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778B1 -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 - Google Patents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778B1
KR102135778B1 KR1020180119767A KR20180119767A KR102135778B1 KR 102135778 B1 KR102135778 B1 KR 102135778B1 KR 1020180119767 A KR1020180119767 A KR 1020180119767A KR 20180119767 A KR20180119767 A KR 20180119767A KR 102135778 B1 KR102135778 B1 KR 102135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ecurity paper
printing
security
wav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031A (ko
Inventor
이명신
Original Assignee
이명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신 filed Critical 이명신
Priority to KR102018011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7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4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Detecting type of paper, e.g. by automatic reading of a code that is printed on a paper package or on a paper roll or by sensing the grade of translucency of the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3/00Indicating, counting, warning, control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6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on both faces of the printing material

Landscapes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안용지와 일반용지를 구별하여 인쇄되도록 구성된 복합기, 프린터, 팩스, 복사기에 있어서 용지를 양면인쇄할 경우 보안용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보안용지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은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출력하는 파형이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하는 지 판단하는 단계;와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출력하는 파형이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한 후 일정값 이상 상승하는 제2기준점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SECURITY PAPER DETECTION METHOD FOR PRINTING APPARATUS FOR SECURITY PAPER}
본 발명은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보안용지와 일반용지를 구별하여 인쇄되도록 구성된 복합기, 프린터, 팩스, 복사기에 있어서 용지를 양면 인쇄할 경우 보안용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보안용지 감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인쇄장치란 프린터, 팩스, 복사기, 스캐너의 기능을 통합한 복합기뿐만 아니라, 프린터, 팩스, 복사기, 스캐너 개별 기능만을 구현하는 장치도 포함한다.
최근, 기업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기업의 문서 유출에 대한 보안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서 유출에 대한 보안 방안으로서 최근에는 보안용지를 적용한 문서보안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보안용지는, 용지(인쇄용지)에 특수물질을 삽입하거나 특수물질을 사용하여 인쇄되어진 것으로, 아모르퍼스나 그와 유사한 비정질(non-crystalline state 또는 amorphous), 자성물질(합금), 나노 사이즈의 금속와이어, 자기공명의 특성을 가진 소재의 물질을 사용하여 특정주파수에 공진하여 물질의 특성을 구별할 수 있는 신호를 발생하는 용지(인쇄용지)를 말한다.
이러한 보안용지는, 전자기 방식(EM, Electromagnetic)의 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즉 센서에 의해 발생된 교류 자기장에 보안용지내의 연자성 물질이 접근하게 되면 교류 자기장에 변화가 발생하고, 이러한 변화로 발생되는 고주파의 스펙트럼을 검출하여 보안용지 여부를 검출하게 된다. 이러한 센서는 교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송신코일과, 상기 송신코일에 의해 발생한 교류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하는 수신코일과, 상기 송신코일에서 발생하는 교류 자기장을 제어하고, 상기 수신코일에서 수신하는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르게는 보안용지는 용지 전체에 걸쳐 불규칙적으로 산포된 다수의 도전성의 미세 금속편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미세 금속편은 도전성을 가져 자기장 속에서 유도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이면 어떠한 종류의 금속이더라도 가능할 것이다. 일례로 용지에 함유된 금속편이 사용자에게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크기를 가질 수 있는데, 예컨대, 두께 0.1~3㎛, 길이 0.3~4㎝, 폭 0.1~0.5㎜의 금속 세편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도성 미세 금속편들이 산포된 보안 용지는 인덕티브 센서로부터 발생된 1차 자기장이 급지되는 용지의 미세 금속편에 와전류(eddy current)를 유도시키고, 이 와전류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되는 자기장은, 인덕티브 센서에 의해 발생된 1차 자기장에 영향을 미쳐 그 세기를 변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인덕티브 센서는, 자신이 발생시킨 자기장의 세기의 변화 유무에 따라 보안용지 검출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로 전송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보안용지 감지센서를 이용해 보안용지를 감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단면 인쇄시 일반용지 센싱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은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단면 인쇄시 보안용지 센싱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보안용지 감지센서(20)에서 인쇄용지(200)에 대한 감지신호를 제어부(30)에 전송하면, 제어부(30)에서는 감지신호에 따라 보안용지인지 판단하고, 보안용지인 경우 데이터(Data)를 LSU(Laser Scanner Unit)(40)에 전송하도록 제어하면, LSU(40)가 OPC 드럼(OPC drum)(201)에 노광하여 인쇄를 하게 되는데, 보안용지 감지센서(20)와 인쇄용지(200)로 미도시된 토너가 옮겨지는 지점과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보안용지 감지센서(20)가 인쇄용지(200)를 감지하는 용지 판단 구간이 설정되어 있다. 만약 용지 판단 구간이 너무 길게 되면, 보안용지 감지센서(20)가 보안용지인지 판단하기 전에 인쇄용지로 토너가 옮겨지는 지점에 인쇄용지(200)가 도달하거나 뒤이어 피딩되는 인쇄용지(200)에 영향을 미쳐서 보안용지를 감지하기 어렵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들어,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보안용지 감지센서(20)가 인쇄용지(200)를 감지하는 용지 판단 구간이 설정되어 있으며,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기종에 따라 다소 용지 판단 구간이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용지(200)를 단면 인쇄할 때 인쇄용지(200)가 일반용지인 경우는 보안용지 감지센서(20)에서 용지 판단 구간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는 도 2와 같은 센싱 파형을 나타내며, 기설정되어 있는 센싱 포인트에 센싱 파형이 접촉하지 않고 완만한 파형을 나타내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쇄용지(200)를 단면 인쇄할 때 인쇄용지(200)가 보안용지인 경우는 보안용지 감지센서(20)에서 용지 판단 구간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는 도 3과 같은 센싱 파형을 나타내며, 기설정되어 있는 센싱 포인트에 센싱 파형이 하강하면서 접촉한 후 연속적으로 상승 및 하강하는 파형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30)에서는 보안용지 감지센서(20)에서 용지 판단 구간에 감지한 감지신호의 센싱 파형이 기설정되어 있는 센싱 포인트에 접촉하면 보안용지로 판단하고, 감지신호의 센싱 파형이 센싱 포인트에 접촉하지 않으면 일반용지로 판단한다.
도 4는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양면 인쇄시 일반용지 센싱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는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양면 인쇄시 보안용지 센싱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쇄용지(200)를 양면 인쇄할 때, 즉 인쇄용지(200)를 단면 인쇄한 후 다른 쪽 단면을 인쇄할 때 인쇄용지(200)가 일반용지인 경우는 보안용지 감지센서(20)에서 용지 판단 구간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는 도 4와 같은 센싱 파형을 나타내며, 용지 판단 구간에서 파형이 하강하면서 기설정되어 있는 센싱 포인트에 센싱 파형이 접촉하게 된다. 이러한 파형이 나타나는 이유는 단면 인쇄 과정에서 인쇄용지(200)가 보안용지용 인쇄장치(100)에서 열에 의해 인쇄용지(200)의 온도가 올라간 상태에서 양면 인쇄를 하면 인쇄용지(200)의 온도에 의해 보안용지 감지센서(20)에서 감지하는 파형이 단면 인쇄 때와는 달라지게 되기 때문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쇄용지(200)를 양면 인쇄할 때 인쇄용지(200)가 보안용지인 경우는 보안용지 감지센서(20)에서 용지 판단 구간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는 도 5와 같은 센싱 파형을 나타내며, 센싱 파형이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며 기설정되어 있는 센싱 포인트에 접촉하면서 하강 또는 상승하는 파형을 나타내게 된다.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쇄용지(200)를 단면 인쇄할 경우는 보안용지 감지센서(20)에서 용지 판단 구간에 감지한 감지신호의 센싱 파형이 기설정되어 있는 센싱 포인트에 접촉하면 보안용지로 판단하고, 감지신호의 센싱 파형이 센싱 포인트에 접촉하지 않으면 일반용지로 판단할 수 있지만, 인쇄용지(200)를 양면 인쇄할 경우는 이러한 방법으로 판단하는 경우 일반용지와 보안용지를 정확히 구별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용지 감지센서를 적용한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인쇄용지를 양면 인쇄할 경우 보안용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은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출력하는 파형이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출력하는 파형이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한 후 일정값 이상 상승하는 제2기준점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양면 인쇄시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출력하는 파형이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한 후 일정값 이상 상승하는 제2기준점이 있으면 보안용지로 판단하고, 제2기준점이 없으면 일반용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양면 인쇄시 일반용지로 판단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백지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양면 인쇄시 일반용지로 판단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잼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예에 따라, 양면 인쇄시 일반용지로 판단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안용지 감지센서를 적용한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용지를 양면 인쇄할 경우에도 보안용지 여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보안용지 감지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보안용지 감지센서를 이용해 보안용지를 감지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단면 인쇄시 일반용지 센싱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3은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단면 인쇄시 보안용지 센싱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4는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양면 인쇄시 일반용지 센싱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5는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양면 인쇄시 보안용지 센싱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인쇄용지가 피딩되는 경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인쇄용지가 피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LSU(Laser Scanner Unit)를 통한 인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양면 인쇄시 일반용지를 판단하는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양면 인쇄시 보안용지를 판단하는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보안용지 감지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인쇄용지가 피딩되는 경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인쇄용지가 피딩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인쇄장치란 프린터, 팩스, 복사기, 스캐너의 기능을 통합한 복합기뿐만 아니라, 프린터, 팩스, 복사기, 스캐너 개별 기능만을 구현하는 장치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복합기는 프린터, 팩스, 복사기, 스캐너의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것을 가리키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설명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급지되는 인쇄용지가 일반 용지인지 보안 용지인지를 구별하여 그에 따라 인쇄(프린팅)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므로, 복합기가 아닌 프린터, 팩스 혹은 복사기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되어도 될 것이다. 즉, 프린터로만 기능하거나 복사기로만 기능하더라도 급지되는 인쇄용지에 따라 본 발명에서 아래의 설명에 의한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면,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것이다. 다르게는 이상의 모든 기능을 구현하는 통상의 복합기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것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수동급지(MT) 또는 다목적급지(MPT)의 경우 보안용지용 인쇄장치(100)의 프론트 커버(11)를 열고 수동급지(MT)를 하거나, 미 도시된 다목적급지(MPT)로 인쇄용지를 급지하면 페이퍼 피드 모터(Paper feed motor)(15-1)가 회전을 시작한 뒤에 MPT 클러치(14)가 온(ON)되어 수동급지 트레이의 페이퍼 피드 롤러(Paper feed roller)(15)가 회전하게 되고, 인쇄용지는 수동급지 트레이로부터 피딩되어 들어 오게 된다. 수동급지 트레이에서 이송된 인쇄용지가 페이퍼인센서(Paper in sensor)(21)를 온(ON)시키면 인쇄용지의 스큐(Skew)를 보정하기 위하여 인쇄용지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Registration roller)(17-1)를 칠 정도로 특정거리만큼 더 진행시킨다. 그리고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Registration clutch)(17)를 온(ON)시켜 상기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7-1)가 인쇄용지를 이송하게 하도록 한다. 인쇄용지의 이송에 의해 라이트 센서(Write sensor)(22)가 온(ON)되면 LED 헤드가 동작하여 OPC에 노광을 시작하게 되며, OPC의 노광된 부분에 토너가 붙어 OPC가 회전 하면서 이송되고 있는 인쇄용지로 옮겨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인쇄용지는 탑커버(10) 일측의 인쇄용지출구(13)로 배출되게 된다.
카세트(12)에서 인쇄용지가 급지되는 경우는 페이퍼 피드 모터(15-1)가 회전을 시작한 뒤에 제1클러치(16)가 온(ON)되어 카세트(12)의 페이퍼 피드 롤러(Paper feed roller)(19)가 회전하게 되고, 인쇄용지는 상기 페이퍼 피드 롤러(19)와 세퍼레이션 롤러(Separation roller)(19-1)에 의해 카세트(12)의 트레이로부터 올라 오게 된다. 이때 페이퍼 피드 센서(Paper feed sensor)(18)가 상기 페이퍼 피드 롤러(19)에 의해서 올라온 인쇄용지에 의해 온(ON)되면 인쇄용지 피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인지하고 상기 제1클러치(16)를 오프(OFF)시켜 인쇄용지 픽업 동작을 중지하고 인쇄용지를 페이퍼인센서(21)까지 이송시킨다. 상기 카세트(12)의 트레이에서 이송된 인쇄용지가 상기 페이퍼인 센서(21)를 온(ON)시키면 인쇄용지의 스큐(Skew)를 보정하기 위하여 인쇄용지를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7-1)를 칠 정도로 특정거리만큼 더 진행시킨다. 그리고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17)를 온(ON)시켜 상기 레이스트레이션 롤러(17-1)가 인쇄용지를 이송하게 하도록 한다. 인쇄용지의 이송에 의해 라이트 센서(22)가 온(ON)되면 LED 헤드가 동작하여 OPC에 노광을 시작하게 되며, OPC 드럼의 노광된 부분에 토너가 붙어 OPC 드럼이 회전하면서 이송되고 있는 인쇄용지로 옮겨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인쇄용지는 탑커버(10) 일측의 인쇄용지출구(13)로 배출되게 된다. 여기에서 페이퍼인센서(21)의 출력형태는 하이(High), 로우(Low) 전압이며 페이퍼인센서(21)의 역할은 수동급지 트레이 또는 카세트(12)의 트레이로부터 인쇄용지가 해당 위치까지 도달했는가에 대한 판단을 하며, 레지스트레이션(Registration)을 위하여 레지스트레이션 롤러(17-1)까지 일정거리를 더 진입시킬 때 해당거리의 기준점이 된다. 라이트 센서(22)는 노광을 시작할지 여부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센서로, 통상적으로는 인쇄 용지가 급지 경로상에서 라이트 센서(22)를 지나면서 라이트 센서(22)가 인쇄 용지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신호를 발생시키면 노광이 시작된다. 즉, 라이트 센서(22)는 급지 경로상에서 상대적으로 급지 후방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용지 감지센서(20)가 인쇄용지의 급지 경로에 위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안용지 감지센서(20)가 인쇄용지의 급지 경로에서 페이퍼인센서(21)와 라이트 센서(22)의 사이에 위치한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LSU(Laser Scanner Unit)를 통한 인쇄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는 대전(Charging) 및 노광(Exposure)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8의 (a)를 참조하면, 대전 롤러(Charging roller)(202)에 전압을 인가하여 OPC 드럼(OPC drum)(201)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대전시킨다. 이때 대전된 표면에는 토너(Toner)가 붙지 않게 된다. 그리고 OPC 드럼(201)이 회전하면서 대전된 부분이 LSU(40)의 위치에 도달하면 LSU(40)가 인쇄하려고 하는 이미지(Image)에 해당되는 빛을 OPC 드럼(201)의 대전된 표면에 주사하게 됨에 따라 이미지와 같은 형태의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된다. 도 8의 (b)는 현상(Development)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8의 (b)를 참조하면, 토너통의 토너는 스펀지 롤러(Sponge roller)(205)에 묻어서 전압에 의해 대전된 현상 롤러(Developing roller)(204)로 옮겨지게 되고 현상 롤러(204)에 묻어 있는 토너는 LSU(40)의 노광에 의해 OPC 드럼(201)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만 붙게 되고 나머지는 토너통으로 회수가 된다. 도 8의 (c)는 전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8의 (c)를 참조하면 OPC 드럼(201)에 묻어 있는 토너는 T2롤러(207)와의 전위차에 의해 전사벨트(206)위의 인쇄용지(200)로 옮겨져 인쇄용지(200)위에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 도 8의 (d)는 정착(Fusing)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8의 (d)를 참조하면, 인쇄용지(200)위의 토너는 고온으로 달궈진 히트 롤러(Heat roller)(210)에 의해 인쇄용지(200)에 융착이 되어 인쇄가 완료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양면 인쇄시 일반용지를 판단하는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양면 인쇄시 보안용지를 판단하는 감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9와 도 10을 참조하면, 인쇄용지(200)를 양면 인쇄할 때, 인쇄용지(200)가 일반용지인 경우는 보안용지 감지센서(20)에서 용지 판단 구간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는 도 9와 같은 센싱 파형을 나타내며, 용지 판단 구간에서 파형이 하강하면서 기설정되어 있는 센싱 포인트에 센싱 파형이 접촉하게 된다. 또한 인쇄용지(200)를 양면 인쇄할 때 인쇄용지(200)가 보안용지인 경우는 보안용지 감지센서(20)에서 용지 판단 구간에서 감지한 감지신호는 도 10와 같은 센싱 파형을 나타내며, 센싱 파형이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며 기설정되어 있는 센싱 포인트에 접촉하면서 하강 또는 상승하는 파형을 나타내게 된다. 도 9와 도10에 나타난 센싱 파형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용지의 경우는 센싱 파형이 용지 판단 구간에서 일정하게 하강하는 반면 보안용지의 경우는 센싱 파형이 일정부분 하강 후 하강과 상승을 반복하며, 본 발명에 따른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은 이러한 센싱 파형의 특성을 이용하여 보안용지 여부를 판단하며, 용지를 판단하는 구간에서 센싱 파형의 데이터값이 센싱포인트와 접촉하는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 후, 일정값 이상 상승하는 제2기준점이 있으면 보안용지로 판단한다.
상기 제2기준점의 센싱 파형의 데이터값은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Figure 112018099019124-pat00001
Xn: 제2기준점의 데이터값, k: 일정 값(상수), Xn-1: 이전 데이터값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에서 보안용지 감지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30)에서는 단면 인쇄인지 양면 인쇄인지 판단하여, 양면 인쇄인 경우 용지 판단 구간에서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출력하는 파형이 기설정한 센싱포인트와 접촉하는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하는지 판단하여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하면 기설정한 일정값 이상 상승하는 제2기준점이 있는지 판단한다. 제어부(30)에서는 만약 용지 판단 구간에서 보안용지 감지센서(20)에서 출력하는 파형이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한 후 일정값 이상 상승하는 제2기준점이 있으면 보안용지로 판단하고, 용지 판단 구간에서 보안용지 감지센서(20)에서 출력하는 파형이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한 후 제2기준점이 없으면 일반용지로 판단한다. 제어부(30)는 인쇄용지(200)가 일반용지로 판단되면 보안용지용 인쇄장치(100)를 제어하여 백지출력하도록 하거나 잼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경고수단을 통해 경고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여 일반용지임을 알릴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보안용지용 인쇄장치 200 : 인쇄용지
10 : 탑커버 20 : 보안용지 감지센서
30 : 제어부 40 : LSU(Laser Scanner Unit)
11 : 프론트커버 12 : 카세트
13 : 인쇄용지출구 14 : MPT 클러치
15, 19 : 페이퍼 피드 롤러(Paper feed roller)
15-1 : 페이퍼 피드 모터(Paper feed motor)
16 : 제1클러치
17 : 레지스트레이션 클러치(Registration clutch)
17-1 : 레지스트레이션 롤러(Registration roller)
18 : 페이퍼 피드 센서(Paper feed sensor)
19-1 : 세퍼레이션 롤러(Separation roller)
21 : 페이퍼인센서(Paper in sensor)
22 : 라이트 센서(Write sensor)
23 : 스위치
201 : OPC 드럼 (OPC drum)
202 : 대전 롤러(Charging roller)
203 : 파워 서플라이 유닛(Power supply unit)
204 : 현상 롤러(Developing roller)
205 : 스펀지 롤러(Sponge roller)
206 : 전사 벨트(Transfer belt)
207 : T2 롤러
208 : 서모스탯(Thermostat) 209 : 제1 서미스터(Thermistor)
210 : 히트 롤러(Heat roller) 212 : 팻(Pat)
213 : 퓨저 벨트(Fuser belt) 214 : 제2 서미스터(Thermistor)

Claims (5)

  1. 용지 판단 구간에서, 인쇄용지에 대해 보안용지 감지센서가 감지한 센싱 파형이 미리 정해진 센싱 포인트에 접촉하는지 여부에 의해 인쇄 용지가 보안용지인지 보안용지가 아닌 일반용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에 있어서,
    양면 인쇄에서 일면이 인쇄된 후에 타면에 인쇄되기 전에 용지 판단 구간에서 인쇄용지를 감지하는 경우,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출력하는 파형이 용지 판단 구간에서 센싱 포인트에 대응하는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출력하는 파형이 용지 판단 구간에서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한 후 일정값 이상 상승하는 제2기준점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보안용지 감지센서에서 출력하는 파형이 용지 판단 구간에서, 제1기준점 이하로 하강한 후, 일정값 이상 상승하는 제2기준점이 있는 경우에만 보안용지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일반용지로 판단되면 백지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일반용지로 판단되면 잼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일반용지로 판단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
KR1020180119767A 2018-10-08 2018-10-08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 KR102135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767A KR102135778B1 (ko) 2018-10-08 2018-10-08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767A KR102135778B1 (ko) 2018-10-08 2018-10-08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031A KR20200040031A (ko) 2020-04-17
KR102135778B1 true KR102135778B1 (ko) 2020-07-20

Family

ID=70460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767A KR102135778B1 (ko) 2018-10-08 2018-10-08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77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2960B1 (ko) * 2016-01-14 2017-09-28 아크로웰 주식회사 보안 용지에의 인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031A (ko) 2020-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55437B1 (ko) 보안용지용 인쇄 장치
JP2012145858A (ja) 画像形成装置
KR102135778B1 (ko) 보안용지용 인쇄장치의 보안용지 감지방법
US875073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fuser thereof
TWI773760B (zh) 多功能印表機控制裝置
KR20220029475A (ko) 보안용지와 일반용지의 선택적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보안프린터 제어장치 및 보안프린터
US11230123B2 (en) Printer for security paper
US2020031031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282251B1 (ko) 보안용지를 사용하는 복합기의 보안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KR20200050435A (ko) 벨트전사방식의 복합기 및 그의 제어방법
JP200326299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3062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48295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定着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