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133B1 -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133B1
KR102187133B1 KR1020200050993A KR20200050993A KR102187133B1 KR 102187133 B1 KR102187133 B1 KR 102187133B1 KR 1020200050993 A KR1020200050993 A KR 1020200050993A KR 20200050993 A KR20200050993 A KR 20200050993A KR 102187133 B1 KR102187133 B1 KR 102187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pad
slit
plate
pi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겸
Original Assignee
김충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겸 filed Critical 김충겸
Priority to KR1020200050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1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1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의 높낮이 및 길이 방향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경계석 사이의 줄눈에 충진된 충진재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경계석을 용이하게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지반에 안착되어 수직의 피니언샤프트를 갖는 피니언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어 양측 경계석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 및 높이 조절 가능한 복수의 승강부재가 구비된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어 양측 경계석의 저면을 받치며 그 사이를 구획하도록 패드슬릿이 상면에 형성된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패드슬릿에 결합되어 양측 경계석 사이의 줄눈을 메꾸는 줄눈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Description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BOUNDARY STONE PEDESTA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경계석의 높낮이 및 길이 방향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경계석 사이의 줄눈에 충진된 충진재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경계석을 용이하게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경계석은 인도와 차도의 경계를 구분하기 위해 세운 돌로서, 화강암이나 대리석 등의 석재 또는 콘크리트를 재료로 하여 일정한 길이를 갖는 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지면 위에 측량된 규준틀에 따라 배열하고 측구용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정을 통해 완성된다.
경계석 시공방법에 관련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50396호(등록일자 2015년08월31일)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경계석을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신속하고 정밀하게 시공할 수는 있겠으나, 받침대와 받침대 사이를 T형판으로 길게 연결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측면에서 단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경계석과 경계석 사이의 줄눈에 충진된 충전재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0397호(공개일자 2018년02월09일) ‘경계석용 탄성줄눈밴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은 내구성이 우수한 충진재의 기능을 할 수 있겠으나, 경계석과 경계석이 연접하는 면에 이형지를 떼어내고 가장자리에 맞추어 부착해야 하는 번거운 공정으로 인하여 인건비의 증대 및 공사기간의 지연으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경계석의 수평도 및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1855호(등록일자 2012년05월24일) ‘조립식 경계석 받침대’ 및 등록실용신안 제20-0357084호(등록일자 2004년07월13일) ‘도로경계석 받침대’ 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들은 볼트와 너트의 나사결합으로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높낮이 조절 후 작업자의 작업 중에 볼트와 너트를 조금만 잘못 회전시켜도 높낮이가 달라지므로 다시 높낮이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과, 경계석의 길이를 잘못 측정한 경우에는 설치된 받침대를 들고 이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능률을 떨어뜨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550396호(등록일자 2015년08월31일) (000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8-0000397호(공개일자 2018년02월09일) (000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1855호(등록일자 2012년05월24일) (0004)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7084호(등록일자 2004년07월13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계석의 높낮이 및 길이 방향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경계석 사이의 줄눈에 충진된 충진재의 유실을 방지하면서 경계석을 용이하게 수평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는, 지반에 안착되어 수직의 피니언샤프트를 갖는 피니언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어 양측 경계석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 및 높이 조절 가능한 복수의 승강부재가 구비된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어 양측 경계석의 저면을 받치며 그 사이를 구획하도록 패드슬릿이 상면에 형성된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패드슬릿에 결합되어 양측 경계석 사이의 줄눈을 메꾸는 줄눈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양 측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튜브, 상기 가이드튜브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형성된 탭홀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탭이 구비된 슬라이드튜브, 상기 관통공을 지나 상기 결합공으로 결합되어 높이 조절된 슬라이드튜브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사상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가이드튜브의 양 측면에 두 줄로 형성되고, 상기 두 줄의 관통공은 서로 어긋나게 교호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튜브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결합공의 일단부에는 확장된 외경을 갖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확장단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경계석의 길이 방향으로 긴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긴 일면에는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도록 랙이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서 피니언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경계석의 길이 방향으로 긴 핀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시 상기 핀슬릿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핀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 단면으로 형성되어 양측 경계석의 양 측면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패드슬릿에 연이어지도록 수직의 홀더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줄눈패드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홀더슬릿에 끼움결합되도록 홀더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드슬릿은 경계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한의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를 이용하는 경계석 시공방법을 포함하되, (ⅰ) 평탄화된 지반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ⅱ)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랙과 피니언의 결합을 통해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경계석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 (ⅲ)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된 승강부재를 통해 서포트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ⅳ)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패드슬릿에 줄눈패드를 결합하는 단계, (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상면에 경계석을 안착시키는 단계, (ⅵ) 상기 줄눈패드의 측면에 경계석의 연접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랙과 상기 피니언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ⅶ)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앵커플레이트에 결속타이로 결속되도록 측구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ⅷ) 상기 측구용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부재로 경계석의 높이를 조절하는 기능과 서포트 플레이트를 경계석의 길이 방향 위치에 따라 조절하는 기능 및 경계석의 양측 단부가 패드슬릿에 밀착되어 줄눈을 메꾸는 기능을 겸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술한 해결 수단으로 구현된 본 발명에 따르면, 가이드튜브의 관통공이 교호를 이루는 두 줄로 형성되어 서포트 플레이트의 미세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슬라이드튜브의 결합공에 확장단부가 형성되어 고정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며, 피니언이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랙에 맞물려서 작동되므로 작동의 안정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경계석과 받침대의 분해 상태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받침대의 분해 상태를 입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받침대의 우측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경계석과 받침대의 설치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경계석과 받침대의 설치 상태를 우측에서 나타낸 측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시공과정을 단면으로 나타낸 시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 표현한 구성요소의 형상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P)는, 지반에 안착되어 수직의 피니언샤프트(121)를 갖는 피니언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100),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결합되어 양측 경계석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피니언(120)에 맞물리는 랙(211) 및 높이 조절 가능한 복수의 승강부재(230)가 구비된 슬라이딩 플레이트(200), 슬라이딩 플레이트(200)의 승강부재(230)에 결합되어 연접하는 양측 경계석의 저면을 받치며 그 사이를 구획하도록 패드슬릿(310)이 상면에 형성된 서포트 플레이트(300),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패드슬릿(310)에 결합되어 연접하는 두 경계석 사이의 줄눈을 메꾸는 줄눈패드(400)를 포함한다.
먼저, 도면에 도시된 ‘X’ 축은 경계석의 길이 방향을 나타내는 좌우 방향으로 정의하고, ‘Y’ 축은 전후 방향으로 정의하며, ‘Z’ 축은 상하 방향으로 정의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평탄화된 지반(10)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초를 이루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베이스 플레이트(100)는 납작한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전방 상면에는 샤프트홀(110)이 형성되어 피니언(120)의 피니언샤프트(12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방 상면에는 가이드핀(130)이 수직으로 구비되어 후술하는 핀슬릿(220)의 슬라이딩을 안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피니언(120)의 상부에는 회전노브(122)가 구비되어 피니언(120)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한다.
슬라이딩 플레이트(200)는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랙(211) 및 4개의 승강부재(230)를 갖는다.
도 2를 참조하면, 슬라이딩 플레이트(200) 납작한 사각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슬라이딩 플레이트(200)의 전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가이드레일(210)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좌우 방향으로 긴 핀슬릿(220)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200)의 좌우 슬라이딩 시 가이드핀(130)을 따라 안내되며, 가이드레일(210)과 핀슬릿(220) 사이의 상면에는 복수의 승강부재(230)가 구비되어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높이를 조절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레일(210)의 긴 일면에는 랙(211)이 구비되어 피니언(120)에 맞물리는데, 이러한 피니언(120)과 랙(211)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시켜서 슬라이딩 플레이트(200)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승강부재(23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좌우 두 개씩 총 4개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승강부재(230)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양 측면에 복수의 관통공(231a)이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튜브(231), 가이드튜브(231)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관통공(231a)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결합공(232a) 및 탭홀(32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탭이 구비된 슬라이드튜브(232), 관통공(231a)과 결합공(232a)으로 결합되어 승강된 슬라이드튜브(232)의 높이를 고정시키는 고정핀(233)을 포함한다.
가이드튜브(231)는 사각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라이딩 플레이트(200)의 상면 좌우에 두 개씩 수직으로 대칭되게 고정된다. 가이드튜브(231)의 좌우 양 측면에는 좌우로 연이어져 통하는 복수의 관통공(231a)이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관통공(231a)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튜브(231)의 양 측면에 두 줄로 형성되고, 두 줄의 관통공(231a)은 서로 어긋나게 교호(交互)로 형성되어 슬라이드튜브(232)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슬라이드튜브(232)는 사각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이드튜브(231)의 내면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드튜브(232)의 측면에는 가이드뷰트의 관통공(231a)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결합공(232a)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원통 형상의 탭(232b)이 구비되어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탭홀(320)에 끼움결합된다. 도 4의 하부에 일점쇄선으로 확대 도시된 확대도를 참조하면, 결합공(232a)의 외측 단부에는 확장된 외경을 갖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확장단부(232a-1)가 형성되어 고정핀(233)의 선단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안내한다. 즉, 높이 조절된 슬라이드튜브(232)의 결합공(232a)은 가이드튜브(231)에 가려서 보이지 않으므로, 고정핀(233)의 선단은 결합공(232a)의 확장단부(232a-1)를 통해 안내되어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고정핀(233)은 가이드튜브(231)의 관통공(231a)을 지나 슬라이드튜브(232)의 결합공(232a)으로 결합되어 높이 조절된 슬라이드튜브(232)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4의 하부에 일점쇄선으로 확대 도시된 확대도를 참조하면, 고정핀(233)의 중앙에는 길게 절개된 탄성절개부(233a)가 형성되어 탄성절개부(233a)가 탄성적으로 오므려지며 관통공(231a)과 결합공(232a)에 탄성적으로 결합되고, 외측 단부에는 걸림턱(233b)이 구비되어 관통공(231a)에 걸린 상태로 잘 빠지지 않게 되며, 걸림턱(233b)의 외측 모서리(233c)는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관통공(231a)과 결합공(232a)에 부드럽게 진입된다.
서포트 플레이트(300)는 연접하는 양측 경계석의 저면을 받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상면에는 패드슬릿(310)이 형성되어 연접하는 양측 경계석을 구획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서포트 플레이트(300)는 대략 ‘┗┛’ 단면으로 형성되어 연접하는 두 경계석(60)의 전후 양 측면(61)이 끼움결합된다.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상면 중앙에는 패드슬릿(310)이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줄눈패드(400)의 전후 단부 및 하단부가 끼움결합으로 고정되는데, 이러한 패드슬릿(310)은 좌우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되어 경계석의 길이 방향 위치에 따라 줄눈패드(4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전방 내면 중앙에는 패드슬릿(310)에 연이어져 통하도록 홀더슬릿(311)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줄눈패드(400)의 홀더(410)가 끼움결합된다. 서포트 플레이트(300)는 패드슬릿(310)의 양측에 두 개씩 형성된 탭홀(320)을 포함하며, 탭홀(320)은 승강부재(230)의 탭(232b)에 결합된다.
그리고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후방 단부에는 대략 ‘ㄱ’자 단면으로 형성된 앵커플레이트(330)가 연결된다. 이러한 앵커플레이트(330)는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측구(20)에 견고히 고정되어 경계석(60)의 구배(句配) 또는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앵커플레이트(330)는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후방 단부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수평 앵커플레이트(331), 수평 앵커플레이트(331)의 단부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수직 앵커플레이트(332)를 포함한다. 수직 앵커플레이트(332)에는 하나 이상의 타이홀이 천공되어 측구(20)의 거푸집(30b)과 결속타이(31)로 연결된다.
서포트 플레이트(300)은 내구성과 강성이 우수하고 취성에 강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 내구성과 강성이 우수하고 취성에 강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줄눈패드(400)는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패드슬릿(310)에 결합되어 연접하는 두 경계석 사이의 줄눈을 메꾸는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줄눈패드(400)는 내부가 비고 3~5㎜의 두께로 이루어진 대략 ‘ㅁ’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줄눈패드(400)의 너비와 길이는 경계석(60)의 연접면(62)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줄눈패드(400)의 너비와 길이는 경계석(60)의 연접면(62)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측구(20) 형성 후 커터(cutter)에 의해 커팅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측구(20) 타설 시 양생 중 주변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경계석(60)의 구배 또는 튀틀림 발생에 의해 변형되는 줄눈패드(400)를 경계석(60)의 연접면(62)에 맞추어 커팅하기 위함이다. 줄눈패드(400)는 탄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그리고 줄눈패드(400)의 전단부에는 납작하고 소정의 경도를 갖는 판재 형상의 홀더(410)가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어 줄눈패드(400)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의 상부에 일점쇄선으로 확대 도시된 확대도를 참조하면, 홀더(410)의 외면에는 반사시트(420)가 부착되어 차량의 전조등에서 조사되는 빛을 반사시키는 기능을 통해 차도(S)와 보도(W)의 경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반사시트(420)의 표면에는 소수성코팅층(430)이 코팅되어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소수성코팅층(430)은 물과 반발하는 성질을 갖는 1㎚의 입자크기로 이루어진 소수성 콜로이드(hydrophobic colloid)로 이루어져 반사시트(420)로 수분이 유입됨에 따라 반사력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계석 받침대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은, (ⅰ) 평탄화된 지반(10)에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설치하는 단계, (ⅱ)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상면에 랙(211)과 피니언(120)의 결합을 통해 슬라이딩 플레이트(200)를 경계석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 (ⅲ) 슬라이딩 플레이트(200)의 상면에 구비된 승강부재(230)를 통해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ⅳ)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패드슬릿(310)에 줄눈패드(400)를 결합하는 단계, (ⅴ)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상면에 경계석을 안착시키는 단계, (ⅵ) 줄눈패드(400)의 측면에 경계석의 연접면이 밀착되도록 랙(211)과 피니언(120)을 통해 슬라이딩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ⅶ)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앵커플레이트(330)에 결속타이(31)로 결속되도록 측구용 거푸집(30a)(30b)을 설치하는 단계, (ⅷ) 측구용 거푸집(30a)(30b)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ⅸ)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거푸집(30a)(30b)을 분리하고 측구(20)에서 돌출된 결속타이(31)를 커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ⅰ단계에서는 평탄화된 지반(10)에 피니언(120)을 갖는 베이스 플레이트(100)를 설치한다.
그리고 ⅱ단계에서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211)과 승강부재(230)를 갖는 슬라이딩 플레이트(200)를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어지는 ⅲ단계에서는 가이드튜브(231)와 슬라이드튜브(232) 및 고정핀(233)으로 구현되는 승강부재(230)를 통해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후, ⅳ단계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패드슬릿(310)(320)에 줄눈패드(400)를 결합한다.
다음, ⅴ단계에서는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60)을 서포트 플레이트(300)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계속해서, ⅵ단계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211)과 피니언(120)의 맞물림을 통해 슬라이딩 플레이트(200)의 위치를 조절하여 경계석의 연접면에 줄눈패드(400)의 측면을 밀착시킨다.
이어서, ⅶ단계에서는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구용 거푸집(30a)(30b)을 설치하는데, 보도측 거푸집(30b)을 베이스 플레이트(100)의 앵커플레이트(330)에 결속타이(31)로 결속하여 설치하고, ⅷ단계에서는 ⅶ단계에서 설치된 측구용 거푸집(30a)(30b)으로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를 부어 넣어서 타설한다.
마지막으로 ⅸ단계에서는 도 7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생된 콘크리트에서 거푸집(30a)(30b)을 분리한 후 측구(20)에서 돌출된 결속타이(31)를 커팅한다.
아울러, 도 8의 (f)는 보도측(W) 지반(10)에 골재층(40)을 형성한 후 보도블럭(50)을 설치한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의 (g)는 차도(S)를 포장한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지반 20 : 측구
30a, 30b : 거푸집 40 : 골재층
50 : 보도블럭 60 : 경계석
10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피니언
130 : 가이드핀 200 : 슬라이딩 플레이트
210 : 가이드레일 211 : 랙
220 : 핀슬릿 230 : 승강부재
231 : 가이드튜브 231a : 관통공
232 : 슬라이드튜브 232a : 결합공
233 : 고정핀 300 : 서포트 플레이트
310 : 패드슬릿 311 : 홀더슬릿
320 : 탭홀 330 : 앵커플레이트
400 : 줄눈패드 410 : 홀더
S : 차도 W : 보도

Claims (7)

  1.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에 있어서,
    지반에 안착되어 수직의 피니언샤프트를 갖는 피니언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결합되어 양측 경계석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는 랙 및 높이 조절 가능한 복수의 승강부재가 구비된 슬라이딩 플레이트,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어 양측 경계석의 저면을 받치며 그 사이를 구획하도록 패드슬릿이 상면에 형성된 서포트 플레이트, 상기 패드슬릿에 결합되어 양측 경계석 사이의 줄눈을 메꾸는 줄눈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면에 수직으로 고정되어 양 측면에 복수의 관통공이 상하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튜브, 상기 가이드튜브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관통공에 연통되도록 형성된 결합공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에 형성된 탭홀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탭이 구비된 슬라이드튜브, 상기 관통공을 지나 상기 결합공으로 결합되어 높이 조절된 슬라이드튜브를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경계석의 길이 방향으로 긴 가이드레일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긴 일면에는 상기 피니언에 맞물리도록 랙이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부에서 피니언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관통공은 상기 가이드튜브의 양 측면에 두 줄로 형성되고, 상기 두 줄의 관통공은 서로 어긋나게 교호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튜브의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일단부에는 확장된 외경을 갖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확장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타측에는 경계석의 길이 방향으로 긴 핀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슬라이딩 시 상기 핀슬릿을 안내하도록 가이드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는 ‘┗┛’ 단면으로 형성되어 양측 경계석의 양 측면이 끼움결합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상기 패드슬릿에 연이어지도록 수직의 홀더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줄눈패드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홀더슬릿에 끼움결합되도록 홀더를 구비하되,
    상기 패드슬릿은 경계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청구항 5,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한의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를 이용하는 경계석 시공방법을 포함하되,
    (ⅰ) 평탄화된 지반에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는 단계,
    (ⅱ)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랙과 피니언의 결합을 통해 슬라이딩 플레이트를 경계석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
    (ⅲ)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상면에 구비된 승강부재를 통해 서포트 플레이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단계,
    (ⅳ)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패드슬릿에 줄눈패드를 결합하는 단계,
    (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상면에 경계석을 안착시키는 단계,
    (ⅵ) 상기 줄눈패드의 측면에 경계석의 연접면이 밀착되도록 상기 랙과 상기 피니언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
    (ⅶ)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앵커플레이트에 결속타이로 결속되도록 측구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ⅷ) 상기 측구용 거푸집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를 이용하는 경계석 시공방법.
KR1020200050993A 2020-04-27 2020-04-27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1021871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93A KR102187133B1 (ko) 2020-04-27 2020-04-27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0993A KR102187133B1 (ko) 2020-04-27 2020-04-27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133B1 true KR102187133B1 (ko) 2020-12-04

Family

ID=73776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993A KR102187133B1 (ko) 2020-04-27 2020-04-27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1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123B1 (ko) * 2021-03-24 2021-10-29 이완표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
EP4407097A1 (en) * 2023-01-26 2024-07-31 LocStone AB An edging stone securing devic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084Y1 (ko) 2004-04-22 2004-07-21 신상종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0753011B1 (ko) * 2007-04-06 2007-09-10 이익규 높이 및 경사조절이 용이한 도로안전 경계석 받침대
KR101003011B1 (ko) * 2010-02-04 2010-12-21 라이브텍(주) 도로경계석의 높이 조절 및 유지용 지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 시공방법
KR101151855B1 (ko) 2011-09-05 2012-05-31 이종용 조립식 경계석 받침대
KR101496420B1 (ko) * 2014-07-14 2015-02-27 (주)수야조경개발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KR101550396B1 (ko) 2014-06-05 2015-09-08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20180000397U (ko) 2016-08-01 2018-02-09 최낙훈 경계석용 탄성줄눈밴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084Y1 (ko) 2004-04-22 2004-07-21 신상종 도로경계석 받침대
KR100753011B1 (ko) * 2007-04-06 2007-09-10 이익규 높이 및 경사조절이 용이한 도로안전 경계석 받침대
KR101003011B1 (ko) * 2010-02-04 2010-12-21 라이브텍(주) 도로경계석의 높이 조절 및 유지용 지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 시공방법
KR101151855B1 (ko) 2011-09-05 2012-05-31 이종용 조립식 경계석 받침대
KR101550396B1 (ko) 2014-06-05 2015-09-08 주식회사 디컨스이엔지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101496420B1 (ko) * 2014-07-14 2015-02-27 (주)수야조경개발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KR20180000397U (ko) 2016-08-01 2018-02-09 최낙훈 경계석용 탄성줄눈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123B1 (ko) * 2021-03-24 2021-10-29 이완표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
EP4407097A1 (en) * 2023-01-26 2024-07-31 LocStone AB An edging stone secur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133B1 (ko)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CA20486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rench
WO2000042265A1 (en) Adjustable height concrete contraction and expansion joints
US20130243525A1 (en) Water Permeable Traffic Bearing System, Method And Drainage Joint For Use With Same
KR100753011B1 (ko) 높이 및 경사조절이 용이한 도로안전 경계석 받침대
AT516533A1 (de) Leisten-Montagebausatz
CA2720230A1 (en) Drain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0906137B1 (ko) 가로등주의 기초구조물 및 기초와 이에 장착되는 가로등주
KR102195092B1 (ko) 줄눈밴드 일체형 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하는 경계석 시공방법
US20100104361A1 (en) Manufactured road marker for pedestiran crossing and all kinds of roadways
KR100899680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배수블럭
KR20180045441A (ko)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KR100374000B1 (ko) 도로에 설치된 지주바의 지지용 기초 보호판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US4918777A (en) Slab-stem unit forming a trafficway
KR102235093B1 (ko) 토사유실 차단패널
DE4329652A1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s Einbauteiles in einer Straße
KR101973983B1 (ko) 트렌치뚜껑과 이것이 구비된 l형 콘크리트 블럭 그리고 l형 콘크리트 블럭의 시공방법
JP3710745B2 (ja) 路側帯ブロック
JP7023516B2 (ja) 側溝のコーナー部における側溝用ブロックの連結構造
JP2012062713A (ja) 舗装用ブロック、および舗装構造体
KR101496420B1 (ko)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KR102489774B1 (ko) 맨홀 설치대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559149B1 (ko) 계단구축용 디딤블록
JP3796383B2 (ja) 舗装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