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4388B1 -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 Google Patents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4388B1
KR102194388B1 KR1020180106889A KR20180106889A KR102194388B1 KR 102194388 B1 KR102194388 B1 KR 102194388B1 KR 1020180106889 A KR1020180106889 A KR 1020180106889A KR 20180106889 A KR20180106889 A KR 20180106889A KR 102194388 B1 KR102194388 B1 KR 102194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double eye
eye beam
pile
s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9076A (ko
Inventor
이종범
Original Assignee
(주)제일기초이엔씨
주식회사 도건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일기초이엔씨, 주식회사 도건이엔텍 filed Critical (주)제일기초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106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43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0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0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4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4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심지의 대지경계선이 좁은 구간에서 근입장이 짧더라도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는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에 관한 것으로, 지면 천공 후 더블 아이 빔을 근입하는 더블 아이빔 근입단계와 더블 아이 빔이 형성된 위치만 굴착하는 부분 굴착단계와 더블 아이 빔에 수평보강부재를 결합하여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을 제작하는 단계 및 토류판을 설치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어, 대지경계선이 부족할 경우에도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고, 주동토압에 의한 저항력을 형성할 수 있는 수평보강부재가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에 결합되어 있어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의 근입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더 깊은 깊이로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을 근입시키 않더라도 깊은 깊이의 터파기 실시 및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현장타설콘크리트와 결합한 수평보강부재를 연결하는 작은 크기의 경사보강부재 및 수직 저항 보강말뚝을 형성하여 주동토압에 대응하는 추가 지지력이 형성됨으로써 수동토압 형성을 위한 근입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충분히 흙막이 시공을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약지반일 경우에도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는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Construction method for earth self-retaining wall using reinforcing member and Soil retaining plate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도심지의 대지경계선이 좁은 구간에서 근입장이 짧더라도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는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 가설공법은 직접기초, 말뚝기초, 지하구조물 등을 설치할 때 주변의 토사나 지하수가 굴착지반 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설구조물이다.
가시설은 공사중에 사용되며 공사완료 후는 철거되는 것으로 본체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경시되었으나 최근에는 공사가 대형화되고 복잡하게 되어 그 비용이나 공사량, 공기가 전체 공사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커졌기 때문에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흙막이 가설공법은 주변의 토사를 지지하는 흙막이 벽체와 이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지보재로 구성되며 흙막이 벽체 및 지보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대표적인 흙막이 가설공법으로는 H빔 및 토류판공법, 시트파일공법, 주열식 흙막이공법, 슬러리월공법 등이 있다.
H빔 및 토류판공법은 H빔을 일정한 간격으로 박고 굴착과 동시에 토류판을 H빔 사이에 끼워 흙막이 벽체를 설치하는 공법으로 스트러트 버팀대나 앵커를 설치하여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것으로 시공이 비교적 간단하고 경제적이며 공기도 짧으나 차수성이 떨어져 그라우팅 보강이 필요하고, 히빙현상에 대한 대책이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시트파일공법은 강재널말뚝을 연속으로 연결하여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으로 차수성이 높아 연약지반에 적합한 공법이다.
주열식 흙막이공법은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을 연속적으로 박아 주열식으로 흙막이 벽체를 형성하는 공법으로 말뚝 내에는 철근 및 H빔을 박아 흙막이 벽체를 보강하는 저소음공법으로 차수성이 우수하고 벽체의 강성이 높으며 주변침하가 적으나 공기가 비교적 길어지고 공사비가 증대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주열식 흙막이공법에는 굴착된 지반 내에 기조립된 철근 및 조골재를 채우고 몰탈을 주입하여 현장에서 파일을 시공하는 CIP공법, 굴착공 내의 흙을 시멘트풀과 혼합하고 H빔이나 철근을 압입하여 시공하는 소일시멘트공법이 있다.
슬러리월공법은 지반굴착시 안정액을 사용하여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굴착하여 그 속에 철근망을 넣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연속적으로 콘크리트 흙막이 벽체를 설치해가는 공법이다. 이 공법은 공사의 안전성, 공해문제, 인접건물의 영향성을 고려하여 도심지 공사에 적합하다.
한편, 위와 같은 흙막이 가설공법은 도심지 굴착시 근접한 구조물(도로, 건물 등)로 인해 제한적인 공법을 적용할 수밖에 없고 대표적인 도심지 굴착공법으로는 H빔을 주요자재로 사용하여 계획된 위치에 타입하고 내부를 굴착하여 내려가는 공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H빔 사이에 벽체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목재판(H빔 및 토류판공법)이나 현장타설 말뚝 즉, 소일시멘트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을 시공하여 가시설 벽체로 사용한다.
현장타설 말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상단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H빔과 현장타설말뚝 상부를 일체화하여 상부를 고정시켜 주는데 이를 캡빔이라고 한다.
종래의 경우 캡빔은 H빔의 수평라인 정돈과 현장타설 콘크리트말뚝 상부변위를 억제하는 역할로만 활용하였다.
즉, 굴착시 벽체를 지지하는 띠장으로서의 역할로는 활용하지 못했다.
따라서, 굴착을 위해서는 그 하부에 근접하여 제1단 띠장을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여 비경제적인 시공이 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모든 공법은 도심지의 대지경계선이 좁은 구간에서는 토압에 의하여 실제로 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더욱이 말뚝에서 발생하는 주동토압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면에 근입는 근입장이 노출된 말뚝보다 약 1.5 ∼ 2.5배 가량 더 근입되어야 하는데 대지경계선이 좁은 구간에서 깊은 깊이로 말뚝의 근입이 어려워 깊은 터파기를 실시해야할 상황 발생시에는 협소한 공간 내에서 작업이 매우 어려웠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다양한 형태의 흙막이 공법이 제안되었다.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2541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와 같은 2열 자립식 흙막이 공법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2열 자립식 흙막이 공법은 전, 후열 말뚝을 근입한 후 이를 연결함으로서 말뚝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4995호(이하, '특허문헌 2'라 함)와 같이 2열 자립식 말뚝공법에 레이커를 설치하는 공법도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와 같은 공법은 앞서 설명한 특허문헌 1의 공법시 터파기한 공간 내에 레이커를 경사지게 배치하여 흙막이벽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특허문헌 1) KR10-1692541 B1 2열 자립식 흙막이 시공에서의 전열, 후열 말뚝 연결구조
(특허문헌 2) KR10-0964995 B1 레이커를 이용한 2열 엄지말뚝 흙막이 공법
하지만, 상기 특허문헌 1과 같은 2열 자립식 흙막이 공법은 전열말뚝 및 후열말뚝을 근입한 후 이를 연결함으로써 대지경계선이 좁은 구간에서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나 이중으로 말뚝을 근입시킴으로써 시공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2는 특허문헌 1의 구성에 레이커를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흙막이벽의 지지력을 높일 수 있었으나, 상술한 레이커는 충분한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구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건축벽체나 기초 공사시 작업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은 대지경계선이 부족할 경우에도 기존 H빔보다 높은 단면계수로 인해 비틀림 강도 및 좌굴강도가 뛰어나 토압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더블 아이 빔 타입의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을 이용함으로써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는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파기 공간이 형성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보강부재를 더블 아이 빔에 결합하여 제작된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에 의해 주동토압에 대응하는 수동토압을 형성하기 위한 비노출구간인 근입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주동토압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이 형성되어 깊은 깊이로 더블 아이 빔을 근입시키 않더라도 깊은 깊이의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터파기 지면과 맞닿는 위치의 더블 아이 빔에 수평보강부재의 결합시 더욱 더블 아이 빔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 더블 아이 빔에 수평보강부재 결합 후 더블 아이 빔과 수평보강부재를 연결하는 작은 크기의 경사보강부재를 결합하여 터파기에 의해 노출되어 있는 더블 아이 빔의 노출구간에서 발생하는 주동토압에 대응하는 추가 지지력이 형성됨으로써 수동토압 형성을 위한 더블 아이 빔의 비노출구간인 근입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충분히 흙막이 시공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더블 아이 빔의 구조적 변형 방지 및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 터파기 지면에 근입되는 수직 저항 보강말뚝을 수평보강부재에 결합하여 수동토압 형성을 위한 더블 아이 빔의 비노출구간인 근입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충분히 흙막이 시공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연약지반일 경우에도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대지경계선이 부족할 경우에도 기존 H빔보다 높은 단면계수로 인해 비틀림 강도 및 좌굴강도가 뛰어나 토압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더블 아이 빔 타입의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을 이용함으로써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터파기 공간이 형성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보강부재를 더블 아이 빔에 결합하여 제작된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에 의해 주동토압에 대응하는 수동토압을 형성하기 위한 비노출구간인 근입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주동토압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지지력이 형성되어 깊은 깊이로 더블 아이 빔을 근입시키 않더라도 깊은 깊이의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으며, 특히, 터파기 지면과 맞닿는 위치의 더블 아이 빔에 수평보강부재의 결합시 더욱 더블 아이 빔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 더블 아이 빔에 수평보강부재 결합 후 더블 아이 빔과 수평보강부재를 연결하는 작은 크기의 경사보강부재를 결합하여 터파기에 의해 노출되어 있는 더블 아이 빔의 노출구간에서 발생하는 주동토압에 대응하는 추가 지지력이 형성됨으로써 수동토압 형성을 위한 더블 아이 빔의 비노출구간인 근입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충분히 흙막이 시공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더블 아이 빔의 구조적 변형 방지 및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 터파기 지면에 근입되는 수직 저항 보강말뚝을 수평보강부재에 결합하여 수동토압 형성을 위한 더블 아이 빔의 비노출구간인 근입장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충분히 흙막이 시공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연약지반일 경우에도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의 순서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아이 빔 근입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굴착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6은 도 5에서 경사보강부재를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도 6에서 수직 저항 보강말뚝을 결합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도 7에서 수직 저항 보강말뚝을 결합하는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토류판 설치단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 1에서와 같이 지면을 일정 간격으로 천공한 후 각각의 천공홀에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을 구성하는 더블 아이 빔을 근입하는 더블 아이 빔 근입단계와, 상기 더블 아이 빔 근입단계에서 더블 아이 빔이 근입된 위치만을 계획된 터파기 지면까지 부분 굴착을 실시하는 부분 굴착단계와, 상기 부분 굴착단계를 통해 노출된 각각의 더블 아이 빔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에 의한 저항이 발생하도록 터파기 공간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보강부재를 각각의 더블 아이 빔에 설치하여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을 제작하는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와, 상기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 이후 부분 터파기를 실시하면서 토류판을 각각의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 사이에 배치하는 토류판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블 아이 빔 근입단계에서의 더블 아이 빔은 서로 마주보는 제1, 2판 사이에 제3, 4판이 결합하여 ㅍ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 수평보강부재는 작업자가 계획한 터파기 지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더블 아이 빔에 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 수평보강부재의 결합 이후 더블 아이 빔과 수평보강부재 사이에 경사보강부재를 더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 수평보강부재에는 터파기 지면에 근입되는 수직 저항 보강말뚝을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의 수직 저항 보강말뚝은 수평보강부재를 더블 아이 빔에 결합하기 전에 터파기 지면에 근입한 후 수평보강부재를 더블 아이 빔과 수직 저항 보강말뚝에 결합하거나, 또는 더블 아이 빔에 수평보강부재를 결합한 후 수직 저항 보강말뚝을 수평보강부재의 단부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의 터파기 지면에 근입한 후 수평보강부재와 수직 저항 보강말뚝을 결합할 수 있다.
1.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의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은 크게 더블 아이 빔(10)과 수평보강부재(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더블 아이 빔(10)은 도 2에서와 같이 제1, 2판(11, 12) 사이에 제3, 4판(13, 14)이 결합하여 단면형상이 ㅍ자로 이루어진 것으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흙막이 시공시 지면(G1)에 근입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더블 아이 빔(10)은 고강도 스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수평보강부재(20)는 흙막이 시공시 지면(G1) 밑으로 근입되어 주동토압을 받는 더블 아이 빔(10)의 제1판(11)에 결합하여 더블 아이 빔(10)에 지지력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보강부재(20)는 터파기 공간(O)방향으로 수평연장되되 수평방향 연장길이는 터파기의 깊이 및 터파기 지면(G2) 밑으로 근입된 더블 아이 빔(10)의 근입장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특히, 수평보강부재(20)의 재질은 스틸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경사보강부재(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보강부재(30)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더블 아이 빔(10)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보강부재(20) 사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더블 아이 빔(10) 중 터파기 지면(G2)으로 근입되지 않고 노출된 노출구간(A1)과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보강부재(20)를 연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경사보강부재(30)의 경사 각도는 터파기 깊이 및 터파기 지면(G2)에 근입된 더블 아이 빔(10)의 근입 깊이(이하, '근입장'이라 함)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직 저항 보강말뚝(40)을 더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저항 보강말뚝(40)은 수평보강부재(20)에 결합하는 구성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더블 아이 빔(10)이 결합된 위치의 반대편에 결합하여 수평보강부재(20)에 반력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수평보강부재(20)의 하측면 또는 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수평보강부재(20), 경사보강부재(30) 및 수직 저항 보강말뚝(40)은 도면에서는 더블 아이 빔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수평보강부재(20), 경사보강부재(30) 및 수직 저항 보강말뚝(40)의 결합은 용접이나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2. 자립식 흙막이 공법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은 더블 아이 빔 근입단계, 부분 굴착단계,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 토류판 설치단계로 이루어지며 세부 과정은 하기와 같다.
가. 더블 아이 빔 근입단계
본 단계는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을 구성하는 더블 아이 빔(10)을 지면에 근입하는 단계로서, 도 3에서와 같이 지면(G1)을 일정 간격으로 천공하여 천공홀(H)을 형성한 후 다수의 천공홀(H)에 더블 아이 빔(10)을 근입하여 본 단계를 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천공홀(H)의 형성은 통상의 오거를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지반의 상태에 따라 케이싱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특히, 본 과정에서의 천공홀(H)은 터파기 공간(O)을 위한 깊이 및 더블 아이 빔(10)의 근입장인 비노출구간(A2)을 감안하여 천공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나. 부분 굴착단계
본 단계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더블 아이 빔 근입단계 후 더블 아이 빔(10)이 근입된 위치만 굴착을 진행하여 부분 굴착부(E)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는 앞서 설명한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을 제작하기 위한 전 단계로서 최초 작업자가 계획한 터파기 깊이 만큼의 굴착 깊이로 더블 아이 빔(10)이 근입된 위치만 부분 굴착함으로써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 제작을 위한 공간확보 및 굴착공간이 무너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단계이다.
다.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
본 단계는 앞서 진행한 부분 굴착단계에서 형성한 부분 굴착부(E)를 통해 더블 아이 빔(10)에 수평보강부재(20)를 결합하여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의 제작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의 수평보강부재(20)는 도 5에서와 같이 터파기 지면(G2)과 맞닿는 위치의 더블 아이 빔(10)에 체결수단(도면에 미도시)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한다.
특히, 본 단계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더블 아이 빔(10)과 수평보강부재(20) 사이에 경사지게 결합하는 경사보강부재(30)를 더 결합하여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수평보강부재(20)에는 터파기 지면(G2)에 근입되는 수직 저항 보강말뚝(40)을 더 결합하여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을 제작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술한 수직 저항 보강말뚝(40)은 더블 아이 빔(10)에 수평보강부재(20)를 결합하기 전에 수직 저항 보강말뚝(40)을 터파기 지면(G2)에 근입시킨 상태에서 결합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더블 아이 빔(10)에 수평보강부재(20)를 결합한 후 수평보강부재(20)와 인접한 위치에 수직 저항 보강말뚝(40)을 근입한 후 수평보강부재(20)와 체결수단(도면에 미도시)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연결하여 결합할 수도 있다.
라. 토류판 설치단계
본 단계는 도 9와 같이 상기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 제작된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 사이에 토류판(P)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를 위해 부분 터파기 및 전체 터파기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하며,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띠장 및 트러스트 등을 설치하는 과정을 진행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살펴보면,
본 발명은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법으로서 제1, 2판(11, 12) 사이에 제3, 4판(13, 14)이 결합되어 단면이 ㅍ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더블 아이 빔(10)을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대지경계선이 부족할 경우에도 기존 H빔보다 단면계수가 높아 비틀림 강도 및 좌굴강도가 뛰어나기 때문에 토압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더 깊은 깊이로 근입이 가능하고, 따라서 더 깊은 깊이로 터파기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더블 아이 빔(10)은 흙막이 시공시 지면(G1)에 근입한 후 부분 굴착부(E)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부분 굴착 이후 더블 아이 빔(10)은 도 10에서와 같이 지면(G1)에서 터파기 지면(G2)까지의 외부에 노출되는 노출구간(A1)과, 터파기 지면(G2)에서 더블 아이 빔(10)의 하측 단부가 형성된 위치까지의 근입장인 비노출구간(A2)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노출구간(A1)의 경우 더블 아이 빔(10)은 뒤채움 내의 토사의 체적변화로 인해 팽창하여 터파기 지면(G2)을 기준으로 주동토압(主動土壓, Acive earth preussure) 발생하게 되고, 비노출구간(A2)은 수동토압(受動土壓, Passive earth pressure)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터파기 공간(O)를 위한 시공 후 노출되는 더블 아이 빔(10)에 수평보강부재(20)를 결합한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에 의해 상기와 같은 주동토압에 대응하는 수동토압 형성을 위한 근입장인 비노출구간(A2)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더블 아이 빔(10)의 노출구간(A1)이 주동토압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지지력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 더블 아이 빔(1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발생하는 주동토압의 발생시 그 힘은 오로지 근입장인 비노출구간(A2)에서 발생하는 수동토압이 대응하게 되는데, 통상의 경우 노출구간(A1) 대비 근입장인 비노출구간(A2)의 비율은 1 : 1.5 ∼ 2.5의 길이로 형성하여야 하며, 따라서 터파기의 깊이를 깊게 형성해야 할 경우 비노출구간(A2)도 상대적으로 더 깊게 근입되어야 하는데 대지경계선이 부족한 경우에는 현실적으로 근입장인 비노출구간(A2)을 더 깊게 형성하기가 어려워 터파기의 깊이를 깊게 형성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터파기 지면(G2)에 맞닿도록 배치되는 수평보강부재(20)가 더블 아이 빔(10)에서 발생하는 주동토압에 저항할 수 있는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결합되어 더블 아이 빔(10)에 주동토압 발생시 수평보강부재(20)에서의 반력(①)이 발생하여 더블 아이 빔(10)을 지지하기 때문에 수동토압의 크기, 다시 말해 더블 아이 빔(10)의 노출구간(A1) 대비 근입장인 비노출구간(A2)의 길이를 짧게 형성하더라도 수평보강부재(20)의 지지력에 의해 깊은 깊이로의 터파기 공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수평보강부재(20)의 작용에 의해 기존 레이커나 어스앵커 등의 구성이 없더라도 충분한 지지력이 형성되어 깊은 깊이로의 터파기 공사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지지력은 더블 아이 빔(10)이 주동토압에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용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에는 더블 아이 빔(10)과 수평보강부재(20)를 연결하기 위한 경사보강부재(3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경사보강부재(30)는 수평보강부재(20)에 의한 더블 아이 빔(10)을 지지하는 힘과 더불어 추가 지지력이 발생하게 되며, 더욱이 도 3에서와 같이 수평보강부재(20)와는 다른 위치에서의 반력(②)이 더블 아이 빔(10)을 지지하기 때문에 지지력은 물론 주동토압에 의한 더블 아이 빔(10)의 구조적 변형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경사보강부재(30)는 더블 아이 빔(10)과 수평보강부재(20)를 연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종전의 레이커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더라도 충분한 추가 지지력을 형성하기 때문에 건축벽체나 바닥 기초 공사시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100)에는 수평보강부재(20) 중 더블 아이 빔(10)과 결합한 반대편의 하측면에 수직 저항 보강말뚝(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 저항 보강말뚝(40)은 터파기 지면(G2)에서 하측 방향으로 근입되는 구성으로서 도 10에서와 같이 수직 저항 보강말뚝(40)에서의 반력(③)이 수평보강부재(20)를 지지하기 때문에 이중 말뚝의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지반이 연약할 때에도 지지력을 높여주어 흙막이 시공시 깊은 깊이로 터파기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있어 명백한 것이다.
G1 : 지면 G2 : 터파기 지면 O : 터파기 공간
H : 천공홀 P : 토류판
100 :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
10 : 더블 아이 빔
11 : 제1판 12 : 제2판 13 : 제3판 14 : 제4판
A1 : 노출구간 A2 : 비노출구간
20 : 수평보강부재
30 : 경사보강부재
40 : 수직 저항 보강말뚝

Claims (7)

  1. 지면을 일정 간격으로 천공한 후 각각의 천공홀에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을 구성하는 더블 아이 빔을 근입하는 더블 아이 빔 근입단계;
    상기 더블 아이 빔 근입단계에서 더블 아이 빔이 근입된 위치만을 계획된 터파기 지면까지 부분 굴착을 실시하는 부분 굴착단계;
    상기 부분 굴착단계를 통해 노출된 각각의 더블 아이 빔에 작용하는 주동토압에 의한 저항이 발생하도록 터파기 공간 방향으로 연장된 수평보강부재를 각각의 더블 아이 빔에 설치하여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을 제작하는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
    상기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 이후 부분 터파기를 실시하면서 토류판을 각각의 더블 아이 빔 타입 파일 사이에 배치하는 토류판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 수평보강부재는 작업자가 계획한 터파기 지면과 하측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더블 아이 빔에 결합하고,
    상기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 수평보강부재에는 터파기 지면에 근입되는 수직 저항 보강말뚝이 더 결합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 아이 빔 근입단계에서의 더블 아이 빔은 서로 마주보는 제1, 2판 사이에 제3, 4판이 결합하여 ㅍ자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는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 수평보강부재의 결합 이후 더블 아이 빔과 수평보강부재 사이에 경사보강부재를 더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의 수직 저항 보강말뚝은 수평보강부재를 더블 아이 빔에 결합하기 전에 터파기 지면에 근입한 후 수평보강부재를 더블 아이 빔과 수직 저항 보강말뚝에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제작단계에서의 수직 저항 보강말뚝은 더블 아이 빔에 수평보강부재를 결합한 후 수직 저항 보강말뚝을 수평보강부재의 단부에 결합할 수 있는 위치의 터파기 지면에 근입한 후 수평보강부재와 수직 저항 보강말뚝을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20180106889A 2018-09-07 2018-09-07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2194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89A KR102194388B1 (ko) 2018-09-07 2018-09-07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89A KR102194388B1 (ko) 2018-09-07 2018-09-07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076A KR20200029076A (ko) 2020-03-18
KR102194388B1 true KR102194388B1 (ko) 2020-12-24

Family

ID=69999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889A KR102194388B1 (ko) 2018-09-07 2018-09-07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43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45282A (ja) * 1998-07-27 2000-02-15 Takenaka Komuten Co Ltd 斜杭からなる組杭による山留め工法
JP3209590B2 (ja) * 1992-10-16 2001-09-17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水崩壊性不織布積層物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705B2 (ja) * 1990-06-28 1995-07-26 株式会社奥村組 土留方法とその土留杭
JP2576932B2 (ja) * 1992-08-20 1997-01-29 鹿島建設株式会社 自立山留壁の構築法
JP3209590U (ja) * 2017-01-13 2017-03-30 ジェコス株式会社 箱形断面溶接切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9590B2 (ja) * 1992-10-16 2001-09-17 東洋インキ製造株式会社 水崩壊性不織布積層物
JP2000045282A (ja) * 1998-07-27 2000-02-15 Takenaka Komuten Co Ltd 斜杭からなる組杭による山留め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076A (ko) 202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5504B1 (ko) 보강부재와 cip공법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0866162B1 (ko) 의자형 자립식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KR101014796B1 (ko)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KR100633796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KR100855098B1 (ko)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JP2007154413A (ja) 親杭式土留アンカー式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
KR20100068597A (ko) 아치형 강판파일과 H-Pile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CN106245927B (zh) 一种适用于框架结构建筑物地下增层的方法及建筑物
KR102195510B1 (ko) 보강부재와 phc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0831332B1 (ko) 토목공사용 지하 흙막이벽 및 그의 시공방법
JP2012107479A (ja) 地下・地上構造物の施工方法
JP4069509B2 (ja) 地下掘削空間外周部における逆打支柱の施工方法
KR101065017B1 (ko) 아치형 강판파일과 h-파일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KR20140013497A (ko) 절토지 네일링 보강사면 연결 탑다운 블록식 보강토옹벽 공법
KR20090050042A (ko) 안내판이 설치된 엄지말뚝과 광폭형 쉬트파일의 연결을 이용한 토류벽 가시설 설치공법
JP2000352296A (ja)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KR102194381B1 (ko) 더블 아이 빔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KR102195496B1 (ko) 더블 아이 빔이 포함된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CN105804085A (zh) 多单元井筒式地下立体车库分区施工方法
KR102194388B1 (ko) 보강부재와 토류판공법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2194394B1 (ko) 보강부재와 scw공법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JP2003268770A (ja) 土留工法並びにこの工法に使用する矢板の補強構造体
KR100429283B1 (ko) Pc부재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0327547B1 (ko) 가설흙막이벽을영구구조물로활용하는지하옹벽구축방법
KR20060116933A (ko) 앵커체를 이용한 자립식 차수벽 흙막이 공법과 이를 위한 연결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