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76046A -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76046A
KR20160076046A KR1020140185705A KR20140185705A KR20160076046A KR 20160076046 A KR20160076046 A KR 20160076046A KR 1020140185705 A KR1020140185705 A KR 1020140185705A KR 20140185705 A KR20140185705 A KR 20140185705A KR 20160076046 A KR20160076046 A KR 20160076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cible
take
powder
crucibles
alig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5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희준
윤원규
Original Assignee
희성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5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76046A/ko
Publication of KR20160076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6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4/00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Details peculiar to crucible or pot furnaces
    • F27B14/0806Charging or discharg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s of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unnel Furnace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성로에서 소성이 완료된 분체를 담지한 복수의 도가니를 컨베이어(conveyor)를 통해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도가니로부터 분체를 취출하는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도가니를 지지하며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분체 취출 위치로 이동하는 팔레트와, 상기 분체 취출 위치에서 상기 팔레트 상의 상기 복수의 도가니를 정위치로 정렬시키는 정렬 장치와, 상기 분체 취출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도가니로부터 분체를 취출하는 취출 장치, 그리고 상기 분체 취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 장치와 상기 취출 장치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AUTO TAKE OUT SYSTEM FOR POWDER IN A CRUCIBLE}
본 발명은 도가니 내에 있는 분체를 자동으로 취출하기 위한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하여 원하는 화학적 기계적 특성을 얻기 위한 소성 공정에서는 분체를 소성하기 위해 도가니에 넣어서 소성시키고 있다.
종래에는 소성이 완료된 분체를 작업자가 직접 분체를 이송하는 통에 부어주는 수작업을 하게 되면서 반복 작업에 의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과 발생하는 분진에 의한 폐질환이 우려되는 등 작업자의 건강이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 중에 발생된 분진은 주변 설비 및 공장의 오염이라는 부차적인 문제점도 야기하고 있다.
이에, 작업자가 도가니를 뚜껑을 열고 노즐을 넣어 도가니로부터 분체를 취출 및 운반하여 일부 문제는 해결하였으나, 여전히 소성로가 있는 고온의 작업 환경에서 분진에 노출된 채 작업자가 작업을 하므로, 작업자의 건강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으로 도가니의 뚜껑을 개폐하고 도가니 내 분체를 취출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은 소성로에서 소성이 완료된 분체를 담지한 복수의 도가니를 컨베이어(conveyor)를 통해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도가니로부터 분체를 취출한다. 상기한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도가니를 지지하며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분체 취출 위치로 이동하는 팔레트와, 상기 분체 취출 위치에서 상기 팔레트 상의 상기 복수의 도가니를 정위치로 정렬시키는 정렬 장치와, 상기 분체 취출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도가니로부터 분체를 취출하는 취출 장치, 그리고 상기 분체 취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 장치와 상기 취출 장치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한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은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팔레트가 상기 분체 취출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와,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컨베이어를 정지시키고 상기 정렬 장치 및 상기 취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렬 장치는 상기 팔레트 위에 놓인 상기 복수의 도가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사각틀 형상의 정렬 프레임과, 상기 정렬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 프레임에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도가니 사이마다 위치하고 상기 도가니의 외면과 접촉하면서 상하로 구르는 복수의 정렬 롤러, 그리고 상기 정렬 프레임을 상하로 왕복 운동 시키는 정렬 프레임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렬 롤러는 주판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정렬 롤러는 상기 도가니의 소재인 세라믹보다 상대적으로 무른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취출 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영역에 보관되며 상기 복수의 도가니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도가니 내부의 분체를 진공 흡입하여 취출하는 하나 이상의 취출 노즐과, 상기 취출 노즐을 파지하는 노즐 그립부, 그리고 상기 노즐 그립부를 상하 전후 좌우를 포함하는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그립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립 이송부는 상기 취출 노즐이 상기 도가니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도가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취출 노즐을 휘돌릴 수 있다.
상기 그립 이송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구동 모터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랙 앤 피이언(rack and pinion) 기어 또는 볼스크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도가니는 각각 상부에 형성된 입구를 개폐하는 도가니 뚜겅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취출 장치는 상기 도가니 뚜겅을 흡착하는 진공 패드와, 상기 진공 패드를 상하 운동시키는 패드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은 자동으로 도가니의 뚜껑을 개폐하고 도가니 내 분체를 취출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101)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101)은 소성로에서 소성이 완료된 분체를 담지한 복수의 도가니(100)를 컨베이어(conveyor)를 통해 공급받아 복수의 도가니(100)로부터 분체를 취출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소성로와 컨베이어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켄베이어는 소성로 내에서 외부로 복수의 도가니(100)를 지지한 팔레트(200)를 이송시키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101)은 컨베이어의 일 영역에 설치된다. 여기서, 컨베이어의 일 영역은 도가니(100) 내 분체의 취출 위치가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101)은 팔레트(200), 정렬 장치(300), 취출 장치(500), 및 메인 프레임(80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101)은 감지 센서부(600)와 제어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팔레트(200)는 복수의 도가니(100)를 지지하며 컨베이어를 통해 소성로에서 분체 취출 위치로 이동한다.
일례로, 팔레트(200)는 9개의 도가니(1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도가니들(100)은 3x3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도가니(100)는 각각 상부에 형성된 입구를 개폐하는 도가니 뚜겅(15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레임(800)은 도가니(100) 내의 분체를 취출하고자 하는 분체 취출 위치에 설치된다. 메인 프레임(800)은 후술할 정렬 장치(300)와, 취출 장치(500), 그리고 감지 센서부(600)를 지지한다. 또한, 메인 프레임(800)은 정렬 장치(300)와 취출 장치(500)의 움직임을 가이드한다.
일례로, 메인 프레임(8000은 고온의 환경에서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녹이 슬지 않는 내열 소재인 합금공구강(STS)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감지 센서부(600)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는 팔레트(200)가 분체 취출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제어부(700)에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700)는 감지 센서부(600)로부터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컨베이어를 정지시키고, 후술할 정렬 장치(300) 및 취출 장치(5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700)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으로 감지 센서부(600), 정렬 장치(300), 및 취출 장치(500)와 신호 연결될 수 있다.
감지 센서부(600)는 포토 센서 또는 리미트 센서 등 물체를 감지하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센서부(600)는 센서와 센서가 감지한 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정렬 장치(300)는 분체 취출 위치에서 팔레트(200) 상의 복수의 도가니(100)를 정위치로 정렬시킨다. 일례로, 3x3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도가니들(100)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정렬시킨다.
팔레트(200)에 실린 복수의 도가니(100)는 소성로에서 소성 공정 중이나 컨베이어에 의해 이동 중에 미세하게 움직일 수 있으므로, 정렬 장치(300)는 도가니(100) 내 분체를 취출하기 전에 다시 팔레트(200)에 실린 도가니들(100)을 정위치로 정렬시켜준다.
구체적으로, 정렬 장치(300)는 정렬 프레임(310)과, 복수의 정렬 롤러(330), 그리고 정렬 프레임 이송부(350)를 포함한다.
정렬 프레임(310)은 팔레트(200) 위에 놓인 복수의 도가니(100)를 둘러싸도록 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정렬 프레임(310)은 섭씨 600도 내지 섭씨 900도에 달하는 고온의 도가니(100)에 근접하므로, 녹이 슬지 않는 내열 소재인 합금공구강(STS)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정렬 롤러(330)는 정렬 프레임(310)에 설치되어 정렬 프레임(310)에 인접한 두 개의 도가니(100) 사이마다 위치하고 도가니(100)의 외면과 접촉하면서 상하로 구르는 것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정렬 롤러(330)는 주판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정렬 롤러(330)가 서로 이웃한 도가니(100) 사이를 가압하여 효과적으로 복수의 도가니(100)를 정위치로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정렬 롤러(300)는 도가니(100)의 소재인 세라믹보다 상대적으로 무른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정렬 롤러(300)는 우레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세라믹으로 만들어진 도가니(100)는 취성이 강하기 때문에 정렬 롤러(330)가 무르지 않으면 정렬 과정에서 도가니가 쉽게 손상될 수 있다.
정렬 프레임 이송부(350)는 메인 프레임(800)에 설치되어 정렬 프레임(310)을 상하로 왕복 운동 시킨다. 구체적으로, 정렬 프레임 이송부는 정렬 프레임을 메인 프레임(800)의 상부에 대기시켰다가 팔레트(200)가 분체 취출 위치에 진입하면, 정렬 프레임(310)을 아래도 이동시켜 복수의 도가니(100)를 정렬시킨다. 즉, 정렬 프레임(310)이 아래로 이동하면서 정렬 프레임(310)의 내측으로 복수의 도가니(100)가 위치하게 되면, 정렬 프레임(310)에 설치된 복수의 정렬 롤러(330)가 복수의 도가니(100)와 접촉하면서 정위치로 정렬시킨다.
또한, 정렬 프레임 이송부(350)는 복수의 도가니(100)가 정위치로 정렬된 이후에 바로 정렬 프레임(310)을 상승시키지 않고 대기하다가 후술할 취출 장치(500)가 도가니(100) 내 분체의 취출을 종료한 이후에 정렬 프레임(310)을 상승시킨다. 즉, 취출 장치(500)가 도가니(100) 내 분체를 취출할 때 정렬 프레임(310)과 복수의 정렬 롤러(330)는 복수의 도가니(100)를 정위치 상태로 유지하면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정렬 프레임 이송부(350)는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정렬 프레임 이송부(350)는 해당 기술분야의 종사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이송 수단으로 변경 실시할 수 있다.
취출 장치(500)는 정렬 장치(300)에 의하여 정렬된 복수의 도가니(100)로부터 분체를 취출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취출 장치(500)는 취출 노즐(510)과, 노즐 그립부(520), 그리고 그립 이송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취출 장치(500)는 진공 패드(560)와 패드 이송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취출 노즐(510)은 메인 프레임(800)의 일영역에 보관되며 후술할 노즐 그립부(520)와 그립 이송부(530)를 통해 이동한다. 취출 노즐(510)이 복수의 도가니(100) 내부에 삽입되면 도가니(100) 내부의 분체를 진공 흡입하여 취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취출 노즐(510)은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다. 취출 노즐(510)이 복수개 마련된 경우, 소성로의 특성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노즐 그립부(520)는 취출 노즐(510)을 파지하고, 그립 이송부(530)는 취출 노즐(510)을 파지한 노즐 그립부(520)를 이동시킨다.
또한, 그립 이송부(530)는 노즐 그립부(520)를 상하 전후 좌우를 포함하는 3축(Z축, X축,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그립 이송부(530)는 메인 프레임(800)에 설치된 복수의 구동 모터(531, 532, 533)와, 메인 프레임(800)에 설치되어 복수의 구동 모터(531, 532, 533)에 의해 동작하는 랙 앤 피이언(rack and pinion) 기어(537, 538) 또는 볼스크류(536)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여기서, 구동 모터(531, 532, 533)로는 제어부(700)에 의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서보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531, 532, 533)는 상하(Z축) 방향 이송을 위한 제1 구동 모터(531), 전후(X축) 방향 이송을 위한 제2 구동 모터(532), 및 좌우(Y축) 방향 이송을 위한 제3 구동 모터(5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X축, Y축 이송을 위한 랙 기어(537, 538)가 각각 메인 프레임(800)에 설치되고, X축, Y축 이송을 위한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제2 구동 모터(532) 및 제3 구동 모터(533)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Z축 이송을 위한 볼스크류(536)가 설치되고, 제3 구동 모터(531)는 볼스크류(536)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랙 기어(537, 538) 및 피니언 기어를 사용한 이송 방식은 볼스크류(536) 또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이송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을 적게 차지할 뿐만 아니라 소음과 진동이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립 이송부(530)는 취출 노즐(510)이 도가니(100) 내부로 삽입되면 도가니(100)의 내주면을 따라 취출 노즐(510)을 휘돌릴 수 있다.
통상 도가니(100)의 내경이 취출 노즐(510)의 외경보다 크므로, 도가니(100)의 내측벽 가까이에 위치한 분체를 효과적으로 취출하기 위해서, 제2 구동 모터(532) 및 제3 구동 모터(533)를 동작시켜 취출 노즐(510)을 도가니(1000 내부에서 회전시킨다.
이에, 도가니(100) 내 분체의 취출 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진공 패드(560)는 도가니 뚜껑(150)을 흡착시키고, 패드 이송부(570)는 진공 패드(560)를 상하 운동시킨다. 즉, 진공 패드(560)가 도가니 뚜껑(150)을 흡착하면 패드 이송부(570)가 진공 패드(560)를 상승시켜 도가니 뚜껑(150)을 열 수 있다.
이와 같이, 취출 노즐(510)을 도가니(100) 내에 삽입시키기 전에 먼저 진공 패드(560)와 패드 이송부(570)를 사용하여 도가니 뚜껑(150)을 자동으로 열수 있다.
또한, 패드 이송부(570)도 공압을 이용한 실린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컨베이어를 두 대의 소성로 사이에 배치하고, 메인 프레임(800)에 두 곳의 분체 취출 위치를 마련하여 각각의 소성로에서 전달받은 팔레트(200) 상의 도가니(100)에 대해 취출 장치(500)를 번갈아 이동시켜가며 취출 작업을 수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정렬 장치(300)는 각각의 분체 취출 위치마다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101)은 자동으로 도가니 뚜껑(150)을 개폐하고 도가니(100) 내 분체를 취출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으로 소성 공정을 완료하고 나온 도가니(100)의 도가니 뚜껑(150)을 개폐하고 도가니(100) 내부의 분체를 취출 노즐(510)을 사용하여 취출하여 후공정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가 분진 및 고온에 노출되지 않으며,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는 등 작업자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두 대의 소성로에서 공급되는 도가니(100)에 대해 연속적으로 처리가 가능하므로, 설비 투자 비용이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두 대의 개별적인 취출 장치(500)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101)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소성로에서 소성 공정을 완료한 복수의 도가니(100)가 팔레트(200) 위에 실려 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이동한다.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던 팔레트(200)가 분체 취출 위치에 진입하면 감지 센서부(60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700)에 감지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부는(700)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컨베이어를 정지시키고 정렬 장치(300)를 동작시킨다.
정렬 장치(300)의 정렬 프레임(310)은 메인 프레임(800)의 상부에서 대기하다가 정렬 프레임 이송부(350)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고, 정렬 프레임(310)에 설치된 복수의 정렬 롤러(300)가 복수의 도가니(100)를 가압하여 소성로 내에서 또는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 중에 정렬이 흐트러진 복수의 도가니(100)를 정위치로 정렬시킨다.
정렬이 완료 된 후 정렬 장치(300)는 바로 원위치로 올라오지 않고 취출 장치(500)에 의한 취출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대기한다. 그리고 정렬이 완료되면, 먼저 패드 이송부(570)가 진공 패드(560)를 이동시켜 도가니 뚜겅(150)을 자동으로 연다. 그리고 메인 프레임(800)에 설치된 제1 구동 모터(531), 제2 구동 모터(532), 및 제3 구동 모터(533)를 동작시켜 노즐 그립부(520)를 이동시켜 보관 장소에 있던 취출 노즐(510)을 파지한 후, 취출 노즐(510)을 도가니(100) 내부로 삽입시킨다.
도가니(100) 내부에 삽입된 취출 노즐(510)은 도가니(100) 내부의 분체를 흡입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킨다.
취출이 완료된 후에도 취출 노즐(510)을 일정 시간 더 가동하여 추가 흡입하면 관로에 남아있는 잔량이 외부로 떨어지지 않고 모두 제거되어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흡입이 종료되면 취출 노즐(510)은 그립 이송부(530)에 의해 보관 위치로 이동한 후 보관된다.
이후, 패드 이송부(570)가 진공 패드(560)를 이동시킨 후, 흡착압을 풀어 도가니 뚜껑(150)으로 도가니(100)의 입구를 폐쇄한다.
그리고 취출 장치(500)는 다른 분체 취출 위치로 이동하여 다른 소성로에서 공급된 도가니(100)에 대해 취출 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도가니
101: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200: 팔레트 300: 정렬 장치
310: 정렬 프레임 330: 정렬 롤러
350: 정렬 프레임 이송부 500: 취출 장치
510: 취출 노즐 520: 노즐 그립부
530: 그립 이송부 531: 제1 구동 모터
532: 제2 구동 모터 533: 제3 구동 모터
536: 볼스크류 537, 538: 랙기어
560: 진공 패드 570: 패드 이송부
600: 감지 센서부 700: 제어부
800: 메인 프레임

Claims (9)

  1. 소성로에서 소성이 완료된 분체를 담지한 복수의 도가니를 컨베이어(conveyor)를 통해 공급받아 상기 복수의 도가니로부터 분체를 취출하는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가니를 지지하며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분체 취출 위치로 이동하는 팔레트;
    상기 분체 취출 위치에서 상기 팔레트 상의 상기 복수의 도가니를 정위치로 정렬시키는 정렬 장치;
    상기 분체 취출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도가니로부터 분체를 취출하는 취출 장치; 및
    상기 분체 취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 장치와 상기 취출 장치를 지지하는 메인 프레임
    을 포함하는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팔레트가 상기 분체 취출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와;
    상기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으면 상기 컨베이어를 정지시키고, 상기 정렬 장치 및 상기 취출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정렬 장치는,
    상기 팔레트 위에 놓인 상기 복수의 도가니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사각틀 형상의 정렬 프레임과;
    상기 정렬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정렬 프레임에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도가니 사이마다 위치하고 상기 도가니의 외면과 접촉하면서 상하로 구르는 복수의 정렬 롤러; 그리고
    상기 정렬 프레임을 상하로 왕복 운동 시키는 정렬 프레임 이송부
    를 포함하는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4. 제3항에서,
    상기 복수의 정렬 롤러는 주판알 형상으로 형성된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5. 제3항에서,
    상기 복수의 정렬 롤러는 상기 도가니의 소재인 세라믹보다 상대적으로 무른 소재로 만들어진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6. 제1항에서,
    상기 취출 장치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영역에 보관되며 상기 복수의 도가니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도가니 내부의 분체를 진공 흡입하여 취출하는 하나 이상의 취출 노즐과;
    상기 취출 노즐을 파지하는 노즐 그립부; 그리고
    상기 노즐 그립부를 상하 전후 좌우를 포함하는 3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그립 이송부
    를 포함하는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그립 이송부는 상기 취출 노즐이 상기 도가니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도가니의 내주면을 따라 상기 취출 노즐을 휘돌리는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8. 제6항에서,
    상기 그립 이송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된 복수의 구동 모터와, 상기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구동 모터에 의해 동작하는 랙 앤 피이언(rack and pinion) 기어 또는 볼스크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9. 제6항에서,
    상기 복수의 도가니는 각각 상부에 형성된 입구를 개폐하는 도가니 뚜겅을 포함하며,
    상기 취출 장치는 상기 도가니 뚜겅을 흡착하는 진공 패드와, 상기 진공 패드를 상하 운동시키는 패드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KR1020140185705A 2014-12-22 2014-12-22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KR20160076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705A KR20160076046A (ko) 2014-12-22 2014-12-22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5705A KR20160076046A (ko) 2014-12-22 2014-12-22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6046A true KR20160076046A (ko) 2016-06-30

Family

ID=56352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5705A KR20160076046A (ko) 2014-12-22 2014-12-22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7604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6531A (zh) * 2019-08-19 2019-12-20 浙江硕和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片加工生产线
CN110967372A (zh) * 2018-09-29 2020-04-07 湖南三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氧弹内坩埚取放系统及取放方法
KR102187024B1 (ko) * 2020-07-29 2020-12-04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KR20220061407A (ko) * 2020-11-06 2022-05-13 신인승 흑연화로 자동화장치
CN116697753A (zh) * 2023-08-10 2023-09-05 四川杉杉新材料有限公司 一种坩埚转移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67372A (zh) * 2018-09-29 2020-04-07 湖南三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氧弹内坩埚取放系统及取放方法
CN110586531A (zh) * 2019-08-19 2019-12-20 浙江硕和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片加工生产线
CN110586531B (zh) * 2019-08-19 2024-01-19 浙江硕和机器人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陶瓷片加工生产线
KR102187024B1 (ko) * 2020-07-29 2020-12-04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인조흑연 수득 및 도가니 처리 자동화장치
KR20220061407A (ko) * 2020-11-06 2022-05-13 신인승 흑연화로 자동화장치
CN116697753A (zh) * 2023-08-10 2023-09-05 四川杉杉新材料有限公司 一种坩埚转移装置
CN116697753B (zh) * 2023-08-10 2023-10-10 四川杉杉新材料有限公司 一种坩埚转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76046A (ko) 도가니 내 분체 자동 취출 시스템
KR102013447B1 (ko) 가공물 자동 적재장치
KR101575691B1 (ko) 초경인서트 검사장치
JP6530710B2 (ja) スタッキングラインシステム、及びブランキングシャーもしくはブランキングプレスからアウトプットされるブランクのスタッキング方法
CN206689058U (zh) 柔性自动上下料系统
CN110668681B (zh) 球镜头用传送装置
EP3280552B1 (en) A stacking line system, and a method for stacking blanks which are outputted from a blanking shear or press
CN206578614U (zh) 一种自动上下料系统
CN104807832A (zh) 硅锭自动精检生产线
JP6179457B2 (ja) アンダードライブ式プレス機のワーク搬送装置
CN108480537B (zh) 一种用于齿轮零件的一体化锻造与检测生产线及其工作方法
CN112093481A (zh) 一种玻璃自动下料机
CN206327893U (zh) 一种姿态可调的搬运机械手
KR101638458B1 (ko) 소재 공급 및 가공품 배출시스템
CN112265700A (zh) 一种钣金零部件下料与装箱系统及其控制方法
CN212502857U (zh) 一种玻璃自动下料机
CN208898124U (zh) 一种三轴自动码垛机器人
WO2014136541A1 (ja) ワーク搬送方法及びワーク搬送システム
JP6469540B2 (ja) マシニングセンタ
WO2015192882A1 (en) Group and method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and sorting of ceramic products
TWI541520B (zh) 滾筒式晶片燒錄檢測設備
JPWO2015075774A1 (ja) ロボットシステム、部材供給方法および加工品の製造方法
WO2021013375A3 (de) Roboterzelle zum einsatz an werkzeugmaschinen und/oder montageautomaten
KR101531200B1 (ko) 자동 프레스 타발기
CN113185110A (zh) 一种玻璃制品加热成型工段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