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441A -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 Google Patents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441A
KR20180045441A KR1020160139556A KR20160139556A KR20180045441A KR 20180045441 A KR20180045441 A KR 20180045441A KR 1020160139556 A KR1020160139556 A KR 1020160139556A KR 20160139556 A KR20160139556 A KR 20160139556A KR 20180045441 A KR20180045441 A KR 201800454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ase
seating
fixed bas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6773B1 (ko
Inventor
김선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윈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윈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윈윈
Priority to KR1020160139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677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6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6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06Foundations for 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4Puzzle-like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경계석이 안착되어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틀베이스, 인접한 두 개의 고정틀베이스를 연결하되,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틀베이스는 상기 경계석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선을 따라 복수 개 배열하되,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고정틀베이스들이 상기 설치선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경용 경계석을 배치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원하는 환경을 조성함은 물론, 경계석의 하측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종래 보다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Possible angle adjustment boundary stone fixed support frame}
본 발명은 경계석 고정 받침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경용 경계석을 설치하되, 경계석의 하측을 지지함은 물론, 배치하고자 하는 경계석의 하측을 경고하게 지지하도록 상호 회전 가능하게 구성하여 수려한 조경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석은 차도, 인도, 가로수보호 또는 화단 사이의 구분을 위해 여러 형태의 모형에 따라 적용 설치되며, 재질 또한 콘크리트, 합성수지, 목재, 화강암 등 다양한 종류에 이른다.
특히, 조경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경계의 형상이 직선 또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종래 조경용 경계석은 등록번호 제10-0673390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보도블록의 선단에 설치되는 사다리꼴의 직육면체로 상면에서 하부로는 내측나사부를 갖는 식재공이 관통형성되어 지면과 접하는 경계석이 구비되어 고정부재에 의해 지면에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 조경용 경계석은 직육면체로 형성되어 주로 직선형의 경계선을 형성하며, 물론, 각이 형성되거나 굴곡이 형성된 경계선도 형성할 수 있지만, 경계석의 단부를 현장에서 가공해야 됨에 따라, 작업시간과 비용을 증가시켜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경계석이 고정부재에 의해 지면에 고정 설치됨에 따라, 지반이 침하되거나 충격이 가해질 경우, 기울어지거나 위치를 쉽게 이탈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경계석은 지상의 수분이 하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일시적 또는 꽤 오랜시간 물웅덩이를 형성하고, 이 물웅덩이의 물이 지중으로 서서히 스며들어 지지력이 저하됨에 따라, 경계석이 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경계석을 견고하게 지지함은 물론, 경계석을 다양한 형상으로 굴곡지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수려한 조경 환경을 형성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계석이 안착되어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틀베이스, 인접한 두 개의 고정틀베이스를 연결하되,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틀베이스는 상기 경계석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선을 따라 복수 개 배열하되,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고정틀베이스들이 상기 설치선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어 원하는 조경환경을 조성함은 물론, 경계석의 하측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종래 보다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경계석이 안착되어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틀베이스, 인접한 두 개의 고정틀베이스를 연결하되,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틀베이스는 상기 경계석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선을 따라 복수 개 배열하되,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고정틀베이스들이 상기 설치선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틀베이스는, 경계석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지면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베이스블럭, 및 상기 경계석이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블럭에 구비되는 경계석안착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경계석안착부는, 상기 경계석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단부에 함몰 형성된 안착홈이다.
또한, 상기 경계석안착부는, 상기 경계석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안착턱이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블럭은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경계석안착부는 상기 베이스블럭의 타설 시, 함께 제작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틀베이스는, 상측이나 지면에 위치한 수분이 지중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수구,가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배수구의 상단부는 수분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해당 배수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틀베이스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앵커,가 더 포함되고, 상기 고정앵커는 상기 배수구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고정틀베이스의 일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조절돌기부, 및 상기 고정틀베이스의 타단부에 함몰형성되는 조절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틀베이스 중 어느 하나의 조절돌기부는 상기 고정틀베이스 중 다른 하나의 조절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연결된 고정틀베이스의 각도를 조절한다.
또한, 상기 조절돌기부는 원형으로 상기 고정틀베이스의 일단부에서 일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조절홈은 상기 조절돌기부의 원형 중 중심축 이상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틀베이스의 일단부는 상기 조절돌기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타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틀베이스의 하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배수를 위한 암거패드;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암거패드는, 돌출된 복수의 배수부를 갖는 제1패드, 상기 제1패드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패드, 및 상기 제1패드와 제2패드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탈부착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패드는, 제1패드판, 내부에 각 배수공간부를 갖고, 상기 제1패드판을 따라 복수 개 돌출 형성된 배수부, 상기 각 배수부의 저면에 형성된 하단배수공, 및 상기 제1패드판에 형성된 복수의 상단배수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패드는, 제2패드판, 및 상기 제2패드판에 복수 개 형성되는 제1배수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배수공간부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제1패드의 각 배수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패드판에 형성되는 탈부착공, 및 상기 배수부의 하단부 외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해당 탈부착공을 통과하여 걸려짐에 따라, 제1패드와 제2패드를 탈부착시키는 탈부착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탈부착돌기와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배수부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제2탈부착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2탈부착돌기는 상기 탈부착돌기가 통과된 탈부착공의 가장자리가 상기 배수부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그리고 상기 탈부착공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절개홈이 더 형성되어 결합된 상기 배수부가 하측으로 눌러질 경우, 탄성적으로 대응된다.
또한, 상기 암거패드는 복수 개 배열되되, 인접한 두 개의 암거패드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이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수단은, 어느 하나의 암거패드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공, 및 상기 연결공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다른 하나의 암거패드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돌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수단은, 어느 하나의 암거패드 단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연결홈, 및 상기 연결홈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다른 하나의 암거패드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홈의 형성 깊이는 해당 암거패드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편은 연결홈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에 의하면, 조경용 경계석을 배치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어 원하는 환경을 조성함은 물론, 경계석의 하측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종래 보다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안착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안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에 표시부가 더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틀 하측에 설치되는 암거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암거패드의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안착부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안착부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각도조절부에 표시부가 더 포함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틀 하측에 설치되는 암거패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암거패드의 확대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500)은 고정틀베이스(510)와 각도조절부(520)로 구성된다.
고정틀베이스(510)는 경계석(1)이 안착되어 하측을 지지하기 위해 구비되고, 각도조절부(520)는 인접한 두 개의 고정틀베이스(510)를 연결하되,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한다.
이러한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5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고정틀베이스(510)는 경계석(1)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선을 따라 복수 개 배열하되, 각도조절부(520)에 의해 고정틀베이스(510)들이 설치선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한, 고정틀베이스(510)는 베이스블럭(512)과 경계석안착부(514)로 구성된다.
베이스블럭(512)은 경계석(1)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지면 또는 지중에 설치되고, 경계석안착부(514)는 경계석(1)이 안착되도록 베이스블럭(512)에 구비된다.
경계석안착부(514)는 일 실시 예로,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경계석(1)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부(514a)를 형성하도록 베이스블럭(512)의 상단부에 함몰 형성된 안착홈(514b)이다.
이 안착홈(514b)은 베이스블럭(512)의 상면보다 하측에 위치되도록 함몰되어 경계석(1)이 안착됨에 따라, 경계석(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계석(1)은 몇 개의 사이즈로 규격화되어 제작되며, 이러한 각 사이즈의 경계석(1)을 안착하기 위해, 안착홈(514b)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해당 경계석을 안착시킬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경계석안착부(514')는 경계석(1)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부(514a')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안착턱(514b')이 돌출형성된다.
이 안착턱(514b')은 베이스블럭(51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안착공간부(514a')에 안착된 경계석(1)의 양측을 안착시킨다.
이러한 다른 실시 예의 경계석안착부(514') 역시, 안착공간부(514a')의 저면이 다단으로 형성되어 각 사이즈의 경계석(1)에 대응되는 단에 안착시킬 수 있어 호환성이 향상된다.
여기서, 안착턱(514b')은 일 실시 예의 경계석안착부(514)에 형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안착턱(514b')이 안착홈(514b)의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베이스블럭(512)은 수지재질로 제작되며, PE나 PP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베이스블럭(512)의 제작 시, 각 실시 예의 경계석안착부(514, 514')는 베이스블럭(512)와 함께 사출성형되어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베이스블럭(512)은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각 실시 예의 경계석안착부(514, 514')는 베이스블럭(512)의 타설 시, 함께 제작되어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틀베이스(510)는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수지재질로 제작된 후, 내부의 공간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충진되거나 콘크리트로 기본 형상이 타설된 후, 외측을 수지재질로 코팅할 수도 있다.
물론, 각 실시 예의 경계석안착부(514, 514')는 베이스블럭(512) 제작 후, 형성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그리고 고정틀베이스(510)는 상측이나 지면에 위치한 수분이 지중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수구(530)가 복수 개 형성된다.
이 각 배수구(53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수분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해당 배수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고정 받침틀(500) 상측에 위치된 수분이 각 배수구(530)를 통해 용이하게 배수됨에 따라, 경계석(1) 주변에 물이 고이거나 웅덩이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틀베이스(510)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앵커(540)가 더 포함된다.
이 고정앵커(540)는 배수구(530)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설치된다.
이에, 고정틀베이스(510)를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경계석(1)의 지지력도 향상된다.
그리고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520)는 조절돌기부(522)와 조절홈(524)으로 구성된다.
조절돌기부(522)는 고정틀베이스(510)의 일단부에 돌출형성되고, 조절홈(524)은 고정틀베이스(510)의 타단부에 함몰형성된다.
이러한 각도조절부(520)에 의하면, 고정틀베이스(510) 중 어느 하나의 조절돌기부(522)는 고정틀베이스(510) 중 다른 하나의 조절홈(524)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연결된 고정틀베이스(510)의 각도를 조절한다.
이에, 복수의 고정틀베이스(510)를 설치선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이 조절돌기부(522)는 원형으로 고정틀베이스(510)의 일단부에서 일정길이 돌출되고, 조절홈(524)은 조절돌기부(522)의 원형 중 중심축 이상 감싸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틀베이스(510)의 일단부는 조절돌기부(522)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갈수록 타단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각도조절부(520)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고정틀베이스(510)가 회전되더라도 고정틀베이스(510)의 일단부가 연결된 다른 고정틀베이스의 타단부와 닿아 회전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필요한 각도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520)는 인접한 다른 고정틀베이스(510)와의 각도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부(600)가 더 포함된다.
이 표시부(600)는 화살표(610)와 눈금(620)으로 구성된다.
화살표(610)는 조절돌기부(522)와 조절홈(524)의 주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눈금(620)은 화살표(610)에 대응되도록 조절돌기부(522)와 조절홈(524)의 주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다.
이에, 인접한 두 개의 고정 받침틀(500)의 상호 각도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각도조절부(520)는 인접한 다른 고정틀베이스(510)와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는 각도유지부(630)가 더 구비된다.
이 각도유지부(630)는 유지돌기(632)와 유지홈(634)으로 구성된다.
유지돌기(632)는 조절돌기부(522)의 외주와 조절홈(524)의 내주 중 어느 하나에 돌출형성되고, 유지홈(634)은 유지돌기(632)에 대응되도록 조절돌기부(522)의 외주와 조절홈(524)의 내주 중 다른 하나에 돌출형성된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틀베이스(510)의 하측을 지지함과 동시에 배수를 위한 암거패드(10)가 더 포함된다.
암거패드(10)는 제1패드(100)와 제2패드(200) 및 탈부착수단(300)을 포함한다.
제1패드(100)는 돌출된 복수의 배수부(120)를 갖고, 제2패드(200)는 제1패드(100)의 하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탈부착수단(300)은 제1패드(100)와 제2패드(200)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복합 암거패드(10)는 지중에 복수 개 배열되는 것으로, 탈부착수단(300)에 의해 제1패드(100)와 제2패드(200)가 결합된 상태로 지중에 설치되거나 제1패드(100)와 제2패드(200)가 어느 하나만 지중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한, 제1패드(10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패드판(110)과 배수부(120), 하단배수공(130) 및 상단배수공(140)을 포함한다.
제1패드판(110)은 일정 두께를 갖는다.
또한 배수부(120)는 내부에 각 배수공간부(122)를 갖고, 제1패드판(110)을 따라 복수 개 돌출 형성된다.
하단배수공(130)은 각 배수부(120)의 저면에 형성되고, 상단배수공(140)은 제1패드판(110)에 복수 개 형성된다.
그리고 제2패드(200)는 제2패드판(210)과 제1배수공(220)을 포함한다.
제2패드판(210)은 일정 두께를 갖고, 제1배수공(220)은 제2패드(200)에 복수 개 형성된다.
이러한 배수부(120)는 배수공간부(122)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제1패드(100)는 일 실시 예로, 배수의 기능을 갖는 배수패드 또는 배수판이고, 제2패드(200)는 일정 강도를 갖는 잔디보호매트 기능을 갖는다.
이 제2패드(200)는 제1패드(100)의 하단부를 지지함에 따라, 복합 암거패드(10)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탈부착수단(300)은 탈부착공(310)과 탈부착돌기(320)를 포함한다.
탈부착공(310)은 제1패드(100)의 각 배수부(120)에 대응되도록 제2패드판(210)에 형성된다.
또한 탈부착돌기(320)는 배수부(120)의 하단부 외측에 돌출형성되어 해당 탈부착공(310)을 통과하여 걸려짐에 따라, 제1패드(100)와 제2패드(200)를 탈부착시킨다.
여기서, 탈부착돌기(320)와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수부(120) 외측에 돌출형성되는 제2탈부착돌기(330)가 더 형성된다.
이 제2탈부착돌기(330)는 탈부착돌기(320)가 통과된 탈부착공(310)의 가장자리가 배수부(120)의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그리고 탈부착공(31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절개홈(340)이 더 형성되어 결합된 배수부(120)가 하측으로 눌러질 경우, 이 절개홈(340)이 탄성적으로 대응하여 암거패드(10)의 전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암거패드(10)는 복수 개 배열되되, 인접한 두 개의 암거패드를 상호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수단(400)이 더 포함된다.
이 연결수단(400)은 연결공(410)과 연결돌기(420)로 구성된다.
연결공(410)은 어느 하나의 암거패드(10) 단부에 복수 개 형성되고, 연결돌기(420)는 각 연결공(410)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다른 하나의 암거패드(10') 단부에 형성된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연결수단(400')은 연결홈(410')과 연결편(420')으로 구성된다.
연결홈(410')은 어느 하나의 암거패드(10) 단부에 복수 개 형성되고, 연결편(420')은 연결홈(410')에 대응되도록 인접한 다른 하나의 암거패드(10') 단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홈(410')의 형성 깊이는 해당 암거패드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고, 연결편(420')은 연결홈(410')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된다.
이렇게 결합된 연결홈(410')과 연결편(420')에는 관통공(430')이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각 관통공(432', 434')는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고정핀(440')이 관통설치되어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각 실시 예의 연결수단(400, 400')은 제1패드(100)와 제2패드(20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조경용 경계석은 한 면의 폭이 100mm, 120mm, 150mm로 규격화되어 있어 도로용 경계석보다 작은 사이즈로 제작되며, 종래의 콘크리트 기초를 대신하여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500)에 의해 다양한 굴곡으로 경계석을 설치할 수 있다.
특히,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500)은 인공지반인 옥상 등에도 종래 콘크리트 타설을 생략하여 시공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절감시키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500 : 고정 받침틀 510 : 고정틀베이스
512 : 베이스블럭 514 : 경계석안착부
520 : 각도조절부 522 : 조절돌기부
524 : 조절홈 530 : 배수구
540 : 고정앵커

Claims (10)

  1. 경계석이 안착되어 하측을 지지하기 위한 고정틀베이스;
    인접한 두 개의 고정틀베이스를 연결하되, 상호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틀베이스는 상기 경계석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선을 따라 복수 개 배열하되, 상기 각도조절부에 의해 고정틀베이스들이 상기 설치선에 대응되도록 용이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베이스는,
    경계석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지면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베이스블럭; 및
    상기 경계석이 안착되도록 상기 베이스블럭에 구비되는 경계석안착부;를 포함하는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안착부는,
    상기 경계석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블럭의 상단부에 함몰 형성된 안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안착부는,
    상기 경계석이 안착되기 위한 안착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의 안착턱이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블럭은 콘크리트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경계석안착부는 상기 베이스블럭의 타설 시, 함께 제작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베이스는,
    상측이나 지면에 위치한 수분이 지중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배수구;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배수구의 상단부는 수분이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해당 배수구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틀베이스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앵커;가 더 포함되고,
    상기 고정앵커는 상기 배수구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고정틀베이스의 일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조절돌기부; 및
    상기 고정틀베이스의 타단부에 함몰형성되는 조절홈;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틀베이스 중 어느 하나의 조절돌기부는 상기 고정틀베이스 중 다른 하나의 조절홈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연결된 고정틀베이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돌기부는 원형으로 상기 고정틀베이스의 일단부에서 일정길이 돌출되고,
    상기 조절홈은 상기 조절돌기부의 원형 중 중심축 이상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KR1020160139556A 2016-10-25 2016-10-25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KR101926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556A KR101926773B1 (ko) 2016-10-25 2016-10-25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556A KR101926773B1 (ko) 2016-10-25 2016-10-25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41A true KR20180045441A (ko) 2018-05-04
KR101926773B1 KR101926773B1 (ko) 2018-12-07

Family

ID=62199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556A KR101926773B1 (ko) 2016-10-25 2016-10-25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67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192A (ko) * 2019-04-11 2020-10-21 김동진 고정력이 향상된 다기능 조립식 경계석 받침틀
KR20230049917A (ko) * 2021-10-07 2023-04-14 (주)신화 회전형 데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591B1 (ko) 2019-10-10 2020-03-09 주식회사 이랩 힌지 연결 반원형 단부를 갖는 힌지블록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7388Y1 (ko) * 2005-03-23 2005-06-20 명인건설 주식회사 세그먼트식 도로경계구조물
KR100592346B1 (ko) * 2005-10-24 2006-06-22 씨엠엔지니어링(주) 비탈면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192A (ko) * 2019-04-11 2020-10-21 김동진 고정력이 향상된 다기능 조립식 경계석 받침틀
KR20230049917A (ko) * 2021-10-07 2023-04-14 (주)신화 회전형 데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6773B1 (ko) 2018-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6773B1 (ko) 각도조절 가능한 경계석 고정 받침틀
CA2048607A1 (en) Apparatus for forming a trench
PT1782721E (pt) Elemento base de chuveiro com uma caleira de escoamento
CA20486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rench
KR101819533B1 (ko) 데크로드 또는 휀스용 지주대의 지중매립식 기초구조체
US20120199721A1 (en) Landscaping wall structure and form
KR20090088106A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되는 고정수단
JP2023072625A (ja) 路面成型補助部材、及び、路面成型方法
EP0726361B1 (en) Method of forming pavement on automobile test road and pavement member for automobile test road
JP2023072118A (ja) 路面成型補助部材、及び、路面成型方法
JP2007107234A (ja) 排水用側溝装置
KR101032138B1 (ko) 도로 경계석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29358B1 (ko) 고정력이 향상된 다기능 조립식 경계석 받침틀
KR200468906Y1 (ko) 기초볼트 높낮이 조절용 기초블록 설치대
KR100953962B1 (ko) 경계석 부양 시공장치
KR101208411B1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JP3837052B2 (ja) パッキング材及び床下換気構造の構築方法
JPH0739986Y2 (ja) 排水路
KR101978908B1 (ko) 경사 조절 구조를 갖는 배수용 수로관
JP6982356B1 (ja) 路面成型補助部材、及び、路面の成型方法
KR100970779B1 (ko)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
JP2011073150A (ja) 保水ブロックおよび保水ブロック製造装置
JP2673115B2 (ja) マンホール底版及び該底版の設置方法
KR200405459Y1 (ko) 면귀 이동식 철재 거푸집
JP5317514B2 (ja) ます蓋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