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420B1 -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420B1
KR101496420B1 KR20140088412A KR20140088412A KR101496420B1 KR 101496420 B1 KR101496420 B1 KR 101496420B1 KR 20140088412 A KR20140088412 A KR 20140088412A KR 20140088412 A KR20140088412 A KR 20140088412A KR 101496420 B1 KR101496420 B1 KR 101496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pedestal
prop
main body
boundary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88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경수
Original Assignee
(주)수야조경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야조경개발 filed Critical (주)수야조경개발
Priority to KR20140088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01C5/006Individual spac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와 차도 사이에 시공될 도로 경계석 연접부위에 설치되어 포크레인 등 중장비를 이용하여 도로 경계석이 위치되어야 할 지점에 안착하여 놓으면 인력으로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공기가 단축될 수 있고,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숙련공이 아니라도 손쉽게 시공될 수 있어 인력수급에 어려움이 없도록 한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는 도로 경계석 연접부위 하측에 위치되며 도로 경계석의 하부면과 배면이 지지 될 수 있도록 수평면과 수직면이 상호 수직 절곡 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 본체와, 상기 받침대 본체의 하부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기초로 타설된 1차 콘크리트 내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를 상기 1차 콘크리트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지지돌기와, 상기 받침대 본체의 배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1차 콘크리트 상에 타설되는 2차 콘크리트 내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를 상기 2차 콘크리트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지지날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PROP FOR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도와 차도 사이에 시공될 도로 경계석 연접부위에 설치되어 포크레인 등 중장비를 이용하여 도로 경계석이 위치되어야 할 지점에 안착하여 놓으면 인력으로 쉽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정밀시공과 공기단축이 가능하고,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숙련공이 아니라도 손쉽게 시공될 수 있어 인력수급에 어려움이 없도록 한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경계석은 보도와 차도 간의 경계 지점에 설치되는 구조물로, 화강암과 같은 석재를 가공하여 제작하거나 콘크리트를 프레스로 압착시켜 양생하여 보도와 차도를 분리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 경계석의 설치 구조나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은 혼합기층 위에 기초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한 한 쌍의 기초거푸집을 기초콘크리트 폭만큼 설치하고, 기초거푸집 사이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한다. 기초콘크리트가 형성된 후에 일측의 기초거푸집을 제거하고, 기초콘크리트위에 도로 경계석을 올려놓는데, 이때 기초콘크리트는 완전히 양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람이 들어서 올려놓아 경계석의 높이와 열을 타공 방식으로 맞추게 된다.
그리고 다시 차도 쪽에 거푸집을 세워 이전에 세워진 기초거푸집과의 사이 공간에서 경계석을 제외한 부분에 콘크리트 타설한 후 양생하여 엘형측구를 형성한다. 엘형측구가 만들어진 다음 기초거푸집과 거푸집을 제거한 후 보도와 차도를 형성한다.
그런데 도로 경계석은 일반적으로 130kg 이상의 무게를 갖고 있어 무겁지만 정확한 지점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가 아닌 인력에 의해 작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로 인해 공기가 오래 소요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도로 경계석이 운반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숙련공에 의해 작업이 진행되어야 해 인력수급에 어려움이 있었고 이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77153호(2007.11.12)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16304호(2008.03.18)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54890호(2014.01.1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도와 차도 사이에 시공될 도로 경계석 연접부위에 설치되어 포크레인 등 중장비를 이용하여 도로 경계석이 위치되어야 할 지점에 안착하여 놓으면 인력으로 쉽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정밀시공과 공기단축이 가능하고,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숙련공이 아니라도 손쉽게 시공될 수 있어 인력수급에 어려움이 없도록 한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 경계석 연접부위 하측에 위치되며 도로 경계석의 하부면과 배면이 지지 될 수 있도록 수평면과 수직면이 상호 수직 절곡 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 본체와, 상기 받침대 본체의 하부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기초로 타설된 1차 콘크리트 내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를 상기 1차 콘크리트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지지돌기와, 상기 받침대 본체의 배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1차 콘크리트 상에 타설되는 2차 콘크리트 내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를 상기 2차 콘크리트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지지날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가 제공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받침대 본체 중 도로 경계석의 하부면이 지지되는 수평면 상에는 서로 연접되게 배열되는 2개의 도로 경계석의 경계선의 대응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선이 도시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기준선의 선단측에는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상기 받침대 본체의 수평면 상에 위치된 양측 도로 경계석이 유동되지 않게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양측의 상기 지지날개 하측에는 상기 1차 콘크리트와 2차 콘크리트가 서로 만나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에 따르면 보도와 차도 사이에 시공될 도로 경계석 연접부위에 설치되어 포크레인 등 중장비를 이용하여 도로 경계석이 위치되어야 할 지점에 안착하여 놓으면 인력으로 쉽고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정밀시공과 공기단축이 가능하고,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숙련공이 아니라도 손쉽게 시공될 수 있어 인력수급에 어려움이 없는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의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의 다른 평면도.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의 평면도가 도시되며, 도 3a 내지 도 3e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의 다른 평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는 도로 경계석 연접부위 하측에 위치되며 도로 경계석의 하부면과 배면이 지지 될 수 있도록 수평면과 수직면이 상호 수직 절곡 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 본체와, 상기 받침대 본체의 하부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기초로 타설된 1차 콘크리트 내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를 상기 1차 콘크리트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지지돌기와, 상기 받침대 본체의 배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1차 콘크리트 상에 타설되는 2차 콘크리트 내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를 상기 2차 콘크리트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지지날개가 포함된다.
이하에는 도 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1)의 구성부재 및 그 연결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받침대 본체(10)는 양측에 배치되는 도로 경계석(100)의 연접부위 하측에 위치되어 도로 경계석(100)이 위치되어야 할 지점을 표시해주고 아울러 위치된 도로 경계석(100)이 지지 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받침대 본체(10)는 도로 경계석(100)의 하부면과 배면이 지지 될 수 있도록 그 수평면(11)과 수직면(12)이 상호 수직 절곡 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수평면(11)의 길이는 도로 경계석(100)의 너비보다 조금 길게 형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전술한 받침대 본체(10) 중 도로 경계석(100)의 하부면이 지지되는 수평면(11) 상에는 서로 연접되게 배열되는 2개의 도로 경계석(100)의 경계선의 대응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선(13)이 도시되어 이 기준선(13)을 기준으로 양측 도로 경계석(100)이 서로 연접하게 위치된다.
또한 전술한 기준선(13)의 선단측에는 체결공(14)이 관통 형성되고 이 체결공(14)에는 받침대 본체(10)의 수평면(11) 상에 위치된 양측 도로 경계석(100)이 유동되지 않게 위치 고정시키는 고정부재(4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기준선(13)을 기준으로 그 양측에 도로 경계석(100)이 연접되게 위치되면 체결공(14) 내에 고정부재(40)를 결합함으로써 도로 경계석(100)의 전방 부분을 고정시킨다. 따라서 도로 경계석(100)의 배면은 받침대 본체(10)의 수직면(12)에 의해 지지되고 도로 경계석(100)의 전면은 고정부재(40)에 의해 지지되어 도로 경계석(100)이 임의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40)가 체결공(14) 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도로 경계석(100)의 수평면(11) 상에 고정부재(4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술한 수평면(11) 상에는 바둑판 형상의 격자돌기(15)가 형성되는데, 이 격자돌기는 수평면(11) 상에 안착 된 도로 경계석(100)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즉, 전술한 격자돌기(15)는 도로 경계석(100)이 수평면(11)으로부터 그 두께만큼 이격 되게 함으로써 도로 경계석(100)이 수평면(11) 상에 위치된 후 그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하고 할 때 이격 된 수평면(11)과 도로 경계석(100) 사이에 소정의 장비를 삽입해 지렛대의 원리로 조금씩 미는 방식으로 도로 경계석(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로 경계석(100)의 배면이 지지되는 받침대 본체(10)의 수직면(12)은 도 1 내지 도 3e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평면(11)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상향 절곡되는 일직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도로 경계석(100)이 일직선으로 시공되는 구간에서 사용되고, 후자의 경우 도로 경계석(100)이 곡선으로 시공되는 구간에서 사용된다.
이와 같은 받침대 본체(10)는 시공될 도로 경계석(10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규격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으며, 그 재질 또한 합성 플라스틱재, 목재, 금속재 등 다양하게 선택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받침대 본체(10)의 하부면 양측에는 지지돌기(20)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지지돌기(20)는 기초로 타설된 1차 콘크리트(110) 내에 삽입 위치되어 전술한 받침대 본체(10)를 1차 콘크리트(110)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1차 콘크리트(110)가 타설된 뒤 경화되기 전에 받침대 본체(10)를 위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지지돌기(20)가 1차 콘크리트(110) 내에 삽입됨으로써 1차 콘크리트(110)가 경화된 뒤 받침대 본체(10)가 1차 콘크리트(110) 내에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면에 지지돌기(20)가 형성된 받침대 본체(10)의 배면 양측에는 지지날개(30)가 돌출 형성되는데, 이 지지날개(30)는 전술한 1차 콘크리트(110) 상에 타설되는 2차 콘크리트(120) 내에 삽입 위치되어 받침대 본체(10)를 2차 콘크리트(120)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지지날개(30) 하측에는 1차 콘크리트(110)와 2차 콘크리트(120)가 서로 만나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홈(31)이 형성된다.
즉, 1차 콘크리트(110) 내에 고정된 받침대 본체(10)의 후방에 2차 콘크리트(120)가 타설되는데 이때 지지날개(30)가 2차 콘크리트(120) 내에 포함된 상태로 경화됨으로써 받침대 본체(10)가 2차 콘크리트(120) 내에 위치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연결홈(31)에 의해 타설되는 2차 콘크리트(120)가 1차 콘크리트(110)와 만나 연결된 상태로 경화됨으로써 받침대 본체(10)가 1차 콘크리트(110)와 2차 콘크리트(120) 내에 일체감 있게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1차 콘크리트(110)와 2차 콘크리트(120)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 설치와 콘트리트 타설방법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로 경계석 시공에 사용되는 방법과 동일한 것으로 하여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서 생략함을 밝혀둔다.
이하에는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1)를 이용한 도로 경계석(100)의 전체적인 시공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타설된 1차 콘크리트(110) 내에 지지돌기(20)가 삽입되도록 받침대 본체(10)를 위치시키는데 받침대 본체(10)의 위치는 양측 도로 경계석(100)이 연접되는 지점이다.
그런 다음, 기준선(13)을 중심으로 그 양측에 각각 도로 경계석(100)이 연접 위치되도록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이용해 이동시킨 뒤, 인력을 이용해 정확한 위치만을 잡아준다. 그런 다음 체결공(14) 내에 고정부재(40)를 결합하여 도로 경계석(100)을 받침대 상에서 위치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받침대 본체(10)의 후방에 지지날개(30)가 그 내부에 포함되도록 2차 콘크리트(120)를 타설한다. 이때 연결홈(31)을 통해 타설된 2차 콘크리트(120)가 1차 콘크리트(110)와 만나 연결되어 받침대 본체(10)가 1차 콘크리트(110)와 2차 콘크리트(120) 내에 일체감 있게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보도 형성을 위한 나머지 작업이 진행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10 : 받침대 본체
11 : 수평면
12 : 수직면
13 : 기준선
14 : 체결공
15 : 격자돌기
20 : 지지돌기
30 : 지지날개
31 : 연결홈
40 : 고정부재
100 : 도로 경계석
110 : 1차 콘크리트
120 : 2차 콘크리트

Claims (4)

  1. 도로 경계석 연접부위 하측에 위치되며 도로 경계석의 하부면과 배면이 지지 될 수 있도록 수평면과 수직면이 상호 수직 절곡 된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받침대 본체;
    상기 받침대 본체의 하부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기초로 타설된 1차 콘크리트 내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를 상기 1차 콘크리트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지지돌기; 및
    상기 받침대 본체의 배면 양측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1차 콘크리트 상에 타설되는 2차 콘크리트 내에 위치되어 상기 받침대 본체를 상기 2차 콘크리트 측에 위치고정시키는 지지날개;가 포함되고,
    상기 받침대 본체 중 도로 경계석의 하부면이 지지되는 수평면 상에는 서로 연접되게 배열되는 2개의 도로 경계석의 경계선의 대응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선이 도시되며,
    상기 기준선의 선단측에는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상기 받침대 본체의 수평면 상에 위치된 양측 도로 경계석이 유동되지 않게 위치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양측의 상기 지지날개 하측에는 상기 1차 콘크리트와 2차 콘크리트가 서로 만나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140088412A 2014-07-14 2014-07-14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KR10149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8412A KR101496420B1 (ko) 2014-07-14 2014-07-14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8412A KR101496420B1 (ko) 2014-07-14 2014-07-14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420B1 true KR101496420B1 (ko) 2015-02-27

Family

ID=5259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88412A KR101496420B1 (ko) 2014-07-14 2014-07-14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4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133B1 (ko) * 2020-04-27 2020-12-04 김충겸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27Y1 (ko) * 2001-05-11 2001-10-15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도로 교차로 충돌방지용 경계석구조
KR100772671B1 (ko) * 2006-11-30 2007-11-02 신상종 보도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보도경계석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127Y1 (ko) * 2001-05-11 2001-10-15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도로 교차로 충돌방지용 경계석구조
KR100772671B1 (ko) * 2006-11-30 2007-11-02 신상종 보도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보도경계석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133B1 (ko) * 2020-04-27 2020-12-04 김충겸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8356B1 (ko) 거푸집레일과 지그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및 방법
KR100654170B1 (ko) 도로경계석 시공장치
JP6420734B2 (ja) 道路付帯設備の施工方法および移動方向指示用プログラム
JP4947779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敷設方法
KR20160001216A (ko) 힌지 거동형 pc 벽체를 이용한 라멘교 및 이 시공 방법
KR101496420B1 (ko)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US20120155960A1 (en) Curb forming system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KR101550398B1 (ko) 우수받이를 기반으로 한 개량형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20170012906A (ko) 콘크리트 타설구
KR101158445B1 (ko) 도로경계석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공법
KR102319123B1 (ko)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
US9144920B1 (en) Retainer apparatus
JP2019078065A (ja) 片持ちばり式擁壁の敷設方法
KR101591802B1 (ko) 개량형 맨홀구조를 이용한 도로의 시공방법
KR101661697B1 (ko)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
KR100772671B1 (ko) 보도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보도경계석 시공방법
JP2009046942A (ja) 擁壁用基礎ブロック
JP6412398B2 (ja) 道路拡幅ブロック
KR101485868B1 (ko) 결합핀을 이용한 경계석의 연결구조 및 이의 연결방법
KR20030057840A (ko) 보차도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과 경계석 받침구
KR101814755B1 (ko) 경계석용 개량형 거치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200456737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US20060285922A1 (en)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works
KR102086287B1 (ko)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