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7024B1 -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 Google Patents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7024B1
KR102187024B1 KR1020200094120A KR20200094120A KR102187024B1 KR 102187024 B1 KR102187024 B1 KR 102187024B1 KR 1020200094120 A KR1020200094120 A KR 1020200094120A KR 20200094120 A KR20200094120 A KR 20200094120A KR 102187024 B1 KR102187024 B1 KR 102187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su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4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승
박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주)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주)이에프씨 filed Critical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4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0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20Arrangement of controlling, monitoring, alarm or like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05Pr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06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06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 F27B2014/0818Dis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흑연화로에서의 열처리 공정 후 이송되는 흑연도가니를 처리하고 그 내부에 수용된 인조흑연을 수득하며 인조흑연이 배출된 도가니를 후처리하는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여 인조흑연의 생산성 향상과 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흑연도가니의 외부를 클리닝하는 외부 클리닝부, 상기 외부 클리닝부를 통과한 흑연도가니들로부터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인조흑연을 수득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의 공정을 거친 도가니 내부를 클리닝하는 내부 클리닝부, 및 상기 내부 클리닝부에서의 공정을 거친 도가니의 크랙 유무와 파손 여부를 검사하는 도가니 검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Automation apparatus for obtaining and treating artificial graphite}
본 발명은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흑연을 제조하는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여 인조흑연의 생산성 향상과 작업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조흑연은 이차전지용 음극재, 제철·제강용 전극봉, 방전가공전극, 핵융합로, 반도체 및 태양전지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조흑연은 천연흑연에 비해 흑연화도가 낮고 제조 공정 비용으로 인해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지만 수명 특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장점이 있어, 특히 이차전지의 음극재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조흑연은 흑연화로 내부에 인조흑연 생산을 위한 원료가 충진되어 있는 도가니를 적층하고 그 사이를 저항재 및 보온재로 채워 도가니가 매립되도록 한 후, 전류를 통하여 거기서 발생하는 저항열로 도가니를 간접 가열함으로써 도가니 내의 원료를 흑연화 처리하게 된다.
그리고 흑연화로에서 열처리 공정이 완료되면 흑연화로 내부에 매워져 있는 저항재 및 보온재를 제거한 후 흑연도가니를 별도의 장소로 운반한 후 그 뚜껑을 열어 수작업으로 인조흑연을 수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조흑연의 수득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흑연도가니 취급시 부주의로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작업시간이 길어져 생산성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흑연도가니 내부에 고착된 인조흑연은 그 처리가 곤란하여 인조흑연의 수득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인조흑연이 배출된 도가니는 그냥 재사용하고 있으므로 도가니에 미세 균열이 존재하는 경우 재사용 중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한 실정이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0861호 (2014. 10. 14.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0-1499602호 (2015. 03. 09. 공고)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흑연화로에서의 열처리 공정 후 이송되는 흑연도가니를 처리하고 그 내부에 수용된 인조흑연을 수득하며 인조흑연이 배출된 도가니를 후처리하는 모든 공정을 자동화하여 인조흑연의 생산성 향상과 작업의 효율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는, 이송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되는 흑연도가니의 외부를 클리닝하는 외부 클리닝부; 상기 외부 클리닝부를 통과한 흑연도가니들로부터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인조흑연을 수득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에서의 공정을 거친 도가니 내부를 클리닝하는 내부 클리닝부; 및 상기 내부 클리닝부에서의 공정을 거친 도가니의 크랙 유무와 파손 여부를 검사하는 도가니 검사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는, 상기 외부 클리닝부는 흑연도가니 외부에 부착된 분진을 물리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이송방향으로부터 차례로 전방처리실, 메인처리실 및 후방처리실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처리실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처리실에는 다수의 브러시에 의해 비산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커버가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는, 상기 전방처리실, 메인처리실 및 후방처리실은 각각 양 측면 및 상면이 폐쇄된 형태로 구비되는 챔버와, 그 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흑연도가니의 외부를 클리닝하는 복수의 브러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는, 승강실린더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어 각 처리실의 진입 및 진출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칸막이가 각 처리실에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는, 상기 흡입부가 흑연도가니 내의 인조흑연을 배출시킬 수 있는 별도의 라인을 구성하여 인조흑연을 제2배관을 통해 인조흑연 저장탱크로 이송시키는 흡입로봇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는, 상기 흡입로봇은 일측에 도가니 뚜껑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패드가 구비되고, 타측에 흑연도가니 내부로 삽입되어 인조흑연을 흡입하는 흡입 툴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는, 상기 흡입 툴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회전축과 상기 원통형 회전축의 외부에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블레이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회전축의 외면에는 흡입 홀이 다수 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는, 상기 흡입 툴의 외측 둘레에는 흑연도가니가 그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비산방지커버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는, 상기 도가니 검사부가 도가니 뚜껑을 흡착하여 파지하기 위한 흡착패드와, 도가니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을 발생시킨 후 도가니 내부의 진공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도가니의 불량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에어 석션 패드가 구비되는 검사로봇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는,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도가니 열처리부에서 열처리가 완료된 흑연도가니들이 이송되어 대기 상태로 있는 버퍼부가 포함되고, 상기 외부 클리닝부를 통과한 흑연도가니들이 후속 공정을 위하여 일시 대기 상태로 있도록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추가 버퍼부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에 의하면, 외부 클리닝부로 인하여 흑연도가니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고, 후속 공정에서 흑연도가니 몸체 내부로 흑연도가니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인조흑연의 품질 향상에도 일조하게 된다.
또한, 흡입부로 인하여 흑연도가니 내부의 인조흑연을 효과적이면서 거의 완전히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인조흑연의 수득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내부 클리닝부로 인하여 도가니 내부에 남아 있는 인조흑연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인조흑연의 생산성이 제고될 수 있다.
또한, 도가니 검사부로 인하여 품질이 담보된 도가니를 재사용할 수 있어 공정 진행 중 도가니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의 외부 클리닝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의 흡입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의 내부 클리닝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의 도가니 검사부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내부가 비어 있는 도가니와 구분하기 위하여 흑연화로에서의 열처리 후 생성된 인조흑연이 들어 있는 도가니를 "흑연도가니"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는 흑연화로에서의 열처리 공정 후 이송되는 흑연도가니를 처리하고 그 내부에 수용된 인조흑연을 수득하며 인조흑연이 배출된 도가니를 후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 클리닝부(100), 흡입부(200), 내부 클리닝부(300) 및 도가니 검사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별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상기 외부 클리닝부(100)는 이송컨베이어(c)로 이송되는 흑연도가니의 외부를 클리닝하는 구성이고, 흑연도가니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을 제거한다.
이는 흑연도가니로부터 인조흑연을 수득하기 전의 준비 과정 즉, 후술하는 흡입로봇(210)이 흑연도가니의 뚜껑을 분리하여 내부의 인조흑연을 흡입하는 과정에서 흑연도가니 몸체 내부로 흑연도가니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클리닝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처리실(110), 제1배관(130) 및 분진저장탱크(15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처리실(110)은 이송컨베이어(c)로 이송되는 흑연도가니 외부에 부착된 분진을 물리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송방향으로부터 차례로 전방처리실(110a), 메인처리실(110b) 및 후방처리실(110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방처리실(110a), 메인처리실(110b) 및 후방처리실(110c)은 각각 양 측면 및 상면이 폐쇄된 형태로 구비되는 챔버(111)와, 그 챔버(111) 내부에 구비되어 흑연도가니의 외부를 클리닝하는 복수의 브러시(113)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브러시(113)는 흑연도가니 상부를 클리닝하는 복수의 상면브러시(113a) 및 흑연도가니 측부를 클리닝하는 복수의 수직브러시(113b)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브러시(113b)는 이송컨베이어(c)로 흑연도가니가 복수열로 이송되는 점을 고려하여 그 열에 대응하여 각 열 사이에도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각 처리실의 진입 및 진출 통로를 폐쇄하기 위한 칸막이(120)가 각 처리실(110)에 구비되어 있는바, 이는 처리실(110)에서 분진이 제거될 때 상기 분진이 처리실(110)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칸막이(120)는 각각 승강실린더(125)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각 처리실(110)의 진입로 및 진출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게 된다.
상기 메인처리실(110b)에는 다수의 브러시(113)에 의해 비산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커버(11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흡입커버(115) 내부에는 흡입펌프(또는 흡입팬) 및 모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배관(130)은 상기 흡입커버(115)에서 흡입된 분진을 이송하는 통로이다.
상기 분진저장탱크(150)는 상기 제1배관(130)을 통해 이송된 분진이 저장되는 곳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외부 클리닝부(100)로 인하여 흑연도가니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고, 후속 공정에서 흑연도가니 몸체 내부로 흑연도가니 외부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인조흑연의 품질 향상에도 일조하게 된다.
한편, 상기 외부 클리닝부(100)에 진입하기 전에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도가니 열처리부에서 열처리가 완료된 흑연도가니들이 이송되어 대기 상태로 있게 되는 버퍼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클리닝부(100)를 통과한 흑연도가니들이 후속 공정을 위하여 일시 대기 상태로 있도록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추가 버퍼부(5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200)는 상기 외부 클리닝부(100)를 통과한 흑연도가니들로부터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인조흑연을 수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흡입로봇(210) 및 인조흑연 저장탱크(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로봇(210)은 흑연도가니 내의 인조흑연을 배출시킬 수 있는 별도의 라인을 구성하여 인조흑연을 제2배관(230)을 통해 인조흑연 저장탱크(250)로 이송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흡입로봇(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도가니 뚜껑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패드(211)가 구비되고, 타측에 흑연도가니 내부로 삽입되어 인조흑연을 흡입하는 흡입 툴(213)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 툴(213)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회전축(214)과 상기 원통형 회전축(214)의 외부에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블레이드(216)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통형 회전축(214)의 외면에는 흡입 홀(214a)이 다수 개 구비되어 이를 통해 인조흑연이 흡입된다.
또한, 상기 흡입 툴(213)의 외측 둘레에는 원통형의 비산방지커버(21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산방지커버(218)는 흑연도가니가 그 내부로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흡입 툴(213)에 의한 인조흑연 수득 작업시 인조흑연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입로봇(21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흡입로봇(210)이 흑연도가니의 상부에 위치한 후 흡착패드(211)로 흑연도가니 뚜껑을 흡착하여 흑연도가니 상부를 개방시키고, 흡입 툴(213)을 흑연도가니 내부로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별도의 라인에 구성된 흡입수단의 흡입력으로 흡입 홀(214a)을 통해 인조흑연이 흡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블레이드(216)는 회전하면서 흑연도가니 내부의 인조흑연을 교반함과 동시에 흑연도가니 내벽에 고착된 인조흑연을 분리시킴으로써 흑연도가니 내부의 인조흑연을 거의 완전히 흡입하여 배출시킬 수 있게 되므로 인조흑연의 수득율을 높일 수 있다.
그 후, 흡착패드(211)에 흡착되어 있는 뚜껑을 다시 도가니 몸체에 결합시킨다.
상기 내부 클리닝부(300)는 상기 흡입부(200)에서의 공정을 거친 도가니 내부를 클리닝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세척로봇(310)과 추가 인조흑연 저장탱크(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로봇(310)은 흡입로봇(210)의 흡착패드(211) 및 흡입 툴(213)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 흡착패드(311)와 세척 툴(313)을 구비하고, 상기 흡입부(200)에서의 공정을 거친 후 이송된 도가니의 몸체로부터 뚜껑을 흡착하여 분리시킨 후 세척 툴(313)을 이용해 몸체 내부를 청소함과 동시에 별도의 라인을 구성해 상기 세척 툴(313)에 의해 부유하는 인조흑연을 흡입하여 상기 추가 인조흑연 저장탱크(350)로 이송시키며, 내부 세척이 완료되면 뚜껑을 몸체에 다시 조립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내부 클리닝부(300)로 인하여 도가니 내부에 남아 있는 인조흑연을 회수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인조흑연의 생산성이 제고될 수 있다.
상기 도가니 검사부(400)는 내부 클리닝부(300)에서의 공정을 거친 도가니의 크랙 유무와 파손 여부를 검사하고 강도 테스트를 실시하여 도가니의 품질을 검사하는 구성이다.
이로 인해 최종적으로 품질 검사를 통과한 도가니만 재사용하고, 그렇지 못한 도가니는 폐기한다.
상기 도가니 검사부(400)에는 각종 검사기구가 장착된 검사로봇(410)이 구비되어 상기 내부 클리닝부(300)에서의 세척 작업이 완료된 도가니들을 검사하고, 검사가 완료된 도가니들을 무인이송대차에 적재한다.
일예로, 상기 검사로봇(41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가니 뚜껑을 흡착하여 파지하기 위한 흡착패드(411)와, 도가니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을 발생시킨 후 도가니 내부의 진공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도가니의 불량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에어 석션 패드(4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 석션 패드(413)는 도가니 몸체의 개방부를 폐쇄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위에서 폐기되는 도가니는 무인이송대차에 의해 폐도가니 보관 구역(610)으로 이송되고, 재사용이 가능한 도가니는 상기 도가니 검사부(400) 주변에 대기하고 있는 무인이송대차에 적재되어 원료를 도가니 내부에 충진시키는 원료 충진부로 이동하거나 공정에 사용되지 않아 잉여 상태가 되는 경우 잉여 도가니 보관 구역(630)으로 이송되도록 제어된다.
한편, 뉴(new)도가니 보관 구역(650)은 새로운 도가니가 보관되어 있는 구역으로서 폐기되는 도가니를 보충하여 새로운 도가니를 공정에 투입하기 위하여 미리 준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품질이 담보된 도가니를 재사용할 수 있어 공정 진행 중 도가니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는 제반 구성을 종합적으로 통제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제어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외부 클리닝부
110: 처리실 130: 제1배관 150: 분진저장탱크
200: 흡입부
210: 흡입로봇 230: 제2배관 250: 인조흑연 저장탱크
300: 내부 클리닝부
310: 세척로봇 350: 추가 인조흑연 저장탱크
400: 도가니 검사부
410: 검사로봇 411: 흡착패드 413: 에어 석션 패드
550: 버퍼부 550: 추가 버퍼부
610: 폐도가니 보관 구역 630: 잉여 도가니 보관 구역
650: 뉴도가니 보관 구역

Claims (10)

  1. 이송컨베이어(c)로부터 이송되는 흑연도가니의 외부를 클리닝하는 외부 클리닝부(100);
    상기 외부 클리닝부(100)를 통과한 흑연도가니들로부터 그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인조흑연을 수득하는 흡입부(200);
    상기 흡입부(200)에서의 공정을 거친 도가니 내부를 클리닝하는 내부 클리닝부(300); 및
    상기 내부 클리닝부(300)에서의 공정을 거친 도가니의 크랙 유무와 파손 여부를 검사하는 도가니 검사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클리닝부(100)는
    흑연도가니 외부에 부착된 분진을 물리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이송방향으로부터 차례로 전방처리실(110a), 메인처리실(110b) 및 후방처리실(110c)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처리실(11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처리실(110b)에는 다수의 브러시(113)에 의해 비산하는 분진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커버(11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처리실(110a), 메인처리실(110b) 및 후방처리실(110c)은 각각 양 측면 및 상면이 폐쇄된 형태로 구비되는 챔버(111)와, 그 챔버(111) 내부에 구비되어 흑연도가니의 외부를 클리닝하는 복수의 브러시(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승강실린더(125)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되어 각 처리실(110)의 진입 및 진출 통로를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칸막이(120)가 각 처리실(11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200)는
    흑연도가니 내의 인조흑연을 배출시킬 수 있는 별도의 라인을 구성하여 인조흑연을 제2배관(230)을 통해 인조흑연 저장탱크(250)로 이송시키는 흡입로봇(21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로봇(210)은 일측에 도가니 뚜껑을 흡착할 수 있는 흡착패드()가 구비되고, 타측에 흑연도가니 내부로 삽입되어 인조흑연을 흡입하는 흡입 툴(2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툴(213)은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회전축(214)과 상기 원통형 회전축(214)의 외부에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블레이드(216)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통형 회전축(214)의 외면에는 흡입 홀(214a)이 다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툴(213)의 외측 둘레에는 흑연도가니가 그 내부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는 원통형의 비산방지커버(218)가 더 구비되는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가니 검사부(400)는
    도가니 뚜껑을 흡착하여 파지하기 위한 흡착패드(411)와, 도가니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진공을 발생시킨 후 도가니 내부의 진공 상태를 판단함으로써 도가니의 불량 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에어 석션 패드(413)가 구비되는 검사로봇(410)을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컨베이어로 구성되고 도가니 열처리부에서 열처리가 완료된 흑연도가니들이 이송되어 대기 상태로 있는 버퍼부(500)가 포함되고,
    상기 외부 클리닝부(100)를 통과한 흑연도가니들이 후속 공정을 위하여 일시 대기 상태로 있도록 컨베이어로 구성되는 추가 버퍼부(550)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KR1020200094120A 2020-07-29 2020-07-29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KR102187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120A KR102187024B1 (ko) 2020-07-29 2020-07-29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4120A KR102187024B1 (ko) 2020-07-29 2020-07-29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7024B1 true KR102187024B1 (ko) 2020-12-04

Family

ID=73776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4120A KR102187024B1 (ko) 2020-07-29 2020-07-29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70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4044A (zh) * 2021-12-27 2022-04-12 潍坊市精华粉体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电池材料石墨化坩埚自动加料填实系统
KR102570686B1 (ko) * 2023-04-24 2023-08-31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KR102577347B1 (ko) * 2023-06-06 2023-09-12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다단식 수직 흑연화로 시스템
KR102595314B1 (ko) * 2023-06-06 2023-10-26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분리형 수직 흑연화로 시스템
CN117263177A (zh) * 2023-09-26 2023-12-22 连云港埃纳硅业有限公司 人造石墨负极材料内串石墨化生产方法及石墨化炉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9758A (ja) * 1995-09-12 1997-03-28 Nikko Kinzoku Kk ルツボ再使用処理装置並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切削装置及び塗布装置
KR101183936B1 (ko) * 2011-10-21 2012-09-24 (유)도일이엔지 컵 자동 브러시 세척장치
KR101383101B1 (ko) * 2012-10-17 2014-04-10 희성금속 주식회사 다열분체 흡입이송장치
KR20140120861A (ko) 2013-04-03 2014-10-14 썬쩐 비티아르 뉴 에너지 머티어리얼스 아이엔씨이 리튬이온전지 흑연 음극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99602B1 (ko) 2009-05-26 2015-03-09 가부시키가이샤 인큐베이션 얼라이언스 탄소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76046A (ko) * 2014-12-22 2016-06-30 희성금속 주식회사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79758A (ja) * 1995-09-12 1997-03-28 Nikko Kinzoku Kk ルツボ再使用処理装置並びにそれに使用される切削装置及び塗布装置
KR101499602B1 (ko) 2009-05-26 2015-03-09 가부시키가이샤 인큐베이션 얼라이언스 탄소 재료 및 그 제조 방법
KR101183936B1 (ko) * 2011-10-21 2012-09-24 (유)도일이엔지 컵 자동 브러시 세척장치
KR101383101B1 (ko) * 2012-10-17 2014-04-10 희성금속 주식회사 다열분체 흡입이송장치
KR20140120861A (ko) 2013-04-03 2014-10-14 썬쩐 비티아르 뉴 에너지 머티어리얼스 아이엔씨이 리튬이온전지 흑연 음극재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76046A (ko) * 2014-12-22 2016-06-30 희성금속 주식회사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14044A (zh) * 2021-12-27 2022-04-12 潍坊市精华粉体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电池材料石墨化坩埚自动加料填实系统
KR102570686B1 (ko) * 2023-04-24 2023-08-31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KR102577347B1 (ko) * 2023-06-06 2023-09-12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다단식 수직 흑연화로 시스템
KR102595314B1 (ko) * 2023-06-06 2023-10-26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분리형 수직 흑연화로 시스템
CN117263177A (zh) * 2023-09-26 2023-12-22 连云港埃纳硅业有限公司 人造石墨负极材料内串石墨化生产方法及石墨化炉
CN117263177B (zh) * 2023-09-26 2024-05-17 连云港埃纳硅业有限公司 人造石墨负极材料内串石墨化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7024B1 (ko)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KR102163786B1 (ko) 인조흑연 생산 자동화 시스템
JP7267507B2 (ja) チップ検出装置、チップ検出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100304127B1 (ko) 가반식 밀폐 컨테이너를 사용한 전자기판 처리시스템과 그의 장치
JP4801711B2 (ja) カセットから炉へのウエーハ移送用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0050458A (ja) 基板処理装置及び基板移送方法
CN1715152A (zh) 半导体基板保存库、保存法及用它的半导体基板制造方法
JPH07297257A (ja) 処理装置
JP3667527B2 (ja) 基板処理装置
CN219040438U (zh) 一种晶圆刮边清洗机
CN210607529U (zh) 一种锂离子电池化成后抽真空排气装置
JP7320036B2 (ja) 半導体ストリップ切断及び分類設備におけるパッケージ乾燥装置
KR101848700B1 (ko) 자동 풉 세정장치
JPH0829584A (ja) 放射能汚染物の収納移送方法及び収納移送設備
CN215796567U (zh) 一种钵体自动输送线及一种循环自动装卸钵装置
KR20150129195A (ko) 박막 증착 장치의 로딩 챔버와 이를 이용한 입자 제거 방법
JP2024038803A (ja) 熱処理システム
US20240085111A1 (en) Heat treatment system
CN217894535U (zh) 一种石墨化坩埚自动装卸料系统
JP5911682B2 (ja) 槽キャリア及び基板処理装置
JP3330986B2 (ja) 粉体の充填および回収装置
TWI762311B (zh) 物料傳送盒之清潔成果檢測方法及其裝置
CN216913428U (zh) 一种晶片上料传输机
WO2024021272A1 (zh) 烧结生产线、匣钵回收系统及方法
JPH03134176A (ja) 真空処理装置用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