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1708B1 - 봉합침 - Google Patents

봉합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1708B1
KR102191708B1 KR1020187028038A KR20187028038A KR102191708B1 KR 102191708 B1 KR102191708 B1 KR 102191708B1 KR 1020187028038 A KR1020187028038 A KR 1020187028038A KR 20187028038 A KR20187028038 A KR 20187028038A KR 102191708 B1 KR102191708 B1 KR 1021917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needle
tip portion
tip
suture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9633A (ko
Inventor
게이스케 마츠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엠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엠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엠알
Publication of KR20180119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17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17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17/06109Big needles, either gripped by hand or connectable to a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2Needle manip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90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 A61B90/92Identification means for patients or instruments, e.g. tags coded with colou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61B2017/06019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by means of a suture-receiving lateral eyelet machined in the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66Needles, e.g. needle tip configurations
    • A61B2017/0608J-shap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Abstract

수술용 봉합침(10)은 선단 부분(12), 본체(14) 및 기단 부분(16)으로 구성된다. 선단 부분(12)은 다른 부분(14, 16)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선단 부분(12)은 테이퍼 형상이며, 그 길이는 봉합침(10)의 전체 길이의 10%이다. 생체(30)를 관통한 봉합침(10)을 지침기(28)로 파지하고 뽑을 때, 봉합침(10)의 선단 부분(12)을 파지하면, 봉합침(10)이 부러지기 쉽다. 그래서, 의사는 선단 부분(12) 이외의 부분(14)을 지침기(28)로 파지한다. 선단 부분(12)은 착색되어 있기 때문에, 의사는 선단 부분(12)과 다른 부분(14, 16)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선단 부분(12)을 적색, 녹색, 보라색 또는 분홍색으로 착색하면, 혈액이 부착된 봉합 위치에서 선단 부분(12)이 눈에 띄지 않으므로, 잘못해서 선단 부분(12)을 파지하는 것이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합침
본 발명은 봉합침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개 2015-58112호 공보는 봉합침의 표리 및 방향의 식별을 쉽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전체 형상이 만곡된 봉합침의 만곡 외주측 및 만곡 내주측에 봉합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라인, 제2 라인이 각각 형성되고, 또한 봉합침의 둘레 방향을 주회하는 제3 라인이 형성되고, 제3 라인이 봉합침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형성된 봉합침을 개시하고 있다.
봉합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봉합침을 지침기(持針器)로 파지하고, 예를 들면, 환자의 피부(생체)로부터 봉합침의 선단을 피부하조직(생체)을 향하여 찔러 넣고, 봉합침의 선단이 찔러 넣은 피부측으로 되돌아오도록 봉합침의 만곡 형상을 따라 봉합침을 피부하조직에 관통시키고, 피부로부터 노출된 선단 부분을 지침기로 파지하여 봉합침을 피부하조직 및 피부로부터 뽑는다고 하는 동작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당해 선단 부분을 파지하고 봉합침을 뽑을 때 당해 선단 부분에 부담이 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것을 피하기 위해서는 지침기로 선단 부분을 파지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보다도 더욱 기단측(봉합사가 통과시켜진 부분측)을 파지하고 봉합침을 뽑을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과 같이 봉합침에 제3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이것을 표시로 하여 선단 부분의 파지를 피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표시로서의 식별력이 높지는 않으므로, 잘못하여 선단 부분을 파지해 버리는 문제가 남는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에 주목하여, 수술을 행하는 의사가 봉합침의 선단 부분을 파지하지 않도록 주의 환기하여 봉합침의 선단 부분에 대한 부담을 저감할 수 있는 봉합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봉합침은 상기 봉합침의 선단 부분의 색을 그것 이외의 부분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봉합침의 모식도 및 그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봉합침을 사용하여 생체를 봉합하는 동작(찔러 넣기 전)의 모식도이다.
도 3은 제1 실시형태의 봉합침을 사용하여 생체를 봉합하는 동작(찔러 넣기 후 또한 선단 노출 전)의 모식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형태의 봉합침을 사용하여 생체를 봉합하는 동작(선단 노출 후)의 모식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봉합침을 사용하여 생체를 봉합하는 동작(뽑기 전)의 모식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봉합침을 사용하여 생체를 봉합하는 동작(뽑기 후)의 모식도이다.
도 7은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봉합침에서 사용 후에 부러진 위치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봉합침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봉합침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실시형태]
도 1에, 제1 실시형태의 봉합침의 모식도 및 그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수술용 봉합침(10)은 스테인리스 등을 재료로 하여, 대략 반원형으로 만곡한 외형을 가지고 있고, 선단 부분(12), 본체(14), 기단 부분(1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선단 부분(12), 본체(14) 및 기단 부분(16)은 그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원형 형상이나 삼각형 등의 다각형 형상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당해 단면 형상은 봉합침(1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할 때마다 변화되어 가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또한, 봉합침(10)은 선단 부분(12)을 포함하여 봉합침(10)의 1/3 정도의 길이까지의 부분이 생체(30)(도 2 참조)에 찔러 들어가는 칼날로서 기능한다.
선단 부분(12)은 봉합침(10)에서 생체(30)에 최초로 찔러 넣는 선단(12a)을 갖는 부분인데, 선단(12a)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을 가지고 있다. 본체(14)도 봉합침(10)의 길이 방향(봉합침(10)의 원호 형상을 따른 방향)의 도중부터 선단 부분(12)측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기단 부분(16)은 봉합사(도시하지 않음)를 삽입통과(유지)시키는 부분이다. 기단 부분(16)에는 봉합침(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암(18)이 연장되어 있다. 한 쌍의 암(18)의 선단측의 서로 대향하는 쪽의 측면은 경사면(20)으로 되어 있고, 2개의 경사면(20)에 의해, 한 쌍의 암(18)의 간극이 쐐기의 도입부(22)를 형성하고 있다. 또 한 쌍의 암(18)의 근원측의 서로 대향하는 쪽의 측면에는 절결(24)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2개의 절결(24)이 서로 대향함으로써 봉합사를 삽입통과(유지)시키는 통과 구멍(26)을 형성하고 있다.
통과 구멍(26)에 봉합사를 통과시키는 경우에는, 봉합사의 측면을 도입부(22)에 꽉 누르고, 그 힘에 의해 한 쌍의 암(18)을 서로 떨어지는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만곡시켜 봉합사를 한 쌍의 암(18) 사이를 통과시켜 그대로 구멍(26)에 봉합사를 도입하면 된다. 물론, 도입부(22)를 사용하지 않고 통과 구멍(26)에 봉합침(10)의 끝부를 직접 삽입통과시켜도 된다. 또한, 봉합침으로서는 봉합침과 봉합사가 미리 접합되어 있는 「침부착 봉합사」, 및 봉합침과 봉합사를 사용시에 조합하여 사용하는 「의료용 봉합침」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봉합침(10)의 선단 부분(12)이 그것 이외의 부분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것이 특징으로 되어 있다. 착색 방법으로서는, 인체에 무해한 안료나 염료를 도포하거나, 인체에 무해한 금속 등을 화학적·전기화학적으로 도금하거나, 표면에 산화 피막(광의 간섭에 의해 색이 보임)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안료나 염료라면 임의의 색을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적색(기타, 오렌지색 등의 따뜻한 계열의 색), 녹색 등의 중성색, 보라색, 분홍색 등과 같은 유채색을 적용할 수 있다. 도금이라면, 도금하는 금속 고유의 색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 피막의 경우에는 흑, 녹, 청 골드, 마젠타(적계색) 등의 색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체(14) 및 기단 부분(16)은 특별히 착색할 필요는 없고, 또한 착색하는 경우에도 선단 부분(12)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하면 되며, 착색 방법도 상기 도포·도금·산화 피막 형성 등 임의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봉합침(10)을 사용하여 생체(30)를 봉합하는 동작을 도 2 내지 도 6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 내지 6에서도 봉합사의 도시는 생략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26)에 봉합사를 삽입통과한 봉합침(10)을 지침기(28)(파지 부분만 도시)로 파지하고, 봉합침(10)의 선단(12a)을 소정의 각도로 생체(30)의 봉합 위치에 맞닿게 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지침기(28)를 사용하여 봉합침(10)의 선단(12a)을 생체(30)에 찔러 넣고, 봉합침(10)의 만곡 형상을 따라 지침기(28)의 봉합침(10)을 파지하는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봉합침(10)의 찔러 넣기 동작을 진행시킨다. 여기에서, 봉합침(10)을 생체(30)에 찔러 넣을 때는, 선단 부분(12)이 생체(30)에 거의 수직한 방향에서 찔러 넣어지도록 봉합침(10)의 방향을 조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봉합침(10)을 파지하는 기구로서 지침기(28)를 적용하고 있지만, 다른 파지 수단, 예를 들면, 섭자(핀셋) 등도 적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합침(10)의 찔러 넣기 동작을 더욱 진행시킨다. 그리고, 선단(12a) 및 선단 부분(12)이 생체(30)로부터 노출되지만, 선단 부분(12)은 파지가 금지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봉합침(10)의 뽑기 동작은 아직 행할 수는 없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합침(10)의 찔러 넣기 동작을 더욱 진행시키면, 봉합침(10)의 본체(14)가 생체(30)로부터 노출된다. 이것에 의해, 지침기(28)의 파지 위치를 기단 부분(16)측으로부터 본체(14)의 선단 부분(12) 근방이 되는 위치로 바꾸어, 뽑기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합침(10)의 만곡 형상을 따라 지침기(28)의 봉합침(10)을 파지하는 각도를 변화시키면서 봉합침(10)의 뽑기 동작을 진행시킨다. 그 때, 지침기(28)는 봉합침(10)의 선단 부분(12)은 파지하고 있지 않으므로, 당해 선단 부분(12)에 부담이 걸리지 않는다. 최후에, 봉합침(10)을 생체(30)로부터 완전히 뽑음으로써 봉합사가 생체(30)에 봉합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봉합침(10)에 의하면, 파지를 금지하는 선단 부분(12)이 다른 부분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으므로, 선단 부분(12)과 다른 부분과의 식별이 용이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수술을 행하는 의사에 대한 주의 환기를 촉진시켜, 봉합침(10)의 선단 부분(12)의 파지를 피하여 선단 부분(12)에 대한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단 부분(12)을 적색으로 착색하는 것이 적합하다. 수술 중에 있어서 봉합 위치는 환자의 혈액이 부착되어 혈액의 색이 지배적이게 된다. 그래서, 선단 부분(12)을 적색으로 착색함으로써, 선단 부분(12)을 눈에 띄지 않게 하여, 잘못해서 선단 부분(12)을 파지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수술 현장에서는 감염 방지 등의 관점에서 혈액을 반드시 식별할 수 있는 환경을 유지할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의료 기구에 있어서 적색을 사용하는 것은 통상 행해지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 후의 봉합침(10)은 반드시 회수되어, 소독 혹은 폐기되기 때문에, 감염 등의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선단 부분(12)에 대하여, 적색과 유사한 색인 보라색이나 분홍색으로 착색해도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선단 부분(12)을 녹색으로 하는 것도 적합하다. 이것에 의해, 선단 부분(12)을 생체(30)에 찔러 넣기 전은 선단 부분(12)을 식별할 수 있지만, 당해 선단 부분(12)을 생체(30)로부터 노출시키면 선단 부분(12)에 혈액이 부착되어 선단 부분(12)이 흑색에 가까운 색으로 보이므로 선단 부분(12)을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본원 발명자는 봉합 작업 중에 부러진 봉합침을 다수 모아, 그 부러진 위치의 분포에 대해 조사했다. 도 7에서는, 선단(12a)의 위치를 0퍼센트로 하고, 기단(16a)의 위치를 100퍼센트로 하여,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봉합침(10)에 있어서 부러진 위치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사용된 봉합침에 의한 봉합의 동작은 도 2∼도 6에 도시하는 태양과 동일하지만, 선단 부분(12)을 파지한 경우도 존재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봉합침(10)이 부러지는 위치는 봉합침(10)의 선단(12a)으로부터 봉합침(10)의 길이 방향의 10퍼센트가 되는 위치에 집중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봉합침(10)을 생체(30)로부터 뽑을 때(도 5 참조), 당해 10퍼센트가 되는 위치보다도 선단(12a) 측을 파지해 버림으로써, 당해 10퍼센트가 되는 위치에 응력이 집중한 것이 원인으로 봉합침(10)이 부러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길이 방향의 15퍼센트가 되는 위치보다도 기단(16a) 측에서는, 분포가 성기게 되어 있어, 봉합침(10)이 부러지는 수가 현저하게 적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내는 결과로부터, 봉합침(1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봉합침(10)의 선단(12a)을 포함하여 10퍼센트(또는 15퍼센트)까지의 길이 부분까지를 선단 부분(12)(도 1 참조)으로서 착색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이것에 의해, 수술을 행하는 의사에게 주의 환기하여 당해 선단 부분(12)의 파지를 피하게 하여, 봉합침(10)을 뽑을 때, 봉합침(10)에 가해지는 응력이 봉합침(10)의 특정 부분에 집중하는 것을 피하여, 봉합침(10)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단 부분(16)에는 통과 구멍(26)을 형성하는 한 쌍의 암(18)이 배치되어 있었지만, 단지 기단 부분(16)을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통과 구멍(26)으로 해도 된다. 또한, 기단 부분(16)에 봉합사를 접착제로 접합시키거나, 혹은 크림핑 등으로 봉합사를 기단 부분(16)에 접속시킨 「침부착 봉합사」로 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봉합침(10)이 대략 반원형의 원호 형상을 가지고 있었지만, 직선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원호 형상이어도, 반원형의 원호 이외의 형상, 예를 들면, 전체 둘레의 원호(링)로부터 5/8, 7/16, 3/8, 1/4의 길이의 비율로 각각 취출한 태양의 원호 형상의 것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는 직선적이어도 선단 부분만이 원호형으로 만곡한 것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어느 봉합침이어도, 봉합의 수순은 도 2 내지 도 6과 동일하게 행해진다.
[제2 실시형태]
도 8은 제2 실시형태의 봉합침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봉합침(10A)은 제1 실시형태의 봉합침(10)과 외형은 공통되지만, 선단 부분(12) 중 봉합침(10A)의 선단(12a)으로부터 선단 부분(12)의 길이 방향의 도중 위치까지의 선단 영역(12b)이 선단 부분(12)의 그것(선단 영역(12b)) 이외의 부분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특히 선단 영역(12b)은 흑색으로 착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이외에도 백색, 금색, 은색으로 착색해도 된다.
이와 같이, 선단 영역(12b)을 선단 부분(12)의 다른 부분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함으로써, 봉합침(10)을 생체(30)(도 8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찔러 넣고 생체(30)로부터 다시 노출한 선단(12a)의 존재를 의사에게 시각적으로 인지시켜, 봉합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3 실시형태]
도 9는 제3 실시형태의 봉합침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봉합침(10B)은 제1 실시형태의 봉합침(10)과 외형은 공통되지만, 선단 부분(12) 중 봉합침(10)의 선단(12a)으로부터 선단 부분(12)의 길이 방향의 도중 위치까지의 선단 영역(12b)은 무착색으로 하고 있다. 선단 영역(12b)은 봉합침(10)의 표면이 노출된 상태이며, 봉합침(10)의 재료의 색(은색, 갈색 등)이 나타나 있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선단 영역(12b)을 무착색함으로써, 봉합침(10)을 생체(30)(도 9에서는 도시하지 않음)에 찔러 넣고 생체(30)로부터 다시 노출한 선단(12a)의 존재를 의사에게 시각적으로 인지시켜, 봉합의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선단 영역(12b)의 선단 부분(12)에 대한 길이의 비율을 50퍼센트 이하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것에 의해, 선단(12a)에 대한 주의 환기와, 선단 부분(12)의 파지의 회피를 양립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상기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적용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상기 실시형태의 구체적 구성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본원은 2016년 3월 31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원 2016-71200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의 모든 내용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편입된다.

Claims (7)

  1. 수술용 봉합침으로서,
    상기 봉합침의 선단 부분의 색이 그것 이외의 부분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고,
    상기 선단 부분의 색이 적색 또는 분홍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부분은 상기 봉합침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봉합침의 선단을 포함하는 10퍼센트까지의 길이 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
  3. 수술용 봉합침으로서,
    상기 봉합침의 선단 부분의 색이 그것 이외의 부분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고,
    상기 선단 부분의 색이 적색 또는 분홍색이며,
    상기 선단 부분 중 상기 봉합침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선단 부분의 길이 방향의 도중 위치까지의 선단 영역은 상기 선단 부분의 그것 이외의 부분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영역의 색이 흑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
  5. 수술용 봉합침으로서,
    상기 봉합침의 선단 부분의 색이 그것 이외의 부분과 상이한 색으로 착색되고,
    상기 선단 부분의 색이 적색 또는 분홍색이며,
    상기 선단 부분 중 상기 봉합침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선단 부분의 길이 방향의 도중 위치까지의 선단 영역은 무착색으로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영역의 상기 선단 부분에 대한 길이의 비율은 50퍼센트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침.

  7. 삭제
KR1020187028038A 2016-03-31 2017-03-29 봉합침 KR1021917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1200 2016-03-31
JPJP-P-2016-071200 2016-03-31
PCT/JP2017/012866 WO2017170670A1 (ja) 2016-03-31 2017-03-29 縫合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633A KR20180119633A (ko) 2018-11-02
KR102191708B1 true KR102191708B1 (ko) 2020-12-16

Family

ID=59965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038A KR102191708B1 (ko) 2016-03-31 2017-03-29 봉합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00323525A1 (ko)
EP (1) EP3446637A4 (ko)
JP (1) JP6554228B2 (ko)
KR (1) KR102191708B1 (ko)
CN (1) CN108882930B (ko)
WO (1) WO20171706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714251B1 (de) 2017-10-16 2022-01-14 Sonderegger Eng Ag Rolleinheit für die Verwendung in einer Fadenschneid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ntfernen von Gaseinschlüssen aus Fadenmaterial.
USD938031S1 (en) * 2019-07-14 2021-12-07 Telma Micro Needles Pvt. Ltd. Undrilled need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2617A1 (en) 2004-04-05 2005-10-06 Ororz Steven J Jr Functionally colored surgical needle
WO2014162613A1 (ja) * 2013-04-05 2014-10-09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40015A (en) * 1973-06-28 1974-10-08 D Gain Photoluminescent surgical device
JPH034253Y2 (ko) * 1986-08-05 1991-02-04
JPS6483252A (en) * 1987-09-25 1989-03-29 Kai Cutlery Center Co Medical suture needle
DE4208242C1 (ko) * 1992-03-14 1993-05-13 Ethicon Gmbh & Co Kg, 2000 Norderstedt, De
US5683415A (en) * 1992-03-13 1997-11-04 Ethicon, Inc. Surgical needle
DE4304739C2 (de) * 1993-02-13 1995-03-16 Ethicon Gmbh Chirurgische Nadel
EP0611552A1 (en) * 1993-02-13 1994-08-24 Ethicon Inc. Surgical needle
CA2711589A1 (en) * 2008-01-10 2009-07-16 Ethicon, Inc. Tungsten alloy suture needles with surface coloration
CN103622726A (zh) * 2008-01-10 2014-03-12 伊西康公司 具有表面着色的钨合金缝合针
JP5689412B2 (ja) * 2008-05-16 2015-03-25 エシコン・エルエルシーEthicon, LLC コード化された異種機能性縫合糸及び方法
US8480597B2 (en) * 2010-09-13 2013-07-09 Abbott Laboratories Color coded guide wire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6218523B2 (ja) 2013-09-18 2017-10-25 グンゼ株式会社 縫合針
CN203943706U (zh) * 2014-04-18 2014-11-19 青岛耐丝克医材有限公司 适用于内窥镜手术缝合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2617A1 (en) 2004-04-05 2005-10-06 Ororz Steven J Jr Functionally colored surgical needle
WO2014162613A1 (ja) * 2013-04-05 2014-10-09 テルモ株式会社 医療用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6637A4 (en) 2019-11-20
EP3446637A1 (en) 2019-02-27
CN108882930B (zh) 2022-01-25
CN108882930A (zh) 2018-11-23
WO2017170670A1 (ja) 2017-10-05
JP6554228B2 (ja) 2019-08-07
JPWO2017170670A1 (ja) 2019-04-04
US20200323525A1 (en) 2020-10-15
KR20180119633A (ko) 2018-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6192B1 (en) Medical needle having a visibly marked tip
EP0648474B1 (en) Blunt tip suture needle
US5904692A (en) Needle assembly and method for passing suture
CN105011989B (zh) 一种新型的肺肿瘤定位针
US5236443A (en) Suturing assembly and method
AU678525B2 (en) Blunt point needles
US20170049439A1 (en) Ferrule for use with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KR102191708B1 (ko) 봉합침
JP2009050415A (ja) 医療用縫合針
CA2492702A1 (en) Apparatus for sealing punctures in blood vessels
US9968271B2 (en) Needle electrode safety device
US9393012B2 (en) Suture needle guard
CA2239457A1 (en) Invasive needle
CN102551825A (zh) 免穿型医用缝合针
KR20160056683A (ko) 매선 시술용 니들
CN209186815U (zh) 一种疝囊高位结扎针
JP2018050986A (ja) 子宮圧迫止血用縫合針
JP6831955B2 (ja) 分岐管
US10729418B2 (en) Artificial tendon-forming auxiliary instrument, somatometry instrument, and auxiliary instrument set
KR20060059933A (ko) 매몰 봉합침 및 이것을 이용한 매몰 봉합방법
JP6582748B2 (ja) 人工腱索形成用補助具および補助具セット
CN214285034U (zh) 一种医疗针
CN203564306U (zh) 微创打结钳
CN215129340U (zh) 一种一体化带刃手术缝针
CN210962114U (zh) 子宫悬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