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388B1 -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388B1
KR101278388B1 KR1020110082370A KR20110082370A KR101278388B1 KR 101278388 B1 KR101278388 B1 KR 101278388B1 KR 1020110082370 A KR1020110082370 A KR 1020110082370A KR 20110082370 A KR20110082370 A KR 20110082370A KR 101278388 B1 KR101278388 B1 KR 101278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aper
printing
paper
security
t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2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20019A (ko
Inventor
최연석
방완주
Original Assignee
(주) 유니콤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니콤티디 filed Critical (주) 유니콤티디
Priority to KR1020110082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388B1/ko
Publication of KR20130020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0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4Preventing copies being made of an original
    • G03G21/046Preventing copies being made of an original by discriminating a special original, e.g. a bank no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38Secure printing, e.g. user identification, user rights for device usage, unallowed content, blanking portions or fields of a page, releasing held j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et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는 센서, 상기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상 형성부, 상 형성부에 의해 상기 인쇄 용지에 회상형성된 토너를 정착시키는 상 정착부 및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상 형성부 및 상 정착부가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할 경우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닌 일반 인쇄용지에는 출력물을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출력 보안이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SECURITY DOCUMENT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AME}
본 발명은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인쇄용지의 종류에 따라 출력물을 인쇄하는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회사의 업무환경이 컴퓨터와 통신네트워크 및 인터넷을 사용하는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미리 작성된 회사의 중요한 문서나 도면 등의 기밀 데이터를 도난, 유출, 분실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 가운데, 보안문서를 프린트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각종 업무를 진행하고 작성된 문서중에 보안에 필요한 문서를 네트워크에 접속된 프린터로 출력하는 업무환경에서 최적의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PC 데이터 보안, 데이터베이스 보안, 네트워크 보안, 출력 문서 보안 등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보안문서 인쇄장치에 대해서는 선행기술로 공개번호 10-2008-101096호에보면 문서관리기능을 갖는 복사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최상위의 보안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보안문서를 인쇄하거나, PC 내부에 저장된 보안 데이터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해 사용되는 ID확인, FDD 또는 CD Writer에서의 복사 권한통제, FX 케이블을 통한 다른 컴퓨터와의 데이터 공유 제한 등의 PC 데이터 보안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문서에 따라 쓰기, 읽기 등의 권한을 지정하여 권한이 없는 사람이 문서에 접근하는 것을 막는 KMS, EDMS 등의 데이터베이스 보안과, 네트워크상으로 접근하는 해커와 크랙커의 접근을 통제하여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파이어월 등의 네트워크 보안, 및 출력된 데이터에 대한 책임 소재를 출력된 문서에 명기함으로써 내부 보안문서와 데이터의 보호 및 유실방지를 위한 출력문서 보안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한편, 종래의 출력문서보안 솔루션으로는, 예를 들어 DRM(Digital Right Management) 기술을 이용해 각종 문서를 특정 사용자나 유효 기간 등을 정해 암호화된 파일로 배포함으로써 정보의 변조나 불법열람을 막는 방법과, 워드나 파워포인트 등의 다양한 문서를 PDF 파일로 자동 변환하고 변화된 문서의 변조나 불법 열람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방법, 또는 문서를 암호화해서 사용 권한이 있는 사람에게만 문서의 내용을 열람하게 하는 방법을 이용한 솔루션들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출력문서 보안 솔루션들은 주로 문서의 암호화나 사용자 권한에 따라 암호화된 문서의 취급에 대해 제한을 두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출력문서를 보안하기 위해 종래의 출력문서보안 솔루션을 이용하는 경우, 문서의 암호화 등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암호화 솔루션의 구입 등에 많은 비용이 요구되고 더욱이 이러한 출력문서 보안 솔루션은 유지 관리하기가 비교적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출력문서를 위한 데이터 보안 솔루션은 출력된 문서의 복사나 유출에 대해서는 실질적으로 보안이 어렵거나 비용이 많이 든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안용지를 이용한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쇄용지의 종류를 판단하여 보안용 인쇄용지일 경우 출력물을 인쇄하는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용지를 적재하는 인쇄용지 적재부, 상기 적재된 인쇄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하는 용지 급지 이송부, 상기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상 형성부, 상기 상 형성부에 의해 인쇄용지에 화상형성된 토너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인쇄용지에 토너를 정착시키는 상 정착부 및 상기 인쇄용지 적재부, 용지 급지 이송부 및 상 형성부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쇄용지 적재부는, 상기 적재된 인쇄용지 중 최상단의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는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상 정착부는, 상기 인쇄용지 표면에 출력물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토너들에 대한 정착여부의 통제가 가능한 수단 과 정착되지 않는 토너들에 대한 제거 또는 회수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문서 인쇄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용지가 적재된 인쇄용지 적재부에서 최상단의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 경우, 상기 인쇄용지 적재부에 적재된 인쇄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하는 단계, 상기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용지에 화상형성된 토너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인쇄용지에 토너를 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쇄용지는 상기 인쇄용지 적재부에 장착된 센서에 의해 인쇄용지인지 판단되며, 상기 인쇄용지에 화상형성된 토너에 열과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토너는 토너 제어 수단에 의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보안용지의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닌 일반 인쇄용지에는 출력물을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출력 보안이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쇄 장치는 센서(101), 제어부(103) 상 형성부(105) 및 상 정착부(10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101)는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한다. 이때, 인쇄용지에는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나타내는 특수한 형광물질의 도포 및 자기 코일, 특수합금, RFID 태그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보안용 인쇄용지는 일반 용지와의 구분된 물질을 추가되어져서 일반 인쇄용지보다 약간 더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센서(101)는 인쇄용지가 적재되는 인쇄용지 적재부(미도시)의 내부 또는 인쇄용지의 이송 경로에 고정되어 설치되거나, 인쇄용지 적재부에서 안착된 인쇄용지를 스캔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센서(101)가 고정되어 설치된 경우, 센서(101)는 인쇄가 시작되어 인쇄용지 적재부에서 인쇄용지가 픽업되어 이동되어질 때 인쇄용지가 보안용지인지 판단한다. 반면, 센서(101)가 움직이도록 설치된 경우, 센서(101)는 인쇄 대기 중, 즉 인쇄용지 적재부에서 인쇄용지가 픽업되기 전에 인쇄용지의 픽업 이송 방향 또는 상기 픽업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인쇄용지를 스캔하여 인쇄용지가 보안용지인지 판단한다. 센서(101)가 고정 또는 움직이도록 설치되어 인쇄용지가 보안용지인지 판단하는 과정은 후술될 도 2 및 도 3을 설명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103)는 센서(101)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 형성부(105) 및/또는 상 정착부(107)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 형성부(105) 및/또는 상 정착부(107)의 동작은 제어부(103)의 제어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상 형성부(105) 및 상 정착부(107)의 역할은 제어부(103)를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어부(103)는 센서(101)가 인쇄용지 보안용 인쇄용지라고 판단한 경우, 상 형성부(105)가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하거나, 상 정착부(107)가 상 형성부(105)에 의해 토너가 단지 화상형태로 부착된 인쇄용지에 열과 압력을 가해 출력물의 형태로 토너를 정착시키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인쇄용지에 출력물이 인쇄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03)는 센서(101)가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 형성부(105) 또는 상 정착부(107)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되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상 정착부(107)가 상 형성부에 의해 토너가 화상형태로 부착된 인쇄용지에 가해지는 열과 압력 및 속도를 제어하여 인쇄용지에 출력물이 정착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03)가 인쇄용지에 출력물이 인쇄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과정은 후술될 도 2 및 도 3을 설명할 때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 장치는 용지 적재 수단(201), 용지 공급 수단(202), 용지 이송 수단(203), 상 형성 수단(204), 상 정착 수단(205) 및 용지 배출 수단(20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용지 적재 수단(201)은 용지 적재 수단(201)에 적재된 적어도 한 장의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는 센서(2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211)는 용지 적재 수단(201)에 적재된 인쇄용지가 후술될 용지 공급 수단(202)으로 이송되는 경로 중 어느 곳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반면,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센서(211)는 바람직하에 인쇄용지가 적재되는 용지 적재 수단(201)의 내부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211)는 인쇄가 시작되어 용지 적재 수단(201)에 적재된 인쇄용지가 용지 공급 수단(202)으로 이송되기 위해 움직일 때,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한다. 먼저, 센서(211)는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라고 판단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211)가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라고 판단함에 따라, 인쇄 제어 수단(미도시)은 용지 공급 수단(202)이 용지 적재 수단(201)에 의해 적재된 인쇄용지를 픽업하여 용지 이동 수단(203)으로 공급하고, 용지 이동 수단(203)이 용지 공급 수단(202)에 의해 픽업된 인쇄용지를 상 형성 수단(204)으로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인쇄 제어 수단은 상 형성 수단(204)이 용지 공급 수단(202)에 의해 공급되는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한 상 형성 수단(204)은 전사롤러(214), 감광드럼(224), 대전롤러(234), 노광수단(244), 토너 공급 수단(254) 및 클리닝 수단(26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압의 대전 전압에 의해 대전된 대전롤러(234)가 회전하면서 감광드럼(224)의 외주면에 도포된 감광체를 고루 대전시키면, 노광수단(244)에서 발생된 빛이 대전된 감광드럼(224)의 표면상에 인쇄하고자 하는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이후, 토너 공급 수단(254)으로부터 공급되는 토너는 감광드럼(22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도포되어 화상을 형성한다. 고압의 전사롤러(214)는 이송되는 인쇄용지에 형성된 화상을 전사시킨다.
인쇄용지에 화상형태로 전사된 토너는 인쇄용지에 화상형태로 단지 부착된 상태이므로, 상 정착 수단(205)에서 가압롤러(215) 및 히팅롤러(225)로 고열 및 압력을 가해야 인쇄용지에 정착된다. 그 후, 인쇄 제어 수단은 용지 배출 수단(206)이 화상이 정착된 인쇄용지를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인쇄용지에 토너가 부착된 상태란 약간의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토너가 인쇄용지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반면, 센서(211)에 의해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211)는 인쇄가 시작된 후에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기 때문에,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용지 공급 수단(202)이 용지 공급 수단(202)에 의해 적재된 인쇄용지를 픽업하여 공급하고, 용지 이동 수단(203)이 용지 공급 수단(202)에 의해 픽업된 인쇄용지를 상 형성 수단(204)으로 공급한다. 즉, 상 형성 수단(205)이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중에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여부를 판단하므로 비록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도 상 형성 수단(205)의 동작을 제어하기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센서(211)가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인쇄 제어 수단은 상 형성 수단(205)의 다음 수단인 상 정착 수단(205)의 히팅롤러(225) 및 가압롤러(215)를 제어하여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형태로 부착된 토너가 완전히 정착되지 않고 분리되도록 하여 인쇄내용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닐 경우 제어 수단이 상 정착 수단(205)의 히팅롤러(225) 및 가압롤러(215)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인쇄 제어 수단은 히팅롤러(225)가 고열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가압롤러(215)는 압력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인쇄 제어 수단은 히팅롤러(225)의 목표 온도를 워밍업 개시 온도와 같거나 낮추어 히팅롤러(225)가 고열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정착을 하지 않을 수 있다.
둘째, 인쇄 제어 수단은 히팅롤러(225)가 미리 결정된 고열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면서, 가압롤러(215)는 미리 결정된 압력을 가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역시 비록 고열을 제공하더라도 가압이 이루어지지 않아 인쇄용지에 부착된 토너가 제대로 정작되지 않아 약간의 충격으로부터 토너가 인쇄용지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셋째, 열과 압력을 모두 제거하는 방식으로 토너의 정착을 방해할 수 있다. 즉 인쇄 제어 수단은 히팅롤러(225)가 고열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하면서 동시에 가압롤러(215)도 미리 결정된 압력을 제공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넷째, 인쇄 제어 수단은 인쇄용지가 히팅롤러(225)와 가압롤러(215)사이를 통과하는 이동 속도를 미리 결정된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제어하는 경우 토너는 인쇄용지에 정착될 시간을 충분히 갖지 못해 결국 토너가 인쇄용지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즉, 인쇄 제어 수단은 앞서 설명한 네 가지 방법(즉 히팅롤러의 고열제거, 가압롤러의 압력제거, 히팅롤러의 고열제거와 동시에 가압롤러의 압력제거, 히팅롤러와 가압롤러를 정상속도보다 빠르게 제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상 형성 수단(204)에서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여 형성된 화상이 인쇄용지에 정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인쇄 제어 수단은 인쇄용지에 정착되지 못하고 도포되어 있는 토너의 분리로 인한 기기 오염방지 및 공기중에 흩날리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토너 수거 수단(235)을 작동시켜 토너를 제거 및 수거하도록 한다. 그 후, 인쇄 제어 수단은 용지 배출 수단(206)이 인쇄용지를 배출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용지 배출 수단(206)에서 배출된 인쇄용지에는 토너가 인쇄용지에 정착되지 않음으로써 화상이 인쇄가 되지 않는 결과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구조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의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고정된 센서를 이용하여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는 제 1 실시예와는 다르게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움직이는 센서를 이용하여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를 먼저 판단한다. 따라서 도 3에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와 다른 용지 적재 수단만 도시하였으며, 용지 적재 수단을 제외한 다른 구성은 도 2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음에 유의해야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용지 적재 수단(301)은 용지 적재 수단(301)에 적재된 적어도 한 장의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는 센서(31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센서(311)는 용지 적재 수단(301)에 적재된 적어도 한 장 이상의 인쇄용지가 적재된 상태에서 용지 공급 수단(202)에 의해 픽업되는 방향인 인쇄용지의 이송 방향(302) 또는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303)으로 이동하며 인쇄용지를 스캔할 수 있도록 움직임 수단(321), 예를 들어 랙과 피니언을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때, 모터(미도시)와 연결된 피니언(331)이 회전되면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서 움직임 수단인 랙(321)을 타고 센서(311)가 움직이며 인쇄용지를 스캔한다.
도 3에서 센서(311)는 용지 공급 수단(202)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인쇄용지의 위쪽에 설치되도록 도시되었지만, 센서(311)는 용지 공급 수단(202)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간격만큼 이격된 후 인쇄용지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센서(311)는 인쇄가 시작되기 전, 좌 또는 우측으로 움직이면서 인쇄 대기 중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한다. 먼저, 센서(211)는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라고 판단한 경우를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쳐 인쇄용지를 배출한다. 인쇄용지에 출력물을 인쇄하는 과정은 도 2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면, 센서(311)는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센서(311)는 인쇄가 시작되기 전에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여부를 미리 판단하기 때문에, 용지 공급 수단(202)이 용지 적재 수단(301)에 의해 적재된 인쇄용지를 픽업하지 않는다. 즉, 상 형성 수단(205)이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기 전에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된다.
따라서 센서(311)가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라고 판단하면, 인쇄 제어 수단은 상 형성 수단(205)이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 정착 수단(205)은 인쇄용지에 전사된 화상형태의 토너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인쇄용지에 토너를 정착함으로써 출력을 완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용지가 적재된 인쇄용지 적재부에서 최상단의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한다(S401). 이때, 센서는 인쇄용지 적재부의 내부 또는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 경로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인쇄가 시작되어 상기 인쇄용지 적재부에서 인쇄용지가 용지 급지 이송부로 이동할 때 또는 용지 급지 이송부와 상 형성부간의 이송경로상에서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될 수 있다.
인쇄 장치는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라고 판단한 경우(S402), 인쇄용지 적재부에 적재된 인쇄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한다(S403). 그런 다음,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고(S404), 상 형성부에 의해 인쇄용지에 전사된 화상형태의 토너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인쇄용지에 토너를 정착 시킨다(S405). 반면, 인쇄 장치는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S402), 상 형성부에 의해 인쇄용지에 화상형성된 토너가 정착되지 않도록 정착부의 열과 압력을 제어한다(S406).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과정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인쇄 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고정된 센서를 이용하여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는 제 1 실시예와는 다르게 제 2 실시예에 따른 인쇄 장치는 움직이는 센서를 이용하여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를 판단하고, 상의 정착을 제어하여 인쇄용지에 상이 정착되지 않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쇄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용지가 적재된 인쇄용지 적재부에서 최상단의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한다(S501). 이때, 인쇄용지는 인쇄 대기 중에 센서에 의해 인쇄용지 적재부에 적재된 최상단의 인쇄용지의 이송 방향 또는 상기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스캔하여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될 수 있다.
인쇄 장치는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라고 판단한 경우(S502)는 도 4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면, 인쇄 장치는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S502),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거나 인쇄용지가 픽업되지 않도록(S506) 한후 종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1: 센서 103: 제어부
105: 상 형성부 107: 상 정착부
201, 301: 용지 적재 수단 211, 311: 센서
202: 용지 공급 수단 203: 용지 이송 수단
204: 상 형성 수단 214: 전사롤러
224: 감광드럼 234: 대전롤러
244: 노광수단 254: 토너 공급 수단
264: 클리닝 수단 205: 상 정착 수단
215: 가압롤러 225: 히팅롤러
235: 토너 수거 수단 206: 용지 배출 수단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인쇄용지를 적재하는 인쇄용지 적재부;
    상기 적재된 인쇄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하는 용지 급지 이송부;
    상기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상 형성부;
    상기 상 형성부에 의해 인쇄용지에 화상형성된 토너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상기 인쇄용지에 토너를 정착시키는 상 정착부; 및
    상기 인쇄용지 적재부, 용지 급지 이송부 및 상 형성부의 실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쇄용지 적재부는, 상기 적재된 인쇄용지 중 최상단의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상 정착부에는 압력을 가하는 가압롤러 및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는 인쇄 대기 중에 인쇄용지 적재부에 적재된 최상단의 인쇄용지의 이송 방향 또는 상기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인쇄용지를 스캔하여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문서 인쇄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첫 번째로 상기 상 형성부가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지 않도록 제어하거나, 두 번째로 상기 용지 급지 이송부의 픽업 롤러의 픽업 작동을 금지하거나 상기 첫 번째부터 상기 두번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실행을 이용하여하는 출력을 금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문서 인쇄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인쇄용지 적재부의 내부 또는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 경로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인쇄가 시작되어 상기 인쇄용지 적재부에서 인쇄용지가 용지 급지 이송부로 이동할 때 또는 용지 급지 이송부와 상 형성부간의 이송 경로상에서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인쇄용지에 정착되거나, 되지않도록, 상기 상 정착부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문서 인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을 가하는 가압롤러 및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를 포함하는 상 정착부는,
    상기 센서가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출력물에 대응되는 화상형태의 토너가 부착된 인쇄용지에 가압롤러는 압력을 가하되 히팅롤러는 열을 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문서 인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정착부는, 압력을 가하는 가압롤러 및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가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출력물에 대응되는 화상형태의 토너가 부착된 인쇄용지에 가압롤러는 압력을 가하지 않고, 히팅롤러도 열을 가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문서 인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정착부는, 압력을 가하는 가압롤러 및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가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출력물에 대응되는 화상형태의 토너가 부착된 인쇄용지에 가압롤러는 압력을 가하지 않고, 히팅롤러는 열을 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문서 인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정착부는, 압력을 가하는 가압롤러 및 열을 가하는 히팅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가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출력물에 대응되는 화상형태의 토너가 부착된 인쇄용지가 히팅롤러와 가압롤러사이를 통과하는 이송 속도를 정해진 정상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문서 인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 정착부는, 상기 인쇄용지에 형성된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제거하는 토너 제거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토너 제거 수단이 상기 인쇄용지에 정착되지 않은 토너를 제거 및 수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문서 인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용 인쇄용지는,
    일반적인 인쇄용지와 분별력이 있도록 특수한 형광물질의 도포 및 자기 코일, 특수합금, RFID 태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문서 인쇄 장치.
  11. 적어도 하나의 인쇄용지가 적재된 인쇄용지 적재부에서 최상단의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 경우, 상기 인쇄용지 적재부에 적재된 인쇄용지를 한 장씩 픽업하여 이송하는 단계;
    상기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용지에 화상형성된 토너에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인쇄용지에 토너를 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인쇄용지는 센서에 의해 보안용 인쇄용지인지를 판단하며, 상기 인쇄용지에 화상 형성된 토너에 열과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토너는 토너 제어 수단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센서는,
    인쇄 대기 중에 인쇄용지 적재부에 적재된 최상단의 인쇄용지의 픽업 이송 방향 또는 상기 픽업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인쇄용지를 스캔하여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 문서 인쇄 방법.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가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첫 번째로 인쇄용지에 인쇄될 출력물에 대응하는 화상을 형성되지 않거나, 두 번째로, 용지 급지 이송부의 픽업 롤러의 픽업 작동이 되지 않아 상기 인쇄용지가 픽업되지 않거나, 첫 번째부터 상기 두 번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실행되지 않아 상기 인쇄용지에 출력이 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문서 인쇄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인쇄용지 적재부의 내부 또는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 경로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인쇄가 시작되어 상기 인쇄용지 적재부에서 인쇄용지가 용지 급지 이송부로 이동할 때 또는 용지 급지 이송부 와 상 형성부간의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며,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닐 경우, 출력물에 대응되는 화상형태의 토너가 부착된 인쇄용지에 열과 압력을 모두 가하지 않거나 열과 압력 중에 하나만 가하도록 하여 상기 인쇄용지에 토너가 정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문서 인쇄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인쇄용지 적재부의 내부 또는 상기 인쇄용지의 이송 경로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인쇄가 시작되어 상기 인쇄용지 적재부에서 인쇄용지가 용지 급지 이송부로 이동할 때 또는 용지 급지 이송부 와 상 형성부간의 이송경로상에서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인지 판단하며,
    상기 센서가 상기 인쇄용지가 보안용 인쇄용지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출력물에 대응되는 화상형태의 토너가 부착된 인쇄용지는 히팅롤러와 가압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미리 정해진 원래의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하여 상기 인쇄용지에 토너가 정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문서 인쇄 방법.

KR1020110082370A 2011-08-18 2011-08-18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278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370A KR101278388B1 (ko) 2011-08-18 2011-08-18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2370A KR101278388B1 (ko) 2011-08-18 2011-08-18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019A KR20130020019A (ko) 2013-02-27
KR101278388B1 true KR101278388B1 (ko) 2013-06-24

Family

ID=47898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2370A KR101278388B1 (ko) 2011-08-18 2011-08-18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3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364A (ko) 2017-05-23 2018-12-14 이명신 보안 용지용 인쇄 장치
US11230123B2 (en) 2017-05-23 2022-01-25 Myung Shin Lee Printer for security paper
KR20230052386A (ko) 2021-10-13 2023-04-20 박정은 인증코드를 갖는 악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악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3177B1 (ko) 2015-04-28 2017-07-20 주식회사신도리코 내장형 보안용지 검출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의 화상 형성 방법
KR101688634B1 (ko) 2015-04-28 2016-12-23 주식회사신도리코 외장형 보안용지 검출 유닛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그의 화상 형성 방법
KR101734222B1 (ko) * 2015-09-17 2017-05-11 (주) 유니콤티디 일반 용지 인쇄 제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WO2020091509A1 (ko) * 2018-11-01 2020-05-07 이명신 벨트전사방식의 복합기 및 그의 제어방법
EP3876511B1 (en) * 2018-11-01 2023-08-16 Myung Shin Lee Belt transfer-type multifunc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22035285A1 (ko) * 2020-08-13 2022-02-17 이명신 보안용 복합기 및 그의 제어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997B1 (ko) * 2003-11-25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90120300A (ko) * 2008-05-19 2009-11-24 (주)유니콤트레이딩 보안용지 식별 가능한 급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997B1 (ko) * 2003-11-25 2006-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20090120300A (ko) * 2008-05-19 2009-11-24 (주)유니콤트레이딩 보안용지 식별 가능한 급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3364A (ko) 2017-05-23 2018-12-14 이명신 보안 용지용 인쇄 장치
KR20190014057A (ko) 2017-05-23 2019-02-11 이명신 보안용지용 인쇄 장치
KR20200043330A (ko) 2017-05-23 2020-04-27 이명신 보안 용지용 인쇄 장치
US10787006B2 (en) 2017-05-23 2020-09-29 Myung Shin Lee Printer for security paper
US11230123B2 (en) 2017-05-23 2022-01-25 Myung Shin Lee Printer for security paper
US11345168B2 (en) 2017-05-23 2022-05-31 Myung Shin Lee Printer for security paper
KR20230052386A (ko) 2021-10-13 2023-04-20 박정은 인증코드를 갖는 악보를 제공하는 온라인 악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0019A (ko) 201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388B1 (ko) 보안문서 인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09432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with secure job interruption
WO2017047851A1 (ko) 일반 용지 인쇄 제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 방법
JP4628204B2 (ja) 画像形成装置
JP5351383B2 (ja) 印刷管理装置、印刷管理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5125722A (ja) データ移行システム及びデータ移行方法
US7916337B2 (en) Printing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prin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printing apparatus
JP622224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08076851A (ja) 画像記録装置
US835181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locking storage for output images
JP465476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CN110824876B (zh) 图像形成装置
US877368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int control method
JP2016103750A (ja) 認証システム
JP590911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4254091B2 (ja) 製本システムおよび製本出力方法
JP5101314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80017925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ystem
JP2013251621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認証装置
JP4377928B2 (ja) 画像形成装置
JP4582355B2 (ja) 製本出力方法
JP200817232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836750B2 (ja) シート収納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41303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データ提供システム
JP4311664B2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