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686B1 -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 Google Patents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686B1
KR102570686B1 KR1020230053072A KR20230053072A KR102570686B1 KR 102570686 B1 KR102570686 B1 KR 102570686B1 KR 1020230053072 A KR1020230053072 A KR 1020230053072A KR 20230053072 A KR20230053072 A KR 20230053072A KR 102570686 B1 KR102570686 B1 KR 10257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fer unit
pallet
transfer
di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승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6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of multiple-track type; of multiple-chamber type; Combinations of furnaces
    • F27B9/021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of multiple-track type; of multiple-chamber type; Combinations of furnaces having two or more parallel tr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05Pr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6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on or in trucks, sleds, or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2014/0825Crucible or pot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arbon And Carbon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컨베이어 조합을 통해 원료 투입용 팔레트와 인조흑연 수거용 팔레트의 이송이 상호 간섭없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원료팔레트를 장입 대상 흑연화로 지점으로 이송하는 한편 도가니 장입 후 빈 팔레트를 반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제1이송유닛;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제1이송유닛의 측방에 설치되고, 빈 팔레트를 회수 대상 흑연화로 지점으로 이송하는 한편 도가니 회수 후 흑연팔레트를 반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제2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의 반입측 및 반출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리프터로 이루어지는 제3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제2이송유닛의 반출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쿨링 디버터유닛과 상기 쿨링 디버터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집하장소에 해당하는 복수의 쿨링 컨베이어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제4이송유닛; 베이스 구조물 외측에 그 길이 방향으로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이송유닛에서 반출된 빈 팔레트를 이송하거나 제4이송유닛에서 배출되는 냉각이 완료된 흑연팔레트를 후속 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제5이송유닛; 및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제2이송유닛의 반입측에 배치되고, 주입유닛에서 제작된 원료팔레트를 집하한 상태에서 필요시 원료팔레트를 제1이송유닛에 공급하는 제6이송유닛;으로 이루어지고, 도가니 장입 작업을 위한 팔레트 이송은 제1이송유닛에서, 도가니 회수 작업을 위한 팔레트 이송은 제2이송유닛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Pallet transfer system for graphitization furnace}
본 발명은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이송유닛 조합을 통해 원료 투입용 팔레트와 인조흑연 수거용 팔레트의 이송이 상호 간섭없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이나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 배터리의 수요가 늘면서 배터리의 음극재로 사용되는 흑연의 수요도 함께 폭증하고 있다.
현재 음극재로는 천연흑연과 인조흑연을 혼합한 것을 사용하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천연흑연의 경우 리튬이온 저장용량이 우수하나 반복되는 충방전 과정에서 열화되기 쉬어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인조흑연은 내구성이 천연흑연에 비해 2 ~ 3배 긴 장점이 있으나, 원료인 석유코크스나 피치코크스를 전기저항로에서 넣고 3,000˚C 전후로 가열하는 제조과정이 요구되어 천연흑연에 비해 고가인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인조흑연의 가격 경쟁력을 높이고자 그 제조공정을 자동화한 흑연화로를 국내공개특허 제10-2022-0061407호(공개일자: 2012.05.13.)에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자동화장치는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가 충진되어 있는 복수의 도가니를 흑연화(100)로에 장입하고 충전재를 부어 도가니를 매립한 다음, 전류를 통전시켜 발생하는 저항열로 원료를 흑연화하는 것으로써, 복수의 흑연화로(100)를 병렬 배치한 상태에서 흑연화로(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주행 레일(200)이 배치된다.
또한, 도가니 장입 및 회수작업을 수행하는 도가니 이송 작업부(300)와 충전재 투입 및 수거작업을 수행하는 충전재 이송 작업부(400)가 상기 주행 레일(200)을 왕복 주행하며 각 흑연화로(100)에 상기 작업들을 수행한다.
또한, 흑연화로(100)의 일단에는 원료가 충진되어 있는 도가니(이하 ‘원료도가니’라 한다)가 탑재된 팔레트(이하 ‘원료팔레트’라 한다)나, 열처리로 생성된 인조흑연이 담겨진 도가니(이하 ‘흑연도가니’라 한다)를 수거하기 위한 빈 팔레트를 작업대상 흑연화로(100)에 투입하는 컨베이어장치(500)가 배치되며, 그 양단에는 반입부(600)와 반출부(700)가 구비된다.
그리고, 무인이송대차(A)에 의해 원료팔레트나 빈 팔레트가 반입부(600)를 거쳐 작업대상 흑연화로(100)에 인접한 컨베이어장치(500) 지점으로 이송되는 한편, 흑연도가니가 탑재된 팔레트(이하 ‘흑연팔레트’라 한다)는 반출부(700)로 이송된 후 무인이송대차(A)를 통해 다음 공정장소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실제 도가니 장입 및 회수작업이나 충전재 투입 및 수거작업(이하 ‘제작업’이라 한다)은 여러 원인에 의해 흑연화로(100)가 배치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진행되지 못하고 랜덤하게 행해지는데, 이로 인해 복수의 원료팔레트나 빈 팔레트를 컨베이어장치(500)의 적재적소 지점에 투입하거나 또는 흑연팔레트나 원료도가니 장입으로 비어진 팔레트를 회수하는데 무척 번거로워 공정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제기되었다.
KR 10-2022-0061407 A 2012.05.13.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료팔레트나 흑연팔레트 또는 빈 팔레트의 이송이 상호 간섭되지 않는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은,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고, 원료팔레트를 장입 대상 흑연화로 지점으로 이송하는 한편 도가니 장입 후 빈 팔레트를 반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제1이송유닛;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그 길이 방향으로 제1이송유닛의 측방에 설치되고, 빈 팔레트를 회수 대상 흑연화로 지점으로 이송하는 한편 도가니 회수 후 흑연팔레트를 반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제2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의 반입측 및 반출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리프터로 이루어지는 제3이송유닛;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제2이송유닛의 반출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쿨링 디버터유닛과 상기 쿨링 디버터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집하장소에 해당하는 복수의 쿨링 컨베이어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제4이송유닛; 베이스 구조물 외측에 그 길이 방향으로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이송유닛에서 반출된 빈 팔레트를 이송하거나 제4이송유닛에서 배출되는 냉각이 완료된 흑연팔레트를 후속 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제5이송유닛; 및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제2이송유닛의 반입측에 배치되고, 주입유닛에서 제작된 원료팔레트를 집하한 상태에서 필요시 원료팔레트를 제1이송유닛에 공급하는 제6이송유닛;으로 이루어지고, 도가니 장입 작업을 위한 팔레트 이송은 제1이송유닛에서, 도가니 회수 작업을 위한 팔레트 이송은 제2이송유닛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1이송유닛 및 제2이송유닛의 시단측과 말단측에 제3이송유닛과의 사이에 이송 중인 팔레트의 진행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제1전환컨베이어와 제2전환컨베이어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은, 상기 쿨링 디버터유닛이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쿨링디버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쿨링 컨베이어유닛은 상호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쿨링컨베이어로 이루어지되 각 단위 쿨링컨베이어는 상기 단위 쿨링디버터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5이송유닛이 컨베이어와 컨베이어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제1, 제2디버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디버터는 일측 쿨링 디버터유닛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디버터는 타측 대기 디버터유닛 측에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4이송유닛과 제6이송유닛의 사이에 배치되되, 제5이송유닛의 측방에 길이 방향으로 흑연도가니에 붙어있는 충전재를 제거하는 크리닝유닛, 크리닝 작업을 마친 흑연도가니에 담겨진 인조흑연을 상기 흡기장비로 수거하여 이를 사일로에 저장하는 수거유닛, 인조흑연이 수거된 도자기의 크랙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 및 도자기에 원료를 주입하여 원료팔레트를 제작하는 주입유닛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은, 상기 제6이송유닛이 한 쌍의 대기 디버터유닛과 상기 대기 디버터유닛 사이에 배치되고 집하장소에 해당하는 복수의 대기 컨베이어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은, 상기 대기 디버터유닛이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대기디버터로 이루어지되, 제5이송유닛의 컨베이어에 연결되는 일측 대기 디버터유닛과, 제1이송유닛 및 제2이송유닛의 반입측에 배치되는 타측 대기 디버터유닛으로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은, 상기 대기 컨베이어유닛이 상호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대기컨베이어로 이루어지되, 각 단위 대기컨베이어는 상기 단위 대기디버터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에 의하면, 원료 투입용 팔레트 운반을 담당하는 제1이송유닛, 인조흑연 수거용 팔레트 운반을 담당하는 제2이송유닛, 수거된 도가니와 팔레트의 재사용을 위한 제5이송유닛을 통해 원료팔레트나 흑연팔레트 또는 빈 팔레트의 이송이 상호 간섭되지 않으므로, 자동화시스템의 공정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에 의하면, 제5이송유닛 근처에 후처리부가 구성되어 있어 도가니와 팔레트의 재사용이 원활히 이루어짐으로써 공정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에 의하면, 간섭 문제가 해소됨으로 인해 장입을 앞둔 다수의 원료팔레트를 제1이송유닛 상에 대기시키면, 동절기와 같이 저온 환경에서 흑연화로(a)의 열기로 원료도가니를 예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열처리 공정시간 단축과 전열비용 절감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흑연화로 자동화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흑연화로 자동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흑연화로 자동화장치에서 도가니를 흑연화로에 장입하는 과정을 예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인조흑연 생산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인조흑연 생산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을 포함하고 있는 인조흑연 생산시스템은 흑연화로(a) 상부를 왕복 주행하며 제작업을 수행하는 작업부와,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1)과,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 후처리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속 공정이란 열처리 공정 후 도가니 세척작업, 인조흑연 수거작업, 도가니 검사작업 및 원료 주입작업을 말한다.
편의상, 먼저 작업부와 후처리부를 설명한다.
우선 흑연화로(a)는 베이스 구조물에 복수로 구비되어 상호 병렬 배치되고, 흑연화로(a)의 종방향(y) 양단에 한 쌍의 레일이 구비되어 있다.
작업부는 흑연도가니 장입이 완료된 흑연화로(a)에 충전재를 투입하는 작업과 열처리 공정 후 충전재를 수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충전재작업유닛(b)과 원료도가니를 장입하는 작업과 열처리 공정 후 흑연도가니를 회수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도가니작업유닛(c)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업유닛(b, c)은 흑연화로(a)의 규모 즉, 흑연화로(a)의 총수에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후처리부는 후속 공정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하는 제4이송유닛(40)과 제6이송유닛(60)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5이송유닛(50)의 측방에 길이 방향으로 크리닝유닛(d), 수거유닛(e), 검사유닛(f), 및 주입유닛(g)이 순차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크리닝유닛(d)은 에어건이 구비된 방진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건으로 흑연도가니에 붙어있는 충전재를 제거한다.
상기 수거유닛(e)은 흡기장비와 사일로(e')로 이루어지며, 크리닝 작업을 마친 흑연도가니에 담겨진 인조흑연을 상기 흡기장비로 수거하여 이를 사일로(e')에 저장한다.
한편, 도자기는 반복되는 열처리 공정으로 인해 열화되어 크랙이 종종 발생하는데, 상기 검사유닛(f)에서는 세라믹 크랙 검사장비 등을 이용하여 인조흑연이 수거된 도자기의 크랙 여부를 검사, 해당 도자기를 수거하고 새 도자기를 보충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주입유닛(g)에서는 외부 원료저장 사일로와 연결된 주입기를 이용해 크랙 검사를 통과한 도자기나 새로운 도자기에 원료를 주입하여 원료팔레트(p)를 제작한다. 제작이 완료된 원료팔레트(p)는 후술하는 제5이송유닛(50)을 통해 제6이송유닛(60)으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1)은 제1이송유닛(10), 제2이송유닛(20), 제3이송유닛(30), 제4이송유닛(40), 제5이송유닛(50) 및 제6이송유닛(60)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이송유닛(10)은 도가니 장입 작업만을 위한 구성으로서,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그 길이 방향(x)으로 설치되고, 원료팔레트(p)를 장입 대상 흑연화로(예로, a') 지점으로 이송하는 한편 도가니 장입 후 빈 팔레트(r)를 반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이송유닛(20)은 도가니 회수 작업만을 위한 구성으로서,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그 길이 방향(x)으로 제1이송유닛(10)의 측방에 설치되고, 빈 팔레트(r)를 회수 대상 흑연화로(예로, a") 지점으로 이송하는 한편 도가니 회수 후 흑연팔레트(q)를 반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며, 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이송유닛(30)은 제1이송유닛(10)의 반입측 및 반출측에 각각 구비되어 지상과 베이스 구조물 상부 사이의 이송 경로를 제공하는 한 쌍의 리프터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리프터는 제1이송유닛(10)의 반입측에 반입리프터(31)가 구비되고, 제1이송유닛(10)의 반출측에 반출리프터(32)가 구비된다.
상기 반입리프터(31)를 통해 원료팔레트(p)나 빈 팔레트(r)가 이송되고, 상기 반출리프터(32)를 통해 빈 팔레트(r)나 흑연팔레트(q)가 이송된다.
한편, 상기 제1이송유닛(10) 및 제2이송유닛(20)의 시단측과 말단측에는 제3이송유닛(30)과의 사이에 이송 중인 팔레트의 진행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제1, 제2전환컨베이어(35a, 35b)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제1전환컨베이어(35a)는 반입리프터(31)를 통해 반입된 빈 팔레트(r)를 제2이송유닛(20)의 시단측으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2전환컨베이어(35b)는 제2이송유닛(20)으로부터 반출되는 흑연팔레트(q)를 반출리프터(32)로 이송시킨다.
구체적인 작업 과정을 설명하면, 반입리프터(31)를 통해 이송된 원료팔레트(p)는 제1전환컨베이어(35a)를 지나쳐 제1이송유닛(10)으로 이송되어 도가니 장입 작업이 이루어지고, 도가니 장입 작업이 완료된 후 빈 팔레트(r)는 제1이송유닛(10)을 통해 제2전환컨베이어(35b)를 지나쳐 반출리프터(32)로 이송된다.
반입리프터(31)를 통해 이송된 빈 팔레트(r)는 제1전환컨베이어(35a)를 거쳐 제2이송유닛(20)으로 이송되고, 도가니 회수 작업이 완료된 후 흑연팔레트(q)는 제2이송유닛(20)에서 제2전환컨베이어(35b)를 거쳐 반출리프터(32)로 이송된다.
상기 제4이송유닛(40)은 회수된 흑연도가니를 자연 냉각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제2이송유닛(20)에서 반출되는 흑연팔레트(q)는 제4이송유닛(40)에 집하되어 냉각과정을 거친 다음 제5이송유닛(50)로 이송되어 후속 공정을 밟게 된다.
상기 제4이송유닛(40)은 제1이송유닛(10) 및 제2이송유닛(20)의 반출측으로 베이스 구조물 외측 지상에 배치되며, 한 쌍의 쿨링 디버터유닛(41)과 상기 쿨링 디버터유닛(41) 사이에 배치되고 집하장소에 해당하는 복수의 쿨링 컨베이어유닛(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쿨링 디버터유닛(41)은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쿨링디버터(4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쿨링 컨베이어유닛(42)은 상호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쿨링컨베이어(421)로 이루어지되 각 단위 쿨링컨베이어(421)는 상기 단위 쿨링디버터(411)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제1이송유닛(10) 및 제2이송유닛(20)의 반출측에 배치되는 일측 쿨링 디버터유닛(41a)은 일렬 배치를 통한 이송기능과 각 단위 쿨링디버터(411)의 방향전환 기능을 통해, 제1이송유닛(10) 및 제2이송유닛(20)의 반출측에서 유입되는 흑연팔레트(q)를 각 단위 쿨링컨베이어(421)에 순차적으로 집하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냉각공정이 완료되면 타측 쿨링 디버터유닛(41b)의 특정 단위 쿨링디버터(411)들의 이송과 방향전환 조합을 통해, 집하되어 있던 흑연팔레트(q)를 선입선출 방식으로 제5이송유닛(50)으로 보내어 후속 공정을 밟게 한다.
한편, 쿨링 컨베이어유닛(42)에 집하된 흑연팔레트(q)는 정렬된 상태로 집하되므로 재고파악이 용이하여 후속 공정 준비에 편의를 제공한다.
상기 제5이송유닛(50)은 베이스 구조물 외측에 그 길이 방향(x)으로 지상에 설치되고, 제1이송유닛(10)에서 반출된 빈 팔레트(r)를 이송하거나 제4이송유닛(40)에서 배출되는 냉각이 완료된 흑연팔레트(q)를 후속 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5이송유닛(50)은 컨베이어(51)와 컨베이어(51)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제1, 제2디버터(52a, 5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디버터(52a)는 일측 쿨링 디버터유닛(41a)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디버터(52b)는 후술하는 타측 대기 디버터유닛(61b) 측에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이송유닛(10)에서 반출된 빈 팔레트(r)는 상기 제5이송유닛(50)을 통해 이송된 후 다시 제2디버터(52b), 타측 대기 디버터유닛(61b), 반입리프터(31) 및 제1전환컨베이어(35a)를 통해 제2이송유닛(20)으로 이송된다.
상기 제6이송유닛(60)은 후처리부가 제공하는 원료팔레트(p)를 집하한 상태에서 필요시 상기 제1이송유닛(10)으로 원료팔레트(p)를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제1이송유닛(10)과 제2이송유닛(20)의 반입측으로 베이스 구조물 외측 지상에 배치되되 상기 주입유닛(g)에서 제작된 원료팔레트(p)를 집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6이송유닛(60)은 한 쌍의 대기 디버터유닛(61)과 상기 대기 디버터유닛(61) 사이에 배치되고 집하장소에 해당하는 복수의 대기 컨베이어유닛(6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대기 디버터유닛(61)은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대기디버터(611)로 이루어지되, 제5이송유닛(50)의 컨베이어(51)에 연결되는 일측 대기 디버터유닛(61a)과, 제1이송유닛(10) 및 제2이송유닛(20)의 반입측에 배치되는 타측 대기 디버터유닛(61b)으로 구성된다.
상기 대기 컨베이어유닛(62)은 상호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대기컨베이어(621)로 이루어지되, 각 단위 대기컨베이어(621)는 상기 단위 대기디버터(611)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일측 대기 디버터유닛(61a)은 일렬 배치를 통한 이송기능과 각 단위 대기디버터(611)의 방향전환 기능을 통해, 주입유닛(g)에서 유입되는 원료팔레트(p)를 각 단위 대기컨베이어(621)에 순차적으로 집하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일측 대기 디버터유닛(61a)의 단위 대기디버터(611)를 통해 대기 컨베이어유닛(62)의 단위 대기컨베이어(621)에 정렬 집하된 원료팔레트(p)는, 흑연화로(a)의 열처리 공정 일정에 따라 선입선출 방식으로 타측 대기 디버터유닛(61b)과 반입리프터(31)를 거쳐 제1이송유닛(10)으로 반입된다.
이와 같이, 장입을 위한 원료도가니의 팔레트 이송은 제1이송유닛(10)에서, 그리고 인조흑연 수거를 위한 팔레트 이송은 제2이송유닛(20)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통해 팔레트 간섭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5이송유닛(50) 근처에 후처리부가 구성되어 있어 도가니와 팔레트의 재사용이 원활히 이루어짐으로써 공정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간섭 문제가 해소됨으로 인해 장입을 앞둔 다수의 원료팔레트(p)를 제1이송유닛(10) 상에 대기시키면, 동절기와 같이 저온 환경에서 흑연화로(a)의 열기로 원료도가니를 예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열처리 공정시간 단축과 전열비용 절감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제1이송유닛
20: 제2이송유닛
30: 제3이송유닛
31: 반입리프터 32: 반출리프터
35a: 제1전환컨베이어 35b: 제2전환컨베이어
40: 제4이송유닛
41: 쿨링 디버터유닛 42: 쿨링 컨베이어유닛
411: 단위 쿨링디버터 421: 단위 쿨링컨베이어
50: 제5이송유닛
51: 컨베이어 52a: 제1디버터
52b: 제1디버터
60: 제6이송유닛
61: 대기 디버터유닛 611: 단위 대기디버터
62: 대기 컨베이어유닛 621: 단위 대기컨베이어

Claims (8)

  1.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그 길이 방향(x)으로 설치되고, 원료팔레트(p)를 장입 대상 흑연화로(a') 지점으로 이송하는 한편 도가니 장입 후 빈 팔레트(r)를 반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제1이송유닛(10);
    베이스 구조물 상부에 그 길이 방향(x)으로 제1이송유닛(10)의 측방에 설치되고, 빈 팔레트(r)를 회수 대상 흑연화로(a") 지점으로 이송하는 한편 도가니 회수 후 흑연팔레트(q)를 반출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제2이송유닛(20);
    상기 제1이송유닛(10)의 반입측 및 반출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리프터로 이루어지는 제3이송유닛(30);
    상기 제1이송유닛(10) 및 제2이송유닛(20)의 반출측에 배치되며, 한 쌍의 쿨링 디버터유닛(41)과 상기 쿨링 디버터유닛(41) 사이에 배치되고 집하장소에 해당하는 복수의 쿨링 컨베이어유닛(42)으로 이루어지는 제4이송유닛(40);
    베이스 구조물 외측에 그 길이 방향(x)으로 지상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이송유닛(10)에서 반출된 빈 팔레트(r)를 이송하거나 제4이송유닛(40)에서 배출되는 냉각이 완료된 흑연팔레트(q)를 후속 공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이송하는 제5이송유닛(50); 및
    상기 제1이송유닛(10) 및 제2이송유닛(20)의 반입측에 배치되고, 주입유닛(g)에서 제작된 원료팔레트(p)를 집하한 상태에서 필요시 원료팔레트(p)를 제1이송유닛(10)에 공급하는 제6이송유닛(60);
    으로 이루어지고,
    도가니 장입 작업을 위한 팔레트 이송은 제1이송유닛(10)에서, 도가니 회수 작업을 위한 팔레트 이송은 제2이송유닛(20)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유닛(10) 및 제2이송유닛(20)의 시단측과 말단측에는 제3이송유닛(30)과의 사이에 이송 중인 팔레트의 진행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제1전환컨베이어(35a)와 제2전환컨베이어(35b)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쿨링 디버터유닛(41)은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쿨링디버터(4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쿨링 컨베이어유닛(42)은 상호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쿨링컨베이어(421)로 이루어지되 각 단위 쿨링컨베이어(421)는 상기 단위 쿨링디버터(411)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이송유닛(50)은 컨베이어(51)와 컨베이어(51)의 양 단부에 구비되는 제1, 제2디버터(52a, 5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디버터(52a)는 일측 쿨링 디버터유닛(41a) 측에 구비되며 상기 제2디버터(52b)는 타측 대기 디버터유닛(61b) 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이송유닛(40)과 제6이송유닛(60)의 사이에 배치되되, 제5이송유닛(50)의 측방에 길이 방향으로 흑연도가니에 붙어있는 충전재를 제거하는 크리닝유닛(d), 크리닝 작업을 마친 흑연도가니에 담겨진 인조흑연을 흡기장비로 수거하여 이를 사일로(e')에 저장하는 수거유닛(e), 인조흑연이 수거된 도자기의 크랙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유닛(f), 및 도자기에 원료를 주입하여 원료팔레트(p)를 제작하는 주입유닛(g)이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이송유닛(60)은 한 쌍의 대기 디버터유닛(61)과 상기 대기 디버터유닛(61) 사이에 배치되고 집하장소에 해당하는 복수의 대기 컨베이어유닛(62)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디버터유닛(61)은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대기디버터(611)로 이루어지되, 제5이송유닛(50)의 컨베이어(51)에 연결되는 일측 대기 디버터유닛(61a)과, 제1이송유닛(10) 및 제2이송유닛(20)의 반입측에 배치되는 타측 대기 디버터유닛(61b)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컨베이어유닛(62)은 상호 병렬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 대기컨베이어(621)로 이루어지되, 각 단위 대기컨베이어(621)는 상기 단위 대기디버터(611)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KR1020230053072A 2023-04-24 2023-04-24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KR102570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072A KR102570686B1 (ko) 2023-04-24 2023-04-24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3072A KR102570686B1 (ko) 2023-04-24 2023-04-24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686B1 true KR102570686B1 (ko) 2023-08-31

Family

ID=8784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3072A KR102570686B1 (ko) 2023-04-24 2023-04-24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68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787B1 (ko) * 2020-05-12 2020-10-08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KR102187024B1 (ko) * 2020-07-29 2020-12-04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CN216191101U (zh) * 2021-10-19 2022-04-05 河南佰利新能源材料有限公司 轨道移动式石墨化炉系统
KR20220061407A (ko) 2020-11-06 2022-05-13 신인승 흑연화로 자동화장치
CN115751948A (zh) * 2022-11-18 2023-03-07 湖北顺合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石墨化系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787B1 (ko) * 2020-05-12 2020-10-08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KR102187024B1 (ko) * 2020-07-29 2020-12-04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KR20220061407A (ko) 2020-11-06 2022-05-13 신인승 흑연화로 자동화장치
CN216191101U (zh) * 2021-10-19 2022-04-05 河南佰利新能源材料有限公司 轨道移动式石墨化炉系统
CN115751948A (zh) * 2022-11-18 2023-03-07 湖北顺合装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石墨化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786B1 (ko) 인조흑연 생산 자동화 시스템
KR102541082B1 (ko) 흑연화로 자동화장치
KR102480512B1 (ko) 흑연화로 자동화장치
CN104590218A (zh) 一种电动车能源补给系统
KR102502491B1 (ko) 충전재 평탄화장치
KR102570686B1 (ko)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CN105509465A (zh) 一种辊道窑自动输料装置
CN112573221A (zh) 一种料场智能化皮带传输流程控制系统及方法
CN109129872B (zh) 一种预制构件产存线
KR101932444B1 (ko) 폴리머 셀의 투입 및 배출 자동화 장치
CN216191101U (zh) 轨道移动式石墨化炉系统
RU2287884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й комплекс для формирования и зарядки аккумуляторных батарей при их поточном производстве
WO2023193544A1 (zh) 用于电芯与上盖组装的设备
CN208901746U (zh) 粉体干燥加热生产线
CN113830763A (zh) 轨道移动式石墨化炉系统
CN215477609U (zh) 一种具有自动码砖功能的耐火砖生产系统
KR102599806B1 (ko) 인조흑연 생산시스템
CN220177413U (zh) 加热固化炉
CN216786279U (zh) 一种碳素阳极输送系统
KR102560783B1 (ko) 인조흑연 생산 자동화 장치
KR102480513B1 (ko) 흑연화로용 부자재 장입 및 회수 자동화장치
CN218319544U (zh) 一种石墨化保温料往复输送装置
CN211278928U (zh) 一种循环式智能储坯系统
CN211060640U (zh) 一种长隧道窑炉配套用炉外物料转移系统
KR101586640B1 (ko) 축전지용 스트랩 성형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