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9123B1 -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 - Google Patents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9123B1
KR102319123B1 KR1020210037710A KR20210037710A KR102319123B1 KR 102319123 B1 KR102319123 B1 KR 102319123B1 KR 1020210037710 A KR1020210037710 A KR 1020210037710A KR 20210037710 A KR20210037710 A KR 20210037710A KR 102319123 B1 KR102319123 B1 KR 102319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undary stone
unit
horizontal plate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완표
Original Assignee
이완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완표 filed Critical 이완표
Priority to KR1020210037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9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9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9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에 관한 것으로서, 기초지반 위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에 있어서, 기역자 단면을 이루는 좌지지수직판부 및 좌지지수평판부를 구비한 직선상의 좌지지부와; 판체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좌지지수평판부의 상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좌지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좌측단에 경계석지지영역이 형성되고 우측단과 상기 경계석지지영역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의 우지지부고정공이 나란하게 형성된 직선상의 우지지부와; 상기 좌지지수평판부의 저면과 상기 우지지부의 저면에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되어 상기 좌지지부와 상기 우지지부를 상기 기초지반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다리부와; 기역자 단면을 이루는 유동방지수직판부 및 유동방지수평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동방지수평판부에는 방지구고정공이 형성되고 경계석저면이 상기 경계석지지영역과 상기 좌지지수평판부에 지지되고 경계석좌측면이 상기 좌지지수직판부에 접촉하도록 경계석이 설치될 때 상기 유동방지수직판부가 경계석우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방지구고정공이 상기 우지지부고정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우지지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동방지구와; 상기 우지지부고정공과 상기 방지구고정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동방지구를 상기 우지지부에 고정하는 방지구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폭이 다른 경계석을 설치할 수 있고,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무게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Supporter for Installing Boundry Stones}
본 발명은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경계석과 기초지반 사이에 배치되어 경계석을 지지하는 받침부에 관한 것이다.
차도와 보도를 구획하고 차량이 보도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도와 차도의 경계영역에 경계석을 연속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경계석은 제조공장에서 규격품으로 제작된 후 시공현장으로 운반된다.
경계석은 보통, 기초지반을 형성하는 단계, 기초지반 위에 경계석을 연속적으로 올려놓는 단계, 경계석 상호간이 정렬되고 일정한 높이가 되도록 각 경계석의 배치상태를 조절하는 단계 등을 거쳐 설치된다.
기초지반은 모래나 흙을 평평하게 다져 형성할 수 있다. 기초지반을 형성할 때 모래나 흙을 평평하게 다진 위에 버림콘크리트(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한편 경계석을 직접 기초지반 위에 설치하는 경우 경계석 상호간을 정렬하고 높이를 조절하는 작업이 복잡하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계석과 기초지반 사이에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를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방법이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8은 종래의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종래의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110)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블럭(111)과, 받침블럭(111)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편(162)을 갖고 있다.
받침블럭(111)은 판체 형태의 받침바닥면부(111a)와, 받침바닥면부(111a)의 상면 좌측단 및 우측단에서 각각 높이방향을 따라 하나씩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받침턱(111b)을 갖고 있다. 한 쌍의 받침턱(111b) 중 일방은 생략될 수 있다.
받침바닥면부(111a)는 상면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요형(凹形)의 연결홈(111c)이 직선상으로 절취 형성된다.
받침턱(111b)은 내표면에 이동안내홈(111d)이 높이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된다.
연결편(162)은 인접하는 받침블럭(111)의 연결홈(111c)에 나누어 진입하도록 받침바닥면부(111a)의 상면에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를 사용하여 경계석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계석(161)이 설치되는 영역에 버림콘크리트(202)를 타설하여 기초지반을 형성한다.
다음에 버림콘크리트(202) 위에 받침블럭(111)을 연속적으로 설치한다.
다음에 연결편(162)을 인접하는 받침블럭(111)의 연결홈(111c)에 나누어 설치한다.
다음에 받침턱(111b) 사이에서 받침바닥면부(111a)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경계석(161)을 설치한다.
다음에 경계석(161)의 일측에 측구콘크리트(206)를 타설한다.
다음에 경계석(161)의 나머지 일측에 혼합골재층(208), 모래층(204) 및 보도블럭층(205)을 형성한다.
그런데 종래의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에 따르면, 받침턱(111b) 사이에서 받침바닥면부(111a)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경계석(161)이 설치되기 때문에, 폭이 일정한 경계석만 설치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받침블럭(111)의 저면과 기초지반 사이에 보강콘크리트를 타설할 공간이 없기 때문에 받침부(110)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받침부(110)의 주요부분이 블럭형태(받침블럭)로 형성되기 때문에, 무게가 무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4866호(등록일자: 2003년 02월 06일, 고안의 명칭: 도로보차도용 경계석 받침구)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폭이 다른 경계석을 설치할 수 있고,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무게를 줄일 수 있는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기초지반 위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에 있어서, 기역자 단면을 이루는 좌지지수직판부 및 좌지지수평판부를 구비한 직선상의 좌지지부와; 판체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좌지지수평판부의 상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좌지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좌측단에 경계석지지영역이 형성되고 우측단과 상기 경계석지지영역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의 우지지부고정공이 나란하게 형성된 직선상의 우지지부와; 상기 좌지지수평판부의 저면과 상기 우지지부의 저면에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되어 상기 좌지지부와 상기 우지지부를 상기 기초지반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다리부와; 기역자 단면을 이루는 유동방지수직판부 및 유동방지수평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동방지수평판부에는 방지구고정공이 형성되고 경계석저면이 상기 경계석지지영역과 상기 좌지지수평판부에 지지되고 경계석좌측면이 상기 좌지지수직판부에 접촉하도록 경계석이 설치될 때 상기 유동방지수직판부가 경계석우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방지구고정공이 상기 우지지부고정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우지지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동방지구와; 상기 우지지부고정공과 상기 방지구고정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동방지구를 상기 우지지부에 고정하는 방지구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기초지반에 대한 경계석의 설치높이를 선택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다리부는 상부수평바와 각각 사각관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높이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평바의 양단에 상호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상부수직관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수직관부 중 일방의 상단을 통해 상기 좌지지수평판부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수직관부 중 나머지 일방의 상단을 통해 상기 우지지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다리부와, 각각 상기 상부수직관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관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하단으로부터 시작하는 높이조절홈이 높이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홈이 상기 높이조절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상부수직관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하부다리부와, 상기 높이조절공을 통과하여 상기 높이조절홈의 내표면에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다리부를 상기 상부다리부에 체결하는 다리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역자 단면을 이루는 좌지지수직판부 및 좌지지수평판부를 구비한 직선상의 좌지지부와, 판체형태로 형성되고 우측단과 경계석지지영역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의 우지지부고정공이 나란하게 형성된 직선상의 우지지부와, 좌지지수평판부의 저면과 우지지부의 저면에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되어 좌지지부와 우지지부를 기초지반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다리부와, 기역자 단면을 이루는 유동방지수직판부 및 유동방지수평판부를 구비하고 유동방지수직판부가 경계석우측면에 접촉하도록 우지지부고정공을 통해 우지지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동방지구와, 유동방지구를 우지지부에 고정하는 방지구고정핀을 포함함으로써, 폭이 다른 경계석을 설치할 수 있고,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좌지지부와 우지지부와 기초지반 사이에 보강콘크리트를 타설할 공간이 있음),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기역자 앵글, 평철, 사각관을 사용하여 제작됨).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와 경계석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지지부를 도시한 도면,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다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를 사용하여 경계석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8은 종래의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를 도시한 도면,
도9는 종래의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를 사용하여 경계석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와 경계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우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다리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10)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의 좌지지부(11)와, 좌지지부(11)에 나란하게 배치된 우지지부(12)와, 좌지지부(11)와 우지지부(12)를 기초지반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다리부(20)와, 우지지부(12)에 결합되는 다수의 유동방지구(40)와, 유동방지구(40)를 우지지부(12)에 고정하기 위한 방지구고정핀(13)을 갖고 있다.
좌지지부(11)는 기역자 단면을 이루는 좌지지수직판부(11a) 및 좌지지수평판부(11b)를 갖고 있다.
우지지부(12)는 판체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이 좌지지수평판부(11b)의 상면에 정렬되도록 좌지지부(11)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우지지부(12)는 좌측단에 경계석지지영역(12a)이 형성되고, 우측단과 경계석지지영역(12a)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의 우지지부고정공(12b)이 나란하게 형성된다.
받침다리부(20)는 각각, 좌지지수평판부(11b)의 저면과 우지지부(12)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다리부(30)와, 상부다리부(30)에 체결되는 하부다리부(21)와, 하부다리부(21)를 상부다리부(30)에 체결하기 위한 다리체결핀(22)을 갖고 있다.
상부다리부(30)는 상부수평바(31)와, 상부수평바(31)의 양단에 상호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상부수직관부(32)를 갖고 있다.
상부수평바(31)는 사각관 등을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부수직관부(32)는 각각 사각관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높이조절공(32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수직관부(32) 중 일방은 상단을 통해 좌지지수평판부(11b)의 저면에 결합되고, 나머지 일방은 상단을 통해 우지지부(12)의 저면에 결합된다. 상부수직관부(32)의 결합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다리부(21)는 각각 상부수직관부(32)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관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하단으로부터 시작하는 높이조절홈(21a)이 높이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하부다리부(21)는 높이조절홈(21a)이 높이조절공(32a)에 정렬되도록 상부수직관부(32)에 삽입된다.
하부다리부(21)는 하단에 결합된 고정판(24)과, 고정판(24)을 통과하는 다리고정핀(23)에 의해 기초지반에 고정된다.
다리체결핀(22)은 높이조절공(32a)을 통과하여 높이조절홈(21a)의 내표면에 도달하도록 설치된다. 다리체결핀(22)의 종단에 나사산을 형성하면 하부다리부(21)와 상부다리부(30)의 체결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받침다리부(20)는 좌지지수평판부(11b)의 저면과 우지지부(12)의 저면에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되어 좌지지부(11)와 우지지부(12)를 기초지반에 대하여 지지한다.
유동방지구(40)는 각각, 기역자 단면을 이루는 유동방지수직판부(41) 및 유동방지수평판부(42)를 구비한다.
유동방지수평판부(42)에는 한 쌍의 방지구고정공(42a)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유동방지구(40)는 경계석저면(61a)이 경계석지지영역(12a)과 좌지지수평판부(11b)에 지지되고 경계석좌측면(61b)이 좌지지수직판부(11a)에 접촉하도록 경계석이 설치될 때, 유동방지수직판부(41)가 경계석우측면(61c)에 접촉하고, 방지구고정공(42a)이 우지지부고정공(12b)에 정렬되도록 우지지부(12)에 설치된다.
방지구고정핀(13)은 우지지부고정공(12b)과 방지구고정공(42a)을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를 사용하여 경계석을 설치하는 방법을 도1, 도2, 도5, 도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경계석(61)이 설치되는 영역에 버림콘크리트(202)를 타설하여 기초지반을 형성한다(도6 참조).
다음에 경계석(61)의 규격, 기초지반에 대한 경계석(61)의 계획고 등을 고려하여 하부다리부(21)에 대한 상부다리부(30)의 높이를 조절한다(도5 참조).
다음에 버림콘크리트(202) 위에 받침부(10)를 연속적으로 설치한다(도1 참조).
다음에 경계석저면(61a)이 경계석지지영역(12a)과 좌지지수평판부(11b)에 지지되고 경계석좌측면(61b)이 좌지지수직판부(11a)에 접촉하도록 경계석(61)을 받침부(10)에 설치한다(도2 참조).
다음에 경계석우측면(61c)이 유동방지수직판부(41)에 접촉하도록 유동방지구(40)를 설치한다(도2 참조). 유동방지구(40)의 설치위치는 경계석(61)의 폭에 따라 달라진다. 즉, 폭이 클수록 좌지지부(11)로부터 멀리 떨어진 우지지부고정공(12b)에 유동방지구(40)가 설치된다.
다음에 우지지부고정공(12b)과 방지구고정공(42a)을 통과하도록 방지구고정핀(13)을 설치한다(도2 참조).
다음에 받침다리부(20)가 매립되도록 보강콘크리트(203)를 타설한다(도6 참조).
다음에 도로포장층(207)과 보강콘크리트(203) 사이에 측구콘크리트(206)를 타설한다(도7 참조).
다음에 경계석(61)의 좌측에 모래층(204)과 보도블럭층(205)을 형성한다(도7 참조).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좌지지부(11)가 보도블럭층(205)에 인접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좌지지부(11)가 도로포장층(207)에 인접하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 경계석(61)의 양쪽 중 어느 일방을 임의로 선택하여 "좌" 또는 "우"라는 명칭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역자 단면을 이루는 좌지지수직판부(11a) 및 좌지지수평판부(11b)를 구비한 직선상의 좌지지부(11)와, 판체형태로 형성되고 우측단과 경계석지지영역(12a)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의 우지지부고정공(12b)이 나란하게 형성된 직선상의 우지지부(12)와, 좌지지수평판부(11b)의 저면과 우지지부(12)의 저면에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되어 좌지지부(11)와 우지지부(12)를 기초지반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다리부(20)와, 기역자 단면을 이루는 유동방지수직판부(41) 및 유동방지수평판부(42)를 구비하고 유동방지수직판부(41)가 경계석우측면(61c)에 접촉하도록 우지지부고정공(12b)을 통해 우지지부(12)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동방지구(40)와, 유동방지구(40)를 우지지부(12)에 고정하는 방지구고정핀(13)을 포함함으로써, 폭이 다른 경계석을 설치할 수 있고,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좌지지부와 우지지부와 기초지반 사이에 보강콘크리트를 타설할 공간이 있음),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된다(기역자 앵글, 평철, 사각관을 사용하여 제작됨).
그리고 상부다리부(30)와 상부다리부(30)에 결합된 한 쌍의 하부다리부(21)를 포함하도록 받침다리부(20)를 구성하는 한편, 상부다리부(30)에 형성된 높이조절공(32a)과 하부다리부(21)에 형성된 높이조절홈(21a)을 이용하여 받침다리부(20)의 전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초지반에 대한 좌지지부(11)와 우지지부(12)의 높이 즉, 경계석의 설치높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10, 110: 받침부 11: 좌지지부
12: 우지지부 13: 방지구고정편
20: 받침다리부 21: 하부다리부
30: 상부다리부 40: 유동방지구
61, 161: 경계석 111: 받침바닥면부
112: 받침턱

Claims (2)

  1. 기초지반 위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는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에 있어서,
    기역자 단면을 이루는 좌지지수직판부 및 좌지지수평판부를 구비한 직선상의 좌지지부와;
    판체형태로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좌지지수평판부의 상면에 정렬되도록 상기 좌지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좌측단에 경계석지지영역이 형성되고 우측단과 상기 경계석지지영역 사이에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열의 우지지부고정공이 나란하게 형성된 직선상의 우지지부와;
    상기 좌지지수평판부의 저면과 상기 우지지부의 저면에 이격거리를 두고 결합되어 상기 좌지지부와 상기 우지지부를 상기 기초지반에 대하여 지지하는 복수의 받침다리부와;
    기역자 단면을 이루는 유동방지수직판부 및 유동방지수평판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동방지수평판부에는 방지구고정공이 형성되고 경계석저면이 상기 경계석지지영역과 상기 좌지지수평판부에 지지되고 경계석좌측면이 상기 좌지지수직판부에 접촉하도록 경계석이 설치될 때 상기 유동방지수직판부가 경계석우측면에 접촉하고 상기 방지구고정공이 상기 우지지부고정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우지지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유동방지구와;
    상기 우지지부고정공과 상기 방지구고정공을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동방지구를 상기 우지지부에 고정하는 방지구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다리부는 상부수평바와 각각 사각관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높이조절공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수평바의 양단에 상호 나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상부수직관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수직관부 중 일방의 상단을 통해 상기 좌지지수평판부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수직관부 중 나머지 일방의 상단을 통해 상기 우지지부의 저면에 결합되는 상부다리부와, 각각 상기 상부수직관부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관을 사용하여 제작되고 하단으로부터 시작하는 높이조절홈이 높이방향을 따라 절취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홈이 상기 높이조절공에 정렬되도록 상기 상부수직관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하부다리부와, 상기 높이조절공을 통과하여 상기 높이조절홈의 내표면에 도달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하부다리부를 상기 상부다리부에 체결하는 다리체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
KR1020210037710A 2021-03-24 2021-03-24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 KR102319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710A KR102319123B1 (ko) 2021-03-24 2021-03-24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710A KR102319123B1 (ko) 2021-03-24 2021-03-24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19123B1 true KR102319123B1 (ko) 2021-10-29

Family

ID=78231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710A KR102319123B1 (ko) 2021-03-24 2021-03-24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91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335B1 (ko) 2022-04-07 2022-12-20 이완표 경계석 설치용 받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811A (ko) * 2003-05-20 2004-12-02 주식회사 비알라인 경계석 받침구와 그 경계석 받침구의 시공방법
KR20110106523A (ko) * 2010-03-23 2011-09-29 (주)신성이엔지 조립식 거푸집
KR102187133B1 (ko) * 2020-04-27 2020-12-04 김충겸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9811A (ko) * 2003-05-20 2004-12-02 주식회사 비알라인 경계석 받침구와 그 경계석 받침구의 시공방법
KR20110106523A (ko) * 2010-03-23 2011-09-29 (주)신성이엔지 조립식 거푸집
KR102187133B1 (ko) * 2020-04-27 2020-12-04 김충겸 경계석 시공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335B1 (ko) 2022-04-07 2022-12-20 이완표 경계석 설치용 받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2175B1 (ja) 排水金具及び排水ブロック、並びに排水金具付き排水ブロックの付設方法
KR100758356B1 (ko) 거푸집레일과 지그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및 방법
KR102319123B1 (ko) 경계석 설치용 받침부
US20140234025A1 (en) Precast leveling segment below a traffic barrier atop an earth retaining wall sytem
JP2020200754A (ja) レール基礎の施工方法およびレール基礎ブロック
KR100757958B1 (ko) 선형유도전동기에서 선형유도전동기 패널의 부설을 위한인서트 매립 장치
CN106917328A (zh) 一种地铁轨道工程浮置板整体道床轨道的施工方法
KR101703798B1 (ko) 곡선형 구현이 가능한 연결구조를 갖는 피에스씨 빔 및 그 시공방법
US20140270946A1 (en) Modular concrete unit and an assembly thereof
CN102071614B (zh) 石块路的施工方法及用于该方法的靠尺
KR101262755B1 (ko) 가로보가 일체화된 하로판형교 및 이의 시공방법
JP6644600B2 (ja) 一体型基礎及び一体型基礎工法
KR102479335B1 (ko) 경계석 설치용 받침장치
KR20180045441A (ko)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KR102300271B1 (ko) 교량 슬라브 타설용 가설작업대 고정장치
KR101550396B1 (ko)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20170001392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철제 거푸집
JP2022006995A (ja) 張出し歩道ブロック、及び張出し歩道ブロックを用いた歩道の構築方法
JP4038803B2 (ja) 張り出し歩道の構造体
KR100994602B1 (ko) 도로 경계석의 시공 받침구
KR101496420B1 (ko) 도로 경계석 설치용 받침대
KR200475868Y1 (ko) 경계석 시공 장치
RU2506365C2 (ru) Твердое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е полотно с непрерывным основанием
KR101231179B1 (ko) 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