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628B1 -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628B1
KR102189628B1 KR1020190059532A KR20190059532A KR102189628B1 KR 102189628 B1 KR102189628 B1 KR 102189628B1 KR 1020190059532 A KR1020190059532 A KR 1020190059532A KR 20190059532 A KR20190059532 A KR 20190059532A KR 102189628 B1 KR102189628 B1 KR 102189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ongue plate
plate
tongue
e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9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4033A (ko
Inventor
김창희
김태우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유)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삼송 filed Critical (유)삼송
Priority to KR1020190059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62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40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40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2Construction of belts or harn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으로 인해 관성으로 인해 앵커 프리텐셔너로부터 텅 플레이트가 해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측면이 경사진 걸림부가 형성되는 래칫부와 래칫부 상에 형성되는 락킹홀을 구비하는 벨트 텅; 벨트 텅이 수용되는 프레임;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벨트 텅의 걸림홈에 삽입되며 락 플레이트;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벨트 텅의 삽입 시 래칫부와 맞닿는 이젝터;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이젝터를 벨트 텅 방향으로 밀어주는 이젝터 스프링; 및 프레임 외면에 설치되며, 락 플레이트를 프레임 내측으로 가압하는 락 스프링;을 포함하며, 프레임은, 락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며, 삽입홀은 벨트 텅의 삽입 방향으로 단차를 구비하여, 가로 길이가 더 긴 제1 파트, 제1 파트의 위에 위치하는 가로 길이가 더 짧은 제2 파트를 구비하고, 락 플레이트는, 제2 파트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삽입홀로 노출되는 전단부, 전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며 제2 파트보다 긴 길이를 가져 제2 파트 외측 단체에 걸림되는 숄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CONNECTING STRUCTURE OF ANCHOR PRETENTIONER AND BELT TOUNGUE}
본 발명은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에는 차량의 충돌이나 급제동시에 탑승자의 몸을 잡아당겨 탑승자의 신체가 차량 밖으로 튕겨 나가거나 차체에 부딪혀 큰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트벨트가 설치된다.
운전석과 조수석에는 센터필러 하단부에 리트렉터와 앵커 프리텐셔너가 설치되며, 센터필러 상단부에 웨빙을 안내하는 고정구가 설치되고, 상기 리트렉터에 신축 가능하도록 웨빙이 권취되며, 상기 웨빙의 일단이 고정구에 걸려지면서 앵커 프리텐셔너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리트렉터의 반대편에 위치한 시트 하부에는 시트벨트의 텅이 체결될 수 있도록 버클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앵커 프레틴셔너의 벨트 텅의 고정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앵커 프리텐셔너는 센터필러 하단부의 차체에 고정 설치되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프리텐셔너 상단부의 와이어와 조인트 앵커(1)가 실내 측으로 돌출된 구조로 설치된다.
앵커 프리텐셔너로부터 차체 내로 인출된 와이어(11)의 단부에는 조인트 앵커(12)가 설치된다. 조인트 앵커(12)는 프레임(20)에 리벳(40)에 의해 결합된다. 프레임(20)의 상단에는, 웨빙이 연결되는 텅 플레이트(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홀(21)이 형성된다. 시트벨트 텅과 달리, 앵커에 결합되는 텅 플레이트(30)는 한 번 삽입되면, 수리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프레임(20)으로부터 인출할 일이 없기 때문에, 프레임(20) 내에 텅 플레이트(30)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텅 플레이트(30)의 하단부는 V자 형상으로 갈라지며, V자의 꼭대기 부분에 텅(30)을 고정하기 위한 락 플레이트(60)가 삽입되는 홀(31)이 형성된다. 락 플레이트(60)는 프레임(20)의 일면을 관통하며,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프레임(20)의 외면에 락 플레이트(60)를 텅 플레이트(30) 측으로 가압해주는 락 스프링(50)이 설치된다. 락 스프링(50)은 조인트 앵커(12)와 프레임(20)을 리벳(40)으로 결합할 때 함께 리벳에 의해 프레임(20)에 결합된다.
도 2는 충돌 발생 시 종래 기술에 따른 앵커 프레틴셔너의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의 거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충돌이 발생할 경우, 앵커 프리텐셔너는 전방으로 가속하며, 벨트를 장착한 탑승자는 차량의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며 벨트를 잡아당겨 인장 하중이 걸리게 된다. 이러한 앵커 프리텐셔너의 가속과 벨트에 걸리는 인장 하중이 단 시간에 가해짐으로써, 텅 플레이트(30)를 고정하는 락 플레이트(60)와 락 스프링(50)은 관성에 의해 제 위치에 머무르면서 텅 플레이트(30)와 락 플레이트(60)간의 이격이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해 텅 플레이트(30)가 프레임(20)으로부터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3-0065107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14495
본 발명으로 인해 관성으로 인해 앵커 프리텐셔너로부터 텅 플레이트가 해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측면이 경사진 걸림부가 형성되는 래칫부와 래칫부 상에 형성되는 락킹홀을 구비하는 벨트 텅; 벨트 텅이 수용되는 프레임;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벨트 텅의 걸림홈에 삽입되며 락 플레이트;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벨트 텅의 삽입 시 래칫부와 맞닿는 이젝터;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이젝터를 벨트 텅 방향으로 밀어주는 이젝터 스프링; 및 프레임 외면에 설치되며, 락 플레이트를 프레임 내측으로 가압하는 락 스프링;을 포함하며, 프레임은, 락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며, 삽입홀은 벨트 텅의 삽입 방향으로 단차를 구비하여, 가로 길이가 더 긴 제1 파트, 제1 파트의 위에 위치하는 가로 길이가 더 짧은 제2 파트를 구비하고, 락 플레이트는, 제2 파트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삽입홀로 노출되는 전단부, 전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며 제2 파트보다 긴 길이를 가져 제2 파트 외측 단체에 걸림되는 숄더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프레임은 이젝터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는 이젝터 홀을 구비하고, 이젝터는 이젝터 홀에 삽입되는 조정부, 조정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며 좌우로 연장된 숄더부, 숄더부 중앙에 형성되며 이젝터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락 플레이트는 상면에 곡면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벨트 텅의 락킹홀은 상부에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며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는, 락 플레이트가 프레임과 텅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되어 있어, 텅 플레이트와 프레임에 하중이 가해지거나 고속으로 이동하더라도 락 플레이트와 텅 플레이트가 서로 해리되지 않아 텅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의 벨트 텅의 고정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충돌 발생 시 종래 기술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의 거동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구비하는 제2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구비하는 락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구비하는 이젝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의 텅 플레이트 삽입 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의 텅 플레이트의 삽입이 시작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의 텅 플레이트가 최대로 깊숙히 삽입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의 텅 플레이트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차체에 고정된 앵커 프리텐셔너로부터 인출된 와이어(110)의 단부에는 조인트 앵커(120)가 설치된다. 조인트 앵커(120)는 프레임(200)에 리벳(400)에 의해 결합된다.
프레임(210, 220) 내에 시트벨트 웨빙(미도시)이 연결된 텅 플레이트(300)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된다.
프레임(210, 220)은 ㄷ자 형태로 절곡된 제1 프레임(210)과, 제1 프레임(21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220)을 구비한다. 제2 프레임(200)의 앞에는 후술할 락 플레이트(600)를 가압하기 위한 락 스프링(500)이 결합되며, 제1 프레임(210), 제2 프레임(220), 조인트 앵커(120) 및 락 스프링(500)은 리벳(400)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조인트 앵커(120)는 리벳(400)이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22)을 구비하며, 제1 프레임(210)과 제2 프레임(220), 락 스프링(500)도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홀(212, 222, 502)를 구비한다.
프레임(210, 220) 내에는 텅 플레이트(300)를 고정하기 위한 메커니즘으로, 락 플레이트(600)와, 이젝터(800) 및 이젝터 스프링(700)이 구비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별다른 언급이 없을 경우, 도 3에서 텅 플레이트(300)가 위치한 측이 상측, 와이어(110)가 위치한 측이 하측이며, 제2 프레임(210)이 위치한 측이 전방, 제1 프레임(220)이 위치한 측이 후방이다. 또한 후술할 설명의 좌 우 방향은 도 3의 좌 우 방향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구비하는 제2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프레임(220)은 리벳(400)이 관통하는 관통홀(222), 이젝터(800; 도 3 참조)의 일부가 끼워지는 이젝터 삽입홀(224), 락 플레이트(600; 도 3 참조)가 삽입되는 삽입홀(226)을 구비한다.
이 때, 삽입홀(226)은, 하방에 좌우 길이가 락 플레이트(600)보다 더 길거나 같은 제1 파트(226a), 제1 파트(226a)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1 파트(226a)보다 좌우 길이가 짧은 제2 파트(226b)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2 파트(226b)의 양측에는 단차부(226c)가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구비하는 락 플레이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하방이 제2 프레임(220; 도 3 참조) 방향이며, 도 5의 상방이 제1 프레임(210) 방향이다.
락 플레이트(600)는, 앞서 설명한 제2 프레임(220)의 삽입홀(226)에 삽입되는데, 전단부(620)는 삽입홀(226)의 제2 파트(226b)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 짧다. 전단부(610)의 후방, 즉 전단부(610)보다 프레임(210, 220)의 내측에는 숄더부(620)를 구비하며, 숄더부(620)는 제1 파트(226a)보다는 좌우 길이가 짧고, 제2 파트(226b)보다 좌우 길이가 길다. 숄더부(620)의 후방에는 후단부(630)를 구비하며, 숄더부(620)로부터 후단부(630) 사이에는 경사면(640)이 형성된다. 또한, 락 플레이트(600)의 상면에는 완만한 곡면으로 된 가이드 돌기(650)를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가 구비하는 이젝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젝터(800)는 전술한 제2 프레임(220; 도 4 참조)의 중앙에는 이젝터 스프링(700; 도 3 참조)을 삽입하기 위한 스프링 홀(810), 가장 전방에 위치하며 이젝터 삽입홀(224)에 삽입되는 조정부(820) 및 조정부(820)의 후방에 좌우로 연장되는 숄더부(830)를 구비한다. 숄더부(830)에 의해 이젝터(800)가 프레임(210, 220)으로부터 빠지지 않고, 조정부(820)가 이젝터 삽입홀(224)에 의해 가이드되며 이젝터(800)가 상, 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의 텅 플레이트 삽입 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결합 구조를 자세히 보여줄 수 있도록 도면에서 락 스프링(500)은 생략하였다. 텅 플레이트(300)는 하단에 양 단으로 갈라지며 내측면이 경사진 걸림부가 형성되는 래칫부(320)를 한 쌍 구비하며, 래칫부(320) 상측 중앙에 락 플레이트(60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락킹홀(310)이 구비된다.
제2 프레임(220)은 제1 프레임(210)과 리벳(400)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며, 이젝터 삽입홀(224)에는 이젝터(800)의 조정부(820; 도 6 참조)가 삽입되어 있고, 삽입홀(626)의 제1 파트(626a)에 락 플레이트(600)가 위치해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의 텅 플레이트의 삽입이 시작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텅 플레이트(300)의 래칫부(320)의 내측면에는 경사면(3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텅 플레이트(300)가 프레임(200) 내로 삽입되기 시작하면, 먼저 락 플레이트(600)와 접촉하게 되는데, 텅 플레이트(300)가 깊이 삽입될수록 락 플레이트(600)의 경사면(640)이 래칫부(320)의 경사면(322)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게 된다. 따라서 락 플레이트(600) 전체가 삽입홀(626)을 통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락 스프링(500)에 의해 후방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락 플레이트(600)가 삽입홀(626) 외부로 이탈하지는 않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의 텅 플레이트가 최대로 깊숙히 삽입되었을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텅 플레이트(300)가 삽입되면, 락 플레이트(600)의 후단부(630; 도 5 참조)가 래칫부(320) 사이의 간격부(324)에 위치하게 되며, 텅 플레이트(300)가 완전히 삽입되어 텅 플레이트(300)의 락킹홀(310)과 락 플레이트(600)의 위치가 일치하게 되면, 락 스프링(500)의 가압에 의해 락킹홀(310) 내로 락 플레이트(600)가 삽입된다. 여기서 락 플레이트(600)가 락킹홀(310) 내로 삽입되도록 안내하기 위해, 락 플레이트(600)의 상방에 곡면 형태의 가이드 돌기(650)가 구비되며, 락킹홀(310)의 상부에도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이때, 래칫부(320)는 이젝터(800)를 누르게 되며, 이젝터(800)가 하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젝터 스프링(700)은 압축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의 텅 플레이트가 결합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텅 플레이트(300)가 도 10의 위치까지 삽입된 다음, 텅 플레이트(300)를 삽입하는 힘을 제거하면, 이젝터 스프링(700)이 이젝터(800)를 상부로 밀게 되며, 그에 따라 텅 플레이트(300)도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텅 플레이트(300)의 락킹홀(310) 내에 삽입된 락 플레이트(600) 또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락 플레이트(600)는 제2 프레임(220)의 삽입홀(226)의 제1 파트(226a)에서 제2 파트(226b)로 이동하게 된다. 그에 따라, 락 플레이트(600)의 숄더부(620)가 삽입홀(226)의 단차부(226c)에 걸림되어, 전, 후방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에서, 앵커 프리텐셔너가 전방으로 고속으로 움직이며, 벨트가 상방 및 전방으로 하중을 받으며 당겨진다 하더라도, 락 플레이트(600)의 숄더부(620)가 제2 프레임(220)에 의해 전방이 가로막혀 있기 때문에, 락 플레이트(600)가 프레임(200)로부터 탈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리나, 기타 사유로 인해 텅 플레이트(300)를 인출해야할 경우, 락 스프링(500)을 젖히고 텅 플레이트(300)를 하방으로 눌러 락 플레이트(600)를 삽입홀(226)의 제1 파트(226a) 이동시킨 상태에서 락 플레이트(600)를 잡아 제1 파트(226a) 내에 고정시키거나 전방으로 잡아당긴 상태에서, 텅 플레이트(300)를 후방으로 가압하며 상방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평상 시에 쉽게 텅 플레이트(300)가 프레임(200)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아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내측면이 경사진 걸림부가 형성되는 래칫부와 래칫부 상에 형성되는 락킹홀을 구비하는 텅 플레이트;
    텅 플레이트가 수용되는 프레임;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텅 플레이트의 걸림홈에 삽입되며 락 플레이트;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텅 플레이트의 삽입 시 래칫부와 맞닿는 이젝터;
    프레임 내에 설치되며, 이젝터를 텅 플레이트 방향으로 밀어주는 이젝터 스프링; 및
    프레임 외면에 설치되며, 락 플레이트를 프레임 내측으로 가압하는 락 스프링;을 포함하며,
    프레임은, 락 플레이트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며, 삽입홀은 벨트 텅의 삽입 방향으로 단차를 구비하여, 가로 길이가 더 긴 제1 파트, 제1 파트의 위에 위치하는 가로 길이가 더 짧은 제2 파트를 구비하고,
    락 플레이트는, 제2 파트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삽입홀로 노출되는 전단부, 전단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며 제2 파트보다 긴 길이를 가져 제2 파트 외측 단차에 걸림되는 숄더부를 구비하며,
    텅 플레이트의 락킹홀 내에 락 플레이트가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제2 파트의 외측 단차가 락 플레이트의 숄더부를 덮어 텅 플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이젝터의 일부를 노출할 수 있는 이젝터 삽입홀을 구비하고,
    이젝터는 이젝터 삽입홀에 삽입되는 조정부, 조정부보다 내측에 위치하며 좌우로 연장된 숄더부, 중앙에 형성되며 이젝터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 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락 플레이트는 상면에 곡면으로 돌출된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며,
    텅 플레이트의 락킹홀은 상부에 가이드 돌기에 대응하며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
KR1020190059532A 2019-05-21 2019-05-21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 KR102189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32A KR102189628B1 (ko) 2019-05-21 2019-05-21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9532A KR102189628B1 (ko) 2019-05-21 2019-05-21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033A KR20200134033A (ko) 2020-12-01
KR102189628B1 true KR102189628B1 (ko) 2020-12-11

Family

ID=73786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9532A KR102189628B1 (ko) 2019-05-21 2019-05-21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628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0474A (en) * 1983-11-21 1985-11-05 Gateway Industries, Inc. Safety belt buckle
JP2000079004A (ja) * 1998-06-23 2000-03-21 Tokai Rika Co Ltd バックル
KR101356156B1 (ko) 2011-12-09 2014-01-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벨트용 앵커 프리텐셔너 고정장치
KR101614495B1 (ko) 2014-11-05 2016-04-29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4033A (ko) 202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376B2 (en) Vehicle seat construction
US6722697B2 (en) Assembly of seat belt buckle and belt tightener
EP1275569A3 (en) Seat-belt guide anchor
KR102189628B1 (ko) 앵커 프리텐셔너와 텅 플레이트의 고정 구조
JP3919653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US7306260B1 (en) Lap fuse belt for a seat belt
EP0717943A2 (en) Seat belt buckle
KR100736463B1 (ko) 시트벨트 위치 조절장치
US11192520B2 (en) Seat belt device for a vehicle seat
JP2017523840A (ja) シートベルトバックル締付デバイス及びシステム
JP5165525B2 (ja) 車両用内装材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102350615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0683032B1 (ko) 안전벨트용 가이드 앵커 및 그 제조방법
US20050236828A1 (en) Webbing insertion member
KR200169507Y1 (ko) 차량의 앞좌석 안전벨트 유동 방지장치
US7192056B2 (en) Webbing insertion member
KR100285046B1 (ko) 시트 벨트 체결장치
JP6974396B2 (ja) スルーアンカ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US20240116473A1 (en) Seat Belt Buckle Unit
US20240109501A1 (en) Fastener
KR102355946B1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록킹 장치
KR100559598B1 (ko) 자동차의 후방이동 및 목부상 방지용 시트장치
JPH07223507A (ja) シートベルトのバックル引き込み装置
KR0119474Y1 (ko) 재생가능한 차량용 조수석에어백의 구조
KR101674507B1 (ko) 차량용 시트 벨트 결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