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5137B1 - 데크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데크 조립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05137B1 KR102405137B1 KR1020210110885A KR20210110885A KR102405137B1 KR 102405137 B1 KR102405137 B1 KR 102405137B1 KR 1020210110885 A KR1020210110885 A KR 1020210110885A KR 20210110885 A KR20210110885 A KR 20210110885A KR 102405137 B1 KR102405137 B1 KR 1024051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k
- side portion
- support member
- assembly structure
- concave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는 측면에 함몰된 오목홈(130)이 형성되고 지지부재(400)에 다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데크(100), 지지부재(400)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10),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부(210)의 일단으로부터 지지부재(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오목홈(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된 제1 측면부(220), 및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부(210)의 타단으로부터 지지부재(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오목홈(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된 제2 측면부(230)를 포함하고, 제1 측면부(220)는 제2 측면부(23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제2 측면부(2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제2 측면부(230)는 제1 측면부(22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제1 측면부(2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클립(200), 및 클립(200)을 지지부재(4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데크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각종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면, 실외 산책로, 등산로, 수변공원, 전원 주택 등에 목재로 구성된 데크 조립체(Deck Assembly)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는 목재 및 합성목재로 구성된 데크 조립체가 다른 재료에 비해서 자연친화적이고,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여 조용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각적으로 편안한 느낌을 제공하고 내구성이 탁월하기 때문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데크 조립체는 설치 장소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받침부재, 받침부재의 상부에 직교하도록 안착되어 받침부재의 상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데크판을 포함한다. 이때, 받침부재는 데크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데크판은 보행자가 밟고 지나갈 수 있는 것으로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데크판은 받침부재에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는데, 체결수단으로는 나사못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나사못만을 이용하여 데크판을 아연 각파이프, 포스맥(PosMAC) 각관 등의 받침부재에 고정하는 경우, 소정강도 이상의 체결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수많은 나사못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수많은 나사못을 사용하면, 목재로 형성된 데크판이 갈라져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데크판에 타공이나 나사못 삽입 등 직접 힘을 가하지 않고 측면에서 클립으로 데크판을 고정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목재로 형성된 데크판은 기온이나 습도에 따라서 수축하거나 팽창하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클립으로는 데크판이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것을 흡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제1,2 측면부를 갖는 클립으로 데크를 고정함으로써, 데크의 수축과 팽창을 흡수하면서도 데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데크 조립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는 측면에 함몰된 오목홈이 형성되고 지지부재에 다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데크,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된 제1 측면부, 및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된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2 측면부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상기 제2 측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상기 제1 측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클립, 및 상기 클립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는 제1 연결부가 연장되며, 상기 제2 측면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는 제2 연결부가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오목홈은 곡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곡선으로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데크가 팽창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2 측면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데크가 수축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2 측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는 일정한 두께의 판상의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정의할 때,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가상선에서 멀어질수록 곡률이 증가하고, 상기 가상선에서 가까워질수록 곡률이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의 말단과 상기 제2 측면부의 말단은 소정간격 이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관통홀을 포함하는 소정영역의 상측 공간을 제외하고 연장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나사못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각파이프 또는 목재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데크는 천연목재, 합성목재, 인조목재, 방부목재, 고열처리목재, 또는 탄화목재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데크 사이에 탄성체로 경화된 탄성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데크 사이의 간격은 0.5mm 내지 1mm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데크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보조클립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제1,2 측면부를 갖는 클립으로 데크를 고정함으로써, 데크의 수축과 팽창을 흡수하면서도 데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가 지지부재와 데크 사이에서 탄성체로 경화되어, 지지부재와 데크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부는 탄성체로 경화되면서 소정값 이상의 접착력을 갖으므로, 지지부재와 데크 사이의 고정력을 강화시켜 데크의 유동을 방지하고, 데크가 지지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크 조립 구조의 단면도,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클립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서 데크가 팽창 또는 수축할 때 탄성 변형되는 클립을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조립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클립의 사시도, 및
도 11 내지 도 14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크 조립 구조의 단면도,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클립의 단면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에서 데크가 팽창 또는 수축할 때 탄성 변형되는 클립을 도시한 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조립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클립의 사시도, 및
도 11 내지 도 14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데크 조립 구조의 단면도이며, 도 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클립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는 측면에 함몰된 오목홈(130)이 형성되고 지지부재(400)에 다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데크(100), 지지부재(400)에 고정되는 베이스부(210),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부(210)의 일단으로부터 지지부재(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오목홈(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된 제1 측면부(220), 및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부(210)의 타단으로부터 지지부재(4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오목홈(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된 제2 측면부(230)를 포함하고, 제1 측면부(220)는 제2 측면부(23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제2 측면부(2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제2 측면부(230)는 제1 측면부(22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제1 측면부(2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클립(200), 및 클립(200)을 지지부재(400)에 고정하는 고정수단(300)을 포함한다.
상기 데크(100)는 최종적으로 보행자가 밟고 지나가는 것으로, 평면도를 기준으로 볼 때 판상형을 형성된다. 여기서, 데크(100)는 다수개가 구비되어,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데크(100)의 길이방향은 지지부재(400)의 길이방향에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2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100)의 양측면에는 함몰된 오목홈(130)이 형성되고, 이러한 오목홈(130)에는 후술할 클립(200)의 제1 측면부(220) 또는 제2 측면부(230)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오목홈(130)은 데크(100)의 측면 두께방향 중심부에 함몰되어 형성되고, 데크(100)의 측면 하단(지지부재(400)와 인접한 하부)에는 하측(지지부재(400)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14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데크(100)의 하나의 측면에 오목홈(130)과 연장부(140)가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오목홈(130)에는 제1 측면부(220)나 제2 측면부(230)가 삽입되고, 연장부(140)에는 클립(200)과의 유격(250)이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오목홈(130)은 곡선으로 연장되고, 연장부(140)는 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데크(1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목재, 합성목재, 인조목재, 방부목재, 고열처리목재, 또는 탄화목재 등 모든 종류의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열처리목재는 스팀, 질소, 오일 등의 매체로 목재에 열(150℃ 내지 260℃)을 소정 시간동안 가하여 제조한 것으로, 목재의 재색이 변해 심미성이 개선되고 치수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탄화목재는 공기 공급을 제한하면서 목재를 고열(500℃ 내지 700℃)로 가열하여, 목재 내의 유기물질을 탄소로 변화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탄화목재는 일반 목재에 비해서 90% 이상의 변형 감소효과가 있으며, 수분을 쉽게 흡수하지 않기 때문에 뒤틀림 변형이 적고, 습기에 강한 장점이 있다.
추가적으로, 데크(100)는 노출면(지지부재(400)와 접촉하는 면의 반대면)에 요철부(150)가 형성되어, 보행자가 보행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재(400)는 데크(100)의 하부에서 데크(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지지부재(400)는 다수개가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00)의 길이방향은 데크(100)의 길이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지지부재(400)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데크(100)의 말단이나 중심부를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재(400)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금속으로 형성된 각파이프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각관, KS아연 각파이프, 포스맥(PosMAC) 각관, 알루미늄 각관 등일 수 있고, 또는 목재일 수도 있다. 이때, 각파이프는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고 단면이 다각형(사각형)인 파이프를 의미한다.
상기 클립(200)은 데크(100)를 지지부재(400)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클립(200)은 베이스부(210), 제1 측면부(220), 및 제2 측면부(2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210)는 지지부재(400)에 고정되는 것으로, 베이스부(210)의 중심에는 고정수단(300)이 삽입되도록 두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2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 측면부(220, 230)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베이스부(210)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고, 데크(100)의 오목홈(130)에 삽입되어 데크(100)를 실질적으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제1 측면부(220)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부(210)의 일단으로부터 지지부재(400)와 멀어지는 방향(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때 제1 측면부(220)는 오목홈(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데크(100)의 오목홈(130)에 삽입된다. 한편, 제2 측면부(230)는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부(210)의 타단으로부터 지지부재(400)와 멀어지는 방향(상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때 제2 측면부(230)는 오목홈(13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데크(100)의 오목홈(130)에 삽입된다. 여기서, 제1 측면부(220)와 제2 측면부(230)는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즉, 제1 측면부(220)는 제2 측면부(23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제2 측면부(2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제2 측면부(230)는 제1 측면부(22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제1 측면부(2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데크(100)가 팽창하는 경우(도 4 참조), 제1 측면부(220)는 제2 측면부(2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제2 측면부(230)는 제1 측면부(22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반대로, 데크(100)가 수축하는 경우(도 5 내지 도 6 참조), 제1 측면부(220)는 제2 측면부(2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제2 측면부(230)는 제1 측면부(22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결국, 데크(100)가 팽창하거나 수축하더라도,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제1,2 측면부(220, 230)가 데크(100)의 오목홈(13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데크(100)의 수축과 팽창을 흡수하면서도 데크(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데크(100)가 팽창할 때, 제1 측면부(220)와 제2 측면부(230)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제1 측면부(220)의 말단(상단)과 제2 측면부(230)의 말단(상단)은 소정간격(D, 도 2 참조) 이격될 수 있다.
제1,2 측면부(220, 230)를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2 측면부(220, 23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상(板狀)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측면부(220)와 제2 측면부(230)는 그 자체가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제1 측면부(220)와 제2 측면부(230)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제1 측면부(220)와 제2 측면부(230)는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제1,2 측면부(220, 230)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210)와 제1,2 연결부(225, 235)까지 일정한 두께의 판상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도 3a 참조). 즉, 클립(200)을 구성하는 제1,2 측면부(220, 230), 베이스부(210), 및 제1,2 연결부(225, 235) 모두 판상의 소재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클립(20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원형 복원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스틸(steel)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오목홈(130)이 곡선으로 연장되므로, 이에 대응하여 제1 측면부(220)와 제2 측면부(230)가 곡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오목홈(130)이 곡선으로 연장되고, 제1 측면부(220)와 제2 측면부(230)가 곡선으로 연장되므로, 데크(100)가 팽창하거나 수축할 때도 오목홈(130)과 제1,2 측면부(220, 230)는 최대한 넓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데크(100)가 팽창할 때(도 4 참조), 제1,2 측면부(220, 230)는 오목홈(130)의 내벽을 따라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면서(말리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반대로, 데크(100)가 수축할 때(도 5 내지 도 6 참조), 제1,2 측면부(220, 230)는 오목홈(130)의 내벽을 따라 타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면서(풀리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데크(100)가 팽창하거나 수축할 때, 제1,2 측면부(220, 230)가 오목홈(130)의 내벽을 따라 회동하면서 탄성 변형되므로, 오목홈(130)과 제1,2 측면부(220, 230)는 최대한 넓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제1,2 측면부(220, 230)와 오목홈(130)은 모두 곡선으로 연장되므로, 데크(100)가 팽창하거나 수축할 때, 제1,2 측면부(220, 230)는 오목홈(130)의 내벽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하며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단면을 기준으로 베이스부(210)의 중심에서 수직으로(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V)을 정의할 때, 제1 측면부(220)와 제2 측면부(230)는 가상선(V)에서 멀어질수록 곡률이 증가하고, 가상선(V)에 가까워질수록 곡률이 감소할 수 있다(제1,2 측면부(220, 230)은 가상선(V)에서 멀어질수록 반지름(R1)이 감소하고, 가상선(V)에 가까워질수록 반지름(R2)이 증가할 수 있다). 즉, 제1,2 측면부(220, 230)는 상측으로 연장되면서 최대로 돌출된 부분까지 곡률이 증가하다가 최대로 돌출된 부분을 지나서는 곡률이 감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상선(V)을 기준으로 볼 때(도 3b의 (a) 참조), 제2 측면부(230)는 제1 측면부(220)에 비해서 가상선(V)으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제2 측면부(230)는 데크(100)의 오목홈(130)에 삽입되면서, 가상선(V) 방향으로 휘어져 제1 측면부(220)와 가상선(V)을 기준으로 대칭이 될 수 있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제2 측면부(230)는 반드시 제1 측면부(220)에 비해서 가상선(V)으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돌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도 3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부(220)와 제2 측면부(230)는 가상선(V)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측면부(220)는 오목홈(130)에 대응하도록 돌출되고, 제1 측면부(220)와 베이스부(210) 사이에는 제1 연결부(225)가 연장되며, 이러한 제1 연결부(225)는 베이스부(2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수 있다(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부(210)로부터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제2 측면부(230)는 오목홈(130)에 대응하도록 돌출되고, 제2 측면부(230)와 베이스부(210) 사이에는 제2 연결부(235)가 연장되며, 이러한 제2 연결부(235)는 베이스부(210)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수 있다(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베이스부(210)로부터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제1 연결부(225)와 제2 연결부(235)는 베이스부(210) 방향(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질 수 있다. 이때, 연장부(140)과 제1 연결부(225) 사이 또는 연장부(140)과 제2 연결부(235) 사이에는 유격(25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격(250)은 데크(100)가 팽창할 때, 팽창한 데크(100)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1,2 연결부(225, 235)는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베이스부(210)로부터 제1,2 측면부(220, 230)가 바로 연장될 수도 있다.
한편, 클립(200)을 지지부재(400)에 고정하기 위해서, 베이스부(210)에는 두께방향(상하방향)으로 관통홀(240)이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홀(240)에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300)이 삽입될 수 있다. 도 3a에는 관통홀(240)이 베이스부(210)에 1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300, 도 2)은 클립(200)을 지지부재(4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고정수단(300)은 베이스부(210)의 관통홀(240)에 삽입되어, 일측이 관통홀(240)의 상단에 걸리고, 타측이 지지부재(400, 각파이프)를 관통하여 체결된다. 이때, 고정수단(300)은 통상 피스라고 불리는 나사못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300)을 베이스부(210)의 관통홀(240)에 삽입하여 지지부재(400)에 체결하면, 클립(200)이 지지부재(400)에 결합되고, 지지부재(400)에 결합된 클립(200)은 데크(100)를 지지부재(4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클립(200)을 이용하여 데크(100)를 고정하고, 데크(100)에 직접 못이나 나사 등을 박지 않으므로, 데크(100)가 갈라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300)을 관통홀(240)에 삽입되는데, 제1,2 측면부(220, 230)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2 측면부(220, 230)는 관통홀(240)을 포함하는 소정영역의 상측 공간(S)을 제외하고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홀(240)을 포함하는 소정영역이 가상의 다면체일 때, 이러한 가상의 다면체의 상측 공간(S)을 제외하고 제1,2 측면부(220, 230)가 연장될 수 있다. 즉, 평면도를 기준으로 볼 때, 제1,2 측면부(220, 230)는 관통홀(240)을 포함하는 소정영역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지지부재(400)와 데크(100) 사이에는 탄성체로 경화된 탄성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도 2 참조). 이때, 지지부재(400)와 데크(100) 사이의 간격은 예를 들어 0.5mm 내지 1mm 일 수 있고, 이러한 공간에 탄성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400)와 데크(100) 사이의 간격은 데크(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오목홈(13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예를 들어, 오목홈(130)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면, 지지부재(400)와 데크(100) 사이의 간격이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리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은 실리콘 건(Silicone Gun) 형태의 제품으로부터 분사되는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은 분사될 때 점탄성 상태로 유동가능하지만, 이후 경화되어 탄성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500)는 점탄성 상태로 지지부재(400)에 도포되고, 데크(100)와 클립(200)이 결합된 후, 소정시간이 흐르면, 지지부재(400)와 데크(100) 사이에서 경화되어 탄성체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부(500)가 지지부재(400)와 데크(100) 사이에서 탄성체로 경화되면, 지지부재(400)와 데크(100) 사이에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500)는 탄성체로 경화되면서 소정값 이상의 접착력을 갖으므로, 지지부재(400)와 데크(100) 사이의 고정력을 강화시켜 데크(100)의 유동을 방지하고, 데크(100)가 지지부재(40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탄성부(500, 실리콘)은 데크(100)가 팽창/수축될 때 함께 팽창/수축되면서, 데크(100)의 변형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탄성부(500)가 지지부재(400)와 데크(100)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탄성부(500)는 클립(200)과 데크(100) 사이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조립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로,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이때, 다수개의 데크(100) 중 인접하는 두개의 데크(100)를 제1 데크(110)와 제2 데크(120)로 정의하여 조립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데크(110)를 지지부재(400)에 배치한 후, 제1 데크(110)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오목홈(130)에 클립(200)의 제1 측면부(220)를 삽입시킨다. 이때, 지지부재(400)에 탄성부(500)를 도포하고, 제1 데크(110)를 클립(200)에 고정함으로써, 제1 데크(110)는 탄성부(500)에 의해서 지지부재(400)에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1 데크(110)의 측면(클립(200)과 마주보는 측면과 반대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오목홈(130)에는 보조클립(600)이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클립(600)은 보조고정수단(700)에 의해서 지지부재(400)에 고정되는 고정부(610), 및 고정부(610)의 말단으로부터 제1 데크(11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되 오목홈(130)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부(62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조클립(600)은 지지부재(4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돌출부(620)가 제1 데크(110)의 오목홈(130)에 삽입됨으로써, 제1 데크(110)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400)와 데크(100) 사이의 간격이 0.5mm 내지 1mm를 유지하도록, 보조클립(60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5mm 내지 1mm일 수 있다.
다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300)으로 클립(200)을 지지부재(400)에 결합시킨다. 이때, 고정수단(300)은 베이스부(210)의 관통홀(240)에 삽입되어, 클립(200)을 지지부재(400)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수단(300)으로 클립(200)을 지지부재(400)에 결합시키면, 지지부재(400)에 결합된 클립(200)에 의해서 제1 데크(100)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클립(200)의 제2 측면부(230)는 제1 측면부(220)에 비해서 외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다만, 반드시 제2 측면부(230)가 제1 측면부(220)에 비해서 외측으로 더 돌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제2 측면부(230)와 제1 측면부(220)가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측면부(220)는 제2 측면부(230) 만큼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이므로, 제1 측면부(220)는 제1 데크(120)의 오목홈(130)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동시에, 제1 측면부(220)가 내측 방향(제2 측면부(230)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자체 탄성에 의해서 제1 측면부(220)와 오목홈(13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데크(120)를 지지부재(400)에 배치한다. 이때, 제2 데크(120)의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오목홈(130)에 클립(200)의 제2 측면부(230)가 삽입된다. 이때, 클립(200)의 제2 측면부(230)는 제1 측면부(220)에 비해서 외측으로 더 돌출된 상태이므로, 제2 측면부(230)는 제2 데크(120)의 오목홈(130)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동시에, 제2 측면부(230)가 내측 방향(제1 측면부(220)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제1 측면부(220)와 대칭이 될 수 있다. 결국, 클립(200)의 제2 측면부(230)는 제1 측면부(220)에 비해서 외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자체 탄성에 의해서 최종적으로 제2 측면부(230)와 오목홈(130) 사이의 결합력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400)에 탄성부(500)를 도포하고, 제2 데크(120)를 클립(200)에 고정함으로써, 제2 데크(120)는 탄성부(500)에 의해서 지지부재(400)에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제2 데크(120)의 측면(클립(200)과 마주보는 측면과 반대 측면)에 함몰되어 형성된 오목홈(130)에는 보조클립(600)이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클립(600)은 보조고정수단(700)에 의해서 지지부재(400)에 고정되는 고정부(610), 및 고정부(610)의 말단으로부터 제2 데크(120)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되 오목홈(130)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부(62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보조클립(600)은 지지부재(400)에 고정된 상태에서 돌출부(620)가 제2 데크(120)의 오목홈(130)에 삽입됨으로써, 제2 데크(12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크 클립 구조의 클립은 이전 실시에에 따른 데크 클립 구조의 클립과 상이할 수 있다.
전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은 이전 실시예에 따른 클립에 비해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200)은 관통홀(240)이 베이스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2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200)은 2개의 고정수단(300)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300)이 관통홀(240)에 삽입되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관통홀(240)을 포함하는 소정영역의 상측 공간(S)을 제외하고 제1,2 측면부(220, 230)가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립은 이전 실시예에 따른 클립에 비해서 길게 형성되므로, 클립의 길이방향을 따라 두개의 데크(100)가 결합될 때, 두개의 데크(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조립 구조(데크(100), 클립(200), 지지부재(400))는 빔(800)에 의해 지지되거나(도 11 참조), 캔틸래버 구조(8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도 12 참조). 또는, 데크 조립 구조(데크(100), 클립(200), 지지부재(400))는 DP 거더(Double Plate Girder) 구조(820)에 의해 지지되거나(도 13 참조), 목교 구조(8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크 조립 구조는 평지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다리(인도교 또는 교량)에 사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데크 110: 제1 데크
120: 제2 데크 130: 오목홈
140: 보조오목홈 150: 요철부
160: 함몰부 200: 클립
210: 베이스부 220: 제1 측면부
225: 제1 연결부 230: 제2 측면부
235: 제2 연결부 240: 관통홀
250: 유격 300: 고정수단
400: 지지부재 500: 탄성부
600: 보조클립 610: 고정부
620: 돌출부 V: 가상선
S: 상측 공간
120: 제2 데크 130: 오목홈
140: 보조오목홈 150: 요철부
160: 함몰부 200: 클립
210: 베이스부 220: 제1 측면부
225: 제1 연결부 230: 제2 측면부
235: 제2 연결부 240: 관통홀
250: 유격 300: 고정수단
400: 지지부재 500: 탄성부
600: 보조클립 610: 고정부
620: 돌출부 V: 가상선
S: 상측 공간
Claims (16)
- 측면에 함몰된 오목홈이 형성되고 지지부재에 다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되는 데크;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베이스부,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된 제1 측면부, 및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지지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오목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된 제2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2 측면부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상기 제2 측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상기 제1 측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이 가능한 클립; 및
상기 클립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고,
횡단면을 기준으로 볼 때,
상기 오목홈은 곡선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곡선으로 연장되며,
상기 데크가 팽창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2 측면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데크가 수축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는 상기 제2 측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제1 측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데크가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경우,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오목홈의 내벽을 따라 회동하면서 탄성 변형되어, 상기 오목홈과 상기 제1,2 측면부는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베이스부에는 두께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기 클립을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하며,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관통홀을 포함하는 소정영역의 상측 공간을 제외하고 연장되어,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소정영역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는 데크 조립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는 제1 연결부가 연장되며,
상기 제2 측면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는 제2 연결부가 연장되는 데크 조립 구조.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와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베이스부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 가까워지는 데크 조립 구조.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2 측면부는 일정한 두께의 판상의 소재로 형성되는 데크 조립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횡단면을 기준으로 상기 베이스부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상선을 정의할 때,
상기 제1 측면부와 상기 제2 측면부는 상기 가상선에서 멀어질수록 곡률이 증가하고, 상기 가상선에서 가까워질수록 곡률이 감소하는 데크 조립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면부의 말단과 상기 제2 측면부의 말단은 소정간격 이격된 데크 조립 구조.
- 삭제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나사못인 데크 조립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각파이프 또는 목재인 데크 조립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데크는 천연목재, 합성목재, 인조목재, 방부목재, 고열처리목재, 또는 탄화목재로 형성되는 데크 조립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데크 사이에 탄성체로 경화된 탄성부가 형성되는 데크 조립 구조.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데크 사이의 간격은 0.5mm 내지 1mm인 데크 조립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데크의 측면을 따라 연장되되 상기 오목홈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돌출부;
를 포함하는 보조클립을 더 포함하는 데크 조립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0885A KR102405137B1 (ko) | 2021-08-23 | 2021-08-23 | 데크 조립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10885A KR102405137B1 (ko) | 2021-08-23 | 2021-08-23 | 데크 조립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05137B1 true KR102405137B1 (ko) | 2022-06-07 |
Family
ID=81987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10885A KR102405137B1 (ko) | 2021-08-23 | 2021-08-23 | 데크 조립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513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1981B1 (ko) * | 2022-09-20 | 2023-02-21 | 주식회사 서원비에스티 | 우산형 데크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 구조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06276A (ja) * | 2000-11-10 | 2002-07-26 | Sekisui Chem Co Ltd | デッキ |
JP2008031827A (ja) * | 2006-06-28 | 2008-02-14 | Masatoshi Tamaoki | 長尺板材の固定構造、長尺板材固定具、及び長尺板材 |
KR200449138Y1 (ko) | 2009-09-14 | 2010-06-21 | (주)그린아트산업 | 목재 결속용 고정구 |
KR20130056702A (ko) * | 2011-11-22 | 2013-05-30 |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 목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크 시설물 |
KR20190021612A (ko) * | 2017-08-23 | 2019-03-06 | (주)다정하이테크 | 데크 고정용 클립 |
KR102188413B1 (ko) * | 2020-02-17 | 2020-12-08 | 자연과빛 주식회사 |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 |
-
2021
- 2021-08-23 KR KR1020210110885A patent/KR10240513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06276A (ja) * | 2000-11-10 | 2002-07-26 | Sekisui Chem Co Ltd | デッキ |
JP2008031827A (ja) * | 2006-06-28 | 2008-02-14 | Masatoshi Tamaoki | 長尺板材の固定構造、長尺板材固定具、及び長尺板材 |
KR200449138Y1 (ko) | 2009-09-14 | 2010-06-21 | (주)그린아트산업 | 목재 결속용 고정구 |
KR20130056702A (ko) * | 2011-11-22 | 2013-05-30 |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 목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크 시설물 |
KR20190021612A (ko) * | 2017-08-23 | 2019-03-06 | (주)다정하이테크 | 데크 고정용 클립 |
KR102188413B1 (ko) * | 2020-02-17 | 2020-12-08 | 자연과빛 주식회사 | 시공이 용이한 데크플레이트 조립부재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01981B1 (ko) * | 2022-09-20 | 2023-02-21 | 주식회사 서원비에스티 | 우산형 데크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 구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05137B1 (ko) | 데크 조립 구조 | |
CN1307355C (zh) | 轨道式固定装置 | |
RU2504625C2 (ru) | Потолок со скрытой подвесной системой со снимаемыми вниз панелями | |
KR101672398B1 (ko) | 데크 조립 구조 | |
KR101775078B1 (ko) | 데크 조립 구조 | |
KR101920180B1 (ko) | 데크 결합용 클립 | |
US20090107076A1 (en) | Sectional Flooring with Coupling Membe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 |
KR101284588B1 (ko) | 목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데크 시설물 | |
US8919070B2 (en) | Spacer for retaining cladding element on structural building element | |
KR20120100227A (ko) | 조인트 클립 | |
KR101848811B1 (ko) | 목재 기둥이 개선된 디자인형 울타리 | |
US20070240376A1 (en) | Joint for a Panel | |
KR102344623B1 (ko) | 알루미늄 데크패널 | |
NL2020387B1 (en) | Fasteners and kits of parts | |
KR101476775B1 (ko) |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 |
CN109162424A (zh) | 装配式地板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 |
KR102175652B1 (ko) | 데크 조립 구조 및 데크 조립 구조의 시공방법 | |
KR102696187B1 (ko) | 데크 로드용 울타리 | |
KR101830827B1 (ko) | 내진용 천정판 체결구 | |
KR102487460B1 (ko) | 데크 조립 구조 및 데크 조립 구조의 설치방법 | |
KR101378077B1 (ko) | 목재 데크 연결용 클립 | |
KR200399609Y1 (ko) | 건축용 패널 | |
KR102696188B1 (ko) | 데크 로드용 울타리 | |
KR102501981B1 (ko) | 우산형 데크클립을 이용한 데크 조립 구조 | |
CN113250410B (zh) | 一种减震件、采用该减震件的干挂墙及其施工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