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779B1 -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 - Google Patents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779B1
KR100970779B1 KR1020080062841A KR20080062841A KR100970779B1 KR 100970779 B1 KR100970779 B1 KR 100970779B1 KR 1020080062841 A KR1020080062841 A KR 1020080062841A KR 20080062841 A KR20080062841 A KR 20080062841A KR 100970779 B1 KR100970779 B1 KR 100970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planting
pedestal
plate
fit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2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2807A (ko
Inventor
황주연
Original Assignee
(주) 부경종합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부경종합기술단 filed Critical (주) 부경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080062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7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2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2Apparatus for laying individual preformed surfacing elements, e.g. kerb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석에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식재형 경계석의 살두께폭이 끼워질 경계석끼움부를 형성하고, 경계석끼움부의 하부에는 모래 위에 얹혀지는 하부바닥판이 넓게 형성되고 내측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며, 받침대의 후방에는 인접한 받침대의 사이에 차단판을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식재형 경계석을 설치할 때 지면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모래위에 식재형 경계석을 설치할 수 있게 하되, 경계석끼움부에 의해 받침대가 식재형 경계석의 하부에 간편하게 끼워져서 식재형 경계석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하고, 마감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받침대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식재형 경계석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며, 인접한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판에 의해 마감콘크리트가 식재공간의 하측으로 유입되지 않아서 식재공간의 깊이가 깊어져 화초의 뿌리가 깊게 활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공간(3)을 형성한 식재형 경계석(1)의 하부를 받쳐주는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는 상부에 식재형 경계석(1)의 살두께폭(2)이 끼워지는 경계석끼움부(5)가 좌우 길이방향으로 수평 형성되고, 이 경계석끼움부(5)의 하부에는 하부바닥판(7)이 경계석끼움부(5) 보다 넓으며 내측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공간부가 형성되는 받침대부(10)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대부(10)는 경계석끼움부(5)의 하방에 "ㄴ"자형으로 수직판 부(6)와 하부바닥판(7)이 형성되고, 하부바닥판(7)의 전방측 선단부와 경계석끼움부(5)의 전방측 선단부 사이에는 콘크리트유입구멍(9)을 형성한 경사지지판(8)이 경사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며, 수직판부(6)의 후방 상측에는 차단판끼움부(11)가 형성되고, 인접한 받침대(4)의 차단판끼움부(11)에는 차단판(12)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계석, 받침대, 경계석끼움부, 하부바닥판, 콘크리트, 식재형 경계석, 식재공간, 차단판, 화초, 뿌리, 수직지지판

Description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Support for planting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경계석에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에 식재형 경계석의 살두께폭이 끼워질 경계석끼움부를 형성하고, 경계석끼움부의 하부에는 모래 위에 얹혀지는 하부바닥판이 넓게 형성되고 내측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며, 받침대의 후방에는 인접한 받침대의 사이에 차단판을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식재형 경계석을 설치할 때 지면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모래위에 식재형 경계석을 설치할 수 있게 하되, 경계석끼움부에 의해 받침대가 식재형 경계석의 하부에 간편하게 끼워져서 식재형 경계석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하고, 마감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받침대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식재형 경계석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며, 인접한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판에 의해 마감콘크리트가 식재공간의 하측으로 유입되지 않아서 식재공간의 깊이가 깊어져 화초의 뿌리가 깊게 활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건의 출원인은 경계석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대에 대하여 특허를 선출원한 바가 있는데,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2008-30803호(받침대를 이용하여 설치되 는 도로경계석)의 도 9의 (가)(나)에는 식재공간을 구비한 경계석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대에 대한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선출원 건에 포함된 식재형 받침대를 받쳐주는 받침대는 식재공간을 구비한 경계석의 전후방 살두께부분의 하부를 끼울 수 있게 전후방으로 분리 형성되었으며, 이는 경계석의 전후방 살두께 하부가 끼워질 끼움홈을 형성하고 하부는 외측으로 돌출된 광폭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받침대는 전방에 하향 경사진 경사부를 형성하고 경사부 상측에 끼움홈을 형성한 것으로서, 내부가 꽉 찬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속이 꽉 찬 블록 형태의 받침대를 제작하는데 재료비용이 상승되고, 받침대의 무게가 무거워지는 문제가 있데, 상기 받침대의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재료비용과 무게가 무거워지는 상승폭이 크지 않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식재형 경계석을 모래위에 설치할 경우에는 받침대의 높이를 10~20㎝ 정도로 높게 설치해야 하는데, 이렇게 받침대의 높이를 높게 설치하는 경우에 속이 꽉 찬 블록 형태로 받침대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재료비용이 과다하게 상승되는 문제와, 재료가 과다하게 소요됨에 따라 받침대의 무게가 무거워져서 작업성이 좋지 못한 문제를 아울러 지니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선출원 건에서 식재형 경계석의 하부에 받침대를 받쳐두게 설치할 때, 식재형 경계석의 전후방 하부에 2개씩의 받침대를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인접하게 설치되는 받침대의 사이에 받침대의 높이만큼에 해당하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된다.
이렇게 4개의 받침대로 식재형 경계석을 받쳐지게 설치한 뒤에 받침대의 상부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게 마감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 마감콘크리트가 상기 받침대 사이의 공간부로 흘러들어가서 화초가 심어질 식재공간의 하측을 메우게 된다.
상기와 같이 되어 식재공간의 하측이 마감콘크리트에 의해 메워짐에 따라 화초의 뿌리가 활착할 공간이 축소되고, 단단하게 굳어진 콘크리트부분으로 뿌리를 내지 못하여 화초가 성장하는데 큰 지장을 주는 문제를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에 식재형 경계석의 살두께폭이 끼워질 경계석끼움부를 형성하고, 경계석끼움부의 하부에는 모래 위에 얹혀지는 하부바닥판이 넓게 형성되고 내측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며, 받침대의 후방에는 인접한 받침대의 사이에 차단판을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식재형 경계석을 설치할 때 지면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모래위에 식재형 경계석을 설치할 수 있게 하되, 경계석끼움부에 의해 받침대가 식재형 경계석의 하부에 간편하게 끼워져서 식재형 경계석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하고, 마감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받침대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식재형 경계석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며, 인접한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판에 의해 마감콘크리트가 식재공간의 하측으로 유입되지 않아서 식재공간의 깊이가 깊어져 화초의 뿌리가 깊게 활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공간을 형성한 식재형 경계석의 하부를 받쳐주는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상부에 식재형 경계석의 살두께폭이 끼워지는 경계석끼움부가 좌우 길이방향으로 수평 형성되고, 이 경계석끼움부의 하부에는 하부바닥판이 경계석끼움부 보다 넓으며 내측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공간부가 형성되는 받침대부를 형성하되, 상기 받침대부는 경계석끼움부의 하방에 "ㄴ"자형으로 수직판부와 하부바 닥판이 형성되고, 하부바닥판의 전방측 선단부와 경계석끼움부의 전방측 선단부 사이에는 콘크리트유입구멍을 형성한 경사지지판이 경사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며, 수직판부의 후방 상측에는 차단판끼움부가 형성되고, 인접한 받침대의 차단판끼움부에는 차단판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는, 상부에 식재형 경계석의 살두께폭이 끼워질 경계석끼움부를 형성하고, 경계석끼움부의 하부에는 모래 위에 얹혀지는 하부바닥판이 넓게 형성되고 내측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하며, 받침대의 후방에는 인접한 받침대의 사이에 차단판을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식재형 경계석을 설치할 때 지면에 기초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고 모래위에 식재형 경계석을 설치할 수 있게 하되, 경계석끼움부에 의해 받침대가 식재형 경계석의 하부에 간편하여 끼워져서 식재형 경계석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게 하는 효과와, 마감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받침대의 내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어 식재형 경계석이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인접한 받침대 사이에 설치되는 차단판에 의해 마감콘크리트가 식재공간의 하측으로 유입되지 않아서 식재공간의 깊이가 깊어져 화초의 뿌리가 깊게 활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얇은 판재로서 속이 빈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식재형 경계석을 10~20㎝의 높이로 받침에도 불구하고 재료비가 적게 들고 무게가 가벼워서 경제성과 작업성에서 유익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내부에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공간(3)을 형성한 식재형 경계석(1)의 하부를 받쳐주는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에 관한 것로서, 상기 식재형 경계석(1)은 내측에 식재공간(3)이 구비되어 식재형 경계석(1)에 형성되는 살두께폭(2)은 8㎝가 되도록 본 출원인은 제작하는데, 꼭 살두께폭(2)을 8㎝로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받침대(4)는 상부에 식재형 경계석(1)의 살두께폭(2)이 끼워지는 경계석끼움부(5)가 좌우 길이방향으로 수평 형성되고, 이 경계석끼움부(5)의 하부에는 하부바닥판(7)이 경계석끼움부(5) 보다 대폭 넓으며 내측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공간부가 형성되는 받침대부(10)가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부(10)는 경계석끼움부(5)의 하방에 "ㄴ"자형으로 수직판부(6)와 하부바닥판(7)가 형성되고, 하부바닥판(7)의 전방측 선단부와 경계석끼움부(5)의 전방측 선단부 사이에는 콘크리트유입구멍(9)을 형성한 경사지지판(8)이 경사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며, 수직판부(6)의 후방 상측에는 차단판끼움부(11)가 하향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인접한 받침대(4)의 차단판끼움부(11)에는 식재공간(3)의 하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12)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하는데, 상기 차단판끼움부(11)로는 2~3㎜ 두께의 합판을 포함한 얇은 판재(이하, 합판이라 칭함)를 끼우는 것이다.
상기 차단판끼움부(11)로 얇은 합판을 끼웠을 때, 차단판끼움부(11)가 합판의 상측을 탄력적으로 조여서 받침대(4)를 들어 올렸을 때 합판이 차단판끼움부(11)에서 빠지지 않을 정도는 되어야 하며, 위의 합판의 두께는 반드시 2~3㎜의 두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출원인은 받침대(4)를 제작하는데 있어서 하부바닥판(7)의 크기를 가로 20㎝, 세로 20㎝로 제작하며, 수직판부(6)의 높이를 16㎝, 경계석끼움부(5)의 내부폭을 8㎝로 제작하며, 재질은 재생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나무판이나 철판으로 제작할 수 있고, 위의 각부의 크기는 위에 명시한 칫수로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다음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설명으로서,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일실시예는 받침대(4)의 전방측에 경사지지판(8)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의 경사지지판에 대응하는 부분이 삭제되어 개방되고 경계석끼움부(5) 하측에 받침대(4)를 보강하는 수직지지판(16)을 삽입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다른 점이다.
즉, 이실시예의 받침대(4)는 상부에 식재형 경계석(1)의 살두께폭(2)이 끼워지는 경계석끼움부(5)가 좌우 길이방향으로 수평 형성되고, 이 경계석끼움부(5)의 하부에는 수직판부(6)와 하부바닥판(7)가 "ㄴ"자형으로 형성하되, 하부바닥판(7)이 경계석끼움부(5) 보다 넓게 형성되며 경사부측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경계석끼움부(5)의 저면에 삽입안내돌기(13)와, 하부바닥판(7)의 전방측 선단부에 경사지지홈(14)이 좌우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되며, 경계석끼움부(5) 하측과 수직판부(6)와 하부바닥판(7) 사이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상측에 삽입안내돌기(13)에 삽입 안내되는 삽입홈(15)이 형성되고 하측 선단부가 경사지지홈(14)에 끼워져 지지되는 수개의 수직지지판(16)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4)의 폭을 20㎝ 내외의 크기로 제작함에 따라 받침대(4)의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수직지지판(16)은 식재형 경계석(1)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2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직판부(6)의 후방 상측에는 차단판끼움부(11)가 하향 형성되고, 인접한 받침대(4)의 차단판끼움부(11)에는 식재공간(3)의 하부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12)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받침대(4)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에와 같이 지면(17)을 소정의 깊이와 폭으로 파낸 뒤에 그 홈에 기초모래(18)를 평탄하게 포설 설치해야 하는데, 기초모래(18)를 포설하는 높이는 식재형 경계석(1)을 설치해야 하는 높이를 감안하여 기초모래(18)를 평탄하게 포설한다.
그 다음에 크레인으로 식재형 경계석(1)을 들어 올린 상태에서 받침대(4)의 경계석끼움부(5)를 식재형 경계석(1)의 살두께폭(2)에 끼우는데, 경계석끼움부(5)는 살두께폭(2)을 탄력적으로 물어 줄 수 있는 폭과 자체탄력을 지닌 재료로 형성하여서 경계석끼움부(5)의 양측 날개 부분이 하부측 살두께폭(2)을 물은 상태로 받침대(4)가 설치된 상태가 된다.
이때, 식재형 경계석(1)의 길이를 1미터 내외의 크기로 제작함에 따라 식재형 경계석(1)의 전후방 하부에 2개씩 4개의 받침대(4)를 설치하며, 전방측에 설치된 인접한 받침대(4) 후방의 차단판끼움부(11)에 차단판(12)을 끼우고, 후방측에 설치된 인접한 받침대(4)의 차단판끼움부(11)에도 차단판(12)을 끼운다.
받침대(4)에 차단판(12)를 설치할 때, 위의 설명과 같이 크레인으로 들어 올린 식재형 경계석(1)의 살두께폭(2)에 경계석끼움부(5)를 끼워서 한 쌍의 받침대(4)를 식재형 경계석(1)의 하부에 끼워 둔 상태에서 인접한 받침대(4)의 차단판끼움부(11)에 차단판(12)을 끼우거나, 다른 방식으로 받침대(4)를 식재형 경계석(1)에 끼우지 않은 상태에서 도 1과 같이 2개의 받침대(4)를 식재형 경계석(1)의 길이를 감안한 폭 만큼 간격을 두고 끼울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차단판끼움부(11)는 자체탄력을 가지도록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서 소정의 각도만큼 절곡시킨 형태로 형성되어서 차단판끼움부(11)로 얇은 판재로 된 차단판(12)을 끼웠을때, 차단판끼움부(11)가 합판의 상측을 탄력적으로 조여서 차단판끼움부(11)에 물린 차단판(12)이 빠지지 않게 하는 것이며, 이 차단판끼움부(11)의 탄력은 차단판(12)이 끼워진 받침대(4)를 들어 올렸을 때 합판이 차단 판끼움부(11)에서 빠지지 않을 정도는 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판(12)의 길이는 식재형 경계석(1)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형성하여 추후에 식재형 경계석(1)과 받침대(4)와 차단판(12)을 모두 설치하고 난 뒤에 인접하게 설치되는 차단판(12)의 사이에 틈새가 없어서 콘크리트가 식재공간(3)의 안쪽으로 흘러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식재형 경계석(1) 하부의 전후방측에 2개씩의 받침대(4)가 끼움식으로 설치되고, 전후방측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각각의 받침대(4)에 차단판(12)이 끼워진 상태에서 크레인으로 들어올린 식재형 경계석(1)을 기초모래(18)의 위에 내려 놓으면, 받침대(4)의 하부 바닥면에 위치하고 있는 하부바닥판(7)이 넓음에 따라 모래에 하부바닥판(7)이 박히지 않고 평평하게 올려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전후방측의 인접한 받침대(4)의 사이에 차단판(12)이 설치되어 있음에 따라 차단판(12)을 경계로 하여 차단판(12)의 안쪽은 식재공간(3)의 직하방이 되어 화초(21)를 심을 화분흙(20)이 투입될 공간이 되고, 차단판(12)의 외측에는 받침대(4)를 고정시킬 마감콘크리트(19)가 채워질 공간이 된다.
이 상태에서 차단판(12)의 외측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받침대(4) 사이의 개방된 공간과 받침대(4) 전면의 경사지지판(8)에 형성된 콘크리트유입구멍(9)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면서 도 3과 같이 받침대(4)와 식재형 경계석(1)의 하부가 마감콘크리트(19)에 묻히게 되고, 그 마감콘크리트(19)가 굳어지면 견고하게 식재형 경계석(1)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마감콘크리트(19)를 타설할 때 차단판(12)이 식재공간(3)의 하 부측을 막고 있음에 따라 차단판(12)의 안쪽에는 화분흙(20)을 투입할 공간이 깊게 확보되어 그 공간으로 화분흙(20)을 담고 화초(21)를 심을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차단판(12)에 의해 화초(21)가 심어지는 식재공간(3)의 하부에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음에 따라 화분흙(20)이 채워지는 공간이 깊어지고, 그 하부층에는 기초모래(18)가 층을 이루고 있으며, 그 하부에는 지면(17)이 자리 잡고 있음에 따라 화초(21)의 뿌리가 기초모래(18)을 거쳐 지면(17)에 까지 뻗어 내려갈 수 있게 되어 화초를 건강하게 생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이실시예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실시예의 경우도 일실시예와 전체적으로 유사하나,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의 경사지지판에 대응하는 부분이 삭제되어 개방되고 경계석끼움부(5) 하측에 받침대(4)를 보강하는 수직지지판(16)을 삽입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다르므로 달라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실시예는 일실시예의 경사지지판에 대응하는 부분이 삭제되어 개방됨에 따라 마감콘크리트(19)를 타설할때, 콘크리트가 즉각적으로 받침대(4)의 내부공간으로 흘러들어가게 되고, 받침대(4)의 내측에 수직으로 받쳐지게 설치된 수직지지판(16)은 식재형 경계석(1)을 설치하고 마감콘크리트(19)를 타설하기 전까지 받침대(4)가 식재형 경계석(1)의 무게에 의해 받침대(4)가 주저 않지 않도록 지탱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수직지지판(16)을 받침대(4)의 내측에 수직으로 설치하는 작업은 수직지지판(16)의 삽입홈(15)으로 경계석끼움부(5) 하측의 삽입안내돌기(13)가 삽입시 키면서 수직지지판(16)의 선단부 하측을 하부바닥판(7)의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지지홈(14)으로 끼우며 수직지지판(16)을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수직지지판(16)은 받침대(4)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도 5와 같이 받침대(4)의 내측에 수직하게 설치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이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식재형 경계석 2 : 살두께폭 3 : 식재공간
4 : 받침대 5 : 경계석끼움부 6 : 수직판부
7 : 하부바닥판 8 : 경사지지판 9 : 콘크리트유입구멍
10 : 받침대부 11 : 차단판끼움부 12 : 차단판
13 : 삽입안내돌기 14 : 경사지지홈 15 : 삽입홈
16 : 수직지지판 17 : 지면 18 : 기초모래
19 : 마감콘크리트 20 : 화분흙 21 : 화초

Claims (2)

  1. 내부에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공간(3)을 형성한 식재형 경계석(1)의 하부를 받쳐주는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는 상부에 식재형 경계석(1)의 살두께폭(2)이 끼워지는 경계석끼움부(5)가 좌우 길이방향으로 수평 형성되고, 이 경계석끼움부(5)의 하부에는 하부바닥판(7)이 경계석끼움부(5) 보다 넓으며 내측에 콘크리트가 채워질 공간부가 형성되는 받침대부(10)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부(10)는 경계석끼움부(5)의 하방에 "ㄴ"자형으로 수직판부(6)와 하부바닥판(7)가 형성되고, 하부바닥판(7)의 전방측 선단부와 경계석끼움부(5)의 전방측 선단부 사이에는 콘크리트유입구멍(9)을 형성한 경사지지판(8)이 경사방향으로 연결 형성되며,
    수직판부(6)의 후방 상측에는 차단판끼움부(11)가 하향 형성되고, 인접한 받침대(4)의 차단판끼움부(11)에는 차단판(12)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
  2. 내부에 화초를 심을 수 있는 식재공간(3)을 형성한 식재형 경계석(1)의 하부를 받쳐주는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4)는 상부에 식재형 경계석(1)의 살두께폭(2)이 끼워지는 경계석끼움부(5)가 좌우 길이방향으로 수평 형성되고, 이 경계석끼움부(5)의 하부에는 수직판부(6)와 하부바닥판(7)가 "ㄴ"자형으로 형성하되, 하부바닥판(7)이 경계석끼움부(5) 보다 넓게 형성되고,
    경계석끼움부(5)의 저면에 삽입안내돌기(13)와, 하부바닥판(7)의 전방측 선단부에 경사지지홈(14)을 좌우 길이방향으로 각각 형성하고, 경계석끼움부(5) 하측과 수직판부(6)와 하부바닥판(7) 사이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부에는 상측에 삽입안내돌기(13)에 삽입 안내되는 삽입홈(15)이 형성되고 하측 선단부가 경사지지홈(14)에 끼워져 지지되는 수개의 수직지지판(16)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되며,
    수직판부(6)의 후방 상측에는 차단판끼움부(11)가 형성되고, 인접한 받침대(4)의 차단판끼움부(11)에는 차단판(12)이 수직방향으로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
KR1020080062841A 2008-06-30 2008-06-30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 KR100970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41A KR100970779B1 (ko) 2008-06-30 2008-06-30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2841A KR100970779B1 (ko) 2008-06-30 2008-06-30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07A KR20100002807A (ko) 2010-01-07
KR100970779B1 true KR100970779B1 (ko) 2010-07-16

Family

ID=4181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2841A KR100970779B1 (ko) 2008-06-30 2008-06-30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465B1 (ko) * 2016-04-20 2017-04-06 (주)디자인고을 데크 지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315U (ko) * 1989-08-10 1991-04-04
JP2001283605A (ja) 2000-03-31 2001-10-12 Erufuasu:Kk 発光体
KR100475329B1 (ko) 2004-05-12 2005-03-14 주식회사 오륙개발 기능성 경계석을 가지는 엘형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KR20090105377A (ko) * 2008-04-02 2009-10-07 황주연 받침대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4315U (ko) * 1989-08-10 1991-04-04
JP2001283605A (ja) 2000-03-31 2001-10-12 Erufuasu:Kk 発光体
KR100475329B1 (ko) 2004-05-12 2005-03-14 주식회사 오륙개발 기능성 경계석을 가지는 엘형 측구 및 그 시공 방법
KR20090105377A (ko) * 2008-04-02 2009-10-07 황주연 받침대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도로경계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2807A (ko)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5490B2 (en) Modular cell and matrix for supporting a load bearing feature
JPH083443Y2 (ja) 排水・保水装置
JP5142498B2 (ja) 草木用の植栽装置と植栽構造
US20010019684A1 (en) Retaining wall blocks and retaining walls constructed from such blocks
JP2008043241A5 (ko)
ITPN20110081A1 (it) Struttura per la creazione di alloggiamenti per la posa di alberi eprocedimento di posa degli alberi stessi.
KR101132405B1 (ko) 녹지조성용 저배수 조립체
KR101659168B1 (ko) 암반 절개지의 녹화방법
KR100970779B1 (ko) 식재형 경계석용 받침대
KR20080096317A (ko) 담수 기능을 갖는 보도블록
CN111395104A (zh) 彩色沥青梁浇筑式商品住宅小区景观路面
JP3748870B2 (ja) 緑化ブロック
KR101868974B1 (ko) 논두렁 구축용 조립식 블록
KR100905322B1 (ko) 식재형 경계블록의 받침대
KR20160093518A (ko) 보도용 방초 바닥판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보도 구조체
KR101900728B1 (ko) 경사홀더 일체형 메쉬를 이용한 사면 녹화공법
KR100408850B1 (ko) 빗물받이가 구비된 옹벽축조용 조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01388A (ko) 가로수와 같은 조경수를 인도 등에 쉽게 심고, 양호한 육성 상태를 보장할 수 있는 조경수 식수 방법
KR100951635B1 (ko) 친환경적인 조형옹벽
TWM461652U (zh) 水土保持植栽磚
KR101335543B1 (ko) 식생형 돌망태 및 그 시공방법
KR101297778B1 (ko) 주거단지의 도로에 설치되는 텃밭조성용 홈통
ITRE20090074A1 (it) Sistema modulare di pavimentazione
KR200295975Y1 (ko) 조경용 브라켓을 이용한 옹벽축조구조
CN217850515U (zh) 一种海绵型树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