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007B1 -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007B1
KR102189007B1 KR1020200006536A KR20200006536A KR102189007B1 KR 102189007 B1 KR102189007 B1 KR 102189007B1 KR 1020200006536 A KR1020200006536 A KR 1020200006536A KR 20200006536 A KR20200006536 A KR 20200006536A KR 102189007 B1 KR102189007 B1 KR 102189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mware
multifunction device
paper
control device
multi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109A (ko
Inventor
이명신
Original Assignee
이명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67110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18900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신 filed Critical 이명신
Publication of KR20200009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109A/ko
Priority to KR10202001674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7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Detecting type of paper, e.g. by automatic reading of a code that is printed on a paper package or on a paper roll or by sensing the grade of translucency of th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26Registering devices
    • B41J13/28Front lays, stops, or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1/00Column, tabular or like printing arrangements; Means for centralising short lines
    • B41J21/16Column, tabular or like printing arrangements; Means for centralising short lines controlled by the sensing of marks or formations on the paper being typed, an undersheet, or the plat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2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use or purpose
    • B42D25/29Securities; Bank no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69Magnetised or magnetisable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25/00Information-bearing cards or sheet-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Manufacture thereof
    • B42D25/30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 B42D25/36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e.g. for preventing forgery comprising special materials
    • B42D25/373Metallic materia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54High voltage adaptations; Electrical insulation details; Overvoltage 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Arrangements for regulating voltages or for using plural voltages
    • H05K1/0257Overvoltage protection
    • H05K1/0259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1Optical component, e.g. opto-electronic compon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51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되어 복합기의 펌웨어를 제어할 수 있는 복합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는 복수개의 신호선 및 통신선을 포함하는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로서, 복합기 내부에서 복합기 펌웨어로 가는 하나 이상의 신호선 또는 통신선을 중간에 받아서 그 신호 또는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복합기 펌웨어에 주는 마이크로콘트롤러; 마이크로콘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하나 이상의 신호선 및 통신선과 연결될 수 있는 포트, GPIO 및 스위칭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A CONTROL DEVICE OF THE MULTIFUNCTION PRINTER THAT CAN BE INSTALLED SEPARATELY FROM THE FIRMWARE OF THE MULTIFUNCTION PRINTER}
본 발명은 복합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되어 복합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복합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복합기, 프린터, 팩스, 복사기 등 용지를 인쇄할 수 있는 기기를 복합기라고 통칭하며, 본 발명에서 '복합기'란 프린터, 팩스, 복사기, 스캐너의 기능을 통합한 복합기뿐만 아니라, 프린터, 팩스, 복사기, 스캐너 개별 기능만을 구현하는 장치도 포함한다.
복합기는 외부기기에서 처리된 정보를 사람이 눈으로 볼 수 있는 형태로 출력하는 가장 보편화된 복합기다. 최근에는 복합기가 점점 고기능화됨에 따라 복합기에 내장된 펌웨어에 보안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구비된 복합기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면 복합기(1)에서 보안용지 센서(3)와 보안기능을 가진 펌웨어(4)를 구비하고, 사용자가 사용자단말기(2)를 통해 인쇄명령을 복합기(1)로 송신하면 복합기(1)에서 출력되는 문서는 보안용지의 경우 문서의 내용이 인쇄되어 출력되지만 일반용지의 경우는 복합기(1)에서 문서 내용이 인쇄되지 않고 백지로 출력되게 한다. 하지만 즉 보안기능을 갖지 않는 펌웨어를 구비한 복합기 또는 프린터는 보안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보안 기능이 구비된 새로운 복합기 또는 프린터로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면, 복합기(7)는 인쇄되는 문서를 분류해 주기 위해 복합기 본체와 통신이 가능한 피니셔(Finisher)(5)를 브릿지(Bridge)(6)를 게재하여 복합기(7) 본체와 연결해서 사용하기도 한다. 상기 피니셔(Finisher)(5)는 인쇄된 문서를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정리하여 주는 장치이며, 브릿지(Bridge)(6)는 복합기(7) 본체와 피니셔(5) 사이에서 피니셔(5)로 인쇄된 문서를 전달하는 장치로서 피니셔(5)에 전달하는 문서의 방향까지 원하는데로 변경하여 전달할 수 있는 공지의 장치이다. 그런데, 청구서, 광고물 등 단시간에 많은 물량의 DM(Direct Mail)을 발송하기 위하여 인쇄 후 우편물 발송이 가능한 형태로 자동으로 가공하여 주는 장치가 필요한 경우가 빈번하다. 하지만, 기존의 펌웨어 방식의 복합기에서 복합기(7) 본체와 연결된 피니셔(Finisher)(5)로는 그러한 기능구현이 불가능하여 해당 피니셔(Finisher)(5)를 제거하고 별도의 가공장치, 예를 들어 봉함기 등을 부착하여야 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펌웨어 연동방식의 복합기를 제작한 업체가 아닌 별도의 업체에서 제작한 가공장치를 펌웨어 연동방식의 복합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펌웨어 연동방식의 복합기에서는 복합기(7) 본체와 피니셔(Finisher)(5)가 지속적인 통신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복합기(7)의 상태를 점검하기 때문에 피니셔(Finisher)(5)를 분리할 경우 복합기(7) 본체와 피니셔(Finisher)(5)와의 통신이 차단되어 복합기(7) 본체에서 피니셔(Finisher)(5)가 없다고 판단하고 브릿지(Bridge)(6)쪽으로 문서를 이송하지 않아 별도의 가공장치를 부착해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도 2에서 도면부호 8은 대용량 유닛으로서 특정한 사이즈의 종이를 대량으로 저장하여 인쇄를 할 수 있도록 복합기에 종이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종전에는 복합기의 펌웨어에 해당 기능이 없으면, 별도로 복합기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그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기능을 갖는 폄웨어를 구비한 복합기로 교체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명세서에서 펌웨어는 인쇄를 위한 하드웨어와 이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되어 복합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복합기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급지 경로상에서 인쇄용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급지 경로상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센서와, 인쇄용지에 인쇄하려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KCMY LED Head 또는 LSU와, 상기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KCMY LED Head 또는 LSU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센서와 상기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신호선 및 상기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와 상기 KCMY LED Head 또는 LSU를 연결하는 통신선을 포함하는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로서, 마이크로콘트롤러(MCU)와, 복합기 내에 제공되는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로부터, 복합기 내에 제공되는 KCMY LED Head 또는 LSU로의 통신선의 연결을 온/오프(ON/OFF)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되, 마이크로콘트롤러가, 판단에 따라 스위칭부를 온(ON)시켜서 급지된 인쇄용지에 대해 프린팅 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배출되게 하거나 스위칭부를 오프(OFF)시켜서 급지된 인쇄용지에 대해 프린팅 작업이 진행되지 않은 채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되어 복합기를 제어할 수 있는 복합기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되어 복합기와 통신할 수 있는 복합기 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안기능을 갖는 펌웨어 연동방식의 복합기에서 보안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펌웨어 연동방식의 복합기에 피니셔를 장착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복합기에서 인쇄용지가 피딩되는 경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복합기에서 인쇄용지가 피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복합기에서 KCMY LED Head 또는 LSU(Laser Scanner Unit)를 통한 인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에서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에서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의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에서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별개로 설치된다"는 의미는 기존의 정상 동작하는 복합기에 별개의 장치로 설치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복합기의 외부에 설치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대부분의 복합기는 보안용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지 않겠지만 보안용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갖더라도 무관하다. 아울러, 아래의 설명에서 "펌웨어"란 복합기의 동작에 필요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다시 말하지만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복합기는 그 복합기의 펌웨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어장치 없이도 정상 동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어장치에 의해 부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먼저,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펌웨어 비연동 보안용 복합기 제어장치를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례를 설명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복합기에서 인쇄용지가 피딩되는 경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복합기에서 인쇄용지가 피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복합기는 프린터, 팩스, 복사기, 스캐너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키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급지되는 인쇄용지가 일반용지인지 보안용지인지를 구별하여 그에 따라 인쇄(프린팅)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복합기가 아닌 프린터, 팩스 혹은 복사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도 될 것이다. 즉, 프린터로만 기능하거나 복사기로만 기능하더라도 급지되는 인쇄용지에 따라 본 발명에서 아래의 설명에 의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것이다. 다르게는 이상의 모든 기능을 구현하는 통상의 복합기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것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수동급지(MT) 또는 다목적급지(MPT)의 경우 보안용지용 복합기(100)의 프론트 커버(11)를 열고 수동급지(MT)를 하거나, 미 도시된 다목적급지(MPT)로 인쇄용지를 급지하면 페이퍼 피드 모터(Paper feed motor)(15-1)가 회전을 시작한 뒤에 MPT 클러치(14)가 온(ON)되어 수동급지 트레이의 페이퍼 피드 롤러(Paper feed roller)(15)가 회전하게 되고, 인쇄용지는 수동급지 트레이로부터 피딩되어 들어 오게 된다. 수동급지 트레이에서 이송된 인쇄용지가 페이퍼인센서(Paper in sensor)(21)를 온(ON)시키면 인쇄용지의 스큐(Skew)를 보정하기 위하여 인쇄용지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Registration roller)(17-1)를 칠 정도로 특정거리만큼 더 진행시킨다. 그리고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Registration clutch)(17)를 온(ON)시켜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7-1)가 인쇄용지를 이송하게 하도록 한다. 인쇄용지의 이송에 의해 라이트 센서(Write sensor)(22)가 온(ON)되면 LED 헤드가 동작하여 OPC에 노광을 시작하게 되며, OPC의 노광된 부분에 토너가 붙어 OPC가 회전 하면서 이송되고 있는 인쇄용지로 옮겨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인쇄용지는 탑커버(10) 일측의 인쇄용지출구(13)로 배출되게 된다.
카세트(12)에서 인쇄용지가 급지되는 경우는 페이퍼 피드 모터(15-1)가 회전을 시작한 뒤에 제1클러치(16)가 온(ON)되어 카세트(12)의 페이퍼 피드 롤러(Paper feed roller)(19)가 회전하게 되고, 인쇄용지는 상기 페이퍼 피드 롤러(19)와 세퍼레이션 롤러(Separation roller)(19-1)에 의해 카세트(12)의 트레이로부터 올라 오게 된다. 이때 페이퍼 피드 센서(Paper feed sensor)(18)가 상기 페이퍼 피드 롤러(19)에 의해서 올라온 인쇄용지에 의해 온(ON)되면 인쇄용지 피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인지하고 상기 제1클러치(16)를 오프(OFF)시켜 인쇄용지 픽업 동작을 중지하고 인쇄용지를 페이퍼인센서(21)까지 이송시킨다. 상기 카세트(12)의 트레이에서 이송된 인쇄용지가 상기 페이퍼인 센서(21)를 온(ON)시키면 인쇄용지의 스큐(Skew)를 보정하기 위하여 인쇄용지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7-1)를 칠 정도로 특정거리만큼 더 진행시킨다. 그리고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17)를 온(ON)시켜 상기 레이스트레이션 롤러(17-1)가 인쇄용지를 이송하게 하도록 한다. 인쇄용지의 이송에 의해 라이트 센서(22)가 온(ON)되면 LED 헤드가 동작하여 OPC에 노광을 시작하게 되며, OPC 드럼의 노광된 부분에 토너가 붙어 OPC 드럼이 회전하면서 이송되고 있는 인쇄용지로 옮겨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인쇄용지는 탑커버(10) 일측의 인쇄용지출구(13)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에서 페이퍼인센서(21)의 출력형태는 하이(High), 로우(Low) 전압이며 페이퍼인센서(21)의 역할은 수동급지 트레이 또는 카세트(12)의 트레이로부터 인쇄용지가 해당 위치까지 도달했는가에 대한 판단을 하며,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을 위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7-1)까지 일정거리를 더 진입시킬 때 해당거리의 기준점이 된다. 라이트 센서(22)의 출력형태도 하이(High), 로우(Low) 전압이며, 역할은 인쇄용지가 해당 위치에 도달했는가를 판단하는 기준임과 동시에 OPC 드럼에 LED 헤드로 하여금 노광을 시켜 인쇄를 시작하는 기준점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용지 감지센서(20)가 인쇄용지의 급지 경로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용지 감지센서(20)가 인쇄용지의 급지 경로에서 페이퍼인센서(21)와 라이트 센서(22)의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서, 보안용지란 용지(인쇄용지)에 특수물질을 삽입하거나 특수물질을 사용하여 인쇄되어진 것으로, 아모르퍼스나 그와 유사한 비정질(non-crystalline state 또는 amorphous), 자성물질(합금), 나노 사이즈의 금속와이어, 자기공명의 특성을 가진 소재의 물질을 사용하여 특정주파수에 공진하여 물질의 특성을 구별할 수 있는 신호를 발생하는 용지(인쇄용지)를 말한다.
이러한 보안용지는, 전자기 방식(EM, Electromagnetic)의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즉 센서에 의해 발생된 교류 자기장에 보안용지내의 연자성 물질이 접근하게 되면 교류 자기장에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변화로 발생되는 고주파의 스펙트럼을 검출하여 보안용지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센서는 교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코일과, 상기 송신코일에 의해 발생한 교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수신코일과, 상기 송신코일에서 발생하는 교류 자기장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코일에서 수신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보안용지는 용지 전체에 걸쳐 불규칙적으로 산포된 다수의 도전성의 미세 금속편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미세 금속편은 도전성을 가져 자기장 속에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면 어떠한 종류의 금속이더라도 가능할 것이다. 일례로 용지에 함유된 금속편이 사용자에게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두께 0.1~3㎛, 길이 0.3~4㎝, 폭 0.1~0.5㎜의 금속 세편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도성 미세 금속편들이 산포된 보안용지는 인덕티브 센서로부터 발생된 1차 자기장이 급지되는 용지의 미세 금속편에 와전류(eddy current)를 유도시키고, 이 와전류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되는 자기장은, 인덕티브 센서에 의해 발생된 1차 자기장에 영향을 미쳐 그 세기를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인덕티브 센서는, 자신이 발생시킨 자기장의 세기의 변화 유무에 따라 보안용지 검출신호를 후술하는 감지부 및 마이크로콘트롤러(302)로 전송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가 적용되는 복합기에서 KCMY LED Head 또는 LSU(Laser Scanner Unit)를 통한 인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대전(Charging) 및 노광(Exposure)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의 (a)를 참조하면, 대전 롤러(Charging roller)(202)에 전압을 인가하여 OPC 드럼(OPC drum)(201)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대전시킨다. 이때 대전된 표면에는 토너(Toner)가 붙지 않게 된다. 그리고 OPC 드럼(201)이 회전하면서 대전된 부분이 KCMY LED Head(30)(또는 LSU(30))의 위치에 도달하면 KCMY LED Head(30)가 인쇄하려고 하는 이미지(Image)에 해당되는 빛을 OPC 드럼(201)의 대전된 표면에 주사하게 됨에 따라 이미지와 같은 형태의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된다. 도 5의 (b)는 현상(Development)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의 (b)를 참조하면, 토너통의 토너는 스펀지 롤러(Sponge roller)(205)에 묻어서 전압에 의해 대전된 현상 롤러(Developing roller)(204)로 옮겨지게 되고 현상 롤러(204)에 묻어 있는 토너는 KCMY LED head(30)의 노광에 의해 OPC 드럼(20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만 붙게 되고 나머지는 토너통으로 회수가 된다. 도 5의 (c)는 전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의 (c)를 참조하면 OPC 드럼(201)에 묻어 있는 토너는 T2 롤러(207)와의 전위차에 의해 전사 벨트(Transfer belt)(206)위의 인쇄용지(200)로 옮겨져 인쇄용지(200)위에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도 5의 (d)는 정착(Fusing)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5의 (d)를 참조하면, 인쇄용지(200)위의 토너는 고온으로 달궈진 히트 롤러(Heat roller)(210)에 의해 인쇄용지(200)에 융착이 되어 인쇄가 완료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제어장치는 복수개의 신호선 및 통신선을 포함하는 복합기의 펌웨어(400)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로서, 복합기 내부에서 복합기 펌웨어(400)로 가는 하나 이상의 신호선 또는 통신선을 중간에 받아서 그 신호 또는 데이터를 가공하고 가공된 신호 또는 데이터를 복합기 펌웨어(400)에 주는 마이크로콘트롤러(302); 마이크로콘트롤러(30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306); 하나 이상의 신호선 및 통신선과 연결될 수 있는 포트(303), GPIO(304) 및 스위칭부(305)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복합기 내의 소정위치에는 보안용지 감지센서(20)가 구비되며, 복합기의 제어장치(300)는 보안용지 감지센서(20)로부터 신호를 받는 하나 이상의 센싱IC(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IC(301)는 보안용지 감지IC이고, 보안용지 감지센서(20)로부터의 신호를 보안용지 감지IC를 통해 처리하여, 보안용지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마이크로콘트롤러(302)는 라이트 센서(22), 페이퍼인센서(21)와 연결되며, 라이트센서(22) 및 페이퍼인센서(21)의 신호는 마이크로콘트롤러(302)의 GPIO(304)로 수신되고, 보안용지 감지 여부에 따라 마이크로콘트롤러(302)가 GPIO(304)의 출력신호를 제어한다. 인쇄 작업의 진행은, 급지된 인쇄용지가 페이퍼인센서(21) 및 라이트 센서(22)를 지나면서 급지되는 인쇄용지의 신호가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40)로 전송되고, 그에 따라 KCMY LED Head(30) 또는 LSU(30)와의 연결이 온(ON)되면서 프린팅(인쇄) 작업이 진행된다. 마이크로콘트롤러(302)는 보안용지 여부에 따라 복합기에 구비된 펌웨어(400)에 신호를 주고 스위칭부(305)를 제어하여 KCMY LED Head(30) 또는 LSU(30)와의 연결을 온오프하게 되므로 프린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게 하거나 아예 진행되지 않게 한다. 즉, 보안용지로 감지되면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40)로부터 KCMY LED Head(30) 또는 LSU(30)로의 연결이 이루어져서 프린팅 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게 하고, 일반용지로 감지되면 KCMY LED Head(30) 또는 LSU(30)로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프린팅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마이크로콘트롤러(302)는 보안용지 감지센서(20)의 감지값에 따라 급지되는 인쇄용지가 보안용지인지 일반용지인지를 구별하여, 라이트 센서(22)로부터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40)로 가는 신호를 온오프함으로써 프린팅 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게 하거나 아예 진행되지 않게 한다. 즉, 보안용지로 감지되면 마이크로콘트롤러(302)는 라이트 센서(22)로부터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40)로 가는 신호를 정상적으로 보내서 프린팅 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게 하고, 일반용지로 감지되면 라이트 센서(22)로부터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40)로 가는 신호를 보내지 않도록 해서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40)가 복합기(100)의 미도시된 BLDC모터를 정지시켜 잼(Jam)이 걸리도록 하여 프린팅 작업이 진행되지 않도록 한다.
복합기 제어장치(300)는 전원부(306)에 의해 자체적으로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마이크로콘트롤러(302)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신호선 및 통신선과 연결될 수 있는 포트(303)는 I²C통신포트(331), RSS232포트(332),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포트(333), USB포트(33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싱IC(301)는 I²C통신포트(311)로 마이크로콘트롤러(302)에 구비된 I²C통신포트(333)를 통해 마이크로콘트롤러(302)와 통신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 제어장치(300)는 디스플레이부(307)를 추가로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307)는 마이크로콘트롤러(302)의 RS232포트(332)를 통해 마이크로콘트롤러(302)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 제어장치는 이더넷 통신모듈(308)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더넷 통신모듈(308)은 마이크로콘트롤러(302)의 RS232 포트(332)를 통해 마이크로콘트롤러(302)와 통신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308)을 추가로 포함하고,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308)은 마이크로콘트롤러(302)의 RS232 포트(332)를 통해 마이크로콘트롤러(302)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마이크로콘트롤러(302)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비된 포트(303)에서 적합한 포트를 통해 LCD와 같은 디스플레이부(307)를 통해 보안용지 여부와 인쇄하는 페이지 등의 정보를 표시해 줄 수 있으며, 복합기 외부에 설치된 서보나 단말기와 같은 기기와도 보안용지 여부, 인쇄하는 페이지 등 각종 인쇄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복합기 제어장치(300)는 복합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일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307)와 이더넷,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308)은 복합기 제어장치(300) 내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에서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8과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제어장치(300)는 마이크로콘트롤러(302)에 복합기(100) 본체와 통신할 수 있는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309)을 구비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309)은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포트일 수 있으며, 상기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309)은 슬레이브(Slave)로서 마스터(Master)인 복합기(100) 본체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복합기(100) 본체로부터 통신 data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CLOCK단자(391)와 복합기(100) 본체로부터 마스터 출력을 수신하는 SIMO(Slave In Master Out)(392)단자와 복합기(100) 본체로부터 통신하기 위한 장치를 선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SELECT단자(393)와 상기 펌웨어 비연동 복합기 제어장치(300)로부터 슬레이브(Slave) 출력을 복합기(100) 본체로 송신하기 위한 SOMI(Slave Out Master In)단자(394)와 슬레이브(Slave)로서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309)이 준비되었음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복합기(100) 본체로 송신하는 READY단자(395)를 구비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에서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마스터(Master)인 복합기(100) 본체의 SPI통신 정책에 따라서 1회 데이터(Data) 전송시 마다 마지막 타이밍을 하이(High)신호로 마무리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도록 SOMI단자(394) 및 READY단자(395)에 각각 연결되는 별도의 스위치(396, 397)를 구비한다. 따라서, 마이크로콘트롤러(302)는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308)을 제어하여 복합기(100) 본체와 통신할 때 1회 데이터(Data) 전송시 마다 마지막 타이밍이 하이(High)가 되도록 스위치(396, 397)를 스위칭하여 마스터(Master)인 복합기(100) 본체의 SPI통신 정책에 따라 대응하여 통신할 수 있다. 마스터(Master)인 복합기(100) 본체의 SIP통신 정책에 따라서는 도 9에 도시한 일 실시예와 같이 SOMI단자(394) 및 READ단자(395)에 연결되는 스위치(396, 397)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의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에서 통신 프로토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제어장치(300)가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309)을 통해서 복합기(100) 본체와 통신을 하기 위해서 우선 피니셔(5)가 장착되어 있을 때의 통신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프로토콜 테이블(Protocol Table)을 만든다. 이 프로토콜 테이블(Protocoal Table)을 기준으로 상술한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309)이 슬레이브(Slave)로서 마스터(Master)인 복합기(100) 본체에서 커맨드(Command)가 SIMO단자(392)로 전송될 때 그 커맨드(Command)에 해당하는 데이터(Data)를 가상 피니셔 통신블럭(309)의 SOMI단자(394)로부터 복합기(100) 본체로 전송하여 통신을 유지시켜 복합기(100) 본체가 피니셔(Finisher)(5)가 정상 동작하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한다. 따라서, 펌웨어 연동방식의 복합기에서 필요에 따라 피니셔(5)를 제거하고 봉함기와 같은 별도의 가공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300)를 사용하여 복합기(100) 본체와 가상 통신을 할 수 있어서, 별도의 가공장치를 펌웨어 연동방식의 복합기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의 제어장치는 센싱IC(301)의 보안용지 여부 판단에 따라, 마이크로콘트롤러(302)가 복합기의 펌웨어에 신호를 주지 않고, GPIO(304)를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HVPS(HIGH VOLTAGE POWER SUPPLY)(5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이크로콘트롤러(302)는 보안용지 감지센서(20)로부터 신호에 의해 센싱IC(301)가 인쇄용지를 일반용지로 판단하면 GPIO(304)를 통해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40)로부터 T2전압 제어신호를 수신하고 GPIO(304)를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HVPS(HIGH VOTAGE POWER SUPPLY)(50)에서 T2롤러(207)로 전사 벨트(206)와 T2롤러(207) 사이의 전위와 역전위가 되도록 전압을 인가하게 제어한다. 따라서, 일반 용지라고 판단되면 해당 화상이 전사 벨트(206)에서 인쇄용지로 이동하지 않도록, 전사 벨트(206)에서 인쇄용지로 토너가 이동하도록 하는 전사 벨트(206)와 T2롤러(207) 사이의 전위차와 반대가 되는 전위차를 걸어 주게 되어 인쇄용지로로 이동하는 토너의 양을 급격히 줄일 수 있게 됨으로 일반용지에 화상의 잔상이 나타나지 않고 백지로 출력할 수 있다.
1, 7, 100 : 복합기 200 : 인쇄용지
300 : 복합기의 제어장치 400 : 복합기의 펌웨어
2 : 사용자 단말기 3 : 보안용지 센서
4 : 펌웨어 5 : 피니셔(Finisher)
6 : 브릿지(Bridge) 8 : 대용량 유닛
10 : 탑커버 20 : 보안용지 감지센서
30 : KCMY LED Head, LSU(Laser Scanner Unit)
40 :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
50 : HVPS(HIGH VOLTAGE POWER SUPPLY)
11 : 프론트커버 12 : 카세트
13 : 인쇄용지출구 14 : MPT 클러치
15, 19 : 페이퍼 피드 롤러(Paper feed roller)
15-1 : 페이퍼 피드 모터(Paper feed motor)
16 : 제1클러치
17 :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Registration clutch)
17-1 : 레지스트레이션 롤러(Registration roller)
18 : 페이퍼 피드 센서(Paper feed sensor)
19-1 : 세퍼레이션 롤러(Separation roller)
21 : 페이퍼인센서(Paper in sensor)
22 : 라이트 센서(Write sensor)
201 : OPC 드럼 (OPC drum) 202 : 대전 롤러(Charging roller)
203 : 파워 서플라이 유닛(Power supply unit)
204 : 현상 롤러(Developing roller)
205 : 스펀지 롤러(Sponge roller)
206 : 전사 벨트(Transfer belt)
207 : T2 롤러
208 : 서모스탯(Thermostat) 209 : 제1 서미스터(Thermistor)
210 : 히트 롤러(Heat roller) 212 : 팻(Pat)
213 : 퓨저 벨트(Fuser belt) 214 : 제2 서미스터(Thermistor)
301 : 센싱IC 311 : I²C통신포트
302 : 마이크로콘트롤러 303 : 포트
331 : I²C통신포트 332 : RS232포트
333 : SPI포트 334 : USB포트
304 :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305 : 스위칭부 306 : 전원부
307 : 디스플레이부
308 : 이더넷(Ethernet) 또는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
309 : 가상 피니셔 통신블록 391 : CLOCK단자
392 : SIMO단자 393 : SELECT단자
394 : SOMI단자 395 : READY단자
396, 397 : 스위치

Claims (15)

  1. 급지 경로상에서 인쇄용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급지 경로상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센서와, 인쇄용지에 인쇄하려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KCMY LED Head 또는 LSU와, 상기 복수개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KCMY LED Head 또는 LSU로 인쇄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와, 상기 복수개의 센서와 상기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신호선 및 상기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와 상기 KCMY LED Head 또는 LSU를 연결하는 통신선을 포함하는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로서,
    마이크로콘트롤러(MCU)와,
    복합기 내에 제공되는 프린터 엔진 콘트롤러로부터, 복합기 내에 제공되는 KCMY LED Head 또는 LSU로의 통신선의 연결을 온/오프(ON/OFF) 스위칭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되,
    마이크로콘트롤러가, 판단에 따라 스위칭부를 온(ON)시켜서 급지된 인쇄용지에 대해 프린팅 작업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배출되게 하거나 스위칭부를 오프(OFF)시켜서 급지된 인쇄용지에 대해 프린팅 작업이 진행되지 않은 채로 배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제어장치는, 포트 및 GPIO(General Purposed Input Output) 중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고,
    포트는, I²C통신포트, RS232포트, SPI포트, USB 포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마이크로콘트롤러는 디스플레이부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이더넷 통신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이더넷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마이크로콘트롤러는 와이파이(Wifi) 통신모듈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합기는 프린터, 팩스, 복사기, 스캐너 개별 기능만을 구현하거나 이들의 기능을 통합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어장치가 설치된 프린터, 팩스, 복사기, 스캐너 개별 기능만을 구현하거나 이들의 기능을 통합한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00006536A 2017-05-23 2020-01-17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KR102189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498A KR102364798B1 (ko) 2017-05-23 2020-12-03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63370 2017-05-23
KR1020170063370 2017-05-2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039A Division KR102073816B1 (ko) 2017-05-23 2018-04-27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498A Division KR102364798B1 (ko) 2017-05-23 2020-12-03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109A KR20200009109A (ko) 2020-01-29
KR102189007B1 true KR102189007B1 (ko) 2020-12-09

Family

ID=64671101

Famil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168A KR101929128B1 (ko) 2017-05-23 2017-08-24 보안 용지용 인쇄 장치
KR1020170107167A KR101946408B1 (ko) 2017-05-23 2017-08-24 보안용지용 인쇄 장치
KR1020180049039A KR102073816B1 (ko) 2017-05-23 2018-04-27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KR1020180049041A KR102060387B1 (ko) 2017-05-23 2018-04-27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와 보안 제어방법
KR1020180049040A KR102124902B1 (ko) 2017-05-23 2018-04-27 보안용지용 인쇄장치
KR1020180156378A KR102155429B1 (ko) 2017-05-23 2018-12-06 보안 용지용 인쇄 장치
KR1020190012606A KR102155437B1 (ko) 2017-05-23 2019-01-31 보안용지용 인쇄 장치
KR1020200006536A KR102189007B1 (ko) 2017-05-23 2020-01-17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KR1020200045463A KR102318074B1 (ko) 2017-05-23 2020-04-14 보안 용지용 인쇄 장치
KR1020200167498A KR102364798B1 (ko) 2017-05-23 2020-12-03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7168A KR101929128B1 (ko) 2017-05-23 2017-08-24 보안 용지용 인쇄 장치
KR1020170107167A KR101946408B1 (ko) 2017-05-23 2017-08-24 보안용지용 인쇄 장치
KR1020180049039A KR102073816B1 (ko) 2017-05-23 2018-04-27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KR1020180049041A KR102060387B1 (ko) 2017-05-23 2018-04-27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와 보안 제어방법
KR1020180049040A KR102124902B1 (ko) 2017-05-23 2018-04-27 보안용지용 인쇄장치
KR1020180156378A KR102155429B1 (ko) 2017-05-23 2018-12-06 보안 용지용 인쇄 장치
KR1020190012606A KR102155437B1 (ko) 2017-05-23 2019-01-31 보안용지용 인쇄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463A KR102318074B1 (ko) 2017-05-23 2020-04-14 보안 용지용 인쇄 장치
KR1020200167498A KR102364798B1 (ko) 2017-05-23 2020-12-03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787006B2 (ko)
KR (10) KR101929128B1 (ko)
CN (1) CN110662654B (ko)
TW (1) TWI7626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71517A (zh) * 2016-06-01 2021-12-10 厦门理工学院 一种打印机碳带防伪方法及打印机
KR101929128B1 (ko) * 2017-05-23 2018-12-13 이명신 보안 용지용 인쇄 장치
JP7386554B2 (ja) * 2018-11-01 2023-11-27 イ,ミョンシン ベルト転写方式の複合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581682B1 (ko) * 2020-08-13 2023-09-22 이명신 복합기의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4058B1 (ko) * 1992-06-26 1996-10-12 삼성전자 주식회사 페이지 프린터의 엔진 구동 방법
CN1094836C (zh) * 1996-05-22 2002-11-2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记录媒体的信息检测装置及信息检测方法
CN1133544C (zh) * 1999-02-04 2004-01-0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被打印物检测装置和被打印物检测方法
EP1464508B1 (en) * 2002-01-11 2010-08-1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formation apparatus
US7120272B2 (en) * 2002-05-13 2006-10-10 Eastman Kodak Company Media detecting method and system for an imaging apparatus
KR100490662B1 (ko) * 2003-07-01 2005-05-24 주식회사 테크리더 카드를 이용한 인쇄기기의 제어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2005255358A (ja) 2004-03-12 2005-09-22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用紙分別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US7689249B2 (en) * 2005-09-19 2010-03-30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Printing a security identification using a mobile device
KR20070112652A (ko) 2006-05-22 2007-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쇄용지 판별장치 및 방법
JP4950914B2 (ja) * 2008-02-19 2012-06-13 株式会社東芝 画像読取装置、画像読取方法、及び、紙葉類処理装置
JP5245511B2 (ja) * 2008-04-18 2013-07-24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10240893A (ja) * 2009-04-01 2010-10-28 Seiko Epson Corp 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における搬送制御方法
JP5509055B2 (ja) * 2009-12-24 2014-06-04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77954B2 (ja) * 2010-02-24 2014-04-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のヘッド調整方法
KR101174078B1 (ko) 2010-07-12 2012-08-14 (주) 유니콤티디 보안용 인쇄용지 구별장치
KR20120021207A (ko) 2010-08-30 2012-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컬러 화상형성장치 및 이에 포함되는 제어보드
KR101268560B1 (ko) 2011-04-12 2013-05-28 주식회사 코레이트 인쇄장치
KR101265900B1 (ko) 2011-07-07 2013-05-20 (주) 유니콤티디 보안용지 인쇄장치의 용지 수납장치
KR101278388B1 (ko) * 2011-08-18 2013-06-24 (주) 유니콤티디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195116B1 (ko) * 2011-12-16 2012-10-29 (주) 유니콤티디 태그가 구비된 기능성 용지 식별용 인쇄장치
JP5858848B2 (ja) * 2012-03-30 2016-02-1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印刷装置
KR20140125610A (ko) * 2013-04-19 2014-10-29 주식회사 코레이트 인쇄용지 감지장치 및 인쇄제어방법
US9792434B1 (en) * 2014-01-17 2017-10-17 Knightscop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ty data analysis and display
WO2016056139A1 (ja) * 2014-10-10 2016-04-14 株式会社Pfu 給紙装置
KR101753177B1 (ko) * 2015-04-28 2017-07-20 주식회사신도리코 내장형 보안용지 검출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의 화상 형성 방법
KR101688634B1 (ko) 2015-04-28 2016-12-23 주식회사신도리코 외장형 보안용지 검출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의 화상 형성 방법
US9763089B2 (en) * 2015-06-23 2017-09-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tecting sensitive data in a security area
KR101734222B1 (ko) 2015-09-17 2017-05-11 (주) 유니콤티디 일반 용지 인쇄 제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KR101700166B1 (ko) 2016-07-14 2017-01-26 아크로웰 주식회사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한 프린터의 보안용지 식별장치
KR101929128B1 (ko) * 2017-05-23 2018-12-13 이명신 보안 용지용 인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387B1 (ko) 2019-12-30
KR102364798B1 (ko) 2022-02-18
KR102124902B1 (ko) 2020-06-19
CN110662654A (zh) 2020-01-07
TWI762646B (zh) 2022-05-01
KR20200009109A (ko) 2020-01-29
KR101929128B1 (ko) 2018-12-13
KR20180128344A (ko) 2018-12-03
TW201900435A (zh) 2019-01-01
KR20180133364A (ko) 2018-12-14
KR20190014057A (ko) 2019-02-11
US11345168B2 (en) 2022-05-31
KR20180128343A (ko) 2018-12-03
US10787006B2 (en) 2020-09-29
KR20180128326A (ko) 2018-12-03
KR101946408B1 (ko) 2019-02-11
KR102155429B1 (ko) 2020-09-11
KR102318074B1 (ko) 2021-10-27
KR20180128342A (ko) 2018-12-03
KR20200043330A (ko) 2020-04-27
CN110662654B (zh) 2022-11-22
KR102155437B1 (ko) 2020-09-14
KR102073816B1 (ko) 2020-02-25
KR20200138139A (ko) 2020-12-09
US20210316557A1 (en) 2021-10-14
KR20180128325A (ko) 2018-12-03
US20200086663A1 (en) 202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9007B1 (ko) 복합기의 펌웨어와 별개로 설치될 수 있는 복합기의 제어장치
CN109856933A (zh) 具有调节负载电力的电源装置和图像形成装置
TWI773760B (zh) 多功能印表機控制裝置
KR20220029475A (ko) 보안용지와 일반용지의 선택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보안프린터 제어장치 및 보안프린터
TWI793045B (zh) 多功能印表機控制裝置及多功能印表機
KR102195324B1 (ko) 벨트전사방식의 복합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11230123B2 (en) Printer for security paper
KR20200144532A (ko) 벨트전사방식의 복합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35778B1 (ko)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
KR102282251B1 (ko) 보안용지를 사용하는 복합기의 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US2011029986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JP5867028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2016212247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