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547B1 - 가설흙막이벽을영구구조물로활용하는지하옹벽구축방법 - Google Patents

가설흙막이벽을영구구조물로활용하는지하옹벽구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547B1
KR100327547B1 KR1019980042252A KR19980042252A KR100327547B1 KR 100327547 B1 KR100327547 B1 KR 100327547B1 KR 1019980042252 A KR1019980042252 A KR 1019980042252A KR 19980042252 A KR19980042252 A KR 19980042252A KR 100327547 B1 KR100327547 B1 KR 100327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taining wall
temporary
shaped
under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2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580A (ko
Inventor
김인수
홍원기
Original Assignee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홍원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홍원기 filed Critical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19980042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547B1/ko
Publication of KR19990007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5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한 지하 터파기 공사 때 임시 시설물로써 설치한 흙막이 벽을 건축 지하 옹벽 영구구조 부재의 일부로 활용하여 경제적으로 건축물 지하 부분의 옹벽을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외곽선을 감안하여 가설흙막이 벽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한 후 오거 드릴 등 토공장비로 구멍을 뚫어 H형재를 박고 토류판을 설치하여 가설 흙막이 벽을 설치하여 터파기하고, 터파기가 완료되면 H형재에 정착전단연결수단을 설치하고, 지하 옹벽 부분에는 보강 철근을 배치하고, 지하 옹벽의 내부 쪽에 형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여 완성하는 단계로 공사한다. 상기 가설 흙막이 벽은 현장 상황에 따라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소일 시멘트 월, 강재 시트 파일 등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으며 이런 다양한 종류의 가설 흙막이 벽에 본 방법이 적용된다.
본 발명으로 건축물의 지하 구조물용 터파기를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는 가설 흙막이 벽체를 영구 시설물의 일부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한번 사용하고 철거하거나 매립하여야 가설 흙막이 벽을 영구 구조물의 일부로 활용함으로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Description

가설 흙막이 벽을 영구 구조물로 활용하는 지하옹벽 구축방법{COMPOSIT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건축물의 지하옹벽 구축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임시 시설물로서 설치한 흙막이 벽을 건축물 영구구조 부재의 일부로 활용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건축물 지하 부분의 옹벽을 구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심지에서는 한정된 토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지하 굴착 심도가 깊어지고 있는 바 통상적으로 지하 굴착할 때 인접 건물, 도로 등 기존 시설물을 파손하지 않기 위하여 흙막이 벽의 설치가 요구된다. 상기 흙막이 벽을 설치하기 위하여 많은 공사비가 소요되지만 흙막이 벽체는 단지 가설용 시설로 인식하고 설계, 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흙막이 벽체는 토압, 수압, 상재 하중 등을 단지 건물 구조체가완성될 때까지만 견딜 수 있으면 되고, 건물 구조체가 완성되면 그대로 사장되거나 극히 일부 공사현장의 경우 해체, 철거하는 건물 지하 옹벽 구조체와는 전혀 별개의 구조체로 취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렇게 사용하므로 건물 구조체의 지하 옹벽도 같은 기능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설 흙막이와 건물 지하 옹벽을 따로 따로 설계, 시공함으로 낭비 요소를 안고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상기 가설 흙막이의 설계 및 시공과정에서도 가장 경제적으로 설계 및 시공해야 하는 임계설계에 대한 강박감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안전율이 부족할 우려가 많아 예기치 못한 하중에 대하여 붕괴 등 안전사고가 발생할 가능성도 높았다.
공법상 지하에 구조물을 설치할 터파기를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가설 흙막이 벽은 여러 종류가 있는 데, 지하 터파기 심도가 깊을 경우 통상 채택하는 흙막이 벽은 H형재 말뚝을 박고 H형재 말뚝 사이에 토류판을 끼우는 방법, 소일 시멘트 월(Soil Cement Wall, SCW)공법 그리고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Cast-in-place concrete pile, CIP)공법 등이 그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법들은 토압, 수압 등 외력을 견딜 수 있도록 지중에 벽체를 형성한 후 내부에서 버팀대(strut)로 지지하거나 어스앵커(earth anchor)로서 당기는 바 상기 버팀대나 어스앵커의 축력은 시간이 지날수록 재료의 피로현상이 발생하여 구조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가시설로 분류한다. 그러나 땅속에 박혀있는 H형재, SCW, CIP 등은 건축물의 외부 옹벽과 결합하여 영구 구조물의 일부로 재활용할 수 있는데도 매립, 사장해 버리는 실정이었다.
상기와 같은 가시설로서 흙막이 벽을 설치할 때는 지하 옹벽을 구축하기 위한 작업공간이 필요하므로 흙막이 벽 선이 작업공간을 확보할 만큼 외곽 쪽으로 후퇴해야 하며 따라서 후퇴한 선 만큼 터파기 량이 많아지고 또한 되메우기 량 역시 많아지는 낭비요소가 상존하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설 흙막이 공법에서 안고 있는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자는 임시로 설치하여 일정 기간이 지난 뒤 해체하거나 매립해 버리는 가설 흙막이 벽체를 지하 구조물 옹벽의 일부로서 영구히 활용할 수 있는 지하옹벽 구축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의 지하 구조물용 터파기를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는 가설 흙막이 벽체를 영구 시설물의 일부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번 사용하고 매립, 사장되어지는 가설 흙막이 벽을 영구 구조물의 일부로 활용함으로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공사비를 절감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지하 부분을 설치하기 위한 터파기 량과 되메우기 량을 줄임으로서 공기단축 및 공사비 절담 등 보다 경제적인 공사를 수행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 1도는 종래 지하옹벽을 구축하는 방법을 보인 평단면도와 입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의 지하옹벽 구축방법의 개념을 보인 평면도와 그 단면도,
제 3도는 가설 흙막이 벽과 지하옹벽을 일체화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달연결수단으로서 전단연결재의 예를 보여주는 도,
제 4도는 H형재를 엄지말뚝으로 사용하고 토류판을 끼운 가설 흙막이 시설을 영구시설로 활용한 구체예를 보여주는 도,
제 5도는 본 발명의 철근 배근 개념도,
제 6도는 제 5도에서 유효 폭 구간의 철근 배근 개념도,
제 7도는 소일 시멘트 월(SCW)을 가설 흙막이로 설치하는 경우 이를 영구 구조물로 활용하는 구체예를 보여주는 도,
제 8도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Cast-in-Place concrete pile, CIP) 가설 흙막이 벽을 영구 구조물로 활용하는 것을 보이는 구체예이며,
제 9도는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가설 흙막이 벽에서 H형재를 보강한 흙막이 벽을 영구 구조물로 활용하는 것을 보이는 구체예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 : 지반 2 : 지하 옹벽
3a, 3b : 수직철근 4a,4b : 수평철근
5 : 하중(토압 + 수압) 6 : 지지점
11 : 정착전단연결수단 20 : 가설 흙막이 벽
21 : H형재 22 : 소일 시멘트 월(SCW)
23 :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
24 : H형재 보강 현장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
26 : LW 차수벽 27 : 보강철근
제 1도는 종래 지하옹벽을 구축하는 방법을 보인 평단면도(a)와 배근 입면도 (b)이다.
건물의 지하 터파기를 위하여 가설 흙막이 벽(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하고 터파기 후 건조물의 지하옹벽(2)을 설치하고 지하옹벽 외부에 있는 가설 흙막이 벽을 철거하거나 땅속에 매립하고 지반(1)을 다져 완성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 방법대로 공사할 경우 가설 흙막이 벽체는 단순히 지하 터파기를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므로 지하 터파기가 완료된 뒤에는 그대로 매립하거나 철거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철거비용이 많이 들거나, 철거할 경우 주변 지반이 침하하여 인접 건물에 피해를 줄 수 있거나, 철거 작업이 어려운 곳이 많아 대부분 아예 땅속에 매립해 버리는 경우가 많아 재활용이 가능한 아까운 자원을 땅속에 버리는 결과가 되었다.
상기 지반(1)을 다진 다음에는 하중(5)이 직접 상기 지하 옹벽(2)에 작용하므로 지하옹벽은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구조설계가 되어야 하므로 하중의 크기에 따라 철근(3a, 3b, 4a, 4b)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공사를 하였다.
제 2도는 본 발명의 지하 옹벽 구축방법의 개념을 보인 평면도(a)와 그 단면도(b)이다.
본 발명은 가설 흙막이 벽(20)과 지하 옹벽(2)을 전단열결재(11)로서 결합시켜 일체 거동하도록 함으로서 강성을 키운 것(도면에서 가설 흙막이 벽(20)은 편의상 H형재를 도시하였다)으로서 철거하거나 매립해야 할 가설 흙막이 벽을 지하 옹벽(2)과 일체화하여 영구 벽체로 활용하는 기본 개념으로 제시하였다.
제 3도는 가설 흙막이 벽과 지하 옹벽을 연결하는 정착전단연결수단(11)으로서 전단연결재를 예시한 것이다.
상기 전단연결재(shear connector)는 부재 단면에 생기는 전단 흐름 및 인장에 저항하기 위한 것으로, 제 3도에서는 대표적인 것으로서 스터드 볼트(stud bolt), ㄷ형강, 나선근을 예시하였다. 상기 전단연결재는 반드시 예시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가설 흙막이 벽과 지하 옹벽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수단, 예를 들면 접착제, 거친 면으로 만들어 결합을 강화시키기 위한 샌드 블라스팅(sand blasting), 전단 요철(shear key) 등도 정착전단연결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 4도는 엄지 말뚝으로 H형재(21)에 토류판을 끼워 가설 흙막이 벽을 형성한 흙막이 벽을 영구 구조물로 활용한 구체예이다.
상기 H형재(21)에 정착전단연결수단(11)을 소정의 간격으로 고정시키고 내부 쪽으로 지하 옹벽(2)을 형성시켜 일체화시킨 것으로 이렇게 일체화시키면 H형재(21)가 있는 부분은 종래 방법으로 지하 옹벽(2)을 형성하게 되며, 이 경우 B x h1의 단면을 가진 단위 보로 해석되지만 상기 정착전단연결수단(11)에 의해 일체화되면 B x h의 단면을 가진 단위 보로 해석된다. 따라서 단면 2차 모멘트는 [h/h1]3즉 [1+h2/h1]3만큼 커지므로 하중에 대한 저항 능력이 커진다.
한편 H형재(21)가 있는 곳에는 저항 능력이 대단히 향상되므로 H형재(21)가 있는 곳에 실내측 쪽으로 수직 철근(3a)을 보강하여 보의 기능을 수행하고 H형재가 있는 곳과 다른 H형재(21)가 있는 곳의 사이의 지하 옹벽(2)은 단지 하중을 받아 H형재(21)가 있는 곳으로 전달하는 기능만 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중이 흐르는 방향을 살펴보면 지하 옹벽에 걸린 하중은 H형재가 있는 곳으로 흘러가(도면에서 화살표 참조) H형재가 있는 곳의 단면이 하중에 저항하게 된다. 따라서 제5도에 보인 바와 같이 H형재가 있는 곳의 주 보강철근은 내부 쪽 수직 철근(3a)이고 H형재 있는 곳의 사이에 있는 지하옹벽(2)의 주철근은 내부 쪽 수평철근(4a)이다. H형재 있는 곳의 사이에 있는 지하옹벽(2)의 수직철근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최소 철근비 정도만 보강하면 된다.
제6도는 제5도의 B-B 단면으로 H형재 있는 곳의 단면의 철근 배근 개념도이다.
가설 흙막이 벽(여기서는 H형재+토류판으로 된 것을 도시하였다)과 지하 옹벽(2)이 일체로 되어 지하 구조물의 슬래브(5)로 지지된 연속보로 이해할 수 있다. 지지점(6)에서는 H형재에 부모멘트가 생기고 이 부모멘트는 H형재가 부담한다. 지지점(6) 사이 중간 부분에는 정모멘트가 생기고 이 정모멘트는 수직 철근(3a)을 배근하여 견디도록 한다. 수직 철근(3a)은 정모멘트에 견디면 되므로 반드시 연속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일정 규격으로 외부에서 제작하여 조립하는 방식으로 공사하면 공기 단축과 품질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도면에서 전단응력도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지지점 부근에서 전단 응력도가 최대가 되고 지지점 사이 중간 부분에서 최소가 되므로 정착전단연결수단(11)은 지지점(6) 부근에서 촘촘히 배치하고 지지점(6) 사이 중간 부분으로 갈수록 성기게 배치한다.
본 발명에서는 정착전단연결수단(11)에 의해 지하 옹벽과 일체가 된 H형강(21)이 제1도의 종래 지하 옹벽에서 주근으로 인식되는 수직철근(3b)을 대신하여 설치되므로 제1도의 철근(3b)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고 같은 이유로 수평철근(4b)도 더 이상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 토압측 철근 배근은제 4도의 일부 수평철근(4a)의 일부를 제외하고는 전혀 필요없다. 따라서 최소 철근비 정도만 보강할 수 있고 또는 용접철망과 같이 기성제품을 재단하여 사용하면 편리하다. 즉 프리패브화(prefabrication)도 가능하다.
제 7도는 소일 시멘트 월(soil cement wall) 가설 흙막이 벽(22)을 설치한 경우를 보인 구체예이다. 소일 시멘트 월은 흙에 시멘트를 혼합하여 주열식으로 형성하여 흙막이 벽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 때 벽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소정 간격으로 H형재를 넣는다.
전반적인 구성 및 작용은 제 4도의 H형재+토류판 흙막이 벽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소일 시멘트 주열이 1열로 된 것(제7a도), 제1열 뒤쪽에 소일 시멘트 월을 1열 더 보강하여 2열로 된 것(제7b도), 또는 제1열 뒤쪽에 소일 시멘트 월을 2열 더 보강하여 3열(제7c도) 어느 경우든 적용된다.
제 8도는 가설 흙막이 벽으로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cast-in-place concrete pile, CIP)을 사용한 경우를 나타낸 구체예이다. 현장 타설 콘크리트(CIP) 말뚝은 소요 위치에 구멍을 뚫고 구멍 속에 보강철근(27)을 넣어 형성한 말뚝이다. 이 말뚝을 주열식으로 형성하면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23)으로 된다. 이 말뚝의 보강 철근(27)에 전단연결재를 고정하여 지하옹벽(2)과 일체화시킨다.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뒤쪽에는 차수를 위하여 물 유리를 주입한 LW 차수벽(26)을 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보강 철근(27)을 넣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 주열이 1열로 된 것(제8a도), 제1열 뒤쪽에 무근 또는 보강 철근을 넣은 현장타설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 1열 더 보강하여 2열로 된 것(제8b도), 또는 제1열 뒤쪽에 무근 또는 보강 철근을 넣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 1열 더 보강하여 3열(제8c도) 어느 경우든 적용된다.
제9도는 제8도에서 보강철근(27)을 넣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대신에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에 H형재를 소정 간격으로 보강한 H형재 보강 현장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24)인 경우의 구체예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H형재로 보강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 주열이 1열로 된 것(제9a도), 제1열 뒤쪽에 무근 또는 보강 철근을 넣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 1열 더 보강하여 2열로 된 것(제9b도), 또는 제1열 뒤쪽에 무근 또는 보강 철근을 넣은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 1열 더 보강하여 3열(제9c도) 어느 경우든 적용된다.
제 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사방법을 설명한다.
건축물의 외곽선을 감안하여 가설 흙막이 벽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하여 오거 드릴 등 토공장비로 구멍을 뚫어 H형재(21)를 박고 토류판을 설치하여 가설 흙막이 벽을 설치하고 터파기한다. 상기 터파기가 완료되면 상기 H형재(21)에 정착전단연결수단(11)을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다. 지하 옹벽 부분에는 보강 철근을 배치한다. 즉 지하 옹벽(2) 부분 중 H형재(21) 부분에 주 수직 철근(3a)을 배근하고, 지하 옹벽(2) 부분 중 H형재(21) 사이 부분에는 수평 철근(4a)을 배근한다.
상기 지하 옹벽(2)의 내부 쪽에 형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종래의 방법과 비교해 볼 때 종래에는 가설 흙막이 벽을 설치하고 지하 옹벽을 별도로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지하 옹벽을 설치할 작업공간이 더 필요하므로 가설 흙막이 벽체가 더 외부 쪽에 위치해야 한다. 따라서 터파기해야 할 용적이 커지고 해당 공간에 되메우기 해야 할 토량이 많아져 발생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제 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의 공사방법을 설명한다.
건축물의 외곽선을 감안하여 가설 흙막이 벽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하여 오거 드릴 등 토공장비로 구멍을 뚫어 H형재를 박고 소일 시멘트 월(22)을 가설 흙막이 벽으로 형성하고 터파기한다. 상기 터파기가 완료되면 소일 시멘트 월(22)의 H형재 주변을 파취하여 정착전단연결수단(11)을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다. 지하 옹벽(2) 부분에는 보강 철근을 배근한다. 즉 지하 옹벽(2) 부분 중 H형재 부분에 주 수직 철근(3a)을 배근하고, 지하 옹벽(2) 부분 중 H형재 사이 부분에는 수평 철근(4a)을 배근한다.
상기 지하 옹벽(2)의 내부 쪽에 형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상기 지하 옹벽(2) 부분 중 H형재 사이 부분에는 필요에 따라 구멍을 뚫고 다우월 바(dowel bar)를 박아 지하 옹벽(2) 부분 중 H형재 사이 부분에서도 소일 시멘트 월(22)과 일체화 시켜 더욱 구조성능을 높일 수 있다.
제 8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의 공사방법을 설명한다.
건축물의 외곽선을 감안하여 가설 흙막이 벽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하여 오거드릴 등 토공장비로 구멍을 뚫어 보강 철근(27)을 넣고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23)을 형성하고 터파기한다. 상기 터파기가 완료되면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23)의 보강 철근(27) 주변을 파취하여 보강 철근(27)에 정착전단연결수단(11)을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다. 지하 옹벽(2) 부분에 수직 철근(3a)과 수평 철근(4a)을 배근한다.
상기 지하 옹벽(2)의 내부 쪽에 형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상기에서 경우에 따라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23)에 구멍을 뚫고 다우월 바(dowel bar)를 박아 지하 옹벽(2)과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23)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제 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의 공사방법을 설명한다.
건축물의 외곽선을 감안하여 가설흙막이 벽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하여 오거 드릴 등 토공장비로 구멍을 뚫어 소정의 간격으로 H형재을 넣고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24)을 형성하고 터파기한다. 상기 터파기가 완료되면 현장타설 H형재 보강 현장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24)의 H형재 주변을 파취하여 H형재에 정착전단 연결수단(11)을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한다. 지하 옹벽(2) 부분에 수직 철근(3a)과 수평 철근(4a)을 배근한다.
상기 지하 옹벽(2)의 내부 쪽에 형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상기에서 경우에 따라 철근이 보강된 부분의 현장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에 구멍을 뚫고 다우월 바(dowel bar)를 박아 지하 옹벽(2)과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을 일체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법외에 도면으로 표시하지 않았지만 강재 시트 파일(steel sheet pile)을 가설 흙막이 벽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강재 시트 파일을 영구 구조물의 일부로 활용할 수 있다. 공사 방법은 건축물의 외곽선을 감안하여 가설흙막이 벽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하여 강재 시트 파일을 항타하여 가설 시트 파일 흙막이 벽을 형성하고, 상기 가설 시트 파일 흙막이 벽 내부를 터파기하고, 상기 가설 시트 파일에 정착전단연결수단(11)을 설치하고, 지하 옹벽(2) 부분에 수직 철근 (3a)과 수평 철근(4a)을 배근하고, 상기 지하 옹벽(2)의 내부 쪽에 형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여 공사한다.
본 발명으로 건축물의 지하 구조물용 터파기를 위하여 임시로 설치하는 가설 흙막이 벽체를 영구 시설물의 일부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한번 사용하고 철거하거나 매립되어지는 가설 흙막이 벽을 영구 구조물의 일부로 활용함으로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3)

  1. 건축물의 지하 부분 외곽선을 감안하여 가설 흙막이 벽(20)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한 후 오거 드릴 등 토공장비로 구멍을 뚫어 H형재(21)를 박고 토류판을 설치하여 가설 흙막이벽을 설치하고, 상기 가설 흙막이벽 내측을 터파기 한 후 철근(3a,4a)을 배근하며, 상기 철근(3a,4a) 배근후 형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서 지하옹벽(2)을 완성하는 통상의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가설 흙막이벽 내측의 터파기가 완료되면 철근(3a,4a)배근이 이루어지기 전에 콘크리트 옹벽과의 일체화를 통한 내력 보강을 위해 상기 H형제(21)에 정착전단연결수단(11)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시공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옹벽 구축방법.
  2. 건축물의 외곽선을 감안하여 가설 흙막이 벽(20)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하여 오거 드릴 등 토공장비로 구멍을 뚫어 H형재를 박고 소일시멘트월(22)을 가설 흙막이벽으로 형성하고, 상기 소일시멘트월(22) 내부를 터파기 한 후 철근(3a,4a)을 배근하며, 상기 철근(3a,4a) 배근후 형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서 지하옹벽(2)을 완성하는 통상의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일시멘트월(22) 내측에서 터파기가 완료되면 이후 철근(3a,4a)배근이 이루어지기 전에 콘크리트 옹벽과의 일체화를 통한 내력 보강을 위해 상기 소일 시멘트 월(22)의 H형재 주변을 파취하여 H형재에 정착전단연결수단(11)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시공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옹벽 구축방법.
  3. 건축물의 외곽선을 감안하여 가설 흙막이 벽(20)을 설치할 위치를 결정하여 오거드릴 등 토공장비로 구멍을 뚫어 소정의 간격으로 H형재로 보강한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24)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벽(24) 내부를 터파기한 후 철근(3a,4a)을 배근하며, 상기 철근(3a,4a) 배근 후 형틀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함으로서 지하옹벽(2)을 완성하는 통상의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H형재 보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24) 내측에서 터파기가 완료되면 이후 철근배근이 이루어지기 전에 콘크리트 옹벽과의 일체화를 통한 내력 보강을 위해 상기 H형재 보강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 흙막이 벽(24)의 상기 H형재 주변을 파취하여 H형재에 정착전단연결수단(11)을 설치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어 시공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가설 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옹벽 구축방법.
KR1019980042252A 1998-10-09 1998-10-09 가설흙막이벽을영구구조물로활용하는지하옹벽구축방법 KR100327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252A KR100327547B1 (ko) 1998-10-09 1998-10-09 가설흙막이벽을영구구조물로활용하는지하옹벽구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2252A KR100327547B1 (ko) 1998-10-09 1998-10-09 가설흙막이벽을영구구조물로활용하는지하옹벽구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580A KR19990007580A (ko) 1999-01-25
KR100327547B1 true KR100327547B1 (ko) 2002-11-04

Family

ID=37478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2252A KR100327547B1 (ko) 1998-10-09 1998-10-09 가설흙막이벽을영구구조물로활용하는지하옹벽구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5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56B1 (ko) 2011-08-24 2013-08-14 주식회사 세진에스씨엠 지하 구조물의 벽체 보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구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330B1 (ko) * 2001-05-04 2003-10-17 주식회사 정진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용 흙막이 공법
KR100444838B1 (ko) * 2001-07-27 2004-08-25 정란 섬유보강 흙막이 구조물, 그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합성 지하외벽 구조
KR20040023915A (ko) * 2002-09-12 2004-03-20 (주)한빛하이테크엔지니어링 배노트 공법에 의해 설치된 현장타설 대구경 파일을이용한 지중연속벽체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647A (ja) * 1993-08-25 1995-03-07 Takenaka Komuten Co Ltd ソイルセメント柱列壁を利用した合成地下壁の構築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647A (ja) * 1993-08-25 1995-03-07 Takenaka Komuten Co Ltd ソイルセメント柱列壁を利用した合成地下壁の構築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856B1 (ko) 2011-08-24 2013-08-14 주식회사 세진에스씨엠 지하 구조물의 벽체 보강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구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580A (ko) 1999-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6162B1 (ko) 의자형 자립식 흙막이벽의 시공방법
KR100633796B1 (ko) 흙막이 가시설 공사의 중앙 버팀보 연결구조
KR102195504B1 (ko) 보강부재와 cip공법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0415809B1 (ko) 흙막이용 프리캐스트 말뚝 및 이를 이용한 흙막이 시공공법
KR100832490B1 (ko) 오버랩원통관과 충진용호스를 이용한 주열식차수벽의 설치공법
KR100722665B1 (ko) 지하연속벽 시공을 위한 스틸 가이드 월과 이를 이용한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1021915B1 (ko) 흙막이 공사용 차수 가시설 시공방법
KR101065017B1 (ko) 아치형 강판파일과 h-파일을 이용한 흙막이공법
KR100313721B1 (ko) 가설흙막이구조물을이용한합성지하옹벽설계방법및건축물지하옹벽공사방법
KR20140013497A (ko) 절토지 네일링 보강사면 연결 탑다운 블록식 보강토옹벽 공법
KR102195510B1 (ko) 보강부재와 phc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
KR100327547B1 (ko) 가설흙막이벽을영구구조물로활용하는지하옹벽구축방법
JP2000352296A (ja) 地下構造物直下の通路の形成方法
JP4485006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
KR102223856B1 (ko) 폐기물 매립장 기초 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50531B1 (ko) 연직형 지중삽입체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2195496B1 (ko) 더블 아이 빔이 포함된 현장타설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KR102194381B1 (ko) 더블 아이 빔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용 파일
KR100401330B1 (ko) 건축용 흙막이 공법
KR100317906B1 (ko) 마찰력을 이용한 구조물 부상 방지 방법 및 그 설계방법
KR100493516B1 (ko) 현장 마이크로 파일과 조립식 브라켓을 이용한 교각용조립식 기초보강 구조체 및 그의 구축방법
KR102551842B1 (ko) 주열식 겹침 현장타설 말뚝을 이용한 탑다운 공법 연속벽체 구조물 시공방법
KR102400508B1 (ko) 흙막이벽 설치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429283B1 (ko) Pc부재를 이용한 지하연속벽 시공방법
KR100515971B1 (ko) 버팀보 수직간격을 증대시키는 대단면 엄지말뚝을 이용한흙막이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