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100B1 - 착탈식 안전 방충망 - Google Patents

착탈식 안전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8100B1
KR102198100B1 KR1020200096214A KR20200096214A KR102198100B1 KR 102198100 B1 KR102198100 B1 KR 102198100B1 KR 1020200096214 A KR1020200096214 A KR 1020200096214A KR 20200096214 A KR20200096214 A KR 20200096214A KR 102198100 B1 KR102198100 B1 KR 102198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frame
screen
proof
insec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쿠아테크환경
주식회사 지에스금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쿠아테크환경, 주식회사 지에스금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쿠아테크환경
Priority to KR1020200096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81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8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8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착탈식 안전 방충망은, 틀에 장착되는 방충프레임에 방충망을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방충망에 힘이 가해져도 후면으로 넘어지지 않아 안전한 방충망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은, 창문틀에 테두리 결합되는 사각의 방충프레임; 및 사각의 방충틀에 메쉬망이 부착된 형태로서 방충프레임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방충망;을 포함하되, 방충프레임은 네 모퉁이의 내측 공간을 소정부분 커버하는 금속 재질의 코너지지부재가 부착되고, 방충망은 방충틀 네 모퉁이에 자석이 삽입되고, 상기 자석과 모퉁이를 감싸는 금속 재질의 코너캡이 장착되어, 방충망을 방충프레임에 전면 방향에서 끼우면 코너캡이 코너지지부재에 자성 결합으로 부착되고 방충망이 방충프레임의 후면 방향으로 코너지지부재에 지탱될 수 있고, 복수 지점이 절곡된 금속재질의 선형 판재로서, 방충망의 전면 일측 테두리부터 후면을 감싸고 전면 타측 테두리까지 밀착되며 연결되고 방충망이 후면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되, 고정밴드는, 방충망 및 방충프레임의 전면 양측 테두리에 접하는 복수의 전면부; 및 측면과 후면에 접하는 후면부;로 구성되며, 전면부 측단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방충틀에 자성 부착 및 탈거가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착탈식 안전 방충망{Removable Safety Insect Screen}
본 발명은 착탈식 안전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에 장착되는 방충프레임에 방충망을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방충망에 힘이 가해져도 후면으로 넘어지지 않아 안전한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착탈식 안전 방충망은, 창틀에 장착되는 방충프레임과 방충프레임의 내주면에 테두리 결합되는 방충망을 상호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착탈식으로 구성하되, 방충프레임의 모퉁이에는 코너지지부재가 부착되고 방충망의 네 모퉁이에는 자석이 삽입된 후 코너캡이 장착되어 자성을 지닌 코너캡이 금속 재질의 코너지지부재에 자성 결합되면서 부착되고 탈거될 수 있는 착탈식으로 구성되며, 방충망의 전면에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해도 코너지지부재에 지탱되어 방충망이 후면으로 넘어가지 않아 안전하고, 부가적으로 방충프레임과 방충망을 감싸는 고정밴드가 설치되어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동시에 방충망을 여닫이로 운용할 수 있으며 필요 시 광고판의 기능까지 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어서, 편리하고 안전하며 견고한 착탈식 안전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방충망은 모기 등 해충으로부터 사람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해충읫 실내 진입을 차단하도록 창문에 설치하는 그물망으로서 벌레는 통하지 않고 바람만 통하도록 하여 대부분의 주택, 특히 아파트, 건물, 공장 등에 설치되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방충망은 창문틀에 직접 그물망이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테두리 프레임에 그물망이 설치되어 방충망을 형성한 후 창문틀의 테두리에 끼움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데 방충망은 일단 설치가 되면 고정이 되어 개방이 어렵거나 또는 미닫이로 움직이는 수준에서 개방이 이뤄질 수 있어 다양한 목적에 의해 방충망을 떼어내고 정비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탈거 및 장착이 쉽지 않아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탈거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방충망이 창문틀에 결합되는 형태는 창문틀 내주면 홈에 살짝 끼움 결합된 형태로서 탈착이 어려운 반면 창문틀에서 방충망을 지지하는 힘이 약해서 방충망에 크지 않은 힘이 가해져도 방충망이 넘어가거나 망가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어린이들이 있는 가정집, 교육기관 등에서는 어린이들이 뛰어놀다가 부주의로 방충망에 부딪혔을 때 방충망이 부딪히는 힘을 이기지 못하고 뒤로 넘어가면 예상치 못한 큰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도 존재하게 된다.
그래서 안전하게 지지되고 견고하면서도 탈거와 부착이 자유롭게 이뤄질 수 있는 방충망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488870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창틀에 장착되는 방충프레임과 방충프레임의 내주면에 테두리 결합되는 방충망을 상호 분리 및 결합될 수 있는 착탈식으로 구성하되, 방충프레임의 모퉁이에는 코너지지부재가 부착되고 방충망의 네 모퉁이에는 자석이 삽입된 후 코너캡이 장착되어 자성을 지닌 코너캡이 금속 재질의 코너지지부재에 자성 결합되면서 부착되고 탈거될 수 있는 착탈식으로 구성되며, 방충망의 전면에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해도 코너지지부재에 지탱되어 방충망이 후면으로 넘어가지 않아 안전하고, 부가적으로 방충프레임과 방충망을 감싸는 고정밴드가 설치되어 안전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동시에 방충망을 여닫이로 운용할 수 있으며 필요 시 광고판의 기능까지 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어서, 창틀에 장착되는 방충프레임에 방충망을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고 방충망에 힘이 가해져도 후면으로 넘어지지 않아 안전하고 편리하며 견고한 착탈식 안전 방충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은, 창문틀에 테두리 결합되는 사각의 방충프레임; 및 사각의 방충틀에 메쉬망이 부착된 형태로서 방충프레임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방충망;을 포함하되, 방충프레임은 네 모퉁이의 내측 공간을 소정부분 커버하는 금속 재질의 코너지지부재가 부착되고, 방충망은 방충틀 네 모퉁이에 자석이 삽입되고, 상기 자석과 모퉁이를 감싸는 금속 재질의 코너캡이 장착되어, 방충망을 방충프레임에 전면 방향에서 끼우면 코너캡이 코너지지부재에 자성 결합으로 부착되고 방충망이 방충프레임의 후면 방향으로 코너지지부재에 지탱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충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서 실링부재가 부착되어 방충망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틈새를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지점이 절곡된 금속재질의 선형 판재로서, 방충망의 전면 일측 테두리부터 후면을 감싸고 전면 타측 테두리까지 밀착되며 연결되고 방충망이 후면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되, 고정밴드는, 방충망 및 방충프레임의 전면 양측 테두리에 접하는 복수의 전면부; 및 측면과 후면에 접하는 후면부;로 구성되며, 전면부 측단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방충틀에 자성 부착 및 탈거가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면부는, 방충프레임에 접촉되는 프레임전면부; 및 방충틀에 접촉되며 자석이 내장되는 틀전면부;로 구성되고 틀전면부는 프레임전면부와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며, 방충망의 일측 틀전면부를 회전시켜 방충틀에서 탈거하면 타측 틀전면부만 부착된 상태로 방충망을 여닫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밴드는 후면부 외측면에 광고문구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착탈식 안전 방충망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방충프레임과 방충망 틀이 분리되어 있고 방충망 틀이 방충프레임에 착탈식으로 탈거와 부착이 자유로워 보수, 청소, 환기 등의 작업이 수월하다.
둘째, 방충프레임의 후면 네 모퉁이에는 내측 공간을 소정부분 커버하는 코너지지부재가 견고하게 부착되어 사람 또는 물건이 방충망의 전면에 충돌되거나 힘이 가해져도 방충망이 코너지지부재에 지지되어 넘어가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셋째, 코너지지부재는 금속성의 재질로 구성되고 방충망 틀의 네 모퉁이에는 자석인 내장된 후 금속성의 코너캡이 장착되어 코너캡이 코너지지부재에 자성 결합되면서 방충망 틀이 방충프레임에 쉽게 결합되고 견고하게 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탈착이 편리하다.
넷째, 고정밴드가 방충망 틀과 방충프레임을 감싸듯이 구비되어 방충망 틀이 후면으로 밀리지 않게 더욱 견고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고, 고정밴드의 전면 선단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방충망 틀에 부착됨으로써 편리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룰 수 있다.
다섯째, 고정밴드의 전면 양측은 힌지로 연결된 접이식으로 각각 구성되어 일측은 고정밴드 선단에 자석 고정시키고 타측은 고정밴드 선단의 자석과 분리시킴으로써 방충망을 여닫이 도어의 형태로 운영할 수 있어 활용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여섯째, 고정밴드의 후면에는 외측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광고문구가 삽입될 수 있어 광고홍보 효과 또한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의 결합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의 분리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의 방충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의 고정밴드가 장착된 예시를 도시한 전면 및 후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의 고정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의 결합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의 분리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의 방충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의 고정밴드가 장착된 예시를 도시한 전면 및 후면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의 고정밴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10)은 방충프레임(100), 방충망(200), 고정밴드(300)를 포함한다.
방충프레임(100)은 창문틀에 테두리 결합되는 프레임이며, 창문의 형상에 맞춰지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사각형상일 수 있다.
방충망(200)은 방충틀(210)에 메쉬망(220)이 부착된 형태로서 방충틀(210)이 방충프레임(100)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면서 방충망(200)은 방충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고, 내측으로 형성된 메쉬망(220)은 모기 등 해충의 침입을 차단하면서도 공기는 통하게 할 수 있다.
방충틀(210)은 방충프레임(100)의 내주면을 따라 끼움 결합되어야 하므로 방충프레임(100)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사각형상일 수 있다.
본 설명에서는 방충프레임(100) 및 방충틀(210)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사각 형상인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본 발명의 활용을 사각 형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한 어떠한 형태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착탈식 안전 방충망(10)을 구성하는 방충프레임(100)과 방충망(200)은 방충망(200)이 착탈식으로 방충프레임(100)에 부착 결합 및 탈거가 자유로운 특성을 지니고 방충망(200)이 방충프레임(100)에 견고하게 지탱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방충프레임(100)은 코너지지부재(110) 및 실링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방충프레임(100)은 사각형상으로서 네 모퉁이에 금속 재질의 코너지지부재(110)가 부착될 수 있다.
방충프레임(100)의 전면에 방충망(200)이 끼움결합되고 방충프레임(100)의 후면이 실외를 향한다고 했을 때, 코너지지부재(110)는 방충프레임(100)의 후면 네 모퉁이에서 모퉁이 안쪽 방충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을 소정부분 커버하는 형태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코너지지부재(110)는 직각삼각형으로서 방충프레임(100)의 후면에서 밑변과 높이를 직교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에 동시에 접하고 빗변이 방충프레임(100)의 내측 공간, 즉 방충망(200)의 모서리가 부착되는 공간에 위치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결국 삼각형상의 코너지지부재(110)를 방충프레임(100)의 후면에서 네 모퉁이에 설치하면 방충프레임(100)의 전면에서 목측 시 방충프레임(100)의 모퉁이에서 직교하는 가로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의 빗변을 형성하며 삼각형으로 모퉁이 내측을 막는 형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방충프레임(100)을 전면에서 목측 시 네 개의 삼각형이 방충프레임(100) 내측 모퉁이 네 군데를 차단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방충프레임(100)의 내주면에는 얇게 도포되는 실링부재(120)가 부착될 수 있으며, 실링부재(120)는 실리콘, 연질의 플라스틱과 같이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재질일 수 있다.
따라서 방충망(200)이 방충프레임(100)의 내주면에 끼움 장착이 되면 방충망(200)의 외주면과 방충프레임(100)의 내주면은 수월하게 결합이 되되 일단 결합된 후에는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루고 상호 틈새가 밀봉되어 메쉬망(220)이 아닌 다른 틈새를 통해서는 해충의 이동은 물론 공기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방충망(200)은 방충틀(210), 메쉬망(220), 자석(240), 코너캡(250), 관통공(230)을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방충틀(210)은 방충프레임(100)의 내주면에 대응되는 사각형상의 틀로서 촘촘하게 형성된 메쉬망(220)이 팽팽하게 펼쳐진 형태로 방충틀(210)에 부착이 되면 방충망(200)을 형성하게 되고 이 상태로 방충프레임(100)에 끼움 결합되면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방충망(200)으로서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방충틀(210)은 바람직하게는 금속 재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방충틀(210)은 네 모퉁이에 관통공(230)이 형성되고 관통공(230)에 맞춤 장착될 수 있는 형태의 자석(240)이 삽입될 수 있으며, 자석(240)을 커버하며 방충틀(210)의 모퉁이를 전면과 후면에서 동시에 커버하는 코너캡(250)이 부착될 수 있다.
코너캡(250)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정면 또는 후면에서 목측 시 삼각형의 단면을 지니고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방충틀(210) 모퉁이의 전면과 후면 및 측면을 감싸며 장착될 수 있다.
코너캡(250)은 방충틀(210)의 모퉁이에서 직교하는 가로틀과 세로틀의 결합 부분을 공고히 잡아주며 뒤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가로틀과 세로틀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방충틀(210)을 튼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코너캡(250)은 모퉁이에 삽입 장착된 자석(240)을 커버하면서 코너캡(250) 전체가 자성을 지니게 되어 방충틀(210)을 방충프레임(100)에 장착을 시키면 자성을 띤 코너캡(250)이 방충프레임(100)의 코너지지부재(110)에 자성 결합이 되면서 손쉽게 부착시킬 수 있고 적어도 4군데 이상 자석(240)과 금속으로 부착이 되므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방충망(200)을 방충프레임(100)으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도구나 절차 없이 자성결합 된 코너캡(250)과 코너지지부재(110)를 소정의 완력으로 떼어내는 방법으로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방충망(200)은 방충프레임(100)의 전면에서 장착이 될 수 있는데 방충프레임(100)의 후면에는 네 모퉁이에 코너지지부재(11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코너지지부재(110)에 의해 후면 방향으로 밀려 나가는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가령 거실의 유리문을 열어놓고 방충망(200)만 설치된 상태에서 어린이들이 뛰어놀다가 방충망(200)에 부딪혔을 때 종전의 방충망(200)은 충격 무게에 휩쓸려 그대로 넘어갈 수 밖에 없으므로 어린이들이 크게 다치거나 방충망(200)이 고장나거나 또는 제3의 연쇄 사고가 발생할 개연성이 존재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착탈식 안전 방충망(10)은 코너지지부재(110)에 의해 적어도 4군데 이상의 지점에서 방충망(200)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므로 방충망(20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방충망(200)이 방충프레임(100)의 후면으로 넘어가거나 쓰러지는 일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할 수 있다.
결국 코너지지부재(110)는 방충망(200)이 자성결합 되도록 하는 결합 판의 기능을 함과 동시에 방충망(200)이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판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코너지지부재(110)는 충분한 강성 및 자석(240) 결합성질을 가져야 하므로 쇠,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미적 효과 및 녹 방지를 위해 도색처리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서 고정밴드(300)가 구비되어 방충프레임(100)과 방충망(200)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고정밴드(300)는 복수 지점이 절곡된 금속재질의 선형 판재로서, 방충프레임(100)과 방충망(200)을 횡방향으로 띠처럼 두르도록 연결된 형태일 수 있으며 다만 메쉬망(220)의 전면 방향으로는 연결되지 않고 끊어진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고정밴드(300)는 방충프레임(100)과 방충망(200)의 결합된 외측면에 밀착되며 구비되는 선형의 판재로서, 방충망(200)의 전면 일측 테두리에서부터 인접합 방충프레임(100)의 일 측면을 돌아 후면을 감싸면서 방충프레임(100)의 타 측면을 돌은 후 방충망(200)의 전면 타측 테두리까지 연결되는 형태일 수 있다.
결국 고정밴드(300)는 방충망(200)의 전면 메쉬망(220)은 가리지 않은 채 방충틀(210)과 방충프레임(100)의 결합부위와 방충프레임(100)의 후면 메쉬망(220)을 가리고 밀착되는 형태로서, 고정밴드(300)가 방충망(200) 틀과 방충프레임(100)을 감싸듯이 구비된다.
고정밴드(300)는 쇠와 같은 견고한 금속성 재질로 구성되고 구조적 특성 상 방충프레임(100) 및 방충망(200)의 전면 측면에서부터 꽉 잡아주는 형상을 가지므로, 방충망(200)의 전면에서 힘이 가해져 후면으로 밀더라도 견고하게 버티면서 방충틀(210)이 후면으로 밀리지 않게 버티는 기능을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더욱 견고한 지지력이 확보될 수 있다.
고정밴드(300)는 복수의 전면부(310) 및 후면부(32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전면부(310)는 방충망(200) 및 방충프레임(100)의 전면 양측 테두리에 접하고, 후면부(320)는 방충망(200) 및 방충프레임(100)의 측면 및 후면에 접할 수 있다.
고정밴드(300)는 방충프레임(100)의 상부 외측에서 하강시키며 방충프레임(100) 및 방충망(200)의 외주면에 끼우면서 장착할 수 있고, 고정밴드(300)의 폭은 다양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고정밴드(300)가 복수로 장착될 수도 있다.
고정밴드(300)의 전면부(310)는 방충프레임(100)에 접촉되는 프레임전면부(311)와 방충틀(210)에 접촉되는 틀전면부(312)로 구성될 수 있고, 틀전면부(312)에는 자석(313)이 삽입 부착되어 있어 틀전면부(312)는 방충틀(210)에 자성 부착될 수 있다.
고정밴드(300)는 방충프레임(100)의 상부에서 하강시키며 방충프레임(100)과 방충망(200)에 끼움 결합한 뒤에 소정의 위치에서 틀전면부(312)를 방충틀(210)에 자성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밴드(300)와 방충프레임(100)의 밀착에 더하여 자석(313)에 의해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밴드(300)는 틀전면부(312)에 의해 방충망(200) 틀에 부착됨으로써 편리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이룰 수 있다.
틀전면부(312)와 프레임전면부(311)는 상호 연결부위가 완전히 분리되거나 또는 상호 각각의 외측면 테두리만 붙어있는 형태로서 접이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틀전면부(312)와 프레임전면부(311)는 힌지(314)로 결합되어 있어, 방충망(200)의 전면 외측을 향해 틀전면부(312)가 소정 반경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밴드(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방충방의 양측에 구비된 틀전면부(312)를 잡아당겨 자성 결합을 해제하면 틀전면부(312)는 힌지(314)에 의해 프레임전면부(311)에 연결된 상태로 전면 외측을 향해 오픈되며 회전이 이뤄지고, 이 상태에서 방충망(200)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고정밴드(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방충망(200) 일측의 틀전면부(312) 만을 잡아당겨 자성 결합을 해제하면서 틀전면부(312)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방충망(200)은 타측 틀전면부(312)만 방충틀(21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방충망(200)의 일측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방충망(200)은 타측 전면부(310)가 타측 프레임전면부(311)에 힌지(314) 회전하게 됨으로써 방충망(200)을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내 환기, 사람 및 물건의 이동, 방충망(200) 청소와 같은 작업이 필요한 경우 고정밴드(300)를 완전히 제거하고 방충망(200)을 완전히 떼어낼 필요 없이 방충망(200)을 여닫이 도어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밴드(300)를 장착하여 방충망(200)을 여닫이 문과 같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고정밴드(300)가 하나만 장착된다면 방충망(200)을 여닫을 때 고정밴드(300)가 방충망(200)을 지지하는 힘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고정밴드(300)가 적어도 두 개 이상 각각 이격된 위치에 장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복수의 고정밴드(3000가 방충망(200)이 여닫이로 사용될 수 있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고정밴드(300)는 방충프레임(100) 및 방충망(200)에 끼움결합되고 틀전면부(312)의 자석(313)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틀전면부(312)를 방충틀(210)에서 떼어낸 후 고정밴드(300)를 상하로 이동시켜 고정밴드(3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밴드(300)의 폭은 다양하게 설정되어 장치될 수 있으므로 방충프레임(100) 및 방충망(200)의 크기에 따라서 얇은 폭을 가지는 고정밴드(300)를 상하 길이방향으로 따라 다수 설치할 수도 있고, 두꺼운 폭을 가지는 고정밴드(300)를 상하 길이방향의 어느 지점이든 적절한 위치에 단일 설치할 수도 있으며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고정밴드(300)의 후면부(320)는 소정의 폭을 지니며 구성되므로 방충프레임(100)의 후방을 향해 노출될 수 있도록 후면부(320) 외측면에 광고문구가 삽입되어 광고홍보용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착탈식 안전 방충망(10)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방충망(200)은 방충프레임(100)의 전면에 부착되고 방충프레임(100)의 후면 네 모퉁이에는 코너지지부재(110)가 부착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방충망(200)은 방충틀(210)의 네 모퉁이에 자석(240)이 내장되고 코너캡(250)이 씌여진 상태로 준비되어 방충프레임(100)의 내주면에 실링부재(120)에 맞춰 방충틀(210)의 외주면을 맞춰 끼움 결합할 수 있다.
코너캡(250)은 내장된 자석(240)으로 자성을 띠게 되면서 코너지지부재(110)에 자성 결합이 이뤄지고 실링부재(120)는 실리콘,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방충틀(210)의 외주면에 끼움 결합이 이뤄지게 되어 방충망(200)은 방충프레임(100)에 쉽고 정확하며 테두리 빈틈이 없이 견고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코너캡(250)은 방충틀(210)의 가로틀과 세로틀의 결합 부분을 상호 정확한 위치에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여 뒤틀림을 방지하여 방충망(200)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기능도 할 수 있다.
방충망(200)은 방충프레임(100)에 자성 결합된 상태이므로 청소, 환기, 사람 또는 물건의 이동 등의 사유로 방충망(200)을 제거해야 할 경우 방충프레임(100)까지 전체를 떼어낼 필요 없이 방충망(200)의 코너캡(250)에 소정의 완력을 이용하여 자성 결합된 것을 떼어내면서 방충프레임(100)과 방충망(200)을 분리해 낼 수 있다.
이렇듯 방충망(200)은 방충프레임(100)에 쉽고 간편하게 탈거와 부착이 가능한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방충프레임(100)은 창틀에 견고하게 부착된 상태로 부착과 탈거가 쉽지 않도록 장치되므로 방충만만 편리하게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코너지지부재(110)는 방충망(200)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가해지는 힘에 대해서 버팀 역할을 하므로 방충망(200)의 전면에서 부주의로 사람 또는 물건이 방충망(200)에 부딪히는 등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방충망(200)이 쉽게 넘어가지 않고 지지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코너지지부재(110)는 금속성의 견고한 재질로 구성되어 안전사고 예방 및 편리한 착탈식 구조의 기능을 할 수 있으며 인테리어적 효과 및 녹 방지를 위해 도색처리 될 수 있고, 버팀 역할을 위해서 방충프레임(100)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한편 코너지지부재(110)에 더해 본 발명의 착탈식 안전 방충망(10)의 안전장치로서 고정밴드(300)가 추가될 수 있다.
고정밴드(300)는 방충프레임(100) 및 방충망(200)의 상부 외측방향에서 하강 이동시키며 방충프레임(10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는데, 방충망(200)의 크기에 따라 고정밴드(300)의 폭은 넓거나 좁게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또한 고정밴드(300)의 폭에 따라서 단수 또는 복수의 고정밴드(300)를 방충망(2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고정밴드(300)는 방충프레임(100) 및 방충망(200)의 하부 방향에서 상승 이동시키며 방충프레임(100)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장착될 수도 있다.
고정밴드(300)를 방충프레임(100) 및 방충망(200)에 끼움 결합시킨 후 소정 위치에서 고정밴드(300)의 위치를 결정하고 나면 자석(313)이 내장된 틀전면부(312)를 방충틀(210)에 부착시킴으로서 고정밴드(300)의 결합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
고정밴드(300)는 방충프레임(100) 및 방충망(200)에 밀착되며 고정되는 결합력에 추가로 틀전면부(312)의 자성 결합에 의해 방충프레임(100) 및 방충망(200)에 이중으로 결합력이 생성될 수 있다.
고정밴드(300)는 방충망(200)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질 때 방충망(200)의 후면에서 방충망(200)을 지지하는 버팀 역할을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고정밴드(300)가 부착된 상태에서 고정밴드(300)의 상하 위치조정을 하고 싶다면 양측 복수의 틀전면부(312)를 방충틀(210)에서 떼어내어 힌지(314) 회전시키고 프레임전면부(311) 및 후면부(320)만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밴드(300)를 상하로 이동시킨 후 위치 조정이 완료되면 틀전면부(312)를 상기 상기 힌지(314)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방충틀(210)에 부착함으로써 결합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만약 고정밴드(300)를 제거하고자 하면 틀전면부(312)를 방충틀(210)에서 떼어낸 후 힌지(314) 회전 시킨 후 그대로 상부 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다.
한편 고정밴드(300)가 부착된 상태에서 고정밴드(300)의 제거 없이 방충망(200)만 제거하고자 한다면 양측 복수의 틀전면부(312)를 방충틀(210)에서 떼어낸 후 힌지(314) 회전시키면 방충망(200)의 전면에 결합되는 고정밴드(300) 부분은 없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방충망(200)을 전면 방향으로 떼어내어 분리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고정밴드(300)가 부착된 상태에서 방충망(200)을 완전히 제거하지 않고 여닫이 도어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측의 틀전면부(312)만 방충틀(210)에서 떼어내어 힌지(314) 회전하여 방충망(200)으로부터 분리시키고 타측의 틀전면부(312)는 방충틀(210)에 그대로 부착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방충망(200)의 일측을 사용자 전면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타측 프레임전면부(311)는 방충프레임(100) 전면 테두리에 결합된 형태를 유지하면서 프레임전면부(311)에 힌지(314) 결합된 틀전면부(312)만 힌지(314) 회전되므로 타측 틀전면부(312)에 자성 결합된 방충망(200)은 타측은 부착상태를 유지하고 일측만 전방으로 열리는 형태의 여닫이 도어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고정밴드(300)가 부착된 상태에서 방충망(200)을 여닫이 도어로 사용하게 되면 환기, 사람 및 물건의 이동 시 수시로 간단하게 방충망(200)을 열고 닫을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착탈식 안전 방충망(10)은 창문 뿐 아니라 현관 등과 같이 여닫이 도어가 설치되고 수시로 출입하되 방충망(200)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활용될 수 있다.
한편 고정밴드(300)의 후면부(320)는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광고문구 및 도안이 다양한 색채와 더불어 삽입될 수 있어서 광고홍보용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고정밴드(300)가 부착된 착탈식 안전 방충망(10)은 공장 및 사업장의 창틀, 자영업자의 창틀 또는 출입문 등에 사용되는 효과적인 홍보 수단으로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착탈식 안전 방충망
100 : 방충프레임
110 : 코너지지부재
120 : 실링부재
200 : 방충망
210 : 방충틀
220 : 메쉬망
230 : 관통공
240, 313 : 자석
250 : 코너캡
300 : 고정밴드
310 : 전면부
311 : 프레임전면부
312 : 틀전면부
314 : 힌지
320 : 후면부

Claims (5)

  1. 창문틀에 테두리 결합되는 사각의 방충프레임; 및 사각의 방충틀에 메쉬망이 부착된 형태로서 방충프레임의 내주면에 끼움 결합되는 방충망;을 포함하되,
    방충프레임은 네 모퉁이의 내측 공간을 소정부분 커버하는 금속 재질의 코너지지부재가 부착되고, 방충망은 방충틀 네 모퉁이에 자석이 삽입되고, 상기 자석과 모퉁이를 감싸는 금속 재질의 코너캡이 장착되어,
    방충망을 방충프레임에 전면 방향에서 끼우면 코너캡이 코너지지부재에 자성 결합으로 부착되고 방충망이 방충프레임의 후면 방향으로 코너지지부재에 지탱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착탈식 안전 방충망.
  2. 제1항에 있어서,
    방충프레임의 내주면을 따라서 실링부재가 부착되어 방충망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틈새를 차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착탈식 안전 방충망.
  3. 제1항에 있어서,
    복수 지점이 절곡된 금속재질의 선형 판재로서, 방충망의 전면 일측 테두리부터 후면을 감싸고 전면 타측 테두리까지 밀착되며 연결되고 방충망이 후면 방향으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되,
    고정밴드는, 방충망 및 방충프레임의 전면 양측 테두리에 접하는 복수의 전면부; 및 측면과 후면에 접하는 후면부;로 구성되며, 전면부 측단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방충틀에 자성 부착 및 탈거가 가능한 것을 더 포함하는 착탈식 안전 방충망.
  4. 제3항에 있어서,
    전면부는, 방충프레임에 접촉되는 프레임전면부; 및 방충틀에 접촉되며 자석이 내장되는 틀전면부;로 구성되고 틀전면부는 프레임전면부와 힌지로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며,
    방충망의 일측 틀전면부를 회전시켜 방충틀에서 탈거하면 타측 틀전면부만 부착된 상태로 방충망을 여닫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식 안전 방충망.
  5. 제3항에 있어서,
    고정밴드는 후면부 외측면에 광고문구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착탈식 안전 방충망.
KR1020200096214A 2020-07-31 2020-07-31 착탈식 안전 방충망 KR102198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214A KR102198100B1 (ko) 2020-07-31 2020-07-31 착탈식 안전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214A KR102198100B1 (ko) 2020-07-31 2020-07-31 착탈식 안전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8100B1 true KR102198100B1 (ko) 2021-01-04

Family

ID=7412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214A KR102198100B1 (ko) 2020-07-31 2020-07-31 착탈식 안전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81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05A (ko) * 2001-09-03 2003-03-08 박희평 방충과 방진기능을 겸한 창호시스템
KR101912506B1 (ko) * 2016-10-20 2018-10-29 권바다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KR20190007752A (ko) *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윈하우징 황사 및 미세먼지 차단용 탈부착식 방충망
KR200488870Y1 (ko) 2017-11-03 2019-03-28 정환옥 창틀 또는 문틀용 먼지유입 방지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0105A (ko) * 2001-09-03 2003-03-08 박희평 방충과 방진기능을 겸한 창호시스템
KR101912506B1 (ko) * 2016-10-20 2018-10-29 권바다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KR20190007752A (ko) * 2017-07-13 2019-01-23 주식회사 윈하우징 황사 및 미세먼지 차단용 탈부착식 방충망
KR200488870Y1 (ko) 2017-11-03 2019-03-28 정환옥 창틀 또는 문틀용 먼지유입 방지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8714B1 (ko) 방충망 고정프레임
KR20210068975A (ko) 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대가 포함된 창호
KR102198100B1 (ko) 착탈식 안전 방충망
KR101656272B1 (ko) 탈부착형 방충망
KR20150000009U (ko) 바란스 봉을 이용한 방충망 또는 바람막이
KR101349219B1 (ko) 방범도어가 구비된 현관출입문
KR100894610B1 (ko) 창호와 연동 개폐되는 방충망 장치
KR102338824B1 (ko) 롤방충망 일체형 유리난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200472218Y1 (ko) 건물 개구용 방충 및 방한장치
KR200466679Y1 (ko) 롤 방충망
JP3171744U (ja) 網戸取付用シート構造
KR200423687Y1 (ko) 차량용 방충망
KR200296940Y1 (ko) 롤 스크린 방충망의 부착구조
JP3172790U (ja) 差込みフィルム付き網戸
KR200329031Y1 (ko) 방충용 도어
JPH11200731A (ja) 窓における気密材の取付装置
JP2016142124A (ja) 玄関ドアー用網戸
JP3234730U (ja) 窓開口用カバー
JP3730915B2 (ja) 建物開口部用網戸
RU206783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ты от насекомых, устанавливаемое в открытых проемах зданий и сооружений
CN211549536U (zh) 一种防蚊防盗一体窗
KR20130138385A (ko) 방풍 겸용 방충문
KR20240077681A (ko) 창문 가리개
KR200437613Y1 (ko) 절첩식 방충망
WO2020201810A1 (ja) 換気装置およびサッシ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