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084B1 - 경계석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경계석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084B1
KR101461084B1 KR20140073781A KR20140073781A KR101461084B1 KR 101461084 B1 KR101461084 B1 KR 101461084B1 KR 20140073781 A KR20140073781 A KR 20140073781A KR 20140073781 A KR20140073781 A KR 20140073781A KR 101461084 B1 KR101461084 B1 KR 101461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ding
side plates
boundary stone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3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두식
Original Assignee
신두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두식 filed Critical 신두식
Priority to KR20140073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8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05Individual couplings or spacer elements for joining the prefabricated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경계석을 손쉽게 시공할 수 있으면서, 고정관체를 소모하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경계석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는 상기 거푸집(A)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판(11,12)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상하측 지지판(14,15)에는 관통공(14a,15a)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에 배치한 후, 상기 고정부재(20)를 상기 관통공(14a,15a)에 통해 바닥면(1)에 박아서, 제1 및 제2 측판(11,12)이 바닥면(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거푸집(A)을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거푸집(A)을 분리하면 기초(8)의 내부에 고정관체(6c)가 남게되는 종래의 경계석 시공장치와 달리, 거푸집(A) 전체를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경계석 시공장치{Apparatus for constructing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경계석을 손쉽게 시공할 수 있으면서, 고정관체를 소모하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경계석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와 차도를 구획하는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경계석은 길이가 긴 블록형태로 구성되어, 다수개가 일렬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때, 이러한 경계석은 하단이 콘크리트 기초의 상면에 매입되어 고정되도록 시공된다.
한편, 이와 같이 콘크리트 기초의 상면에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콘크리트가 적절한 정도로 경화되면 콘크리트의 상면에 경계석을 올려놓아야 한다.
도 1은 종래에 경계석을 시공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도 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푸집(3)을 좁게 배치하여 콘크리트를 1차 타설하여 1차 기초(4)를 제작하고, 도 1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작된 1차 기초(4)에 경계석(2)을 올려놓은 후, 도 1의 (c) 및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1차 기초(4)의 양측에 넓게 거푸집(3)을 재차 설치하고, 2차 기초(5)를 타설하여 경계석(2)이 2차 기초(5)에 매입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2번에 걸쳐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시켜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1차 기초(4)의 상면이 균일한 평면을 이루지 못할 경우, 1차 기초(4)의 상면에 올려진 경계석(2) 역시 높이가 일정하게 연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이러한 경계석(2)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된 경계석 시공장치를 개발하여 특허등록 받았다.(특허등록 10-1378967호)
상기 경계석 시공장치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1)에 설치되는 거푸집(6)과, 상기 경계석(2)에 결합되는 클램프(7)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거푸집(6)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측판(6a)과, 상기 측판(6a)의 사이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측판(6a)을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고정축(6b)과, 상기 고정축(6b)의 외부에 끼워지며 양단이 상기 측판(6a)의 인접면에 밀착되는 고정관체(6c)와, 상기 고정축(6b)의 양단에 연결되어 상기 고정축(6b) 양단의 높이를 각각 별도로 조절하는 높이조절기구(6d)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측판(6a)의 사이에 상기 고정관체(6c)가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고정관체(6c)의 상부에 경계석(2)을 올려놓아서 경계석(2)을 시공하며, 콘크리트가 경화되면 상기 고정관체(6c)를 제외한 측판(6a)과 고정축(6b)을 분리하여, 경계석(2)을 시공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경계석 시공장치는 경계석(2)의 시공이 완료되면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완성된 기초(8)의 내부에 고정관체(6c)가 남게 되어 재활용할 수 없게 되며, 경계석(2)을 시공하기 위해 많은 수의 고정관체(6c)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고 경계석을 손쉽게 시공할 수 있으면서, 고정관체를 소모하지 않는 새로운 구조의 경계석 시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면(1)에 설치되는 거푸집(A)과, 경계석(2)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클램프(B,C)를 포함하며, 상기 거푸집(A)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판(11,12)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판(13)과, 상기 수직판(13)의 상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상하측 지지판(14,15)과, 상기 수직판(13)의 전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보강판(16)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측 지지판(14,15)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4a,15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관통공(14a,15a)을 통과하여 바닥면(1)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전후단에 구비된 보강판(16)에서 일측의 보강판(16)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핀(16a)이 구비되고, 타측의 보강판(16)에는 상기 고정핀(16a)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결합공(16b)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16a)을 다른 제1 및 제2 측판(11,12)의 결합공(16b)에 끼워 복수개의 제1 및 제2 측판(11,12)을 상호 연결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하측으로 연장된 하단부에는 지지부재(17a)가 구비된 높이조절나사(1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 클램프(B)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면에 경계석(2)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된 나사축(4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상측 지지판(14)에는 상기 나사축(40)이 통과하는 개구부(14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클램프(C)는 하측면에 경계석(2)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50)와, 상기 지지대(50)의 일측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61)와 상기 수평연장부(61)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62)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50)의 하측면에 고정된 경계석(2)의 단부면에 걸리도록 된 이격부재(60)와, 상기 지지대(50)에서 상기 수평연장부(6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수평연장부(61)에 비해 길게 구성되어 다른 경계석(2)의 단부 상면에 걸리는 걸이부재(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측판(12) 상단에는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8)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8)의 하측면은 내측으로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된 기초(8)의 일측 상단 모서리부가 상기 돌출부(18)에 대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절취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16a)은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고정핀(16a)을 후퇴시켜 상기 고정핀(16a)과 결합공(16b)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는 상기 거푸집(A)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판(11,12)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상하측 지지판(14,15)에는 관통공(14a,15a)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에 배치한 후, 상기 고정부재(20)를 상기 관통공(14a,15a)을 통해 바닥면(1)에 박아서, 제1 및 제2 측판(11,12)이 바닥면(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거푸집(A)을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거푸집(A)을 분리하면 기초(8)의 내부에 고정관체(6c)가 남게 되는 종래의 경계석 시공장치와 달리, 거푸집(A) 전체를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계석 시공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경계석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경계석 시공장치를 도시한 단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의 제1 및 제2 측판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의 제1 및 제2 클램프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의 제1 클램프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의 제2 클램프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의 제1 및 제2 클램프를 도시한 측면도,
도 11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를 이용한 시공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바닥면(1)에 설치되는 거푸집(A)과, 경계석(2)에 결합되는 제1 및 제2 클램프(B,C)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거푸집(A)은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판(11,12)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판(13)과, 상기 수직판(13)의 상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상하측 지지판(14,15)과, 상기 수직판(13)의 전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보강판(16)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직판(13)은 상기 경계석(2)의 2배의 길이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측 지지판(14,15)에는 상기 고정부재(20)가 결합되는 관통공(14a,15a)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태로 구성되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에 배치한 후 상기 관통공(14a,15a)에 고정부재(20)를 삽입하여 고정부재(20)의 하단이 바닥면(1)에 매입되도록 하면, 상기 고정부재(20)에 의해 제1 및 제2 측판(11,12)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높이조절나사(17)가 상기 상하측 지지판(14,15)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나사(17)의 하단에는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지지부재(17a)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20)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에 고정한 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나사(17)를 회전시키면, 높이조절나사(17)의 나사작용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17a)가 승강되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일측이 승강되어 제1 및 제2 측판(11,12)이 수평이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측판(11)은 인도 쪽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측판(12)은 도로 쪽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측판(12) 상단에는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8)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8)는 상기 수직판(13)의 상단부를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벤딩하여 구성된 것으로, 하측면이 내측으로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8)를 제작하면, 상기 기초(8)의 도로쪽 상단 모서리부가 상기 돌출부(18)에 대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절취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전후단에 구비된 보강판(16)에서 전방의 보강판(16)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핀(16a)이 구비되고, 후방의 보강판(16)에는 상기 고정핀(16a)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결합공(16b)이 형성된다.
따라서, 전술한 방법으로 1개의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을 고정한 후,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된 제1 및 제2 측판(11,12)의 결합공(16b)에 다른 제1 및 제2 측판(11,12)의 고정핀(16a)을 결합하여 제1 및 제2 측판(11,12)이 상호 일직선을 이루도록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B)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면에 경계석(2)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된 나사축(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30)는 강도가 높은 금속패널을 절단하여 제작된 것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31)와, 상기 지지바(31)의 양단과 중간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내지 제3 연장부(32,33,34)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연장부(32)와 제2 연장부(33)는 상기 경계석(2)의 폭에 비해 조금 넓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33) 하단에는 단부가 상기 제1 연장부(32)를 향하도록 고정볼트(35)가 나사결합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31)의 하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32,33)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지지편(36)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편(36)은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바(31)의 하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32,33)가 상기 경계석(2)의 상단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30)를 경계석(2)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지지편(36)이 경계석(2)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대(30)가 수직을 이루게 되며, 고정볼트(35)를 조이면 상기 제1 연장부(32)와 고정볼트(35)의 사이에 경계석(2)이 고정된다.
상기 나사축(40)은 상기 지지대(30)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나사결합되어, 나사축(40)을 회전시키면 나사축(40)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상측 지지판(14)에는 상기 나사축(40)이 통과하는 개구부(14b)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14b)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장공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상측 지지판(14)에 상기 경계석(2)의 길이만큼 전후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대(30)에 상기 경계석(2)을 고정한 후,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클램프(B)를 들어서 상기 나사축(40)이 상기 개구부(14b)로 삽입되도록 하면, 상기 나사축(40)의 하단이 상기 하측 지지판(15)의 상면에 밀착되어 지지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나사축(40)이 지지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나사축(40)을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대(30)가 승강되어, 상기 지지대(30)에 고정된 경계석(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 클램프(C)는 도 7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면에 경계석(2)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50)와, 상기 지지대(50)에 구비되어 상기 경계석(2)의 상면에 밀착되는 이격부재(60) 및 걸이부재(7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5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51a)가 구비된 지지대본체(51)와, 상기 연장부(51a)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51a)의 사이로 삽입된 경계석(2)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볼트(52)로 구성된다.
상기 이격부재(60)는 상기 지지대본체(51)의 하측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61)와, 상기 수평연장부(61)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62)로 구성된다.
상기 걸이부재(7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금속판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중간부가 상기 지지대(50)의 하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용접결합된다.
이때, 상기 걸이부재(70)중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쪽의 단부는 상기 이격부재(60)의 수평연장부(61)에 비해 길게 구성된다.
따라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격부재(60)가 상기 경계석(2)의 전단부 상측 모퉁이 부분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대(50)를 경계석(2)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걸이부재(70)가 경계석(2)의 상면에 밀착되어 지지대(50)가 수직을 이루게 되며, 상기 고정볼트(52)를 조이면 상기 지지대(50)의 하측에 경계석(2)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계석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경계석(2)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바닥면(1)에 상기 거푸집(A)을 설치한다.
이를 위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1)에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고정부재(20)를 제1 및 제2 측판(11,12)의 관통공(14a,15a)에 삽입하여 바닥면(1)에 박음으로써,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에 고정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이 고정되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결합공(16b)에 다른 제1 및 제2 측판(11,12)의 고정핀(16a)이 결합되도록 하여, 여러개의 제1 및 제2 측판(11,12)이 상호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제1 및 제2 측판(11,12)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조절나사(17)를 회전시켜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일단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1 및 제2 측판(11,12)이 높이가 일정한 직선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거푸집(A)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B,C)를 상기 경계석(2)에 각각 결합하고, 상기 제1 및 제2 클램프(B,C)를 이용하여 상기 경계석(2)의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고정한다.
이때, 도 14 및 오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앞쪽에 배치되는 경계석(2)은 전후단에 제1 클램프(B)를 각각 결합고정하고, 상기 제1 클램프(B)의 나사축(40)을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개구부(14b)에 삽입하여, 경계석(2)을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프(B)에 의해 고정된 경계석(2)의 후방에 연결되는 경계석(2)의 전단에는 상기 제2 클램프(C)를 결합하고, 후방에는 상기 제1 클램프(B)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클램프(B)의 나사축(40)을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개구부(14b)에 삽입하면, 상기 제2 클램프(C)의 걸이부재(70)가 전방에 고정된 다른 경계석(2)의 후단부 상면에 걸려, 경계석(2)이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복수개의 경계석(2)을 상호 연결되도록 배치한 후, 상기 제1 클램프(B)의 나사축(40)을 회전시켜, 경계석(2)의 단부가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경계석(2)이 높이가 일정한 직선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경계석(2)의 설치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경계석(2)이 설치된 후,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사이에 상기 경계석(2)의 하단이 매입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 및 경화시키면, 콘크리트가 경화되어 완성된 기초(8)에 의해 경계석(2)의 하단이 지지되며,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거푸집(A)과 제1 및 제2 클램프(B,C)를 분리하여, 경계석(2)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계석 시공장치는 상기 거푸집(A)이,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판(11,12)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0)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상하측 지지판(14,15)에는 관통공(14a,15a)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에 배치한 후, 상기 고정부재(20)를 상기 관통공(14a,15a)을 통해 바닥면(1)에 박아서, 제1 및 제2 측판(11,12)이 바닥면(1)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거푸집(A)을 설치하는 것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거푸집(A)을 분리하면 기초(8)의 내부에 고정관체(6c)가 남게되는 종래의 경계석 시공장치와 달리, 거푸집(A) 전체를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전후단에 구비된 보강판(16)에서 일측의 보강판(16)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고정핀(16a)이 구비되고, 타측의 보강판(16)에는 상기 고정핀(16a)에 대응되도록 구성된 결합공(16b)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핀(16a)을 다른 제1 및 제2 측판(11,12)의 결합공(16b)에 끼워 복수개의 제1 및 제2 측판(11,12)을 상호 연결할 수 있음으로, 복수개의 제1 측판(11)과 제2 측판(12)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후방향에 위치된 제1 및 제2 측판(11,12)이 상호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거푸집(A)의 강도가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에는 높이조절나사(17)가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높이조절나사(17)의 하단부에는 지지부재(17a)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나사(17)를 회전시켜 승강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수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클램프(B)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하측면에 경계석(2)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결합된 나사축(40)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상측 지지판(14)에는 상기 나사축(40)이 통과하는 개구부(14b)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클램프(B)를 경계석(2)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나사축(40)을 상기 개구부(14b)로 삽입하여 나사축(40)이 상기 하측 지지판(15)의 상면에 지지되어 견고하게 지지될 뿐 아니라, 상기 나사축(40)을 회전시켜 상기 경계석(2)의 높이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클램프(C)는 하측면에 경계석(2)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50)와, 상기 지지대(50)의 일측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61)와 상기 수평연장부(61)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62)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50)의 하측면에 고정된 경계석(2)의 단부면에 걸리도록 된 이격부재(60)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클램프(C)를 경계석(2)에 결합하면, 상기 이격부재(60)의 수직연장부(62)가 경계석(2)의 단부에 위치되며, 여러개의 경계석(2)을 일렬로 연결할 때 상기 수직연장부(62)가 경계석(2)의 사이에 끼워져, 경계석(2)의 사이에 상기 수직연장부(62)의 두께만큼 경계석(2)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클램프(C)를 분리하였을 때 경계석(2) 사이에 적절한 폭의 틈이 형성되어, 기온변화에 의해 경계석(2)이 신축될 때 이러한 경계석(2)의 길이변화를 흡수함으로써, 경계석(2)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공된 경계석(2)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경계석(2)을 시공할 때, 경계석(2) 사이의 간격이 좁을 경우, 기온변화에 의해 팽창된 경계석(2)의 단부가 상호 과도하게 밀착되어 경계석(2)이 손상될 수 있으며, 경계석(2)이 과도하게 멀어질 경우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종래의 경계석 시공장치는 경계석(2) 사이의 간격이 불규칙하여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이격부재(60)의 수직연장부(62)에 의해 상기 경계석(2)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의 틈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 클램프(C)의 지지대(50)에는 상기 수평연장부(6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수평연장부(61)에 비해 길게 구성된 걸이부재(7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경계석(2)을 상호 연결할 때, 상기 걸이부재(70)가 다른 경계석(2)의 단부 상면에 걸리게 되어, 상호 연결되는 경계석(2)의 높이가 자동으로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측판(12) 상단에는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8)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8)의 하측면은 내측으로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된 기초(8)의 일측 상단 모서리부가 상기 돌출부(18)에 대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절취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기초(8)에 연결되도록 도로를 시공할 때, 도로의 아스팔트를 가압하는 진동로울러장치가 상기 기초(8)의 외측단에 간섭되어 기초(8)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나사축(40)은 상단부터 하단까지 나사산이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나사축(40)은 상단에만 나사산이 형성되고 하단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14b)는 상기 상측 지지판(14)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장공형태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4b)는 상기 상측 지지판(14)의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계석 시공장치는 가장 전방에 고정되는 경계석(2)은 전후단에 각각 제1 클램프(B)를 결합하여, 경계석(2)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가장 전방에 위치되는 경계석(2)은 특허등록 10-1378967호에 나타난 경계석 시공장치를 이용하여 시공하고,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를 후방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경계석 시공장치의 고정관체(6c)에는 경계석(2)을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6e)가 구비되며, 상기 받침대(6e)에는 상기 받침대(6e)와 측벽(6a)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간격조절핀(6f)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받침대(6e)의 상면에 경계석(2)을 올려놓은 후, 상기 측벽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경계석(2)을 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시공된 경계석(2)의 후단부에 상기 제2 클램프(C)의 걸이부재(70)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경계석(2)을 더욱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고정핀(16a)은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보강판(16)에는 상기 결합공(16b)에 대응되는 통공(16c)이 형성되며, 상기 통공(16c)에는 상기 고정핀(16a)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관체(16d)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체(16d)에는 디귿자형태의 유도공(16e)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16a)에는 상기 유도공(16e)을 관통하는 손잡이부재(16f)가 구비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유도공(16e)을 따라 상기 손잡이부재(16f)를 전후진시킴으로서, 상기 고정핀(16a)이 상기 통공(16c)을 통해 보강판(16)의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지지관체(16d)의 내부로 후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경계석 시공장치는 상기 고정핀(16a)이 보강판(16)의 전후방향으로 출몰될 수 있음으로, 상기 고정핀(16a)과 결합공(16b)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측판(11,12)이 상호 전후방향으로 연결되도록 고정한 상태에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핀(16a)을 후퇴시켜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여러개의 제1 및 제2 측판(11,12)을 일렬로 연결한 상태에서, 중간부에 위치된 제1 또는 제2 측판(11,12)중 1개만을 별도로 분리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전술한 제1 실시예의 경우, 상기 고정핀(16a)이 보강판(16)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중간부에 구비된 제1 또는 제2 측판(11,12)만을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 시공장치는 상기 고정핀(16a)이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어, 분리하고자 하는 제1 및 제2 측판(11,12)에 구비된 고정핀(16a)만을 선택적으로 후퇴시켜 1개의 제1 및 제2 측판(11,12)만을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거푸집 11,12. 제1 및 제2 측판
20. 고정부재 B. 제1 클램프
C. 제2 클램프

Claims (7)

  1. 바닥면(1)에 설치되고 상호 평행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1 및 제2 측판(11,12)과,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상기 바닥면(1)에 고정하는 고정부재(2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수직판(13)과, 상기 수직판(13)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되고 장공의 개구부(14b)가 마련된 상측 지지판(14)과, 상기 수직판(13)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하측 지지판(15)과, 상기 수직판(13)의 전후단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보강판(16)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측 지지판(14,15)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4a,15a)이 형성된 거푸집(A);
    상기 거푸집(A)에 의해 형성되는 기초(8)에 하단이 지지되는 경계석(2)의 일측부에 결합되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측면에 상기 경계석(2)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지지대(30)와, 상기 지지대(30)의 양단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나사 결합되어 회전시키면 상하방향으로 승강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상측 지지판(14)의 개구부(14b)를 관통하는 나사축(40)을 포함하는 제1 클램프(B);
    상기 거푸집(A)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기초(8)에 하단이 지지되는 상기 경계석(2)의 타측부에 결합되되, 하측면에 상기 경계석(2)을 고정할 수 있도록 된 지지대(50)와, 상기 지지대(50)의 일측으로 연장된 수평연장부(61)와 상기 수평연장부(61)의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수직연장부(62)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대(50)의 하측면에 고정된 경계석(2)의 단부면에 걸리도록 된 이격부재(60)와, 상기 지지대(50)에서 상기 수평연장부(61)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수평연장부(61)에 비해 길게 구성되어 다른 경계석(2)의 단부 상면에 걸리는 걸이부재(70)를 포함하는 제2 클램프(C); 및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나사결합되고,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하측으로 연장된 하단부에는 지지부재(17a)가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재(20)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바닥면(1)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나사작용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일측을 승강시켜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수평을 조절하는 높이조절나사(17);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부재(2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관통공(14a,15a)을 통과하여 바닥면(1)에 삽입고정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을 지지하고,
    상기 제2 측판(12) 상단에는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18)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8)의 하측면은 내측으로 상향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측판(11,12)의 사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된 기초(8)의 일측 상단 모서리부가 상기 돌출부(18)에 대응되는 형태로 경사지게 절취된 형태로 구성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대(30)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31)와, 상기 지지바(31)의 양단과 중간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제1 내지 제3 연장부(32,33,34)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바(31)의 하측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32,33) 사이에 수평을 이루도록 지지편(36)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32,33)는 상기 경계석(2)의 폭보다 넓게 구성되고 상기 제2 연장부(33)의 하단에는 단부가 상기 제1 연장부(32)를 향하도록 고정볼트(35)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장부(32,33)가 상기 경계석(2)의 상단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대(30)를 경계석(2)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지지편(36)이 경계석(2)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대(30)가 수직을 이루게 되며, 상기 고정볼트(35)를 조이면 상기 제1 연장부(32)와 상기 고정볼트(35)의 사이에 상기 경계석(2)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대(5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에는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51a)가 구비된 지지대본체(51)와, 상기 연장부(51a)에 구비되어 상기 연장부(51a)의 사이로 삽입된 상기 경계석(2)의 일측면을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볼트(52)를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재(70)는 중간부가 상기 지지대(50)의 하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용접결합되되, 상기 걸이부재(70)중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쪽의 단부는 상기 이격부재(60)의 수평연장부(61)에 비해 길게 구성되어 상기 이격부재(60)가 상기 경계석(2)의 전단부 상측 모퉁이 부분에 걸리도록 상기 지지대(50)를 경계석(2)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걸이부재(70)가 경계석(2)의 상면에 밀착되어 상기 지지대(50)가 수직을 이루게 되며, 상기 고정볼트(52)를 조이면 상기 지지대(50)의 하측에 경계석(2)이 고정되고,
    상기 보강판(16)에는 결합공(16b)에 대응되는 통공(16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16c)에는 상기 고정핀(16a)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관체(16d)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관체(16d)에는 디귿자형태의 유도공(16e)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핀(16a)에는 상기 유도공(16e)을 관통하는 손잡이부재(16f)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유도공(16e)을 따라 상기 손잡이부재(16f)를 전후진시킴으로서 상기 고정핀(16a)이 상기 통공(16c)을 통해 보강판(16)의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상기 지지관체(16d)의 내부로 후퇴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시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20140073781A 2014-06-17 2014-06-17 경계석 시공장치 KR101461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3781A KR101461084B1 (ko) 2014-06-17 2014-06-17 경계석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73781A KR101461084B1 (ko) 2014-06-17 2014-06-17 경계석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084B1 true KR101461084B1 (ko) 2014-11-13

Family

ID=5229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73781A KR101461084B1 (ko) 2014-06-17 2014-06-17 경계석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0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2866A (zh) * 2016-12-29 2017-05-24 秦皇岛润昌科技开发有限公司 市政道路园林建设用全自动路牙石铺设装置
KR102086287B1 (ko) * 2019-06-03 2020-03-06 정영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56B1 (ko) * 2006-09-27 2007-09-14 전형식 거푸집레일과 지그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및 방법
KR101158445B1 (ko) * 2011-12-07 2012-06-22 금명건설 주식회사 도로경계석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공법
KR101378967B1 (ko) * 2013-10-01 2014-03-27 신기식 경계석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356B1 (ko) * 2006-09-27 2007-09-14 전형식 거푸집레일과 지그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구조 및 방법
KR101158445B1 (ko) * 2011-12-07 2012-06-22 금명건설 주식회사 도로경계석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공법
KR101378967B1 (ko) * 2013-10-01 2014-03-27 신기식 경계석 시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2866A (zh) * 2016-12-29 2017-05-24 秦皇岛润昌科技开发有限公司 市政道路园林建设用全自动路牙石铺设装置
KR102086287B1 (ko) * 2019-06-03 2020-03-06 정영길 경계석의 일체화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395B1 (ko) 슬래브거푸집의 지지장치
US5156753A (en) Concrete curb form device
KR10217929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 장치 및 벽체의 제작 방법
KR101745242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1540406B1 (ko) 암거제작용 거푸집장치
KR100912231B1 (ko) 콘크리트 옹벽용 가변형 거푸집 지지장치
KR101776113B1 (ko) 슬래브 거푸집 시스템
KR100893765B1 (ko) 슬래브 거푸집의 지지구조
KR101461084B1 (ko) 경계석 시공장치
KR101849766B1 (ko) 유로폼을 이용한 거푸집 조립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주택의 콘크리트 줄기초 시공 방법
KR101679346B1 (ko) 슬라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가설 구조 및 방법
KR101756466B1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20090088104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KR101668521B1 (ko) 다층 건축물의 지하층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KR101090638B1 (ko) 거푸집 사이즈 가변 조절장치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KR102198889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KR101378967B1 (ko) 경계석 시공장치
KR200475868Y1 (ko) 경계석 시공 장치
US2658252A (en) Form for molding openings in concrete structures
KR101898158B1 (ko)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KR20180034009A (ko) 건축용 서포트 파이프
KR101875008B1 (ko) 핀 타입 서포트 높이조절 부재
US20060285922A1 (en) Expansion joint for concrete works
KR20180052268A (ko) 서포트 및 이를 이용한 거푸집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