030297A KR 102200333 B1 KR102200333 B1 KR 102200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helter
shelter structure
air purification
plat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8796A (ko
Inventor
임재찬
Original Assignee
제이씨데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씨데코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이씨데코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0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333B1/ko
Publication of KR20190108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8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3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within the vehicle ; Indicators inside the vehicles or at st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9/00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e.g. air curtains
    • F24F2009/002Room divi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쉘터구조물 시스템이 온될 경우 제어모듈이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검출센서로 부터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상태, 유입된 사람의 수 및 미세먼지의 농도를 포함하는 공기오염정보를 검출하여 분석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후에 제어모듈이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오염정보를 분석된 결과에 따라 다수개의 공기정화모듈의 구동을 다단계로 제어하여 파워세이빙기능을 실행시키면서 계속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상태를 검출하여 분석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중에 제어모듈이 검출센서를 통해 쉘터구조물내에서 설정된 일정농도 이상으로 오염물질이 검출될 경우 모든 공기정화모듈을 동작시키는 강력공기정화모드를 실행시켜 쉘터구조물내의 공기를 급속정화시키는 제3 과정을 포함하는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버스 승차대 쉘터의 내부 일측에 유닛 카세트형태로 공기정화모듈을 다수개 설치하고 검출센서를 통해 쉘터 내부공간의 공기질과 사람 수를 측정한후 그 결과에 따라 쉘터 내부공간의 공기를 정밀하게 정화시키게 되므로 그에 따라 외부 미세먼지나 매연으로부터 쉘터내의 승차자들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어 버스 승차대를 쾌적한 웰빙공간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Bus platform shelter structure system having an automatic air clean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 승차대 쉘터의 내부 일측에 유닛 카세트형태로 공기정화모듈을 다수개 설치하여 쉘터 내부공간의 공기를 정밀하게 정화시키게 되므로써, 외부 미세먼지나 매연으로부터 쉘터내의 승차자들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선 버스는 지하철과 함께 다수 승객의 수송을 위해 널리 이용되고 있는 대중교통수단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노선 버스는 도로변에 소정 간격으로 지정된 다수의 버스 정류장에 정차하면서 승객을 승.하차 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버스 정류장에는 탑승을 희망하는 노선 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의 편의 및 안전을 위해 다양한 구조를 갖는 버스 승차대가 설치된다. 특히, 도심에서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시행됨에 따라, 버스 정류장에는 다양한 구조의 버스 승차대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는 승객에게 편의 및 안전을 제공함과 아울러, 도시 미관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최근 상기와 같은 버스 승차대에는 승차를 위해 기다리는 승객들이 눈과 비 혹은 태양광으로부터 잠시 피할 수 있는 공간인 쉘터가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버스 승차대의 쉘터는 승객이 탑승하고자 하는 버스를 기다리는 대기장소임과 동시에 버스의 노선 안내 및 각종 광고를 제공하는 등 보다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종래 버스 승차대의 쉘터 구조물을 도 1을 참고로 하여 살펴보면, 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콘크리트재 기초대(70)와; 상기 기초대(70)에 건축물의 기둥처럼 용접이나 혹은 볼트너트방식으로 고정설치되는 지주(71a-n)와; 상기 지주(71a-n)들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용접이나 혹은 볼트너트방식으로 고정설치되는 들보(72)와; 상기 들보(72)나 지주(71a-n)에 대해 들보(72)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철재프레임 형태의 서까래부재(73)와; 상기 서까래부재(73)의 상부에 언져 지붕형태를 형성하는 지붕판부재(74)와; 상기 지주(71a-n)와 지주(71a-n)사이에 끼워져 칸막이를 형성하는 벽체(7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버스 승차대 쉘터 구조물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상기와 같은 종래 쉘터 구조물은 통상 현장에서 시공되는데, 이때 먼저 콘크리트재 기초대(70)를 지면에 대해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설치된 각 기초대(70)에 지주들(71a-n)을 건축물의 기둥처럼 용접이나 혹은 볼트너트방식으로 고정 설치한다. 또한, 상기 지주(71a-n)들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들보(72)를 용접이나 혹은 볼트너트방식으로 고정설치시킨다. 더 나아가, 상기 들보(72)나 지주(71a-n)에 대해 다수개의 철재프레임 형태의 서까래부재(73)를 들보(72)의 전방을 향하도록 설치하여 구조물의 윤곽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서까래부재(73)의 상부에 지붕판부재(74)를 언져 쉘터의 지붕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지주(71a-n)와 지주(71a-n)사이에 다수개의 벽체(75)들을 끼워 칸막이를 형성한후 쉘터의 중앙부에 승객을 위한 길이의자(76)를 배치하여 쉘터의 시공을 완료시킨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시공된 버스 승차대 쉘터의 지붕아래 노스버스를 기다리는 승객이들이 위치하게 될 경우 해당 승객들은 눈과 비 혹은 태양광으로부터 잠시 피할 수 있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버스 승차대 쉘터 구조물은 쉘터 내부공간이 외부로부터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도로의 매연이나 주변의 미세먼지가 쉘터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게 되어 승차를 위해 쉘터에 대기중인 승객들의 호흡기건강을 위협하였으며, 더나아가 쉘터의 내부공간이 주변으로부터 다소 격리된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다수의 숭객들이 쉘터내에 위치하여 일정시간 호흡할 경우 오히려 외부공기보다 공기질이 좋지않아 그에 따라 쉘터의 활용도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유닛 카세트형태로 설치된 공기정화모듈을 통해 쉘터 내부공간의 공기를 정밀하게 정화시키게 되므로 그에 따라 외부 미세먼지나 매연으로부터 쉘터내의 승차자들의 호흡기건강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쉘터의 출입구 상단부에 에어커튼모듈을 설치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하부로 방출시켜 쉘터 출입구에 에어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므로 쉘터 내부공간의 공기질을 양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발명된 것으로, 인도의 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기초대에 건축물의 기둥처럼 용접이나 혹은 볼트너트방식으로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들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들보와;
상기 들보 혹은 지주의 상부에 언져진 서까래부재를 매개로 구조물의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판부재와;
상기 지붕판부재의 중하부에 일정크기로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내부가 일정크기로 구획되어 카세트형태로 유닛부재를 각기 끼울수 있게 유닛삽입공간부가 다수개 형성된 유닛 지붕판부재와;
상기 유닛 지붕판부재의 유닛삽입공간부에 각기 삽입되어 유무선형태로 결선되고 쉘터구조물내의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모듈과:
상기 공기정화모듈과 유무선 형태로 연결되고 공기정화모듈을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상태에 따른 분석된 결과에 따라 개별적으로 각기 구동시키고 쉘터구조물 시스템의 전기전자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유닛 지붕판부재의 하부 외곽라인을 따라 지주와 지주를 매개로 인도쪽으로 각기 돌출되게 결합하여 일정크기의 쉘터구조물을 형성하고 일정곡면을 갖는 투명재질의 곡면판으로 형성되는 제1 쉘터벽부재와;
상기 제1 쉘터벽부재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유닛 지붕판부재의 하부 외곽라인을 따라 지주와 지주를 매개로 인도쪽으로 각기 돌출되게 결합하여 일정크기의 쉘터구조물을 형성하고 일정곡면을 갖는 투명재질의 곡면판으로 형성되는 제2 쉘터벽부재를 포함하는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쉘터구조물 시스템이 온될 경우 제어모듈이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검출센서로 부터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상태, 유입된 사람의 수 및 미세먼지의 농도를 포함하는 공기오염정보를 검출하여 분석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후에 제어모듈이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오염정보를 분석된 결과에 따라 다수개의 공기정화모듈의 구동을 다단계로 제어하여 파워세이빙기능을 실행시키면서 계속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상태를 검출하여 분석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중에 제어모듈이 검출센서를 통해 쉘터구조물내에서 설정된 일정농도 이상으로 오염물질이 발견될 경우 모든 공기정화모듈을 동작시키는 강력공기정화모드를 실행시켜 쉘터구조물내의 공기를 급속정화시키는 제3 과정을 포함하는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버스 승차대 쉘터의 내부 일측에 유닛 카세트형태로 공기정화모듈을 다수개 설치하고 검출센서를 통해 쉘터 내부공간의 공기질과 사람 수를 측정한후 그 결과에 따라 쉘터 내부공간의 공기를 정밀하게 정화시키게 되므로 그에 따라 외부 미세먼지나 매연으로부터 쉘터내의 승차자들을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어 버스 승차대를 쾌적한 웰빙공간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쉘터의 출입구 상단부에 에어커튼모듈을 설치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하부로 방출시키므로 쉘터 출입구에 에어커튼이 형성되기때문에 쉘터 외부에서 발생된 미세먼지나 매연이 쉘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상당히 차단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라 쉘터 내부공간의 공기질을 양호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버스 승차대 쉘터 구조물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쉘터구조물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쉘터구조물 시스템중 유닛 지붕판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쉘터구조물 시스템의 전기회로적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쉘터구조물 시스템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쉘터구조물 시스템의 미세먼지 포집장치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관련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쉘터구조물 시스템의 일례를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쉘터구조물 시스템중 유닛 지붕판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쉘터구조물 시스템의 전기회로적인 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쉘터구조물 시스템을 상부에서 바라본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쉘터구조물 시스템의 미세먼지 포집장치부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쉘터구조물 시스템은 도2 내지 도5 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도(1)의 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기초대(2)에 건축물의 기둥처럼 용접이나 혹은 볼트너트방식으로 고정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3a-e)와;
상기 지주(3a-e)들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는 들보(4)와;
상기 들보(4) 혹은 지주(3a-e)의 상부에 언져진 서까래부재(5)를 매개로 구조물의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판부재(6)와;
상기 지붕판부재(6)의 중하부에 일정크기로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내부가 일정크기로 구획되어 카세트형태로 유닛부재를 각기 끼울수 있게 유닛삽입공간부(7a-n)가 다수개 형성된 유닛 지붕판부재(8)와;
상기 유닛 지붕판부재(8)의 유닛삽입공간부(7a-n)에 각기 삽입되어 유무선형태로 결선되고 쉘터구조물(9)내의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모듈(10a-n)과:
상기 공기정화모듈과 유무선 형태로 연결되고 공기정화모듈(10a-n)을 쉘터구조물(9)내의 공기상태에 따른 분석된 결과에 따라 개별적으로 각기 구동시키고 쉘터구조물 시스템(11)의 전기전자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12)과,
상기 유닛 지붕판부재(8)의 하부 외곽라인을 따라 지주(3a-e)와 지주(3a-e)를 매개로 인도쪽으로 각기 돌출되게 결합하여 일정크기의 쉘터구조물(9)을 형성하고 일정곡면을 갖는 투명재질의 곡면판으로 형성되는 제1 쉘터벽부재(13)와;
상기 제1 쉘터벽부재(13)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유닛 지붕판부재(8)의 하부 외곽라인을 따라 지주(3a-e)와 지주(3a-e)를 매개로 인도쪽으로 각기 돌출되게 결합하여 일정크기의 쉘터구조물(9)을 형성하고 일정곡면을 갖는 투명재질의 곡면판으로 형성되는 제2 쉘터벽부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주(3a-e)와 지주(3a-e)사이에는 광고 등이 표시된 판이 끼워져 칸막이를 형성하는 판부재(15)가 형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쉘터구조물(9)의 후면에 위치한 판부재(15)상에는 공기정화식물이 심겨진 모판프레임(16)이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 설치된 좌측패널판(17)과 우측패널판(18)이 각기 대칭되게 시설된다. 또한 상기 쉘터구조물(9)의 좌측패널판(17)과 우측패널판(18)의 사이에는 쉘터구조물(9)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미세먼지를 물을 이용하여 포집할 수 있는 미세먼지 포집장치부(19)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부(19)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의 후면부에 물공급수단(28)이 구비되어 있고, 몸체의 최상단부에 다수개의 노즐(29)이 형성된 물노즐수단(30)이 구비되며, 몸체의 하단부에는 물이 미세먼지 포집장치부(19)의 전면몸체를 따라 하부로 이동할 때 쉘터구조물(9)의 내부에 비산하고 있는 오염물질을 물분자가 결합한후 회수되게하는 물배출수단(3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물배출수단(31)의 주변에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물정화수단(32)이 구비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쉘터구조물(9)의 내부에는 쉘터구조물(9)의 실내공간의 공기질을 측정하여 제어모듈(12)로 전송시키는 검출센서(20a-n)가 다수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쉘터구조물(9)의 제1 쉘터벽부재(13) 및 제2 쉘터벽부재(14)의 사이에는 도로쪽으로 승객들이 유,출입할 수 있도록 출입구(21)가 형성되어 있다.
더나아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쉘터구조물(9)의 출입구(21)의 상부측에 에어커튼을 형성하기위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하부로 방출시키는 에어커튼모듈(22)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쉘터구조물(9)의 일단에는 제어모듈(12)의 기능제어하에 외부 네트워크(23)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영상 및 음성신호로 표시하는 정보게시판(24)과, 승객들이 디스플레이패널에서 설정하는 원하는 음원을 틀어주는 음원재생장치(25)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붕판부재(6)의 상부 좌, 우측면에는 쉘터구조물 시스템(11)에 보조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태양열 전지판(26)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원발명의 버스승차대 쉘터구조물 시스템의 조립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인도(1)의 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기초대(2)에 다수개의 지주(3a-e)를 각기 건축물의 기둥처럼 용접이나 혹은 볼트너트방식으로 고정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주(3a-e)들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들보(4)를 고정설치한후 서까래부재(5)를 도로방향으로 하여 들보(4)와 지주(3a-e)상에 고정설치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된 서까래부재(5)의 상부로 지붕판부재(6)를 언져 쉘터구조물(9)의 지붕을 형성시킨다. 이때, 상기 지붕판부재(6)의 하단에 유닛삽입공간부(7a-n)가 다수개 형성된 유닛 지붕판부재(8)를 결합시공한후 상기 유닛삽입공간부(7a-n)의 각각에 유닛부재 즉, 공기정화모듈(10a-n) 혹은 제어모듈(12)을 카세트테이프 투입방식과 유사하게 끼워 고정한후 배전반(도시안됨)과 연결되는 전기전자적 결합을 완료한다. 이와 더불어 또한 상기 유닛 지붕판부재(8)의 하부 외곽라인을 따라 지주(3a-e)와 지주(3a-e)를 매개로 인도쪽으로 일정곡면을 갖는 투명재질의 곡면판이 형성되는 제1 쉘터벽부재(13)와 제2 쉘터벽부재(14)를 각기 돌출되게 시공하여 버스승차대에 결합되는 일정크기의 쉘터구조물(9)을 완성시킨다.
여기서, 상기 시공과정중에 에어커튼모듈의 시공이 더 요구될 경우 쉘터구조물(9)의 출입구(21)의 상부측에 에어커튼모듈(22)을 설치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하부로 방출시키는 에어커튼기능을 실행한다. 또한 상기 쉘터구조물(9)의 일단에는 제어모듈(12)의 기능제어하에 외부 네트워크(23)와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영상 및 음성신호로 표시하는 정보게시판(24)과, 승객들이 디스플레이패널에서 설정하는 원하는 음원을 틀어주는 음원재생장치(25)도 설치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초기상태(S1)에서 쉘터구조물 시스템이 온될 경우 제어모듈이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검출센서로 부터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상태, 유입된 사람의 수 및 미세먼지의 농도를 포함하는 공기오염정보를 검출하여 분석하는 제1 과정(S2)과;
상기 제1 과정(S2)후에 제어모듈이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오염정보를 분석된 결과에 따라 다수개의 공기정화모듈의 구동을 다단계로 제어하여 파워세이빙기능을 실행시키면서 계속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상태를 검출하여 분석하는 제2 과정(S3)과;
상기 제2 과정(S3)중에 제어모듈이 검출센서를 통해 쉘터구조물내에서 설정된 일정농도 이상으로 오염물질이 급속히 검출될 경우 모든 공기정화모듈을 동작시키는 강력공기정화모드를 실행시켜 쉘터구조물내의 공기를 급속 정화시키는 제3 과정(S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과정(S3)에는 에어커튼기능이 추가로 더 설정될 경우 제어모듈이 쉘터구조물(9)의 출입구(21)의 상부측에 설치된 에어커튼모듈(22)을 동작시켜 필터링된 공기를 하부로 방출시키는 에어커튼기능을 실행시키는 에어커튼 실행단계를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과정(S3)에는 공기 예비 정화기능이 추가로 설정될 경우 제어모듈이 버스도착을 알리는 도착알림판시스템으로부터 버스도착정보를 수신받아 설정된 기준시간을 기점으로 버스가 몇 대 도착하는지를 분석하는 버스도착전 정보 분석단계와,
상기 버스도착전 정보 분석단계중에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기준시점을 기준으로 도착되는 버스의 대수에 따라 산출된 공기정화모듈에 대한 가동결과를 참고로 버스 도착전에 공기정화모듈을 산출된 수만큼 동작시켜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질을 미리 향상시키는 버스도착전 공기정화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환언하면, 본원발명은 지붕판부재(6)의 하부 외곽라인을 따라 지주(3b)와 지주(3d)를 매개로 인도쪽으로 일정곡면을 갖는 투명재질의 곡면판이 형성되는 제1 쉘터벽부재(13)와 제2 쉘터벽부재(14)를 각기 돌출되게 시공하여 버스승차대에 결합되는 일정크기의 쉘터구조물(9)을 완성시킨다. 이때, 상기와 같이 버스승차대의 쉘터구조물(9)이 완성될 경우 상기 지붕판부재(6)의 하단에 유닛삽입공간부(7a-n)가 다수개 형성된 유닛 지붕판부재(8)를 결합시공한후 상기 유닛삽입공간부(7a-n)의 각각에 유닛부재 즉, 공기정화모듈(10a-n) 혹은 제어모듈(12)을 카세트테이프 투입방식과 유사하게 끼워 고정한후 전원공급함(도시안됨)과 연결되는 전기전자적 결합을 완료한다. 그리고 상기 쉘터구조물 시스템(11)을 온(on)시키면, 제어모듈(12)은 쉘터구조물(9)의 주변에 다수개 설치된 검출센서(20a-n)로 부터 쉘터구조물(9)내의 공기상태, 유입된 사람의 수 및 미세먼지의 농도를 포함하는 다양한 공기오염정보를 검출하여 분석한다. 이때, 상기 제어모듈(12)은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오염정보를 분석된 결과에 따라 다수개의 공기정화모듈(10a-n)의 구동을 다단계로 제어하여 파워세이빙기능을 실행시키게되는데, 예컨대, 쉘터구조물(9)내에 머무르는 승객의 수가 적고 미세먼지나 매연 등을 포함하는 공기의 질도 설정된 기준값 A(최상), B(양호), C(보통), D(불량), E(위험)값중 B이상의 값을 유지할 경우 공기정화모듈(10a-n)을 하나만 구동하여 쉘터구조물(9)내의 공기를 정화시킨다. 만약 상기 과정중에 제어모듈(12)은 쉘터구조물(9)내에 머무르는 승객의 수도 수용용량에 비춰볼때 다수 상존하고 있고 미세먼지나 메연 등을 포함하는 공기의 질도 기준값 E 등급일 경우 모든 공기정화모듈(10a-n)을 최대로 가동하여 신속히 쉘터구조물(9)내의 공기를 강력히 정화시키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쉘터구조물 시스템에 채용되는 상기 제어모듈(12)은 상기와 같은 실시예와 같이 쉘터구조물(9)내의 수용되는 승객의 수, 미세먼지 농도 및 메연 농도 등의 정보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에 비례하여 공기정화모듈들(10a-n)의 구동 및 파워세이빙과정을 미리 프로그램하여 내장된 메모리(도시안됨)에 저장시킨후 그 저장된 제어방법에 따라 동작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어모듈(12)은 또한 검출센서(20a-n)를 통해 쉘터구조물(9)내에서 설정된 일정농도 이상으로 오염물질이 급속히 검출될 경우 모든 공기정화모듈(10a-n)을 동작시키는 강력공기정화모드도 실행시켜 쉘터구조물(9)내에 돌발적으로 급속히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게되므로 쉘터구조물(9)내에 머무르는 승객들을 오염물질로부터 완전히 보호하게 된다.
이에더하여 상기와 같은 본원발명은 또다른 실시예로, 에어커튼기능을 추가로 더 설정할 수가 있는데, 이러한 에어커튼기능이 추가로 더 설정될 경우 제어모듈(12)은 쉘터구조물(9)의 출입구(21)의 상부측에 설치된 에어커튼모듈(22)을 동작시켜 필터링된 공기를 하부로 방출시키는 에어커튼기능을 실행시키므로 외부에서 발생된 미세먼지나 매연 등이 쉘터구조물(9)내로 유입되어 승객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일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게된다.
그리고 상기 쉘터구조물의 후면에 위치한 판부재(15)상에 설치된 좌측패널판(17)과 우측패널판(18)에는 공기정화식물이 심겨진 모판프레임(16)이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 설치되어 있는데, 이 모판프레임(16)에 심겨진 공기정화식물은 주변의 미세먼지나 이산화탄소 등을 흡수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쉘터구조물(9)내의 공기를 정화하는데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쉘터구조물(9)의 좌측패널판(17)과 우측패널판(18)의 사이에 설치된 미세먼지 포집장치부(19)는 몸체후면부에 구비된 물공급수단(28)을 구동하여 몸체의 최상단부에 설치된 물노즐수단(30)의 다수개의 노즐(29)을 통해 물을 하부로 흘려보내게 된다. 그러면 상기 물노즐수단(30)의 다수개의 노즐(29)로 부터 분출되는 물은 미세먼지 포집장치부(19)의 전면몸체를 따라 하부로 흐른후 물배출수단(31)에 의해 회수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물이 미세먼지 포집장치부(19)의 전면몸체를 따라 하부로 이동할 때 쉘터구조물(9)의 내부에 비산하고 있는 오염물질도 이 물분자와 결합되어 물배출수단(31)으로 함께 모여 배출되게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이 물배출수단(31)으로 모이게된 오염된 물은 다시 물정화수단(32)에 의해 그 오염물질이 정화된후 물공급수단(28)으로 피드백된다. 따라서, 상기 미세먼지 포집장치부(19)는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쉘터구조물(9)내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게된다.
한편, 더 나아가, 상기 본원발명의 쉘터구조물 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로, 공기 예비 정화기능을 추가로 설정할 수가 있는데, 이 공기 예비 정화기능이 설정될 경우 제어모듈(12)은 버스 승차대 주변에 설치된 버스도착 알림판시스템(27)으로부터 버스도착정보를 수신받아 설정된 기준시간(관리자가 설정해주는 특정시간이나 아니면 특정간격시간)을 기점으로 버스가 몇 대 도착하는지를 분석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모듈(12)은 상기 기준시점을 기준으로 도착되는 버스의 대수에 따라 산출된 공기정화모듈에 대한 가동결과를 참고로 버스 도착전에 공기정화모듈을 산출된 수만큼 동작시켜 쉘터구조물(9)내의 공기질을 미리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즉, 상기 제어모듈(12)은 상기와 같이 공기 예비 정화기능이 설정되고 기준시점정보 예컨대, 관리자가 24시간중 오후 5시를 설정한후 예비시간을 10분으로 설정할 경우 이 설정정보를 체킹하고 있다가 오후 4시50분에 이르면 즉, 오후 5시가 되기전 10분전에 버스도착 알림판시스템(27)으로부터 오후 5시에 도착하는 버스들이 몇 대인지를 수신받은후 메모리(도시안됨)에 저장된 그 버스의 대수에 따른 공기정화모듈(10a-n)의 가동규정을 산출하고 그 산출결과에 따라 공기정화모듈(10a-n)을 구동시켜 오후 5시에 버스가 도착되기전에 예비적으로 쉘터구조물(9)내의 공기를 정화시켜 오후 5시에 쉘터구조물(9)의 주변을 지나는 버스들부터 쉘터구조물(9)내의 오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쉘터구조물(9)의 일단에는 제어모듈(12)의 기능제어하에 외부 네트워크(23) 예컨대, 인터넷이나 인트라넷과 연동하여 각종 정보를 영상 및 음성신호로 표시하는 정보게시판(24)이 구비되어 있어서 승객의 필요에 맞게 영상 및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음원재생장치(25)를 통해서도 승객들이 디스플레이패널에서 설정하는 원하는 음원을 틀어줄 수도 있다.
1 : 인도 2: 기초대
3a-e: 지주 4 : 들보
5 : 서까래부재 6 : 지붕판부재
7a-n: 유닛삽입공간부 8 : 유닛 지붕판부재
9 : 쉘터구조물 10a-n: 공기정화모듈
11: 쉘터구조물 시스템 12: 제어모듈
13: 제1 쉘터벽부재 14: 제2 쉘터벽부재
15: 판부재 16: 모판프레임
17: 좌측패널판 18: 우측패널판
19: 미세먼지 포집장치부 20a-n: 검출센서
21: 출입구 22:에어커튼모듈
23: 외부 네트워크 24: 정보게시판
25: 음원재생장치 26: 태양열 전지판
27: 버스도착 알림판시스템 28: 물공급수단
29: 노즐 30: 물노즐수단
31: 물배출수단 32: 물정화수단

Claims (7)

  1. 인도의 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기초대에 건축물의 기둥처럼 용접이나 혹은 볼트너트방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들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들보와; 상기 들보 혹은 지주의 상부에 언져진 서까래부재를 매개로 구조물의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판부재와; 상기 지붕판부재의 중하부에 일정크기로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내부가 일정크기로 구획되어 카세트형태로 유닛부재를 각기 끼울 수 있게 유닛삽입공간부가 다수개 형성된 유닛 지붕판부재와; 상기 유닛 지붕판부재의 유닛삽입공간부에 각기 삽입되어 유무선형태로 결선되고 쉘터구조물내의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모듈과: 상기 공기정화모듈과 유무선 형태로 연결되고 공기정화모듈을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상태에 따른 분석된 결과에 따라 개별적으로 각기 구동시키고 쉘터구조물 시스템의 전기전자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유닛 지붕판부재의 하부 외곽라인을 따라 지주와 지주를 매개로 인도쪽으로 각기 돌출되게 결합하여 일정크기의 쉘터구조물을 형성하고 일정곡면을 갖는 투명재질의 곡면판으로 형성되는 제1 쉘터벽부재와; 상기 제1 쉘터벽부재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유닛 지붕판부재의 하부 외곽라인을 따라 지주와 지주를 매개로 인도쪽으로 각기 돌출되게 결합하여 일정크기의 쉘터구조물을 형성하고 일정곡면을 갖는 투명재질의 곡면판으로 형성되는 제2 쉘터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쉘터구조물의 출입구의 상부측에는 에어커튼을 형성하기위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하부로 방출시키는 에어커튼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쉘터구조물의 후면에 위치한 판부재상에는 공기정화식물이 심겨진 모판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 설치된 좌측패널판과 우측패널판이 각기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쉘터구조물의 좌측패널판과 우측패널판의 사이에는 쉘터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미세먼지를 물을 통해 결합시켜 배출시키는 미세먼지 포집장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인도의 지면에 등간격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기초대에 건축물의 기둥처럼 용접이나 혹은 볼트너트방식으로 고정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들의 사이에서 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들보와; 상기 들보 혹은 지주의 상부에 언져진 서까래부재를 매개로 구조물의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판부재와; 상기 지붕판부재의 중하부에 일정크기로 공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간내부가 일정크기로 구획되어 카세트형태로 유닛부재를 각기 끼울 수 있게 유닛삽입공간부가 다수개 형성된 유닛 지붕판부재와; 상기 유닛 지붕판부재의 유닛삽입공간부에 각기 삽입되어 유무선형태로 결선되고 쉘터구조물내의 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모듈과: 상기 공기정화모듈과 유무선 형태로 연결되고 공기정화모듈을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상태에 따른 분석된 결과에 따라 개별적으로 각기 구동시키고 쉘터구조물 시스템의 전기전자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모듈과, 상기 유닛 지붕판부재의 하부 외곽라인을 따라 지주와 지주를 매개로 인도쪽으로 각기 돌출되게 결합하여 일정크기의 쉘터구조물을 형성하고 일정곡면을 갖는 투명재질의 곡면판으로 형성되는 제1 쉘터벽부재와; 상기 제1 쉘터벽부재와 대칭되는 위치에서, 유닛 지붕판부재의 하부 외곽라인을 따라 지주와 지주를 매개로 인도쪽으로 각기 돌출되게 결합하여 일정크기의 쉘터구조물을 형성하고 일정곡면을 갖는 투명재질의 곡면판으로 형성되는 제2 쉘터벽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쉘터구조물의 출입구의 상부측에는 에어커튼을 형성하기위하여 필터링된 공기를 하부로 방출시키는 에어커튼모듈이 설치되고, 상기 쉘터구조물의 후면에 위치한 판부재상에는 공기정화식물이 심겨진 모판프레임이 수직방향으로 다수개 적층 설치된 좌측패널판과 우측패널판이 각기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쉘터구조물의 좌측패널판과 우측패널판의 사이에는 쉘터구조물의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미세먼지를 물을 통해 결합시켜 배출시키는 미세먼지 포집장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으로서;
    상기 쉘터구조물 시스템이 온될 경우 제어모듈이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검출센서로 부터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상태, 유입된 사람의 수 및 미세먼지의 농도를 포함하는 공기오염정보를 검출하여 분석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 후에 제어모듈이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오염정보를 분석된 결과에 따라 다수개의 공기정화모듈의 구동을 다단계로 제어하여 파워세이빙기능을 실행시키면서 계속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상태를 검출하여 분석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중에 제어모듈이 검출센서를 통해 쉘터구조물내에서 설정된 일정농도 이상으로 오염물질이 검출될 경우 모든 공기정화모듈을 동작시키는 강력공기정화모드를 실행시켜 쉘터구조물내의 공기를 급속 정화시키는 제3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제2 과정에는 에어커튼기능이 추가로 더 설정될 경우 제어모듈이 쉘터구조물의 출입구의 상부측에 설치된 에어커튼모듈을 동작시켜 필터링된 공기를 하부로 방출시키는 에어커튼기능을 실행시키는 에어커튼 실행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과정에는 공기 예비 정화기능이 추가로 설정될 경우 제어모듈이 버스도착을 알리는 도착알림판시스템으로부터 버스도착정보를 수신받아 설정된 기준시간을 기점으로 버스가 몇 대 도착하는지를 분석하는 버스도착전 정보 분석단계와, 상기 버스도착전 정보 분석단계중에 상기 제어모듈이 상기 기준시점을 기준으로 도착되는 버스의 대수에 따라 산출된 공기정화모듈에 대한 가동결과를 참고로 버스 도착전에 공기정화모듈을 산출된 수만큼 동작시켜 쉘터구조물내의 공기질을 미리 향상시키는 버스 도착전 공기정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의 제어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80030297A 2018-03-15 2018-03-15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200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297A KR102200333B1 (ko) 2018-03-15 2018-03-15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297A KR102200333B1 (ko) 2018-03-15 2018-03-15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796A KR20190108796A (ko) 2019-09-25
KR102200333B1 true KR102200333B1 (ko) 2021-01-08

Family

ID=6806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297A KR102200333B1 (ko) 2018-03-15 2018-03-15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3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9036B1 (ko) * 2020-01-31 2020-12-09 김병우 공기정화용 식물 재배 장치
KR102181789B1 (ko) * 2020-02-25 2020-11-24 김병우 공기정화용 식물재배장치가 마련된 에어커튼 시스템
KR102309467B1 (ko) * 2020-11-26 2021-10-07 주식회사 닷밀 미디어 벤치
KR102440631B1 (ko) 2020-12-04 2022-09-05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실내 공기질 제어를 위한 IoT 공기정화 시스템 및 운전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09B1 (ko) * 2012-10-10 2014-12-05 주식회사웰트리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CN205688857U (zh) * 2016-06-15 2016-11-16 中洁环保新能源科技(西安)有限公司 一种多功能空气净化公交站亭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8464A (ko) * 2014-04-14 2015-10-22 김동현 버스 정류장
KR101881057B1 (ko) * 2015-11-04 2018-07-23 (주)에이스텍 클린룸 천정용 모듈식 조립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9509B1 (ko) * 2012-10-10 2014-12-05 주식회사웰트리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CN205688857U (zh) * 2016-06-15 2016-11-16 中洁环保新能源科技(西安)有限公司 一种多功能空气净化公交站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8796A (ko)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0333B1 (ko) 자동공기정화기능이 구비된 버스 승차대 쉘터구조물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1749474B (zh) 洁净厂房的施工方法
JP2006206283A (ja) 傾斜型乗客コンベア
WO2019013393A1 (ko) 도로 세척 기능을 갖는 광고 펜스
WO2017080124A1 (zh) 可移动天桥系统
ATE134241T1 (de) Fertigteil-modularbau
CN103257618B (zh) 一种大型出租车蓄车场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ATE292222T1 (de) Vorrichtung zur verkleidung
US20050281640A1 (en) Multi-storey parking garage
KR101668923B1 (ko) 방음터널용 접이식 점검로 및 이 시공 방법
DE2160012C3 (de) Baukonstruktion zum Be- und Entlüften sowie Klimatisieren von bestehenden Gebäuden
KR20200138093A (ko) 버스 쉘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설치방법
KR102145004B1 (ko)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
JP2010106607A (ja) 昇降式足場
KR102118949B1 (ko) 분진비산방지가림막 모듈 및 상기 모듈을 포함하는 건물해체용 분진비산방지가림막
JP2004100193A (ja) 橋梁高欄部の作業用足場装置
JP3112852U (ja) ユニット観覧席
WO2017080123A1 (zh) 可移动天桥
CN215265225U (zh) 智能交通沙盘
CN217538073U (zh) 一种新型焊接车间
DK0513435T3 (ko)
CN213927668U (zh) 一种混凝土冬期施工用移动式养护车间
CN210979650U (zh) 一种用于隔离施工路段的噪音和灰尘的多功能路灯系统
CN216196975U (zh) 一种节地高效斜楼板错层式钢结构停车楼
CN210947938U (zh) 一种智慧停车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