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557B1 -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557B1
KR102187557B1 KR1020190062879A KR20190062879A KR102187557B1 KR 102187557 B1 KR102187557 B1 KR 102187557B1 KR 1020190062879 A KR1020190062879 A KR 1020190062879A KR 20190062879 A KR20190062879 A KR 20190062879A KR 102187557 B1 KR102187557 B1 KR 102187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spare tire
storage space
vehicl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2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557B1/ko
Priority to US16/868,299 priority patent/US20200377160A1/en
Priority to CN202010408990.8A priority patent/CN112009581A/zh
Priority to DE102020206235.8A priority patent/DE102020206235A1/de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5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6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 B62D43/1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within the vehicle body and arrang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02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 B60S9/04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for only lifting or supporting mechan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02Handling devices, mainly for heavy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3/00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 B62D43/02Spare wheel stowing, holding, or mounting arrangements external to the vehicle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9/00Ground-engaging vehicle fittings for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the vehicle, wholly or in part, e.g. built-in jacks
    • B60S9/22Means for attaching lifting, supporting, or manoeuvring devices to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7Luggage compart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 장착공간이나 배터리 장착을 위한 마운팅 구조물과의 간섭 발생 없이 트렁크룸 저면에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스페어 타이어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 내에 수납된 상태로 상측으로 위치되는 스페어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잭 업 기구와; 상기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스페어 타이어가 올려져 지지되는 서포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spare ti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스페어 타이어를 수납하고 고정하기 위한 적재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페어 타이어(spare tire)는 타이어 펑크 등의 유사시에 타이어를 교체할 수 있도록 차량 내에 비치하여 두는 예비 타이어로서, 보통 트렁크룸 저면에 형성된 타이어 웰(tire well)에 스페어 타이어를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타이어 웰은 트렁크룸 저면을 형성하는 차체 패널, 즉 리어 플로어 패널에 스페어 타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움푹패인 형태로 형성한 부분이며, 스페어 타이어를 수납할 때에는 차량 주행 동안 스페어 타이어가 요동되거나 그로 인한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스페어 타이어를 타이어 웰에 고정한 상태로 수납한다.
타이어 웰에 스페어 타이어가 수납되고 나면 스페어 타이어 위로 러기지 보드(luggage board)를 덮어서 가려주는데, 러기지 보드는 스페어 타이어의 수납상태가 노출되지 않도록 가려주는 부재이면서 트렁크룸의 저면을 이루는 내장재가 된다.
그리고, 차량의 타이어에 펑크가 발생하여 스페어 타이어로 교체할 때에는 차체를 원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려주고 지지해줄 수 있는 잭 업(jack up) 기구의 이용이 필요하고, 따라서 차량 구매시 보통 스페어 타이어와 함께 잭 업 기구가 세트로 함께 제공된다.
한편, 스페어 타이어는 무게만 15 ~ 20㎏에 달하기 때문에 평상시 차량 운행 동안 스페어 타이어를 트렁크룸에 계속해서 싣고 다닐 경우 연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자동차 제조사에서 차량 경량화와 함께 연비 향상을 위해 기존 스페어 타이어를 삭제하고 대신 부피가 작고 가벼운 타이어 수리키트(Tire Mobility Kit, TMK)를 제공하고 있다.
소형의 타이어 수리키트를 대신 제공할 경우, 차량 경량화 및 연비 향상의 이점과 더불어, 트렁크룸 내 차체 부분인 리어 플로어 패널에 스페어 타이어를 수납할 만큼 큰 공간인 타이어 웰을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특히, 최근 들어 생산과 판매가 점차 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경우에는 대용량 배터리의 장착공간으로 인하여 타이어 수납공간인 타이어 웰을 트렁크룸 저면의 리어 플로어 패널에 마련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보통의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는 주로 차체 하측에 마운팅되어 탑재되고 있으며, 이때 배터리 일부가 리어 플로어 패널 하측에 위치하도록 마운팅된다.
대용량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는 중량과 부피가 크므로 마운팅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리어 플로어 패널에 강성이 확보될 수 있는 형상의 마운팅부를 형성한 후, 이 마운팅부에 브라켓을 체결하여 배터리를 상기 브라켓을 매개로 마운팅부에 지지시키고 있다.
그러나, 리어 플로어 패널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마운팅부를 형성할 경우, 리어 플로어 패널에서 타이어 수납공간과 마운팅부 사이의 간섭이 발생하고, 결국 마운팅부로 인해 스페어 타이어가 수납될 만한 크기의 타이어 웰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불가하다.
이와 같이 전기자동차에서는 배터리 장착공간으로 인해 트렁크룸 저면에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에서와 같이 타이어 웰을 형성하여 스페어 타이어를 적재하는 것이 불가하고, 따라서 스페어 타이어 대신 작고 휴대가 간편한 타이어 수리키트(TMK)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스페어 타이어 탑재를 법규로 의무화하고 있는 국가에서는 전기자동차에도 스페어 타이어를 반드시 탑재해야 하고, 이 경우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전기자동차의 트렁크룸 내 러기지 보드 위에 그냥 싣고 다닐 수 있도록 스페어 타이어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트렁크룸에서 스페어 타이어의 수납상태가 노출되는 문제가 있고, 러기지 보드 위에 그냥 올려져 있는 스페어 타이어로 인해 트렁크룸의 사용에 공간상 제약이 있을 수밖에 없다.
만약, 스페어 타이어의 수납상태가 노출되지 않도록 트렁크룸 내 저면의 차체 부분에 타이어 웰을 형성한 뒤 타이어 웰 내측으로 스페어 타이어를 수납하고자 한다면, 배터리 장착공간이나 장착위치, 배터리 마운팅 구조, 리어 플로어 패널 등의 차체 형상 및 구조를 변경할 수밖에 없다.
결국, 동일 차종이라 하더라도 일부 국가에서는 법규로 인해 차체를 다른 국가와 공용화하지 못하고 다르게 설계 및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차량에서 배터리 장착공간이나 배터리 장착을 위한 마운팅 구조물과의 간섭 발생 없이 트렁크룸 저면에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스페어 타이어를 적재할 수 있는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 차체의 변경 없이 스페어 타이어를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할 수 있고, 스페어 타이어 관련 법규와 상관없이 계속해서 차체의 공용화 유지를 가능하게 하는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 내에 수납된 상태로 상측으로 위치되는 스페어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잭 업 기구; 및 상기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스페어 타이어가 올려져 지지되는 서포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잭 업 기구는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시에 이용하도록 스페어 타이어와 함께 제공되는 차체 승강 용도의 잭 업 기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체 패널은 리어 시트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 플로어 패널이고, 상기 소품 수납공간은 리어 플로어 패널에서 하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는, 상기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잭 업 기구가 결합된 상태일 때 잭 업 기구를 상기 소품 수납공간에서 고정하는 잭 고정 마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잭 고정 마운트에 스페어 타이어가 지지되도록 올려지고, 상기 잭 업 기구는, 잭 고정 마운트의 하측으로 배치되어, 상부 브라켓이 상승하여 잭 고정 마운트의 하부면에 접촉 및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잭 고정 마운트를 통해 스페어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는, 상기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 상측을 가로지르는 형태가 되도록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 개의 로드; 상기 복수 개의 로드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체결브라켓; 및 성가 체결브라켓에 스페어 타이어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 내에 잭 업 기구를 수납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잭 업 기구의 상측으로 스페어 타이어를 위치시켜 잭 업 기구가 제공하는 지지력이 스페어 타이어에 작용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스페어 타이어가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에 설치된 서포트 어셈블리 위에 올려져 지지되는 상태에서, 스페어 타이어를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잭 업 기구는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시에 이용하도록 스페어 타이어와 함께 제공되는 차체 승강 용도의 잭 업 기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체 패널은 리어 시트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 플로어 패널이고, 상기 소품 수납공간은 리어 플로어 패널에서 하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방법에서, 상기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잭 고정 마운트의 하측으로 상기 잭 업 기구를 배치하고, 상기 잭 업 기구의 상부 브라켓을 상승시켜 잭 고정 마운트의 하부면에 상기 상부 브라켓을 접촉 및 결합함으로써, 잭 업 기구가 소품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잭 고정 마운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잭 고정 마운트가 상기 잭 업 기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에 의하면, 전기자동차에서 배터리 장착공간이나 배터리 장착을 위한 마운팅 구조물 등에 상관 없이 트렁크룸 저면에 스페어 타이어를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에 의하면, 기존 차체의 변경 없이 스페어 타이어를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수납할 수 있고, 스페어 타이어 관련 법규와 상관없이 계속해서 차체의 공용화 유지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에서 러기지 보드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 장치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가 적재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 장치로부터 스페어 타이어와 러기지 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 장치에서 잭 업 기구와 잭 고정 마운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 장치에서 잭 업 기구를 잭 고정 마운트와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러기지 보드를 삭제한 상태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가 장착된 상태에서 러기지 보드가 설치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 후방에 마련된 차량 공간의 저면에 스페어 타이어(2)가 적재되고, 스페어 타이어(2)가 적재된 상태로 그 상측에 러기지 보드(3)가 설치된다.
도 1에서 시트(1)는 리어 시트가 될 수 있고, 스페어 타이어(2)가 적재되는 상기 차량 공간은 트렁크룸이 될 수 있으며, 트렁크룸의 저면을 형성하는 리어 플로어 패널(4)에 스페어 타이어(2)가 적재된다.
본 발명은 트렁크룸의 저면을 이루고 있는 리어 플로어 패널(4)에서 스페어 타이어(2)를 적재하도록 구비되는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에 따른 적재 장치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2)가 트렁크룸 내에서 리어 플로어 패널(4)에 적재되고 나면, 그 상측을 덮을 수 있도록 러기지 보드(3)가 설치된다.
이때, 러기지 보드(3)는 스페어 타이어(2) 위에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리어 플로어 패널(4)에 결합되고(도 4 참조), 결국 스페어 타이어(2)를 덮고 있는 러기지 보드(3)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렁크룸의 저면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러기지 보드(3)는 트렁크룸 내에서 스페어 타이어(2)를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덮어서 가려주는 부재이면서 트렁크룸의 저면을 이루는 내장재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체 하측으로 배터리 장착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전기자동차, 보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장착공간으로서 리어 시트 및 리어 플로어 패널의 하측 공간을 배터리가 점유하게 되는 전기자동차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은 리어 시트 후방의 트렁크룸에서 리어 플로어 패널에 작은 소품 수납공간만을 가지는 전기자동차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존의 전기자동차에서 리어 플로어 패널 등 차체 부분의 변경 없이 스페어 타이어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에 주안점이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타이어가 적재되기 전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 장치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가 적재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 장치로부터 스페어 타이어와 러기지 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기자동차의 리어 플로어 패널(4)에는 리어 시트(1) 및 그 하측 배터리 장착공간의 후방으로 소품 수납공간(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에서 도면부호 6은 리어 플로어 패널(4)에 강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ㄷ' 자 형상으로 형성한 마운팅부를 나타내고, 이 마운팅부(6)에 배터리측 브라켓(8)을 체결하여, 배터리(7)를 상기 브라켓(8)을 매개로 마운팅부(6)에 지지시키고 있다.
상기 소품 수납공간(5)은 차량에서 스페어 타이어의 수납은 불가하지만, 그보다 작은 크기의 소품들, 예를 들어 드라이버 등 각종 공구 등이 수납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플로어 패널(4)에서 하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한 작은 크기의 수납공간이다.
이러한 소품 수납공간(5)은 종래의 차량, 예를 들어 공지의 전기자동차에 기 구비되는 수납공간이고, 스페어 타이어가 제공되지 않는 차량에서 타이어 수리키트(Tire Mobility Kit, TMK)를 수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국가에서는 스페어 타이어 대신 타이어 수리키트가 제공되던 차량이지만, 다른 국가에서는 법규로 인해 타이어 수리키트 대신 스페어 타이어를 구비해야 하는 동종 차량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적재 장치는, 기존 차체의 변경 없이, 스페어 타이어까지는 수납될 수 없는 기존 소품 수납공간(5)을 이용하여, 스페어 타이어를 외관상 노출됨 없이 리어 플로어 패널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는, 리어 시트(1) 후방의 공간, 특히 리어 플로어 패널(4)에 설치 및 구성되는 것으로서,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수납공간(5) 내측에 설치되어 스페어 타이어(2)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잭 업 기구(10), 및 리어 플로어 패널(4)에 상기 수납공간(5) 상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스페어 타이어(2)가 올려지는 서포트 어셈블리(2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일측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수납공간(5) 내에서 리어 플로어 패널의 후측부 내측면에 고정 설치는 잭 고정 마운트(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잭 고정 마운트(15)는 리어 플로어 패널(4)의 후측부 내측면에 설치된 상태로 잭 업 기구(10)와 결합되어 잭 업 기구가 제공하는 지지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서,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수납공간(5) 내에 상측으로 올려진 스페어 타이어(2)를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20)와 함께 실제로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이 된다.
상기 잭 고정 마운트(15)는 리어 플로어 패널(4)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므로 그 자체가 스페어 타이어(2)를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이 될 수 있지만, 하측에서 잭 업 기구(10)가 잭 고정 마운트(15)를 지지해주지 않는다면, 잭 고정 마운트(15)만으로는 스페어 타이어(2)를 지지하는데 강성 측면에서 부족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스페어 타이어(2)의 적재시에 잭 고정 마운트(15)가 잭 업 기구(10)에 의해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안적적인 지지 강성 및 지지력의 확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잭 고정 마운트(15)는 잭 업 기구(10)와 결합된 상태에서 잭 업 기구(10)가 수납공간(5)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는 고정 구조물의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통상 스페어 타이어(2)와 함께 제공되는 잭 업 기구(10)를 리어 플로어 패널(4)에 스페어 타이어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 장치의 구성 일부로 활용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잭 업 기구(10)는 스페어 타이어(2)가 잭 고정 마운트(15) 위에 적재될 때 잭 고정 마운트(15)를 하측에서 지지하게 되며, 이로써 잭 고정 마운트(15)를 매개로 스페어 타이어(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물론, 잭 고정 마운트(15)가 하측으로 휘거나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 장치에서 잭 업 기구와 잭 고정 마운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 장치에서 잭 업 기구를 잭 고정 마운트와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수납공간(5) 내에 위치하도록 리어 플로어 패널의 후측부 내측면에 잭 고정 마운트(15)가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수납공간(5) 내에 잭 고정 마운트(15)의 하측으로 잭 업 기구(10)를 위치시킨 뒤, 잭 업 기구(10)의 상부 브라켓(11)을 상승시켜 상부 브라켓(11)이 잭 고정 마운트(15)에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잭 업 기구(10)는 상부 브라켓(11), 하부 브라켓(12), 상부 브라켓(11)과 하부 브라켓(12) 사이의 링크부재(13), 손잡이부(14)를 포함하며, 손잡이부(14)를 통해 링크부재(13)를 작동시킴으로써 상부 브라켓(11)을 상하로 승강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러한 잭 업 기구(10)는 스페어 타이어(2)와 함께 제공되는 공지의 기구로서, 본 발명에서 잭 업 기구의 구성에 대해서는 공지의 잭 업 기구와 차이가 없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로써,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수납공간(5) 내에서 잭 업 기구(10)를 잭 고정 마운트(15)의 하측으로 위치킨 뒤, 잭 업 기구(10)의 손잡이부(14)를 통해 링크부재(13)를 작동시켜 상부 브라켓(11)을 상승시킴으로써, 상부 브라켓이 잭 고정 마운트(15)의 하부면에 접촉 및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잭 업 기구(10)가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수납공간(5)에서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더욱이 상부 브라켓(11)을 통해 상측으로 작용하는 힘이 잭 고정 마운트(15)를 하측에서 받쳐주는 힘으로 작용하는 동시에 스페어 타이어(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물론, 유사시 차량의 타이어를 스페어 타이어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잭 업 기구(10)는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수납공간(5)으로부터 분리하여 차체를 원하는 높이까지 들어올린 뒤 지지시키는데 이용되며, 이는 기존 잭 업 기구의 이용과 동일하다.
교체 과정에서 적재된 상태로 있던 스페어 타이어(2)를 들어내고 나면, 상부 브라켓(11)을 하강시켜 잭 고정 마운트(15)와 분리하고, 이후 분리된 잭 업 기구(10)를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수납공간(5)으로부터 빼낸 뒤, 차체를 들어올리는데 이용한다.
한편, 스페어 타이어(2)의 일측부(도 4에서 타이어 좌측 부분)는 잭 고정 마운트(15) 위로 올려져 지지되고, 스페어 타이어(2)의 타측부(도 4에서 타이어 우측 부분)는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전측부 상부면에 올려져 지지된다.
그리고, 서포트 어셈블리(20) 위에 스페어 타이어(2)가 올려져 지지되는데, 서포트 어셈블리(20)는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수납공간(5) 상측을 가로지르는 배치 형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포트 어셈블리(20)는 대략 스페어 타이어(2)의 중앙부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포트 어셈블리(2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수납공간(5) 상측을 좌우로 가로지르는 형태가 되도록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 개의 로드(21)와, 상기 복수 개의 로드(21) 중간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체결브라켓(23)과, 상기 체결브라켓(23)에 스페어 타이어(2)를 체결하는 체결부재(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복수 개의 로드(21)는 양단부가 볼트 등의 고정부재(22)에 의해 리어 플로어 패널(4)의 좌우 양측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23)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형상의 체결부(24)가 형성되는데, 상기 체결부(24)와 스페어 타이어(2)의 림을 관통하도록 체결되는 체결부재(25)에 의해 스페어 타이어(2)와 체결브라켓(23)이 고정된다.
이로써, 스페어 타이어(2)는 서프트 어셈블리(20)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스페어 타이어와 함께 제공되는 차체 승강 용도의 잭 업 기구를 리어 플로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에 위치시킨 뒤, 상기 리어 플로어 패널과 잭 업 기구 상측으로 스페어 타이어를 수평으로 지지시키는 방식이 적용됨으로써, 스페어 타이어 전체가 수납될 수 있는 기존의 타이어 웰 없이도 트렁크룸 내 러기지 보드 하측으로 스페어 타이어를 적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배터리 장착공간이나 배터리 장착을 위한 마운팅 구조물과의 간섭 발생 없이 트렁크룸 저면에 스페어 타이어를 외관상 노출되지 않도록 적재할 수 있고, 기존 차체의 변경 없이 스페어 타이어를 적재할 수 있으므로 스페어 타이어 관련 법규와 상관없이 차체의 공용화가 가능해진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 : 리어 시트 2 : 스페어 타이어
3 : 러기지 보드 4 : 리어 플로어 패널
5 : 수납공간 6 : 마운팅부
7 : 배터리 8 : 브라켓
10 : 잭 업 기구 11 : 상부 브라켓
12 : 하부 브라켓 13 : 링크부재
14 : 손잡이부 15 : 잭 고정 마운트
20 : 서포트 어셈블리 21 : 로드
22 : 고정부재 23 : 체결브라켓
24 : 체결부 25 : 체결부재

Claims (10)

  1.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 내에 수납된 상태로 상측으로 위치되는 스페어 타이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력을 제공하는 잭 업 기구;
    상기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에 설치되어 스페어 타이어가 올려져 지지되는 서포트 어셈블리; 및
    상기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 내측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잭 업 기구가 결합된 상태일 때 잭 업 기구를 상기 소품 수납공간에서 고정하는 잭 고정 마운트를 포함하며,
    상기 잭 고정 마운트에 스페어 타이어가 지지되도록 올려지고,
    상기 잭 업 기구는 잭 고정 마운트의 하측으로 배치되어, 상부 브라켓이 상승하여 잭 고정 마운트의 하부면에 접촉 및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잭 고정 마운트를 통해 스페어 타이어를 지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잭 업 기구는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시에 이용하도록 스페어 타이어와 함께 제공되는 차체 승강 용도의 잭 업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체 패널은 리어 시트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 플로어 패널이고,
    상기 소품 수납공간은 리어 플로어 패널에서 하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는
    상기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 상측을 가로지르는 형태가 되도록 나란히 설치되는 복수 개의 로드;
    상기 복수 개의 로드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체결브라켓; 및
    성가 체결브라켓에 스페어 타이어를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7.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 내에 잭 업 기구를 수납하여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잭 업 기구의 상측으로 스페어 타이어를 위치시켜 잭 업 기구가 제공하는 지지력이 스페어 타이어에 작용될 수 있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스페어 타이어가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에 설치된 서포트 어셈블리 위에 올려져 지지되는 상태에서, 스페어 타이어를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체 패널의 소품 수납공간 내측면에 고정 설치된 잭 고정 마운트의 하측으로 상기 잭 업 기구를 배치하고,
    상기 잭 업 기구의 상부 브라켓을 상승시켜 잭 고정 마운트의 하부면에 상기 상부 브라켓을 접촉 및 결합함으로써, 잭 업 기구가 소품 수납공간 내에서 상기 잭 고정 마운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동시에, 잭 고정 마운트가 상기 잭 업 기구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잭 업 기구는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시에 이용하도록 스페어 타이어와 함께 제공되는 차체 승강 용도의 잭 업 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체 패널은 리어 시트 후방에 위치되는 리어 플로어 패널이고,
    상기 소품 수납공간은 리어 플로어 패널에서 하측으로 움푹 들어간 형상으로 형성된 수납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방법.
  10. 삭제
KR1020190062879A 2019-05-29 2019-05-29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KR102187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879A KR102187557B1 (ko) 2019-05-29 2019-05-29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US16/868,299 US20200377160A1 (en) 2019-05-29 2020-05-06 Apparatus and method for loading a spare tire of a vehicle
CN202010408990.8A CN112009581A (zh) 2019-05-29 2020-05-14 车辆的备用轮胎的装载装置和装载方法
DE102020206235.8A DE102020206235A1 (de) 2019-05-29 2020-05-18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Laden eines Reservereifens eines Fahrzeu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879A KR102187557B1 (ko) 2019-05-29 2019-05-29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557B1 true KR102187557B1 (ko) 2020-12-07

Family

ID=73265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879A KR102187557B1 (ko) 2019-05-29 2019-05-29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00377160A1 (ko)
KR (1) KR102187557B1 (ko)
CN (1) CN112009581A (ko)
DE (1) DE10202020623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5823A (zh) * 2022-03-02 2022-05-13 浙江师范大学 一种传动式便于使用的备用车轮用存放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5305B2 (en) * 2021-05-27 2022-12-27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7944U (ko) * 1985-04-25 1986-11-06
KR970009536U (ko) * 1995-08-30 1997-03-27 자동차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구조
JP2006256464A (ja) * 2005-03-16 2006-09-28 Toyota Motor Corp 後部車体構造
JP2017100692A (ja) * 2015-12-04 2017-06-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物品支持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95122B2 (ja) * 2010-05-26 2014-05-21 スズキ株式会社 車体後部の下部構造
JP5467084B2 (ja) * 2011-08-24 2014-04-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構造
KR102610758B1 (ko) * 2019-03-20 2023-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페어타이어 마운팅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77944U (ko) * 1985-04-25 1986-11-06
KR970009536U (ko) * 1995-08-30 1997-03-27 자동차의 스패어 타이어 고정구조
JP2006256464A (ja) * 2005-03-16 2006-09-28 Toyota Motor Corp 後部車体構造
JP2017100692A (ja) * 2015-12-04 2017-06-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物品支持構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75823A (zh) * 2022-03-02 2022-05-13 浙江师范大学 一种传动式便于使用的备用车轮用存放装置
CN114475823B (zh) * 2022-03-02 2023-01-31 浙江师范大学 一种传动式便于使用的备用车轮用存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0206235A1 (de) 2020-12-03
CN112009581A (zh) 2020-12-01
US20200377160A1 (en)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557B1 (ko) 차량의 스페어 타이어 적재 장치 및 적재 방법
US6431300B1 (en) Structure for installing an automotive battery
JP3250510B2 (ja) バッテリフォークリフト
KR101795067B1 (ko) 차량용 배터리 트레이
JP2008087503A (ja) 自動車用フロアボード構造
US7036860B1 (en) Automotive rear load floor
US20220314889A1 (en) Systems for accessing cargo spaces on vehicles equipped with a tailgate assembly that includes a door subassembly
CN211139478U (zh) 备用轮胎安装结构
JP2010030364A (ja) 作業車
CN109383644B (zh) 轮胎载架
JP5301246B2 (ja) 荷受台昇降装置
EP1454797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housing vehicle components and/or accessories and vehicle featuring such a supporting structure
JP3629162B2 (ja) 車両に取り付ける荷受台昇降装置の取付装置
CN219467651U (zh) 汽车行李架
KR101063587B1 (ko) 보조 타이어 고정 장치
KR100578068B1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구조
US10246145B1 (en) Tire carrier
KR200216187Y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JPS6337302Y2 (ko)
JP3931064B2 (ja) タイヤ交換用車両
CN107176030B (zh) 车身的燃料气体缸安装结构
KR100922455B1 (ko) 트랙터
JP2012006421A (ja) 自動車用リフト装置
JP2008087570A (ja) 荷受台昇降装置
KR100528517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수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