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004B1 -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004B1
KR102145004B1 KR1020200045836A KR20200045836A KR102145004B1 KR 102145004 B1 KR102145004 B1 KR 102145004B1 KR 1020200045836 A KR1020200045836 A KR 1020200045836A KR 20200045836 A KR20200045836 A KR 20200045836A KR 102145004 B1 KR102145004 B1 KR 102145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ne dust
facility
vertica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동욱
나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온씨티
Priority to KR102020004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0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E04H1/1211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 E04B2/7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 E04B2/7809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 E04B2/7818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with framework or posts of metal characterised by special cross-section of the frame members as far as important for securing wall panels to a framework with or without the help of cover-strips of single or multiple tubular form of substantially rectangular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은, 상하부를 이루는 베이스 판넬(101); 조립형 시설물의 측부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측면을 상하부로 연결하는 측부 판넬(103); 조립형 시설물의 전방을 이루는 것으로 베이스 판넬(101)의 전면을 상하부로 연결하는 도어 판넬(105); 조립형 시설물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부 상에서 양측부의 상하부 단에 조립형 시설물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프레임(110); 복수의 가로 프레임(110)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 프레임(120); 조립형 시설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양측부 상의 가로 프레임(110) 및 세로 프레임(120)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130); 상기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과 메인 프레임(130) 간을 결속하게 하는 내부 고정 브라켓(140); 및 상기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과 메인 프레임(130)이 모아지는 지점으로서 조립형 시설물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Prefabricated facility with fine dust avoidance and re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대기 오염 정도를 실시간으로 표시하여 즉각적인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대기오염 조사기관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도시 미세먼지 농도는 선진국 주요도시의 2배 이상 수준이며, 최근 미세먼지 문제는 더욱 심화되는 추세이다.
특히, 버스 정류장 중앙차로의 이산화질소 농도는 도심지역의 평균대기질 농도의 2.5~5.3배 수준에 달하는 등 버스 이용자가 승차 대기 중에 받게 되는 오염물질로부터의 대기오염 피해가 높은 수준이다.
교통 밀집 지역, 도로변 보행로, 도로 인접 지역에서의 주거나 노동, 자전거로 이동과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대기하는 것 등을 포함한 교통 환경에서의 자동차 배출물질이 승객들에게 노출되는 것에 대한 우려가 증가하고 있다. 오염물질의 농도는 다른 환경과 비교해 볼 때 상기한 교통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높으며 결과적으로 대기중 입자상 물질 오염에 대한 개개인의 일일 노출의 상당 부분이 이러한 환경에서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이뤄질 수 있다.
최근에는 대중 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대기 오염에 장시간 노출되는 것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 증가로 인해서, 지자체 및 공공 기관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국가 공공기관에서 대기오염으로부터 시민을 보호하기 위해 스마트 클린 버스쉘터 도입을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거나, 일부 지자체에서는 미세먼지 가득한 버스 정류장의 공기 질 개선을 위해 청정버스 정류장을 설치하여 공기를 정화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해 미세먼지 농도를 기존 대비 50% 이상 낮추는 계획을 시행중이다.
KR 10-2019-0051803 A KR 10-2019-0014791 A
본 발명은 대기환경 기준에서 설정되는 미세 먼지와 대기오염 물질을 측정하고 기설정된 기준치값 이상의 미세 먼지 농도를 감지하는 경우에 이를 각 단계별로 표시하여 시민에게 알려주는 것과 동시에 대기 오염 정도에 따라 즉각적인 대피를 가능하게 하는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은, 상하부를 이루는 베이스 판넬(101); 상기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측부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측면을 상하부로 연결하는 측부 판넬(103); 상기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전방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전면을 상하부로 연결하는 도어 판넬(105); 상기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부 상에서 상기 양측부의 상하부 단에 상기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프레임(110); 상기 복수의 가로 프레임(110)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 프레임(120); 상기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양측부 상의 가로 프레임(110) 및 세로 프레임(120)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130); 상기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과 메인 프레임(130) 간을 결속하게 하는 내부 고정 브라켓(140); 및 상기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과 메인 프레임(130)이 모아지는 지점으로서 상기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150);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고정 브라켓(140)은, 상기 메인 프레임(130)과 가로 프레임(110)을 상호 결합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130)과 세로 프레임(120)을 상호 결합하며, 상기 복수의 세로 프레임(120)은 상기 측부 판넬(103) 상에 상하부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감지되는 대기 오염 정보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메인 프레임(130)은, 각각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양측부 및 상기 측부 판넬(103)의 상하측 상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양측 중 일측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측부 판넬(103)의 상하측 중 일측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을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외측 가장자리 상에서 상기 베이스 판넬(101)과 상기 측부 판넬(103)을 연결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복수의 메인 프레임(130) 각각은, 외부에 노출되는 프레임 외벽부(131),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프레임 내벽부(132),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와 프레임 내벽부(132)의 바깥 측을 연결하는 프레임 외측 연결부(133),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와 프레임 내벽부(132)의 내부 측을 연결하는 프레임 내측 연결부(134), 상기 프레임 외측 연결부(133)와 프레임 내측 연결부(134)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와 프레임 내벽부(132) 간을 연결하는 프레임 중간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 내측 연결부(134) 상에 형성되는 프레임 결합홈(135)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결합홈(135) 상에 결합 띠를 삽입하여 상기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한쌍의 메인 프레임(130)을 결속한다,
상기 복수의 세로 프레임(120)은, 중공의 세로 프레임 바디(121), 상기 세로 프레임 바디(121) 상에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 프레임 지지판(122), 상기 세로 프레임 바디(121)의 전면부 상에 배치되는 미세먼지 표시판(123),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판(122) 상에 상기 미세먼지 표시판(123)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LED 패널(125)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프레임(150)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곡률을 따라 소정의 각으로 라운드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 패널(151), 상기 커버 프레임 패널(151)의 라운드진 양측에서부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쌍의 커버 날개부(152), 상기 한쌍의 커버 날개부(152)의 양 끝단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형성되는 빗물 방지구(154)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은 시설 안에 오염된 공기를 정화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복수의 판넬 및 프레임을 사용하여 시공 현장에서 바로 설치함으로써 시공성을 높이는 동시에 오염 정도를 시설의 외부면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미세 먼지 정도를 파악한 상태에서 조속히 대피할 수 있게 유도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의 전방 일측 방향에서의 사시도를 보인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의 상부 가장자리의 확대도를 보인다.
도 3은 내부 고정 브라켓을 이용하여 메인 프레임과 가로 프레임을 결합하는 동시에 메인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을 결합한 상태를 보인다.
도 4는 커버 프레임, 메인 프레임,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 간의 배치 상태를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을 설명한다.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은 일예로 도로변에 배치된 상태에서 대중 교통 탑승을 위해 대기하는 승객들을 위한 승강장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교통 밀집 지역, 도로변 보행로, 도로 인접 지역에서의 주거나 노동, 자전거로 이동과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 대기하는 것 등을 포함한 교통 환경에서의 자동차 배출물질이 승객들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길이 방향은 도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폭 방향은 도로에서 인도 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길이 방향과는 상대적인 개념인 것으로 정의한다.
이하,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은 승강장에 적용하여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미세먼지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승강장은 상기 승강장의 상하부를 이루는 베이스 판넬(101), 승강장의 측부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측면을 상하부로 연결하는 측부 판넬(103), 승강장의 전방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전면을 상하부로 연결하는 도어 판넬(105), 승강장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부 상에서 상기 양측부의 상하부 단에 승강장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프레임(110), 복수의 가로 프레임(110)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 프레임(120), 승강장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양측부 상의 가로 프레임(110) 및 세로 프레임(120)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130),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과 메인 프레임(130) 간을 결속하게 하는 내부 고정 브라켓(140) 및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과 메인 프레임(130)이 모아지는 지점으로서 상기 승강장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150);을 포함한다.
베이스 판넬(101)은 승강장의 상면 내지 하면을 이루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승강장의 지붕 기능을 하는 한편, 바닥 기능을 하는 것일 수 있다.
세로 프레임(120)은 측부 판넬(103)의 양 측단 뿐만 아니라 상기 측부 판넬(103)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복수개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제시한다.
상기 복수의 세로 프레임(120)은 측부 판넬(103) 상에 상하부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감지되는 대기 오염 정보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한다.
상기 복수의 메인 프레임(130)은, 각각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양측부 및 상기 측부 판넬(103)의 상하측 상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양측 중 일측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측부 판넬(103)의 상하측 중 일측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을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승강장의 외측 가장자리 상에서 상기 베이스 판넬(101)과 상기 측부 판넬(103)을 연결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예를 들어, 승강장의 외측 가장자리를 이루는 한쌍의 메인 프레임(130) 중 하나는 베이스 판넬(101)의 끝단에서 시작하여 소정의 곡률을 따라 45°각도 만큼 연장된 상태를 갖고, 상기 한쌍의 메인 프레임(130) 중 다른 하나는 측부 판넬(103)의 끝단에서 시작하여 소정의 곡률을 따라 45°각도 만큼 연장된 상태에서 서로 만나는 상태를 갖게 된다.
상기 복수의 메인 프레임(130) 각각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에서 소정의 곡률을 갖는 프레임 외벽부(131),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소정의 곡률을 갖는 프레임 내벽부(132),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와 프레임 내벽부(132)의 바깥 측을 연결하는 프레임 외측 연결부(133),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와 프레임 내벽부(132)의 내부 측을 연결하는 프레임 내측 연결부(134), 상기 프레임 외측 연결부(133)와 프레임 내측 연결부(134)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와 프레임 내벽부(132) 간을 연결하는 프레임 중간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 내측 연결부(134) 상에 형성되는 프레임 결합홈(135)을 포함한다. 프레임 중간 연결부 상에는 각각 브라켓 고정홈(136) 및 커버 결합홈(137)이 형성된다.
브라켓 고정홈(136)은 내부 고정 브라켓(140)을 메인 프레임(130) 상에 고정하는 기능을 하고, 커버 결합홈(137)은 커버 프레임(150)을 메인 프레임(130) 상에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프레임 외벽부(131)의 끝단 상에는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의 곡률을 유지한 상태에서 프레임 외측 연결부(133)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빗물 방지구(131a)가 형성되는데, 상기 빗물 방지구(131a)는 측부 판넬(103)의 끝단을 덮는 형식으로 이루어져 승강장 상으로 빗물의 유입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프레임 결합홈(135) 상에 결합 띠를 삽입하여 상기 승강장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한쌍의 메인 프레임(130)을 결속한다.
프레임 결합홈(135)은 메인 프레임(130)의 프레임 내측 연결부(134) 상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내측 연결부(134)의 표면 상에서 1차적으로 형성된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상기 연결부에 비해 큰 폭을 갖도록 공간 형성된 결속부를 갖는다. 상기 구조 하에서, 한쌍의 메인 프레임(130)을 각각의 프레임 내측 연결부(134)를 통해 연접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 및 결속부를 통해 결합 띠를 삽입함으로써 단단히 고정하는 작업을 한다. 상기 결합 띠는 연결부에 삽입되는 띠 본체와 상기 띠 본체의 양측 상에 형성되어져 상기 결속부 상에 삽입 고정되는 띠 돌기부를 갖는 형태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내부 고정 브라켓(140)은, 메인 프레임(130)과 가로 프레임(110)을 상호 결합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130)과 세로 프레임(120)을 상호 결합한다. 내부 고정 브라켓(140)은 ㄱ 형상을 구조를 갖는 상태에서, 일측면은 메인 프레임(130)의 끝단 상에 결합하는 동시에 타측면은 가로 프레임(110) 또는 세로 프레임(120)의 끝단 상에 결합한다.
상기 복수의 세로 프레임(120)은, 중공의 세로 프레임 바디(121), 상기 세로 프레임 바디(121) 상에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 프레임 지지판(122), 상기 세로 프레임 바디(121)의 전면부 상에 배치되는 미세먼지 표시판(123),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판(122) 상에 상기 미세먼지 표시판(123)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LED 패널(125)을 포함한다.
상기 미세먼지 표시판(123)은 세로 프레임 바디(121)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미세먼지 표시판(123)은 제어부와 연결되어져 미세먼지의 정보와 기준 초과시 그 내용을 통행자에게 제공하며, 미세먼지의 기준에 따라 대기오염물질이 기준치보다 초과하였을 경우 이를 토대로 좋음, 보통, 나쁨, 아주나쁨 등의 상태를 이미지로 표시한다. 예를 들어, 미세먼지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미세먼지상태 표시부, 시간 및 온습도와 같은 날씨상황을 표시하는 날씨표시부와, 미세먼지의 현재 상태를 수치나 문자로 표시하는 미세먼지표시부를 포함한다.
미세먼지상태 표시부는 미세먼지의 기준에 따라 미세먼지의 현재 상태를 좋음, 보통, 나쁨, 아주 나쁨으로 구분하여 현재 상태를 각각 서로 다른 색상의 램프로 표시하는 것으로서 LED 패널(125)을 구성하는 서로 다른 색상의 램프들의 on/off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 가능하게 한다.
제어부에서는 승강장의 외부 측에 배치된 센서부를 통해 실시간으로 검출되는 미세먼지 농도(X㎍/㎥)와 단계별로 기설정된 기준 농도(SET ㎍/㎥)를 상호 비교한 그 결과, 센서부 내에 포집된 미세먼지 농도가 기설정된 기준 농도 이상으로 상승한 경우로 판단될 경우에 미세먼지 표시판(123)을 통해 미세먼지의 정보와 기준 초과시 그 내용을 제공한다. 한편, 센서부는 미세먼지를 감지하는 미세먼지 감지센서, 온도와 습도를 감지하는 온습도 센서, 초미세먼지를 감지하는 초미세먼지 감지센서, 아황산가스와 일산화탄소와 이산화질소와 오존 등을 감지하는 대기오염물질 감지센서 및 라듐을 감지하는 라듐 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 프레임(150)은, 메인 프레임(130)의 곡률을 따라 소정의 각으로 라운드 형성되는 판상의 커버 프레임 패널(151), 커버 프레임 패널(151)의 라운드 형성된 양측에서부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쌍의 커버 날개부(152), 커버 프레임 패널(151)을 관통 형성되는 커버홀(153) 및 한쌍의 커버 날개부(152)의 양 끝단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가까워지도록 형성되는 빗물 방지구(154)를 포함한다. 한편, 커버 프레임 패널(151)의 내측으로는 커버홀(153)과 연통한 상태에서 연장되는 결합리브가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 안에 오염된 공기를 후 외부로 배출할 수 있으며, 복수의 판넬 및 프레임을 사용하여 시공 현장에서 바로 설치함으로써 시공성을 높이는 동시에 오염 정도를 시설의 외부면 상에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미세 먼지 정도를 파악한 상태에서 조속히 대피할 수 있게 유도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1 : 베이스 판넬
103 : 측부 판넬
105 : 도어 판넬
110 : 가로 프레임
120 : 세로 프레임
130 : 메인 프레임
131 : 프레임 외벽부
131a : 빗물 방지구
132 : 프레임 내벽부
133 : 프레임 외측 연결부
134 : 프레임 내측 연결부
135 : 프레임 결합홈
136 : 브라켓 고정홈
137 : 커버 결합홈
140 : 내부 고정 브라켓
150 : 커버 프레임
151 : 커버 프레임 패널
152 : 커버 날개부
153 : 커버홀
154 : 빗물 방지구

Claims (5)

  1.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미세먼지상태 표시 기능을 갖는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에 있어서,
    상기 조립형 시설물의 상하부를 이루는 베이스 판넬(101);
    상기 조립형 시설물의 측부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측면을 상하부로 연결하는 측부 판넬(103);
    상기 조립형 시설물의 전방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전면을 상하부로 연결하는 도어 판넬(105);
    상기 조립형 시설물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측부 상에서 상기 양측부의 상하부 단에 상기 조립형 시설물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가로 프레임(110);
    상기 복수의 가로 프레임(110)을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세로 프레임(120);
    상기 조립형 시설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양측부 상의 가로 프레임(110) 및 세로 프레임(120)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메인 프레임(130);
    상기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과 메인 프레임(130) 간을 결속하게 하는 내부 고정 브라켓(140); 및
    상기 가로 프레임(110)과, 세로 프레임(120)과 메인 프레임(130)이 모아지는 지점으로서 상기 조립형 시설물의 외측 가장자리를 덮도록 배치되는 커버 프레임(15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세로 프레임(120)은,
    중공의 세로 프레임 바디(121), 상기 세로 프레임 바디(121) 상에 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세로 프레임 지지판(122), 상기 세로 프레임 바디(121)의 전면부 상에 배치되는 미세먼지 표시판(123), 상기 세로 프레임 지지판(122) 상에 상기 미세먼지 표시판(123)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LED 패널(125)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고정 브라켓(140)은, 상기 메인 프레임(130)과 가로 프레임(110)을 상호 결합하거나, 상기 메인 프레임(130)과 세로 프레임(120)을 상호 결합하며,
    상기 복수의 세로 프레임(120)은 상기 측부 판넬(103) 상에 상하부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감지되는 대기 오염 정보를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 프레임(130)은, 각각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양측부 및 상기 측부 판넬(103)의 상하측 상에 대칭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판넬(101)의 양측 중 일측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 및 상기 측부 판넬(103)의 상하측 중 일측에 배치된 메인 프레임을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외측 가장자리 상에서 상기 베이스 판넬(101)과 상기 측부 판넬(103)을 연결하도록 소정의 곡률을 갖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메인 프레임(130) 각각은,
    외부에 노출되는 프레임 외벽부(131),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의 내측으로 이격 배치되는 프레임 내벽부(132),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와 프레임 내벽부(132)의 바깥 측을 연결하는 프레임 외측 연결부(133),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와 프레임 내벽부(132)의 내부 측을 연결하는 프레임 내측 연결부(134), 상기 프레임 외측 연결부(133)와 프레임 내측 연결부(134) 사이에서 상기 프레임 외벽부(131)와 프레임 내벽부(132) 간을 연결하는 프레임 중간 연결부, 및 상기 프레임 내측 연결부(134) 상에 형성되는 프레임 결합홈(135)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결합홈(135) 상에 결합 띠를 삽입하여 상기 미세먼지 회피 조립형 시설물의 외측 가장자리에서 한쌍의 메인 프레임(130)을 결속하게 하는,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150)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곡률을 따라 소정의 각으로 라운드 형성되는 커버 프레임 패널(151), 상기 커버 프레임 패널(151)의 라운드진 양측에서부터 메인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쌍의 커버 날개부(152), 상기 한쌍의 커버 날개부(152)의 양 끝단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소정거리 형성되는 빗물 방지구(154)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
KR1020200045836A 2020-04-16 2020-04-16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 KR102145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836A KR102145004B1 (ko) 2020-04-16 2020-04-16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836A KR102145004B1 (ko) 2020-04-16 2020-04-16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5004B1 true KR102145004B1 (ko) 2020-08-18

Family

ID=72291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836A KR102145004B1 (ko) 2020-04-16 2020-04-16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0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919A (ko) 2020-12-11 2022-06-21 (주)공존에스앤티 이동 장치에 구비되는 미세먼지 저감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527A (ko) * 2008-02-21 2009-08-26 황상민 이동식 화장실
KR101896095B1 (ko) * 2018-02-19 2018-10-10 (유)한국에프엔씨 모듈형 흡연부스
KR20190014791A (ko) 2017-08-03 2019-02-1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KR20190051803A (ko) 2018-10-24 2019-05-15 김수영 안전 쉼터
KR20190065563A (ko) * 2017-12-04 2019-06-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개방형 공중 흡연 시설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0527A (ko) * 2008-02-21 2009-08-26 황상민 이동식 화장실
KR20190014791A (ko) 2017-08-03 2019-02-13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쿨링 미스트 분사 시스템
KR20190065563A (ko) * 2017-12-04 2019-06-1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개방형 공중 흡연 시설물
KR101896095B1 (ko) * 2018-02-19 2018-10-10 (유)한국에프엔씨 모듈형 흡연부스
KR20190051803A (ko) 2018-10-24 2019-05-15 김수영 안전 쉼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3919A (ko) 2020-12-11 2022-06-21 (주)공존에스앤티 이동 장치에 구비되는 미세먼지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7543B2 (en) Traffic installation
KR102145004B1 (ko) 미세먼지 회피 및 저감 기능을 갖는 조립형 시설물
KR102145011B1 (ko) 대기오염 정도를 표시하는 미세먼지 회피시설물
JP3138408U (ja) 防護柵
KR102251646B1 (ko) 버스 쉘터,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설치방법
CN111754792A (zh) 一种单立柱多功能显示屏交通指示牌
GB2588386A (en) An air filtration system
CN2248745Y (zh) 封闭式环保交警亭
CN205804142U (zh) 一种钢架人行天桥
CN210181798U (zh) 城市路口交通一体化装置
CN213453292U (zh) 一种应用于山水路灯的灯杆
CN204804198U (zh) 一种预制舱透气防水结构
CN105604258A (zh) 一种雾霾净化的防水的楼道结构
CN113026589A (zh) 圆形封闭式声屏障
JP3930816B2 (ja) 雨除け構築物
CN206442626U (zh) 用于大气采样仪器的保护壳体
KR200254927Y1 (ko) 환기구 상부공간 활용 가설구조물
KR200227252Y1 (ko) 버스 정류장용 대기소
CN218233755U (zh) 食品厂参观用连廊结构
JP2002363920A (ja) シェルター
CN216811151U (zh) 一种防雨型公交站亭
CN220487203U (zh) 核酸采样房屋
CN216108027U (zh) 一种人行天桥膜结构钢构结构
CN213837890U (zh) 一种绿色智能公交候车亭雨水拦截装置
KR200230713Y1 (ko) 물튀김방지 휀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