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787B1 -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787B1
KR102163787B1 KR1020200056396A KR20200056396A KR102163787B1 KR 102163787 B1 KR102163787 B1 KR 102163787B1 KR 1020200056396 A KR1020200056396 A KR 1020200056396A KR 20200056396 A KR20200056396 A KR 20200056396A KR 102163787 B1 KR102163787 B1 KR 102163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transfer line
filling
raw material
transfer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인승
박형석
Original Assignee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주)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주)이에프씨 filed Critical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6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3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01B32/205Pr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2Crucible or pot furnaces with tilting or rock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06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10Crucibles
    • F27B14/12Cov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06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 F27B2014/0812Continuously char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를 도가니 내로 충진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원료의 균일 충진, 도가니 파손 예방 및 작업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료 저장탱크로부터 분체 상태의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 이송라인; 무인이송대차에 탑재된 다수의 도가니로부터 도가니 몸체와 뚜껑을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도가니 분리 로봇;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에 의해 분리된 도가니 몸체가 이송되는 제1 이송라인;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에 의해 분리된 뚜껑이 이송되는 제2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된 도가니 몸체 내부로 원료를 자동으로 충진시키는 충진부; 및 상기 제1 이송라인 상의 충진부를 통과한 도가니 몸체에 상기 제2 이송라인으로 이송된 뚜껑을 덮어 조립한 상태의 도가니를 무인이송대차에 적재하는 도가니 적재 로봇;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Automatic filling and processing apparatus of raw material for artificial graphite production}
본 발명은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를 도가니 내로 충진하고 이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를 도가니 내로 충진하고 처리하는 공정을 모두 자동화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조흑연은 이차전지용 음극재, 제철·제강용 전극봉, 방전가공전극, 핵융합로, 반도체 및 태양전지 등의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조흑연은 천연흑연에 비해 흑연화도가 낮고 제조 공정 비용으로 인해 가격이 높은 단점이 있지만 수명 특성이 상대적으로 우수한 장점이 있어, 특히 이차전지의 음극재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인조 흑연은 원료를 도가니에 투입한 상태에서 흑연도가니를 3000℃로 2~3일 정도 가열 처리하고, 후속 공정의 실시를 위하여 적정 온도 이하로 자연 냉각시켜 제조된다.
그리고 통상 상기한 바와 같은 인조 흑연 제조에 있어서 공업적인 흑연화 처리는 애치슨로에서 행해지며, 상기 애치슨로는 직육면체의 용기 안에 충전재를 채우고, 그 안에 흑연도가니를 매립한 후 전류를 통하여 거기서 발생하는 저항열로 흑연도가니를 간접 가열함으로써 흑연도가니 내의 원료를 흑연화 처리하게 된다.
다만, 종래의 인조흑연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원료를 도가니 내부에 충진하는 공정은 작업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도가니 내부에 충진되는 원료의 양이 균일하지 못하고 원료의 투입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도가니가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하며 작업시간이 길어져 생산성도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3219호(2015. 09. 09.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73951호(2015. 07. 01. 공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를 도가니 내로 충진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원료의 균일 충진, 도가니 파손 예방 및 작업시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는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는, 원료 저장탱크로부터 분체 상태의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 이송라인; 무인이송대차에 탑재된 다수의 도가니로부터 도가니 몸체와 뚜껑을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도가니 분리 로봇;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에 의해 분리된 도가니 몸체가 이송되는 제1 이송라인;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에 의해 분리된 뚜껑이 이송되는 제2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된 도가니 몸체 내부로 원료를 자동으로 충진시키는 충진부; 및 상기 제1 이송라인 상의 충진부를 통과한 도가니 몸체에 상기 제2 이송라인으로 이송된 뚜껑을 덮어 조립한 상태의 도가니를 무인이송대차에 적재하는 도가니 적재 로봇;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는, 상기 충진부가 상기 충진부의 각 구성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과, 원료를 도가니 몸체 내에 투입하기 전에 원료가 일시 저장되는 서비스 호퍼와, 저장된 원료를 포함한 상기 서비스 호퍼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과, 상기 서비스 호퍼 하단에 연결되어 도가니 몸체 내로의 원료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밸브부와, 상기 충진부 내측으로 이송된 도가니 몸체 상부를 원료가 투입되는 동안 폐쇄하는 커버 개폐부와, 상기 밸브부와 상기 커버 개폐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충진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는, 상기 서비스 호퍼 상면에 상기 원료 이송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서비스 호퍼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1 압력조절덕트가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는, 상기 로드셀은 일측이 상기 서비스 호퍼의 상부 측면에 고정된 브래킷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 일측에 고정되며 원주상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는, 상기 커버 개폐부는 도가니 몸체 상부를 덮을 수 있게 제작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연결되어 이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는, 상기 커버 상면에는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에 의해 폐쇄된 도가니 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탈기관이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는, 상기 충진부 내의 하부에 구비되어 도가니를 진동시키는 진동부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는, 원료 저장탱크로부터 분체 상태의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 이송라인; 무인이송대차에 탑재된 다수의 도가니로부터 도가니 몸체와 뚜껑을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도가니 분리 로봇;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에 의해 분리된 도가니 몸체가 이송되는 제1 이송라인;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에 의해 분리된 뚜껑이 이송되는 제2 이송라인; 상기 제1 이송라인의 일측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되는 도가니 몸체 내부로 상기 원료 이송라인으로 이송된 원료를 자동으로 정량만큼 충진하는 제1 충진부; 상기 제1 충진부에서 원료가 충진되어 이송된 도가니 몸체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 상기 진동부를 통과한 도가니 몸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 중량측정부; 상기 제1 중량측정부의 측정 결과 중량이 소정 목표에 미달인 경우 상기 원료 이송라인으로 이송된 원료를 재차 도가니 몸체 내부로 충진하는 제2 충진부; 상기 제2 충진부에서 원료가 재차 충진된 도가니 몸체의 중량을 다시 한번 측정하는 제2 중량측정부; 상기 제2 중량측정부에서의 측정 중량이 소정 목표에 미달인 경우 도가니 몸체가 이송되는 제3 이송라인; 및 상기 제2 중량측정부를 통과한 도가니 몸체와 상기 제2 이송라인으로 이송된 뚜겅을 덮어 조립한 상태의 도가니를 무인이송대차에 적재하는 도가니 적재 로봇;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에 의하면, 도가니 내로의 원료 충진 공정이 자동화됨으로써 종래의 수작업시에 비해 도가니 내부로 원료를 균일한 양으로 충진할 수 있고, 로봇에 의한 도가니의 이동이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도가니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로봇과 컨베이어 시스템으로 인하여 작업 시간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의 충진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의 변형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조흑연을 생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모든 재료가 분체 상태로 혼합되어 있는 것을 "원료"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는 원료 이송라인(100), 도가니 분리 로봇(200), 제1 이송라인(300), 제2 이송라인(400), 충진부(500) 및 도가니 적재 로봇(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별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상기 원료 이송라인(100)은 상기 복수의 원료 저장탱크(10)로부터 에어를 이용해 분체 상태의 원료가 이송되는 통로이다.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200)은 무인이송대차(A)에 탑재된 다수의 도가니(710)로부터 도가니의 몸체(713)와 뚜겅(715)을 분리해 상기 제1 이송라인(300)과 제2 이송라인(400)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1 이송라인(300)은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200)에 의해 분리된 도가니 몸체(713)가 이송되는 컨베이어 라인으로서, 롤러 컨베이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이송라인(400)은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200)에 의해 분리된 뚜껑(715)이 이송되는 컨베이어 라인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송라인(300)과 제2 이송라인(400)에는 도가니 몸체(713)와 뚜껑(715) 상부로 공중에 부유하는 이물질이 안착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림막(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림막(150)은 각 이송라인의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되,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200)과 도가니 적재 로봇(600)의 작업을 방해하지 않도록 각 이송라인의 길이 보다 짧게 구성된다.
상기 충진부(500)는 상기 제1 이송라인(300)의 일측 상부에 마련되되, 상기 제1 이송라인(300)을 따라 상기 충진부(500) 내측으로 이송된 도가니 몸체(713) 내부에 원료를 자동으로 정량만큼 충진하는 장치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충진부(500)는 지지프레임(510), 서비스 호퍼(520), 로드셀(530), 밸브부(540), 커버 개폐부(550) 및 충진관(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510)은 상기 충진부(500)의 각 구성품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서비스 호퍼(520)는 원료를 도가니 몸체(713) 내에 투입하기 전에 원료가 일시 저장되는 곳으로서 설계 규격에 따라 저장 용량이 정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비스 호퍼(520)는 그 상면에 상기 원료 이송라인(100)과 제1 압력조절덕트(525)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원료 이송라인(100)을 통해 원료가 상기 서비스 호퍼(520) 내부로 투입되고, 이와 같이 원료가 투입되면 서비스 호퍼(52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므로 원료의 원활한 투입을 위하여 압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압력조절덕트(525)를 구비하여 상기 서비스 호퍼(520)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1 압력조절덕트(525)에는 필터(525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드셀(530)은 저장된 원료를 포함한 상기 서비스 호퍼(520)의 무게를 측정하는 구성으로서, 일측은 상기 서비스 호퍼(520)의 상부 측면에 고정된 브래킷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프레임(510) 상부 일측에 고정되며, 정밀한 측정을 위하여 원주상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부(540)는 상기 서비스 호퍼(520) 하단에 연결되어 도가니 몸체(713) 내로의 원료의 투입량을 조절하고, 오토밸브(541) 및 로터리밸브(5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오토밸브(541)는 상기 서비스 호퍼(520) 하단을 개폐하는 밸브로서, 상기 서비스 호퍼(520) 내부로 원료가 이송되기 전에 폐쇄되고, 상기 서비스 호퍼(520)로부터 도가니 몸체(713) 내부로 원료가 투입될 때 개방되도록 제어된다.
상기 로터리밸브(542)는 상기 오토밸브(541)가 개방되면서 도가니 몸체(713) 내부로 원료가 투입될 때 원료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밸브이다.
상기 커버 개폐부(550)는 상기 충진부(500) 내측으로 이송된 도가니 몸체(713) 상부를 원료가 투입되는 동안 폐쇄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가니 몸체(713) 상부를 덮을 수 있게 제작된 커버(551)와, 상기 커버(551)에 연결되어 이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553)를 포함한다.
상기 충진관(560)은 상기 로터리밸브(542) 하단과 상기 커버(551) 상면을 연결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커버(551)를 도가니 몸체(713) 상부에 밀착시킬 때 커버의 움직임을 어느 정도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충진관(560)은 플렉시블하게 구성된다.
한편, 도가니 몸체(713) 내부로 투입되는 분체 상태의 원료는 비중이 낮아 투입되면서 원료 사이에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고 이곳에 공기가 채워져 투입되는 원료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바, 본 발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탈기관(570)을 더 구비한다.
상기 탈기관(570)은 상기 커버(551) 상면 일측에 구비되고 진공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551)에 의해 폐쇄된 도가니 몸체(713)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공극에 존재하는 공기를 빼내게 된다.
이로 인하여 도가니 몸체(713) 내로 투입되는 원료의 부피가 커지는 것이 방지되어 투입되는 원료량을 정량으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551) 상면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커버(551)에 의해 폐쇄된 도가니 몸체(713) 내부의 압력 상승을 제한하는 제2 압력조절덕트(57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진부(500) 내측으로 이송된 도가니 몸체(713)는 원료 투입 작업을 위해 그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본 발명에서는 스토퍼(S)를 마련하여 도가니 몸체(713)의 추가적인 이동을 제한하도록 한다.
또한, 도가니 몸체(713) 내부로 투입되는 분체 상태의 원료는 비중이 낮아 투입되면서 원료 사이에 다수의 공극이 형성되는바, 이러한 공극에 존재하는 공기를 더욱 효과적으로 빼내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진동부(58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580)는 도가니 몸체(713)에 진동력을 가하기 위한 구동부(581)와, 상기 구동부(581) 상부에 고정되는 지지대(583)와, 상기 지지대(583) 상부에 고정되되 상기 제1 이송라인(300)의 롤러 사이로 승강할 수 있는 다수의 지지핀(585)과, 상기 지지대(583)를 승강시키는 에어실린더(587)로 이루어진다.
위와 같은 진동부(58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이송라인(300)의 컨베이어 형식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도가니 적재 로봇(600)은 상기 제1 이송라인(300) 상의 충진부(500)를 통과한 도가니 몸체(713)에 상기 제2 이송라인(400)으로 이송된 뚜겅(715)을 덮어 조립한 상태의 도가니(710)를 무인이송대차(A)에 적재한다.
그 후, 무인이송대차(A)에 도가니(710)가 모두 적재되면 무인이송대차(A)는 자동으로 도가니 열처리부로 이동한다.
한편,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200)과 도가니 적재 로봇(600)의 근처에 각 로봇의 작업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컨트롤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가니 내로의 원료 충진 공정이 자동화됨으로써 종래의 수작업시에 비해 도가니 내부로 원료를 균일한 양으로 충진할 수 있고, 삽으로 원료를 퍼서 도가니 내로 투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해 도가니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작업 시간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시 작업량 증대가 필요할 경우를 대비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이송라인(300')을 추가로 구비하고, 이에 따라 충진부(500')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이송라인(300, 300') 사이를 연결하는 컨베이어(350')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원료 이송라인(100"), 도가니 분리 로봇(200"), 제1 이송라인(300"), 제2 이송라인(400"), 제1 충진부(500"), 진동부(600"), 제1 중량측정부(700"), 제2 충진부(550"), 제2 중량측정부(750"), 제3 이송라인(800") 및 도가니 적재 로봇(9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료 이송라인(100"), 도가니 분리 로봇(200"), 제1 이송라인(300") 및 제2 이송라인(400")은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 충진부(500")는 상기 제1 이송라인(300")의 일측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300")을 따라 이송되는 도가니 몸체(713) 내부로 상기 원료 이송라인(100")으로 이송된 원료를 자동으로 정량만큼 충진한다.
상기 진동부(600")는 상기 제1 충진부(500")에서 원료가 충진되어 이송된 도가니 몸체(713)에 진동을 가하여 도가니 몸체(713) 내부에 충진된 원료의 공극에 존재하는 공기를 빼내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 중량측정부(700")는 상기 진동부(600")를 통과한 도가니 몸체(713)의 무게를 측정함으로써 도가니 몸체(713) 내에 정량의 원료가 충진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제2 충진부(500")는 상기 제1 중량측정부(700")의 측정 결과 도가니 몸체(713) 내부로 정량의 원료가 충진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즉, 중량이 소정 목표에 미달인 경우 상기 원료 이송라인(100")으로 이송된 원료를 재차 도가니 몸체(713) 내부로 충진한다.
상기 제2 중량측정부(750")는 상기 제2 충진부(500")에서 원료가 재차 충진된 도가니 몸체(713)의 중량을 다시 한번 측정한다.
이때, 중량이 소정 목표에 도달한 경우 도가니 몸체(713)를 통과시키고, 중량이 소정 목표에 미달인 경우 해당 도가니 몸체(713)를 제3 이송라인(800")으로 이송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 중량측정부(750")에 위치하는 컨베이어는 이송물체의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이송라인(800")은 상기 제2 중량측정부(750")에서의 측정 중량이 소정 목표에 미달인 경우 도가니 몸체(713)를 다시 환류 이송하는 컨베이어 라인으로서, 그 라인의 말단은 상기 제2 충진부(500)의 전단 즉, 도가니 몸체(713)가 상기 제2 충진부(500)로 진입하기 전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도가니 적재 로봇(900")은 상기 제2 중량측정부(750")를 통과한 도가니 몸체(713)와 상기 제2 이송라인(400")으로 이송된 뚜겅(715)을 덮어 조립한 상태의 도가니를 무인이송대차(A)에 적재한다.
그리고 상기 제1 이송라인(300"), 제2 이송라인(400") 및 제3 이송라인(800")에는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림막(15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상기 무인이송대차(A)는 본 발명의 공정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로 주행로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고, 충돌 방지를 위한 근접 센서, 장애물을 검지하기 위한 레이저센서 및 무인이송대차의 정지 위치를 보정하거나 장애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카메라를 구비하며, 적재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승강 가능한 지지구조를 구비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100": 원료 이송라인 150, 150": 가림막
200, 200": 도가니 분리 로봇 300, 300": 제1 이송라인
400, 400": 제2 이송라인 500: 충진부
500": 제1 충진부 550": 제2 충진부
600: 도가니 적재 로봇 600": 진동부
700": 제1 중량측정부 750": 제2 중량측정부
800": 제3 이송라인 900": 도가니 적재 로봇

Claims (8)

  1. 원료 저장탱크(10)로부터 분체 상태의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 이송라인(100);
    무인이송대차(A)에 탑재된 다수의 도가니(710)로부터 도가니 몸체(713)와 뚜껑(715)을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도가니 분리 로봇(200);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200)에 의해 분리된 도가니 몸체(713)가 이송되는 제1 이송라인(300);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200)에 의해 분리된 뚜껑(715)이 이송되는 제2 이송라인(400);
    상기 제1 이송라인(300)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300)을 따라 이송된 도가니 몸체(713) 내부로 원료를 자동으로 충진시키는 충진부(500); 및
    상기 제1 이송라인(300) 상의 충진부(500)를 통과한 도가니 몸체(713)에 상기 제2 이송라인(400)으로 이송된 뚜껑(715)을 덮어 조립한 상태의 도가니(710)를 무인이송대차(A)에 적재하는 도가니 적재 로봇(600);
    을 포함하고,
    상기 충진부(500)는
    상기 충진부(500)의 각 구성품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510)과,
    원료를 도가니 몸체(713) 내에 투입하기 전에 원료가 일시 저장되는 서비스 호퍼(520)와,
    저장된 원료를 포함한 상기 서비스 호퍼(520)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530)과,
    상기 서비스 호퍼(520) 하단에 연결되어 도가니 몸체(713) 내로의 원료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밸브부(540)와,
    상기 충진부(500) 내측으로 이송된 도가니 몸체(713) 상부를 원료가 투입되는 동안 폐쇄하는 커버 개폐부(550)와,
    상기 밸브부(540)와 상기 커버 개폐부(550)의 일측을 연결하는 충진관(5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호퍼(520) 상면에
    상기 원료 이송라인(100)이 연결되고,
    상기 서비스 호퍼(520)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 상승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제1 압력조절덕트(525)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셀(530)은
    일측이 상기 서비스 호퍼(520)의 상부 측면에 고정된 브래킷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프레임(510) 상부 일측에 고정되며 원주상 동일한 간격으로 복수 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개폐부(550)는
    도가니 몸체(713) 상부를 덮을 수 있게 제작된 커버(551)와, 상기 커버(551)에 연결되어 이를 상하 이동시키는 실린더(5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551) 상면에는
    진공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커버(551)에 의해 폐쇄된 도가니 몸체(713)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키는 탈기관(5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500) 내의 하부에 구비되어 도가니를 진동시키는 진동부(58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8. 원료 저장탱크(10)로부터 분체 상태의 원료가 이송되는 원료 이송라인(100");
    무인이송대차(A)에 탑재된 다수의 도가니(710)로부터 도가니 몸체(713)와 뚜껑(715)을 분리하여 이동시키는 도가니 분리 로봇(200");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200")에 의해 분리된 도가니 몸체(713)가 이송되는 제1 이송라인(300");
    상기 도가니 분리 로봇(200")에 의해 분리된 뚜껑(715)이 이송되는 제2 이송라인(400");
    상기 제1 이송라인(300")의 일측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제1 이송라인(300")을 따라 이송되는 도가니 몸체(713) 내부로 상기 원료 이송라인(100")으로 이송된 원료를 자동으로 정량만큼 충진하는 제1 충진부(500");
    상기 제1 충진부(500")에서 원료가 충진되어 이송된 도가니 몸체(713)에 진동을 가하는 진동부(600");
    상기 진동부(600")를 통과한 도가니 몸체(713)의 무게를 측정하는 제1 중량측정부(700");
    상기 제1 중량측정부(700")의 측정 결과 중량이 소정 목표에 미달인 경우 상기 원료 이송라인(100")으로 이송된 원료를 재차 도가니 몸체(713) 내부로 충진하는 제2 충진부(550");
    상기 제2 충진부(550")에서 원료가 재차 충진된 도가니 몸체(713)의 중량을 다시 한번 측정하는 제2 중량측정부(750");
    상기 제2 중량측정부(750")에서의 측정 중량이 소정 목표에 미달인 경우 도가니 몸체(713)를 다시 환류 이송하는 제3 이송라인(800"); 및
    상기 제2 중량측정부(750")를 통과한 도가니 몸체(713)와 상기 제2 이송라인(400")으로 이송된 뚜겅(715)을 덮어 조립한 상태의 도가니를 무인이송대차(A)에 적재하는 도가니 적재 로봇(9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KR1020200056396A 2020-05-12 2020-05-12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KR102163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396A KR102163787B1 (ko) 2020-05-12 2020-05-12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396A KR102163787B1 (ko) 2020-05-12 2020-05-12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3787B1 true KR102163787B1 (ko) 2020-10-08

Family

ID=7289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396A KR102163787B1 (ko) 2020-05-12 2020-05-12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378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21B1 (ko) * 2022-09-27 2023-05-11 (주)포스코퓨처엠 인조 흑연 원료 충진 자동화 시스템
KR102530922B1 (ko) * 2022-09-27 2023-05-11 (주)포스코퓨처엠 인조 흑연 원료 충진 자동화 시스템
KR102530923B1 (ko) * 2022-09-27 2023-05-11 (주)포스코퓨처엠 인조 흑연 원료 충진 자동화 시스템
KR102570686B1 (ko) * 2023-04-24 2023-08-31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5768B2 (ja) * 2002-04-12 2005-08-24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改良されたドラム缶蓋自動開閉装置、ドラム缶内容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243579B1 (ko) * 2010-07-02 2013-03-20 조원석 연속 결정성장을 위한 상부 도킹식 원료 공급장치
KR20140089186A (ko) * 2013-01-04 2014-07-14 신중광 싱글라인 화장품 충전장치
KR20150073951A (ko) 2012-10-24 2015-07-01 도까이 카본 가부시끼가이샤 리튬 이차전지 음극재용 흑연분말의 제조방법
KR20150103219A (ko) 2013-02-04 2015-09-09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온 2차 전지 부극 활물질용 흑연 분말
KR101807674B1 (ko) * 2016-03-22 2017-12-11 (주)창신아이엔씨 원료 자동 계량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71712B1 (ko) * 2019-11-12 2020-01-30 지원호 2차전지 원료 정밀정량 충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85768B2 (ja) * 2002-04-12 2005-08-24 関西ペイント株式会社 改良されたドラム缶蓋自動開閉装置、ドラム缶内容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243579B1 (ko) * 2010-07-02 2013-03-20 조원석 연속 결정성장을 위한 상부 도킹식 원료 공급장치
KR20150073951A (ko) 2012-10-24 2015-07-01 도까이 카본 가부시끼가이샤 리튬 이차전지 음극재용 흑연분말의 제조방법
KR20140089186A (ko) * 2013-01-04 2014-07-14 신중광 싱글라인 화장품 충전장치
KR20150103219A (ko) 2013-02-04 2015-09-09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리튬 이온 2차 전지 부극 활물질용 흑연 분말
KR101807674B1 (ko) * 2016-03-22 2017-12-11 (주)창신아이엔씨 원료 자동 계량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071712B1 (ko) * 2019-11-12 2020-01-30 지원호 2차전지 원료 정밀정량 충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0921B1 (ko) * 2022-09-27 2023-05-11 (주)포스코퓨처엠 인조 흑연 원료 충진 자동화 시스템
KR102530922B1 (ko) * 2022-09-27 2023-05-11 (주)포스코퓨처엠 인조 흑연 원료 충진 자동화 시스템
KR102530923B1 (ko) * 2022-09-27 2023-05-11 (주)포스코퓨처엠 인조 흑연 원료 충진 자동화 시스템
KR102570686B1 (ko) * 2023-04-24 2023-08-31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흑연화로용 팔레트 이송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3787B1 (ko) 인조흑연 생산용 원료의 자동 충진 및 처리장치
KR102163786B1 (ko) 인조흑연 생산 자동화 시스템
KR102541082B1 (ko) 흑연화로 자동화장치
KR102315610B1 (ko) 수직형 흑연화로 시스템
CN109306513B (zh) 物料供给装置以及晶体生长系统
CN101541980B (zh) 将还原铁从容器装入熔炼炉或最后工序机的方法和装置
KR102154171B1 (ko) 분체 일괄처리 시스템
CN205396710U (zh) 一种颗粒料自动装钵装置
KR102502491B1 (ko) 충전재 평탄화장치
CN114394342A (zh) 一种石墨负极材料坩埚自动装料系统
KR102480512B1 (ko) 흑연화로 자동화장치
KR101657452B1 (ko) 장입 리프팅 장치
CN116534601A (zh) 一种碳化硅粉料的自动装料装置及装料方法
KR101603322B1 (ko) 양하장치
JP7438518B2 (ja) オーガー式粉体充填装置
CN212606142U (zh) 一种电子定量包装秤
US20220033114A1 (en) Filling unit and method for filling containers
CN207713033U (zh) 一种定量装车装置
CN212068729U (zh) 液体自动定量加料装置
CN218621125U (zh) 一种单晶炉用加料器自动加料系统
CN217894535U (zh) 一种石墨化坩埚自动装卸料系统
KR102560782B1 (ko) 수직형 흑연화로 시스템
CN210261129U (zh) 冶炼炉装料装置及冶炼炉
CN214694394U (zh) 一种稀土电解用加料机
CN218024285U (zh) 一种固态酶解制剂发酵用填装及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