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802B1 -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802B1
KR102186802B1 KR1020200072265A KR20200072265A KR102186802B1 KR 102186802 B1 KR102186802 B1 KR 102186802B1 KR 1020200072265 A KR1020200072265 A KR 1020200072265A KR 20200072265 A KR20200072265 A KR 20200072265A KR 102186802 B1 KR102186802 B1 KR 10218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bar
swing arm
tilting
vehicle
shock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2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진
Original Assignee
최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진 filed Critical 최형진
Priority to KR1020200072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802B1/ko
Priority to PCT/KR2021/003296 priority patent/WO202125666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1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the vehicle body on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7Motorcycles with thre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는, 차체와 뒷바퀴-좌부에 연결 설치되는 뒤 스윙 암-좌와, 상기 차체와 뒷바퀴-우부에 연결 설치되는 뒤 스윙 암-우; 상기 뒷바퀴-좌/우부는 각각의 구동 또는 피구동의 뒷바퀴와, 뒷바퀴 축과, 뒷바퀴 브레이크 장치 등등으로 대칭으로 구성되며, 상기 뒤 스윙 암-좌에 연결 설치되는 뒤 완충기-좌와, 상기 뒤 스윙 암-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완충기-우;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뒤 틸트 바 핀으로 설치되고 상기 뒤 완충기-좌와 상기 뒤 완충기-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트 바; 상기 뒤 틸트 바의 회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뒤 탄성 롤러로 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Leaning Rear-Suspension of Tilting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기울기에 의해 뒷바퀴-좌부와 뒷바퀴-우부가 서로 이격되게 하는 각각의 뒤 스윙 암-좌(Rear Swing Arm-LH)와 뒤 스윙 암-우(Rear Swing Arm-RH)에 의해 코너링에서 바디 스티어링(Body Steering) 또는 카운터 스티어링(Counter Steering) 또는 피봇 스티어링(Pivot Steering)등의 이륜자동차의 스티어링이 가능하게 되고, 뒤 스윙 암-좌와 뒤 스윙 암-우는 차체에 뒤 탄성 롤러(Rear Elastic Roller)와 함께 조립되는 뒤 틸트 바(Rear Tilt Bar) 또는 뒤 틸트 바-좌(Rear Tilt Bar-LH) 또는 뒤 틸트 바-우(Rear Tilt Bar-RH)에 각각의 완충기 또는 각각의 틸팅 로드(Tilting Rod)로 체결되어 고속 또는 중속 직선운행 중에서 저속 직선운행으로 전환하여도 차량은 뒤 탄성 롤러에 의해 중심을 유지하게 되어, 차량의 주행안정성이 향상되고, 뒤 탄성 롤러에 의해 고정 장치 없이 차량의 정차 또는 주차가 가능하며, 특히, 차량을 가볍게 흔들거나 밀어도 넘어지지 않고 중심으로 복원이 되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체가 틸팅(Tilting : 고속으로 주행중 회전하기 위해 차체를 기울이는 것, Leaning_리닝)되는 자동차는 역3륜(Reverse Trike)의 틸팅 승용자동차와 일반적인 2륜의 이륜자동차와 3륜 이상의 틸팅 이륜자동차가 있으나, 대부분 앞바퀴가 2개로 구성되어 있고, 뒷바퀴가 2개로 구성되는 차량은 정3륜(Trike)의 이륜자동차와 4륜의 이륜자동차로서, 극소수 차종으로만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역3륜의 틸팅 승용자동차는 좌/우 휠을 이격시켜 차체를 틸팅함에 있어서 제어를 통한 전기적인 전자장치를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각종 전기/전자/제어장치와 고가의 틸팅장치로 인하여, 제조원가의 상승과 전자장치의 내구성 저하, 전자장치 제어의 오류로 인한 주행안정성 저하 및 정비성 저하로 일부의 차량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2륜의 이륜자동차는 구조상 곡선구간 주행 시에는 주행안정성이 우수하나, 도심과 같이 복잡하고 차량이 많은 도로에서의 빈번한 저속 주행에서는 차량이 좌/우로 쓰러지려는 위험이 크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정차 또는 주차를 위해서는 고정 장치를 사용(작동)하여 차량을 정차 또는 주차를 해야 하는 번거로운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차량의 번거로운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차량이 저속주행에 넘어지지 않도록 차량에 전자식 회전체 자이로(Gyro)장치가 구비되도록 구성된 것도 있으나, 자이로 장치가 고가이고, 작동에 전기에너지 소모가 매우 많으므로 이로 인하여, 제조원가의 상승과 전자장치의 내구성 저하, 전자장치 제어의 오류로 인한 주행안정성 저하 및 정비성 저하로 일부의 차량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역3륜 또는 정3륜 또는 4륜의 틸팅 이륜자동차는 LMW(Leaning Multi-Wheel) 또는 액튜에이터(Actuator)의 기능적 조작 또는 페러랠로그램 서스펜션(Parallelogram Suspension) 또는 유압식 틸팅 시스템 또는 DVC(Dynamic Vehicle Control) 등등의 기능으로 코너링 주행을 컨트롤하여 주행안정성이 2륜의 이륜자동차보다 더욱 우수하나, 상기의 2륜의 이륜자동차와 같이 저속 주행에서의 위험과 정차 또는 주차에서 번거로운 현상이 크게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역3륜의 이륜자동차의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하여, 차량이 정차 또는 주차를 위한 수동 또는 전자식의 틸트 잠금장치가 구비되도록 구성된 것도 있으나, 틸트 잠금장치는 정차 또는 주차하기 위하여 매번 작동을 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현상과 저속 주행에서의 번거로움과 안전 문제는 잔존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의 기울기에 의해 차체가 틸팅 되도록 함으로써, 코너링에서 이륜자동차의 스티어링이 가능하게 되고, 차량이 고속 또는 중속 직선운행 중에서 저속 직선운행으로 전환하여도 차량은 중심을 유지하게 되어, 차량의 주행안정성과 주행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고, 또한, 고정 장치 없이 차량의 정차 또는 주차가 가능하게 되어, 운전자의 편리성이 향상 시킬 수 있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은, 차체와 뒷바퀴-좌부에 연결 설치되는 뒤 스윙 암-좌와, 차체와 뒷바퀴-우부에 연결 설치되는 뒤 스윙 암-우, 뒷바퀴-좌/우부는 각각의 구동 또는 피구동의 뒷바퀴와, 뒷바퀴 축과, 뒷바퀴 브레이크 장치 등등으로 대칭으로 구성되며, 뒤 스윙 암-좌에 연결 설치되는 뒤 완충기-좌와, 뒤 스윙 암-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완충기-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뒤 틸트 바 핀으로 설치되고 뒤 완충기-좌와 뒤 완충기-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트 바, 뒤 틸트 바의 회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뒤 탄성 롤러를 포함하거나 또는, 차체와 뒷바퀴-좌부에 연결 설치되는 뒤 스윙 암-좌와, 차체와 뒷바퀴-우부에 연결 설치되는 뒤 스윙 암-우, 뒷바퀴-좌/우부는 각각의 구동 또는 피구동의 뒷바퀴와, 뒷바퀴 축과, 뒷바퀴 브레이크 장치 등등으로 대칭으로 구성되며, 뒤 스윙 암-좌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팅로드-좌와, 뒤 스윙 암-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팅로드-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뒤 틸트 바 핀으로 설치되고 뒤 틸팅로드-좌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트 바-좌와,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또 다른 뒤 틸트 바 핀으로 설치되고 뒤 틸팅로드-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트 바-우, 뒤 틸트 바-좌와 뒤 틸트 바-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완충기,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의 회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차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뒤 탄성 롤러를 포함하여, 차량이 곡선구간 선회주행에서 운전자가 틸팅을 수반하는 스티어링 조작을 하는 경우, 뒤 스윙 암-좌와 뒤 스윙 암-우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뒷바퀴-좌부와 뒷바퀴-우부는 서로 이격되어 차체는 기울어지게 되고, 뒤 스윙 암-좌와 뒤 스윙 암-우의 움직임에 의해 뒤 완충기-좌와 뒤 완충기-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트 바는 뒤 틸트 바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거나 또는, 뒤 스윙 암-좌와 뒤 스윙 암-우의 움직임에 의해 뒤 틸팅로드-좌와 뒤 틸팅로드-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트 바-좌와 뒤 틸트 바-우는 각각의 뒤 틸트 바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뒤 틸트 바 또는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에 조립되는 뒤 탄성 롤러와의 형상 맞춤 또는 형상 끼임으로 인하여 차량의 틸팅 작동 시작에서 설정된 범위까지는 뒤 탄성 롤러의 탄성력 저항을 받으나, 설정된 범위를 지나서는 탄성력이 제거되어 차량은 스티어링 조작 방향으로 틸팅되며, 차량의 좌/우 중심을 잡은 상태에서의 주행에서 저속 직선주행으로 이어지거나 정차하는 경우, 뒤 틸트 바 또는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는 뒤 탄성 롤러와의 형상 맞춤 또는 형상 끼임으로 인하여, 뒤 틸트 바 핀을 중심으로의 회전에 저항을 받게 되어, 뒷바퀴-좌부와 뒷바퀴-우부가 서로 이격되는 것이 억제되며, 차량이 좌/우로 쓰러지는 것이 억제되며, 차량의 좌/우 중심을 잡은 상태에서 주차하는 경우, 뒤 틸트 바 또는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는 뒤 탄성 롤러와의 형상 맞춤 또는 형상 끼임으로 인하여, 뒤 틸트 바 핀을 중심으로의 회전에 저항을 받게 되어, 뒷바퀴-좌부와 뒷바퀴-우부가 서로 이격되는 것이 억제되고, 차량이 좌/우로 쓰러지는 것이 억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는, 코너링에서 운전자가 틸팅을 수반하는 스티어링 조작에 의해 스티어링 방향으로 차체가 틸팅되도록 되어 있어, 차량의 쏠림현상 또는 차체의 전복위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코너링 및 급회전에서 운전자의 스티어링 조작에 따라 뒤 틸트 바 또는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가 회동되므로, 차량은 스티어링 방향으로 틸팅 즉, 린 주행이 가능하여 차량의 쏠림 및 전복의 위험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저속 직선주행에서 뒤 탄성 롤러의 탄성력이 뒤 틸트 바 또는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의 회전 즉, 차량의 틸팅을 제어하여 중심을 유지하며 주행이 되어, 저속에서 차량이 넘어지려하는 위험성을 크게 낮출 수 있고, 이로 인한 운전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차 또는 주차에서는 뒤 탄성 롤러의 탄성력이 뒤 틸트 바 또는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의 회전력 즉, 차체의 틸팅을 제어하여 고정 장치 없이 차량이 안정적으로 정차 또는 주차가 되어, 운전자가 고정 장치를 조작하는 번거로움을 크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계적이고 물질적인 부품들로 구비되어 구성되어, 전기/전자/제어 부품으로 구비되어 구성되는 차량 대비 제조원가가 낮고, 내구성이 높으며, 전기장치 제어의 오류로 인한 주행사고가 없으며, 정비성이 높아 보편적으로 적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전기자동차뿐만 아니라 엔진 자동차 또는 인력에 의한 자전거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자동차는 3륜 이상의 모든 종류의 운송수단을 포함하는 총칭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또 다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차체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차체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또 다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스윙 암-좌 또는 뒤 스윙 암-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완충기-좌 또는 뒤 완충기-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완충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트 바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탄성 롤러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팅로드-좌 또는 뒤 틸팅로드-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트 바 또는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가 뒤 탄성 롤러와의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완충기-좌 또는 뒤 완충기-우 또는 뒤 완충기 또는 뒤 틸팅로드-좌 또는 뒤 틸팅로드-우의 체결 방법을 보인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후면 외형을 보인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이 틸팅한 상태에서의 후면 외형을 보인 예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후면 외형을 보인 예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을 탑재한 차량이 틸팅한 상태에서의 후면 외형을 보인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트 바 또는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의 회전에 따라 뒤 탄성 롤러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또 다른 예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입체 외형을 보인 예시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입체 외형을 보인 또 다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하나의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리범위는 예시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예시된 도면은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핵심적인 내용만 확대 도시하고 부수적인 것을 생략하였으므로 도면에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또 다른 예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차체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차체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또 다른 예시도를,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스윙 암-좌 또는 뒤 스윙 암-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완충기-좌 또는 뒤 완충기-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완충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트 바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를,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를,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탄성 롤러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팅로드-좌 또는 뒤 틸팅로드-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트 바 또는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가 뒤 탄성 롤러와의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완충기-좌 또는 뒤 완충기-우 또는 뒤 완충기 또는 뒤 틸팅로드-좌 또는 뒤 틸팅로드-우의 체결 방법을 보인 예시도를,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후면 외형을 보인 예시도를,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이 틸팅한 상태에서의 후면 외형을 보인 예시도를,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후면 외형을 보인 예시도를,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을 탑재한 차량이 틸팅한 상태에서의 후면 외형을 보인 예시도를,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트 바 또는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의 회전에 따라 뒤 탄성 롤러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를,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또 다른 예시도를,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입체 외형을 보인 예시도를,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입체 외형을 보인 또 다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는, 코너링에서 운전자가 틸팅을 수반하는 스티어링 조작에 의해 스티어링 방향으로 차체가 틸팅되도록 되어 있어, 차량의 쏠림현상 또는 차체의 전복위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된다. 즉, 본 발명은 차량의 코너링 및 급회전에서 운전자의 스티어링 조작에 따라 차량은 스티어링 방향으로 틸팅 즉, 린 주행이 가능하여 곡선구간 선회주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200-1)은, 차체(110-1)와 뒷바퀴-좌부(220L)에 연결 설치되는 뒷 스윙 암-좌(230L)와, 상기 차체와 뒷바퀴-우부(220R)에 연결 설치되는 뒤 스윙 암-우(230R); 상기 뒷바퀴-좌/우부는 각각의 구동 또는 피구동의 뒷바퀴(221L/221R)와, 뒷바퀴 축(222L/222R)과, 뒷바퀴 브레이크 장치 등등으로 대칭으로 구성되며, 상기 뒤 스윙 암-좌에 연결 설치되는 뒤 완충기-좌(240L)와, 상기 뒤 스윙 암-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완충기-우(240R);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뒤 틸트 바 핀(251)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뒤 완충기-좌와 상기 뒤 완충기-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트 바(250); 상기 뒤 틸트 바의 회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뒤 탄성 롤러(2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뒤 탄성 롤러(260)는 뒤 틸트 바(250)의 하부와 면접촉하도록 형성되어 뒤 틸트 바(250)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뒤 완충기-좌(240L)와 상기 뒤 완충기-우(240R)는 상기 뒷바퀴-좌부(220L)와 상기 뒷바퀴-우부(220R)가 개별로 현가가 되게 하여, 독립식 현가장치가 된다.
차량이 곡선구간 선회주행에서 운전자가 틸팅을 수반하는 스티어링 조작을 하는 경우, 상기 뒤 스윙 암-좌(230L)와 상기 뒤 스윙 암-우(230R)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상기 뒷바퀴-좌부(220L)와 상기 뒷바퀴-우부(220R)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차체는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뒷 스윙 암-좌와 상기 뒷 스윙 암-우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뒷 완충기-좌(240L)와 상기 뒤 완충기-우(240R)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뒤 틸트 바(250)는 상기 뒤 틸트 바 핀(25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뒤 틸트 바는 상기 뒤 탄성 롤러(260)와의 형상 접촉으로 인하여, 회전력에 저항이 생기며, 상기 차량은 틸팅 작동 시작에서 설정된 범위까지는 상기 뒤 탄성 롤러의 탄성력 저항을 받으나,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벋어나서는 상기 탄성력 저항이 제거 또는 완화되어, 상기 스티어링 조작 방향으로 틸팅된다.
차량의 좌/우 중심을 잡은 상태에서의 주행에서 저속 직선주행으로 이어지거나 정차하는 경우, 상기 뒤 틸트 바(250)는 상기 뒤 탄성 롤러(260)와의 형상 접촉으로 인하여, 회전력에 저항이 생기며, 상기 차량은 틸팅 작동 전에서 설정된 범위까지는 상기 뒤 탄성 롤러의 탄성력 저항을 받게 되어, 좌/우로 쓰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차량의 좌/우 중심을 잡은 상태에서 주차하는 경우, 상기 뒤 틸트 바(250)는 상기 뒤 탄성 롤러(260)와의 형상 접촉으로 인하여, 회전력에 저항이 생기며, 상기 차량은 틸팅 작동 전에서 설정된 범위까지는 상기 뒤 탄성롤러의 탄성력 저항을 받게 되어, 좌/우로 쓰러지는 것이 억제되고, 좌/우로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기울어져도 중심으로 복원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또 다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200-2)은, 차체(110-2)와 뒷바퀴-좌부(220L)에 연결 설치되는 뒤 스윙 암-좌(230L)와, 상기 차체와 뒷바퀴-우부(220R)에 연결 설치되는 뒤 스윙 암-우(230R); 상기 뒷바퀴-좌/우부는 각각의 구동 또는 피구동의 뒷바퀴(221L/221R)와, 뒷바퀴 축(222L/222R)과, 뒷바퀴 브레이크 장치 등등으로 대칭으로 구성되며, 상기 뒤 스윙 암-좌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팅로드-좌(290L)와, 상기 뒤 스윙 암-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팅로드-우(290R); 상기 차체에 회동 가능하도록 뒤 틸트 바 핀(251)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뒤 틸팅로드-좌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트 바-좌(250L)와, 상기 차체에 연결 회동되도록 또 다른 상기 뒤 틸트 바 핀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뒤 틸팅로드-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트 바-우(250R); 상기 뒤 틸트 바-좌와 상기 뒤 틸트 바-우에 연결 설치되는 뒤 완충기(240); 상기 뒤 틸트 바-좌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의 회전 작동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뒤 탄성 롤러(26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뒤 탄성 롤러(260)는 뒤 틸트 바-좌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의 하부와 면접촉하도록 형성되어 뒤 틸트 바-좌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 뒤 완충기(240)는 상기 뒷바퀴-좌부(220L)와 상기 뒷바퀴-우부(220R)가 개별로 현가가 되게 하여, 독립식 현가장치가 된다.
차량이 곡선구간 선회주행에서 운전자가 틸팅을 수반하는 스티어링 조작을 하는 경우, 상기 뒤 스윙 암-좌(230L)와 상기 뒤 스윙 암-우(230R)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상기 뒷바퀴-좌부(220L)와 상기 뒷바퀴-우부(220R)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차체는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뒷 스윙 암-좌와 상기 뒤 스윙 암-우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뒤 틸팅로드-좌(290L)와 상기 뒤 틸팅로드-우(290R)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뒤 틸트 바-좌(250L)와 상기 뒤 틸트 바-우(250R)는 각각의 뒤 틸트 바 핀(251)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뒤 틸트 바-좌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는 상기 뒤 탄성 롤러(260)와의 형상 접촉으로 인하여, 회전력에 저항이 생기며, 상기 차량은 틸팅 작동 시작에서 설정된 범위까지는 상기 뒤 탄성 롤러의 탄성력 저항을 받으나,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벋어나서는 상기 탄성력 저항이 제거 또는 완화되어, 상기 스티어링 조작 방향으로 틸팅된다.
차량의 좌/우 중심을 잡은 상태에서의 주행에서 저속 직선주행으로 이어지거나 정차하는 경우, 상기 뒤 틸트 바-좌(250L)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250R)는 상기 뒤 탄성 롤러(260)와의 형상 접촉으로 인하여, 회전력에 저항이 생기며, 상기 차량은 틸팅 작동 전에서 설정된 범위까지는 상기 뒤 탄성 롤러의 탄성력 저항을 받게 되어, 좌/우로 쓰러지는 것이 억제된다.
차량의 좌/우 중심을 잡은 상태에서 주차하는 경우, 상기 뒤 틸트 바-좌(250L)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250R)는 상기 뒤 탄성 롤러(260)와의 형상 접촉으로 인하여, 회전력에 저항이 생기며, 상기 차량은 틸팅 작동 전에서 설정된 범위까지는 상기 뒤 탄성 롤러의 탄성력 저항을 받게 되어, 좌/우로 쓰러지는 것이 억제되고, 좌/우로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기울어져도 중심으로 복원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차체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예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차체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또 다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서, 본 발명에 따른 차체(110-1, 110-2)는 뒤 스윙 암 핀 조립부(ⓐ)와, 뒤 틸트 바 핀 조립부(ⓑ)와, 뒤 탄성 롤러 핀 조립부(ⓒ)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스윙 암-좌 또는 뒤 스윙 암-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뒤 스윙 암-좌(230L)와 뒤 스윙 암-우(230R)는 차체(110-1, 110-2)에 뒷바퀴(221L/221R)의 회전 중심과 평행하게 뒤 스윙 암 핀(231)으로 뒤 스윙 암 핀 조립부(ⓐ)에 설치되어, 상기 뒤 스윙 암 핀의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뒷바퀴가 구동 또는 피구동이 가능하게 뒷바퀴 축(222L/222R)이 설치되도록 형성되고, 뒤 완충기-좌/우(240L/240R) 또는 뒤 틸팅로드-좌/우(290L/290R)가 뒤 스윙 암과 뒤 완충기 또는 뒤 틸팅로드 체결부(ⓓ)에 연결 설치되도록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완충기-좌 또는 뒤 완충기-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뒤 완충기-좌/우(240L/240R)는 뒷바퀴(221L/221R)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고 차량의 틸팅이 수반되는 것으로서, 뒤 스윙 암과 뒤 완충기 체결부(ⓓ)와 뒤 틸트 바와 완충기 체결부(ⓔ)를 포함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완충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뒤 완충기(240)는 뒷바퀴(221L/221R)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것으로서, 뒤 틸트 바-좌/우와 뒤 완충기 체결부(ⓕ)를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트 바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뒤 틸트 바(250)는 차체 조립부(ⓑ)와, 완충기 조립부(ⓔ) 2곳이 되도록 형상이 구비되고, 각 조립부를 잇는 형상은 ∨자 또는 ―자 이며, 상기 ∨자의 하단 또는 상기 ―자의 중간이 상기 차체 조립부로서, 차체의 좌/우 중심선상에 뒤 틸트 바 핀(251)으로 설치되어, 상기 뒤 틸트 바 핀의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자 또는 상기 ―자의 양쪽 끝에는 뒤 완충기-좌(240L) 또는 뒤 완충기-우(240R)가 연결 설치되도록 형상이 구비된다.
상기 뒤 틸트 바는 뒤 탄성 롤러(260)의 형상 일부가 접촉 설치되고, 설정된 회전 이후에는 상기 뒤 탄성 롤러의 형상과 이격되거나 또는 접촉양이 적어지게 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뒤 틸트 바-좌(250L)와 뒤 틸트 바-우(250R)는 차체 조립부(ⓑ)와, 틸팅로드 조립부(ⓔ)와 완충기 조립부(ⓕ)가 되도록 형상이 구비되고, 상기 차체 조립부는 차체의 좌/우 중심과 평행 이격되게 뒤 틸트 바 핀(251)으로 설치되어, 상기 뒤 틸트 바 핀의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틸팅로드 조립부는 뒤 틸팅로드-좌(290L) 또는 뒤 틸팅로드-우(290R)가 설치되도록 형상이 구비되고, 상기 완충기 조립부는 뒤 완충기(240)가 연결 설치되도록 형상이 대칭으로 구비된다.
상기 뒤 틸트 바-좌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는 뒤 탄성 롤러(260)의 형상 일부가 접촉 설치되고, 설정된 회전 이후에는 상기 뒤 탄성 롤러의 형상과 이격되거나 또는 접촉양이 적어지게 되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탄성 롤러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뒤 탄성 롤러(260)는 탄성중합체(elastomer)와 같은 탄성물질 또는 용수철과 같은 탄성구조로 형성되고, 롤러 형상 또는 볼록 또는 오목의 요철이 있는 롤러 형상으로 구비되고, 뒤 틸트 바 핀(251)과 평행되게 이격되고 차체(110-1, 110-2)에 뒤 탄성 롤러 핀(261)으로 뒤 탄성 롤러 핀 조립부(ⓒ)에 설치되어, 상기 뒤 탄성 롤러 핀의 중심으로 회동 또는 고정된다.
탄성중합체는 천연고무, 열경화성 탄성중합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팅로드-좌 또는 뒤 틸팅로드-우의 구조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뒤 틸팅로드-좌/우(290L/290R)는 차량의 틸팅이 수반되는 것으로서, 뒤 스윙 암과 뒤 틸팅로드 체결부(ⓓ)와 뒤 틸트 바-좌/우와 뒤 틸팅로드-좌/우 체결부(ⓔ)를 포함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트 바 또는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가 뒤 탄성 롤러와의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뒤 틸트 바(250) 또는 뒤 틸트 바-좌(250L) 또는 뒤 틸트 바-우(250R)는 뒤 탄성 롤러(260)의 형상 일부와 접촉되게 각각 뒤 틸트 바 핀 조립부(ⓑ)와 뒤 탄성 롤러 핀 조립부(ⓒ)에 뒤 틸트 바 핀(251)과 뒤 탄성 롤러 핀(261)으로 조립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완충기-좌 또는 뒤 완충기-우 또는 뒤 완충기 또는 뒤 틸팅로드-좌 또는 뒤 틸팅로드-우의 체결 방법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뒤 완충기-좌(240L) 또는 뒤 완충기-우(240R) 또는 뒤 완충기(240) 또는 뒤 틸팅로드-좌(290L) 또는 뒤 틸팅로드-우(290R)는 뒤 스윙 암-좌/우(230L/230R) 또는 뒤 틸트 바(250) 또는 뒤 틸트 바-좌/우(250L/250R)에 차량의 틸팅 또는 뒤바퀴(221L/221R)의 바운스/리바운스에 따른 체결부품과의 어긋남 즉 비틀림 발생을 수반하기 위하여 구션부싱 또는 볼 죠인트 또는 유니버셜 죠인트 등으로 체결된다.
상기 비틀림의 크기에 따라 일반적으로 쿠션부싱 < 볼 죠인트 < 유니버셜 죠인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후면 외형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200-1)에 해당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이 틸팅한 상태에서의 후면 외형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200-1)에 해당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후면 외형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200-2)에 해당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을 탑재한 차량이 틸팅한 상태에서의 후면 외형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200-2)에 해당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뒤 틸트 바 또는 뒤 틸트 바-좌 또는 뒤 틸트 바-우의 회전에 따라 뒤 탄성 롤러의 형상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뒤 틸트 바(250) 또는 뒤 틸트 바-좌(250L) 또는 뒤 틸트 바-우(250R)의 회전에 따라 뒤 탄성 롤러(260)의 형상과 탄성력으로 인하여, 회전에 저항(끼임저항, 눌림저항, 압착저항)을 가하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의 개략적 구성을 보인 또 다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200-2)에서, 뒤 틸팅로드-좌(290L) 또는 뒤 틸팅로드-우(290R)에 완충기능이 포함되어 2중 충격장치가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200-1, 200-2 :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110-1, 110-2 : 차체
220L: 뒷바퀴-좌부
220R : 뒷바퀴-우부
221L : 뒷바퀴-좌
221R : 뒷바퀴-우
222L : 뒷바퀴 축-좌
222R : 뒷바퀴 축-우
230L : 뒤 스윙 암-좌
230R : 뒤 스윙 암-우
231 : 뒤 스윙 암 핀
240 : 뒤 완충기
240L : 뒤 완충기-좌
240R : 뒤 완충기-우
250 : 뒤 틸트 바
250L : 뒤 틸트 바-좌
250R : 뒤 틸트 바-우
251 : 뒤 틸트 바 핀
260 : 뒤 탄성 롤러
261 : 뒤 탄성 롤러 핀
290L : 뒤 틸팅로드-좌
290R : 뒤 틸팅로드-우
ⓐ : 뒤 스윙 암 핀 조립부
ⓑ : 뒤 틸트 바 핀 조립부
ⓒ : 뒤 탄성 롤러 핀 조립부
ⓓ : 뒤 스윙 암과 뒤 완충기 또는 뒤 틸팅로드 체결부
ⓔ : 뒤 틸트 바와 완충기 체결부 또는 뒤 틸트 바-좌/우와 뒤 틸팅로드-좌/우 체결부
ⓕ : 뒤 틸트 바-좌/우와 뒤 완충기 체결부

Claims (11)

  1. 차체와 뒷바퀴-좌부를 연결하는 뒤 스윙 암-좌;
    상기 차체와 뒷바퀴-우부를 연결하는 뒤 스윙 암-우;
    상기 뒤 스윙 암-좌에 연결되는 뒤 완충기-좌;
    상기 뒤 스윙 암-우에 연결되는 뒤 완충기-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차체에 뒤 틸트 바 핀으로 고정되고, 상기 뒤 완충기-좌와 상기 뒤 완충기-우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결합되는 뒤 틸트 바; 및
    상기 뒤 틸트 바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뒤 틸트 바의 하부와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뒤 탄성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뒤 스윙 암-좌와 상기 뒤 스윙 암-우는 상기 차체에 뒷바퀴의 회전 중심과 평행하게 뒤 스윙 암 핀으로 설치되어, 상기 뒤 스윙 암 핀의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뒷바퀴가 구동 또는 피구동이 가능하게 뒷바퀴 축이 설치되고, 상기 뒤 완충기-좌/우가 연결 설치되도록 그 형상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2. 차체와 뒷바퀴-좌부에 연결 설치되는 뒤 스윙 암-좌;
    상기 차체와 뒷바퀴-우부에 연결 설치되는 뒤 스윙 암-우;
    상기 뒤 스윙 암-좌에 연결되는 뒤 틸팅로드-좌;
    상기 뒤 스윙 암-우에 연결되는 뒤 틸팅로드-우;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차체에 뒤 틸트 바 핀으로 고정되고 상기 뒤 틸팅로드-좌에 연결 설치되는 뒤 틸트 바-좌와, 회동 가능하도록 또 다른 뒤 틸트 바 핀으로 상기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뒤 틸팅로드-우에 연결되는 뒤 틸트 바-우;
    상기 뒤 틸트 바-좌와 상기 뒤 틸트 바-우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결합되는 뒤 완충기;
    상기 뒤 틸트 바-좌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의 회전 동작을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차체에 적어도 한 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뒤 틸트 바-좌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의 하부와 면접촉하도록 형성되는 뒤 탄성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뒤 스윙 암-좌와 상기 뒤 스윙 암-우는 상기 차체에 뒷바퀴의 회전 중심과 평행하게 뒤 스윙 암 핀으로 설치되어, 상기 뒤 스윙 암 핀의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뒷바퀴가 구동 또는 피구동이 가능하게 뒷바퀴 축이 설치되고, 상기 뒤 완충기-좌/우 또는 상기 뒤 틸팅로드-좌/우가 연결 설치되도록 그 형상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차량이 곡선구간 선회주행에서 운전자가 틸팅을 수반하는 스티어링 조작을 하는 경우,
    상기 뒤 스윙 암-좌와 상기 뒤 스윙 암-우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상기 뒷바퀴-좌부와 상기 뒷바퀴-우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차체는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뒤 스윙 암-좌와 상기 뒤 스윙 암-우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뒤 완충기-좌와 상기 뒤 완충기-우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뒤 틸트 바는 상기 뒤 틸트 바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뒤 틸트 바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좌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는 상기 뒤 탄성 롤러와의 형상 접촉으로 인하여, 회전력에 저항이 생기며,
    상기 차량은 틸팅 작동 시작에서 설정된 범위까지는 상기 뒤 탄성롤러의 탄성력 저항을 받으나,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벋어나서는 상기 탄성력 저항이 제거 또는 완화되어, 상기 스티어링 조작 방향으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뒤 틸트 바는 차체 조립부와 완충기 조립부로 구획되고, 각 조립부를 잇는 형상은 ∨자 또는 ―자 이며, 상기 ∨자의 하단 또는 상기 ―자의 중간이 상기 차체 조립부로서, 상기 차체의 좌/우 중심선상에 상기 뒤 틸트 바 핀으로 설치되어, 상기 뒤 틸트 바 핀의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자 또는 상기 ―자의 양쪽 끝에는 상기 뒤 완충기-좌 또는 상기 뒤 완충기-우가 연결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뒤 틸트 바-좌와 상기 뒤 틸트 바-우는 차체 조립부, 틸팅로드 조립부와 완충기 조립부로 구획되고, 상기 차체 조립부는 상기 차체의 좌/우 중심과 평행 이격되게 각각의 상기 뒤 틸트 바 핀으로 설치되어, 상기 뒤 틸트 바 핀의 중심으로 회동되고, 상기 틸팅로드 조립부는 상기 뒤 틸팅로드-좌 또는 상기 뒤 틸팅로드-우가 설치되도록 형상이 구비되고, 상기 완충기 조립부는 상기 뒤 완충기가 연결 설치되도록 그 형상이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6.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 탄성 롤러는 상기 뒤 틸트 바 핀과 평행되게 이격되고 상기 차체에 뒤 탄성 롤러 핀으로 설치되어, 상기 뒤 탄성 롤러 핀의 중심으로 회동 또는 고정되되,
    상기 뒤 틸트 바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좌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는 상기 뒤 탄성 롤러의 형상 일부가 접촉 설치되고, 설정된 회전 이후에는 상기 뒤 탄성 롤러의 형상과 이격되거나 또는 접촉양이 적어지게 되는 형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7. 제2 항에 있어서,
    차량이 곡선구간 선회주행에서 운전자가 틸팅을 수반하는 스티어링 조작을 하는 경우,
    상기 뒤 스윙 암-좌와 상기 뒤 스윙 암-우에 각각 연결 설치되는 상기 뒷바퀴-좌부와 상기 뒷바퀴-우부는 서로 이격되어 상기 차체는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뒤 스윙 암-좌와 상기 뒤 스윙 암-우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뒤 완충기-좌와 상기 뒤 완충기-우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뒤 틸트 바는 상기 뒤 틸트 바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거나 또는,
    상기 뒤 스윙 암-좌와 상기 뒤 스윙 암-우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뒤 틸팅로드-좌와 상기 뒤 틸팅로드-우에 연결 설치되는 상기 뒤 틸트 바-좌와 상기 뒤 틸트 바-우는 각각의 상기 뒤 틸트 바 핀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상기 뒤 틸트 바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좌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는 상기 뒤 탄성 롤러와의 형상 접촉으로 인하여, 회전력에 저항이 생기며,
    상기 차량은 틸팅 작동 시작에서 설정된 범위까지는 상기 뒤 탄성롤러의 탄성력 저항을 받으나,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벋어나서는 상기 탄성력 저항이 제거 또는 완화되어, 상기 스티어링 조작 방향으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8.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 중심을 잡은 상태에서의 주행에서 저속 직선주행으로 이어지거나 정차하는 경우,
    상기 뒤 틸트 바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좌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는 상기 뒤 탄성 롤러와의 형상 접촉으로 인하여, 회전력에 저항이 생기며,
    상기 차량은 틸팅 작동 전에서 설정된 범위까지는 상기 뒤 탄성롤러의 탄성력 저항을 받게 되어, 좌/우로 쓰러지는 것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9.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량의 좌/우 중심을 잡은 상태에서 주차하는 경우,
    상기 뒤 틸트 바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좌 또는 상기 뒤 틸트 바-우는 상기 뒤 탄성 롤러와의 형상 접촉으로 인하여, 회전력에 저항이 생기며,
    상기 차량은 틸팅 작동 전에서 설정된 범위까지는 상기 뒤 탄성롤러의 탄성력 저항을 받게 되어, 좌/우로 쓰러지는 것이 억제되고, 좌/우로 상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기울어져도 중심으로 복원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10. 제1 항 또는 제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뒤 완충기-좌와 상기 뒤 완충기-우 또는 상기 뒤 완충기는 상기 뒷바퀴-좌부와 상기 뒷바퀴-우부가 개별로 현가가 되게 하여, 독립식 현가장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뒤 틸팅로드-좌 또는 상기 뒤 틸팅로드-우에 완충기능이 포함되어 2중 충격장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KR1020200072265A 2020-06-15 2020-06-15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KR102186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265A KR102186802B1 (ko) 2020-06-15 2020-06-15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PCT/KR2021/003296 WO2021256667A1 (ko) 2020-06-15 2021-03-17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2265A KR102186802B1 (ko) 2020-06-15 2020-06-15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6802B1 true KR102186802B1 (ko) 2020-12-04

Family

ID=73776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2265A KR102186802B1 (ko) 2020-06-15 2020-06-15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6802B1 (ko)
WO (1) WO202125666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06663A (zh) * 2021-05-26 2021-08-27 江苏克瑞迪机车有限公司 柔性攀带与球体摇臂耦合的车辆后驱平衡系统
KR102333871B1 (ko) * 2021-03-24 2021-12-01 최형진 다륜 자전거용 틸팅시스템
WO2021256667A1 (ko) * 2020-06-15 2021-12-23 주식회사 에이치제이모토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036A (ko) * 1998-11-12 2000-06-05 정몽규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
KR20030017668A (ko) * 2001-08-21 2003-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60035869A (ko) * 2004-10-21 2006-04-27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KR102002577B1 (ko) * 2018-01-31 2019-07-22 서광모 차량용 조향장치
KR20190092813A (ko) * 2018-01-31 2019-08-08 서광모 차량의 주행안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1391B2 (ja) * 2002-07-31 2009-01-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操縦装置
US7487985B1 (en) * 2005-08-25 2009-02-10 Robert Mighell Tilting wheeled vehicle
KR102186802B1 (ko) * 2020-06-15 2020-12-04 최형진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2036A (ko) * 1998-11-12 2000-06-05 정몽규 4륜 조향 시스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
KR20030017668A (ko) * 2001-08-21 2003-03-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060035869A (ko) * 2004-10-21 2006-04-27 주식회사 만도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
KR102002577B1 (ko) * 2018-01-31 2019-07-22 서광모 차량용 조향장치
KR20190092813A (ko) * 2018-01-31 2019-08-08 서광모 차량의 주행안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667A1 (ko) * 2020-06-15 2021-12-23 주식회사 에이치제이모토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KR102333871B1 (ko) * 2021-03-24 2021-12-01 최형진 다륜 자전거용 틸팅시스템
WO2022203224A1 (ko) * 2021-03-24 2022-09-29 최형진 다륜 자전거용 틸팅시스템
CN113306663A (zh) * 2021-05-26 2021-08-27 江苏克瑞迪机车有限公司 柔性攀带与球体摇臂耦合的车辆后驱平衡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6667A1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802B1 (ko) 틸팅 자동차의 뒤 현가장치
CN108394479B (zh) 一种自平衡车辆装置及其相应控制方法
KR102186803B1 (ko) 틸팅 자동차의 앞 섀시 시스템
KR102031827B1 (ko) 차량의 주행안정장치
US20220355884A1 (en) Vehicle with a stability system that compensates for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 transverse component of the inertia force when cornering
CN109878616A (zh) 双前轮摩托车的支撑转向机构
CN102180210B (zh) 侧倾正三轮车
CN213322544U (zh) 一种主动侧倾系统
CN108860431A (zh) 骑乘式双前轮机动车可倾斜前悬挂系统
KR102277250B1 (ko) 역삼륜 전동스쿠터용 조향 현가장치
CN112061283A (zh) 一种横置摇摆机构及具有横置摇摆机构的三轮车
CN100345719C (zh) 类菱形车底盘
CN207917048U (zh) 可侧倾倒三轮电动车
CN2601868Y (zh) 一种四轮独立悬挂底盘
CN216185453U (zh) 一种全地形车毂刹转向机构
CN202147715U (zh) 独立空气悬架的随动转向桥
CN213057356U (zh) 一种具有中置电机和皮带轮传动机构的摇摆车
CN201494269U (zh) 断开式前桥总成
CN210011830U (zh) 一种双前轮车辆的前轮悬挂倾斜机构
CN2712764Y (zh) 类菱形车底盘
CN1062519C (zh) 滑降车
CN220243359U (zh) 一种双摇臂式转向杆装置
CN114379685B (zh) 一种多轮动平衡车
CN213921341U (zh) 三轮车的后轮支撑结构
CN214216049U (zh) 电动车四轮前部转向减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