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8013B1 -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및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및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98013B1 KR102198013B1 KR1020200066933A KR20200066933A KR102198013B1 KR 102198013 B1 KR102198013 B1 KR 102198013B1 KR 1020200066933 A KR1020200066933 A KR 1020200066933A KR 20200066933 A KR20200066933 A KR 20200066933A KR 102198013 B1 KR102198013 B1 KR 1021980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ass sheet
- settling
- boundary stone
- vertical plate
- preven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및 보도블럭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도블럭 사이의 틈새로 잡초 등의 식물이 뻗어나와 미관을 해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침하방지 방초시트를 인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안착고정할 수 있고, 나아가, 보도블럭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계석의 울퉁불퉁한 내측면에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를 용이하게 밀착고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과 수직판부 사이의 공간에 잡초 등의 식물이 생육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마감할 수 있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향상 및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과 상기 수직판부 사이의 공간으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도블럭 사이의 틈새로 잡초 등의 식물이 뻗어나와 미관을 해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침하방지 방초시트를 인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안착고정할 수 있고, 나아가, 보도블럭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계석의 울퉁불퉁한 내측면에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를 용이하게 밀착고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과 수직판부 사이의 공간에 잡초 등의 식물이 생육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마감할 수 있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향상 및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과 상기 수직판부 사이의 공간으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및 보도블럭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 산책길, 광장 등에 널리 시공된 보도블록은 우기시 보행자가 흙탕물 등에 의하여 신발, 옷 등을 버리지 않고 편안하게 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보도블록은 바닥면에 모래를 포설하여 다져 모래층을 형성하고, 모래층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도블록을 연속배열시킨 다음 보도블록간의 틈새에 세사를 포설, 충진함으로서 바닥면에 지지된다.
그러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보도블록의 틈새사이에 자연적으로 잡초 등이 자생하게 되는데, 보도블록의 틈새사이에 자생하는 잡초 등의 식물은 모래층 뿐만 아니라 바닥면까지 뿌리를 뻗어 강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보도블록의 미관을 위하여 보도블록의 틈새사이에 자생하는 잡초 들을 주기적으로 뽑아 제거하는 관리작업이 행해지고, 이러한 보도블록 관리작업이 제때에 행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보도블록 틈새사이에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 미관을 크게 해친다.
또한, 잡초 뿌리가 단단한 바닥면까지 뻗어 있기 때문에 보도블록을 관리하는 작업자가 잡초의 뿌리까지 완전하게 제거하기 곤란한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바닥면상에 방초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방초시트상에 모래층을 포설한 보도블록의 설치구조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47297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47297호의 경우, 상기 방초시트가 상기 모래층의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모래층에서의 잡초 등의 식물의 자생을 억제할 수 없어 보도블록 사이의 틈새를 통해 잡초 등의 식물이 뻗어나와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보도블럭 사이의 틈새로 잡초 등의 식물이 뻗어나와 미관을 해칠 우려가 없음은 물론 침하방지 방초시트를 인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안착고정할 수 있고, 나아가, 보도블럭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계석의 울퉁불퉁한 내측면에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를 용이하게 밀착고정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과 수직판부 사이의 공간에 잡초 등의 식물이 생육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마감할 수 있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향상 및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과 상기 수직판부 사이의 공간으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및 보도블럭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경계석이 설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경계석 사이의 바닥면에 포설되는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안착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바닥면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 경계석의 내측면과 수직으로 접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와;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경계석 사이의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되고 복수의 관통공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판부로 구성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와;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판부를 각각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시키는 고정핀부와; 상기 경계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상부 및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보도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설치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중간부에 상기 수평판부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을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하부방향으로 각각 가압하는 상부가 개방된 가압판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가압판부재의 내측에 상기 고정핀부의 헤드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복수의 상기 관통공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관통공 사이의 상기 수평판부 부위마다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판부의 상부에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판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수직판부와 상기 수평판부가 교차하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모서리부위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a) 바닥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경계석을 설치하는 경계석 설치단계와; b) 상기 경계석 사이의 바닥면에 모래층을 포설하는 모래층 포설단계와; c) 상기 바닥면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수직으로 접하도록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를 안착시키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안착단계와; d)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경계석 사이의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되고 복수의 관통공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판부로 구성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안착시키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안착단계와; e)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핀부를 통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를 안착고정시키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고정단계와; f) 상기 경계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상부 및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에 보도블럭을 안착시키는 보도블럭 안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닥면에 포설된 모래층의 상부에 침하방지 방초시트를 안착시켜 상기 모래층에서의 잡초 등의 식물의 생육을 보다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보도블럭 사이의 틈새로 잡초 등의 식물이 뻗어나와 미관을 해칠 우려가 없고, 나아가,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를 통해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를 인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안착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보도블럭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경계석의 내측면이 고르지 못하고 울퉁불퉁하여도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 방향으로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를 용이하게 밀착고정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과 수직판부 사이의 공간에 잡초 등의 식물이 생육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은 상태로 마감할 수 있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향상 및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과 상기 수직판부 사이의 공간으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럭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관통공 사이마다 배수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럭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8은 바닥면의 양측에 경계석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경계석 사이의 바닥면에 모래층이 포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모래층의 상부에 침하방지 방초시트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2는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에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상부와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에 보도블럭이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모서리부위에 돌출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모서리부위에 돌출부재가 형성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고정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6은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가 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침하방지 방초시트로부터 도 16의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18은 침하방지 방초시트에 도 16의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고,
도 19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에 일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침하방지 방초시트로부터 일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21은 침하방지스트에 일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고,
도 22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에 다른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침하방지 방초시트로부터 다른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24는 침하방지스트로부터 다른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고,
도 25는 탄성부가 탄성부의 하부방향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관통공 사이마다 배수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럭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8은 바닥면의 양측에 경계석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경계석 사이의 바닥면에 모래층이 포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모래층의 상부에 침하방지 방초시트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12는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에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상부와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에 보도블럭이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모서리부위에 돌출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모서리부위에 돌출부재가 형성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고정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6은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가 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침하방지 방초시트로부터 도 16의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18은 침하방지 방초시트에 도 16의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고,
도 19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에 일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침하방지 방초시트로부터 일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21은 침하방지스트에 일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고,
도 22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에 다른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침하방지 방초시트로부터 다른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24는 침하방지스트로부터 다른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고,
도 25는 탄성부가 탄성부의 하부방향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럭의 설치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관통공 사이마다 배수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럭의 설치구조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바닥면(10), 모래층(20), 침하방지 방초시트(30),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 고정핀부(50) 및 보도블럭(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바닥면(1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각각 경계석(11)이 설치된다.
도 5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모래층(20)은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11) 사이의 바닥면(10)에 일정높이로 포설된다.
다음으로,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는 상기 모래층(20)의 상부에 안착고정되어 상기 보도블럭(60)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일측과 타측은 각각 상기 경계석(11)의 상부방향으로 수직으로 절곡되어 상기 바닥면(1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설치된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과 수직으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는 투수성과 방초기능성을 갖는 시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는 크게, 수직판부(410)와 수평판부(420)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판부(410)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될 수 있다.
상기 수직판부(410)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일측 외면 및 타측외면과 접한 상태로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에 밀착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수평판부(420)는 상기 수직판부(410)의 하부에서 상기 경계석(11) 사이의 상기 바닥면(10)의 상부 중앙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좌우수평연장되어 상기 수직판부(410)의 하부방향의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평판부(420)의 중간부에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관통공(42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핀부(50)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수평판부(420)의 복수의 관통공(421)과 상기 모래층(20)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여 상기 바닥면(10)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부(50)를 통해 상기 수평판부(420)를 상기 수직판부(410)의 하부방향의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보도블럭(60)은 상기 경계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수평판부(420)의 상부 및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상부에 복수행 및 복수열로 안착고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럭의 시공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보도블럭의 시공방법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경계석 설치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모래층 포설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c) 침하방지 방초시트 안착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 d)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안착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 e)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고정단계(이하, 'e)단계'라 한다) 및 f) 보도블럭 안착단계(이하, 'f)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8은 바닥면의 양측에 경계석이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a)단계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보도블럭(60)을 설치하고자 하는 지면을 평평하게 다짐으로서 완성한 상기 바닥면(1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에 각각 상기 경계석(11)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도 9는 경계석 사이의 바닥면에 모래층이 포설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11) 사이의 바닥면(10)에 모래를 포설한 후 평면진동기 등을 이용하여 다짐으로서 상기 바닥면(10)의 상부에 상기 모래층(2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10은 모래층의 상부에 침하방지 방초시트가 안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닥면(10)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수직으로 접하도록 상기 모래층(20)의 상부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를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는 직물, 부직포, 미세한 다공이 형성된 필름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으로부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는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판부(410)와 상기 수평판부(420)로 구성되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수평판부(420)의 중간부에는 상기 수평판부(420)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가압판부재(422)가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를 따라 일정길이로 전후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판부재(422)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도 12는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에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수평판부(420)의 상부면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상부면과 수평을 이룰 수 있도록 일예로, 상기 수평판부(420)를 다짐작업할 경우, 상기 가압판부재(422)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을 각각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하부방향으로 각각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가압판부재(422)를 통해 상기 모래층(20)의 상부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를 인장된 상태로 용이하게 안착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수평판부(420)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도록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압판부재(422)의 내측에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부(50)의 상부에 형성되는 헤드부(510)가 수용되는 수용홈(42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423)의 바닥면에는 도 2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부(50)가 관통하는 복수의 상기 관통공(421)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관통공(421) 사이의 상기 수평판부(420)의 가압판부재(422)의 수용홈(423)의 바닥면 부위마다 배수공(4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공(424)은 어느 하나의 상기 관통공(421)과 다른 하나의 상기 관통공(421) 사이의 상기 수용홈(423)의 바닥면 부위에 1개 또는 1개 이상의 복수의 상기 배수공(4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공(424)을 통해 우기시 빗물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수평판부(420)의 수용홈(423)의 하부방향으로 원활히 배수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는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수평판부(420)의 복수의 관통공(421)과 상기 모래층(20)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여 상기 바닥면(10)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되는 상기 고정핀부(50)를 통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수평판부(420)를 더욱 견고하게 안착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고정핀부(50)의 헤드부(520)는 상기 d)단계에서의 상기 수평판부(420)의 수용홈(423)내에 수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수평판부(420)의 상부에 상기 보도블럭(60)을 안착시킬 경우, 상기 수평판부(420)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보도블럭(60)에 들뜸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핀부(50)는 일예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핀부재(510), 헤드부(520), 쐐기부재(530) 및 돌기(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핀부재(510)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수평판부(420)의 복수의 관통공(421)과 상기 모래층(20)을 순차적으로 수직관통하여 상기 바닥면(10)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520)의 하부 타측에 상기 핀부재(510)가 상기 헤드부(5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쐐기부재(530)는 상기 헤드부(520)의 하부 일측에 상기 헤드부(52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쐐기부재(530)의 일측에는 상기 쐐기부재(53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쐐기부재(53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면(5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핀부(50)가 하강하는 과정 중에 상기 쐐기부재(530)의 경사면(531)과 상기 핀부재(510)의 상부 타측은 각각 복수의 상기 관통공(421)의 일측 내면과 타측 내면에 점차 밀착고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수평판부(420)를 고정시키는 상기 고정핀부(50)의 고정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돌기(540)는 상기 쐐기부재(530)의 하부방향의 상기 핀부재(510)의 일측 외면과 타측 외면에 상기 고정핀부(50)의 핀부재(510)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모래층(20) 및 상기 바닥면(10)에 일정깊이로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돌기(540)는 상기 고정핀부(50)의 핀부재(5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복수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상부와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에 보도블럭이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f)단계는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보도블럭(60)이 상기 경계석(11)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수평판부(420)의 상부 및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상부에 복수의 상기 보도블럭(60)을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와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를 통해 상기 보도블럭(60)의 침하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면(10)에 포설된 상기 모래층(20)의 상부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를 안착시켜 상기 모래층(20)에서의 잡초 등의 식물의 생육을 보다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보도블럭(60) 사이의 틈새(도 13의 G)로 잡초 등의 식물이 뻗어나와 미관을 해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도 13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상기 보도블럭(60) 사이의 틈새(G)에는 잡초 등의 식물이 뻗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사가 충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d)단계에서의 상기 수직판부(410)의 상부에 경사판부재(4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판부재(430)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일측 상부방향과 타측 상부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판부(410)의 상부에서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에 밀착고정된 상태로 상기 보도블럭(60)의 상부 외부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이 고르지 못하고 울퉁불퉁하여도 상기 경사판부재(430)가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에 더욱 강하게 밀착되면서 형상 변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수직판부(410)가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울퉁불퉁한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에 틈새없이 밀착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모서리부위에 돌출부재가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5는 모서리부위에 돌출부재가 형성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고정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d)단계에서의 상기 수직판부(410)와 상기 수평판부(420)가 교차하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모서리부위에는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부재(4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440)는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접하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일측 하부 타측 하부를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으로 가압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에 더욱 밀착고정된 상태로 상기 모래층(20)의 상부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가 보다 더욱 용이하게 인장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일측과 타측이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에 수직으로 밀착고정됨에 따라 상기 수직판부(410)와 상기 경계석(11) 사이의 공간(S)에 잡초 등의 식물이 생육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경사판부재(430)를 통해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과 수직으로 접하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3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를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폐쇄한 상태로 마감할 수 있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40)의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향상 및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과 상기 수직판부(410) 사이의 공간(S)으로 모래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가 경사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침하방지 방초시트로부터 도 16의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18은 침하방지 방초시트에 도 16의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에서의 상기 수직판부(410)는 도 16 내지 도 17에서 보는 바와 상기 수직판부(4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α)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직판부(410)가 상향경사(α)지게 됨에 따라 도 17 및 도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에 밀착고정되는 경사판부재(430)의 밀착세기가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와 상기 경사판부(430)의 상부 사이를 통해 모래 등의 이물질이 상기 수직판부(410)와 상기 경계석(11) 사이의 공간(S)으로 유입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어 모래 등의 이물질을 통해 상기 수직판부(410)와 상기 경계석(11) 사이의 공간(S)에서 잡초 등의 식물이 생육되는 것으로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9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에 일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침하방지 방초시트로부터 일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21은 침하방지스트에 일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9 내지 도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d)단계에서의 상기 수직판부(410)의 상부와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 사이에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에 밀착되는 탄성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70)는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70)는 상기 수직판부(410)를 따라 상기 수직판부(4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전후연장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탄성부(70)는 상기 수직판부(410)의 상부와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 사이에 일정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에 밀착되는 탄성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70)를 이룰 수 있는 상기 탄성패드의 양측면 중 상기 수직판부(410)의 상부와 마주보는 상기 탄성패드의 어느 한 측면은 상기 수직판부(410)의 상부 외면에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70)를 이룰 수 있는 상기 탄성패드의 양측면 중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와 마주한 상태로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에 밀착되는 상기 탄성패드의 다른 한 측면의 밀착세기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일예의 상기 탄성부(70)를 이룰 수 있는 탄성패드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은 상기 수직판부(410)와 상기 경계석(11) 사이의 공간(S)의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2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에 다른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3은 침하방지 방초시트로부터 다른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분리단면도이고, 도 24는 침하방지스트로부터 다른예의 탄성부가 구비된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가 안착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다.
상기 d) 침하방지스트 고정부 안착단계에서의 상기 탄성부(70)는 다른예로, 도 22 내지 도 2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공의 탄성튜브몸체(7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공의 상기 탄성튜브몸체(710)의 양측면 중 상기 수직판부(410)의 상부와 마주보는 중공의 상기 탄성튜브몸체(710)의 어느 한 측면에는 상기 수직판부(410)의 상부 외면에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탄성패드(711)가 중공의 상기 탄성튜브몸체(7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중공의 상기 탄성튜브몸체(710)의 양측면 중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와 마주한 상태로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에 밀착되는 중공의 상기 탄성튜브몸체(710)의 다른 한 측면의 밀착세기가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다른예의 상기 탄성부(7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은 상기 수직판부(410)와 상기 경계석(11) 사이의 공간(S)의 좌우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5는 탄성부가 탄성부의 하부방향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결합단면도이다.
상기 경계석(11)의 내측면 상부와 상기 경사판부(430)의 상부 사이를 통해 모래 등의 일부 이물질(3)이 상기 수직판부(410)와 상기 경계석(11) 사이의 공간(S)의 상부방향으로 유입되어도 도 2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70)의 상부에 적재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70)의 하부방향의 낙하할 우려가 없어 상기 수직판부(410)와 상기 경계석(11) 사이의 공간(S)의 하부에서 잡초 등의 식물이 생육되는 것으로 더욱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바닥면, 20; 모래층,
30; 침하방지 방초시트, 40;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50; 고정핀부, 60; 보도블럭.
30; 침하방지 방초시트, 40;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50; 고정핀부, 60; 보도블럭.
Claims (18)
-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경계석이 설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경계석 사이의 바닥면에 포설되는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안착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바닥면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 경계석의 내측면과 수직으로 접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와;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경계석 사이의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되는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의 중간부에 상기 수평판부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을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하부방향으로 각각 가압하고 내측에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상부가 개방된 가압판부재로 구성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와;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가압판부재의 수용홈에 헤드부가 수용되고,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판부를 각각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시키는 고정핀부와;
상기 경계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상부 및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보도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경계석이 설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경계석 사이의 바닥면에 포설되는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안착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바닥면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 경계석의 내측면과 수직으로 접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와;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경계석 사이의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되고 복수의 관통공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판부로 구성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와;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판부를 각각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시키는 고정핀부와;
상기 경계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상부 및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보도블럭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와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탄성패드로 이루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경계석이 설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경계석 사이의 바닥면에 포설되는 모래층과;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안착고정되고, 일측과 타측이 각각 상기 바닥면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 경계석의 내측면과 수직으로 접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와;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경계석 사이의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되고 복수의 관통공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판부로 구성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와;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수평판부를 각각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시키는 고정핀부와;
상기 경계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상부 및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에 안착고정되는 보도블럭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와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중공의 탄성튜브몸체로 이루어지는 탄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관통공 사이의 상기 가압판부재 부위마다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관통공 사이의 상기 수평판부 부위마다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부의 상부에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판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판부와 상기 수평판부가 교차하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모서리부위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직판부는 상기 수직판부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 a) 바닥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경계석을 설치하는 경계석 설치단계와;
b) 상기 경계석 사이의 바닥면에 모래층을 포설하는 모래층 포설단계와;
c) 상기 바닥면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수직으로 접하도록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를 안착시키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안착단계와;
d)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경계석 사이의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되고 복수의 관통공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판부와, 상기 수평판부의 중간부에 상기 수평판부의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을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하부방향으로 각각 가압하고 내측에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상부가 개방된 가압판부재로 구성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안착시키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안착단계와;
e)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가압판부재의 수용홈에 헤드부가 수용되고,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핀부를 통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를 안착고정시키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고정단계와;
f) 상기 경계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상부 및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에 보도블럭을 안착시키는 보도블럭 안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a) 바닥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경계석을 설치하는 경계석 설치단계와;
b) 상기 경계석 사이의 바닥면에 모래층을 포설하는 모래층 포설단계와;
c) 상기 바닥면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수직으로 접하도록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를 안착시키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안착단계와;
d)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경계석 사이의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되고 복수의 관통공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판부로 구성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안착시키고, 상기 수직판부와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탄성패드로 이루어지는 탄성부가 구비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안착단계와;
e)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핀부를 통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를 안착고정시키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고정단계와;
f) 상기 경계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상부 및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에 보도블럭을 안착시키는 보도블럭 안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a) 바닥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경계석을 설치하는 경계석 설치단계와;
b) 상기 경계석 사이의 바닥면에 모래층을 포설하는 모래층 포설단계와;
c) 상기 바닥면의 일측과 타측에 설치된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이 각각 수직으로 접하도록 상기 모래층의 상부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를 안착시키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안착단계와;
d)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고정시키는 수직판부와, 상기 수직판부의 하부에서 상기 경계석 사이의 상기 바닥면 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면 일측과 상부면 타측에 각각 안착고정되고 복수의 관통공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수평판부로 구성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를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안착시키고, 상기 수직판부와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 사이에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에 밀착되는 중공의 탄성튜브몸체로 이루어지는 탄성부가 구비되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안착단계와;
e)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고정핀부를 통해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를 안착고정시키는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고정단계와;
f) 상기 경계석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수평판부의 상부 및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상부에 보도블럭을 안착시키는 보도블럭 안착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d)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안착단계에서의 복수의 상기 관통공 사이의 상기 가압판부재 부위마다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d)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안착단계에서의 복수의 상기 관통공 사이의 상기 수평판부 부위마다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안착단계에서의 상기 수직판부의 상부에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경사판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안착단계에서의 상기 수직판부와 상기 수평판부가 교차하는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의 모서리부위에 상기 침하방지 방초시트의 일측 및 타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돌출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제 9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 침하방지 방초시트 고정부 안착단계에서의 수직판부는 상기 수직판부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경계석의 내측면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6933A KR102198013B1 (ko) | 2020-06-03 | 2020-06-03 |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및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66933A KR102198013B1 (ko) | 2020-06-03 | 2020-06-03 |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및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98013B1 true KR102198013B1 (ko) | 2021-01-04 |
Family
ID=7412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66933A KR102198013B1 (ko) | 2020-06-03 | 2020-06-03 |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및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9801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9858B1 (ko) | 2021-07-12 | 2022-09-02 | 신남성 | 부등침하 방지를 위한 보도블럭 설치용 매트 |
KR102561999B1 (ko) * | 2022-09-22 | 2023-08-02 | 주식회사 강한디앤비 | 기둥시공방법 |
KR102659506B1 (ko) | 2024-02-07 | 2024-04-19 | 조현득 |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도블럭 |
KR102685630B1 (ko) | 2024-05-28 | 2024-07-18 | (주)원전기업 | 잡초 생장 방지형 콘크리트 블럭 시공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7297B1 (ko) | 2005-12-15 | 2008-07-18 | 유한회사 로드플랜 | 보도블록의 설치구조 |
KR101354485B1 (ko) * | 2013-06-19 | 2014-01-27 | (주)엘앤케이시설물 | 방초 시트의 시공방법 |
KR20150007160A (ko) * | 2013-07-10 | 2015-01-20 | 매이크앤 주식회사 | 보도블록 방초시트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시공방법 |
-
2020
- 2020-06-03 KR KR1020200066933A patent/KR10219801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7297B1 (ko) | 2005-12-15 | 2008-07-18 | 유한회사 로드플랜 | 보도블록의 설치구조 |
KR101354485B1 (ko) * | 2013-06-19 | 2014-01-27 | (주)엘앤케이시설물 | 방초 시트의 시공방법 |
KR20150007160A (ko) * | 2013-07-10 | 2015-01-20 | 매이크앤 주식회사 | 보도블록 방초시트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시공방법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39858B1 (ko) | 2021-07-12 | 2022-09-02 | 신남성 | 부등침하 방지를 위한 보도블럭 설치용 매트 |
KR102561999B1 (ko) * | 2022-09-22 | 2023-08-02 | 주식회사 강한디앤비 | 기둥시공방법 |
KR102659506B1 (ko) | 2024-02-07 | 2024-04-19 | 조현득 | 유지보수가 용이한 보도블럭 |
KR102685630B1 (ko) | 2024-05-28 | 2024-07-18 | (주)원전기업 | 잡초 생장 방지형 콘크리트 블럭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8013B1 (ko) | 보도블럭의 설치구조 및 보도블럭의 시공방법 | |
JPH083443Y2 (ja) | 排水・保水装置 | |
KR101884877B1 (ko) | 잔디보호용 매트 | |
HUT74233A (en) | Structure of a walking surface for horses, in particular for a riding area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 |
KR101865231B1 (ko) | 침하가 쉽게 되지 않고 우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 블록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 저장된 우수 유실 방지 시공법 | |
KR101900728B1 (ko) |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 |
JP2007043978A (ja) | 植物保護構造 | |
KR102235093B1 (ko) | 토사유실 차단패널 | |
KR101649506B1 (ko) | 측구의 이물질 유입 방지 수단을 구비한 구조체 | |
KR102051860B1 (ko) | 보도용 배수 트렌치 | |
KR102154399B1 (ko) | 배수시스템 | |
KR200435517Y1 (ko) | 확장된 집수면적을 갖는 노면의 집수 및 배수용 구조물 | |
KR102583213B1 (ko) | 빗물을 사용하여 잔디를 식생하는 친환경 녹색 블럭과 그 블럭을 이용한 시공방법 | |
JP4039445B2 (ja) | 排水構造 | |
JP2002061274A (ja) | 土地境界の施工方法および側溝用ブロック | |
JP3796383B2 (ja) | 舗装構造 | |
JPH0626023A (ja) | 組立水路ブロック | |
JP6830123B2 (ja) | 透水性構造体 | |
KR102086743B1 (ko) | 파손 방지 수단이 구비되는 가로수분 구조체 | |
KR102219577B1 (ko) | 유출수 저감 보도구조 | |
JP3851473B2 (ja) | 舗装構造 | |
KR100833450B1 (ko) | 사면 녹화용 식생기반 구조물을 고정하는 장치와 그시공방법 | |
JPH082219Y2 (ja) | 通水蓋 | |
KR200163473Y1 (ko) | 하천정화블럭 | |
JPH09189068A (ja) | 溝用受け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