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958B1 -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958B1
KR102197958B1 KR1020190089429A KR20190089429A KR102197958B1 KR 102197958 B1 KR102197958 B1 KR 102197958B1 KR 1020190089429 A KR1020190089429 A KR 1020190089429A KR 20190089429 A KR20190089429 A KR 20190089429A KR 102197958 B1 KR102197958 B1 KR 102197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magnetic body
welding
support members
stee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훈
김양준
이정우
이창환
Original Assignee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9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6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8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flash remov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로서, 평면을 기준으로 상, 하측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는 불티방지시트;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과 타측에 상기 불티방지시트가 형성하는 상, 하측 개구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 결합되는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에 철골 기둥에 자력으로 접합되기 위한 제1자성체가 설치되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의 하측에 고정되어 철골 기둥과 제1지지부재의 하측을 감도록 마련되는 탄성력을 가지는 밴드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을 탈착이 용이한 유닛 형태로 구현하여 분해 및 설치가 간편하며, 불티방지시트를 연질로 구성함으로써 두루마리 형태로 쉽게 접혀지게되어 보관 부피가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구조물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자성체 및 상호 지지구조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고정수단 및 거치대가 생략될 수 있다.

Description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A Satter Prevention Device of the Welding Sparks}
본 발명은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을 탈착이 용이한 유닛 형태로 구현하여 분해 및 설치가 간편하면서도 보관이 용이한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접(welding)은 금속의 접합부를 열로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철골공사의 구조체 접합이나 배관이음 공사 등을 비롯하여 각종 산업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구조용 강재의 접합에는 용접봉과 용접될 금속에 전류를 보내어 전기아아크를 일으켜 생기는 열로 용접봉의 녹은 쇳물이 모재에 결합되도록 하는 금속아아크용접이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용접은 리벳접합이나 볼트접합 등에 비하여 응력 전달이 확실할 뿐만 아니라, 접합의 간편성 및 가공의 간이성 등을 이유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용접에서 생기는 불꽃은 그 온도가 매우 높아 사방으로 비산되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고, 인화물질과 접촉되어 작업현장의 화재 등 안전사고의 발생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각종 공사현장에서는 용접 작업에서 발생하는 불꽃이 비산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를 고안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용접 불꽃을 막아줄 수 있도록 하는 종래의 비산방지 장치로는 등록특허 제10-1181921호의 '용접 불꽃 비산방지 기구'와, 공개특허 제10-2012-0095819호의 '유연성을 가진 자석 부착형 불꽃 비산방지 망' 및 등록특허 제10-0835258호의 '용접불꽃 비산방지 기구' 등 여러가지 유형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종래의 상기 용접 불꽃 비산방지 기구는 철골 등의 용접 또는 용단과정에서 발생되는 용접 불꽃 또는 슬래그(slag), 파이프 절단 부산물 등의 용접 부산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접 불꽃 비산방지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비산방지패널이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내부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채집유닛과, 상기 각각의 비산방지패널 사이에 구비되며 인접된 상기 비상방지패널이 서로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연결패드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용접 불꽃 비산방지 기구에 의하면 폴딩 방식으로 채집유닛을 접어 이동 및 보관을 할 수있고, 작업장에서는 이를 펼치어 용접구조물에 설치함으로써 비산되는 용접 불꽃을 막아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기술들의 경우 지지 구조물이 별도로 구성되지 않아 장치를 거치하기 위한 별도의 지지 구조가 요구될 뿐만 아니라, 경질의 패널 및 장치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폴딩 방식으로 접히도록 구성할 경우에도 장치의 보관 부피가 일정 이상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181921(등록번호) KR 10-2012-0095819(공개번호) KR 10-0835258(등록번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것으로서, 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을 탈착이 용이한 유닛 형태로 구현하여 분해 및 설치가 간편한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불티방지시트를 연질로 구성함으로써 두루마리 형태로 쉽게 접혀지게되어 보관 부피가 상대적으로 감소되는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물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자성체 및 상호 지지구조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고정수단 및 거치대가 요구되지 않는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평면을 기준으로 상, 하측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는 불티방지시트;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과 타측에 상기 불티방지시트가 형성하는 상, 하측 개구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 결합되는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에 철골 기둥에 자력으로 접합되기 위한 제1자성체가 설치되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의 하측에 고정되어 철골 기둥과 제1지지부재의 하측을 감도록 마련되는 탄성력을 가지는 밴드부재; 를 포함하는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자성체가 철골 기둥에 접합될 경우 제1자성체의 전면이 철골 기둥과 접합되도록 상기 제1자성체를 변위시키기 위한 힌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철골 기둥에 자력으로 접합되기 위한 제2자성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자성체는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밴드부재의 중단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호 결합되기 위한 나사 체결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길이는 가공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을 탈착이 용이한 유닛 형태로 구현하여 분해 및 설치가 간편하다.
또한, 불티방지시트를 연질로 구성함으로써 두루마리 형태로 쉽게 접혀지게되어 보관 부피가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구조물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자성체 및 상호 지지구조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고정수단 및 거치대가 생략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의 각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의 불티방지시트와 제1지지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 (a) 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의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 (b) 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의 제1지지부재와 밴드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의 설치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의 각 구성을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의 불티방지시트와 제1지지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 (a) 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의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 (b) 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의 제1지지부재와 밴드부재의 결합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의 설치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는, 불티방지시트(10), 제1지지부재(20), 제2지지부재(30) 및 밴드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불티방지시트(10)는 용접 시 비산되는 불티를 막아 주는 구성으로서, 유연하고 내열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시트로 마련될 수 있으며, 도 1 에서와 같이, 평면을 기준으로 상, 하측측에 복수의 개구(12)가 형성되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불티방지시트(10)는 더욱 효과적인 불티 방지를 위하여 상, 하면에 난연재질의 흑연, 암모늄 폴리포스테이트(Ammonium Polyphosphate, APP) 등의 조성으로 마련되는 코팅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1지지부재(20)는 불티방지시트(10)를 지지하며, 불티방지시트(10) 형태를 우산형으로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과 타측에 상기 불티방지시트(10)가 형성하는 상, 하측 개구(12)에 삽입되는 돌출부(2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22)는 도 1 내지 도 2 에서와 같이 후크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 하측 개구(12)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개구(12)에 삽입 및 탈거가 용이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지지부재(30)는 불티방지시트(10)와 결합된 복수의 제1지지부재(20) 중 일부와 체결됨과 동시에 철골 기둥(H)과 결합됨으로써 제1지지부재(20)의 거치를 구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제2지지부재(30)는 도 1 내지 도 2 에서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돌출부(22)와 대응 결합되는 고리(32)가 형성되고, 타측에 철골 기둥(H)에 자력으로 접합되기 위한 제1자성체(34)가 설치된다.
즉, 제2지지부재(30)는 상기 고리(32)를 통해 상기 제1지지부재(20)와 체결되며, 상기 제1자성체(34)의 자력에 의해 철골 기둥(H)에 접합됨으로써 제1지지부재(20)를 지지 및 거치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지지부재(30)는 도 1 및 도 4 에서와 같이, 상기 제1자성체(34)가 철골 기둥(H)에 접합될 경우 제1자성체(34)의 전면이 철골 기둥(H)과 접합되도록 상기 제1자성체(34)를 변위시키기 위한 힌지부(36)를 더 포함한다.
밴드부재(40)는 상기 제1지지부재(20)의 하측에 고정되어 철골 기둥(H)과 제1지지부재(20)의 하측을 감도록 마련되는 구성으로 탄성력을 구비하는 재질로 마련도리 수 있으며, 상기 철골 기둥(H)에 자력으로 접합되기 위한 제2자성체(4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자성체(42)는 도 1 에서와 같이 상기 밴드부재(40)의 양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3 (b) 에서와 같이, 상기 밴드부재(40)의 중단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10)와 상호 결합되기 위한 나사 체결구(44)가 형성된다. 즉, 나사 체결구(44)에 나사를 삽입하여 밴드부재(40)와 하나 이상의 제1지지부재(10)가 결합되며, 장치의 조립 시 제1지지부재(10)의 하부를 밴드부재(40)로 감은 후 양측의 제2자성체(42)를 철골기둥(H)에 부착시켜 장치의 고정을 구현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의 조립 및 분리의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불티방지시트(10)에 형성된 개구(12)를 통해 제1지지부재(20)를 각각 체결한다.(도 2 참조)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구(12)는 상, 하측 각각 12개가 형성되고 12개의 제1지지부재(20)가 각 개구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 설정된 사항에 따라 제2지지부재(30)의 고리(32)를 제1지지부재(20)의 돌출부(22)에 삽입시켜 상호 체결시킨다. 여기서, 제2지지부재(30)는 4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장치의 거치를 상호 지지구조로 구현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예를 들면 3개의 제1지지부재 당 하나의 제2지지부재를 결합)으로 제2지지부재(30)를 체결시킨다.
다음, 체결된 제2지지부재(30)의 타측의 제1자성체(34)를 철골 기둥(H)에 부착시킨 후, 제1지지부재(20)의 하부측을 밴드부재(40)로 감고 제2자성체(42)를 철골 기둥(H)에 부착시키면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가 도 4 와 같이 우산이 뒤집힌 형태로 철골 기둥(H)에 거치 및 고정되게 된다. 여기서, 밴드부재(40)와 제1지지부재(20) 간의 나사체결 결합은 철골기둥에 밴드부재(40)를 감기전에 이루어져도 되며, 감은 후에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제1지지부재(20)와 제2지지부재(30)의 길이는 가공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마련될 수 있는 데, 이는 장치의 결합 시 철골 기둥(H)을 기준으로 제1지지부재(20)의 설치각과 제2지지부재(30)의 설치각을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한 상호 지지구조를 이룰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후, 장치의 분해는 역순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장치의 분해는 전술한 4가지 구성을 모두 분리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후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의 재사용의 용이성을 위하여 불티방지시트(10)와 제1지지부재(20)가 결합된 상태에서 불티방지시트(10)를 두루마리 형태로 감고, 시트를 감는 사이에 제2지지부재(30) 및 밴드부재(40)를 삽입하여 분해 보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는, 장치를 이루는 각 구성을 탈착이 용이한 유닛 형태로 구현하여 분해 및 설치가 간편하며, 불티방지시트를 연질로 구성함으로써 두루마리 형태로 쉽게 접혀지게되어 보관 부피가 상대적으로 감소된다.
또한, 구조물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자성체 및 상호 지지구조를 통해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장치 고정수단 및 거치대가 생략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불티방지시트
12 : 개구
20 : 제1지지부재
22 : 돌출부
30 : 제2지지부재
32 : 고리 34 : 제1자성체
36 : 힌지부
40 : 밴드부재
42 : 제2자성체 44 : 나사체결구
H : 철골 기둥

Claims (5)

  1. 평면을 기준으로 상, 하측에 복수의 개구가 형성되는 불티방지시트;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과 타측에 상기 불티방지시트가 형성하는 상, 하측 개구에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재;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며, 일측에 상기 돌출부와 대응 결합되는 고리가 형성되고, 타측에 철골 기둥에 자력으로 접합되기 위한 제1자성체가 설치되는 복수의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의 하측에 고정되어 철골 기둥과 제1지지부재의 하측을 감도록 마련되는 탄성력을 가지는 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자성체가 철골 기둥에 접합될 경우 제1자성체의 전면이 철골 기둥과 접합되도록 상기 제1자성체를 변위시키기 위한 힌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밴드부재는 상기 철골 기둥에 자력으로 접합되기 위한 제2자성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자성체는 상기 밴드부재의 양단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재의 중단에는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호 결합되기 위한 나사 체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부재와 제2지지부재의 길이는 가공 오차 범위 내에서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

KR1020190089429A 2019-07-24 2019-07-24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 KR102197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29A KR102197958B1 (ko) 2019-07-24 2019-07-24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429A KR102197958B1 (ko) 2019-07-24 2019-07-24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7958B1 true KR102197958B1 (ko) 2021-01-04

Family

ID=74127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429A KR102197958B1 (ko) 2019-07-24 2019-07-24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95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036Y1 (ko) * 1999-07-27 2000-02-15 하늘기업주식회사 용접용 불꽃받이
KR100835258B1 (ko) 2007-05-14 2008-06-05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용접불꽃 비산방지 기구
JP2008229685A (ja) * 2007-03-22 2008-10-02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溶接火花の養生装置
KR20120095819A (ko) 2012-06-28 2012-08-29 김재육 유연성을 가진 자석 부착 형 불꽃 비산방지 망
KR101181921B1 (ko) 2010-11-03 2012-09-11 (주)엠에스엔지니어링 용접 불꽃 비산방지 기구
KR20130000372U (ko) * 2011-07-07 2013-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슬래그 낙하방지용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6036Y1 (ko) * 1999-07-27 2000-02-15 하늘기업주식회사 용접용 불꽃받이
JP2008229685A (ja) * 2007-03-22 2008-10-02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溶接火花の養生装置
KR100835258B1 (ko) 2007-05-14 2008-06-05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용접불꽃 비산방지 기구
KR101181921B1 (ko) 2010-11-03 2012-09-11 (주)엠에스엔지니어링 용접 불꽃 비산방지 기구
KR20130000372U (ko) * 2011-07-07 2013-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용접슬래그 낙하방지용 보호커버
KR20120095819A (ko) 2012-06-28 2012-08-29 김재육 유연성을 가진 자석 부착 형 불꽃 비산방지 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7519B2 (en) Construct for building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063836A (ja) リップ溝形鋼およびその連結金具
KR101772131B1 (ko) 용접불티 비산 방지장치
KR101181921B1 (ko) 용접 불꽃 비산방지 기구
KR102197958B1 (ko) 용접불티 비산 방지 장치
JP2005023745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補強構造とそれに用いる補強材
JP2008148446A (ja) ケーブル固定具
JP6222824B2 (ja) 天吊り金物
JP2010189872A (ja) 扉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5913193B2 (ja) 溶接火花飛散防止具
JP7233976B2 (ja) 構造体への補強部材の固定構造、h形鋼用固定部材
JP4672355B2 (ja) 枠体装置
KR200218599Y1 (ko) 용접 부산물 포집구
JP6392075B2 (ja) アンカー装置、その装置を用いる建材の躯体に対する固定方法及び固定構造
JP3244785U (ja) 鋼構造と壁位置決め組立構造
JP2013011151A (ja) 柱梁架構の耐震補強構造
KR20230095360A (ko) 합성기둥 및 그 제조방법
JP6900244B2 (ja) ハッチを装備した壁開口部用のフレームの構築方法、及びフレーム構造
JP2006322276A (ja) 鋼管柱および鋼管柱の接合工法
JPH08253992A (ja) パネル連結部の取付構造
JPH04203147A (ja) 長尺パネルの箱桁
JP2004156357A (ja) パネル板支持構造
JP2016153582A (ja) 建造物における無溶接補強構造
JP2021067013A (ja) 単管クランプ
JP2007229568A (ja) 吹き流し形フィ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