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2506B1 -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 Google Patents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2506B1
KR101912506B1 KR1020160136216A KR20160136216A KR101912506B1 KR 101912506 B1 KR101912506 B1 KR 101912506B1 KR 1020160136216 A KR1020160136216 A KR 1020160136216A KR 20160136216 A KR20160136216 A KR 20160136216A KR 101912506 B1 KR101912506 B1 KR 101912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outer frame
inner frame
clos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6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489A (ko
Inventor
권바다
김정은
Original Assignee
권바다
김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바다, 김정은 filed Critical 권바다
Priority to KR1020160136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25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2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2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창문틀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의 개방된 안쪽 공간부에 설치되는 내부프레임; 상기 내부프레임의 개방된 공간을 마감하여 외부의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망사부재;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공간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내부프레임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망사부재가 오염되었을 경우 외부프레임으로부터 내부프레임만을 간편하게 분리시켜 상기 망사부재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removable type mosquito net}
본 발명은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틀에 설치되는 망충망의 설치 및 분리가 한층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하는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창문틀 바깥쪽에 설치하여서 주로 하절기에 실내로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고, 유해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 문화수준의 향상과 주거생활의 쾌적화를 위해 주거공간에는 거의 대부분이 설치되고 있으며, 그 종류로는 고정형 방충망과 착탈형 방충망으로 구분된다.
상기 고정형 방충망은 천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망사부재가 창문틀 프레임과 일체형으로 제직이 이루어진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형 방충망은 창문틀 프레임으로부터 망사부재를 착탈시킬 수 없기 때문에 상기 망사부재가 오염되더라도 청소하기가 쉽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착탈형 방충망은 창문틀 프레임의 일측면에 망사부재가 밀착되는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자석이나 밸크로 또는 가압식 고정핀 등을 이용하여 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착탈형 방충망은 단순히 창문틀 프레임과 망사부재를 상호 결합을 위한 고정수단을 채택함으로써, 상기 창문틀 프레임과 망사부재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먼지나 미세 해충 등이 침입하여 방충창 본래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강풍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탈착이 이루어지며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15982호(2000.12.2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목적은 창문틀에 설치되는 망충망의 설치 및 분리가 한층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편리성을 가지는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은, 창문틀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의 개방된 안쪽 공간부에 설치되는 내부프레임; 상기 내부프레임의 개방된 공간을 마감하여 외부의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망사부재;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공간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내부프레임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착탈고정수단은 상기 외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측 틀부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힌지운동이 가능한 힌지고정부재와, 상기 외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프레임 내에 내부프레임을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개폐단속을 하는 개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재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는 회전용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용 플레이트의 내면에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측 틀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힌지고정부재는 상측 틀부재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채널형 홈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프레임을 구성하는 양측 틀부재의 길이방향 외면에는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면에 대해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몰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프레임의 공간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이격 설치되어 내부프레임을 착탈가능하게 단속하는 착탈고정수단을 구성함으로써, 망사부재가 오염되었을 경우 외부프레임으로부터 내부프레임만을 간편하게 분리시켜 상기 망사부재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착탈고정수단의 힌지고정부재와 개폐부재의 구성은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 간의 설치 및 분리가 한층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에는 외부프레임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몰딩부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외부프레임과 내부프레임 사이의 틈새를 메울 수 있어 그에 따른 상기 내부프레임이 요동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매우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간의 조립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의 착탈과정을 계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내부프레임에 형성되는 탄성몰딩부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은 창문틀(10)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프레임(100)과,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개방된 안쪽 공간부에 설치되는 내부프레임(200)과,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개방된 공간을 마감하여 외부의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망사부재(300)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공간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내부프레임(200)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고정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외부프레임(100)은 창문틀(1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측 틀부재(101), 하부 틀부재(102), 상측 틀부재(101)와 하부 틀부재(102)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양측 틀부재(103)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다수의 틀부재(101~103)로 조합된 외부프레임(100)의 안쪽은 개방된 구조의 공간부가 형성된다.
상기 내부프레임(200)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개방된 안쪽 공간부에 설치되며 착탈이 가능한 구성요소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은 외부프레임(100)과 내부프레임(200)이 상호 분리가 가능한 조립식 구조체로 제작함으로써, 상기 내부프레임(200)에 설치되는 망사부재(300)가 오염되었을 경우 외부프레임(100)으로부터 내부프레임(200)만을 간편하게 분리시켜 상기 망사부재(300)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내부프레임(200) 역시 상측 틀부재(201), 하부 틀부재(202), 상측 틀부재(201)와 하부 틀부재(202) 사이를 연결하는 한 쌍의 양측 틀부재(203)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프레임(200)을 구성하는 양측 틀부재(203)의 길이방향 외면에는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내측면에 대해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몰딩부(210)가 형성된다(도 4참조).
상기 탄성몰딩부(210)는 상기 외부프레임(100)과 내부프레임(200) 사이의 결합 틈새를 메울 수 있어 그에 따른 상기 내부프레임(200)이 요동하거나 흔들리지 않도록 매우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 간의 조립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망사부재(300)는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개방된 공간을 마감하는 것으로, 외부의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망사부재(300)는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로 제작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착탈고정수단(400)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공간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내부프레임(200)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착탈고정수단(400)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상측 틀부재(201)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힌지운동이 가능한 힌지고정부재(410)와, 상기 외부프레임(1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프레임(100) 내에 내부프레임(200)을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개폐단속을 하는 개폐부재(420)로 구성된다.
즉, 상기 외부프레임(100)에 내의 내부프레임(200)을 탈착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외부프레임(100)에 설치되는 개폐부재(420)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조작한다. 이후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하측 틀부재(202)를 잡고 작업자의 몸쪽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상측 틀부재(201)를 수용하는 힌지고정부재(410)가 자연스럽게 회전한다. 이때, 상기 힌지고정부재(410)에 수용된 내부프레임(200)은 자체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힌지고정부재(410)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내부프레임(200)을 다시 외부프레임(100)에 결합시키고자 하면, 탈착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상기 힌지고정부재(410)는 상측 틀부재(201)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채널형 홈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420)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는 회전용 플레이트로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회전용 플레이트의 내면에는 결합돌기(421)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부프레임(200)의 하측 틀부재(202)에는 상기 결합돌기(421)에 대응하는 결합홈(202a)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개폐부재(420)와 내부프레임(200)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결합시킬 수 있어 강풍이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내부프레임이 쉽게 탈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개폐부재(420)는 상기 외부프레임(100)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출몰이 가능한 슬라이드 플레이트로 구성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100 : 외부프레임 200 : 내부프레임
210 : 탄성몰딩부 300 : 망사부재
400 : 착탈고정수단 410 : 힌지고정부재
420 : 개폐부재

Claims (6)

  1. 창문틀에 고정설치되는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의 개방된 안쪽 공간부에 설치되는 내부프레임;
    상기 내부프레임의 개방된 공간을 마감하여 외부의 해충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는 망사부재; 및,
    상기 외부프레임의 공간부 상부와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내부프레임을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착탈고정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착탈고정수단은 상기 외부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내부프레임의 상측 틀부재를 지지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힌지운동이 가능한 힌지고정부재와, 상기 외부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프레임 내에 내부프레임을 고정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개폐단속을 하는 개폐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힌지부를 기준으로 회전운동하는 회전용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용 플레이트의 내면에는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내부프레임의 하측 틀부재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고정부재는 상측 틀부재를 감싸는 상태로 수용하는 채널형 홈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6.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프레임을 구성하는 양측 틀부재의 길이방향 외면에는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면에 대해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몰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KR1020160136216A 2016-10-20 2016-10-20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KR101912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216A KR101912506B1 (ko) 2016-10-20 2016-10-20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6216A KR101912506B1 (ko) 2016-10-20 2016-10-20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89A KR20180043489A (ko) 2018-04-30
KR101912506B1 true KR101912506B1 (ko) 2018-10-29

Family

ID=62081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6216A KR101912506B1 (ko) 2016-10-20 2016-10-20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25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100B1 (ko) * 2020-07-31 2021-01-04 주식회사 아쿠아테크환경 착탈식 안전 방충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2763B1 (ko) * 2017-01-10 2018-07-27 김정숙 분리형 방충망을 구비한 창틀 구조체
KR102660189B1 (ko) * 2022-12-12 2024-04-24 주식회사 신원 자석 방화창
KR102640353B1 (ko) * 2023-10-24 2024-02-23 주식회사 우덱스 교체가 용이한 방충망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99B1 (ko) * 2012-07-19 2013-11-01 조병식 방범창의 설치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399B1 (ko) * 2012-07-19 2013-11-01 조병식 방범창의 설치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100B1 (ko) * 2020-07-31 2021-01-04 주식회사 아쿠아테크환경 착탈식 안전 방충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489A (ko) 201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506B1 (ko) 착탈이 가능한 방충망
KR101883408B1 (ko) 슬라이드식 이중 방충장치
JP5828571B1 (ja) 防虫複合網戸
JP5702040B2 (ja) 網材を備えた開口部装置
KR101350352B1 (ko) 창호용 환기장치
KR20140002972U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102113947B1 (ko) 탈부착 가능한 방충망을 구비한 창호 시스템
KR200410662Y1 (ko) 방충창틀의 흔들림 방지구
KR20150000009U (ko) 바란스 봉을 이용한 방충망 또는 바람막이
KR101398019B1 (ko) 빗물유입 방지패널
JP5637415B1 (ja) 愛玩動物用くぐり戸装置
JP6315863B1 (ja) 突出し窓
KR20200121226A (ko) 흔들림 방지기능을 갖는 방진망 프레임 및 프레임에 방진망을 결합시키는 결합구조
KR200319626Y1 (ko) 방충망 어셈블리
KR200488079Y1 (ko) 기능성 글램핑 텐트
KR200478424Y1 (ko) 방충창용 모서리조립구
KR101573285B1 (ko) 다기능 방충망 및 손잡이 겸용 잠금장치를 갖춘 안전창
KR20200017289A (ko) 창호용 방진필터 고정장치
KR200430381Y1 (ko) 창틀의 방충망 레일 조립구조
KR102037004B1 (ko) 외부 환경 조건에 따라 방충망의 선택 사용이 가능한 방충창
KR101959833B1 (ko) 미닫이 창문의 유리창 및 방충망 세척장치
KR200471842Y1 (ko) 섀시 물구멍 이중 방충캡
JP3958762B2 (ja) 防虫ネット
KR102248169B1 (ko) 빗물 차단이 용이한 여닫이 방진창 시스템
CN114753756B (zh) 一种断桥铝合金内开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