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5868Y1 - 경계석 시공 장치 - Google Patents

경계석 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5868Y1
KR200475868Y1 KR2020140003886U KR20140003886U KR200475868Y1 KR 200475868 Y1 KR200475868 Y1 KR 200475868Y1 KR 2020140003886 U KR2020140003886 U KR 2020140003886U KR 20140003886 U KR20140003886 U KR 20140003886U KR 200475868 Y1 KR200475868 Y1 KR 200475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nut
bolt
die
coupl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8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길
Original Assignee
정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길 filed Critical 정영길
Priority to KR20201400038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8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01C19/526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hand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경계석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는 숙련되지 않은 경계석 시공자도 경계석을 용이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경계석의 수평까지도 조절할 수 있으며, 경계석이 길이방향으로 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경계석의 높이조절을 미세한 범위까지 시행할 수 있으며, 경계석의 안착 및 수평 작업시 한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규격의 경계석을 하나의 장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경계석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경계석 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에 따른 본 고안의 경계석 시공 장치는 제1거푸집; 상기 제1거푸집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거푸집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거푸집; 상기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지지대;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거푸집에 안착되는 제1지지다리부;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거푸집에 안착되는 제2지지다리부; 및,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경계석의 상부면과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너트부 및, 상기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경계석의 일 측면에 밀착되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측면철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철편은 상기 밀착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경계석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경계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경계석 시공 장치{HOARSTONE CONSTRUCTION DEVICE}
본 고안은 경계석 시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숙련된 경계석 시공자 없이도, 경계석의 수평을 매우 용이하게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계석 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와 보도블록 사이, 그리고 보도와 대지경계선 사이에는 경계석이 설치된다.
이러한 경계석의 종래 설치 방법은 일정규격으로 제작된 경계석들을 지지하는 경우, 지지대를 작업자가 손으로 부여잡은 상태에서 수작업으로 위치를 조절한 후, 경계석의 하부에 돌이나 흙을 인입해 수평을 맞추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설치 방법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작업시간이 각기 다르고, 숙련된 작업자라 할지라도 경계석들이 반듯하게 배치되는 않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경계석 설치 방법은 경계석을 손으로 든 상태에서 돌이나 흙 또는 시멘트를 이용하여 경계석을 지지하게 되므로, 경계석을 지지하는 기반이 약해 추후에 경계석이 내려앉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으로써, 플라스틱 받침대를 저변에 깔고 그 위에 경계석을 얹어 수평을 조절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는 환경 문제 뿐만 아니라 실시 과정에 있어 플라스틱 받침대가 급작스럽게 파단되어 안전사고를 유발하기도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으며, 이 역시 경계석을 지지하는 지반 형태가 일정하지 않고 굴곡된 구간이 있는 경우, 플라스틱 받침대의 위치와 수평을 계속적으로 수정하는 작업이 요구되어, 그에 따른 보완이 필요하다.
다른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으로써, 경계석 측면의 세 지점을 철재지지대로 조여 고정한 후 철재지지대 다리에 거푸집을 자석으로 부착하여 레미콘을 타설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철재지지대 다리에 자석을 부착하여 경계석을 고정하는 방식은 레미콘타설시 경계석 선형이 뒤틀리는 문제점이 자주 발생하므로, 작업에 인력과 에너지가 많이 드는 비경제적인 방법이다
또 다른 경계석 시공 장치 및 방법으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011호인 도로경계석의 높이 조절 및 유지용 지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 시공방법에서는 도로경계석의 하부가 기초 콘크리트에 일부 깊이로 삽입된 채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고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로써, 가로빔(11)과, 수직측면고정부(12)와, 파지부(13)와, 도로경계석(S)의 외부 타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봉(1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로빔(11)과 수직측면고정부(12)와 파지부(13)에 의해 형성된 ㄷ자의 개방된 부분에 도로경계석(S)이 위치하여 도로경계석(S)의 상부에 고정되는 지그(10)와; ㄷ자 단면의 절곡 형강으로 이루어져 도로경계석(S)의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수평판(21)을 관통한 체결수단(50)의 하단이 높이조절판(40)을 관통한 후 지그(10)의 가로빔(11)과 결합하여, 상기 지그(10)를 매달아 지지하는 횡지지부재(20)와; 체결수단(50)에 의해 그 상단이 횡지지부재(20)와 결합되며, 하단이 거푸집(60) 위에 놓여 수직하게 서있게 되는 상기 지지다리(30)를 포함하며; 높이조절판(40)은 놓이는 방향에 따라 횡지지부재(20)의 수직판(22) 단부에 걸쳐지도록 배치되어 지그가 매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경계석(S)의 파지 및 높이 조절 유지용 지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하여 도로경계석을 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 종래 선행기술은 경계석(S)의 외부 일측면을 지그(10)에 밀착된 상태에서, 경계석(S)의 외부 타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봉(14)으로 가압하여 경계석(S)을 지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이때, 지그(10)와 가압봉(14)은 경계석(S)을 지지함과 동시에 횡지지부재(20)와 함께 경계석(S)을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선행기술은 경계석의 상부면 수평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으나, 지그(10)가 납작한 판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경계석이 약간의 힘만 받는 경우에도 길이방향에서 벗어나 틀어짐으로써, 경계석의 정렬 작업이 매우 까다로워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 선행기술은 규격이 일정하지 않은 경계석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우, 각 규격의 경계석마다 지지다리(30)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데, 지지다리(30)의 높이 조절을 위하여 높이조절핀(32)을 이용하는 경우, 높이조절핀(32)을 삽입시키는 구멍들의 간격이 존재하고 있어 구멍의 타공위치가 틀어지거나 경계석의 규격이 구멍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경계석의 수평이 틀어지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은 횡지지부재(20)와 지그(10)및 가압봉(14)만을 경계석에 설치하여 경계석을 들어올린 후 수평을 잡는 작업을 시행하는 경우, 굴삭기와 같은 건설장비에 줄을 걸어 경계석을 들어올린 후 작업자가 경계석을 손으로 이동시켜 가며 경계석의 수평을 조절해야 한다. 이 경우, 경계석에는 횡지지부재(20)와 지그(10) 및 가압봉(14)만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손으로 부여잡을 공간이 없고, 경계석과 거푸집 사이의 미장시공으로 인하여 경계석과 거푸집 사이의 공간이 좁아 손을 넣기 힘들기 때문에, 최소 2명이 인원이 경계석의 양단을 각각 잡은 상태로 작업을 행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더불어, 선행기술은 경계석이 사다리꼴 모양과 같이 직육면제 형상인 아닌 경우에는 경계석을 지그(10)와 가압봉(14)만으로 고정시킬 수 없기 때문에, 사다리꼴 모양의 경계석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을 제작해야 하므로, 제작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과 유지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유발시키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03011호(2010. 12. 15 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과제는 숙련되지 않은 경계석 시공자도 경계석을 용이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경계석의 수평까지도 조절할 수 있으며, 경계석이 길이방향으로 틀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고, 경계석의 높이조절을 미세한 범위까지 시행할 수 있으며, 경계석의 안착 및 수평 작업시 한명의 작업자만으로도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규격의 경계석을 하나의 장치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된 경계석도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경계석 시공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경계석 시공 장치는 제1거푸집; 상기 제1거푸집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거푸집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거푸집; 상기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제1거푸집과 상기 제2거푸집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지지대;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거푸집에 안착되는 제1지지다리부; 일단이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거푸집에 안착되는 제2지지다리부; 및, 상기 지지대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며 경계석의 상부면과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밀착부와, 상기 밀착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너트부 및, 상기 너트부에 나사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경계석의 일 측면에 밀착되는 볼트부를 포함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핑부는 측면철편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철편은 상기 밀착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경계석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경계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지지대의 결합홀과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지지너트;를 더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경계석 시공 장치는 상기 지지대와 상기 밀착부 사이에 배치되는 규격조절체; 상기 밀착부에 상부에 결합되는 밀착부너트; 및, 상기 규격조절체를 연통하여 상기 지지너트와 상기 밀착부너트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밀착부가 상기 규격조절체에 밀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규격조절체의 두께만큼 상기 밀착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규격조절용볼트;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석 시공 장치는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용너트부; 상기 높이조절용너트부에 나사결합되는 와인딩용볼트; 일단이 상기 와인딩용볼트의 외주연에 감긴 상태로 배치되는 높이조절용줄; 및, 상기 경계석의 하면과 측면에 밀착되고, 몸체부의 일부가 상기 높이조절용줄의 타단과 결합되는 꺽임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인딩용볼트는 상기 높이조절용너트부에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높이조절용줄이 외주연에 감기도록 하여 상기 꺽임체가 상기 경계석을 들어올리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다리부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며 타단에 제1너트결합체가 구성되는 제1상부지지부; 및, 일단이 상기 제1너트결합체와 나사결합되는 제1볼트결합체가 구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1거푸집에 안착되는 제1하부지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다리부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며 타단에 제2너트결합체가 구성되는 제2상부지지부; 및, 일단이 상기 제2너트결합체와 나사결합되는 제2볼트결합체가 구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2거푸집에 안착되는 제2하부지지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경계석 시공 장치는 상기 클램핑부가 상기 경계석의 양 측면을 밀착하여 고정되는 경우, 상기 경계석의 상부면과 상기 클램핑부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바;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바는 상기 경계석의 단부보다 더 연장되도록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다른 경계석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밀착부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일측에 체결용너트가 형성되는 결합봉; 및, 일단에 상기 체결용너트와 나사결합하는 체결용볼트가 구성되어 상기 결합봉과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손잡이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계석은 적어도 일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우, 상기 경계석 시공 장치는 상부구간이 상기 경계석의 경사면에 밀착되고 하부구간이 상기 상부구간에서 절곡되어 상기 경계석의 하면에 밀착되는 측면경사석밀착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경사석밀착구에는 결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의 단부는 상기 결착홈의 외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측면경사석밀착구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측면경사석밀착구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계석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밀착부를 이용하여 경계석을 고정시에, 경계석을 밀착부에 배치된 측면철편에 밀착시켜 고정시키기만 하면, 경계석이 측면철편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경계석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으며, 충격이나 힘을 받는 경우에도 경계석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두 개의 경계석 사이에 높이조절용줄이 체결된 꺽임체를 배치시켜 경계석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와인딩용볼트를 회전시켜 높이조절용줄이 감기도록 함으로써, 많은 자재가 소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경계석의 높이 및 수평을 한번에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제1지지다리부 및 제2지지다리부는 볼트 및 너트 결합방식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높이와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인접한 두 개의 경계석 가운데 연장바가 일체형으로 고정된 경계석은 연장바가 다른 경계석에 걸치는 형태로 이용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부와 지지대 및 제1지지다리부 및 제2지지다리부의 구성을 줄일 수 있고, 자재의 소모를 줄여 설치비용을 줄임으로써, 작업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경계석의 수평 작업시에 클램핑부와 연장바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수평작업을 위한 별도의 장치 및 공법을 시행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경계석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경계석의 수평을 조절하여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연장손잡이부를 부여잡고 경계석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2명의 작업자가 투입될 필요없이 한명의 작업자만으로 경계석의 위치를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경계석을 안착시키는 작업이 끝난 이후에 연장손잡이부를 결합봉에서 분리함으로써 거푸집과 경계석 사이의 작업공간에 영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다리꼴모양의 경계석과 같이 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측면경사석에 측면경사석밀착구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측면경사석밀착구와 클램핑부를 이용하여 측면경사석을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측면경사석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측면경사석을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착부의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높이조절용너트부, 와인딩용볼트, 높이조절용줄 및, 꺽임체를 확대하여 본 부분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의 제1지지다리부와 제2지지다리부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4b는 도 4a와는 다른 방식으로 경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c는 도 4a 및 도 4b와는 다른 방식으로 경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의 응용예에 따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의 밀착부에 결합봉과 연장손잡이부가 더 구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의 또 다른 응용예에 관한 정면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측면경사석밀착구의 사시도.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밀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제1거푸집(10), 제2거푸집(20), 지지대(30), 제1지지다리부(40), 제2지지다리부(50) 및, 클램핑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거푸집(10)과 상기 제2거푸집(20)은 목재나 철재 또는 수지재질로 형성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 서로 간에 대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1거푸집(10)과 제2거푸집(20) 사이에는 콘크리트(미도시)가 타설되며 콘크리트 타설 이후에 제거된다. 이 경우, 타설된 콘크리트는 경계석(S)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30)는 각관 또는 C형강 같은 관체로써, 제1거푸집(10)과 제2거푸집(20)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되, 제1거푸집(10)과 상기 제2거푸집(2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대(30)는 후술하는 클램핑부(60)가 지지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지지대(30)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관체로 형성되며, 두 개의 이상의 관체로 형성시에는 두 개의 관체가 서로 간에 일정거리 이격시켜 이격공간을 형성한 상태에서 두 개의 관체를 결합시키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제1지지다리부(40)는 용접결합 또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결합에 의해 일단이 지지대(30)에 결합되며, 타단이 제1거푸집(10)에 안착된다. 이러한 제1지지다리부(40)는 지지대(30)의 일측 하단을 지지하여 지지대(30)의 일측 일부 구간이 제1거푸집(10)의 상부공간에 안착된다.
상기 제2지지다리부(50)는 용접결합 또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결합에 의해 일단이 지지대(30)에 결합되며, 타단이 제2거푸집(20)에 안착된다. 이러한 제2지지다리부(50)는 지지대(30)의 일측 하단을 지지하여 지지대(30)의 타측 일부구간이 제2거푸집(20)의 상부공간에 안착된다.
상기 클램핑부(60)는 밀착부(61), 너트부(62), 볼트부(63) 및, 측면철편(64)을 포함한다.
상기 밀착부(61)는 양단부가 꺽인 형상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지지대(30)에 연결되어 지지대(30)에 의해 지지되며 경계석(S)의 상부면과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밀착부(61)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꺽이는"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밀착부(61)의 구성 가운데 꺽이는 부위를 각각 제1꺽임부(61a) 및 제2꺽임부(61b)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너트부(62)는 밀착부(61)의 일단에 결합된다. 이 경우, 너트부(62)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개구방향이 경계석(S)의 일 측면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볼트부(63)는 너트부(62)에 나사결합되며, 너트부(62)에서 회전시에 일단이 경계석(S)의 일 측면에 밀착되어 경계석(S)의 일측면을 강하게 압박함으로써, 경계석(S)의 양 측면이 밀착부(61)의 꺼인 단부 사이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 측면철편(64)은 밀착부(61)의 내측에 결합되며, 경계석(S)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경계석(S)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측면철편(64)은 밀착부(61)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교차되도록 형성됨으로써, 경계석(S)의 밀착시에 경계석(S)이 측면철편(64)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도록 한다. 이러한 측면철편(64)은 밀착부(61)와 탈착가능하게 결합되어 필요에 따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도 있으며, 경계석과 밀착되는 부위에 다수의 톱니자국을 형성하여 경계석과의 마찰력을 높혀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도 있다.
또한, 클램핑부(60)는 윗면철편(64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윗면철편(64a)는 밀착부(61)의 상부하단 내측에 결합되며, 경계석에 지그를 체결할 때 지지대가 시계추형태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윗면철편(64a)은 측면철편(64)과 함께 이용되는 경우, 이어지는 두 경계석간 윗면 수평과 앞측면의 수직 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의 사용예에대해 설명하면, 먼저, 제1거푸집(10) 및 제2거푸집(20)을 이격시켜 배치시키게 된다.
다음, 작업자는 경계석(S)의 양측면을 밀착부(61)와 볼트부(63) 사이에 배치하게 된다. 다음, 작업자는 공구등을 이용하여 볼트부(63)를 회전시키게 되면, 볼트부(63)는 너트부(62)에서 나사회전하여 경계석(S)의 일측면을 강하게 압박하게 되고, 이때, 경계석(S)의 타측면은 밀착부(61)의 측면철편(64)에 밀착되어 측면으로의 움직임이 고정된다. 이때, 경계석(S)은 측면이 측면철편(64)에 밀착되어 측면철편(64)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어 배치된다. 이후, 작업자는 제1지지다리부(40)와 제2지지다리부(50)가 결합된 지지대(30)를 제1거푸집(10)과 제2거푸집(20)의 상부 공간에 안착시킨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경계석(S)을 시공한 후, 제1거푸집(10)과 제2거푸집(20)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면, 경계석(S)이 콘크리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밀착부(61)를 이용하여 경계석(S)을 고정시에, 경계석(S)을 밀착부(61)에 배치된 측면철편(64)에 밀착시켜 고정시키기만 하면, 경계석(S)이 측면철편(64)의 길이방향으로 정렬되기 때문에, 경계석(S)을 길이방향으로 용이하게 정렬시킬 수 있으며, 충격이나 힘을 받는 경우에도 경계석(S)이 길이방향으로 정렬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 되며, 특히, 클램핑부(60)를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때문에 경계석을 규격에 따라 다양한 시공방법을 고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규격이 각기 다른 경계석(S)들을 시공시에 지지대(30)와 제1지지다리부(40)와 제2지지다리부(50) 및 클램핑부(60)를 교체하지 않고 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규격조절체(71)와 밀착부너트(72) 및 규격조절용볼트(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대(30)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지지대(30)는 지지대(30)의 결합홀과 연통하도록 지지대(3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지지너트(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격조절체(71)는 지지대(30)와 밀착부(61)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규격조절체(71)는 경계석의 규격에 따라 각각 다른 규격으로 제작되어 경계석의 규격에 맞추어 탈착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밀착부너트(72)는 밀착부(61)에 상부에 결합된다.
상기 규격조절용볼트(73)는 규격조절체(71)를 연통하여 지지너트(31)와 밀착부너트(72)에 나사결합되되 밀착부(61)가 규격조절체(71)에 밀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규격조절체(71)의 두께만큼 밀착부(6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지지대(30)와 밀착부(61) 사이에 규격조절체(71)를 삽입한 상태에서, 규격조절용볼트(73)를 이용하여 규격조절체(71)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정 규격의 경계석(S) 시공시에 해당 규격에 대응하는 규격조절체(71)를 삽입함으로써, 규격이 다른 경계석(S)을 시공시에 지지대(30)와 제1지지다리부(40)와 제2지지다리부(50) 및 클램핑부(60)를 교체하지 않고도 경계석(S)의 수평을 매우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높이조절용너트부(81), 와인딩용볼트(82), 높이조절용줄(83) 및, 꺽임체(84)를 확대하여 본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높이조절용너트부(81), 와인딩용볼트(82), 높이조절용줄(83) 및, 꺽임체(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용너트부(81)는 지지대(30)에 결합된다. 이 경우, 밀착부(6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으로 돌출되는 돌출부(61c)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와인딩용볼트(82)는 높이조절용너트부(81)에 나사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용줄(83)은 일단이 와인딩용볼트(82)의 외주연에 감긴 상태로 배치되고, 타단이 꺽임체(84)에 결합된다.
상기 높이조절용줄(83)은 일단이 와인딩용볼트(82)의 외주연에 감긴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밀착부(61)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용줄(83)이 용이하게 감길 수 있도록 밀착부(61)와 결합하는 롤러(61d)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꺽임체(84)는 경계석(S)의 하면과 측면에 밀착되고, 몸체부의 일부가 높이조절용줄(83)의 타단과 결합된다. 여기서, 꺽임체(84)는 몸체의 일부구간에 높이조절용줄(83)이 삽입될 수 있는 홀이 형성됨으로써, 높이조절용줄(83)이 고정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함과 동시에 경계석(S)에 맞닿는 꺽임체(84)가 높이조절용줄(83)에 의해 들뜨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높이조절용너트부(81), 와인딩용볼트(82), 높이조절용줄(83) 및, 꺽임체(84)를 더 포함하는 경계석 시공 장치의 사용예에 설명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경계석(S)의 넓은 양측면은 클램핑부(60)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이용된다. 이 경우, 경계석(S)은 긴 직사각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클램핑부(60)를 구성시에 하나의 경계석(S)당 2개의 클램핑부(60)를 이용하여 경계석(S)을 지지하는게 가장 안정적인 방법이다. 하지만, 경계석(S) 하나당 2개의 클램핑부(60)를 이용하는 방식은 클램핑부(60) 뿐만 아니라, 지지대(30)와 제1지지다리부(40) 및 지2지지다리부를 필요로 하여 많은 자재가 들어가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두 개의 경계석(S) 사이에 높이조절용줄(83)이 체결된 꺽임체(84)를 배치시켜 경계석(S)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와인딩용볼트(82)를 회전시켜 높이조절용줄(83)이 감기도록 함으로써, 많은 자재가 소모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도 경계석(S)의 높이 및 수평을 한번에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단축된다.
도 4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의 제1지지다리부(40)와 제2지지다리부(50)를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경계석(S)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제1지지다리부(40)가 제1상부지지부(41) 및, 제1하부지지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지지다리부(50)가 제2상부지지부(51) 및 제2하부지지부(5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지지부(41)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일단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결합등으로 지지대(30)와 연결되며, 타단에 제1너트결합체(41a)가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지지부(42)는 상부구간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이 제1너트결합체(41a)와 나사결합되는 제1볼트결합체(42a)가 구성되고, 타단이 제1거푸집(10)에 안착된다.
상기 제2상부지지부(51)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일단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결합등으로 지지대(30)와 연결되며, 타단에 제2너트결합체(51a)가 구성된다.
상기 제2하부지지부(52)는 상부구간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이 제2너트결합체(51a)와 나사결합되는 제2볼트결합체(52a)가 구성되고, 타단이 제2거푸집(20)에 안착된다.
이러한 제1지지다리부(40) 및 제2지지다리부(50)의 높이조절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경계석(S)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작업자가 제1너트결합체(41a)와 결합된 제1볼트결합체(42a)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1하부지지부(42)는 제1상부지지부(41)에서 일정구간 이동하게 되어 제1거푸집(10)이 위치한 부근의 제1지지다리부(4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제2너트결합체(51a)와 결합된 제2볼트결합체(52a)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2하부지지부(52)는 제2상부지지부(51)에서 일정구간 이동하게 되어 제2거푸집(20)이 위치한 부근의 제2지지다리부(5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제1지지다리부(40) 및 제2지지다리부(50)는 볼트 및 너트 결합방식에 의해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높이와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간 이음부를 추가로 결합 연결하여 경계석의 규격에 따른 높낮이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도 있다.
이에 반해, 배경기술에서 예시한 선행기술은 다리부에 핀을 체결하여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핀이 체결되는 위치에서만 다리부의 높이가 고정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수평조절 기능이 구비되지 않아, 거푸집의 높이가 조금이라도 변화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면 수평조절을 위하여 다른 해결책을 강구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선행기술은 지지대(30)의 높이를 조절시에 핀결합된 위치만으로 높이가 조절되어 미세한 높이는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도 4b는 도 4a와는 다른 방식으로 경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S)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제1지지다리부(40)가 제1상부지지부(41c) 및, 제1하부지지부(42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지지다리부(50)가 제2상부지지부(51c) 및 제2하부지지부(52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상부지지부(41c)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일단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결합으로 지지대(30)와 연결되며, 타단 하부구간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너트결합체(42c1)와 나사결합되는 제1볼트결합체(41c1)가 구성된다.
상기 제1하부지지부(42c)는 하단이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제1거푸집(10)에 안착되며, 상단에 제1볼트결합체(41c1)와 나사결합하는 제1너트결합체(42c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상부지지부(51c)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일단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결합으로 지지대(30)와 연결되며, 타단 하부구간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2너트결합체(52c1)와 나사결합되는 제2볼트결합체(51c1)가 구성된다.
상기 제2하부지지부(52c)는 하단이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제2거푸집(20)에 안착되며, 상단에 제2볼트결합체(51c1)와 나사결합하는 제2너트결합체(52c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지지다리부(40) 및 제2지지다리부(50)의 높이조절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경계석(S)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작업자가 제1너트결합체(42c1)를 제1볼트결합체(41c1)와 나사결합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제1하부지지부(42)는 제1상부지지부(41)에서 일정구간 이동하게 되어 제1거푸집(10)이 위치한 부근의 제1지지다리부(40)의 높이가 조절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작업자가 제2볼트결합체(51c1)와 나사결합된 제2너트결합체(52c1)를 회전시키게 되면, 제2하부지지부(52)는 제2상부지지부(51)에서 일정구간 이동하게 되어 제2거푸집(20)이 위치한 부근의 제2지지다리부(50)의 높이가 조절된다.
도 4c는 도 4a 및 도 4b와는 다른 방식으로 경계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석(S)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제1지지다리부(40)가 제1상부지지부(41c), 제1중간지지부(42d) 및 제1하부지지부(43d)를 포함하고, 제2지지다리부(50)가 제2상부지지부(51d), 제2중간지지부(52d) 및 제2하부지지부(53d)를 포함한다.
상기 제1상부지지부(41c)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일단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결합으로 지지대(30)와 연결되며, 타단 하부구간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너트결합체(42c1)와 나사결합되는 제1볼트결합체(41c1)가 구성된다.
상기 제1중간지지부(42d)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며 상단에 제1볼트결합체(41c1)와 나사결합하는 제1너트결합체(42d1)가 형성되고, 하단에 제3나사결합체(43d1)와 나사결합하는 제3볼트결합체(42d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하부지지부(43d)는 하단이 거푸집이 안착되는 바닥면에 밀착되고,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며 상단에 제3볼트결합체(42d1)와 나사결합하는 제3나사결합체(43d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상부지지부(51c)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일단이 용접결합 또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결합으로 지지대(30)와 연결되며, 타단 하부구간의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2너트결합체(52c1)와 나사결합되는 제2볼트결합체(51c1)가 구성된다.
상기 제2중간지지부(52d)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며 상단에 제2볼트결합체(51c1)와 나사결합하는 제2너트결합체(52d1)가 형성되고, 하단에 제4나사결합체(53d1)와 나사결합하는 제4볼트결합체(52d2)가 형성된다.
상기 제2하부지지부(53d)는 하단이 거푸집이 안착되는 바닥면에 밀착되고,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며 상단에 제4볼트결합체(52d1)가 나사결합하는 제4나사결합체(53d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지지다리부(40) 및 제2지지다리부(50)의 높이조절기능에 대해 설명하면, 경계석(S)의 수평을 맞추기 위하여 작업자가 제1하부지지부(43d)의 제3나사결합체(43d1)를 제1중간지지부(42d)의 제3볼트결합체(42d2)와 나사결합시키고, 제1상부지지부(41c)의 제1너트결합체(41c1)를 제1볼트결합체(42d1)와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지지대(30)의 일측부 높이를 조절하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2하부지지부(53d)의 제4나사결합체(53d1)를 제2중간지지부(52d)의 제4볼트결합체(52d2)와 나사결합시키고, 제2상부지지부(51c)의 제2너트결합체(51c1)를 제2볼트결합체(52d1)와 나사결합한 상태에서 회전시켜 지지대(30)의 타측부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와 구성에 의한 높이조절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미세한 높이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 대신에 제1하부지지부(43d)와 제2하부지지부(53d)를 바닥면에 거치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경계석(S)을 지지시에 거푸집이 아닌 지반을 기반으로 견디게 하므로, 콘크리트를 후타설 해야할 경우, 수일간 경계석을 먼저 안치해 두어도 변형의 위험성이 거의 없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의 응용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더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용너트부(81)와 와인딩용볼트(82)와 높이조절용줄(83) 및 꺽임체(84)를 이용하여 경계석(S)을 지지함과 동시에 경계석(S)의 높이를 조절하는 방식 이외에, 연장바(90)를 이용한 방식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연장바(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장바(90)는 밀착부(61)와 볼트부(63)가 경계석(S)의 양 측면을 밀착하여 고정되는 경우, 경계석(S)의 상부면과 밀착부(61) 사이에 배치된다.
이 경우, 연장바(90)는 경계석(S)의 단부보다 더 연장되도록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다른 경계석(S)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즉, 연장바(90)의 돌출된 부위는 서로 간에 인접한 두 개의 경계석(S) 가운데 어느 하나의 경계석(S)에 고정된 상태로 돌출됨으로써, 돌출된 부위가 다른 경계석(S)의 상부면에 걸쳐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여기서, 연장바(90)가 걸치는 부위는 도면에서 도면 부호 1s로 도시하기로 한다.
따라서, 인접한 두 개의 경계석(S) 가운데 연장바(90)가 일체형으로 고정된 경계석(S)은 연장바(90)가 다른 경계석(S)에 걸치는 형태로 이용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클램핑부(60)와 지지대(30) 및 제1지지다리부(40) 및 제2지지다리부(50)의 구성을 줄일 수 있고, 또한, 자재의 소모를 줄여 설치비용을 줄임으로써, 작업시간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경계석(S)의 수평 작업시에 밀착부(61)와 연장바(90)만으로 가능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수평작업을 위한 별도의 장치 및 공법을 시행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연장바(90)의 구성은 현장상황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바(90)의 길이를 경계석(S)의 길이보다 크게 연장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써,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바(90)의 길이를 전술한 예보다 작은 길이로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밀착부(61) 가운데 지지대(30)와 제1지지다리부(40) 및 제2지지다리부(50)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밀착부(61)는 연장바(90)를 경계석(S)에 일체형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다른 경계석(S)에 걸치도록 함으로써, 경계석(S)의 고정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경계석(S)의 수평 조절기능을 제공할 수 도 있다.
나아가, 연장바(90)는 경사경계석이나 낮춤경계석과 같이 직사각형 형체가 아닌 경계석에 걸처지는 경우, 연장바의 양단부를 필요 경사에 맞도록 절삭 또는 철편 용접등의 방법으로 가공하여 변형됨으로써, 경계석의 형태에 따라 용이하게 가변시켜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도 있다.
여기서, 도 8을 더 참조하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의 밀착부(61)에 결합봉(65)과 연장손잡이부(66)가 더 구성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부(61)와 연장바(90)만으로 경계석(S)의 수평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보통 굴삭기등에 와이어를 달아 경계석(S)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경계석(S)의 위치를 조정해야 하는데, 이는 배경기술에 예시한 바와 같이, 미장등의 이유로 경계석(S)과 거푸집 사이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작업자가 손을 넣기 매우 어려운 문제점에 의해 최소한 2명의 인원이 경계석(S)의 양 단부를 각각 부여잡고 작업하는 방식이 종래의 방식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클램핑부(60)가 결합봉(65) 및 연장손잡이부(66)를 더 포함한다.
상기 결합봉(65)은 용접등의 방식으로 밀착부(61)에 결합되며, 밀착부(61)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일측에 체결용너트(65a)가 형성된다.
상기 연장손잡이부(66)는 일단에 체결용너트(65a)와 나사결합하는 체결용볼트(66a)가 구성되어 결합봉(65)과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봉(65)과 연장손잡이부(66)의 이용 방식은 경계석(S)이 굴삭기등에 의해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경계석(S)의 수평을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결합봉(65)에 체결된 연장손잡이부(66)를 부여잡고 경계석(S)의 수평을 조절해가면서 경계석(S)을 정해진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게 되며, 경계석(S)을 안착시킨 이후에 연장손잡이부(66)를 결합봉(65)에서 분리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경계석(S)을 들어올린 상태에서 경계석(S)의 수평을 조절하여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연장손잡이부(66)를 부여잡고 경계석(S)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2명의 작업자가 투입될 필요없이 한명의 작업자만으로 경계석(S)의 위치를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경계석(S)을 안착시키는 작업이 끝난 이후에 연장손잡이부(66)를 결합봉(65)에서 분리함으로써 거푸집과 경계석(S) 사이의 작업공간에 영향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바대로 수평기능클램프 체결시 경계석 앞측면 부위와 맞닿는 부위(64)에 톱니 형태의 홈을 만든 철편을 용접 결합함으로써 윗면 수평조절 기능 철편과 함께 경계석 앞측면의 수직조절 기능을 동시에 갖출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의 또 다른 응용예에 관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측면경사석밀착구(111)의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더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직육면체형상의 경계석뿐만 아니라, 일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사다리꼴모양과 같은 측면경사석(S2)에도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계석 시공 장치는 측면경사석밀착구(11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측면경사석밀착구(111)는 몸체의 일부구간이 꺽인 편형태의 금속재질로 형성되며, 이 경우, 측면경사석밀착구(111)는 상부구간이 측면경사석(S2)의 경사면에 밀착되고, 하부구간이 상부구간에서 절곡되어 측면경사석(S2)의 하면에 밀착된다. 여기서, 측면경사석밀착구(111)의 형상은 측면경사석(S2)의 경사면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가변되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측면경사석밀착구(111)의 사용 방식에 대해 설명하면, 측면경사석밀착구(111)는 몸체의 상부 구간에 결착홈(111c)이 더 형성되는데, 이때, 밀착부(61)의 단부는 측면경사석밀착구(111)의 결착홈(111c)의 외측면에 결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밀착부(61)와 볼트부(63)를 이용하여 측면경사석(S2)을 고정시키게 되면, 밀착부(61)의 단부는 결착홈(111c)에 결착되어 측면경사석밀착구(111)가 하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측면경사석밀착구(111)는 측면경사석(S2)의 하방을 지지하기 때문에, 측면경사석(S2)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는 달리, 배경기술에서 예시한 종래 선행기술은 클랭핑 장치를 측면경사석(S2)에 이용시에 측면경사석(S2)의 경사면에 의해 하방으로 이탈하기 때문에 측면경사석(S2)에는 이용될 수 없는 문제점을 내포하게 된다.
이 경우, 측면경사석밀착구(111)는 측면경사석(S2)과 밀착되는 부위에 V홈(111b)와 파단홀(111a)이 형성되어 측면경사석(S2)이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고정된 이후,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를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제1거푸집 20 ; 제2거푸집
30 ; 지지대 40 ; 제1지지다리부
41 ; 제1상부지지부 42 ; 제1하부지지부
50 ; 제2지지다리부 51 ; 제2상부지지부
52 ; 제2하부지지부 60 ; 클램핑부
61 ; 밀착부 62 ; 너트부
63 ; 볼트부 64 ; 측면철편
65 ; 결합봉 66 ; 연장손잡이부
71 ; 규격조절체 72 ; 밀착부너트
73 ; 규격조절용볼트 81 ; 높이조절용너트부
82 ; 와인딩용볼트 83 ; 높이조절용줄
84 ; 꺽임체 90 ; 연장바
111 ; 측면경사석밀착구

Claims (9)

  1. 제1거푸집(10);
    상기 제1거푸집(1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제1거푸집(10)과 대향하게 배치되는 제2거푸집(20);
    상기 제1거푸집(10)과 상기 제2거푸집(20)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제1거푸집(10)과 상기 제2거푸집(20)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지지대(30);
    일단이 상기 지지대(30)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1거푸집(10)에 안착되는 제1지지다리부(40);
    일단이 상기 지지대(30)에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제2거푸집(20)에 안착되는 제2지지다리부(50);
    상기 지지대(30)에 연결되어 상기 지지대(30)에 의해 지지되며 경계석의 상부면과 양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밀착부(61)와, 상기 밀착부(61)의 일단에 결합되는 너트부(62) 및, 상기 너트부(62)에 나사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경계석의 일 측면에 밀착되는 볼트부(63)를 포함하는 클램핑부(60);
    상기 클램핑부(60)는 측면철편(64)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철편(64)은 상기 밀착부(61)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경계석의 일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경계석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
    상기 지지대(30)는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30)는 상기 지지대(30)의 결합홀과 연통하도록 상기 지지대(30)에 결합되는 지지너트(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30)와 상기 밀착부(61) 사이에 배치되는 규격조절체(71); 상기 밀착부(61)에 상부에 결합되는 밀착부너트(72); 및, 상기 규격조절체(71)를 연통하여 상기 지지너트(31)와 상기 밀착부너트(72)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밀착부(61)가 상기 규격조절체(71)에 밀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규격조절체(71)의 두께만큼 상기 밀착부(61)의 높이를 조절하는 규격조절용볼트(73); 를 더 포함하는 것;
    상기 지지대(30)에 결합되는 높이조절용너트부(81); 상기 높이조절용너트부(81)에 나사결합되는 와인딩용볼트(82); 일단이 상기 와인딩용볼트(82)의 외주연에 감긴 상태로 배치되는 높이조절용줄(83); 및, 상기 경계석의 하면과 측면에 밀착되고, 몸체부의 일부가 상기 높이조절용줄(83)의 타단과 결합되는 꺽임체(84);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인딩용볼트(82)는 상기 높이조절용너트부(81)에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높이조절용줄(83)이 외주연에 감기도록 하여 상기 꺽임체(84)가 상기 경계석을 들어올리도록 하는 것;
    상기 클램핑부(60)가 상기 경계석의 양 측면을 밀착하여 고정되는 경우, 상기 경계석의 상부면과 상기 클램핑부(60) 사이에 배치되는 연장바(90);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장바(90)는 상기 경계석의 단부보다 더 연장되도록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다른 경계석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
    상기 클램핑부(60)는 상기 밀착부(61)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형성되고, 일측에 체결용너트(65a)가 형성되는 결합봉(65); 및, 일단에 상기 체결용너트(65a)와 나사결합하는 체결용볼트(66a)가 구성되어 상기 결합봉(65)과 나사결합에 의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장손잡이부(66); 를 더 포함하는 것; 및,
    상기 경계석은 적어도 일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부구간이 상기 경계석의 경사면에 밀착되고, 하부구간이 상기 상부구간에서 절곡되어 상기 경계석의 하면에 밀착되는 측면경사석밀착구(111);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측면경사석밀착구(111)에는 결착홈(111c)이 더 형성되고, 상기 밀착부(61)의 단부는 상기 결착홈(111c)의 외측면에 결착되어 상기 측면경사석밀착구(11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측면경사석밀착구(111)가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경계석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 을 포함하는 경계석 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다리부(40)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30)와 연결되며, 타단에 제1너트결합체(41a)가 구성되는 제1상부지지부(41); 및,
    일단이 상기 제1너트결합체(41a)와 나사결합되는 제1볼트결합체(42a)가 구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1거푸집(10)에 안착되는 제1하부지지부(42);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다리부(50)는,
    일단이 상기 지지대(30)와 연결되며, 타단에 제2너트결합체(51a)가 구성되는 제2상부지지부(51); 및,
    일단이 상기 제2너트결합체(51a)와 나사결합되는 제2볼트결합체(52a)가 구성되고, 타단이 상기 제2거푸집(20)에 안착되는 제2하부지지부(52); 를 포함하는 경계석 시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다리부(40)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일단이 상기 지지대(30)와 연결되며, 타단에 제1볼트결합체(41c1)가 구성되는 제1상부지지부(41c); 및,
    하단이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1거푸집(10)에 안착되며, 상단에 상기 제1볼트결합체(41c1)와 나사결합하는 제1너트결합체(42c1)가 형성되는 제1하부지지부(42c);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다리부(50)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일단이 상기 지지대(30)와 연결되며, 타단에 제2볼트결합체(51c1)가 구성되는 제2상부지지부(51c); 및,
    하단이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상기 제2거푸집(20)에 안착되며, 상단이 상기 제2볼트결합체(51c1)와 나사결합하는 제2너트결합체(52c1)가 형성되는 제2하부지지부(52c); 를 포함하는 경계석 시공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다리부(40)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일단이 상기 지지대(30)와 연결되며, 타단에 제1볼트결합체(41c1)가 구성되는 제1상부지지부(41c);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며 상단에 상기 제1볼트결합체(41c1)와 나사결합하는 제1너트결합체(42d1)가 형성되고, 하단에 제3볼트결합체(42d2)가 형성되는 제1중간지지부(42d); 및,
    하단이 거푸집이 안착되는 바닥면에 밀착되고,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며 상단에 상기 제3볼트결합체(42d1)와 나사결합하는 제3나사결합체(43d1)가 형성되는 제1하부지지부(43d);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다리부(50)는,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어 일단이 상기 지지대(30)와 연결되며, 타단에 볼트결합체(51c1)가 구성되는 제2상부지지부(51c);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며 상단에 상기 제2볼트결합체(51c1)와 나사결합하는 제2너트결합체(52d1)가 형성되고, 하단에 제4볼트결합체(52d2)가 형성되는 제2중간지지부(52d); 및,
    하단이 거푸집이 안착되는 바닥면에 밀착되고, 금속재질의 관체로 구성되며 상단이 상기 제4볼트결합체(52d1)와 나사결합하는 제4나사결합체(53d1)가 형성되는 제2하부지지부(53d); 를 포함하는 경계석 시공 장치.
KR2020140003886U 2014-05-21 2014-05-21 경계석 시공 장치 KR200475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86U KR200475868Y1 (ko) 2014-05-21 2014-05-21 경계석 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886U KR200475868Y1 (ko) 2014-05-21 2014-05-21 경계석 시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868Y1 true KR200475868Y1 (ko) 2015-01-08

Family

ID=5258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886U KR200475868Y1 (ko) 2014-05-21 2014-05-21 경계석 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86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211A (zh) * 2018-11-05 2019-01-18 安徽企路石工程技术开发有限公司 路桥路肩石铺设系统
CN110093842A (zh) * 2019-04-30 2019-08-06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用于联锁块施工的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1A (ja) * 1994-06-20 1996-01-09 Fujiyama Kensetsu Kk 縁石ブロックの吊上げ治具
KR101003011B1 (ko) * 2010-02-04 2010-12-21 라이브텍(주) 도로경계석의 높이 조절 및 유지용 지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 시공방법
KR101003010B1 (ko) * 2009-12-07 2010-12-21 라이브텍(주) 도로경계석의 종방향 수평유지 고정용 지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71A (ja) * 1994-06-20 1996-01-09 Fujiyama Kensetsu Kk 縁石ブロックの吊上げ治具
KR101003010B1 (ko) * 2009-12-07 2010-12-21 라이브텍(주) 도로경계석의 종방향 수평유지 고정용 지그
KR101003011B1 (ko) * 2010-02-04 2010-12-21 라이브텍(주) 도로경계석의 높이 조절 및 유지용 지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5211A (zh) * 2018-11-05 2019-01-18 安徽企路石工程技术开发有限公司 路桥路肩石铺设系统
CN110093842A (zh) * 2019-04-30 2019-08-06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用于联锁块施工的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CN110093842B (zh) * 2019-04-30 2021-12-07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用于联锁块施工的辅助装置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1574B2 (en) Bracket assembly for installation of concrete forms for building foundations
JP4491030B2 (ja) アンカーボルトセット装置
US20020067960A1 (en) Reinforced concrete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475868Y1 (ko) 경계석 시공 장치
US200200567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plitting masonry materials
US10106993B2 (en) Curb, walk, and multi-use forming tool and system
JP7018682B1 (ja) べた基礎の構築方法
US20050086901A1 (en) Device for laying brick constructs
KR200474855Y1 (ko) 경계석 시공 장치
KR100873037B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KR20130025188A (ko)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용 철근 받침기둥 및 이를 이용한 매스 콘크리트 구조체의 상부철근 배근방법
KR101461084B1 (ko) 경계석 시공장치
CN115026940A (zh) 预制构件连接钢筋的定位装置
KR101229093B1 (ko) 슬래브 개구부 마구리용 전용 거푸집패널
JP5065750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保持具
KR200448127Y1 (ko) 유로폼 교정장치
EP1593790A1 (en)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work
KR101661697B1 (ko) 도로경계석 설치장치 및 도로경계석 설치방법
DE202013003444U1 (de) Abschalkonsole Vario 15 Flex: - Eine Schalhilfe aus verzinktem Stahl, zum Erstellen einer variablen Deckenrandabschalung mit Aufnahme für Seitenschutz.
CN112392061A (zh) 一种用于预埋立柱主筋的定位胎架
KR100488897B1 (ko) 강관말뚝의 머리부 보강장치
CN109577557A (zh) 混凝土板的钢筋网架
KR102327212B1 (ko) 어스앵커 시공용 대좌 고정 장치
CN216713737U (zh) 一种预制楼梯预埋限位螺栓的定位工具
JP3239727U (ja) 均しコンクリート打設用桟木の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