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6152B1 - 전도성 볼 실장 장치 - Google Patents

전도성 볼 실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6152B1
KR102186152B1 KR1020140031116A KR20140031116A KR102186152B1 KR 102186152 B1 KR102186152 B1 KR 102186152B1 KR 1020140031116 A KR1020140031116 A KR 1020140031116A KR 20140031116 A KR20140031116 A KR 20140031116A KR 102186152 B1 KR102186152 B1 KR 10218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frame
conductive ball
ball mount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8208A (ko
Inventor
황치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6152B1/ko
Priority to US14/607,070 priority patent/US9832884B2/en
Priority to JP2015015722A priority patent/JP6699041B2/ja
Publication of KR20150108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8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78Applying solder preforms; Transferring prefabricated solder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00Tools, devices, or special appurtenances for soldering, e.g. brazing, or unsolde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methods
    • B23K3/06Solder feeding devices; Solder melting pans
    • B23K3/0607Solder feeding devices
    • B23K3/0623Solder feeding devices for shaped solder piece feeding, e.g. preforms, bumps, balls, pellets, dropl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1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 H05K2203/0104Tools for processing; Objects used during processing for patterning or coating
    • H05K2203/0126Dispenser, e.g. for solder paste, for supplying conductive paste for screen printing or for filling ho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4Soldering or other types of metallurgic bonding
    • H05K2203/041Solder preforms in the shape of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1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 H05K3/12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 H05K3/1216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in which conductive material is applied to the insulating support in such a manner as to form the desired conductive pattern using thick film techniques, e.g. printing techniques to apply the conductive material or similar techniques for applying conductive paste or ink patterns by screen printing or stencil printing
    • H05K3/1233Methods or means for supplying the conductive material and for forcing it through the screen or stenci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74Means to fasten electrical component to wiring board, base, or substrate
    • Y10T29/53183Multilead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191Means to apply vacuum directly to position or hold work pa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13Means to assemble electrical device
    • Y10T29/532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볼 실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볼 실장 장치는 전도성 볼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두께를 가지며, 전도성 볼이 흡착 및 탈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마스크, 진공 홀이 형성되며 마스크 측면과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및 프레임과 마스크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다공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도성 볼 실장 장치{CONDUCTIVE BALL MOUNTING DEVICE}
본 발명은 전도성 볼 실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은 여러 전자제품 소자들을 일정한 틀에 따라 간편하게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며, 디지털 TV를 비롯한 가전제품부터 첨단 통신기기까지 모든 전자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인쇄회로기판에는 반도체 칩과 같은 다양한 소형 전자부품이 실장 될 수 있도록 용융상태의 솔더 페이스트가 일정한 패턴으로 도포된다. 여기서, 솔더 페이스트의 도포 방법은 스크린 프린터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크린 프린터는 솔더 페이스트 도포 장치에 의해 수행된다. 스크린 프린터는 특정 패턴의 개구부가 형성된 메탈 마스크 상에 공급된 솔더 페이스트를 스퀴지로 압착하여 인쇄회로기판 부품 장착면에 도포하게 된다.
그러나 인쇄회로기판이 대면적화되면서 휨 현상이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신축률에 의한 변형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인쇄회로기판과 마스크 간의 정합도가 낮아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미국 등록특허 제 5623872호
본 발명은 기판의 패드와 전도성 볼의 정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전도성 볼 실장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도성 볼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두께를 가지며, 전도성 볼이 흡착 및 탈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마스크, 진공 홀이 형성되며 마스크 측면과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및 프레임과 마스크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다공성 부재를 포함하는 전도성 볼 실장 장치가 제공된다.
프레임은 마스크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 및 마스크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반부가 상부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측면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부 프레임을 관통한 일단이 측면 프레임의 상반부에 삽입됨으로써 상부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을 결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에 삽입된 측면 프레임의 삽입 길이에 따라 프레임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일측은 측면 프레임과 결합되며, 타측은 마스크의 측면과 결합되어, 마스크와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마스크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프레임은 결합된 측면 프레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마스크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마스크는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 부재는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며, 마스크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개구부의 너비 및 깊이는 전도성 볼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도성 볼 실장 장치는 기판의 휨을 개선한 상태에서 전도성 볼을 실장함으로써, 기판의 패드와 전도성 볼의 정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도성 볼 실장 장치는 기판의 변형에 따라 마스크를 변형하는 스케일 보정을 수행하여 기판의 패드와 전도성 볼의 정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볼 실장 장치에 관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볼 실장 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에 전도성 볼을 실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볼 실장 장치에 관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전도성 볼을 기판에 실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마스크(110), 프레임(120), 고정 부재(130). 마스크 프레임(140) 및 다공성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크(110)는 전도성 볼(미도시)의 직경 이상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마스크(110)의 두께는 전도성 볼의 직경과 같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또한, 마스크(110)에는 전도성 볼이 삽입되어 흡착되거나, 삽입된 전도성 볼이 탈착되는 개구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도성 볼은 마스크(110)의 개구부(115)에 흡착된 상태로 기판(미도시)의 상부로 이동한 후, 마스크(110)의 개구부(115)로부터 탈착되어 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개구부(115)의 크기는 전도성 볼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개구부(115)의 너비 및 깊이는 전도성 볼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볼이 마스크(110)의 개구부(115)에 삽입되어 흡착되었을 때, 마스크(110)의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크(110)에 형성된 개구부(115)의 위치는 마스크(110)가 기판 상부에 위치하였을 때, 기판의 전도성 볼의 실장 위치와 대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크(110)는 탄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110)는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마스크(110)의 재질은 금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판의 마스크로 사용되는 공지된 재질 중에서 탄성을 갖는 것이라면, 어느 것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레임(120)은 마스크(110)의 측면과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20)에는 진공 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120)은 상부 프레임(121) 및 측면 프레임(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1)은 마스크(110)의 상면과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마스크(110)의 상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21)에는 진공 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진공 홀(125)은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에 있는 기체를 배기하여 마스크(110)의 개구부(115)에 전도성 볼이 흡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진공 홀(125)은 외부의 기체를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으로 흡기하여 마스크(110)에 흡착된 전도성 볼이 탈착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공 홀(125)은 상술한 배기 및 흡기를 위해서 진공 펌프와 같은 외부 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부 프레임(121)에는 측면 프레임(123)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삽입홈(122)이 상부 프레임(121)의 측면에 형성됨이 도시되었지만, 삽입홈(122)은 상부 프레임(121)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123)은 마스크(11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측면 프레임(123)은 상부 프레임(121)과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121)을 지지할 수 있다.
측면 프레임(123)은 상반부의 일부가 상부 프레임(121)의 삽입홈(122)에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프레임(121)의 삽입홈(122)과 측면 프레임(123) 간의 삽입 길이는 조절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면 프레임(123)의 삽입 길이에 따라 프레임(120)의 높이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정 부재(130)는 상부 프레임(121)과 측면 프레임(123)을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30)는 상부 프레임(121)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상부 프레임(121)을 관통한 고정 부재(130)의 일단이 상부 프레임(121)에 삽입된 측면 프레임(123)의 상반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정 부재(130)에 의해서 상부 프레임(121)과 측면 프레임(123)이 결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미도시 되었지만, 상부 프레임(121)과 측면 프레임(123)에는 고정 부재(130)가 삽입될 수 있는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 부재(130)는 나사가 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 부재(130)의 종류로는 나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부 프레임(121)과 측면 프레임(123)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결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어느 것도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마스크 프레임(140)은 마스크(110)와 측면 프레임(123)을 연결시킬 수 있다. 마스크 프레임(140)의 일측은 측면 프레임(123)과 결합되며, 타측은 마스크(110)의 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마스크 프레임(140)은 결합된 측면 프레임(12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프레임(140)은 측면 프레임(123)과 슬라이드 결합되어, 측면 프레임(123)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마스크 프레임(140)은 이동한 후, 고정 나사로 이동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마스크 프레임(140)이 측면 프레임(123) 및 마스크(110)와 결합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두 구성을 결합할 수 있는 공지된 방법 중에서 어느 것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공성 부재(150)는 프레임(120)과 마스크(110)의 상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 부재(150)는 내부에 구멍과 같은 빈틈이 형성되며, 프레임(120)과 마스크(11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는 어떠한 것도 될 수 있다.
다공성 부재(150)의 상면은 상부 프레임(121)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다공성 부재(150)의 상면의 일부만 상부 프레임(121)의 하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다공성 부재(150)의 상면 전체가 상부 프레임(121)의 하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부재(150)의 하면은 마스크(110)의 상면과 접촉 또는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공성 부재(150)와 접촉하는 마스크(110)의 상면은 모든 개구부(115)를 포함하는 영역의 상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공성 부재(150)에 의해서 상부 프레임(121)과 마스크(110)가 일정한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123)이 상부 프레임(121)에 더 삽입되거나 마스크 프레임(14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다공성 부재(150)에 의해서 다공성 부재(150)와 접촉하는 마스크(110)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다공성 부재(150)는 진공 홀(125)을 통해 프레임(120) 내부의 기체가 배기될 때 생성되는 진공력을 마스크(110)로 전달할 수 있다. 다공성 부재(150)를 통해서 마스크(110)로 전달된 진공력에 의해서 전도성 볼이 마스크(110)의 개구부(115)에 삽입 및 흡착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부재(150)와 마스크(110)가 분리된 상태라면 마스크(110)로 전달된 진공력에 의해서 마스크(110)도 다공성 부재(150)에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마스크(110)의 개구부(115)의 크기가 전도성 볼의 크기보다 크기 때문에 전도성 볼을 기판에 실장할 때, 기판과 마스크(110)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기판과 마스크(110)가 직접 접촉하였을 때, 마스크(110)는 다공성 부재(150)에 의해서 강성이 보강되기 때문에 기판에 하중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휨이 발생한 기판이라도 마스크(110)의 하중에 의해서 휨이 보정된 상태에서 전도성 볼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마스크(110)가 탄성을 가지며, 도 2와 같이 상부 프레임(121)에 측면 프레임(123)이 삽입되는 길이와 마스크 프레임(14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프레임(123)이 상부 프레임(121)에 더 삽입되거나, 마스크 프레임(14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마스크(110)는 다공성 부재(150)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여러 공정을 거치면서 기판이 늘어나는 등의 변형이 되면, 이에 따라 마스크(110)를 변형하는 스케일(Scale) 보정을 할 수 있다. 기판의 변형에 따라 마스크(110)를 스케일 보정할 수 있으므로, 기판과 마스크 간의 정합도를 향상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에 의해서, 전도성 볼이 기판의 패드가 아닌 다른 위치에 실장되어 발생하는 불량이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마스크(110)의 스케일 보정을 위해서 상부 프레임(121)에 측면 프레임(123)이 삽입되는 길이 변경과 마스크 프레임(140)의 위치 변경을 모두 적용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상술한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만이 적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볼 실장 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에 전도성 볼을 실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저장 장치(200)에 저장된 전도성 볼(300)을 흡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도성 볼(300)은 솔더 볼과 같이 솔더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전도성 볼(300)의 재질은 솔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회로 기판 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도성 재질 중 어느 것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저장 장치(2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진공 홀(125)을 통해 내부의 기체가 배기되면서 저장 장치(200)의 전도성 볼(300)을 흡착할 수 있다.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에서 발생한 진공력은 마스크(110)의 개구부(115)를 통해서 전도성 볼(300)에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볼(300)은 마스크(110)의 개구부(115)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흡착될 수 있다. 또한, 마스크(110)의 두께가 전도성 볼(300)의 직경 이상이며, 개구부(115)의 크기 역시 전도성 볼(300)보다 크기 때문에 전도성 볼(300)은 마스크(110)의 하면으로부터 도출되지 않는다.
이때, 저장 장치(200)는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기체를 흡기하여 저장 장치(200)의 전도성 볼(300)이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로 더 잘 흡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전도성 볼(300)을 흡착한 상태로 기판(400)의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기판(400)은 절연층과 회로층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일 수 있다. 또한, 기판(400)은 전도성 볼(300)이 실장될 수 있는 어느 종류의 기판도 될 수 있다. 기판(400)에는 전도성 볼(300)이 실장될 패드(4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판(400)의 패드(410)에는 선택사항으로 플럭스(Flux)가 도포된 상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판(400)은 이전의 여러 공정을 거치면서 휨 또는 늘어나는 변형이 발생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상부 프레임(121)에 측면 프레임(123)이 삽입되는 길이를 변경하거나 마스크 프레임(140)의 위치를 변경하여 기판(400)의 변형에 따라 마스크(110)를 변형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가 전도성 볼(300)을 흡착한 이후에 마스크(110)를 변형하는 스케일 보정을 수행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전도성 볼(300)이 기판(400)에 실장되기 이전이라면 마스크(110)의 스케일 보정을 어느 단계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도 3의 전도성 볼(300)을 흡착하기 이전에 마스크(110)의 스케일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전도성 볼(300)을 기판(400)에 실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도성 볼(300)을 흡착한 상태인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기판(400)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의 마스크(110)는 스케일이 보정되어 마스크(110)의 개구부(115)와 기판(400)의 패드(410)가 정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에서 전도성 볼(300)이 마스크(110)의 개구부(115)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마스크(110)의 하면과 기판(400)의 상면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기판(400)에 접촉된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기판(400)에 하중을 가하여 기판(400)의 휨을 보정할 수 있다.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기판(400)의 휨이 보정된 상태에서 내부로 기체를 흡기하여, 전도성 볼(300)을 마스크(110)로부터 탈착시킬 수 있다. 전도성 볼(300)은 마스크(110)로부터 탈착되면서 기판(400)의 패드(410)에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는 마스크(110)의 스케일 보정 및 기판(400)의 휨 보정으로 마스크(110)와 기판(400)의 정합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결국, 전도성 볼(300)과 기판(400)의 패드(410) 간의 정합도 역시 향상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기판(400)에 전도성 범프(310)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볼 실장 장치(도 5의 100)는 기판(400)에 전도성 볼(도 5의 300)을 실장한 후, 기판(40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기판(400)은 전도성 볼 실장 장치(도 5의 100)에 의해 가압되어 기판(400)의 휨이 보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후, 기판(400)에 리플로우(Reflow) 공정이 수행되면서, 전도성 볼(도 5의 300)은 전도성 범프(310)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도성 볼 실장 장치(100)를 이용하여 기판(400)에 전도성 볼(300)을 실장하게 되면, 전도성 볼(300)과 기판(400)의 정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전도성 볼(300)과 기판(400)의 패드(410) 이외의 영역에 실장되어 발생하는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전도성 볼 실장 장치
110: 마스크
115: 개구부
120: 프레임
121: 상부 프레임
122: 삽입홈
123: 측면 프레임
125: 진공 홀
130: 고정 부재
140: 마스크 프레임
150: 다공성 부재
200: 저장 장치
300: 전도성 볼
310: 전도성 범프
400: 기판
410: 패드

Claims (10)

  1. 전도성 볼이 흡착 및 탈착되는 개구부가 형성된 마스크;
    진공 홀이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 측면과 상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마스크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다공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의 너비 및 깊이는 상기 전도성 볼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큰 전도성 볼 실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마스크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 및
    상기 마스크의 측면에 위치하고, 상반부가 상기 상부 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측면 프레임;
    을 포함하는 전도성 볼 실장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상부 프레임을 관통한 일단이 상기 측면 프레임의 상반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상부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을 결합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도성 볼 실장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에 삽입된 상기 측면 프레임의 삽입 길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높이가 변경되는 전도성 볼 실장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측면 프레임과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마스크의 측면과 결합되어, 상기 마스크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시키는 마스크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전도성 볼 실장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프레임은 상기 결합된 측면 프레임을 따라 이동하는 전도성 볼 실장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탄성을 갖는 전도성 볼 실장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탄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전도성 볼 실장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부재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하면에 고정되며, 상기 마스크의 상면과 접촉되는 전도성 볼 실장 장치.
  10. 삭제
KR1020140031116A 2014-03-17 2014-03-17 전도성 볼 실장 장치 KR10218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116A KR102186152B1 (ko) 2014-03-17 2014-03-17 전도성 볼 실장 장치
US14/607,070 US9832884B2 (en) 2014-03-17 2015-01-27 Conductive ball mounting device
JP2015015722A JP6699041B2 (ja) 2014-03-17 2015-01-29 伝導性ボール実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1116A KR102186152B1 (ko) 2014-03-17 2014-03-17 전도성 볼 실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8208A KR20150108208A (ko) 2015-09-25
KR102186152B1 true KR102186152B1 (ko) 2020-12-03

Family

ID=54070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116A KR102186152B1 (ko) 2014-03-17 2014-03-17 전도성 볼 실장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32884B2 (ko)
JP (1) JP6699041B2 (ko)
KR (1) KR1021861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8004B (zh) * 2017-11-10 2019-06-1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一研究所 一种柔性微带电路导电胶局部涂覆工装及其涂覆方法
KR102517784B1 (ko) * 2018-05-16 2023-04-04 (주)포인트엔지니어링 마이크로 led 흡착체
KR102509642B1 (ko) * 2018-09-27 2023-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전성 볼 부착 장치
KR102078935B1 (ko) * 2018-11-07 2020-02-19 주식회사 프로텍 도전성 볼 탑재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882A (ja) * 2005-09-21 2006-02-16 Shibuya Kogyo Co Ltd マウントヘッド
JP2013244494A (ja) * 2012-05-24 2013-12-09 Hioki Ee Corp 球状体吸着ヘッド、球状体搭載装置および球状体吸着ヘッド製造方法
JP2014027070A (ja) * 2012-07-26 2014-02-06 Hioki Ee Corp 球状体搭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420C (zh) 1994-04-14 2002-11-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网板印刷装置及网板印刷方法
JP3003656B2 (ja) * 1997-12-24 2000-01-31 日本電気株式会社 微細金属球の搭載治具
US6352189B1 (en) * 1999-06-03 2002-03-05 Shibuya Kogyo Co., Ltd. Ball suction head
JP4607390B2 (ja) * 2001-08-28 2011-01-05 九州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半田ボール吸着用マス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273666B (en) * 2004-06-30 2007-02-11 Athlete Fa Corp Method and device for mounting conductive ball
US20090108053A1 (en) * 2007-10-26 2009-04-30 Huddleston Wyatt A Solder Ball Placement Vacuum Tool
JP2010050410A (ja) * 2008-08-25 2010-03-04 Shibuya Kogyo Co Ltd 微小ボール配列装置
JP5743736B2 (ja) * 2011-06-21 2015-07-01 日置電機株式会社 球状体吸着ヘッド、球状体搭載装置および球状体吸着ヘッド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43882A (ja) * 2005-09-21 2006-02-16 Shibuya Kogyo Co Ltd マウントヘッド
JP2013244494A (ja) * 2012-05-24 2013-12-09 Hioki Ee Corp 球状体吸着ヘッド、球状体搭載装置および球状体吸着ヘッド製造方法
JP2014027070A (ja) * 2012-07-26 2014-02-06 Hioki Ee Corp 球状体搭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32884B2 (en) 2017-11-28
US20150264818A1 (en) 2015-09-17
KR20150108208A (ko) 2015-09-25
JP6699041B2 (ja) 2020-05-27
JP2015177189A (ja) 201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6152B1 (ko) 전도성 볼 실장 장치
US946655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edistribution layer and stiffeners and related methods
GB244126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circuit board structure, and a circuit board structure
TW200634915A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device, circuit board,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7227550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11569596B2 (en) Pressure features to alter the shape of a socket
TW200618685A (en) Compressible films surrounding solder connectors
JP6283218B2 (ja) 基板の反り矯正装置及び基板の反り矯正方法
WO2005112113A3 (en) Mounting with auxiliary bumps
EP3451395A3 (en) Semiconductor package structure
JP2011124598A (ja) 電子部品を弾力的に支持する方法および電子装置
JP5245571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の製造装置及びピン
US9177835B1 (en) Underfill dispensing with controlled fillet profile
US9385153B2 (en) Image sensor device with flexible interconnect layer and related methods
US880013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 board
WO2008073432A3 (en) No flow underfill process, composition, and reflow carrier
US7320602B2 (en) Substrate structure,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397355B1 (ko) 인쇄용 마스크
KR20140099582A (ko) 패키지의 외부접속단자 형성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JP2014053613A (ja) 基板移送のためのキャリア治具
JP2015220291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577026B1 (ko) 솔더 리플로용 기판 지그의 조립 및 이송장치
US1052250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JP2010212643A (ja) マスク支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印刷回路基板用印刷装置
KR101088295B1 (ko) 반도체 패키지의 솔더볼 형성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