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376B1 -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376B1
KR102293376B1 KR1020210055838A KR20210055838A KR102293376B1 KR 102293376 B1 KR102293376 B1 KR 102293376B1 KR 1020210055838 A KR1020210055838 A KR 1020210055838A KR 20210055838 A KR20210055838 A KR 20210055838A KR 102293376 B1 KR102293376 B1 KR 102293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rail
coupler
insertion slit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5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유) 휴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 휴먼테크 filed Critical (유) 휴먼테크
Priority to KR1020210055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3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metallic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06Sets of pav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66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77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floo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flooring elements
    • E04F2015/02088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floo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양측면에 외측방향으로 개구된 삽입슬릿(110,120)이 형성된 데크(100)와, 상기 데크(100) 및 상기 데크(100)와 이웃하는 제2 데크(100a)의 삽입슬릿(110,120a)에 양측이 각각 삽입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고정공(240)이 형성되는 멀티커플러(200)와, 상면에 데크(100)가 안착되고 상기 멀티커플러(200)가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공(240)에 체결되는 고정수단(250)에 의해 상기 멀티커플러(200)와 일체로 고정되는 멀티레일(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설치가 간편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데크를 멀티레일에 고정하는 결속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Rail type deck rod system}
본 발명은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실외 테라스, 사람들이 왕래하는 통로 등에 시공되는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데크로드는 사람들이 왕래하는 통로, 실외 테라스, 산책로 등에 설치되어 외부 공간의 분위기를 더하고 관리를 용이하게 만들기 위하여 사용한다. 데크로드는 합성목재 등을 사용하여 바닥을 형성하므로 주위 환경과도 잘 어울리고 평평한 길을 만들어 사람이나 동물이 편안하게 다닐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장점이 있다.
이러한 데크로드는 일정간격으로 시공된 각관의 상부에 데크를 배치하고 데크의 상부에 앙카나 피스를 박아 데크를 각관에 고정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데크로드의 시공방법은 앙카나 피스가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이 미려하지 않고, 데크가 수축 및 팽창하는 성질이 있어 그 과정에서 앙카나 피스의 부러짐, 노출, 데크의 갈라짐 등의 변형이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동과 소음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2241670호(2021.04.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가 간편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데크를 받침대에 고정하는 결속부품(멀티커플러, 고정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미려하며 내구성이 우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은 양측면에 외측방향으로 개구된 삽입슬릿이 형성된 데크와, 상기 데크 및 상기 데크와 이웃하는 제2 데크의 삽입슬릿에 양측이 각각 삽입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멀티커플러와, 상면에 데크가 안착되고 상기 멀티커플러가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멀티커플러와 일체로 고정되는 멀티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데크는 폭보다 길이가 긴 판재형상이고, 상기 데크와 상기 제2 데크는 동일한 형상이다.
상기 삽입슬릿은 상기 데크의 일측면의 상하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삽입슬릿과 상기 데크의 타측면의 상하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삽입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슬릿의 요입깊이는 상기 제2 삽입슬릿의 요입깊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얕으며, 상기 데크는 상기 제1 삽입슬릿을 기준으로 상부측과 하부측이 동일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삽입슬릿을 기준으로 상부측이 하부측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멀티커플러는 상기 데크의 제1 삽입슬릿과 상기 데크와 이웃하는 상기 제2 데크의 제2 삽입슬릿에 삽입되기 위한 상단날개와, 상기 멀티레일에 결합되는 하단날개와, 상기 상단날개와 상기 하단날개를 연결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공은 상기 상단날개, 상기 몸체 및 상기 하단날개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상단날개의 중심에서 벗어나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되고, 상기 상단날개는 상기 제1 삽입슬릿과 상기 제2 삽입슬릿의 깊이를 합한 깊이와 대응된다.
상기 멀티레일은 상기 데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요입형성되어 상기 하단날개의 양측이 걸어지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레일바닥을 포함하는 레일부가 형성된다.
상기 레일부의 레일바닥은 상기 사각 프레임 형상의 바닥프레임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레일바닥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멀티레일의 하면에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멀티레일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어 그 사이에 통풍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멀티레일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멀티커플러는 주물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이다.
본 발명은 데크의 양측면에 삽입슬릿을 형성하여 결속부품인 멀티커플러가 데크의 두께 방향 사이에 위치되게 시공함으로써 고정수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행성을 향상시키고 미관을 향상시키며, 데크에 손상을 주지 않아 데크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키고 하자발생을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레일(300)의 재질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므로 경량화되고 부식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며, 설치가 간편하고 시공이 용이하며, 고정수단으로 직결피스를 시공하여 튼튼한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직결피스가 멀티커플러에 기울어져 고정되므로 데크와 멀티커플러 및 멀티레일이 고정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결속이 강화되어 데크와 멀티레일의 이탈이 방지되고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을 보인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로서 조립전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을 보인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의 멀티레일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의 멀티커플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을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로서 조립전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을 보인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의 멀티레일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의 멀티커플러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10)은 데크(100), 멀티커플러(200), 멀티레일(300) 및 각형강관(400)을 포함한다.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10)은 각형강관(400)의 상면에 멀티레일(300)이 배치되며, 멀티레일(300)의 상면에 데크(100)가 멀티커플러(200)를 매개로 배치되고 고정되는 구조이다.
일 예로,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각형강관(400)의 상면에 멀티레일(300)이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멀티레일(300)의 상면에 데크(100)가 멀티커플러(200)를 매개로 종방향으로 배치 시공된다. 이러한 종방향과 횡방향의 교차 시공구조는 멀티레일(300)이 데크(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각형강관(400)이 멀티레일(3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구조 안정성을 높인다.
데크(100)는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는 보행로를 따라 연속하여 배치되는 다수 개로 구성되어 바닥을 형성한다. 데크(100)는 폭보다 길이가 긴 판재형상이다. 데크(100)는 목질섬유와 고분자수지를 합성하여 압출성형한 목재로 열과 습기에 강해 썩지않고, 오일스테인칠을 하지 않아도 되며, 물청소로 관리가 가능한 목재로 될 수 있다. 또는 데크(100)는 천연목재로 될 수 있다.
데크(100)는 폭방향 양측면에 외측방향으로 개구되는 요입된 형상의 삽입슬릿(110,120)이 형성된다. 삽입슬릿(110,120)은 데크(100)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제2 데크(100a)를 후술할 멀티커플러(200)를 사용하여 끼움 조립 방식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삽입슬릿(110,120)은 데크(10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삽입슬릿(110)과 반대되는 타측면에 형성된 제2 삽입슬릿(120)을 포함한다. 제1 삽입슬릿(110)은 데크(100)의 일측면의 상하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제2 삽입슬릿(120)은 데크(100)의 타측면의 상하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제1 삽입슬릿(110)은 요입깊이가 얕고, 제2 삽입슬릿(120a)은 요입깊이가 제 삽입슬릿(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깊다. 더욱이, 데크(100)는 제1 삽입슬릿(110a)을 기준으로 상부측과 하부측이 동일한 면을 형성하며 이로 인해, 제1 삽입슬릿(110a)의 바닥면과 천정면은 동일한 길이로 된다. 그리고 데크(100)는 제2 삽입슬릿(120a)을 기준으로 상부측이 하부측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며 이로 인해, 제2 삽입슬릿(120a)은 바닥면에 비해 천정면의 길이가 더 길다.
이러한 제1 삽입슬릿(110a)과 제2 삽입슬릿(120a)의 형상은 멀티커플러(200)가 데크(100)와 이웃하는 제2 데크(100a)를 멀티레일(300)에 고정하기 용이하게 하고, 멀티레일(300)이 데크(100)와 제2 데크(100a)를 고정한 상태가 제2 삽입슬릿(120a)의 천정면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도 1 참조).
일 예로, 데크(100)의 규격은 1800×90(폭)×21(두께)인 판재형상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데크(100)는 상면이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게 도시하였으나, 데크(100)의 상면은 보행자의 미끄럼 방지를 위해 요철이 형성되거나 일정간격을 두고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상일 수 있다.
데크(100)는 깊이가 얕은 제1 삽입슬릿(110)에 후술할 멀티레일(300)의 상단날개(210)를 먼저 삽입하는 방식으로 시공되며, 이는 후술할 시공방법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멀티커플러(200)는 데크(100)와 제2 데크(100a)를 이웃 배치하여 지지하고, 고정수단(250)으로 멀티레일(300)에 고정됨으로써 데크(100)와 제2 데크(100a)가 이웃하도록 배치된 상태를 멀티레일(300)에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고정수단(250)은 나사산을 갖는 형태의 고정피스 또는 직결피스일 수 있다.
멀티커플러(200)는 데크(100) 및 상기 데크(100)와 이웃하는 제2 데크(100a)의 삽입슬릿(110,120a)에 상단 양측이 각각 삽입되어 데크(100)와 제2 데크(100a)를 이웃하여 배치 고정한다.
멀티커플러(200)는 상하로 관통하는 고정공(240)이 형성된다. 멀티커플러(200)의 고정공(240)에는 고정수단(250)이 체결되고 고정수단(250)의 단부는 멀티레일(300)의 레일바닥(312)을 뚫고 관통하여 멀티레일(300)에 고정된다. 멀티커플러(200)는 데크(100)와 제2 데크(100a)를 이웃하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멀티레일(30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멀티커플러(200)는 상단날개(210), 하단날개(220) 및 몸체(230)를 포함한다.
상단날개(210)는 데크(100)의 제1 삽입슬릿(110)과 데크(100)와 이웃하는 제2 데크(100a)의 제2 삽입슬릿(120a)에 삽입된다. 하단날개(220)는 멀티레일(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몸체(230)는 상단날개(210)와 하단날개(220)를 연결하는 원기둥형상으로 된다. 상단날개()의 폭이 좁은 쪽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삼각형 형상의 돌기(231)가 형성된다. 돌기(231)는 데크(100)에 밀착되어 멀티커플러(200)와 데크(100)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게 임시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멀티커플러(200)의 고정공(240)은 상단날개(210), 몸체(230) 및 하단날개(22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고정공(240)은 상단날개(210)의 중심에서 벗어나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고정공(240)은 상부측이 하향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수단(250)의 머리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된다. 고정수단(250)의 머리부가 고정공(240)에 수용되면 고정수단(250)의 머리부가 멀티커플러(200)의 상면에서 돌출되지 않는다. 이는 멀티커플러(200)가 데크(100)와 제2 데크(100a)를 끼움 조립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멀티커플러(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멀티커플러(200)의 몸체(230)는 상단날개(210)의 중심에서 벗어나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된다. 도 5에서 확인하면 멀티커플러(200)의 상단날개(210)를 m:n의 비율로 나눈 위치에 고정공(240)이 형성되고, 고정공(240)과 연통된 몸체(230)도 위치된다.
멀티커플러(200)의 상단날개(210)는 제1 삽입슬릿(110)과 제2 삽입슬릿(120a)의 깊이를 합한 깊이와 대응되거나, 상대적으로 작다. 멀티커플러(200)의 상단날개(210)가 제1 삽입슬릿(110)과 제2 삽입슬릿(120a)의 깊이를 합한 깊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제2 삽입슬릿(120a)에 여유를 두어 데크(100)의 팽창과 수축을 수용할 수 있는 여유가 있도록 한 것이다.
고정수단(250)은 멀티커플러(200)의 고정공(240)을 직각으로 통과되고 멀티레일(300)의 레일부(310)의 레일바닥(312)을 뚫고 관통하는 방식으로 멀티레일(300)에 고정된다.
이러한 멀티커플러(200)는 주물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멀티커플러(200)를 주물 일체형으로 제작하면 변형 및 파손의 우려가 없다. 이는 데크(100)의 수축 및 팽창에도 멀티커플러(20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멀티레일(300)은 상면에 데크(100)가 안착되고, 데크(100)를 고정하기 위한 멀티커플러(200)가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며 멀티커플러(200)의 고정공(240)에 체결되는 고정수단(250)에 의해 멀티커플러(200)와 일체로 고정된다.
멀티레일(300)은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알루미늄 소재로 제작된다. 멀티레일(300)은 데크(100)와 직교하는 방향이 되게 각형강관(400)의 상면에 설치된다. 멀티레일(300)은 상면에 요입 형성되어 하단날개(220)의 양측이 이동 가능하게 걸어지는 레일(311)과 레일(31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레일바닥(312)을 포함하는 레일부(310)가 형성된다.
또한, 멀티레일(300)의 레일부(310)의 레일바닥(312)은 사각 프레임 형상의 바닥프레임(320)과 소정간격 이격되고, 이로 인해 레일바닥(312)과 바닥프레임(320)의 사이에는 빈 공간(330)이 형성된다. 빈 공간(330)에 레일바닥(312)을 뚫고 관통한 고정수단(250)의 나사부가 위치한다. 또한, 고정수단(250)의 나사부는 레일바닥(312)을 관통한 후 각형강관(400)에 고정된다.
멀티레일(300)의 바닥프레임(320)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지지돌기(321)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돌기(321)는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고 그 사이에 통풍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멀티레일(300)의 통풍 및 배수 기능이 가능하도록 된다. 지지돌기(321)는 3개 또는 4개가 균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통풍공간을 형성한다(도 4 참조).
각형강관(400)은 데크(100)를 시공할 때 지반에 단단하게 고정하여 기초가 되는 부분이다. 각형강관(400)은 지반에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멀티레일(300)의 상면에 데크를 위치시킨 다음, 멀티커플러(200)의 하단날개(220)를 멀티레일(300)에 끼움 결합하고 멀티커플러(200)의 상단날개(210)의 짧은부분을 데크(100)의 제1 삽입슬릿(110)에 끼움 결합한다.
이때, 제1 삽입슬릿(110)의 높이는 상단날개(210)의 두께에 대응되어 상단날개(210)를 제1 삽입슬릿(110)에 망치 등으로 박아 압입식으로 삽입할 수 있다. 이는 멀티커플러(200)가 데크(100)와 제2 데크(100a)를 고정한 상태에서 데크들의 유동이 방지되게 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100)와 이웃하게 배치될 제2 데크(100a)를 준비하여 멀티레일(300)의 상면에 위치한 다음, 멀티커플러(200)의 고정공(240)에 고정수단(250)을 체결한다. 고정공(240)에 체결된 고정수단(250)은 나사부가 고정공(240)을 통과하여 멀티레일(300)의 레일바닥(312)을 뚫고 관통하는 방식으로 멀티커플러(200)와 멀티레일(300)에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공(240)에 체결된 고정수단(250)의 머리부는 고정공(240)의 상측 하향 경사부에 의해 고정공(240) 내에 위치되고 멀티커플러(20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커플러(200)의 상단날개(210)의 긴부분을 제2 데크(100a)의 제2 삽입슬릿(120a)에 끼움 결합한다.
이때. 제2 삽입슬릿(120a)의 높이는 상단날개(210)의 두께에 대응되어 상단날개(210)를 제2 삽입슬릿(120a)에 대응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제2 데크(100a)를 상단날개(210) 방향으로 끼움 결합함으로써 데크(100)와 제2 데크(100a)가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수단(250)이 멀티커플러(20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음으로 인해 제2 데크(100a)의 제2 삽입슬릿(120a)에 상단날개(210)를 끼움 결합할 수 있고, 데크들 사이의 이격된 간격이 최소가 되게 데크들을 연속하여 배치할 수 있다.
상술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은 고정수단(250)으로 직결피스를 시공하여 튼튼한 시공이 가능하면서도 데크(100)에 삽입슬릿을 형성하여 직결피스가 데크(100)의 두께 방향 중앙에 위치되게 시공함으로써 직결피스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보행성을 향상시키고 미관을 향상시키며, 데크에 손상을 주지 않아 데크의 내구연한을 증가시키고 하자발생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은 멀티레일(300)의 재질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므로 경량화되고 부식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며, 설치가 간편하고 시공이 용이하다.
더욱이, 상술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은 데크(100)들의 결속부품인 멀티커플러(200)와 고정수단(25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데크(100)에 고정수단(250)을 직접 고정하지 않고 멀티커플러(200)를 사용하므로 데크(100)의 손상이 없고, 시공이 용이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이웃하는 데크 간의 간격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조립은 멀티레일(300)에 멀티커플러(200)의 하단날개(220)를 끼우고 고정할 데크(100)를 멀티커플러(200)의 상단날개(210)에 끼우고 고정할 위치에서 멀티커플러(200)의 고정공(240)에 고정수단(250)인 직결피스로 결속하면 되므로 조립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보수는 멀티커플러(200)의 직결피스를 해체하고 멀티커플러(200)에서 데크(100)를 분리하고 새로운 데크를 멀티커플러(200)에 끼움 결합한 다음 직결피스로 다시 고정하면 되므로 보수 작업도 용이하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의 시공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100-1)의 시공방법은 멀티레일(300)의 상면에 데크를 위치시킨 다음, 멀티커플러(200)의 하단날개(220)를 멀티레일(300)에 끼움 결합하고 멀티커플러(200)의 상단날개(210)의 일측을 데크(100)의 제1 삽입슬릿(110)에 박아 끼움 결합한 다음, 고정수단(250)을 소정의 삽입각도로 고정공(240)에 체결하여 고정수단(250)의 나사산이 멀티레일(300)의 레일바닥(312)과 각형강관(400)을 관통하여 고정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데크(100)의 제1 삽입슬릿(110)과 제2 삽입슬릿(120a)의 요입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한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또 다른 실시예로, 고정수단(250)은 직결피스를 사용하고 고정공(240)에 삽입되는 각도는 약 10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제1 삽입슬릿(110)과 제2 삽입슬릿(120a)의 요입길이를 동일하게 하여도 상단날개(210)가 데크(100)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250)을 고정공(240)에 삽입하여 체결하는 것이 가능하고, 고정수단(250)의 머리부가 멀티커플러(200)의 상면으로 돌출되지 않아 제2 데크(100a)의 제2 삽입슬릿(120a)에 상단날개(210)의 나머지 부분을 끼움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데크(100)의 제1 삽입슬릿(110)과 제2 삽입슬릿(120a)의 요입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여도 고정수단(250)을 멀티커플러(200)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하므로 데크로드 시스템의 시공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정수단(250)인 직결피스가 멀티커플러(200)에 기울어져 고정되므로 데크와 멀티커플러(200) 및 멀티레일(300)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고 결속이 강화되어 데크와 멀티레일(3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은 보행로, 테라스 등 다양한 곳에 적용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 100,100a: 데크
110,110a: 제1 삽입슬릿 120,120a: 제2 삽입슬릿
200: 멀티커플러 210: 상단날개
220: 하단날개 230: 몸체
240: 고정공 250: 고정수단
300: 멀티레일 310: 레일부
311: 레일 312: 레일바닥
320: 바닥프레임 321: 지지돌기
330: 빈 공간 400: 각형강관

Claims (2)

  1. 폭보다 길이가 긴 판재형상으로, 양측면에 외측방향으로 개구된 삽입슬릿이 형성된 데크;
    상기 데크 및 상기 데크와 이웃하는 제2 데크의 삽입슬릿에 양측이 각각 삽입되고 상하로 관통하는 고정공이 형성되는 멀티커플러; 및
    상면에 데크가 안착되고, 상기 멀티커플러가 레일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고정공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멀티커플러와 일체로 고정되는 멀티레일; 을 포함하고,
    상기 데크와 상기 제2 데크는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삽입슬릿은
    상기 데크의 일측면의 상하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삽입슬릿과 상기 데크의 타측면의 상하방향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 삽입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슬릿의 요입깊이는 상기 제2 삽입슬릿의 요입깊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얕으며,
    상기 데크는 상기 제1 삽입슬릿을 기준으로 상부측과 하부측이 동일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 삽입슬릿을 기준으로 상부측이 하부측 비해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멀티커플러는
    상기 데크의 제1 삽입슬릿과 상기 데크와 이웃하는 상기 제2 데크의 제2 삽입슬릿에 삽입되기 위한 상단날개와
    상기 멀티레일에 결합되는 하단날개와
    상기 상단날개와 상기 하단날개를 연결하는 몸체;
    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공은 상기 상단날개, 상기 몸체 및 상기 하단날개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상단날개의 중심에서 벗어나 일측으로 치우쳐 위치되고,
    상기 상단날개는,
    상기 제1 삽입슬릿과 상기 제2 삽입슬릿의 깊이를 합한 깊이와 대응되고,
    상기 상단날개의 폭이 좁은 쪽에 전방으로 돌출되는 삼각형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데크에 밀착되어 상기 멀티커플러와 상기 데크가 좌우로 이동되지 않게 임시 고정하고,
    상기 멀티레일은,
    상기 데크와 직교하는 방향이 되게 각형강관 상면에 설치되고,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요입형성되어 상기 하단날개의 양측이 걸어지는 레일과 상기 레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레일바닥을 포함하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부의 레일바닥은 상기 사각 프레임 형상의 바닥프레임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레일바닥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 공간에 상기 레일바닥를 뚫고 관통한 상기 고정수단의 나사부가 위치하고, 상기 고정수단의 나사부는 상기 레일바닥을 관통한 후 각형강관에 고정되고,
    상기 멀티레일의 하면에는 지지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돌기는 상기 멀티레일의 하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형성되어 그 사이에 통풍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멀티레일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멀티커플러는 주물 일체형으로 제작된 것인,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55838A 2021-04-29 2021-04-29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 KR102293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838A KR102293376B1 (ko) 2021-04-29 2021-04-29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5838A KR102293376B1 (ko) 2021-04-29 2021-04-29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376B1 true KR102293376B1 (ko) 2021-08-25

Family

ID=77495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5838A KR102293376B1 (ko) 2021-04-29 2021-04-29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223B1 (ko) * 2021-11-16 2022-03-25 (유) 휴먼테크 멀티커플러적용데크목재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4663A (ja) * 2004-03-22 2005-09-29 Misawa Homes Co Ltd 床板材の連結金具
KR20090060686A (ko) * 2007-12-10 2009-06-15 박준남 조립데크 결합장치
KR20130081005A (ko) * 2012-01-06 2013-07-16 주식회사 위퍼스 데크결합구조
KR102023868B1 (ko) * 2019-03-25 2019-11-04 수풍산업 주식회사 부식방지하는 목교 데크로드
KR102241670B1 (ko) 2020-07-03 2021-04-19 주식회사 에이치티 슬라이딩 회전 고정방식 데크로드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64663A (ja) * 2004-03-22 2005-09-29 Misawa Homes Co Ltd 床板材の連結金具
KR20090060686A (ko) * 2007-12-10 2009-06-15 박준남 조립데크 결합장치
KR20130081005A (ko) * 2012-01-06 2013-07-16 주식회사 위퍼스 데크결합구조
KR102023868B1 (ko) * 2019-03-25 2019-11-04 수풍산업 주식회사 부식방지하는 목교 데크로드
KR102241670B1 (ko) 2020-07-03 2021-04-19 주식회사 에이치티 슬라이딩 회전 고정방식 데크로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8223B1 (ko) * 2021-11-16 2022-03-25 (유) 휴먼테크 멀티커플러적용데크목재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7295B1 (en) Flooring assembly and fastener therefor
US9228345B2 (en) Extruded deck board with finishing material insert
AU2012280201B2 (en) Fastening system
US20110258943A1 (en) Modular building
US20060242916A1 (en) Edge boards and related assemblies
WO2015159136A1 (en) Covering comprising cover plates clamped to profiles
KR101170293B1 (ko) 목재고정용 히든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패널 체결구조
KR102293376B1 (ko) 레일형 데크로드 시스템
CN101292071A (zh) 用于建造墙壁的建筑系统
JP6207561B2 (ja) 断熱壁構造、断熱壁構造組立方法、及び建築構造物
CA2255245C (en) Mounting system for panels for use in facade cladding on buildings
KR100999373B1 (ko) 목재 데크를 시공하기 위한 연결구조와 클립
KR102218887B1 (ko) 알루미늄바를 이용한 데크의 조립구조
KR101467197B1 (ko) 유동형 데크 클립 및 이를 이용한 목재 데크 구조물 시공방법
KR101323380B1 (ko) 매립형 고정 브라켓
KR101291678B1 (ko)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KR102120940B1 (ko) 건축용 다기능 다목적 지지대
KR20210023360A (ko) 우드펜스
KR101789684B1 (ko) 건축 벽체용 지지구
KR20130002467U (ko) 합성목재 시공용 고정클립
KR101612376B1 (ko) 중간 연결재를 이용한 데크 조립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663825B1 (ko) 자석을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1021832B1 (ko) 확장 인도용 바닥 패널
RU49834U1 (ru) Шумозащитный элемент и шумозащитный экран
KR102139094B1 (ko) 디자인형 울타리의 지주와 난간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