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1200B1 - 자동 프레스 타발기 - Google Patents

자동 프레스 타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1200B1
KR101531200B1 KR1020140011667A KR20140011667A KR101531200B1 KR 101531200 B1 KR101531200 B1 KR 101531200B1 KR 1020140011667 A KR1020140011667 A KR 1020140011667A KR 20140011667 A KR20140011667 A KR 20140011667A KR 101531200 B1 KR101531200 B1 KR 101531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unit
connecting member
punching
tabl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1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웅수
Original Assignee
최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웅수 filed Critical 최웅수
Priority to KR1020140011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12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1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1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006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 B65H35/0073Details
    • B65H35/008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cut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발기에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로 자재를 타발하는 프레스부, 상기 자재가 안착되고 상기 프레스부가 상기 자재를 타발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를 이동시키는 테이블이송부, 상기 자재를 상기 테이블부로 이송시켜 안착시키는 자재이송부 및 상기 테이블부의 초기원점위치 설정 및 상기 자재의 연속적인 타발을 위해 상기 테이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타발기를 제시한다.

Description

자동 프레스 타발기{AUTOMATIC PUNCH PRESS}
본 발명은 타발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연성회로기판을 타발하는 타발기 및 타발방법과 관련된다.
기존에 연성회로기판에 대한 프레스 타발 방식은 프레스 타발기에 금형을 장착을 한 후 상금형과 하금형 사이에 소재(연성회로기판)를 사람에 의해 넣고 상금형과 하금형을 맞물려서 소재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 하거나 필요한 부분만을 얻는 프레스 방식이었다.
이러한 연성회로기판은 소재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연성적인 특성(Flexible)과 소재 취급에 대한 주의적인 부분들로 인해서 사람에 의한 타발 방식에서 벗어나는데 어려움이 있어왔다.
또한 상기에 서술된 내용과 같이 소재 자체가 가지고 있는 연성적인 특성으로 인한 이유로 인해서 자동화 방식을 도입하는데 있어서도 어려움이 있어왔다.
자동화 방식을 일부 도입하여 최근에는 하금형이 소재 로딩 위치와 타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타발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타발기 중 하나가 등록실용신안 제20-0294250호에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계속 되는 인건비 상승과 사람에 의한 위험한 프레스 타발 작업에 대한 한계성 노출로 인해서 자동화 설비 도입에 필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기존에 사람에 의해서 타발하는 방식을 설비에 의하여 자동화시킬 수 있는 자동 프레스 타발기가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4250호 (2002.11.04)
본 발명은 종래에 사람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소재의 공급이나 타발을 자동화시킨 타발기를 제시한다.
또한 작업시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작업이 종료된 자재를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타발기 제어방법을 제시한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자재를 타발하는 프레스부, 상기 자재가 안착되고 상기 프레스부가 상기 자재를 타발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를 이동시키는 테이블이송부, 상기 자재를 상기 테이블부로 이송시켜 안착시키는 자재이송부 및 상기 테이블부의 초기원점위치 설정 및 상기 자재의 연속적인 타발을 위해 상기 테이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타발기를 제시한다.
상기 타발기는 상기 테이블부가 초기원점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이동할 때 상기 테이블부와 접촉하는 스토퍼블록 및 상기 스토퍼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부가 상기 스토퍼블록에 밀착된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테이블이송부에 구비된 서보모터를 토크모드로 구동시켜 상기 테이블부를 초기원점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상기 테이블부와 상기 스토퍼블록이 밀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테이블부를 상기 센서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이동된 위치를 초기원점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부는, 경사면을 가지는 공간이 형성되는 이동테이블, 상기 자재가 안착되고 상기 이동테이블에 형성되는 공간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안착되는 하금형 및 상기 이동테이블의 공간에 연결되고 타발시 발생한 부산물이 배출되는 가이드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이송부는, 상기 테이블부와 연결되고 상기 테이블부로부터 편심되어 설치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 및 상기 이송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커버가 통과하는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테이블부와 연결되는 테이블부연결부재와, 상기 이송스크류와 연결되는 스크류결합부재 및 상기 테이블부연결부재와 상기 스크류결합부재를 연결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부연결부재는 상기 중간부재에 형성된 샤프트를 따라 상하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실시예로, 타발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테이블부를 자재를 투입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테이블부에 자재를 놓는 단계, 상기 테이블부에 놓여진 자재를 프레스부로 이동시켜 타발하는 제1타발단계, 상기 테이블부를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1테이블이동단계, 상기 테이블부에 놓여진 자재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자재이동단계, 이동된 상기 자재가 놓여진 상기 테이블부를 상기 프레스부로 이동시켜 상기 자재를 타발하는 제2타발단계 및 상기 테이블부를 상기 제1테이블이동단계에서 설정된 거리보다 일정 거리만큼 적게 이동시키는 제2테이블이동단계를 포함하는 타발기 제어방법을 제시한다.
여기에서 상기 자재이동단계는, 자재이송부가 상기 자재를 잡아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자재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부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이블부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자재이송부가 상기 자재를 상기 테이블부에 다시 내려놓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에 사람에 의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던 소재의 공급이나 타발을 자동화함으로써 인적 자원을 절감시켜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스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발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테이블부와 테이블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테이블부와 테이블이송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테이블이송부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타발기의 원점을 설정하는 순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타발기의 작동 순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타발기의 테이블부의 이동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발기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발기(100)는, 프레스부(1)와, 테이블부(2)와, 테이블이송부(3)와 자재이송부(4) 및 제어부(5)를 포함한다.
프레스부(1)는 자재(10)를 타발한다. 프레스부(1)의 구성은 일반적인 프레스와 큰 차이는 없고 실린더나 모터 등의 각종 구동기에 의해 왕복운동함으로써 자재(10)를 타발한다. 자재(10)는 타발하고자 하는 작업 대상물을 말하고 연성회로기판 등이 이에 해당한다.
테이블부(2)는 자재(10)가 안착되고 프레스부(1)가 자재(10)를 타발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부분이다. 즉 테이블부(2)는 자재(10)가 이송된 위치로부터 프레스부(1) 사이를 왕복운동하면서 자재(10)를 타발할 수 있도록 이동한다.
자재이송부(4)는 자재(10)를 테이블부(2)로 이송시켜 안착시킨다. 또한 자재이송부(4)는 타발 전의 자재(10)를 테이블부(2)로 이송시켜 안착시키는 부분과 함께 타발이 끝난 자재(10)를 테이블부(2)로부터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부분의 2가지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제어부(5)는 테이블부의 초기원점위치 설정 및 상기 자재의 연속적인 타발을 위해 상기 테이블부의 이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는 소재의 공급이나 타발을 자동화 할 수 있도록 타발기를 제어한다.
자재(10)는 같은 열이 함께 타발되고 복수의 열로 이루어진 형태이다. 제어부(5)는 자재(10)를 이동시키면서 연속적으로 각 열을 타발한다.
위와 같이 소재의 공급이나 타발을 자동화함으로써 인적 자원을 절감시켜 생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레스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다.
이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발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테이블부와 테이블이송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테이블부와 테이블이송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타발기(10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타발기(100)의 본체부(9)에 결합된다.
상기 프레스부(1)는, 작업위치로 이동된 소재를 타발하는 것으로서 테이블부(2)가 작업위치로 이동하면 상금형(13)을 하강운동시켜 소재를 타발한다. 상금형(13)의 상, 하강운동은 실린더나 모터 등의 각종 구동기(11)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레스부(1)는 구동기(11)와, 이동플레이트(12), 상금형(13)을 포함한다. 구동기(11)는 이동플레이트(12)에 결합되고 이동플레이트(12)에 하금형(22)이 결합된다. 구동기(11)가 이동플레이트(12)를 상하운동시키면 이동플레이트(12)에 결합된 상금형(13)도 상하운동하면서 자재(10)를 타발한다. 이동플레이트(12)는 가이드 기둥(9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구동기(11)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 기둥(91)을 따라 상하운동한다.
상기 테이블부(2)는 자재(10)가 안착되어 이동하는 부분으로서, 프레스부(1)가 타발하는 위치로 자재(10)를 이동시킨다. 타발이 종료된 자재(10)는 다시 테이블부(2)가 이동하여 자재(10)를 안착하기 위한 위치로 돌아온다.
테이블부(2)는 하금형(22)과 이동테이블(21)을 구비하고 자재(10)가 놓이는 부분을 확장시키는 확장플레이트(23)를 구비할 수 있다.
이동테이블(21)은 테이블이송부(3)에 연결되고 테이블이송부(3)의 구동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자재(10)를 이동시킨다.
이동테이블(21)의 하부에는 슬라이딩블록(211)이 구비되어 본체부(9)의 테이블에 구비된 슬라이딩레일(92)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레일(92)를 따라 이동테이블(21)이 이동할 수 있게 이루어진다.
이동테이블(21)에는 경사면을 가지는 관통공간(212)이 형성된다. 관통공간(212)으로 타발에 의해 발생한 부산물이 떨어져 통과하고 이 부산물들은 경사면에 의해 원활하게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관통공간(212)의 일단에는 가이드관(213)이 연결되어 부산물들이 가이드관(213)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가이드관(213)을 통하여 배출된 부산물들은 가이드관(213)의 하방에 놓여지는 스크랩통(214)에 모이게 된다. 스크랩통(214)을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면 작업자는 스크랩통(214)에 모인 부산물들을 손쉽게 버릴 수 있다.
하금형(22)은 자재(10)가 안착되고 이동테이블(21)에 형성되는 관통공간(212)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하금형(22)은 프레스부(1)의 상금형(13)과 맞물려 자재(10)를 타발한다.
하금형(22)이 이동하는 전방과 후방에는 확장플레이트(23)가 구비될 수 있다. 자재(10)는 복수의 연성회로기판이 같이 붙어서 나열된 것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자재(10)를 이동시키면서 타발해야 한다. 이 때 자재(10)의 이동이 많아지면 하금형(22) 외측으로 벗어나도록 놓여질 수 있다. 확장플레이트(23)가 있는 경우 하금형(22) 외측으로 벗어난 자재(10)가 떨어지거나 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놓여지게 할 수 있다.
테이블이송부(3)는 테이블부(2)를 이송시키는 부분으로서, 테이블부(2)가 이동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테이블부(2)의 중심선(C)으로부터 편심되어 설치된다.
테이블이송부(3)는 이송부재와 구동기(32) 및 연결부재(33)를 포함한다. 구동기(32)는 이송부재를 구동시키고 연결부재(33)는 이송부재와 테이블부(2)를 연결하여 구동기(32)의 작동에 의해 테이블부(2)가 이송되도록 이루어진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송부재는 이송스크류(31)로서 이 이송스크류(31)는 연결부재(33)를 통해 테이블부(2)와 연결되고 테이블부(2)로부터 편심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구동기(32)는 모터로서 모터의 축과 이송스크류(31)가 벨트(34)로 연결되어 모터가 구동되면 벨트(34)에 의해 회전이 전달되어 이송스크류(31)가 회전한다. 연결부재(33)는 이송스크류(31)와 테이블부(2)를 연결하여 모터의 작동에 의해 테이블부(2)는 이송된다.
이송부재로서 이송스크류(31)를 이용하는 경우 미끄럼이나 관성의 영향이 적으므로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테이블이송부(3)는 이송스크류(31)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3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커버(35)는 이송스크류(31)를 덮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이다. 이와 같은 형상의 커버(35)를 채택하는 경우 커버(35)가 이송스크류(31)를 덮어버리기 때문에 이송스크류(31)와 테이블부(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33)는 커버(35)와 간섭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33)로서 아래와 같은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채용된 테이블이송부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서 특히 연결부재에 대하여 잘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33)는, 스크류결합부재(331), 중간부재(332), 테이블부연결부재(333)를 포함한다.
스크류결합부재(331)는 이송스크류(31)에 끼워지는 나사홀이 형성된 스크류너트(331a)과 이 스크류너트(331a)에 결합되는 'ㄷ'자 모양의 너트브라켓(331b)으로 이루어지고 너트브라켓(331b)의 하부에 중간부재(332)가 결합된다. 중간부재(332)는 너트브라켓(331b)과 함께 슬릿(S)을 형성하도록 'ㅁ'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너트브라켓(331b)과 중간부재(332)가 결합함으로써 형성되는 슬릿(S)으로는 커버(35)가 통과된다. 도면에서 이 슬릿(S)은 'ㄷ'자 형상이다. 커버(35) 또한 'ㄷ'자 형상이므로 슬릿(S)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블부(2)가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는 연결부재(33)의 스크류결합부재(331) 및 중간부재(332)는 커버(35)와 간섭하지 않는다.
한편, 중간부재(332)에는 테이블부연결부재(333)가 결합되고 테이블부연결부재(333)는 이동테이블(21)에 연결됨으로써 연결부재(33)가 이송스크류(31)를 따라 이동할 때 테이블부(2)도 같이 이동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연결부재(33)가 이동하여도 커버(35)와 간섭되지 않으면서 테이블부(2)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스크류(31)를 이용하는 LM 가이드 등을 사용하는 것에 비해 정확한 위치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타발된 부산물이 끼기는 더 쉬울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커버(35)를 사용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연결구성은 커버(35)가 있는 경우에도 간섭없이 이동스크류와 이동테이블(21)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점은 테이블이송부(3)의 편심구성과 함께 테이블이송부(3)가 타발에 의해 생성된 부산물로 오염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중간부재(332)와 테이블부연결부재(333)는 다음과 같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중간부재(332)에는 샤프트(334)가 고정되고 테이블부연결부재(333)에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부싱(335)이 결합된다. 여기에서 부싱(335)에 형성되는 관통홀에는 샤프트(334)가 끼워진다. 부싱(335)은 샤프트(334)와 고정되도록 결합하는 것이 아니고 샤프트(334)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동테이블(21)은 타발시 프레스의 작용에 의해 미세하게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타발작업은 연결부재(33)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33)를 구성하면 타발시 이동테이블(21)이 프레스에 의해 눌리더라도 부싱(335)이 샤프트(334)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반복적인 타발작업을 하더라도 연결부재(33)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자재이송부(4)는 자재(10)가 투입되는 투입거치대(71)로부터 자재(10)를 잡아 테이블부(2)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이동몸체(41), 실린더(42), 흡착판(43)을 포함한다.
이동몸체(41)는 모터 구동으로 회전하는 스크류에 결합되어 이동하면서 자재(10)를 테이블부(2)로 이동시키거나 테이블부(2)로부터 외부로 이동시킨다.
이동몸체(41)의 양 끝단에는 실린더(42)가 결합되고 이 실린더(42)의 로드에는 유로분배기(44)가 결합되며 유로분배기(44)에 다수의 흡착판(43)이 결합되는 지지플레이트(45)가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면 이동몸체(41)와 실린더(42)를 구동시켜 흡착판(43)을 자재(10)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고 흡착판(43)을 이용하여 자재(10)를 흡착함으로써 자재(10)를 들어올리거나 내려놓는 작동이 가능하다.
자재(10)를 투입거치대(71)로부터 테이블부(2)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투입거치대(71) 쪽의 실린더(42)와 흡착판(43)을 이용하고 자재(10)를 테이블부(2)로부터 배출거치대(72)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배출거치대(72) 쪽의 실린더(42)와 흡착판(43)을 이용한다. 자재(10)의 투입과 배출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대(7)는 자재(10)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안착홈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타발기(100)의 제어부(5)는 테이블부(2)를 구성하는 이동테이블(21)의 초기원점위치 설정 및 이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에 의한 이동테이블(21)의 초기원점위치 설정은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5)가 이동테이블(21)의 초기원점위치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6)가 필요하다. 이 때 센서(6)는 이동테이블(21)을 구동시키는 서보모터가 토크모드로 이동하여 이동테이블(21)과 스토퍼블록(61)이 밀착될 때 이동테이블(21)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6)를 사용한다.
서보모터가 토크모드로 이동한다고 함은 서보모터를 설정된 토크값(최대출력보다는 낮은값)으로 제어하여 일정값 이상의 토크가 서보모터에 가해지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따라 이동테이블(21)이 스토퍼블록(61)에 밀착되어 서보모터에 부하가 걸리더라도 서보모터에 설정된 토크값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는 센서(6)가 이동테이블(21)과 스토퍼블록(61)이 밀착된 것을 감지하면 테이블부(2)를 센서(6)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이동된 위치를 초기원점위치로 설정한다. 이 때의 이동거리는 예를 들면 0.5mm 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구동기(32)로는 서버모터를 사용한다.
먼저 제어부(5)에서 이동테이블(21)에게 원점 복귀 명령을 내린다. 원점 복귀 명령이 내려지면 이동테이블(21)을 이동시키는 서버모터가 토크모드로 변환된다(S1).
다음으로 서보모터가 원점복귀를 개시하고 이에 따라 이동테이블(21)이 원점으로 복귀하기 시작한다(S2).
다음으로 이동테이블(21)이 스토퍼블록(61)에 밀착이 완료된다. 이 때 이동테이블(21)은 댐퍼(62)를 누르면서 스토퍼블록(61)에 밀착된다(S3).
다음으로 밀착감지용 위치센서(6)가 이동테이블(21)이 스토퍼블록(61)에 밀착되었음을 감지한다(S4).
다음으로 이동테이블(21)을 이동시키는 서버모터가 위치모드로 변환되고(S5) 이동테이블(21)은 위치센서(6)로부터 일정한 위치를 이동한다(S6). 이 때 이동되는 위치는 스토퍼블록(61)을 기준으로하여 설정된 임의의 위치(예를 들면 0.5mm)로 후진하여 이동한다.
제어부(5)는 이동된 이동테이블(21)의 위치를 원점위치로 설정하며(S7) 이와 같이 하여 이동테이블(21)의 원점 복귀를 위한 이동이 완료된다.
초기원점위치는 타발작업을 시작할 때 기준이 되는 원점위치로서 이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어야 순차적인 타발작업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동테이블(21)의 위치를 감지하여 원점의 기준으로 하면 정확하게 초기원점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센서(6)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킴으로써 센서(6)를 보호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발기(100)의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타발기(100)의 작동은 제어부(5)에 의하여 제어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타발기(100)의 작동 순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타발기(100)의 테이블부(2)의 이동 순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테이블부(2)를 자재(10)를 투입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S11). 이에 따라 테이블부(2)의 상금형(13)은 투입거치대(71)와 배출거치대(72)와 일렬로 배열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자재이송부(4)를 이용하여 투입거치대(71)에 놓여진 자재(10)를 테이블부(2)로 이동시킨다(S12).
도면에 도시된 자재(10)는 같은 열이 함께 타발되고 4개 열로 이루어진 형태이다. 자재(10)의 하금형(22)의 중앙에 놓여진 열이 함께 타발되며 자재(10)를 이동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각 열을 타발한다. 여기에서 자재(10)의 열과 그 인접한 열 사이의 간격을 1피치라고 정의한다.
최초에는 자재(10)의 끝단의 열이 하금형(22)의 중앙에 놓여지도록 한다. 이 때 자재(10)에서 금형을 벗어나는 부분은 확장플레이트(23)로 지지한다(도 7(a)).
다음으로 테이블부(2)에 놓여진 자재(10)를 프레스부(1)로 이동시켜 1차 타발한다. 이 과정에 의해 자재(10)의 첫번째 열이 동시에 타발된다(S13).
다음으로 테이블부(2)를 설정된 거리만큼 자재(10)가 투입되었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제1테이블이동단계)(S14, 도 7(b)). 설정 거리는 임의로 선정될 수 있지만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최초에 자재(10)가 투입되었던 위치로 돌아가도록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테이블부(2)에 놓여진 자재(10)를 1피치만큼 이동시킨다(제1자재이동단계)(S15, 도 7(c)). 이 단계는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자재이송부(4)가 자재(10)를 잡아 들어올리고, 자재(10)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테이블부(2)가 1피치만큼 이동하며, 테이블부(2)가 1피치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자재이송부(4)가 자재(10)를 상기 테이블부(2)에 다시 내려놓는다.
이와 같이 하여 테이블부(2)에 놓여진 자재(10)를 1피치만큼 이동시킬 수 있고, 이 과정에 의해 자재(10)의 두번째 열이 하금형(22)에 중심에 놓인다.
다음으로 1피치 이동된 자재(10)가 놓여진 테이블부(2)를 프레스부(1)로 이동시켜 자재(10)를 2차 타발한다(S16). 이 과정에 의해 자재(10)의 두번째 열이 동시에 타발된다.
다음으로 테이블부(2)를 제1테이블이동단계에서 설정된 거리보다 1피치만큼 적게 이동시킨다(제2테이블이동단계)(S17, 도 7(d)). 여기에서 1피치는 제1자재이동단계의 1피치와 동일한 거리이다.
다음으로 테이블부(2)에 놓여진 자재(10)를 제1자재이동단계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1피치 더 이동시킨다(제2자재이동단계)(도 7(e)).
이는 제1자재이동단계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여 테이블부(2)에 놓여진 자재(10)를 1피치만큼 더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과정에 의해 자재(10)의 세번째 열이 하금형(22)의 중심에 놓인다.
다음으로 테이블부(2)는 다시 프레스부(1)로 이동하고 자재(10)의 세번째 열이 타발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네번째 열까지 타발된 후 테이블부(2)가 이동하면 도 7(h)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는 테이블부(2)는 투입거치대(71) 및 배출거치대(72)와 나란한 상태는 아니지만 자재(10)는 투입거치대(71) 및 배출거치대(72)와 나란한 상태이다.
만약 테이블부(2)를 1피치만큼 적게 이동시키지 않는다면 투입거치대(71), 테이블부(2), 배출거치대(72)는 나란할지 모르지만 자재(10)는 투입거치대(71) 및 배출거치대(72)와 나란하지 않게 된다. 이 경우 자재이송부(4)의 흡착판(43)의 수가 더 늘어나거나, 투입거치대(71) 및 배출거치대(72)의 크기가 더 늘어나야 한다.
한편 테이블부(2)를 1피치만큼 적게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작업시 투입거치대(71), 자재(10), 배출거치대(72)가 나란하도록 테이블부(2)를 제어하면 자재이송부(4)의 흡착판(43)을 자재(10)와 비슷한 길이로 하는 것으로 충분하고, 흡착판(43)에 흡착된 자재(10)가 휘어짐이 없으며 자재(10)가 일직선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작업시간의 단축도 가능하다. 이는 타발기(100)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프레스부
11 : 구동기 12 : 이동플레이트 13 : 상금형
2 : 테이블부
21 : 이동테이블 22 : 하금형 23 : 확장플레이트
211 : 슬라이딩블록 212 : 관통공간 213: 가이드관 214 : 스크랩통
3 : 테이블이송부
31 : 이송스크류 32 : 구동기 33 : 연결부재 34 : 벨트 35 : 커버
331 : 스크류결합부재 332 : 중간부재 333 : 테이블연결부재
331a : 스크류너트 331b : 너트브라켓
4 : 자재이송부
41 : 이동몸체 42 : 실린더 43 : 흡착판 44 : 유로분배기
45 : 지지플레이트
5 : 제어부
6 : 센서
61 : 스토퍼블록 62 : 댐퍼
7 : 거치대
71 : 투입거치대 72 : 배출거치대
9 : 본체부
91 : 가이드 기둥 92 : 슬라이딩레일
10 : 자재 100 : 타발기 S : 슬릿

Claims (7)

  1. 자재를 타발하는 프레스부,
    상기 자재가 안착되고 상기 프레스부가 상기 자재를 타발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를 이동시키는 테이블이송부,
    상기 자재를 상기 테이블부로 이송시켜 안착시키는 자재이송부 및
    상기 테이블부의 초기원점위치 설정 및 상기 자재의 연속적인 타발을 위해 상기 테이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이송부는 서보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테이블부가 초기원점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이동할 때 상기 테이블부와 접촉하는 스토퍼블록 및
    상기 스토퍼블록에 설치되고 상기 테이블부가 상기 스토퍼블록에 밀착된 것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보모터를 토크모드로 구동시켜 상기 테이블부를 초기원점위치로 이동시키고, 상기 센서가 상기 테이블부와 상기 스토퍼블록이 밀착된 것을 감지하면 상기 테이블부를 상기 센서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멀어지도록 이동시키고 이동된 위치를 초기원점위치로 설정하는 타발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테이블부는,
    경사면을 가지는 공간이 형성되는 이동테이블,
    상기 자재가 안착되고 상기 이동테이블에 형성되는 공간을 덮도록 이루어지는 안착되는 하금형 및
    상기 이동테이블의 공간에 연결되고 타발시 발생한 부산물이 배출되는 가이드관
    을 포함하는 타발기.
  4. 제1항에서,
    상기 테이블이송부는,
    상기 테이블부와 연결되고 상기 테이블부로부터 편심되어 설치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를 덮어 보호하는 커버 및
    상기 이송스크류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커버가 통과하는 슬릿이 형성되는 타발기.
    를 포함하는 타발기.
  5. 제4항에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테이블부와 연결되는 테이블부연결부재와, 상기 이송스크류와 연결되는 스크류결합부재 및 상기 테이블부연결부재와 상기 스크류결합부재를 연결하는 중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부연결부재는 상기 중간부재에 형성된 샤프트를 따라 상하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타발기.
  6. 자재를 타발하는 프레스부, 상기 자재가 안착되고 상기 프레스부가 상기 자재를 타발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테이블부, 상기 테이블부를 이동시키는 테이블이송부, 상기 자재를 상기 테이블부로 이송시켜 안착시키는 자재이송부 및 상기 테이블부의 초기원점위치 설정 및 상기 자재의 연속적인 타발을 위해 상기 테이블부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타발기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테이블부를 자재를 투입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테이블부에 자재를 놓는 단계,
    상기 테이블부에 놓여진 자재를 프레스부로 이동시켜 타발하는 제1타발단계,
    상기 테이블부를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1테이블이동단계,
    상기 테이블부에 놓여진 자재를 일정 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자재이동단계,
    이동된 상기 자재가 놓여진 상기 테이블부를 상기 프레스부로 이동시켜 상기 자재를 타발하는 제2타발단계 및
    상기 테이블부를 상기 제1테이블이동단계에서 설정된 거리보다 일정 거리만큼 적게 이동시키는 제2테이블이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자재이동단계는,
    자재이송부가 상기 자재를 잡아 들어올리는 단계,
    상기 자재가 들어올려진 상태에서 상기 테이블부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테이블부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자재이송부가 상기 자재를 상기 테이블부에 다시 내려놓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타발기 제어방법.
  7. 삭제
KR1020140011667A 2014-01-29 2014-01-29 자동 프레스 타발기 KR101531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667A KR101531200B1 (ko) 2014-01-29 2014-01-29 자동 프레스 타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1667A KR101531200B1 (ko) 2014-01-29 2014-01-29 자동 프레스 타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1200B1 true KR101531200B1 (ko) 2015-07-06

Family

ID=53789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667A KR101531200B1 (ko) 2014-01-29 2014-01-29 자동 프레스 타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12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8197A (zh) * 2019-09-16 2020-02-14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冲压生产线及其使用方法
CN111250985A (zh) * 2020-03-17 2020-06-09 苏州美声电子有限公司 一种音箱装配设备及装配方法
CN113275489A (zh) * 2021-06-10 2021-08-20 单其东 自动上送料并切割的尾料可检测并丢弃的全自动切割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925A (ko) * 2004-11-12 2006-05-18 비나텍주식회사 피씨비 타발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00510A (ko) * 2011-03-04 2012-09-12 전익희 인쇄회로기판 타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6925A (ko) * 2004-11-12 2006-05-18 비나텍주식회사 피씨비 타발방법 및 그 장치
KR20120100510A (ko) * 2011-03-04 2012-09-12 전익희 인쇄회로기판 타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88197A (zh) * 2019-09-16 2020-02-14 华帝股份有限公司 一种连续冲压生产线及其使用方法
CN111250985A (zh) * 2020-03-17 2020-06-09 苏州美声电子有限公司 一种音箱装配设备及装配方法
CN113275489A (zh) * 2021-06-10 2021-08-20 单其东 自动上送料并切割的尾料可检测并丢弃的全自动切割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363509B (zh) 压缩机转子装配系统及装配方法
CN107159835B (zh) 一种自动铆螺母装置
EP3116668B1 (de) Verfahren zum aufbau einer werkstückbezogenen werkstückgreifeinrichtung für die pressenautomatisierung
JP6179457B2 (ja) アンダードライブ式プレス機のワーク搬送装置
CN105436337B (zh) 冲床送料机用的调宽装置及调宽送料方法
CN107838313B (zh) 快速抓取薄板工件的机械手及协同工作方法
KR101531200B1 (ko) 자동 프레스 타발기
KR101168491B1 (ko) 로봇을 이용한 인쇄회로기판 내지 필름 이송 및 타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1951B1 (ko) 데크플레이트 자동 볼팅장치
CN106465578B (zh) 元件安装装置
CN106738056B (zh) 一种fpc板自动冲床及其加工方法
KR20170009238A (ko) 다축 로봇을 이용한 다공정 프레스 자동화 시스템
KR20090036720A (ko) 자동화된 슬라이드 부재의 프레스작업 장치
KR20150109082A (ko) 자동 리벳팅장치
CN206425439U (zh) 一种搭配冲床使用的条料自动送料设备
KR101829417B1 (ko) 자동 투입 및 취출용 지그 장치
CN112475847A (zh) 铜套压入齿轮内孔的自动压装专机
CN206393192U (zh) 监控盒铜镶件和平衡块自动化装配机
CN205736137U (zh) 一种用于冲压的双料仓自动上料机
CN210254987U (zh) 一种把手自动压铆组装机
CN110102992B (zh) 一种适用钢丝球自动拉松处理的方法
CN103406473B (zh) 数控自动弯线机及线材卷圆弧的方法
KR20090036718A (ko) 자동화된 슬라이드 부재의 프레스작업 장치
CN209502805U (zh) 一种两工位钣金冲压上料装置
CN107570981B (zh) 转子上料系统及上料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