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8413B1 -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 - Google Patents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8413B1
KR102188413B1 KR1020200019256A KR20200019256A KR102188413B1 KR 102188413 B1 KR102188413 B1 KR 102188413B1 KR 1020200019256 A KR1020200019256 A KR 1020200019256A KR 20200019256 A KR20200019256 A KR 20200019256A KR 102188413 B1 KR102188413 B1 KR 102188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ody
deck plate
joist
inner space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숙
김옥래
Original Assignee
자연과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연과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자연과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9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84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8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8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3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composition used for beds or joint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l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의 간편한 조립을 위한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선과 교차를 이루며 고정되는 목재용 데크플레이트가 장선부재에 간편하게 고정되어 작업자에게 시공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 {Easy installation Deck plate assembly}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의 간편한 조립을 위한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선과 교차를 이루며 고정되는 목재용 데크플레이트가 장선부재에 간편하게 고정되어 작업자에게 시공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테라스, 등산로 또는 호수나 강가의 산책로 및 희귀식물들이 분포되어 있는 자연지역에는 조립식 데크 구조물이 설치되어 여가 공간 및 자연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변 경관을 관찰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조립식 데크 구조물을 이루는 데크플레이트는 일반적으로 목재가 주로 사용되는데 목재로 사용되는 이유는 소재 자체가 일반인들에게 친근감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진동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조용한 주변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장점과 시각적으로 부드럽고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기 때문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조립식 목재 데크구조물은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지지프레임을 일정 형태로 설치하고 그 위에 목재의 데크플레이트를 조립식으로 끼워 맞춘 후, 못 등과 같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지지프레임과 데크플레이트를 결합, 고정하는 시공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데크플레이트와 지지프레임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데크플레이트가 갈라지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었고, 시공 후 데크플레이트와 지지프레임의 유격으로 인해 소음과 마모 등이 발생하여 수명이 매우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종래 데크 구조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브라켓 형상으로 상호 체결되는 방식과 데크플레이트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킨 후 지지프레임에 고정하는 방식이 제안되었으나 데크플레이트를 가공하는 시간이 매우 길어지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또한, 지지프레임에 설치된 브라켓과 데크플레이트에 설치된 브라켓의 고정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까다로워 시공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시공이 간편하고, 설치된 데크플레이트의 유격과 마모를 방지하여 내구성이 향상된 데크 조립 구조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1. 한국특허공보 제10-0975953호 '조립식 데크 구조물' (등록일자 2010.08.09)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94532호 '목재 데크용 시공 부재' (등록일자 2017.11.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목재로 이루어진 데크플레이트의 시공 시 데크플레이트와 지지프레임 상호간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음은 물로 고정방법이 비교적 간편하여 작업자에게 시공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습기로 인한 데크플레이트 및 지지프레임의 부식을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는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다수의 멍에부재(100)와 상기 멍에부재(100)의 상단에 안착되는 다수의 장선부재(200) 및 상기 장선부재(200)의 상단에 고정되는 다수의 데크플레이트(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장선부재(200)는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중공된 내부공간(S)을 가지며,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내부공간(S)과 연통되는 삽입홀(21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데크플레이트(300)를 관통하는 체결봉(410)과 상기 체결봉(4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안착되는 헤드(420)를 포함하는 다수의 고정볼트(400); 상기 체결봉(410)과 결합되어 상기 삽입홀(210)로 삽입된 후 상기 내부공간(S)에 위치하되, 상기 고정볼트(400)의 회전시 회전력에 의해 양단이 상기 내부공간(S)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회전이 저지된 후 상기 장선부재(200)와 데크플레이트(300)를 상호간 밀착시키도록 상기 체결봉(41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결합몸체(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결합몸체(500)는 상기 장선부재(200)와 평행을 이루는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홀(210)의 폭방향 길이(D1)보다 작은 단폭(d1)을 이루고, 상기 장선부재(200)의 내부공간(S) 폭방향 길이(D2)와 같거나 더 큰 장폭(d2)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결합몸체(500)의 회전중심(O)을 통과하는 가장 긴 장폭(d3)의 양단에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이루는 곡률부(510)가 더 구비되며, 상기 회전중심(O)을 통과하는 각각의 곡률부(510) 사이의 길이(d4) 값이 상기 내부공간(S)의 폭방향 길이(D2)와 같거나 더 작은 길이를 유지하여 상기 결합몸체(500)를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 후 상기 장폭(d2)의 양끝단에 위치한 상기 결합몸체(500)의 측면이 상기 내부공간(S)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어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장선부재(200)는 바닥판(221)과 서로 마주보며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한쌍의 측판(222)을 포함하며, 상면이 개방되어 상기 내부공간(S)을 형성하는 장선몸체(220); 상기 장선몸체(220)의 개방된 상면에 상기 삽입홀(210)을 형성하도록 상기 측판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데크플레이트(300)가 안착되는 한쌍의 안착로드(230); 상기 안착로드(230) 각각의 끝단에 상기 결합몸체(500)의 삽입을 유도하고, 상기 안착로드(230)의 하면에 체결공간(S2)을 형성하도록 상기 측판(222)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로드(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결합몸체(500)의 양측 상면에는 삽입돌기(530)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결합몸체(50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 후 상기 체결봉(42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삽입돌기(530)가 상기 체결공간(S2)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웃하는 목재로 이루어진 데크플레이트를 유격 없이 견고하게 고정하여 연결할 수 있고, 데크플레이트와 장선부재와의 상호 결합방법이 간편하여 시공성이 향상되고, 조립 완성도가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및 도 2 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과 시공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장선부재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장선부재와 데크플레이트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결합몸체의 결합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6 은 본 발명의 결합몸체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의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는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다수의 멍에부재(100)와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다수의 장선부재(200) 및 데크플레이트(300)를 갖는다. 장선부재(200)는 멍에부재(100)의 상단에 안착되어 별도의 브라켓 등으로 상호 고정되는데, 이때, 멍에부재(100)와 장선부재(200)는 직각을 이루며 교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데크플레이트(300)는 장선부재(200)와 직각을 이루며 교차된 상태로 장선부재(200)의 상단에 안착되어 고정된다. 데크플레이트(300) 또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장선부재(200)와 평행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데크플레이트(300)의 양끝단에 구비되는 측면마감재(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측면마감재(700)의 구성으로 데크플레이트(300)의 양끝단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해줄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장선부재(200)는 내부가 중공된 사각틀 형상을 이루면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중공된 내부에 내부공간(S)을 갖는다. 이때, 장선부재(200)의 상면에는 내부공간(S)과 연통되는 삽입홀(210)이 관통 형성된다. 삽입홀(210)은 소정의 폭을 유지하면서 장선부재(2000의 연장되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데크플레이트(300)를 관통하는 다수의 고정볼트(400)가 구비된다. 고정볼트(400)는 데크플레이트(300)를 관통하는 체결봉(410)과 체결봉(410)의 상단에 구비되어 데크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안착되는 헤드(420)를 포함한다.
체결봉(410)은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며 데크플레이트(300)의 연장방향과 교차되는 방향, 즉, 데크플레이트(300)의 상면으로 수직을 이루며 테크플레이트(300)를 관통한다. 이때, 체결봉(410)은 삽입되는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420)는 데크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체결봉(410)이 더이상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데크플레이트(300)를 관통한 체결봉(410)의 하단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몸체(500)가 더 구비된다. 결합몸체(510)의 중앙에는 체결봉(410)이 삽입되는 삽입공(501)이 형성되며, 체결봉(410)의 하단과 삽입공(501)의 내측벽면에는 서로 맞물리는 암나사산/수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몸체(500)는 체결봉(410)에 결합되면서 회전이 가능하고 동시에 결합몸체(500)가 체결봉(41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 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결합몸체(500)는 체결봉(410)과 결합된 상태로 삽입홀(210)에 삽입되어 장선부재(200)의 내부공간(S)에 위치한다. 이때, 고정볼트(400)의 체결봉(410)은 데크플레이트(300)를 관통한 상태이다. 즉, 데크플레이트(300), 고정볼트(400) 및 결합몸체(500)는 하나의 집합체를 이룬 상태로 장선부재(200)와 결합된다. 한편, 결합몸체(500)는 삽입홀(210)의 폭길이와 같거나 작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결합몸체(500)가 삽입홀(210)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결합몸체(500)의 하면의 좌우측 모서리는 일정곡률반경을 갖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몸체(500)의 하면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가짐으로써 삽입홀(210)에 결합몸체(500)가 삽입될 때 용이한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고정볼트(400)를 회전시키면 결합몸체(500)는 내부공간(S)에서 고정볼트(400)의 회전력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하게 된다. 이후 결합몸체(500)의 양단이 내부공간(S)의 내측벽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회전이 저지된다. 이때, 결합몸체(500)와 체결봉(410)은 상호 나사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봉(410)이 일측 또는 타측방향으로 회전하면 결합몸체(500)는 내부공간(S)의 내측면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체결봉(410)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정볼트(400)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결합몸체(500)가 상방향으로 이송되면서 장선부재(200)와 데크플레이트(300)를 상호간 밀착(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를 참조하면 데크플레이트(300)와 장선부재(200) 사이에는 완충부재(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재(600)는 재질인 실리콘, 고무, 스펀지, 우레탄 등의 탄성과 완충 효과를 갖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데크플레이트(300)와 장선부재(200)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결합몸체(500)는 장선부재(200)의 상면과 평행을 이루는 단면 또는 평면을 기준으로 삽입홀(210)의 폭방향 길이(D1)보다 작거나 동일한 단폭(d1)을 이루며, 장선부재(200)의 내부공간(S) 폭방향 길이(D2)와 같거나 더 큰 장폭(d2)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몸체(500)의 회전중심(O)을 통과하는 가장 긴 장폭(d3)의 양단에는 소정의 곡률반경을 이루는 곡률부(51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곡률부(510)가 형성됨으로 인해 결합몸체(500)가 장선부재(200)의 내부공간(S)에서 일정각도 회전, 바람직하게는 90°만큼 회전할 수 있다.
즉, 결합몸체(500)의 회전중심(O)을 통과하는 각각의 곡률부(510) 사이의 길이(d4) 값은 내부공간(S)의 폭방향 길이(D2)와 같거나 더 작은 길이를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결합몸체(500)를 삽입홀(210)에 삽입한 후 결합볼트(400)를 회전시키면 결합몸체(50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되고, 결합몸체(500)의 장폭(d2)의 양끝단에 위치한 결합몸체(500)의 측면이 내부공간(S)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된다.
이때, 결합몸체(500)의 가장 긴 장폭(d3)의 양단에 위치한 결합몸체(500)의 모서리부(520)가 내부공간(S)의 측면과 접촉됨으로 인해 결합몸체(500)의 회전이 저지된다. 동시에 결합볼트(400)가 지속적으로 회전하면 결합몸체(500)가 체결봉(41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내용을 기반으로 결합몸체(500)의 작동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의 (a)는 결합몸체(500)가 삽입홀(210)에 삽입될 때를 나타낸 평면 개략도로 결합몸체(500) 장폭(d2)의 방향이 삽입홀(210)의 연장방향과 일치한 상태를 가진 후 삽입홀(210)에 삽입된다.
도 5 의 (b)는 결합볼트(400)를 회전시킬 때, 결합몸체(500)의 곡률부(510)가 장선부재(200)의 내부공간(S) 내측면과 접촉되지 않고 회전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d4' 의 길이는 'D2' 의 길이와 같거나 작은 길이값을 갖는다. 이에 따라 곡률부(510)의 곡률값을 조절하여 결합몸체(500)를 가공한다.
도 5 의 (c)는 결합몸체(500)가 일정각도만큼 회전(바람직하게는 90°)하여 결합몸체(500)의 장폭(d2)의 양측면이 장선부재(200)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때, 결합몸체(500)의 모서리부(520)가 장선부재(200)의 내측면, 즉 하술하는 장선몸체(220)의 측판(222)에 지지되면서 결합몸체(500)의 회전이 저지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장선부재(200)는 장선몸체(220), 안착로드(230) 및 가이드로드(240)를 포함한다.
장선몸체(2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멍에부재(100)에 안착되는 바닥판(221)과 바닥판(221)의 양측에 서로 마주보며 상하방향으로 세워지는 한쌍의 측판(222)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장선몸체(220)는 상면이 개방된 형상을 유지하며, 내측에 내부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로드(230)는 장선몸체(220)의 개방된 상면에 삽입홀(210)을 형성하도록 한쌍의 측판(222) 상단에 각각 형성된다. 안착로드(230)와 바닥판(221)은 평행을 유지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됨으로 인해 한쌍의 안착로드(230) 사이에 삽입홀(210)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안착로드(230)의 상면에 데크플레이트(300)가 안착된다.
가이드로드(240)는 안착로드(230) 각각의 끝단으로부터 하방향, 즉, 끝단이 바닥판(221)을 향하도록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된다. 가이드로드(240)는 결합몸체(500)의 삽입을 가이드 및 유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로드(240)가 바닥판(221)을 향하도록 연장될 때, 측판(222)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착로드(230)의 하면에 별도의 체결공간(S2)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한편, 측판(222) 또는 바닥판(221)에는 배수홀(223)이 형성될 수 있다. 배수홀(223)은 장선몸체(220)의 수용공간(S)에 빗물이나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경우 이를 배출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배수홀(223)이 형성됨으로 인해 장선부재(200)가 쉽게 부식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해줄 수 있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결합몸체(500)의 양측 상면에는 삽입돌기(530)가 돌출 형성된다. 삽입돌기(530)는 결합몸체(500)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된 후 체결봉(42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삽입돌기(530)가 체결공간(S2)에 삽입된다. 즉, 삽입돌기(530)가 체결공간(S2)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결합몸체(500)가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정해진 각도인 90°만큼 회전되어야 삽입돌기(530)가 체결공간(S2)에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 을 참조하여 결합몸체(500)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a)를 참조하면 결합몸체(5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b)를 참조하면 결합몸체(500)의 상면에 삽입돌기(510)가 형성되면서 하측의 면적이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 에서 표현된 결합몸체(500)의 형상은 예시이며 도시된 형상 이외에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결합볼트(400)를 사용자가 회전시키면 결합몸체(500)가 상승하면서 장선부재(200)와 데크플레이트(300)를 밀착시키고, 동시에 삽입돌기(510)가 체결공간(S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인해 데크플레이트(300)와 장선부재(200) 상호간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데크플레이트(300)의 시공 시 작업자가 결합볼트(400)만 회전시키는 과정을 수행함으로 인해 데크플레이트(300)를 고정/설치하는 과정이 간편하여 시공성 및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0 : 멍에부재 200 : 장선부재
300 : 데크플레이트 400 : 고정볼트
500 : 결합몸체 600 : 완충부재

Claims (5)

  1. 다수의 멍에부재(100)와 상기 멍에부재(100)에 안착되는 다수의 장선부재(200) 및 상기 장선부재(200)에 고정되는 다수의 데크플레이트(300)를 포함하는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에 있어서,
    상기 장선부재(200)는 중공된 내부공간(S)을 갖는 장선몸체(220)와 상기 데크플레이트(300)가 안착되는 한 쌍의 안착로드(230)와 상기 안착로드(230) 사이로 상기 내부공간(S)과 연통되는 삽입홀(2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로드(230)의 하면에 체결공간(S2)을 형성하는 가이드로드(2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데크플레이트(300)를 관통하는 체결봉(410)과 상기 체결봉(410)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데크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안착되는 헤드(420)를 포함하는 다수의 고정볼트(400);
    상기 체결봉(410)과 결합되어 상기 내부공간(S)에 위치하되, 상기 고정볼트(400)의 회전시 양단이 상기 내부공간(S)의 내측면에 각각 접촉되면서 회전이 저지되어 상기 체결봉(41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결합몸체(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몸체(500)는 상기 장선부재(200)와 평행을 이루는 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삽입홀(210)의 폭방향 길이(D1)보다 작은 단폭(d1)을 이루고, 상기 장선부재(200)의 내부공간(S) 폭방향 길이(D2)와 같은 장폭(d2)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몸체(500)에는 상기 결합몸체(500)의 회전중심(O)을 통과하는 가장 긴 장폭(d3)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공간(S) 폭방향 길이(D2)와 같거나 더 작은 길이의 장폭(d4)을 갖도록 소정의 곡률반경을 이루는 곡률부(510);와
    상기 결합몸체(500)의 회전중심(O)을 통과하는 다른 가장 긴 장폭(d3)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S)의 측면과 접촉되어 상기 결합몸체(500)의 회전을 저지하는 모서리부(520);
    상기 결합몸체(500)가 상기 체결봉(410)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결합몸체(500)의 90°회전여부를 확인하도록 상기 체결공간(S2)에 삽입되는 삽입돌기(530);
    상기 데크플레이트(300)와 상기 장선부재(200) 사이에 구비되어 상호간의 마찰로 인한 소음 발생을 억제하는 완충부재(600);
    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선몸체(220)는 바닥판(221)과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측판(222)을 포함하도록 상면이 개방되고,
    상기 가이드로드(240)는 상기 측판(222)의 연장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결합몸체(500)의 삽입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

  5. 삭제
KR1020200019256A 2020-02-17 2020-02-17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 KR102188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56A KR102188413B1 (ko) 2020-02-17 2020-02-17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256A KR102188413B1 (ko) 2020-02-17 2020-02-17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8413B1 true KR102188413B1 (ko) 2020-12-08

Family

ID=73779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256A KR102188413B1 (ko) 2020-02-17 2020-02-17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8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137B1 (ko) * 2021-08-23 2022-06-07 김승현 데크 조립 구조
KR102465425B1 (ko) 2022-07-22 2022-11-10 주식회사 임성 탄성 클립이 적용된 데크 블록 구조체
KR102469121B1 (ko) 2022-08-26 2022-11-22 권숙희 탄성클립과 경사도 브라켓이 적용된 데크로드 블록구조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363A (ja) * 2004-12-28 2006-08-10 Eco Factory Corp ウッドデッキの施工方法
KR100975953B1 (ko) 2009-08-07 2010-08-16 ㈜익성텍 조립식 데크 구조물
KR101769884B1 (ko) * 2017-03-20 2017-08-30 주식회사 임성 목재용 데크의 연결조립체
KR101794532B1 (ko) 2017-01-25 2017-11-07 해안실업(주) 목재 데크용 시공 부재
KR101930840B1 (ko) * 2018-09-11 2018-12-19 아이앤지산업(주) 데크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40637B1 (ko) * 2019-02-28 2019-11-06 경동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장선 체결 구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7363A (ja) * 2004-12-28 2006-08-10 Eco Factory Corp ウッドデッキの施工方法
KR100975953B1 (ko) 2009-08-07 2010-08-16 ㈜익성텍 조립식 데크 구조물
KR101794532B1 (ko) 2017-01-25 2017-11-07 해안실업(주) 목재 데크용 시공 부재
KR101769884B1 (ko) * 2017-03-20 2017-08-30 주식회사 임성 목재용 데크의 연결조립체
KR101930840B1 (ko) * 2018-09-11 2018-12-19 아이앤지산업(주) 데크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040637B1 (ko) * 2019-02-28 2019-11-06 경동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용 장선 체결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5137B1 (ko) * 2021-08-23 2022-06-07 김승현 데크 조립 구조
KR102465425B1 (ko) 2022-07-22 2022-11-10 주식회사 임성 탄성 클립이 적용된 데크 블록 구조체
KR102469121B1 (ko) 2022-08-26 2022-11-22 권숙희 탄성클립과 경사도 브라켓이 적용된 데크로드 블록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8413B1 (ko)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
CA2482296C (en) Resilient deck board fastener
KR102058155B1 (ko) 조립식 물탱크의 내진보강 구조
KR20200071382A (ko) 외부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스테인리스 물탱크
KR20120032096A (ko) 데크재
CA1073228A (en) Building construction
KR102248291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차단을 위한 이중바닥구조 및 공법
KR20130033848A (ko)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US6385921B1 (en) Underground structure for residential and business use
KR20210093001A (ko) 조립식 층간소음 차단장치
JP4229329B2 (ja) 柱材と柱脚金物の接合構造
JP4044852B2 (ja) 外張り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8231741A (ja) 断熱床構造
US20040055245A1 (en) Wall cap corner aid
JP2006177018A (ja) 建物の基礎構造
JP3644026B2 (ja) 木造建造物の耐震施工方法及び耐震装置並びに耐震器具
JP2001323590A (ja) 排水床構造
JP3463989B2 (ja) 外壁のスリット構造及び外壁構造
JP5800570B2 (ja) 偏平逆梁を利用した中間免震構造
JP5682983B1 (ja) 木造住宅及び小規模建築物の上部開放型開口部を有する基礎における開口補強工法
KR102526191B1 (ko) 조립식 데크
JP3054472U (ja) テラスデッキ
KR20230079561A (ko) 조립식 데크보드용 결합 부재
JP2646469B2 (ja) 床構造
KR101959202B1 (ko) 옹벽 구조물용 블록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